KR102295562B1 - 살균기능을 갖는 콘텍트렌즈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살균기능을 갖는 콘텍트렌즈 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562B1
KR102295562B1 KR1020190124305A KR20190124305A KR102295562B1 KR 102295562 B1 KR102295562 B1 KR 102295562B1 KR 1020190124305 A KR1020190124305 A KR 1020190124305A KR 20190124305 A KR20190124305 A KR 20190124305A KR 102295562 B1 KR102295562 B1 KR 102295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door
unit
sterilization
housing
contact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1725A (ko
Inventor
강상호
Original Assignee
강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상호 filed Critical 강상호
Priority to KR1020190124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562B1/ko
Priority to PCT/KR2019/017362 priority patent/WO2021071023A1/ko
Publication of KR20210041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1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e.g. electricity, ultrasonics or ultrafiltration
    • A61L12/06Radiation, e.g. ultraviolet or microwaves
    • A61L12/063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5Contact lens c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1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e.g. electricity, ultrasonics or ultrafiltration
    • A61L12/06Radiation, e.g. ultraviolet or micro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8Aseptic stor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살균기능을 갖는 콘텍트렌즈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홀센서를 통한 개폐감지에 따라 UV 조사가 이루어짐에 따라 안정적으로 UV 살균이 이루어질 수 있는 살균기능을 갖는 콘텍트렌즈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개방가능하도록 하는 상부도어하우징과; 콘텍트렌즈가 수용되어 일정 시간 보관되도록 하는 하부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도어하우징의 내측 천정부에는 콘텍트렌즈로 조사되어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살균조사부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도어하우징의 일측에는 돌출 형성되는 마그네틱부가 포함되고,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마그네틱부와 형상적으로 대응됨과 동시에 위치적으로 대응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부도어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이 간이 밀착되어 폐쇄되는 것을 감지하는 홀센서부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홀센서부로부터 상부도어하우징의 개방여부에 대한 센싱데이터를 전달받는 제어부와,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어 하부하우징에 진동력을 부여하도록 하는 진동모터부가 포함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홀센서부의 센싱데이터를 통해 상부도어하우징이 폐쇄상태인지 판단하여 설정에 따라 상기 살균조사부 및 진동모터부의 구동여부와 구동시간 제어를 수행한다.

Description

살균기능을 갖는 콘텍트렌즈 보관장치{Contact lens Storage Apparatus with Steriliz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살균기능을 갖는 콘텍트렌즈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홀센서를 통한 개폐감지에 따라 UV 조사가 이루어짐에 따라 안정적으로 UV 살균이 이루어질 수 있는 살균기능을 갖는 콘텍트렌즈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렌즈 보관함은 눈에 착용한 콘텍트렌즈를 습도가 유지되게 보관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렌즈 보관함은 용기형상으로 이루어진 보관함몸체와 상기 보관함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렌즈 보관함은 보관함몸체에 요입되게 형성된 불투명한 수납부에 식염수를 담고 여기에 콘텍트렌즈를 넣은 후 뚜껑을 덮어 보관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렌즈보관함은 식염수에 의하여 콘텍트렌즈의 습도가 유지되게만 보관되어 있어 콘텍트렌즈에 잔류하는 세균등이 살균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콘텍렌즈에 잔류 세균이 염도가 낮은 식염수에 번식하여서 보관되는 새로운 콘텍트렌즈도 오염시켜 눈질환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상과 같이 종래 렌즈보관함이 콘텍트렌즈를 안전하게 보관하지 못하여 식염수와 같은 보존액 또는 렌즈보관함을 수시로 교체하는데 경제적인 부담을 지고 있다.
또한 주기적으로 세척액을 사용해서 렌즈의 청결상태를 유지하는 노력이 수반하는 시간적, 경제적 소모는 상당했다.
렌즈 사용자는 렌즈에 잔존하는 화학물질인 세척액이 각막에 미칠 영향에 대한 우려를 갖는다.
렌즈는 휴대의 특성상 세균에 항상 노출되기 쉬워 종종 바이러스성 세균성 망막염 및 여러 안과 질환의 원인이 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를 위해 콘텍트렌즈를 보관하고 세척하기 위한 초음파 진동기가 설치된 세척기가 제안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 초음파 진동기가 설치된 세척기를 도시한 것으로 이를 살펴보면 식염수와 같은 세척액을 담는 세척통(4)이 있고, 상기 세척액에 진동을 가할 수 있는 초음파 진동기가 설치된 세척기를 사용하여 세척하거나 살균하였다.
이러한 초음파 진동기가 설치된 세척기는 덮개(1)와 하부케이스(7)가 힌지부(3)를 통해 힌지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덮개(1) 천정면에는 사용자가 렌즈를 착용할 때 착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거울(2)이 설치되고 초음파 진동기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동작스위치(5, 6) 및 외부전원의 인가를 위한 전원스위치(8) 및 전원플러그(9)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초음파 진동기가 설치된 세척기의 경우에도 다양한 형태의 바이러스 살균이 충분하지 않아 콘텍트렌즈 사용자의 눈 건강을 지키는 데 충분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홀센서를 통한 개폐감지에 따라 UV 조사가 이루어짐으로써 안정적으로 UV 살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실리콘기밀부재를 통해 기밀 유지가 우수하고 진동모터부를 통해 살균 완료 통지 기능 및 살균 효과 향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살균기능을 갖는 콘텍트렌즈 보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개방가능하도록 하는 상부도어하우징과; 콘텍트렌즈가 수용되어 일정 시간 보관되도록 하는 하부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도어하우징의 내측 천정부에는 콘텍트렌즈로 조사되어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살균조사부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도어하우징의 일측에는 돌출 형성되는 마그네틱부가 포함되고,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마그네틱부와 형상적으로 대응됨과 동시에 위치적으로 대응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부도어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이 간이 밀착되어 폐쇄되는 것을 감지하는 홀센서부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홀센서부로부터 상부도어하우징의 개방여부에 대한 센싱데이터를 전달받는 제어부와,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어 하부하우징에 진동력을 부여하도록 하는 진동모터부가 포함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홀센서부의 센싱데이터를 통해 상부도어하우징이 폐쇄상태인지 판단하여 설정에 따라 상기 살균조사부 및 진동모터부의 구동여부와 구동시간 제어를 수행한다.
아울러 외부 전원을 무선 또는 유선 연결을 통해 인가받아 충전시키는 유무선충전부가 포함되며, 하부하우징의 렌즈수용부 내측에 수용되는 수용액이 하부하우징 외측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도어하우징의 하부측 테두리부와 이와 접하는 하부하우징의 상부측 테두리부 간에는 실리콘기밀부재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홀센서부와 마그네틱부를 통해 상부도어하우징의 개폐여부를 감지함에 따라 살균조사부 및 진동모터부를 통한 살균 구동이 보관장치 폐쇄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실리콘기밀부재를 통해 렌즈수용부 내 세척액 또는 보관액 등의 수용액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격벽 구동부를 통해 렌즈의 개별 보관 및 보관용기를 통한 보관이 모두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초음파 진동기가 설치된 세척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텍트렌즈 보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텍트렌즈 보관장치의 개폐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텍트렌즈 보관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텍트렌즈 보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텍트렌즈 보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텍트렌즈 보관장치의 격벽구동부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텍트렌즈 보관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텍트렌즈 보관장치의 원격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텍트렌즈 보관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텍트렌즈 보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텍트렌즈 보관장치의 개폐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텍트렌즈 보관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텍트렌즈 보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텍트렌즈 보관장치(100)는 크게 선택적으로 개방가능하도록 하는 상부도어하우징(10)과, 콘텍트렌즈가 수용되어 일정 시간 보관되도록 하는 하부하우징(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도어하우징(10)의 내측 천정부에는 콘텍트렌즈로 조사되어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살균조사부(11)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하우징(20)은 렌즈수용부(22)가 형성되어 콘텍트렌즈를 수용하고, 상부도어하우징(10)은 콘텍트렌즈를 수용하거나 배출하기 위해 콘텍트렌즈 보관장치(100)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도어하우징(10)은 일실시예에 따라 도면에서와 같이 하부하우징(20)과 힌지결합되어 힌지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 하부하우징(20)과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선택적 개방이 이루어지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도어하우징(10)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마그네틱부(12)가 돌출 형성되고, 힌지 개폐시 상기 마그네틱부(12)와 위치적으로 대응되는 하부하우징(20)에는 이와 형상적으로도 대응되도록 홀센서부(21)가 형성된다.
이러한 마그네틱부(12)와 홀센서부(21)는 상부도어하우징(10)의 힌지결합에 따른 폐쇄시에 돌출형성되는 마그네틱부(12)가 홀센서부(21)측으로 수용되어 홀센서부(21)가 자기력을 감지함에 따라 현재 상부도어하우징(10)이 폐쇄 상태에 위치됨을 감지한다.
마찬가지로 홀센서부(21)의 자기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이는 상부도어하우징(10)이 개방 상태에 위치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상부도어하우징(10)의 개폐 여부 판단은 홀센서부(21)의 센싱데이터를 전달받는 제어부(30)가 수행하며, 이러한 개폐 여부 판단에 따라 후술할 살균조사부(11) 및 진동모터부(40)의 동작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도어하우징(10)의 개폐 감지 구성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홀센서부(21)와 마그네틱부(12)를 통해 수행되나, 필요에 따라 압력센서 또는 광센서 등을 통해 상부도어하우징(10)의 개폐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도어하우징(10)에는 저면에 살균조사부(11)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살균조사부(11)는 이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용되는 콘텍트렌즈에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광을 조사하게 되는데, 이러한 광으로는 일예로 UV광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살균조사부(11)는 도 2 및 도 5에서와 같이 다양한 위치 및 개수로 형성되어 콘텍트렌즈의 형태 및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하부하우징(20)의 렌즈수용부(22)는 콘텍트렌즈가 개별적으로 수용되거나 별도의 보관용기에 수용된 후 해당 보관용기가 렌즈수용부(22)에 수용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개별 수용의 경우와 보관용기를 통한 수용의 경우에 따라 살균조사부(11)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출력이 달리 구성됨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도 5에서와 같이 좌, 우측으로 각각 3개소의 광원이 형성되는 경우, 제어부(30)는 콘텍트렌즈가 개별 수용 또는 보관용기를 통한 수용 중 어느 경우인지 판단하여 광원의 출력을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일예로 개별 수용인 것으로 판단되면 좌, 우측으로 형성되는 3개소의 광원 중 각각 1~2개소가 구동되도록 하고, 보관용기를 통한 수용인 것으로 판단되면 좌, 우 각각 3개소가 모두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홀센서부(21)로부터 상부도어하우징(10)의 개방여부에 대한 센싱데이터를 전달받으며, 살균조사부(11)와 진동모터부(40)의 구동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진동모터부(40)는 상기 하부하우징(20)의 내측에 수용되어 하부하우징(20)에 진동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진동모터부(40)의 구동 수행은 살균조사부(11)를 통한 콘텍트렌즈 살균시에 살균 효과 향상 및 렌즈에 부착된 이물질의 분리를 위해 구비될 수 있고, 살균조사부(11)의 살균 수행이 완료된 경우 완료를 알리기 위해 구비될 수 있으며, 두가지 기능을 모두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진동모터부(40) 및 살균조사부(11)의 구동을 수행하기 전에 전술한 바와 같이 홀센서부(21)로부터 상부도어하우징(10)이 폐쇄 상태에 위치되어 있는지 먼저 판단하고 폐쇄 상태인 경우에만 상기 진동모터부(40) 및 살균조사부(11)의 구동을 수행한다.
이는 상부도어하우징(10)이 개방 상태인 경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콘텍트렌즈로 조사되지 않을 수 있으며 진동모터부(40)의 진동에 따라 렌즈수용부(22) 내에 콘텍트렌즈와 함께 수용되는 렌즈세척액 또는 렌즈보관액이 외부로 비산 또는 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부(30)는 홀센서부(21)로부터 센싱데이터를 통해 상부도어하우징(10)의 개방여부를 우선 판단하고, 폐쇄상태로 판단되는 경우에 살균조사부(11) 및 진동모터부(40)의 구동 수행을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30)는 별도의 외부입력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살균조사부(11) 및 진동모터부(40)의 구동여부와 구동시간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통해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텍트렌즈 보관장치(100)는 제어부(30), 진동모터부(40), 살균조사부(11) 및 홀센서부(21) 등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도록 하는 배터리(B)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배터리의 충전은 외부 전원을 무선 또는 유선 연결을 통해 인가받아 충전시키는 유무선충전부(50)가 수행한다.
이때 유선연결을 위해 하부하우징(20)의 일측에는 유선 형태의 외부전원이 입력되도록 하는 단자입력부(51)가 형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상부도어하우징(10)과 하부하우징(20) 간의 폐쇄시 기밀 유지 향상을 위해 상기 상부도어하우징(10)의 하부측 테두리부와 이와 접하는 하부하우징(20)의 상부측 테두리부 간에는 실리콘기밀부재(60)가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도어하우징(10)의 저면측 테두리부에 돌출되는 테두리돌출부(13)가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하부하우징(20)의 테두리부에는 테두리홈로(20a)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실리콘기밀부재(60)는 상기 하부하우징(20)의 테두리홈로(20a) 내측으로 수용되어 테두리돌출부(13)와 테두리홈로(20a) 간이 접할 시에 보다 안정적으로 기밀 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텍트렌즈 보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텍트렌즈 보관장치의 격벽구동부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텍트렌즈 보관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콘텍트렌즈 보관장치(100)는 하부하우징(20) 내 렌즈수용부(22)를 이분할하는 격벽체(23)가 형성되되, 상기 격벽체(23)는 격벽구동부(70)에 의해 승하강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격벽체(23)는 격벽구동부(70)의 승하강구동에 의해 렌즈수용부(22) 내 공간을 선택적으로 이분할하게 된다.
이는 살균조사부(11)에 의해 살균이 이루어지는 콘텍트렌즈가 일반적으로 별도의 휴대용 보관용기 내에 수용된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별도로 콘텍트렌즈를 휴대용 보관용기로부터 배출시키지 않고 전체를 렌즈수용부(22)에 수용시키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격벽체(23)의 승하강 이동에 따라 콘텍트렌즈를 이분할된 렌즈수용부(22)에 각각 좌,우 구분하여 수용시키거나 콘텍트렌즈 휴대용 보관용기 전체를 렌즈수용부(22)에 수용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콘텍트렌즈 휴대용 보관용기는 살균조사부(11)의 광이 렌즈측으로 투광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져야 하며, 만일 투명재질이 아닌 경우 콘텍트렌즈를 휴대용 보관용기로부터 배출시켜 이분할된 렌즈수용부(22)에 수용시킴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격벽구동부(70)는 본 발명의 일예에 따라 격벽체(23)의 레크치형부(23a)와 치형결합되는 피니언기어부(72)와, 상기 피니언기어부(72)를 회전구동시키는 회전모터(71)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렌즈수용부(22)의 바닥면과 격벽체(23)의 승하강 지점 간에 콘텍트렌즈 세척액 등이 누수되지 않도록 별도의 누수방지부재가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3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진동모터부(40)와 살균조사부(11)의 구동제어에 더하여 격벽구동부(70)의 구동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텍트렌즈 보관장치의 원격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콘텍트렌즈 보관장치(100)는 외부 블루투스 통신단말기(200)와 데이터통신 가능하도록 블루투스모듈이 탑재되며, 상기 블루투스모듈을 통해 통신단말기(200)로부터 제어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제어부(3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살균조사부(11), 진동모터부(40) 및 격벽구동부(70)의 원격제어가 가능해지며, 제어부(30)로부터 배터리 상태정보 또는 구동상태정보를 요청하여 통신단말기(200)가 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단말기(200) 내에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진동모터부(40) 및 살균조사부(11)의 구동시간 설정, 구동완료 후 푸쉬메시지 전송설정 등의 다양한 제어 설정이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텍트렌즈 보관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콘텍트렌즈 보관장치는 렌즈수용부(22) 내에 수용된 콘텍트렌즈의 세척을 위해 초음파진동부(41)가 구비된다.
상기 초음파진동부(41)는 렌즈수용부(22)의 바닥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초음파진동판과, 상기 초음파진동판의 일측에 결합되어 전원 인가에 따라 진동하도록 이루어지는 진동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초음파진동부(41)는 압전현상을 이용하여 유체 속에서 강력한 진동의 초음파를 발생시킴에 따라 렌즈수용부(22)에 수용된 콘텍트렌즈로 진동력을 부여하게 된다.
이러한 초음파 진동에 의해 콘텍트렌즈에 부착된 이물질들이 분리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진동모터부(40)와 함께 구비되어 각각 진동력을 부여하도록 하거나, 진동모터부(40)는 사용자에게 알림기능을 하도록 구성되고, 초음파진동부(41)는 콘텍트렌즈의 세척 기능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상부도어하우징 20 : 하부하우징
30 : 제어부 40 : 진동모터부
50 : 유무선충전부 60 : 실리콘기밀부재
100 : 콘텍트렌즈 보관장치

Claims (5)

  1. 선택적으로 개방가능하도록 하는 상부도어하우징(10)과;
    콘텍트렌즈가 수용되어 일정 시간 보관되도록 하는 하부하우징(20);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도어하우징(10)의 내측 천정부에는 콘텍트렌즈로 조사되어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살균조사부(11)가 설치되는 것과,
    상기 하부하우징(20)의 렌즈수용부(22) 내측에 수용되는 수용액이 하부하우징(20) 외측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도어하우징(10)의 하부측 테두리부와 이와 접하는 하부하우징(20)의 상부측 테두리부 간에는 실리콘기밀부재(60)가 형성되는 것과,
    상기 렌즈수용부(22)를 선택적으로 이분할하는 격벽체(23)가 형성되되, 상기 격벽체(23)는 격벽구동부(70)에 의해 승하강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격벽구동부(70)는,
    상기 격벽체(23)의 레크치형부(23a)와 치형결합되는 피니언기어부(72)와, 상기 피니언기어부(72)를 회전구동시키는 회전모터(7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기능을 갖는 콘텍트렌즈 보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도어하우징(10)의 일측에는 돌출 형성되는 마그네틱부(12)가 포함되고, 상기 하부하우징(20)은 상기 마그네틱부(12)와 형상적으로 대응됨과 동시에 위치적으로 대응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부도어하우징(10)과 하부하우징(20)이 간이 밀착되어 폐쇄되는 것을 감지하는 홀센서부(21)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기능을 갖는 콘텍트렌즈 보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센서부(21)로부터 상부도어하우징(10)의 개방여부에 대한 센싱데이터를 전달받는 제어부(30)와, 상기 하부하우징(20)의 내측에 수용되어 하부하우징(20)에 진동력을 부여하도록 하는 진동모터부(40)가 더 포함되되,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홀센서부(21)의 센싱데이터를 통해 상부도어하우징(10)이 폐쇄상태인지 판단하여 설정에 따라 상기 살균조사부(11) 및 진동모터부(40)의 구동여부와 구동시간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정에 따라 살균기능을 갖는 콘텍트렌즈 보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외부 전원을 무선 또는 유선 연결을 통해 인가받아 충전시키는 유무선충전부(5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기능을 갖는 콘텍트렌즈 보관장치.
  5. 삭제
KR1020190124305A 2019-10-08 2019-10-08 살균기능을 갖는 콘텍트렌즈 보관장치 KR102295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305A KR102295562B1 (ko) 2019-10-08 2019-10-08 살균기능을 갖는 콘텍트렌즈 보관장치
PCT/KR2019/017362 WO2021071023A1 (ko) 2019-10-08 2019-12-10 살균기능을 갖는 콘텍트렌즈 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305A KR102295562B1 (ko) 2019-10-08 2019-10-08 살균기능을 갖는 콘텍트렌즈 보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725A KR20210041725A (ko) 2021-04-16
KR102295562B1 true KR102295562B1 (ko) 2021-08-27

Family

ID=75437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305A KR102295562B1 (ko) 2019-10-08 2019-10-08 살균기능을 갖는 콘텍트렌즈 보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95562B1 (ko)
WO (1) WO20210710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25715B2 (en) * 2020-07-24 2024-03-12 Clean Case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terilization in compact form
KR102356509B1 (ko) * 2021-07-21 2022-02-08 (주)이지템 살균 기능 및 오작동 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접촉식 체온계
CN114391965B (zh) * 2021-12-31 2024-03-01 深圳爱博合创医疗机器人有限公司 一种无菌盒及具有该无菌盒的全防护式介入手术机器人从端驱动装置
KR102433552B1 (ko) * 2022-02-03 2022-08-18 주식회사 해님 자외선 소독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2336B2 (ja) * 1992-06-19 2000-01-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ファクシミリ装置
KR200348537Y1 (ko) * 2004-01-27 2004-04-28 정인천 콘택트 렌즈 세척 및 살균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5536A (ja) * 1991-10-25 1993-05-14 Tome Sangyo Kk コンタクトレンズ用処理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コンタクトレンズ処理容器
JP3002336U (ja) * 1994-03-24 1994-09-20 化成工業株式会社 歯ブラシ用殺菌装置
JP3100828U (ja) * 2003-10-02 2004-05-27 榮華 ▲頼▼ コンタクトレンズのメインテナンス装置
CN103813812B (zh) * 2011-02-23 2016-08-10 新星湾药物有限公司 具有监视器的角膜接触镜片清洁系统
KR101905171B1 (ko) * 2017-03-03 2018-10-05 노택규 휴대용 콘택트 렌즈 케이스
KR20190087038A (ko) * 2018-01-16 2019-07-24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가 가능한 콘택트렌즈용 자외선 소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2336B2 (ja) * 1992-06-19 2000-01-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ファクシミリ装置
KR200348537Y1 (ko) * 2004-01-27 2004-04-28 정인천 콘택트 렌즈 세척 및 살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725A (ko) 2021-04-16
WO2021071023A1 (ko) 202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5562B1 (ko) 살균기능을 갖는 콘텍트렌즈 보관장치
TWI584826B (zh) 容納眼用鏡片儲存盒的輻射消毒基座單元
TWI565485B (zh) 用於容納儲存一個或多個眼用鏡片之眼用鏡片儲存盒的基座
KR20170003860A (ko)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
KR20130063326A (ko) 자외선 살균기능을 가지는 미스트 발생장치
JP2002126050A (ja) コンタクトレンズ容器の消毒装置、および、コンタクトレンズ容器を収納する収納具
KR102198704B1 (ko) 콘택트렌즈 멸균 장치
JP5101681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消毒装置
JP3100828U (ja) コンタクトレンズのメインテナンス装置
CN212424213U (zh) 一种智能垃圾桶
JPWO2015125337A1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
KR200348537Y1 (ko) 콘택트 렌즈 세척 및 살균기
CN207684255U (zh) 医疗废弃物桶
KR100523533B1 (ko) 자외선 살균 장치
KR102404518B1 (ko) 휴대용 렌즈세척장치
KR101728366B1 (ko) 반려동물용 유골 보관장치
KR200308680Y1 (ko) 휴대용 렌즈세척기
KR20000060553A (ko) 분할된 세정용기를 갖는 초음파 세정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20081307A (ja) コンタクトレンズの殺菌装置及び保存ケース
KR200208586Y1 (ko) 콘택트렌즈 세척/소독기
KR101857359B1 (ko) 생수보관 전용 냉장고
KR102348585B1 (ko) 사용기한 표시 기능을 갖는 화장품용기
KR20220116901A (ko) Covid-19 등 바이러스에 대한 공간 살균기 및 진료 부스
KR102632856B1 (ko) 회전 방식의 휴대용 칫솔 살균기
CN212484003U (zh) 一种新型角膜接触镜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