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881Y1 - 도어에 리드 스위치가 있는 자외선 칫솔 살균기 - Google Patents

도어에 리드 스위치가 있는 자외선 칫솔 살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881Y1
KR200421881Y1 KR2020060012014U KR20060012014U KR200421881Y1 KR 200421881 Y1 KR200421881 Y1 KR 200421881Y1 KR 2020060012014 U KR2020060012014 U KR 2020060012014U KR 20060012014 U KR20060012014 U KR 20060012014U KR 200421881 Y1 KR200421881 Y1 KR 2004218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oothbrush
reed switch
lamp
ultravio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20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문
Original Assignee
이강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문 filed Critical 이강문
Priority to KR20200600120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8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8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8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 중인 칫솔을 보관할 때 칫솔에 부착된 각종 세균들을 자외선으로 살균하는 도어에 리드 스위치(Reed Switch)가 있는 자외선 칫솔 살균기에 관한 것이다.
내부에 칫솔을 걸 수 있는 칫솔거치대와 그곳에 걸릴 칫솔들에게 빛이 골고루 잘 비치도록 칫솔거치대 윗부분에 자외선 램프를 설치하는 본 고안은 칫솔의 수납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전면 거의 대부분의 면적에 2개의 도어(Door)를 설치하고 그 도어의 안쪽 위의 위치와 도어를 닫았을 때 그와 맞닿는 문짝의 위치에 리드 스위치를 내장시켜 편리하고 안전하게 칫솔 살균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칫솔, 치약, 자외선, 살균 램프, 히터

Description

도어에 리드 스위치가 있는 자외선 칫솔 살균기{The Ultraviolet Sterilization Box With Reed Switch Door Of Tooth Brushes}
도1은 본 고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도어와 리드 스위치가 있는 주위의 단면도이다.
도3은 리드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자석이 내장된 도어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4은 종래의 칫솔 살균기의 도어 개폐 시 작동하는 자외선 램프 스위치 단면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도어가 닫혔을 때의 리드 스위치 단면도이다.
도6은 종래의 칫솔 살균기의 도어가 닫혔을 때의 스위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원 스위치 2. 왼쪽 도어
3. 오른쪽 도어 4. 도어 손잡이
5. 전원램프 표시창 6. 자외선 램프 표시창
7. 히터 램프 표시창 8. 히터 온도 표시창
9. 시간 표시창 10. 자석
11. 리드 스위치 텐션바(Tention Bar) 12. 종래의 스위치 텐션바
13. 고무 캡 14. 스프링
15. 리드 스위치 고정바 16. 종래의 스위치 고정바
17. 자외선 램프 18. 칫솔거치대
본 고안은 식생활의 최일선에서 하루도 쉬지 않고 일하는 치아를 튼튼히 관리하여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일방편으로 구강질환을 야기시키기도 하는 잘못된 칫솔의 관리를 방지하고 항상 위생적인 칫솔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에 리드 스위치가 있는 자외선 살균기"에 관한 것이다.
구강질환들을 일으키는 많은 원인들 중의 하나가 사용 후의 칫솔을 잘못 보관하여 칫솔모에 서식하던 대장균이나 황색포도상구균 등 다양한 세균들이 번식하여 양치질할 때 그 세균들이 잇몸을 감염시키기 때문이라고 밝혀진 바 있다.
이러한 규명이 있은 이후로 자외선 또는 오존 등을 이용하여 개발된 각종 칫솔 살균기들이 시중에 범람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아직 그 개발의 역사가 짧은 탓인지 아직도 개량하여야 할 여지가 많다.
옛날 우리의 선조들은 햇살이 강할 때 이불이나 옷 따위를 양지 바른 곳에 널어 살균소독하곤 하였는데 이는 햇빛 속의 자외선이 곰팡이균을 비롯한 각종 세균들을 죽이는 힘이 강하기 때문이란 것을 오늘날의 과학자들이 발견하고 자외선을 인공으로 만들어 자외선으로 칫솔을 살균하는 수준에 까지 발전하게 되었다.
그러나 인공의 자외선은 태양광 속의 자외선보다 무려 60배 이상의 강력한 살균력을 가지고 있을 정도로 강력하므로 그 취급은 아주 많은 주의를 요한다. 그러므로 많은 칫솔 살균기들은 밖으로 자외선이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용기를 밀폐시키거나 미관을 위하여 도어를 유리나 아크릴로 만든 후 본 고안처럼 강하게 채색하여 자외선 램프(17)가 발생시키는 강렬한 인공의 자외선들이 밖으로 발산되지 못하도록 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또한 가동 중인 칫솔 살균기의 도어를 열었을 때는 자동으로 자외선 램프의 전원이 차단되어 자외선 램프가 꺼지도록 하는 시스템을 본 고안을 위시하여 거의 대부분의 칫솔 살균기들이 채택하고 있는데, 종래의 칫솔 살균기들을 도4처럼 도어와 맞닿는 문틀에 볼록하게 튀어나오고 유연성이 있는 고무 캡(13)을 설치하고 그 속에 전원이 연결되었다 떨어졌다 할 수 있도록 종래의 스위치 텐션바(12)를 설치하고 고무캡 안쪽에 스프링(14)을 끼워 도어를 당겨 열면 전원이 도4처럼 꺼져 자외선 램프가 꺼지고 도6처럼 도어를 밀면 자석(10-2)의 힘에 의하여 닫히면서 전원이 연결되어 자외선 램프가 켜져 칫솔을 살균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은 도2와 도3처럼 도어의 윗부분 가장자리에 자석(10-1)을 착설시키고 그와 맞닿는 문틀 속에 자석에 반응하는 금속으로 된 리드 스위치 텐션바(11)를 리드 스위치 고정바(15)의 뒤편에 위치시켜 도어(2)(3)를 열면 자력에 의하여 리드 스위치 고정바에 밀착되어 있던 리드 스위치 텐션바가 리드 스위치 고정바와 떨어져 자외선 램프(17)의 전원이 차단되고 도어를 닫으면 자석(10-1)이 리드 스위치 테션바를 끌어당겨 리드 스위치 고정바와 밀착되도록 하므로 도5처럼 전원이 연결되어 자외선 램프가 켜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종래의 칫솔 살균기는 손으로 고무 캡(13)을 눌러 인위적으로 자외선 램프를 켜 위험할 수 있는 커다란 단점이 있었지만 본 고안은 문을 열고서 인위적으로 자외선 램프를 켤 수 없도록 하여 안전성을 한차원 높인 장점을 가지고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본 고안의 장점은 본 고안의 목적이기도 하다.
본 고안은 지금까지 살펴보았듯이 종래의 칫솔 살균기들이 가지고 있었던 인위적인 자외선 노출의 가능성이 있는 단점을 개량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유아를 비롯한 어린이들은 궁금한 것도 많고 호기심이 강하여 무엇이든지 만지고 확인하려는 버릇이 있다. 그들이 무심코 종래의 칫솔 살균기의 도어를 여고 손으로 고무 캡(13)을 누르면서 자외선 램프를 쳐다보면 위험하기 짝이 없다. 아주 강한 칫솔 살균기의 자외선에 노출된 사람의 눈은 금방 상처를 입어 어쩌면 실명하게 될지도 모를 만큼 강렬하다. 그러므로 도어(2)(3)를 열고 인위적으로 자외선 램프를 켤 수 있는 구조는 칫솔 살균기가 갖추어야 n하는 구조로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한 안출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아크릴이나 유리에 채색을 한 도어 (2)(3)를 2개로 나누어 중안에서 좌우의 가장자리 쪽으로 열리도록 하여 많은 칫솔들을 동시에 살균할 수 있도록 하엿고 자외선 램프(17)가 정상으로 가동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도록 자외선 램프 표시창(6)을 설치하듯이 전원 램프 표시창(5)을 설치하여 전원 공급의 이상 유무를 항시 감시할 수 있도록 하였고 칫솔 살균기 내부를 건조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히팅장치의 가동 상태를 알 수 있는 히터 램프 표시창(7)과 현재 시간을 알 수 있는 시간 표시창(9)까지 두어 본 고안의 정상 가동 유무를 금방 알 수 있도록 하였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였다.
도2는 본 고안의 도어(2)(3)와 리드 스위치가 있는 주위의 단면도이다. 도어 손잡이(4)가 있는 쪽의 위 끝부분에 도3처럼 자석(10-1)을 착설하고 그와 맞닿는 문짝의 안쪽에 리드 스위치를 위치시켜 도어를 열면 리드 스위치 고정바(15)와 그 뒤편에 있는 리드 스위치 텐션바(11)가 서로 떨어져 자외선 램프의 전원이 꺼져있는 도면이지만, 도어(2)(3)를 닫으면 도어 상부의 모서리에 내장된 자석(10-1)이 도5처럼 리드 스위치 고정바(15)와 리드 스위치 텐션바(11)가 서로 밀착되어 자외선 램프(17)의 전원이 연결되어 자외선 램프가 켜지면서 칫솔 살균을 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도어(2)(3)를 열면 자외선 램프가 꺼지고 도어를 연채 인위적으로 자외선 램프를 켤 수 없으므로 사용자의 안전이 보장되는 장점이 있다.
도4는 종래의 칫솔 살균기 도어 개폐 시 작동되는 자외선 램프 스위치 단면도로서, 도어를 열면 종래의 스위치 텐션바(12)와 종래의 스위치 고정바(16)가 서로 연결되지 않아 자외선 램프(17)에 전원이 들어오지 않지만, 손으로 고무 캡(13) 을 눌러 종래의 스위치 텐션바(12)를 종래의 스위치 고정바(16)와 도6처럼 서로 연결시켜 자외선 램프에 불을 켤 수 있으므로 위험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제아무리 성능과 효과가 뛰어나도 안전성이 결여된다면 그 실용성은 빛을 잃고 말게 된다.
사용 중에 잇는 칫솔들은 입안에 잇는 각종 세균들로 말미암아 비위생적인 상태에 놓일 수밖에 없고 그 비위생적인 칫솔들을 안심하고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칫솔을 살균 소독하는 본 고안은 도어를 열고서 인위적으로 자외선 램프를 켤 수 없으므로 호기심 많은 유아나 어린이들이 칫솔 살균기를 사용하면서 발생할지도 모르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안전하고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자외선 램프의 전원을 개폐할 수 있는 리드 스위치를 도어의 한 부분과 그와 맞닿는 문짝에 설치하는 도어에 리드 스위치가 있는 자외선 살균기.
KR2020060012014U 2006-05-04 2006-05-04 도어에 리드 스위치가 있는 자외선 칫솔 살균기 KR2004218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014U KR200421881Y1 (ko) 2006-05-04 2006-05-04 도어에 리드 스위치가 있는 자외선 칫솔 살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014U KR200421881Y1 (ko) 2006-05-04 2006-05-04 도어에 리드 스위치가 있는 자외선 칫솔 살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881Y1 true KR200421881Y1 (ko) 2006-07-18

Family

ID=41770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2014U KR200421881Y1 (ko) 2006-05-04 2006-05-04 도어에 리드 스위치가 있는 자외선 칫솔 살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8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4538A (ko) * 2020-05-22 2021-11-30 (주)큐라움 치아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것을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4538A (ko) * 2020-05-22 2021-11-30 (주)큐라움 치아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것을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KR102523970B1 (ko) * 2020-05-22 2023-04-21 (주)큐라움 치아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것을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2253B1 (ko) 살균이 용이한 휴대용 칫솔
WO2007051276A1 (en) Uv sterilizing wand
KR20100041060A (ko) 화장용 도구 자외선 살균기
JP2020116430A (ja) 紫外線を用いたドアノブなどの除菌装置
US20060120915A1 (en) Steriliz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terilizing surfaces
KR20130021158A (ko) 자외선 살균 칫솔 뚜껑
KR101731708B1 (ko) 살균 소독기
KR20180006567A (ko) 칫솔 살균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칫솔 살균장치
KR200421881Y1 (ko) 도어에 리드 스위치가 있는 자외선 칫솔 살균기
KR20080098105A (ko) 살균장치를 가진 좌변기
KR20030095377A (ko) 유에스비 포트를 내장한 휴대용 칫솔 살균 장치
KR101981235B1 (ko) 생리컵 살균기
KR200383346Y1 (ko) 발광다이오드형 자외선 및 오존 램프를 이용한 살균수저통
KR200421614Y1 (ko) 휴대용 의치 살균 보관함
KR102497774B1 (ko) 개방형 칫솔 살균기
KR200415848Y1 (ko) 마우스 살균기
KR20150112079A (ko) 컵 소독장치
KR200389168Y1 (ko) 수저통의 오존 살균 장치
KR200437195Y1 (ko) 칫솔겸용 혀 클리너 살균기
BR102020015902A2 (pt) Bolsa com sistema autoportante de emissão de raios uvc para desinfecção e higienização de objetos e sistema de segurança
KR200429115Y1 (ko) 칫솔 및 젓가락 겸용 휴대용 살균기
KR200417798Y1 (ko) 휴대용 칫솔 살균기
KR200383345Y1 (ko) 오존 램프를 이용한 살균 수저통
KR200419151Y1 (ko) 전동칫솔 살균건조 기능을 갖는 전동칫솔 충전 장치
KR200280750Y1 (ko) 자외선 살균 기능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