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168Y1 - 수저통의 오존 살균 장치 - Google Patents

수저통의 오존 살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168Y1
KR200389168Y1 KR20-2005-0011945U KR20050011945U KR200389168Y1 KR 200389168 Y1 KR200389168 Y1 KR 200389168Y1 KR 20050011945 U KR20050011945 U KR 20050011945U KR 200389168 Y1 KR200389168 Y1 KR 2003891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lamp
control unit
battery
cutl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9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택
Original Assignee
(주)대신전기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신전기산업 filed Critical (주)대신전기산업
Priority to KR20-2005-00119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1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1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1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2Ozo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저통의 오존 살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저통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제어부 수납실의 외벽 상방부에 설치되어 오존과 자외선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오존 램프와; 상기 제어부 수납실의 외벽에 고정 설치되어 오존 램프에서 발생 및 조사되는 오존과 자외선을 본체의 수납 공간부로 반사시켜 주는 반사판과; 상기 제어부 수납실내에 설치되어 전원 스위치의 "온"시 정해진 시간동안 오존 발생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뚜껑체의 개폐에 부응하여 축전지의 전압을 제어부에 인가시켜 줄 것인지를 결정하는 전원 스위치;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수저를 포함하여 본체의 바닥면에 고이는 물기 등에 기생할 수 있는 각종 세균을 살균시킬 수 있음은 물론 냄새를 탈취 처리할 수 있고, 반사판 및 오존 램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전력 소모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자외선이 외부로 방출되므로 인한 인체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과다한 오존 발생으로 인해 수저에서 오존 특유의 비릿한 냄새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수저통의 오존 살균 장치 {Ozone disinfection device of the spoon and chopsticks case}
본 고안은 수저통의 오존 살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저통의 일측부에 오존과 자외선이 동시에 발생 및 방출되는 오존 램프를 설치하여 수저통내에 보관되는 숟가락 및 젓가락(이하 "수저"라 약칭함)을 2중으로 살균, 소독시켜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오존 램프는 뚜껑체가 닫혀지는 순간부터 정해진 시간동안만 작동되도록 하여 축전지의 전력이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많은 오존의 발생으로 인해 오존 특유의 비릿한 냄새가 수저에서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중 음식점 등의 접객업소와 가정 등에서 사용되는 수저통은 다수개의 수저를 수납하여 불특정 다수인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박테리아 및 곰팡이 등과 같은 세균으로부터 감염될 불안요소가 있어 수저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대부분의 대중 음식점 등에서는 수저를 사용한 후 세척 및 살균, 소독하여 이용토록 하고 있으나, 이는 세척하고 살균, 소독한 다음 수저통에 다시 보관하여 여러 사람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어 보관 도중에 오염되는 경우가 많다.
즉, 수저통으로부터 수저를 인출하여 사용하는 도중에 세균 등이 침입하게 되는 경우 또는 수저에 묻어있던 세제가 충분히 세척되지 않아 비위생적인 폐단이 있고, 수저통을 자주 세척하지 않으면 수저통이 오염되어 그 내부에 보관되는 수저에 세균이 침투할 우려가 높은 단점이 있어 이와 같은 보관 중의 수저를 위생적으로 살균, 소독하여 관리할 수 있는 수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음식점에서는 사용한 후의 수저를 수거하여 세제로 세척한 다음 수분을 제거시키고 종이 포장지를 씌워 보관하다가 필요시 사용하도록 하고 있는데, 수저에 묻어 있던 세제가 충분히 세척되지 않아 비위생적인 폐단은 여전하고, 또한 수저에 포장지를 씌워야 하므로 인건비가 지출됨은 물론 수저 포장지를 따로 구입하여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이 있고, 또한 이로 인해 불필요하게 쓰레기가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수저 포장지는 살균처리가 된 것이 아니어서 비위생적인 문제를 해결치 못하여 수저를 포장할 때 포장지속에 입김을 불어넣어 틈새가 생기게 한 후 수저를 삽입시키기 때문에 포장작업 또한 불결하고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한편, 일부 수저통에는 자외선 램프를 설치하여 수저로의 자외선 조사를 통해 각종 세균을 살균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자외선은 각종 세균까지도 살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자외선이 외부로 노출되어 인체에 조사될 경우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주게 되므로 직접 육안으로 보거나 피부에 닿지 않아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 수저통에 설치된 자외선 램프는 수저통의 뚜껑체가 열리는 것에 무관하게 전원 스위치가 "온"되어 있는 동안에는 항상 점등상태를 유지하여 불필요한 자외선 방출에 의해 인체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자외선 램프는 정해진 파장의 자외선만 발생되므로 살균효과는 있으나 냄새제거 및 탈취효과는 전혀 없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저통의 일측부에 오존과 자외선을 동시에 발생 및 방출하는 오존 램프를 설치하여 수저통내에 수납되는 수저를 2중으로 살균 및 탈취 처리하여 살균 및 탈취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고, 또 오존 램프의 전방부에는 망체를 설치하여 수저 등으로 인해 반사판 및 오존 램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오존 램프는 뚜껑체가 정상적으로 닫혀질 때 1회에 한하여 정해진 시간동안 점등되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자외선 및 오존이 과다하게 방출되므로 인한 인체의 피해 및 오존 특유의 비릿한 냄새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수저통의 오존 살균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태양은, 수저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부에 배수겸 받침체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본체의 상면 개구부에 뚜껑체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여서 된 수저통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제어부 수납실의 외벽 상방부에 설치되어 오존과 자외선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오존 램프와; 상기 제어부 수납실의 외벽에 고정 설치되어 오존 램프에서 발생 및 조사되는 오존과 자외선을 본체의 수납 공간부로 반사시켜 주는 반사판과; 상기 제어부 수납실내에 설치되어 전원 스위치의 "온"시 오존 발생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뚜껑체의 개폐에 부응하여 축전지의 전압을 제어부에 인가시켜 줄 것인지를 결정하는 전원 스위치;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외부에서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정류기의 출력전압으로 축전지를 충전시켜 주는 축전지 충전회로부와; 사용자가 오존 램프의 1회 구동시간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램프 구동시간 설정부와;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온"되면 램프 구동시간 설정부에 설정된 시간동안 축전지의 전압을 램프구동부로 인가시켜 주는 마이컴과; 상기 축전지에서 출력되는 낮은 전압을 고전압으로 승압시켜 오존 램프를 정해진 시간동안 점등시키는 램프구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전회로부에는 축전지의 충전 정도를 검출하는 충전전압 검출부와; 상기 충전전압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부응하여 충전상태 표시램프의 불빛 색상을 제어하는 표시램프 구동부와; 상기 제어부 수납실 상면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표시램프 구동부의 제어를 받아 2색 불빛 색상으로 충전중인 상태와 만충전 상태를 표시해 주는 충전상태 표시램프를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전원 스위치는 뚜껑체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영구자석과 제어부 수납실내의 상방부에 설치되어 영구자석에 의해 온/오프되는 근접스위치로 형성하거나, 뚜껑체의 일측부 저면에 돌출 설치되는 작동돌기와 상기 제어부 수납실내의 상방부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돌기에 의해 온/오프되는 마이크로 스위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제어부 수납실 외측에서 수직방향으로는 한쌍의 가이드 레일을 형성하고, 이에 이물질 유입 방지용 망체를 분해 조립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수저통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 수저통의 일부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 수저통 중 제어부의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의 (a)(b)는 본 고안 중 전원 스위치를 영구자석과 근접스위치 또는 작동돌기와 마이크로 스위치로 형성시킨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수저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부에 배수겸 받침체(3)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본체(1)의 상면 개구부에 뚜껑체(2)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여서 된 수저통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일측에 형성된 제어부 수납실(11)의 외벽 상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오존과 자외선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오존 램프(4)와;
상기 제어부 수납실(11)의 외벽에 고정 설치되어 오존 램프(4)에서 발생 및 조사되는 오존과 자외선을 본체(1)의 수납 공간부측으로 반사시켜 주는 반사판(5)과;
상기 제어부 수납실(11)내에 설치되어 전원 스위치(7)의 "온"시 오존 램프(4)를 점등시켜 오존 발생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6)와;
상기 뚜껑체(2)의 개폐에 부응하여 축전지(8)의 전압을 제어부(6)에 인가시켜 줄 것인지를 결정하는 전원 스위치(7);로 구성한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어부(6)는 외부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정류기의 출력전압으로 축전지(8)를 충전시켜 주는 축전지 충전회로부(61)와;
사용자가 오존 램프(4)의 1회 구동시간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램프 구동시간 설정부(62)와;
상기 전원 스위치(7)가 "온"되면 램프 구동시간 설정부(62)에 의해 설정된 시간동안 축전지(8)의 전압을 램프구동부(64)로 인가시켜 주는 마이컴(63)과;
상기 축전지(8)에서 출력되는 낮은 전압을 고전압으로 승압시켜 오존 램프(4)를 정해진 시간동안 점등시키는 램프구동부(64);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축전지 충전회로부(61)에는 축전지(8)의 충전 정도를 검출하는 충전전압 검출부(65)와;
상기 충전전압 검출부(65)에서 검출되는 충전전압의 결과에 부응하여 충전상태 표시램프(67)의 불빛 색상을 제어하는 표시램프 구동부(66)와;
상기 제어부 수납실(11)의 상면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표시램프 구동부(66)의 제어를 받아 2색의 불빛 색상으로 충전중인 상태(예를 들어 빨간색)와 만충전 상태(예를 들어 청색 또는 녹색)를 표시해 주는 충전상태 표시램프(67)를 더 구비시킨 것을 부가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전원 스위치(7)는 도 4의 (a)와 같이 상기 뚜껑체(2)의 일측부에는 영구자석(71)을 설치하고, 상기 영구자석(71)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어부 수납실(11)내의 상방부에는 상기 영구자석(71)에 의해 온/오프되는 근접스위치(72)를 설치하거나, 도 4의 (b)와 같이 상기 뚜껑체(2)의 일측부는 작동돌기(73)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작동돌기(73)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부 수납실(11)내의 상방부에는 상기 작동돌기(73)에 의해 온/오프되는 마이크로 스위치(74)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램프 구동시간 설정부(62)에 설정되는 오존 램프(4)의 1회 작동시간은 2-3분이내로 제한하여 오존의 과다 발생으로 인해 수저에서 비릿한 냄새가 배어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1)의 제어부 수납실(11) 외측에서 수직방향으로는 한쌍의 가이드 레일(12)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12)에는 이물질 유입 방지용 망체(9)를 분해 조립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3은 도시 생략된 정류기의 출력단자가 결합되는 충전전압 공급용 잭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수저통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방부가 트여지는 직사각형 형태의 본체(1)를 사출 성형할 때 그 일측부에는 제어부 수납실(11)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물질 유입 방지용 망체(9)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한쌍의 가이드 레일(12)을 상기 제어부 수납실(11)의 내측 양측벽에 수직방향으로 형성시켜 준다.
또한, 상기 제어부 수납실(11)의 외벽에는 반사판(5)을 고정 설치함과 동시에 그 상방부 양측에는 소켓을 설치하여 오존 램프(4)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오존 램프(4)에서 발생 및 조사되는 오존과 자외선을 수저들이 보관되는 본체(1)의 수납 공간부측으로 반사시켜 줄 수 있다.
이 때, 상기 본체(1)의 바닥면에는 배수겸 받침체(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수저를 분리하여 가지런히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수저에 묻은 물기를 배수겸 받침체(3)를 통해 본체(1)의 바닥측으로 원할히 배수할 수 있다.
또, 상기 반사판(5)과 오존 램프(4)의 전방부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2)에는 망체(9)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반사판(5)과 오존 램프(4)측으로 수저를 포함한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반사판(5)과 오존 램프(4)가 손상 및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 수납실(11)내에는 축전지 충전회로부(61)와 램프 구동시간 설정부(62), 마이컴(63) 및 램프구동부(64)로 구성되는 제어부(6)가 설치됨과 동시에 축전지(8)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 수납실(11)의 상면부와 뚜껑체(2)의 일측 저면부 사이에는 상기 축전지(8)와 제어부(6)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뚜껑체(2)의 개폐에 부응하여 온/오프 작동되는 전원 스위치(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전원 스위치(7)는 도 4의 (a)와 같이 상기 뚜껑체(2)의 일측부에는 영구자석(71)이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 수납실(11)내의 상방부에서 영구자석(71)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근접스위치(72)가 설치된 구성을 갖거나, 도 4의 (b)와 같이 상기 뚜껑체(2)의 일측부는 작동돌기(7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 수납실(11)내의 상방부에서 작동돌기(73)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마이크로 스위치(74)가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본체(1)내의 배수겸 받침체(3)의 상면부에 수개의 수저들을 재치시키고 본체(1)의 뚜껑체(2)를 닫게 되면 전원 스위치(7)로써 상기 뚜껑체(2)의 일측에 설치되거나 돌출 형성된 영구자석(71) 또는 작동돌기(73)가 근접스위치(72) 또는 마이크로 스위치(74)를 작동시켜 "온"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전원 스위치(7)가 "온"되면 상기 제어부(6)에서는 램프 구동시간 설정부(62)를 통해 사용자가 기 설정해 놓은 시간동안 축전지(8)의 전압을 램프구동부(64)로 인가시켜 주게 되므로 상기 램프구동부(64)에서는 축전지(8)에서 출력되는 낮은 전압을 고전압으로 승압시켜 오존 램프(4)를 정해진 시간동안 점등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수저통의 본체(1)측으로 오존 램프(4)에서 발생되는 오존과 약 100-280nm의 자외선이 동시에 조사되므로 본체(1)내에 수납된 수저들이 오존과 자외선을 통해 2중으로 살균됨과 동시에 각종 냄새들이 탈취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램프 구동시간 설정부(62)를 통해 설정되는 시간은 해당 수저통의 크기나 면적, 그 내부로 수납되는 수저의 갯수 및 오존 램프(4)에서 발생되는 조도 등을 감안하여 결정하여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데, 시험에 따르면 약 2-3분 정도 조사하였을 경우 본체(1)내에 서식하는 세균을 최적의 상태로 살균 및 소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상기 오존 램프(4)가 램프 구동시간 설정부(62))에 의해 설정된 시간동안인 2-3분만 점등되었다가 자동 소등되므로 수저통 내부의 살균 및 탈취가 충분히 이루어졌는데도 불구하고 오존 램프(4)가 점등됨으로 인한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오존의 특유의 비릿한 냄새가 수저에 흡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존 램프(4)에서 발생 및 조사되는 오존과 자외선은 제어부 수납실(11)의 외측벽에 설치되어 있는 반사판(5)을 통해 반사되어 수저통 본체(1)의 공간부로 모두 조사되므로 수저의 표면은 물론 수저통 본체(1) 바닥의 물기 있는 곳에 서식하는 각종 세균(진드기, 박테리아, 곰팡이 균 등)의 살균효과와 냄새를 탈취하는데 있어서 더욱 탁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6)에는 외부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정류기의 출력전압으로 축전지(8)를 충전시켜 주는 축전지 충전회로부(61)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건전지를 교환하여 사용할 필요 없이 통상시 축전지(8)의 전압을 충전시켜 사용하면 된다.
물론, 때에 따라서는 교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없거나 정류기가 구비되지 않은 장소에서 사용할 경우는 일반 건전지를 이용하여 본 고안 장치를 작동시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부호 기입은 생략하였으나 축전지(8)의 출입을 위한 건전지 수납실에 개폐가능한 뚜껑체가 설치되어 있어 축전지(8)의 성능 저하 또는 일반 건전지의 사용중 다 소모된 경우 이 뚜껑체를 열고 교환하면 된다.
또한, 상기 축전지 충전회로부(61)에는 필요에 따라 축전지(8)의 충전 정도를 검출하는 충전전압 검출부(65)와, 상기 충전전압 검출부(65)에서 검출되는 충전전압의 결과에 부응하여 2색의 충전상태 표시램프(67)의 불빛 색상을 제어하는 표시램프 구동부(66)를 더 구비시킴과 동시에 상기 충전상태 표시램프(67)는 제어부 수납실(11)의 상면부로 노출되게 설치하여 줌으로써 축전지(8)의 충전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충전회로부(61)내의 충전전압 검출부(65)에서는 정류기를 이용한 축전지(8)의 충전시 축전지(8)의 전압을 검출하여 표시램프 구동부(66)에 전달하게 되므로 상기 표시램프 구동부(66)에서 충전전압 검출부(65)를 통해 검출되는 축전지(8)의 현재 충전전압에 부응하여 2색의 충전상태 표시램프(67)를 2색의 불빛으로 구분하여 점등시켜 줌으로써 사용자가 이 충전상태 표시램프(67)의 점등 불빛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직 충전중인 경우에는 빨간 불빛이 발생되도록 충전상태 표시램프(67)를 구동시키고, 축전지(8)가 만충전 상태인 경우에는 청색 또는 녹색 불빛으로 충전상태 표시램프(67)를 점등시켜 줌으로써 사용자가 이 불빛을 통해 축전지(8)의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비 충전 상태에서는 상기 충전상태 표시램프(67)는 소등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사용된 상기 전원 스위치(7)는 뚜껑체 열림 감지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오존 램프(4)를 통해 수저통 내부를 살균 및 탈취하던 중 사용자가 수저 등을 꺼내기 위해 뚜껑체(2)를 열게되면 영구자석(71)과 근접스위치(72) 또는 작동돌기(73)와 마이크로 스위치(74)로 구성된 상기 전원 스위치(7)가 자동으로 "오프"되어 오존 램프(4)로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차단하게 되므로 오존 램프(4)가 자동적으로 소등되어 인체측으로 자외선이 방출됨으로 인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원 스위치(7)가 영구자석(71)과 근접스위치(72)로 구성된 경우 뚜껑체(2)가 닫혀진 통상시에는 뚜껑체(2)에 설치되어 있는 영구자석(71)의 자력이 제어부 수납실(11)내에 설치되어 있는 근접스위치(72)에 전달되어 "온"상태를 유지시키다가 뚜껑체(2)가 열리게 되어 영구자석(71)이 근접스위치(72)로부터 이격되면 영구자석(71)의 자력이 근접스위치(72)의 작동레버에 미치지 못하여 자동으로 "오프"된다.
또한, 상기 전원 스위치(7)가 작동돌기(73)와 마이크로 스위치(74)로 구성된 경우 뚜껑체(2)가 닫혀진 통상시에는 뚜껑체(2)의 일측 저부에 돌출 형성된 작동돌기(73)가 제어부 수납실(11)내에 설치되어 있는 마이크로 스위치(74)의 작동레버를 눌러 "온"상태를 유지시키다가 뚜껑체(2)가 열리게 되어 작동돌기(73)가 작동레버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74)의 작동레버가 자체내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 복귀되어 그의 내부 접점이 자동적으로 "오프"된다.
따라서, 오존 램프(4)로 공급되는 전원전압이 뚜껑체(2)가 열리는 순간 "오프"되는 전원 스위치(7)에 의해 자동적으로 차단되므로 오존 램프(4)가 자동 소등되어 인체측으로 자외선이 방출되므로 인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수저통의 일측부에 오존과 자외선을 동시에 발생 및 방출하는 오존 램프를 설치하여 줌으로써 수저 자체는 물론 본체의 바닥면에 고이는 물기 등에 기생할 수 있는 진드기, 박테리아 및 곰팡이 등과 같은 각종 세균을 살균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냄새를 탈취 처리할 수 있어 살균 및 탈취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고, 또 오존 램프의 전방부에는 망체를 설치하여 줌으로써 수저 등으로 인해 반사판 및 오존 램프가 손상 및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오존 램프 자체는 뚜껑체가 정상적으로 닫혀질 때 초기 1회에 한하여 정해진 시간동안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자외선 및 오존이 과다하게 방출되므로 인한 인체의 피해 및 수저에서 오존 특유의 냄새가 발생되는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수저통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수저통의 일부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수저통 중 제어부의 블럭 구성도.
도 4의 (a)(b)는 본 고안 중 전원 스위치를 영구자석과 근접스위치 또는 작동돌기와 마이크로 스위치로 형성시킨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2 : 뚜껑체
3 : 배수겸 받침체 4 : 오존 램프
5 : 반사판 6 : 제어부
7 : 전원 스위치 8 : 축전지
9 : 이물질 유입 방지용 망체 11 : 제어부 수납실
12 : 가이드 레일 13 : 충전전압 공급용 잭
61 : 축전지 충전회로부 62 : 램프 구동시간 설정부
63 : 마이컴 64 : 램프구동부
65 : 충전전압 검출부 66 : 표시램프 구동부
67 : 충전상태 표시램프 71 : 영구자석
72 : 근접스위치 73 : 작동돌기
74 : 마이크로 스위치

Claims (7)

  1. 수저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부에 배수겸 받침체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본체의 상면에 뚜껑체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수저통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제어부 수납실의 외벽 상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오존과 자외선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오존 램프와;
    상기 제어부 수납실의 외벽에 고정 설치되어 오존 램프에서 발생 및 조사되는 오존과 자외선을 본체의 수납 공간부측으로 반사시켜 주는 반사판과;
    상기 제어부 수납실내에 설치되어 전원 스위치의 "온"시 오존 램프를 정해진 시간동안 점등시켜 주는 제어부와;
    상기 뚜껑체의 개폐에 부응하여 축전지의 전압을 제어부에 인가시켜 주는 전원 스위치;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통의 오존 살균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정류기의 출력전압으로 축전지를 충전시켜 주는 축전지 충전회로부와;
    사용자가 오존 램프의 1회 구동시간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램프 구동시간 설정부와;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온"되면 램프 구동시간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시간동안 축전지의 전압을 램프구동부로 인가시켜 주는 마이컴과;
    상기 축전지에서 출력되는 낮은 전압을 고전압으로 승압시켜 오존 램프를 정해진 시간동안 점등시키는 램프구동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통의 오존 살균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충전회로부에는 축전지의 충전 정도를 검출하는 충전전압 검출부와;
    상기 충전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충전전압의 결과에 부응하여 충전상태 표시램프의 불빛 색상을 제어하는 표시램프 구동부와;
    상기 제어부 수납실의 상면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표시램프 구동부의 제어를 받아 2색의 불빛 색상으로 충전중과 만충전 상태를 표시해 주는 충전상태 표시램프를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통의 오존 살균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 스위치는 뚜껑체의 일측부에 영구자석을 설치하고, 상기 영구자석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어부 수납실내 상방부에는 상기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는 근접스위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통의 오존 살균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 스위치는 뚜껑체의 일측부는 작동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작동돌기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부 수납실내의 상방부에는 상기 작동돌기에 의해 온/오프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통의 오존 살균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램프 구동시간 설정부에 설정되는 오존 램프의 1회 작동시간은 2-3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통의 오존 살균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제어부 수납실 외측에서 수직방향으로는 한쌍의 가이드 레일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이물질 유입 방지용 망체를 분해 조립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통의 오존 살균 장치.
KR20-2005-0011945U 2005-04-28 2005-04-28 수저통의 오존 살균 장치 KR2003891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945U KR200389168Y1 (ko) 2005-04-28 2005-04-28 수저통의 오존 살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945U KR200389168Y1 (ko) 2005-04-28 2005-04-28 수저통의 오존 살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168Y1 true KR200389168Y1 (ko) 2005-07-07

Family

ID=43690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945U KR200389168Y1 (ko) 2005-04-28 2005-04-28 수저통의 오존 살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16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010B1 (ko) * 2008-02-11 2009-07-29 박재삼 자외선 살균 수저통
CN102028377A (zh) * 2010-10-26 2011-04-27 安吉安宁生物科技有限公司 杀菌消毒筷子盒
KR20230045767A (ko) * 2021-09-29 2023-04-05 강신영 수저통 살균기 및 이를 장착한 살균 테이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010B1 (ko) * 2008-02-11 2009-07-29 박재삼 자외선 살균 수저통
CN102028377A (zh) * 2010-10-26 2011-04-27 安吉安宁生物科技有限公司 杀菌消毒筷子盒
KR20230045767A (ko) * 2021-09-29 2023-04-05 강신영 수저통 살균기 및 이를 장착한 살균 테이블
KR102636729B1 (ko) * 2021-09-29 2024-02-13 강신영 수저통 살균기 및 이를 장착한 살균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6617A (ko) 휴대형 탈취,건조,살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67206A (ko) 좌변기의 자외선 살균 장치
KR200389168Y1 (ko) 수저통의 오존 살균 장치
KR100857288B1 (ko) 위생 수저통 및 이를 이용한 테이블
KR200383346Y1 (ko) 발광다이오드형 자외선 및 오존 램프를 이용한 살균수저통
KR101890917B1 (ko) 욕실용 수납함의 살균장치
KR20080098105A (ko) 살균장치를 가진 좌변기
KR20160002642U (ko) 살균기 수저통
KR101981235B1 (ko) 생리컵 살균기
CN110898249A (zh) 一种消毒除味包及其控制方法
KR100822082B1 (ko) 유도기전력 전원 공급 방식의 살균탈취기가 부착된 변기커버
KR200382161Y1 (ko) 발광다이오드형 자외선 및 오존 램프를 이용한 살균 진공청소기
KR200383345Y1 (ko) 오존 램프를 이용한 살균 수저통
KR200265198Y1 (ko) 틀니 등의 자동 초음파 세척 및 자외선 소독 보관장치
KR20020036811A (ko) 쓰레기통
KR200432652Y1 (ko) 살균 장치를 구비한 수저통
KR200329200Y1 (ko) 위생 신발장
JP2001248202A (ja) トイレ部品殺菌・脱臭装置
KR200296627Y1 (ko) 전동칫솔 및 전동칫솔 살균기
KR200382160Y1 (ko) 오존 램프를 이용한 살균 진공 청소기
KR100919032B1 (ko) 휴대용 칫솔 살균기
KR200328935Y1 (ko) 자외선살균틀니보관함
KR200324160Y1 (ko) 자외선 살균등이 부설된 수저통
KR20040017068A (ko) 전동칫솔장치
KR200421881Y1 (ko) 도어에 리드 스위치가 있는 자외선 칫솔 살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