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0010B1 - 자외선 살균 수저통 - Google Patents

자외선 살균 수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0010B1
KR100910010B1 KR1020080012099A KR20080012099A KR100910010B1 KR 100910010 B1 KR100910010 B1 KR 100910010B1 KR 1020080012099 A KR1020080012099 A KR 1020080012099A KR 20080012099 A KR20080012099 A KR 20080012099A KR 100910010 B1 KR100910010 B1 KR 100910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ed
lamp
ultraviolet
main body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2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삼
강병학
Original Assignee
박재삼
강병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삼, 강병학 filed Critical 박재삼
Priority to KR1020080012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00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1/00Polishing of table-ware, e.g. knives, forks, spoons
    • A47L21/02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0Magnetism
    • A47G2200/106Perman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8Time
    • A47G2200/186Time meter; tim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10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외선 살균 수저통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충전이 필요없는 건전지가 사용되는 램프 장치가 수저통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됨으로써 소비전력이 감소되고, 제품의 사용 수명이 연장되도록 하는 자외선 살균 수저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살균 수저통에는, 수저가 보관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적어도 일측면에 자석 부재가 제공되는 덮개부; 및 상기 본체부에 안착되며, 상기 자석 부재의 자력에 의하여 온 되는 스위치가 제공되는 램프 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램프 장치에는, 상기 스위치가 온 되는 상태에서 점등되는 자외선 램프와, 상기 자외선 램프의 점등되는 시간이 제어되도록 하는 타이밍 제어부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살균 수저통에 의하면, 충전이 가능하지 않은 배터리가 사용되더라도, 살균 수저통이 장기간 동안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저통의 덮개부가 닫히면, 자외선 램프가 켜졌다가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꺼지게 되어 제품의 소비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수저통, 본체부, 덮개부, 램프 장치

Description

자외선 살균 수저통 {Spoon and chopsticks case with ultraviolet steriliz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외선 살균 수저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외선 살균 수저통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충전이 필요없는 건전지가 사용되는 램프 장치가 수저통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됨으로써 소비전력이 감소되고, 제품의 사용 수명이 연장되도록 하는 자외선 살균 수저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저통에는 세척된 숟가락 및 젓가락이 보관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수저를 깨끗하게 세척하여 보관한다 하더라도 수저통 내에는 많은 세균이 존재하게 된다. 특히 수저통 덮개에 의하여 수저통의 내부가 밀폐되는 경우에는, 수저통 내부에는 습한 환경이 조성되어 세균이 번식하게 되는 가능성이 많아진다.
따라서,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에서는, 수저 사용자의 위생을 고려하여 수저통에 보관되는 수저의 살균 및 소독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으며, 이에 대하여 살균 및 소독에 대한 효과가 입증된 자외선을 이용하여 수저통이 살균되도록 하는 기술이 소개되어져 왔다.
그러나, 종래의 수저통에 의하면, 수저통에 수저가 보관되는 동안에 자외선이 지속적으로 제공되도록 하기 위하여, 수저통에 외부 전원이 입력되도록 하거나, 충전 가능한 충전지를 사용하여만 했다. 이 경우, 요구되는 수저의 살균 효과 이상으로 불필요하게 자외선이 제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외선이 과도하게 제공됨으로써 제품의 소비전력이 증대되어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충전이 필요없는 건전지가 사용되는 램프 장치가 수저통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됨으로써 소비전력이 감소되고, 제품의 사용 수명이 연장되도록 하는 자외선 살균 수저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수저통 덮개부가 닫힌 이후로, 소정시간 동안만 자외선 램프가 켜지도록 하여 요구되는 살균 효과를 얻는 동시에, 제품의 소비전력이 감소되도록 하는 자외선 살균 수저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살균 수저통에는, 수저가 보관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적어도 일측면에 자석 부재가 제공되는 덮개부; 및 상기 본체부에 안착되며, 상기 자석 부재의 자력에 의하여 온 되는 스위치가 제공되는 램프 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램프 장치에는, 상기 스위치가 온 되는 상태에서 점등되는 자외선 램프와, 상기 자외선 램프의 점등되는 시간이 제어되도록 하는 타이밍 제어부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충전이 가능하지 않은 배터리가 사용되더라도, 살균 수저통이 장기간 동안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저통의 덮개부가 열리면, 자동으로 자외선 램프가 꺼지므로 자외선이 인체에 노출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수저통의 덮개부가 닫히면 자외선 램프가 켜졌다가 일정시간이 지나면 램프가 꺼지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소비전력이 감소되고 그에 따라 일반 건전지를 적용되더라도 수저통이 장기간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살균 수저통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살균 수저통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저통(10)에는, 수저가 보관되는 저장 공간(110)이 형성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상측에 제공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가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덮개부(150)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제공되며, 상기 저장 공간(100)에 보관되는 수저가 살균 및 소독되도록 하기 위하여 자외선이 방출되도록 하는 램프 장치(20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하면에는, 숟가락과 젓가락의 저장 공간이 구획되도록 하는 구획부(101)와, 보관되는 수저의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하는 다수의 돌출부(102)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저는 상기 구획부(101) 및 돌출부(102)에 의하여 서로 섞이지 않으면서 대략 고정된 위치에서 보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하면에는, 상기 램프 장치(200)가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는 걸림턱(122)이 상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122)과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면 사이에는, 상기 램프 장치(200)가 안착되는 안착부(120)가 형성된다. 즉, 상기 램프 장치(200)는 상기 걸림턱(122)에 의하여 안착된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램프 장치(200)는 상기 안착부(120)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안착부(120)의 일측에는, 상기 램프 장치(200)가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돌기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120)의 크기는 상기 램프 장치(200)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램프 장치(200)는 상기 안착부(120)에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150)에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하는 투명창(151)과, 상기 덮개부(150)의 내측에 제공되며 상기 램프 장치(200)의 스위치(후술함)와 상호 작용되는 자석 부재(152)가 포함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장치(200)에는, 상기 램프 장치(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1 케이스(210) 및 제 2 케이스(220)와, 상기 제 1 케이스(210) 및 제 2 케이스(220)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램프 장치(200)의 작동이 제어되도록 하는 PCB 기판(231)과, 상기 PCB 기판(231)의 일측에 제공되며 자외선이 방출되도록 하는 자외선 램프(232)와, 상기 자외선 램프(232)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배터리(240)와, 상기 PCB 기판(231)과 상기 배터리(240)가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선(250)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케이스(210)에는, 상기 자외선 램프(232)가 상기 제 1 케이스(210) 및 제 2 케이스(2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케이스(210)의 전면에 드러나도록 삽입되는 램프 삽입부(2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210)에는, 상기 자외선 램프(232)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자외선 램프(232)의 하부에 형성되는 램프 하면부(213)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램프 하면부(213)는 후방을 향하여 함몰되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자외선 램프(232)는 상기 램프 하면부(213)의 상측에 배치되더라도 상기 제 1 케이스(210)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지 않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온/오프 되는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저통(10)에는, 상기 본체부(100)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며, 적어도 일측에 자석부재(152)가 제공되 는 덮개부(150)와, 상기 덮개부(15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자석부재(152)에 의하여 온/오프 되는 스위치(234)가 제공되는 램프 장치(20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덮개부(150)의 저면에는, 상기 스위치(234)와 근접거리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스위치(234)가 온(ON)되도록 하는 자석부재(152)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자석부재(152)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234)는 상기 PCB 기판(231)에 설치되며, 상기 자석부재(152)에 의한 자기장이 작용되는 범위내에 위치되면 상기 스위치(234) 내부의 접점이 온(ON)되어 전류가 흐르게 된다. 반면에, 상기 스위치(234)가 상기 자석부재(152)의 자기장 범위 외에 위치되면, 상기 스위치(234) 내부의 접점이 떨어져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자석부재(152)와 스위치(234)는 상호 근거리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스위치(234)는 상기 자석부재(152)의 자력에 의하여 온(ON)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석부재(152)는 상기 덮개부(15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234)와 근접한 거리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234)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온/오프 과정을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234)는 상기 덮개부(150)가 닫히면 상기 자석부재(152)에 의하여 온(ON)되고, 그에 따라 상기 자외선 램프(232)가 켜진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234)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오프(OFF)되며, 그에 따라 상기 자외선 램프(232)는 꺼지게 된다.
상세히, 상기 램프 장치(200)에는, 상기 스위치(234)가 온(ON)되어 상기 자외선 램프(232)가 켜진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자외선 램프(232)가 꺼지도록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부(20)가 포함된다. 즉, 상기 타이밍 제어부(20)는 일정 시간, 예를 들어 약 40초 동안 상기 자외선 램프(232)가 점등되도록 한 후 그 시간이 지나면 상기 자외선 램프(232)가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타이밍 제어부(20)에는, 상기 자외선 램프(232)가 켜진 후 경과시간이 카운트 되도록 하는 카운터(30)와, 상기 카운터(30)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자외선 램프(232)의 점등 시간이 조절되도록 하는 다수의 출력 단(40)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램프 장치(200)에는, 상기 출력 단(40)의 상태에 따라 온/오프가 이루어지는 트랜지스터(50)와, 상기 트랜지스터(50)를 지난 전류가 공급되어 발진 신호가 발생되도록 하는 발진부(60)와, 상기 발진부(60)의 발진 동작에 의하여 고압 발생부를 구성하는 트랜스(70)가 포함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스위치(234)의 점등시간이 제어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스위치(234)가 오프되면, 상기 배터리(240)로부터 전원 공급이 중단되므로 상기 자외선 램프(232)는 오프된다. 그 후, 상기 스위치(234)가 온 되면, 상기 배터리(24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므로, 전류는 상기 스위치(234)를 지나, 상기 트랜지스터(50)에 이른다. 이 때, 상기 카운터(30)의 출력단(39,36)은 Low 상태이므로 상기 트랜지스터(50)는 온 상태가 되며, 전류는 상기 트랜지스터(50)를 지나 고 상기 코일(51)을 지나 상기 발진부(60)에 공급된다.
상기 발진부(60)는 트랜지스터(61,62)로 구성되어 발진이 일어나고, 이 발진 동작에 의하여 고압 발생부를 구성하는 트랜스(70)의 1차측 코일에 소정 전압(제 1 전압)이 인가되고, 그 인가된 전압에 비례하는 고전압(제 2 전압)이 2차 코일에 인가되며, 상기 자외선 램프(232)로 공급된다. 결국, 상기 자외선 램프(232)는 켜지게 된다.
한편, 상기 타이밍 제어부(20)에서는 상기 스위치(234)가 오프 되었다가 온 되는 경우, 오실레이터(oscilator)가 내장된 카운터(30)의 저항(34)과 콘덴서(35)에 의하여 구형파가 발진되며, 상기 구형파는 상기 카운터의 클럭 입력단(41)으로 입력된다. 이 때 출력단(39)은 Low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카운터(30)는 상기 입력단(41)에 입력된 클럭(41)을 카운트 하여 소정 시간이 지나면 상기 출력단(39)에 High 시그널을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출력단(39)의 High 시그널은 상기 발진부(60)의 전원 공급용 트랜지스터(50)를 오프시킴으로써 상기 발진부(60)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도록 한다.
이 경우, 트랜스(70)의 2차 코일에 고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상기 자외선 램프(232)는 꺼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출력단(39)의 High 시그널은 다이오드(37)를 거쳐 클럭 입력단(38,41)에 High 신호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므로 더 이상 카운팅 동작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출력단(39)의 High 시그널은 유지되고, 상기 자외선 램프(232)는 꺼진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덮개부(150)를 분리한 후 다시 결합한 경우와 같이, 상기 스위치(234)가 오프 되었다가 다시 온 되면 상기 카운터(30)는 리셋되며, 상기한 바와 같은 타이밍 제어 동작이 다시 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외선 램프(232)의 점등 시간은 조절 가능하다. 그리고, 점등 시간의 조절은 2가지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오실레이터에 연결된 저항(34)과 콘덴서(35)의 용량이 변경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입력단인 구형파 클럭(41)의 주파수가 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카운터 출력단(39)의 LOW 상태 시간이 조절될 수 있다.
다른 방법은, 상기 카운터(30)의 출력단(39)을 바꿔주는 것이다.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출력단(39)은 QD부터 QN까지의 카운팅이 QD의 8클럭에서 16클럭, 32클럭등 두배 씩 증가될 수 있다. 이 경우, 현재 출력단(39)의 시간이 예를 들어 40초일 경우, 40초 동안 점등되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출력단을 인접한 단(40)에 연결하면, 상기 단(40)의 출력은 상기 출력단(39)의 두 배인 80초가 되며, 이는 80초 동안 상기 자외선 램프(232)가 점등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저항(34)과 콘덴서(35)의 용량을 변경하거나, 상기 출력단(QD~QN)을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자외선 램프(232)의 점등시간이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150)가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되는 경우, 항상 램프(232)가 켜지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꺼지도록 하여 제품의 소 비전력이 감소될 수 있고, 충전이 불가능한 배터리를 사용하더라도 장기간 자외선 램프가 작동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살균 수저통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살균 수저통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온/오프 되는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온/오프 과정을 설명하는 회로도.

Claims (9)

  1. 수저가 보관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적어도 일측면에 자석 부재가 제공되는 덮개부; 및
    상기 본체부에 안착되며, 상기 자석 부재의 자력에 의하여 온 되는 스위치가 제공되는 램프 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램프 장치에는,
    상기 스위치가 온 되는 상태에서 점등되는 자외선 램프 및
    상기 자외선 램프의 점등되는 시간이 제어되도록 하는 타이밍 제어부가 포함되고,
    상기 타이밍 제어부에는 상기 자외선 램프의 점등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카운터가 포함되고,
    상기 카운터에는 상기 제어 신호가 출력 가능하도록 하며, 카운팅을 달리하는 다수의 출력단이 제공되며,
    상기 다수의 출력단은,
    상기 다수의 출력단 중 일측 출력단인 QD로부터 타측 출력단인 QN을 향하여 출력단을 바꾸는 과정에서 카운팅이 증가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자외선 램프의 점등 시간은 증가된 카운팅에 대응하여 증가되도록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살균 수저통.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온(ON)되는 트랜지스터와,
    상기 트랜지스터가 온 되는 경우, 상기 트랜지스터를 통과한 전류가 공급되어 발진 신호가 발생되도록 하는 발진부와,
    상기 발진 신호로부터 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자외선 램프에 전류가 공급되도록 하는 트랜스가 더 포함되는 자외선 살균 수저통.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에는,
    상기 발진부의 발진 신호에 의하여 제 1 전압이 인가되는 1차 코일과,
    상기 1차측 코일에 인가된 전압에 비례하는 제 2 전압이 인가되어 자외선 램프로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2차 코일이 포함되는 자외선 살균 수저통.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자석 부재의 자력이 상기 스위치에 작용되도록, 상기 자석 부재는 상기 스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살균 수저통.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장치에는,
    상기 자외선 램프가 점등되도록 전압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더 포함되는 자외선 살균 수저통.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램프는,
    상기 덮개부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면,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켜지며, 상기 덮개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되면 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살균 수저통.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장치는 상기 본체부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며,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램프 장치가 안착되는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걸림 턱이 형성되는 자외선 살균 수저통.
KR1020080012099A 2008-02-11 2008-02-11 자외선 살균 수저통 KR100910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099A KR100910010B1 (ko) 2008-02-11 2008-02-11 자외선 살균 수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099A KR100910010B1 (ko) 2008-02-11 2008-02-11 자외선 살균 수저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0010B1 true KR100910010B1 (ko) 2009-07-29

Family

ID=41338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2099A KR100910010B1 (ko) 2008-02-11 2008-02-11 자외선 살균 수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001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58300A (zh) * 2010-11-24 2011-05-18 西南石油大学 一种卫生筷子盒
KR20150123043A (ko) * 2014-04-24 2015-11-03 에센시아주식회사 숟가락 및 젓가락 살균기
KR20190130847A (ko) * 2018-05-15 2019-11-25 주식회사 이지테크 살균 수저통
CN111436831A (zh) * 2019-01-17 2020-07-24 圆融健康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磁吸式即用型深紫外杀菌饮水机及杀菌方法
KR20230045767A (ko) * 2021-09-29 2023-04-05 강신영 수저통 살균기 및 이를 장착한 살균 테이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130Y1 (ko) 2003-02-25 2003-05-22 주식회사 매직케어 자외선 살균 수저통의 램프 제어장치
KR200324160Y1 (ko) * 2003-05-16 2003-08-21 주식회사 매직케어 자외선 살균등이 부설된 수저통
KR200389168Y1 (ko) * 2005-04-28 2005-07-07 (주)대신전기산업 수저통의 오존 살균 장치
KR100548136B1 (ko) * 2003-02-19 2006-02-06 주식회사 에어하이테크 자외선 칫솔 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8136B1 (ko) * 2003-02-19 2006-02-06 주식회사 에어하이테크 자외선 칫솔 살균장치
KR200314130Y1 (ko) 2003-02-25 2003-05-22 주식회사 매직케어 자외선 살균 수저통의 램프 제어장치
KR200324160Y1 (ko) * 2003-05-16 2003-08-21 주식회사 매직케어 자외선 살균등이 부설된 수저통
KR200389168Y1 (ko) * 2005-04-28 2005-07-07 (주)대신전기산업 수저통의 오존 살균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58300A (zh) * 2010-11-24 2011-05-18 西南石油大学 一种卫生筷子盒
CN102058300B (zh) * 2010-11-24 2012-10-31 西南石油大学 一种卫生筷子盒
KR20150123043A (ko) * 2014-04-24 2015-11-03 에센시아주식회사 숟가락 및 젓가락 살균기
KR101688044B1 (ko) * 2014-04-24 2016-12-20 에센시아주식회사 숟가락 및 젓가락 살균기
KR20190130847A (ko) * 2018-05-15 2019-11-25 주식회사 이지테크 살균 수저통
KR102085113B1 (ko) * 2018-05-15 2020-04-23 주식회사 이지테크 살균 수저통
CN111436831A (zh) * 2019-01-17 2020-07-24 圆融健康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磁吸式即用型深紫外杀菌饮水机及杀菌方法
KR20230045767A (ko) * 2021-09-29 2023-04-05 강신영 수저통 살균기 및 이를 장착한 살균 테이블
KR102636729B1 (ko) * 2021-09-29 2024-02-13 강신영 수저통 살균기 및 이를 장착한 살균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010B1 (ko) 자외선 살균 수저통
EP3090649B1 (en) Electric oral hygiene device storage container
US7888657B1 (en) Ultraviolet water and object surface disinfection apparatus
KR101240111B1 (ko) 온수 세정 변좌
KR20210156127A (ko) 도난방지 기능을 포함하는 uv-led 수저통 살균 장치
KR20080013735A (ko) 위생수저통을 구비한 테이블
KR101904236B1 (ko) 휴대용 살균볼
KR100822082B1 (ko) 유도기전력 전원 공급 방식의 살균탈취기가 부착된 변기커버
JP2017087153A (ja) 蓋付きマグ
KR100655695B1 (ko) 살균 기능을 갖는 문 손잡이
KR200366178Y1 (ko) 자외선 살균등이 부설된 수저통
KR101951643B1 (ko) 노리개 젖꼭지 살균기
KR200265198Y1 (ko) 틀니 등의 자동 초음파 세척 및 자외선 소독 보관장치
KR200296627Y1 (ko) 전동칫솔 및 전동칫솔 살균기
KR200314130Y1 (ko) 자외선 살균 수저통의 램프 제어장치
KR200356681Y1 (ko) 휴대용 수저 살균기
KR20050081245A (ko) 휴대용 수저 살균기
JPH07250882A (ja) 携帯用歯ブラシ滅菌装置
KR200406801Y1 (ko) 유산균 음료 발효겸용 살균 수저통
KR200208586Y1 (ko) 콘택트렌즈 세척/소독기
KR200324160Y1 (ko) 자외선 살균등이 부설된 수저통
KR200399403Y1 (ko) 자외선과 광촉매를 이용한 살균 수저통
KR200383346Y1 (ko) 발광다이오드형 자외선 및 오존 램프를 이용한 살균수저통
KR20010107370A (ko) 콘택트렌즈 세척/소독기
KR101129607B1 (ko) 다기능 살균 보관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901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3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7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7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