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366B1 - 반려동물용 유골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용 유골 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366B1
KR101728366B1 KR1020160035419A KR20160035419A KR101728366B1 KR 101728366 B1 KR101728366 B1 KR 101728366B1 KR 1020160035419 A KR1020160035419 A KR 1020160035419A KR 20160035419 A KR20160035419 A KR 20160035419A KR 101728366 B1 KR101728366 B1 KR 101728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driving unit
rotation
magnetic force
rotation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영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영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영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035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3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H04M1/7252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친화적이며 작동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유골 보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외관을 이루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부에 반려동물의 두상을 스캔하여 제조된 후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식별용 조형부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유골함수용부와, 상기 유골함수용부에 수용되며 내부 수용부가 구비되는 보조진공부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작동모듈수용부와, 상기 작동모듈수용부에 구비되는 작동모듈 및 상기 몸체부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작동모듈수용부에 수용된 작동모듈에 의하여 작동하는 꼬리 형상의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모듈은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회전축이 구비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 시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캠 및 상기 회전캠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1자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는 상기 몸체부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캠의 회전에 따른 상기 제1자력부의 회전 시 자력에 의하여 상기 작동부가 기 설정된 영역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자력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2자력부는 상기 작동부의 하측에 구비됨과 동시에 소정의 무게를 지니도록 하여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2자력부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제2자력부가 하부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작동부가 정지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며, 상기 제1자력부는 철 재질이 적용되고 상기 제2자력부는 상기 철 재질의 제1자력부에 자력을 미치도록 자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부가 상기 작동부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기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만 회전하도록 상기 몸체부 외측으로 상기 작동부의 회전 각도를 억제하는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신부와 제어부가 더 구비되고 사용자가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에 설치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시 스마트폰과 상기 수신부가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되는 경우에만 상기 구동부가 작동하도록 하는 반려동물용 유골 보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반려동물용 유골 보관장치{POWDERED BONES KEEPING DEVICE FOR COMPANION ANIMAL}
본 발명은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용 유골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1인 가구의 증가 및 개인의 즐거움이라든가 심리치료 등을 목적으로 애완동물을 많이 키우는 추세에 있다.
그리고, 애완동물 소유자들은 이러한 애완동물과의 사이에 인간들간에 느끼는 만큼의 강한 애정을 느끼고 있다.
한편, 현행법(동물보호법) 상에서는 애완동물이 죽은 경우 이를 감염성 폐기물로 분리하여 이를 일정 기간 내에 화장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상당수의 반려동물 주인들은 반려동물을 화장한 후 유골을 별도의 보관용기에 안치시키기도 한다.
그런데, 종래 반려동물용 유골함은 단순한 항아리 형태만이 적용되고 있었으며, 또한 사람용과 다르게 진공형태가 적용된 기술도 없어 장시간 보관하는데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제 반려동물이 생각날 수 있도록 형성된 반려동물용 유골 보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공상태로 유골을 장시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반려동물용 유골 보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관을 이루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부에 반려동물의 두상을 스캔하여 제조된 후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식별용 조형부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유골함수용부와, 상기 유골함수용부에 수용되며 내부 수용부가 구비되는 보조진공부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작동모듈수용부와, 상기 작동모듈수용부에 구비되는 작동모듈 및 상기 몸체부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작동모듈수용부에 수용된 작동모듈에 의하여 작동하는 꼬리 형상의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모듈은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회전축이 구비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 시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캠 및 상기 회전캠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1자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는 상기 몸체부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캠의 회전에 따른 상기 제1자력부의 회전 시 자력에 의하여 상기 작동부가 기 설정된 영역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자력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2자력부는 상기 작동부의 하측에 구비됨과 동시에 소정의 무게를 지니도록 하여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2자력부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제2자력부가 하부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작동부가 정지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며, 상기 제1자력부는 철 재질이 적용되고 상기 제2자력부는 상기 철 재질의 제1자력부에 자력을 미치도록 자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부가 상기 작동부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기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만 회전하도록 상기 몸체부 외측으로 상기 작동부의 회전 각도를 억제하는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신부와 제어부가 더 구비되고 사용자가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에 설치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시 스마트폰과 상기 수신부가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되는 경우에만 상기 구동부가 작동하도록 하는 반려동물용 유골 보관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작동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복수 개의 결합홈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에 상기 돌출결합모듈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일측으로 힌지부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회전되는 간격조절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유골 보관장치에 의하면, 유골함을 이중 진공 상태로 적용함으로써 내부 유골의 보관 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골함 외부에 별도로 실제 기르던 반려동물의 외형에 대응되는 조형부가 구비되어 유골함에 대한 사용자 친화감을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유골 보관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유골함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작동모듈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작동모듈을 이용하여 작동부가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유골 보관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간의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유골 보관장치에 작동모듈이 구비되지 않은 별도의 반려동물용 유골 보관장치를 연결하여 양측 작동부를 작동시키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 반려동물용 유골 보관장치에 적용되는 풀리모듈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도 9는 반려동물용 유골 보관장치가 설치되는 받침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유골 보관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유골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유골 보관장치(101)는 몸체부(110), 조형부(120), 유골함수용부(140), 보조진공함(141) 및 유골함(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10)는 반려동물용 유골 보관장치(101)의 메인 외관을 이루게 된다. 도 1에서는 사각박스 형상의 몸체부(110)로 도시되어 있으나, 원형 형상 또는 개 등 반려동물의 몸통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식별용 조형부(120)는 상기 몸체부(110) 상부에 일체형 또는 착탈 방식으로 구비되되, 실제 유골이 된 개의 얼굴 형상에 대응하여 스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사진을 이용하거나 생전 개의 얼굴을 스캔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기 공지된 기술이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유골함수용부(140)는 상기 보조진공함(141) 및 유골함(160)이 수용되도록 상기 몸체부(110)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보조진공함(141)은 내부에 상기 유골함(160)의 외형에 대응되는 수용부가 구비되어 상기 내측 수용부에 상기 유골함(160)이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보조진공함(160)은 상기 몸체부(110)의 유골함수용부(140)에 착탈 방식으로 설치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보조진공함(141)은 외부에 나사산(148)이 구비되고, 상기 유골함수용부(140)에는 이에 대응하여 피나사산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골함(160)은 외부에 나사산(148)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진공부(141)의 내부수용부에는 이에 대응하여 마찬가지로 피나사산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유골함(160)은 보관부(164), 덮개부(162), 패킹부(167), 진공마개삽입홈(168) 및 진공마개(169)를 포함한다.
상기 유골함(160)의 패킹부(167)는 상기 덮개부(162) 하부의 원둘레 면에 부착되어 덮개부(162)와 보관부(164) 간을 봉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패킹부(167)는 상기 덮개부(162) 하부 둘레부에 설치되며 소정 두께를 갖는 고무패킹 및 양면테이프 등이 적용되어 상기 덮개부(162) 하부의 둘레부에 부착 또는 접착됨으로써 상기 보관부(164)를 봉합시킨다.
즉, 상기 패킹부(167)는 상기 덮개부(162)와 보관부(164) 사이에 위치되어 보관부(164)에 수용된 유골이 유해균 등에 의하여 부패, 변질, 변색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진공마개삽입홈(168)은 덮개부(162) 상부 중 어느 일부 영역 상에 지정되며, 지정된 일부 영역의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관통된 홈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진공마개삽입홈(168)의 지름은 상기 진공마개(169)에 구비된 결탁부(165)의 지름보다 크며, 진공마개삽입홈(168) 깊이는 상기 결탁부(165)의 세로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외부 진공펌프가 상기 덮개부(162)와 결탁한 진공마개(169)의 헤더부에 맞대고 펌프 동작을 실시할 경우, 상기 진공마개(169)는 진공마개삽입홈(168)을 이탈시키지 않는 범위 내의 흡착력을 인가받아 상하 운동을 실시하게 된다.
즉, 진공마개(169)의 상하 운동은 보관부(164) 내에 존재하는 대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 공간을 마련해 주기 위한 것으로, 이에 따라서 상기 보관부(164) 안은 진공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도 4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작동모듈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작동모듈을 이용하여 작동부가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유골 보관장치(101)는 상기 작동모듈수용부(150)에 수용되는 작동모듈(170) 및 상기 작동모듈(170)에 연결되는 작동부(130)가 별도로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130)는 실제 움직이는 구성으로 사용자인 유골함 보관자에게 친화감을 일으키게 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부(130)는 상기 몸체부(110) 외측 후방측에 회전축(13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반려견의 꼬리 형상으로 이루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작동모듈수용부(150)에 수용되는 작동모듈(170)은 상기 작동부(130)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것으로서, 견주의 선택에 따라서 설치되거나 미설치될 수도 있는데, 이때, 상기 작동모듈(170)은 전원부(172)와, 상기 전원부(17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부(173)와, 상기 구동부(173)의 작동 시 회전하는 캠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캠부(180)는 회전캠(181) 및 상기 회전캠(181)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1자력부(18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원부(172)는 소정의 배터리를 이루게 되며, 외부 전원에 의하여 충전 가능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173)는 소정의 회전축을 가지는 모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에 상기 회전캠(181)이 연결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캠(181)의 속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구동부(173)와 상기 회전캠(181) 사이에는 다수의 기어가 연결되며 회전축(134)이 구비된 기어부(175)가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작동부(130)는 상기 몸체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캠(181)의 회전에 따른 상기 제1자력부(182)의 회전 시 자력에 의하여 함께 소정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자력부(138)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전캠(181)과 제1자력부(182)는 모두 상기 작동모듈수용부(150) 내측인 몸체부(110)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작동부(130)와 제2자력부(138)는 몸체부(110) 외부에 위치되도록 하되, 상기 제1자력부(182)와 제2자력부(138)가 서로 자력에 의하여 상호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110)의 재질 및 두께가 정하여진다.
상기 제1자력부(182)와 제2자력부(138)는 둘 다 자석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몸체부(110) 내부에 설치되는 회로 및 전기장치 등의 안전성을 위하여 몸체부(110) 외측의 제2자력부(138)가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제1자력부(182)는 철 재질이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자력부(138)는 소정의 무게를 지니도록 하여 상기 작동부(130)인 꼬리가 항상 위로 올라간 형태를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130)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상기 몸체부(110)는 상기 작동부(130)의 양측으로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복수 개의 결합홈(112)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112)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스토퍼 역할을 하는 돌출결합모듈(210)이 구비된다.
상기 돌출결합모듈(210)은 상기 결합홈(112)에 삽입되는 삽입부(211)와 상기 삽입부(211)의 삽입 정도를 조절하는 걸이부(215) 및 상기 몸체부(110)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작동부(130)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2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217)는 상기 작동부(130)와 접촉 시 소음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무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110)의 외측으로 상기 구동부(173)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풀리모듈(230)이 구비되되, 상기 풀리모듈(230)은 연결축(231)과, 각각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걸림부(235)와, 상기 걸림부(235) 사이에 배치되는 벨트연결부(2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10)는 상기 풀리모듈(230)의 연결축(231)이 삽입되어 상기 작동부(130)의 회전축에 결합되도록 하는 연결홀(118)이 구비된다.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작동부(130)의 회전축에 상기 연결축(231)이 억지 끼움 방식으로 고정되게 체결될 것이며, 상기 연결홀(118)의 직경은 상기 연결축(231)의 직경보다 크게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유골 보관장치(101)는 상기 몸체부(110)의 일측으로 힌지부(252)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간격조절부재(2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유골 보관장치를 이루는 주요 구성간의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유골 보관장치(101)는 상기 구동부(17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신부(194), 이상 상황을 감지하는 센싱부(198)와 제어부(190)가 더 구비되되, 외부에서 사용자의 스마트폰(200)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부(194)로 소정 신호를 전달 시 상기 구동부(173)가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에 설치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시 스마트폰과 상기 수신부(194)가 소정 이내 거리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부(173)가 작동하여 작동부(130)의 회동 움직임을 자동적으로 이끌어내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생전의 반려동물의 소리를 저장하여 상기 작동부(130)의 움직임과 음향 출력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유골 보관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몸체부(110)를 나란히 설치하되, 상기 일측 몸체부(110)의 간격조절부재(255)를 힌지부(252)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두 개의 몸체부(110)가 소정 이격된 위치를 이루며 설치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두 개의 몸체부 중 일측 몸체부(110) 내측에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작동모듈(170)이 설치된다.
그리고, 타측 몸체부(110)는 내부에 작동모듈(170)이 설치되지 아니하고, 몸체부(110) 외측에 설치된 기 설정된 위치로 상기 작동부(130)의 제2자력부(138)에 자력을 미치는 제3자력부(237)가 구비된 보조풀리모듈(33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를 이룬다.
다음으로는 도시된 것처럼, 상기 양측 몸체부(110)에 설치된 풀리모듈(230, 333)을 연결하는 형태로 연결벨트(270)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경우, 일측 몸체부(110)의 작동모듈(170)을 작동시키며, 양측 풀리모듈(230, 333)이 연결벨트(270)에 의하여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일측 몸체부(110)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1자력부와 제2자력부에 의하여 작동부(130)가 회동하게 되며, 타측 몸체부(110)는 보조풀리모듈(333)이 회전 시 제3자력부(237)와 제자력부(138)간의 자력에 의하여 마찬가지로 작동부(130)의 회동 동작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반려동물용 유골 보관장치가 설치되는 받침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받침부(800)는 외관을 이루는 받침몸체부(110)를 구비하되, 상기 받침몸체부(110)는 두 개의 수용부(820) 기 설정된 위치를 이루며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수용부(820) 중 일측 수용부(820)는 수용부(820) 외측 일변 둘레부에 지지브라켓(83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지브라켓(830)에 회전캠(181)과 제1자력부(182)가 구비된 캠부(180)가 설치되고, 상기 캠부(180)와 연결되어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브라켓(830)의 타측으로 풀리모듈(230)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받침부(800)에 타측 수용부(82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작동모듈(170)이 구비된 몸체부(110)를 구비하는 유골 보관장치(101)를 설치하고, 일측 수용부(820)에는 작동모듈(170)이 구비되지 않고 작동부(130)만이 구비된 몸체부(110)를 구비하는 유골 보관장치를 설치한 후, 상기 양측 몸체부(110)의 풀리모듈(230)을 연결벨트(270)로 연결시키는 경우, 일측 유골 보관장치(101)의 작동모듈(170)을 동작시키게 되면 양측 몸체부(110) 모두의 작동부(130)의 회동 동작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1: 반려동물용 유골 보관장치 110: 몸체부
112: 돌출부 120: 식별용 조형부
130: 작동부 133: 설치홈
134: 회전축 138: 제2자력부
140: 유골함수용부 150: 작동모듈수용부
160: 유골함 162: 덮개부
164: 보관부 165: 결탁부
167: 패킹부 168: 진공마개삽입홈
170: 작동모듈 172: 전원부
173: 구동부 175: 기어부
181: 회전캠 182: 제2자력부
211: 삽입부 215: 걸이부
217: 돌출부 230: 풀리모듈
235: 걸림부 270: 연결벨트
820: 수용부 830: 지지브라켓

Claims (3)

  1. 외관을 이루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부에 반려동물의 두상을 스캔하여 제조된 후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식별용 조형부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유골함수용부와, 상기 유골함수용부에 수용되며 내부 수용부가 구비되는 보조진공부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작동모듈수용부와, 상기 작동모듈수용부에 구비되는 작동모듈 및 상기 몸체부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작동모듈수용부에 수용된 작동모듈에 의하여 작동하는 꼬리 형상의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모듈은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회전축이 구비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 시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캠 및 상기 회전캠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1자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는 상기 몸체부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캠의 회전에 따른 상기 제1자력부의 회전 시 자력에 의하여 상기 작동부가 기 설정된 영역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자력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2자력부는 상기 작동부의 하측에 구비됨과 동시에 소정의 무게를 지니도록 하여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2자력부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제2자력부가 하부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작동부가 정지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며,
    상기 제1자력부는 철 재질이 적용되고 상기 제2자력부는 상기 철 재질의 제1자력부에 자력을 미치도록 자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부가 상기 작동부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기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만 회전하도록 상기 몸체부 외측으로 상기 작동부의 회전 각도를 억제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돌출결합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에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의 회전 시 함께 회전하는 풀리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신부와 제어부가 더 구비되고 사용자가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에 설치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시 스마트폰과 상기 수신부가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되는 경우에만 상기 구동부가 작동하도록 하는,
    반려동물용 유골 보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작동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복수 개의 결합홈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에 상기 돌출결합모듈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반려동물용 유골 보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일측으로 힌지부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회전되는 간격조절부재가 더 구비되는,
    반려동물용 유골 보관장치.
KR1020160035419A 2016-03-24 2016-03-24 반려동물용 유골 보관장치 KR101728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419A KR101728366B1 (ko) 2016-03-24 2016-03-24 반려동물용 유골 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419A KR101728366B1 (ko) 2016-03-24 2016-03-24 반려동물용 유골 보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8366B1 true KR101728366B1 (ko) 2017-04-19

Family

ID=58705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419A KR101728366B1 (ko) 2016-03-24 2016-03-24 반려동물용 유골 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83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687B1 (ko) 2020-06-23 2020-10-07 전정일 반려동물 추억소장품 보관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0028U (ja) 2010-03-29 2010-06-10 有限会社 中製作所 ペット用手元供養骨つ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0028U (ja) 2010-03-29 2010-06-10 有限会社 中製作所 ペット用手元供養骨つ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687B1 (ko) 2020-06-23 2020-10-07 전정일 반려동물 추억소장품 보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513Y1 (ko) 살균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담배 케이스
MX2020013194A (es) Esterilizacion focalizada y submontajes esterilizados para sistemas de monitoreo de analitos.
EP1335387A3 (en) A lid for a ventilated vertical overpack
CN107534308A (zh) 电动口腔卫生装置存储容器
AU2003280269A1 (en) Device for automatically injecting an active substance
EP1592474A4 (en) IMPROVED HYBRID BATTERY POWER SOURCE MODEL FOR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ZA200110226B (en) Closure device for an medical container.
WO2007019061A3 (en) Capsular shape-restoring device
PL1620049T3 (pl) Urządzenie do cięcia rogówki oka
KR102295562B1 (ko) 살균기능을 갖는 콘텍트렌즈 보관장치
KR101728366B1 (ko) 반려동물용 유골 보관장치
EP3574927A3 (en) Portable telemedicine system with integrated medical imaging and uv sterilization
CN110768340A (zh) 一种带消毒杀菌功能的手机充电器
KR20160078166A (ko) 자외선 살균램프가 구비된 모자 거치 장치
AU2003252001A1 (en) Methods for sterilizing milk
AU2003217196A1 (en) Methods of enhancing the biocompatibility of an implantable medi cal device
TW200706113A (en) Reel intrinsic of dual-bearing reel
AU2003206451A1 (en) Device for farming of marine organisms, particularly fish
DE602004002253D1 (de) Verschlusseinheit
KR102004280B1 (ko) 정수기의 코크모듈
CN215022786U (zh) 一种用于饰品的消毒收纳盒
CN105993993A (zh) 具有杀菌功能的宠物喂食装置
KR20110010672U (ko) 휴대용 이어폰 살균장치
CN108642794B (zh) 一种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208389035U (zh) 一种砧板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