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586Y1 - 콘택트렌즈 세척/소독기 - Google Patents

콘택트렌즈 세척/소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586Y1
KR200208586Y1 KR2020000015693U KR20000015693U KR200208586Y1 KR 200208586 Y1 KR200208586 Y1 KR 200208586Y1 KR 2020000015693 U KR2020000015693 U KR 2020000015693U KR 20000015693 U KR20000015693 U KR 20000015693U KR 200208586 Y1 KR200208586 Y1 KR 2002085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ens
mode
ultrasonic
control unit
pendul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56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정식
강상원
김원규
Original Assignee
변정식
김원규
강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정식, 김원규, 강상원 filed Critical 변정식
Priority to KR20200000156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5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5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586Y1/ko

Links

Landscapes

  • Eyeglass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으로 콘택트렌즈를 세척/소독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콘택트렌즈를 케이스에 넣어둔 채로 초음파진자에 의해 콘택트렌즈를 세척하고 자외선방출기에 의해 콘택트렌즈를 소독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콘택트렌즈 세척/소독기는, 적어도 일부분에 투명창이 형성되어 있는 콘택트렌즈 용기, 용기에 담긴 콘택트렌즈에 초음파를 인가하여 콘택트렌즈를 세척하는 초음파진자, 초음파진자가 초음파를 방사토록 하는 초음파진자 제어부, 용기의 투명창을 통해 콘택트렌즈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콘택트렌즈를 소독하는 자외선방출기, 자외선방출기를 점등하는 자외선방출기 제어부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는, 상기 구성 이외에, 초음파진자 제어부와 자외선방출기 제어부를 제어하되, 초음파진자에 의한 세척모드, 자외선방출기에 의한 소독모드, 양자 모두에 의한 동시모드를 제어하는 마이콤과, 마이콤을 통하여 세척모드, 소독모드, 동시모드를 선택하는 조작부와 각 모드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되는 조작패널이 추가로 포함된다.

Description

콘택트렌즈 세척/소독기{Contact lense cleansing and disinfecting device}
본 고안은 자동으로 콘택트렌즈를 세척/소독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콘택트렌즈를 케이스에 넣어둔 채로 초음파진자에 의해 콘택트렌즈를 세척하고 자외선방출기에 의해 콘택트렌즈를 소독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콘택트렌즈를 케이스에 넣어둔 채로 자동으로 콘택트렌즈를 세척 및 소독하는 휴대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택트렌즈는 미용상 이점에 불구하고, 그 관리상 세척이나 소독이 번거롭고, 세척액의 소비량이 커서 낭비가 크다. 특히 여행시에는 더욱 불편하다. 콘택트렌즈의 소독도 열탕소독이나 약품에 의한 소독으로 이루어지는데 매우 불편하고 귀찮은 일이다.
종래에 기계적으로 콘택트렌즈를 세척하는 장치가 출원되어 있다. 1991. 1. 30.에 특허등록(공고번호 1990-8485)된 '콘택트렌즈 세척장치'는 모터에 의한 기구장치로서 콘택트렌즈를 세척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1991. 6. 28.에 공개된(공개번호 1991-9545) '자동 콘택트렌즈 세척기'는 모터에 의해 콘택트렌즈를 요동회전시켜서 세척하는 장치에 대한 것이다. 그러나, 이들 세척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크기가 커서 실용성이 낮고 휴대에 불편한 단점이 있다.
출원인은 콘택트렌즈의 세척과 소독에 대한 연구를 하여 초음파를 이용하여 세척을 하고 자외선방출기를 이용하여 소독을 하면 매우 편리하게 콘택트렌즈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알고 본 고안을 완성하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콘택트렌즈 보관용기를 확장하여 초음파진자와 자외선방출기를 추가하고 마이콤에 의해서 세척모드, 소독모드, 동시모드를 수행하며, 건전지를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 세척/소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외관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내부구성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콘택트렌즈 세척/소독기의 작용 순서도
<도면 주요부의 설명>
케이스(11), 투명창(12a, 12b), 콘택트렌즈 용기(13a, 13b), 자외선방출기 덮개(15), 전원스위치(17), 모드선택버튼(19), 시작버튼(21), 표시등(23), 버저음이 발산되는 홀(25), 건전지 덮개(27), 콘택트렌즈(29a, 29b), 격막(31), 초음파진자(33a, 33b), 초음파진자 제어부(35), 자외선방출기(37), 자외선방출기 제어부(39), 마이콤(41), 조작부(42), 조작패널(43), 표시부(44), 전원부(45), 건전지(47)
본 고안에 따른 콘택트렌즈 세척/소독기는, 적어도 일부분에 투명창이 형성되어 있는 콘택트렌즈 용기, 용기에 담긴 콘택트렌즈에 초음파를 인가하여 콘택트렌즈를 세척하는 초음파진자, 초음파진자가 초음파를 방사토록 하는 초음파진자 제어부, 용기의 투명창을 통해 콘택트렌즈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콘택트렌즈를 소독하는 자외선방출기, 자외선방출기를 점등하는 자외선방출기 제어부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는 상기 구성 이외에, 초음파진자 제어부와 자외선방출기 제어부를 제어하되, 초음파진자에 의한 세척모드, 자외선방출기에 의한 소독모드, 양자 모두에 의한 동시모드를 제어하는 마이콤과, 마이콤을 통하여 세척모드, 소독모드, 동시모드를 선택하는 조작부와 각 모드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되는 조작패널이 추가로 포함된다.
본 고안에 따른 콘택트렌즈 세척/소독기에는 마이콤, 초음파진자 제어부, 자외선방출기 제어부에 필요한 전압을 건전지로부터 변환하는 전원부가 추가로 포함되며, 세척모드, 소독모드, 동시모드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버저가 추가로 포함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콘택트렌즈 세척/소독기의 일실시예의 외관도이다. 케이스(11)의 상부에 한 쌍의 콘택트렌즈 용기(13a, 13b)와 자외선방출기 덮개(15)가 설치되어 있다. 도1에서 보이는 자외선방출기 덮개(15) 내부에는 자외선방출기가 거꾸로 삽입되어 콘택트렌즈 용기(13a, 13b)에 담긴 콘택트렌즈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외부에서 자외선방출기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자외선방출기 덮개(15)를 열고 자외선방출기를 빼내면 된다.
케이스(11)의 상부 일부면에는 조작패널이 위치하는데, 전원스위치(17), 모드선택버튼(19), 시작버튼(21)과 동작표시등(23)이 설치된다. 케이스의 일부분에는 버저음이 발산되는 홀(25)이 형성되고, 외부에서 건전지를 교환할 때 여는 건전지 덮개(27)가 설치되어 있다.
도1과 같은 외관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예로서, 당업자가 임의로 디자인적 요소를 고려하여 변형실시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도1에 나타낸 실시예의 전체 크기는 가로×세로×높이=90×40×40으로 설계되었다.
도1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콘택트렌즈 세척/소독기의 기능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사용자는 세척 또는 소독하고자 하는 콘택트렌즈를 콘택트렌즈 용기(13a, 13b)에 세척액과 함께 담는다. 세척액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사용하면 된다. 콘택트렌즈 용기(13a, 13b)는 콘택트렌즈 휴대용기와 유사하게 뚜껑을 돌려서 여닫는 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다음에, 사용자는 전원스위치(17)를 켜고 모드선택버튼(19)을 눌러 모드를 선택한다. 모드는 세척모드, 소독모드, 동시모드가 있어서, 원하는 대로 모드선택버튼(19)을 눌러서 선택할 수 있다. 각 모드로 전환될 때마다 해당 표시등(23)에서는 불이 켜져서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모드가 무엇인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모드를 선택한 다음에는 시작버튼(21)을 눌러서 기기를 작동시킨다. 일정하게 정해진 시간이 지난 다음에는 자동으로 동작이 정지된다. 동시모드를 선택하였을 때에는 세척동작이 이루어진 다음에 자동으로 소독동작이 연속해서 진행된다.
동작이 완료될 때에는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기 위해 버저음으로 소리를 출력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세척 또는 소독 상태에 따라 다시 시작버튼(21)을 누르든지 전원을 끄고 콘택트렌즈를 꺼내서 식염수 등에 헹구어 착용할 수 있다.
도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세척/소독기의 실제 구성을 나타내는 실체배선도인데,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적어도 일부분에 투명창(12a, 12b)이 형성되어 있는 콘택트렌즈 용기(13a, 13b),
콘택트렌즈 용기(13a, 13b)에 담긴 콘택트렌즈(29a, 29b)에 초음파를 인가하여 콘택트렌즈를 세척하는 초음파진자(33a, 33b),
초음파진자(33a, 33b)가 초음파를 방사토록 하는 초음파진자 제어부(35),
콘택트렌즈 용기(13a, 13b)의 투명창(12a, 12b)을 통해 콘택트렌즈(29a, 29b)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콘택트렌즈를 소독하는 자외선방출기(37),
자외선방출기(37)를 점등하는 자외선방출기 제어부(39),
초음파진자 제어부(35)와 자외선방출기 제어부(39)를 제어하되, 초음파진자에 의한 세척모드, 자외선방출기에 의한 소독모드, 양자 모두에 의한 동시모드를 제어하는 마이콤(41),
마이콤(41)을 통하여 세척모드, 소독모드, 동시모드를 선택하는 조작부(42)와, 각 모드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44)로 구성되는 조작패널(43),
마이콤(41), 초음파진자 제어부(35), 자외선방출기 제어부(39)에 필요한 전압을 건전지(47)로부터 발생시키는 전원부(45).
콘택트렌즈 용기(13a, 13b)는 좌우 렌즈를 별도로 담을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양쪽눈의 돗수가 동일한 렌즈를 위해서는 콘택트렌즈 용기가 하나로 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콘택트렌즈 용기(13a, 13b)에 형성되어 있는 투명창(12a, 12b)의 크기는 자외선방출기(37)로부터 자외선이 콘택트렌즈(29a, 29b)에 조사될 정도면 충분하다. 도2에서는, 콘택트렌즈 용기(13a, 13b)의 하부를 모두 투명하게 하였고, 양쪽 용기(13a, 13b)를 덮는 격막(31)이 설치되도록 케이스를 사출하였다. 이는 자외선방출기(37)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콘택트렌즈(29a, 29b)에만 집중되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한 것이다.
초음파진자(33a, 33b) 또는 초음파진동자는 기성품을 사용할 수 있는데, 도2에서는 초음파진자(33a, 33b)를 양쪽 콘택트렌즈 용기(13a, 13b)의 하부에 각각 설치하였지만, 콘택트렌즈 용기(13a, 13b)의 중앙 하부에 한 개를 설치할 수도 있다. 초음파진자(33a, 33b)는 초음파진자 제어부(35)에 의해 동작한다. 초음파진자 제어부(35)는 초음파발진기로서 아래에서 설명할 마이콤(41)의 명령에 의해 정해진 시간 동안 초음파진자(33a, 33b)를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콘택트렌즈에 묻어있는 이물질은 초음파진동에 의해 떨어져서 세척된다. 이때에 세척효과를 배가하기 위해서 용기에는 세척액을 함께 넣는다. 세척액 역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콘택트렌즈 세척액과 같은 것이다.
자외선방출기(37)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은 살균기능이 있기 때문에 콘택트렌즈에서 세척되지 않은 세균을 죽인다. 자외선방출기(37)는 식기 소독이나 의료용구 소독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자외선방출기(37)는 자외선방출기 제어부(39)에 의해 점등제어된다. 초음파진자 제어부(35)와 마찬가지로 자외선방출기 제어부(39)는 마이콤에 의해 명령을 받아서 자외선방출기(37)를 온오프한다. 한편, 자외선방출기(37)는 도1 및 도2에서 보듯이 외부에서 삽입되고 덮개(15)로 보호된다. 자외선방출기(37)는 소모품이므로 램프의 수명이 다하면 덮개(15)를 열고 자외선방출기(37)를 빼낸 후 새것으로 교환할 수 있다.
마이콤(41)은 조작패널(43)의 조작부(42) 선택에 따라 초음파진자에 의한 세척모드, 자외선방출기에 의한 소독모드, 양자 모두에 의한 동시모드를 제어하고, 선택된 모드상태를 조작패널(43)의 표시부(44)에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마이콤(41)에 의한 초음파진자 제어부(35)와 자외선방출기 제어부(39)의 제어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기술이다.
조작패널(43)의 조작부(42)는 전원스위치(17)와 모드선택버튼(19)과 시작버튼(21)으로 구성된다. 전원스위치(17)로는 슬라이드스위치를 이용하였고, 모드선택버튼(19)과 시작버튼(21)은 소형 택트스위치를 사용하였다. 모드선택버튼(19) 하나를 사용하여 세 개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시작버튼(21)으로써 동작을 시키는 것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한편, 표시부(44)는 LED로써 실현될 수 있는데, 선택된 모드를 표시하는 표시등과, 전원온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등과, 현재 세척 또는 소독 동작중임을 나타내는 표시등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은 휴대용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건전지(47)에 의해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별도의 어댑터잭을 설치하여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상용 전원으로 동작할 수도 있지만, 휴대시에는 건전지(47)에 의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마이콤(41)은 최소한 1.5~12V 정도의 전원이 필요하고 초음파진자 제어부(35)나 자외선방출기 제어부(39)는 약 1.5~500V(DC 또는 AC) 정도의 전원이 필요하므로, 본 고안에서는 건전지의 전압을 승압시키는 전원부(45)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건전지 하나가 1.5V이므로 본 실시예의 크기로 보면 건전지는 2개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고, 그렇다면 3V를 500V로 승압할 필요가 있다. 건전지의 DC 전압을 높은 DC 또는 AC 전압으로 승압하는 회로는 인버터라는 이름으로 공지되어 있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콘택트렌즈 세척/소독기의 작용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전원스위치를 켜면[101] 마이콤(41)에 전원이 들어가 초기화된다[103]. 초기화는 마이콤(41)에 포함되어 있는 리셋회로에 의해 이루어진다. 다음에, 사용자가 조작패널(43)의 모드선택버튼을 눌러서 모드를 선택한다[105]. 동시모드, 세척모드, 소독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데, 키버튼 하나로써 세가지 모드를 순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동시모드를 선택한 경우라면[105a], 마이콤(41)은 초음파진자 제어부(35)로 하여금 초음파진자(33a, 33b)를 동작시킨다[107]. 미리 정해져 있는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체크하여[109] 시간이 경과하였다면 초음파진자를 오프한다[111]. 다음에 소독 단계가 뒤따른다. 즉, 초음파진자가 오프된 다음에는 자외선방출기 제어부(39)에 지시를 내려 자외선방출기(37)를 켜서 소독을 진행하고[113]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체크하여[115] 시간경과시 자외선방출기를 오프한다[117]. 이로써 동시모드가 완료되고, 마이콤(41)에서는 완료사실을 알리기 위해 버저(BZ)를 울려서 알린다[131].
사용자가 세척모드를 선택한 경우에[105b], 마이콤(41)은 초음파진자 제어부(35)로 하여금 초음파진자(33a, 33b)를 동작시킨다[119]. 미리 정해져 있는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체크하여[121] 시간이 경과하였다면 초음파진자를 오프한다[123]. 이로써, 초음파진자에 의한 세척과정이 완료되고, 마이콤(41)에서는 세척모드의 완료사실을 알리기 위해 버저(BZ)를 울려서[131] 알린다.
사용자가 소독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도[105c] 유사하다. 마이콤(41)은 자외선방출기 제어부(39)로 하여금 자외선방출기(37)를 켠다[119]. 자외선방출기에 의한 소독을 진행하다가 미리 정해져 있는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체크하여[127] 시간이 경과하였다면 자외선방출기를 오프한다[129]. 이로써, 자외선방출기에 의한 소독과정이 완료되고, 마이콤(41)에서는 소독모드의 완료사실을 알리기 위해 버저(BZ)를 울려서[131] 알린다.
지금까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콘택트렌즈 세척/소독기의 구체적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휴대하면서 편리하게 콘택트렌즈의 세척은 물론, 소독까지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세척/소독기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건전지를 이용하여 휴대할 수 있고, 조작이 간편하다. 또한, 손으로 렌즈를 세척할 때보다 세척액을 덜 소비하기 때문에 세척액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적어도 일부분에 투명창이 형성되어 있는 콘택트렌즈 용기,
    용기에 담긴 콘택트렌즈에 초음파를 인가하여 콘택트렌즈를 세척하는 초음파진자,
    초음파진자가 초음파를 방사토록 하는 초음파진자 제어부,
    용기의 투명창을 통해 콘택트렌즈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콘택트렌즈를 소독하는 자외선방출기,
    자외선방출기를 점등하는 자외선방출기 제어부로 구성되는 콘택트렌즈 세척/소독기.
  2. 청구항 1에서,
    초음파진자 제어부와 자외선방출기 제어부를 제어하되, 초음파진자에 의한 세척모드, 자외선방출기에 의한 소독모드, 양자 모두에 의한 동시모드를 제어하는 마이콤,
    마이콤을 통하여 세척모드, 소독모드, 동시모드를 선택하는 조작부와, 각 모드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되는 조작패널이 추가로 포함되는 콘택트렌즈 세척/소독기.
  3. 청구항 2에서, 마이콤, 초음파진자 제어부, 자외선방출기 제어부에 필요한 전압을 건전지로부터 변환하는 전원부가 추가로 포함되는 콘택트렌즈 세척/소독기.
  4. 청구항 1~3중 어느 한 항에서, 세척모드, 소독모드, 동시모드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버저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세척/소독기.
KR2020000015693U 2000-06-02 2000-06-02 콘택트렌즈 세척/소독기 KR2002085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693U KR200208586Y1 (ko) 2000-06-02 2000-06-02 콘택트렌즈 세척/소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693U KR200208586Y1 (ko) 2000-06-02 2000-06-02 콘택트렌즈 세척/소독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8839A Division KR20010107370A (ko) 2000-05-27 2000-05-27 콘택트렌즈 세척/소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8586Y1 true KR200208586Y1 (ko) 2001-01-15

Family

ID=73079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5693U KR200208586Y1 (ko) 2000-06-02 2000-06-02 콘택트렌즈 세척/소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58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965A (ko) * 2001-03-17 2002-09-28 조한주 원심력을 이용한 휴대용 소프트 렌즈 세척기
KR20040009886A (ko) * 2002-07-26 2004-01-31 임성묵 콘택트렌즈 세척장치
KR102497629B1 (ko) * 2022-01-28 2023-02-17 이샘 오염 방지와 uv 살균이 가능한 드림렌즈 세척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965A (ko) * 2001-03-17 2002-09-28 조한주 원심력을 이용한 휴대용 소프트 렌즈 세척기
KR20040009886A (ko) * 2002-07-26 2004-01-31 임성묵 콘택트렌즈 세척장치
KR102497629B1 (ko) * 2022-01-28 2023-02-17 이샘 오염 방지와 uv 살균이 가능한 드림렌즈 세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7564B1 (ko) 스마트 틀니 세척기능 및 약물관리기능을 내장한 다기능 자율주행 세척 로봇 및 어플리케이션 연동 관리시스템
KR101862515B1 (ko) 살균기능이 구비된 세탁볼
KR101747408B1 (ko) 휴대용 자외선 살균 uv볼 및 이를 이용한 자외선 살균 방법
KR200208586Y1 (ko) 콘택트렌즈 세척/소독기
KR20010107370A (ko) 콘택트렌즈 세척/소독기
CN211748567U (zh) 杀菌杯盖及杀菌水杯
ES2753233A1 (es) Lavazapatillas
JP3100828U (ja) コンタクトレンズのメインテナンス装置
KR200265198Y1 (ko) 틀니 등의 자동 초음파 세척 및 자외선 소독 보관장치
KR200383346Y1 (ko) 발광다이오드형 자외선 및 오존 램프를 이용한 살균수저통
KR200389168Y1 (ko) 수저통의 오존 살균 장치
KR200348537Y1 (ko) 콘택트 렌즈 세척 및 살균기
KR20220118784A (ko) 틀니 착용자의 구강관리를 위한 스마트 틀니 세척장치
KR200366178Y1 (ko) 자외선 살균등이 부설된 수저통
KR200419542Y1 (ko) 구강 세정용 가글액 제조장치
JP2005007102A (ja) 小型電解水手洗装置
KR102570404B1 (ko) 틀니 착용자의 구강관리를 위한 스마트 틀니 및 칫솔 살균세척장치
KR200296627Y1 (ko) 전동칫솔 및 전동칫솔 살균기
CN113843214B (zh) 一种超声波清洗机
JPH1048579A (ja) コンタクトレンズメインテナンス方法及び装置
KR200383345Y1 (ko) 오존 램프를 이용한 살균 수저통
KR20050113102A (ko) 전선을 제거한 칫솔살균기
CN215785334U (zh) 一种新型超声波清洗机
TWM566210U (zh)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water generating device
KR20100010679U (ko) 컴퓨터 유에스비 전원을 이용한 냉음극관 램프방식의 휴대용 자외선 살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