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4897B1 - 천연 식물성 유산균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 식물성 유산균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4897B1
KR102294897B1 KR1020190047020A KR20190047020A KR102294897B1 KR 102294897 B1 KR102294897 B1 KR 102294897B1 KR 1020190047020 A KR1020190047020 A KR 1020190047020A KR 20190047020 A KR20190047020 A KR 20190047020A KR 102294897 B1 KR102294897 B1 KR 102294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fermented
food
lact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2709A (ko
Inventor
김정아
Original Assignee
김정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아 filed Critical 김정아
Publication of KR20200012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8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식물성 유산균 발효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당분의 양을 최소화시키면서 홍시나 호박, 고구마 등의 천연재료를 유용미생물군으로 발효시켜 제조함으로써 건강에 유용한 천연 식물성 유산균 발효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연 식물성 유산균 발효식품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fermented food}
본 발명은 천연 식물성 유산균 발효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당분의 양을 최소화시키면서 홍시나 호박, 고구마, 사과 등의 천연재료를 유용미생물군으로 발효시켜 제조함으로써 건강에 유용한 천연 식물성 유산균 발효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활환경이 고속화됨에 따라 그에 따른 식생활이 고칼로리 위주로 인스턴트화되어 비만증, 고혈압을 비롯하여 각종 성인병에 대한 보고가 급증하고 있다. 핵가족화, 개인주의화, 야간활동의 인구증가, 대중소비시대, 소비패턴의 다양화, 편리성 추구경향, 그리고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 등의 사회경제적인 환경의 변화로 식생활 구조의 변화를 겪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식사 구성에 대한 의식변화와 간편식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 증가는 편의성을 추구하는 경향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현대인의 잘못된 식생활은 영양부족, 영양 과잉 및 잘못된 영양정보에 의한 영양불량을 초래하기 쉽다. 영양부족으로 인한 영양불량은 빈혈 등 여러 질병을 일으키게 되고 영양소의 과잉섭취는 체중 과다 및 비만을 유발하고 있다.
또한 식생활 습관이 질병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과학적 증거가 속속 드러나면서 식생활을 포함한 생활양식의 변화를 통해 건강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소비자들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이에 각종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에 도움을 주기 위한 건강보조식품 및 기능성 식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천연 식물소재는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과 항산화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항노화, 항암, 항염, 면역기능 개선 등 다양한 효과를 갖는다. 최근에는 천연 소재를 안정화시키거나, 독성을 줄이거나, 안정한 유도체로 전환시켜 효과를 높이려는 시도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미생물이나 효소를 이용한 생물학적 전환(Biological transformation) 방법이 개발되고 있으며, 대표적 방법으로 발효를 예로 들 수 있다.
발효는 미생물이 가지고 있는 효소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해시켜서 인간 생활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으로서, 인체에 유용한 물질을 만들어내는 대표적인 발효 미생물로는 유산균, 효모 등이 있고, 다양한 식품들이 발효 과정에 의해서 생산된다. 또한, 발효는 유용 물질을 만들어 내는 것 이외에도 발효에 관여하는 미생물이 장 내에서 면역 및 독소제거(Detoxification)의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더 나아가, 장내 미생물에 의한 발효를 통해 섭취된 성분은 분해되어 인체 세포에 흡수가 용이한 저분자 물질로 전환되거나, 불안정하거나 불활성인 형태에서 활성 형태로 전환되어 흡수되기도 하며, 이러한 결과는 장내 미생물에 의한 생물전환의 중요성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00116호, 공개특허 제10-2010-0088522호에는 산야초나 찻잎을 미생물로 발효시켜 제조한 식품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설탕의 함량이 너무 높아 건강에 해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효기간이 2~3개월이 소요되어 제조에 많은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00116호: 식품효소의 제조방법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88522호: 찻잎 효소 및 이를 이용한 식품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당분의 양을 최소화시키면서 홍시나 호박, 고구마, 사과 등의 천연재료를 유용미생물군으로 단기간에 발효시켜 제조함으로써 건강에 유용한 천연 식물성 유산균 발효식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천연 식물성 유산균 발효식품의 제조방법은 홍시, 삶아서 익힌 호박, 삶아서 익히 고구마, 사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갈아 천연 페이스트를 수득하는 원물가공단계와; 상기 천연 페이스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용미생물군 0.1 내지 5중량부와, 당 5 내지 10중량부와, 탄산수 2 내지 10중량부를 가하여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단계에서 수득한 혼합물을 발효시켜 발효물을 수득하는 발효단계와; 상기 발효물에 연유 또는 분유를 첨가하는 첨가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발효단계는 20 내지 30℃에서 2 내지 10일 동안 발효시킨다.
상기 천연 식물성 유산균 발효식품은 페이스트, 음료, 과립, 정제, 파우더, 환, 캡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당분의 양을 최소화시키면서 홍시나 호박, 고구마, 사과 등의 천연재료를 유용미생물군으로 발효시켜 제조함으로써 건강에 유용한 천연 식물성 유산균 발효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발효식품은 언제 어디서나 간단하게 섭취가 가능하며, 변비 예방이나 변비증상 개선에 효과적이다. 또한, 항산화 활성 증대, 다이어트 효과, 면역력 증강, 장 건강 등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천연 식물성 유산균 발효식품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천연 식물성 유산균 발효식품은 홍시, 삶아서 익힌 호박, 삶아서 익히 고구마, 사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갈아 천연 페이스트를 수득하는 원물가공단계와, 천연 페이스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용미생물군 0.1 내지 5중량부와, 당 5 내지 10중량부와, 탄산수 2 내지 10중량부를 가하여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혼합단계에서 수득한 혼합물을 발효시켜 발효물을 수득하는 발효단계와, 발효물에 연유 또는 분유를 첨가하는 첨가단계를 포함한다. 각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1. 원물가공단계
원물가공단계는 천연 식물성 소재를 가공하여 천연 페이스트를 얻기 위한 과정이다. 천연 식물성 소재로 과일 또는 채소를 이용할 수 있다. 가령, 과일로 홍시, 사과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채소로 호박, 고구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홍시는 탄닌성분을 함유하고 있어서 혈관 내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칼륨성분에 의해 고혈압을 예방하거나 완화시켜 줄 수 있다. 또한, 비타민 C가 풍부하여 신진대사를 활성화시키고 면역력을 증대시킨다.
호박에는 식이섬유, 미네랄, 카로티노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장의 활동을 활발히 촉진시키고 숙변을 제거하여 변비개선에 도움을 준다. 또한, 호박은 칼로리가 낮고 식이섬유가 풍부해 체내 노폐물을 배출하고 피부의 탄력을 개선, 부종 예방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다이어트 효과가 있다.
고구마는 식이섬유가 많이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지배당체인 하얀 수지성분이 배변을 도와주므로 변비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다. 또한,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다이어트에도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과는 각종 비타민, 식이섬유, 폴리페놀, 팩틴, 칼륨 등이 많이 들어 있어서 몸에 매우 이롭다. 또한, 사과는 항산화 작용을 통해 피부의 노화를 막아주고 동맥경화나 변비 예방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호박은 절단하여 내부의 씨를 제거한 다음 삶아서 준비한다. 그리고 고구마는 삶아서 준비하고, 홍시와 사과는 절단하여 내부의 씨를 제거하여 준비한다.
준비된 홍시, 삶아서 익힌 호박, 삶아서 익히 고구마, 사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믹서기로 곱게 갈아 천연 페이스트를 수득한다. 이와 달리 2 이상을 혼합하여 믹서기로 갈아서 천연 페이스트를 수득할 수도 있다.
2. 혼합단계
다음으로, 천연 페이스트에 유용미생물군과 당, 탄산수를 첨가하여 혼합한다.
가령, 천연 페이스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용미생물군 0.1 내지 5중량부와, 당 5 내지 10중량부와, 탄산수 2 내지 10중량부를 가하여 혼합할 수 있다.
유용미생물군은 배양액이나 분말 형태의 제품으로 이용할 수 있다.
유용미생물군 배양액은 광합성 세균, 효모, 유산균, 방선균, 사상균 중 1종 이상의 유용미생물군(Effective Microoganims)을 배양한 것이다. 유용미생물군을 배양하기 위한 배지의 일 예로 물에 트립톤(tryptone),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글루코스(glucose), 염화나트륨(NaCl), 인산수소칼륨(K2HPO4)을 가하여 조성할 수 있다. 가령, 증류수 1ℓ에 트립톤 3g, 효모 추출물 3g, 글루코스 3g, 염화나트륨 5g, 인산수소칼륨 1g을 가하여 배양액을 조성할 수 있다. 그리고 배지의 다른 예로 쌀뜨물 18ℓ에 흑설탕이나 당밀 20g을 넣어 조성할 수 있다.
배지에 유용 미생물군을 접종한 후 30 내지 40℃에서 2 내지 8일 동안 배양하여 유용미생물군 배양액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유용미생물군 배양액 또는 분말은 상업화된 유용미생물군 제품을 시중에서 구입하여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유용미생물군 대신에 유산균 배양액 또는 분말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당으로 설탕, 올리고당, 물엿, 조청 중에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당의 함량이 높을 경우 건강에 해로우므로 본 발명은 당의 함량이 10중량부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탄산수는 탄산가스를 용해시킨 물로서, 발효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탄산수로 시중에서 판매되는 탄산음료를 이용할 수 있다.
3. 발효단계
다음으로, 혼합단계에서 수득한 혼합물을 발효시킨다.
가령, 혼합물을 20 내지 30℃에서 2 내지 10일 동안 발효시킬 수 있다. 발효과정을 통해 유용미생물군의 작용에 의해 건강에 유익한 다양한 대사산물이 발생한다.
4. 첨가단계
다음으로, 발효단계에서 얻은 발효물은 연유 또는 분유를 첨가한다.
연유로 가당연유, 무당연유, 진지연유, 탈지연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분유로 전지분유나 탈지분유, 식물성 분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연유 또는 분유는 발효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40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연유 또는 분유를 첨가함으로써 유산균의 수를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연유 또는 분유까지 첨가되면 본 발명의 천연 식물성 유산균 발효식품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천연 식물성 유산균 발효식품은 통상적인 멸균처리, 포장 공정 등을 추가로 수행하여 냉장유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연 식물성 유산균 발효식품은 유용미생물군에 의해 발효시킨 발효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있어서 건강에 유용하며, 특히 변비 예방 및 해소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변비를 개선할 뿐만 아니라 다이어트 효과, 면역력 증강, 장 건강 등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천연 식물성 유산균 발효식품은 공지의 식품첨가물이 더 첨가될 수 있다.
공지의 식품첨가물의 예로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 당알콜 등의 당류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의 향미제와, 영양제, 비타민, 식용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증진제(예,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알긴산,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화제, 정제수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물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연 식물성 유산균 발효식품은 건강식품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건강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천연 식물성 유산균 발효식품은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연 식물성 유산균 발효식품은 다양한 형태로 제형이 가능하므로 그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가령, 본 발명의 천연 식물성 유산균 발효식품은 페이스트, 음료, 과립, 정제, 파우더, 환, 캡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을 갖는 발효식품은 휴대가 간편하고 언제 어디서나 수시로 섭취하기가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은 첨가단계에서 골무꽃 추출물을 더 첨가할 수 있다. 가령, 발효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연유 또는 분유 2 내지 40중량부와, 골무꽃 추출물 1 내지 10중량부를 첨가하여 본 발명의 천연 식물성 유산균 발효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골무꽃 추출물을 첨가함으로써 발효식품의 항산화 활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골무꽃(Scutellaria indica)은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로서, 산과 들에서 흔히 자라고 어린순은 나물로 먹기도 하며, 약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골무꽃은 플라보노이드 성분에 의해 특유의 향을 갖는다. 골무꽃은 전초나 잎, 어린 순을 이용할 수 있다.
골무꽃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해 다양한 추출방법이 적용 가능하다. 가령 골무꽃에 추출용매를 가해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추출용매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로 메탄올, 에탄올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다가 알코올로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혼합물로는 물 및 저급 알코올의 혼합물, 물 및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 저급 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 또는 물 및 저급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추출의 일 예로 추출용매를 골무꽃에 대하여 중량비로 2 내지 20배를 가한 후 20 내지 120℃에서 1 내지 48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액상의 골무꽃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여과 후 농축하여 농축액의 형태로 골무꽃 추출물을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농축액을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 방식 등을 통해 분말형태로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하기의 실시 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물로 세척한 호박을 반으로 절단한 후 내부의 씨를 제거한 다음 물에 삶아서 익힌 후 믹서기로 곱게 갈아 호박 페이스트를 준비하였다.
그리고 호박 페이스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용미생물군(이엠발효분말, 라이프유) 1중량부와, 설탕(백설, CJ제일제당) 8중량부와, 탄산수(칠성사이다, 롯데칠성음료) 6중량부를 가하여 혼합한 후 25℃에서 5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물을 수득하였다. 그리고 발효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분유(전지분유, 매일유업) 20중량부를 첨가하여 페이스트 형태의 호박 발효식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물로 세척한 고구마를 물에 삶아서 익힌 후 믹서기로 곱게 갈아 고구마 페이스트를 준비하였다.
그리고 고구마 페이스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용미생물군(이엠발효분말, 라이프유) 1중량부와, 설탕(백설, CJ제일제당) 8중량부와, 탄산수(칠성사이다, 롯데칠성음료) 6중량부를 가하여 혼합한 후 25℃에서 5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물을 수득하였다. 그리고 발효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분유(전지분유, 매일유업) 20중량부를 첨가하여 페이스트 형태의 고구마 발효식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홍시는 절단하여 내부의 씨를 제거한 후 믹서기로 곱게 갈아 홍시 페이스트를 준비하였다.
그리고 홍시 페이스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용미생물군(이엠발효분말, 라이프유) 1중량부와, 설탕(백설, CJ제일제당) 8중량부와, 탄산수(칠성사이다, 롯데칠성음료) 6중량부를 가하여 혼합한 후 25℃에서 5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물을 수득하였다. 그리고 발효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분유(전지분유, 매일유업) 20중량부를 첨가하여 페이스트 형태의 홍시 발효식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골무꽃의 잎에 중량비로 10배의 물을 가한 후 90℃에서 6시간 동안 열수추출한 후 여과하여 골무꽃 추출물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1의 분유 첨가과정에서 골무꽃 추출물 6중량부를 발효물에 더 첨가하여 호박 발효식품을 제조하였다.
<유산균수 측정>
실시예 1 내지 3의 발효식품에 대해 유산균수를 측정하기 위해 한국식품과학연구원에 시험의뢰하였다. 시험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유산균수(CFU/g)
실시예1 3,900,000/g
실시예2 13,000,000/g
실시예3 340,000,000/g
상기 표 1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3 모두 많은 유산균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시예 3이 가장 많은 유산균이 함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항산화활성 실험>
실시예 1 내지 4에서 수득한 각 발효식품에 대한 라디칼 소거 활성능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료 2mL에 0.2mM의 DPPH(1,1-diphenyl-2-picryl hydrazyl) 0.5mL를 넣고 교반한 후 30분간 방치한 다음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전자공여 효과는 시료 첨가구와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라디칼 소거 활성능은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라디칼소거활성능(%) = (1-시료첨가구의 흡광도/무첨가구의 흡광도)×100
구분 라디칼소거활성능(%)
실시예1 32.8±0.5
실시예2 30.6±0.7
실시예3 37.1±0.4
실시예4 48.4±0.5
상기 표 2의 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 1 내지 3은 라디칼소거활성능이 30%를 넘어 항산화활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실시예 4의 경우 라디칼소거활성능이 약 48%인 것으로 나타나 항산화활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시예 1과 비교시 약 60% 정도 향상된 결과이다. 따라서 골무꽃 추출물을 발효물에 첨가할 경우 항산화활성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변비개선실험>
만성 변비증상이 있는 피실험자들(20~40대)을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하였다. 피실험자들을 4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당 5명씩 배정하였다. 제 1그룹에는 실시예 1의 호박 발효식품을 섭취하도록 하였고, 제 2그룹에는 실시예 2의 고구마 발효식품을 섭취하도록 하였고, 제 3그룹에는 실시예 3의 홍시 발효식품을 섭취하도록 하였고, 제 4그룹에는 실시예 4의 호박 발효식품을 섭취하도록 하였다.
각 피실험자들은 하루에 2번(아침, 저녁) 50g씩을 섭취하도록 하여, 2주 후에 변비개선 정도를 5점척도법을 사용하여 점수로 측정하였다(1:증상이 상당히 악화됨. 2:증상이 다소 악화됨, 3:변화없음, 4:증상이 다소 개선됨, 5: 증상이 상당히 개선됨)
각 그룹의 평균 점수를 계산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평균 점수
제 1그룹 4.0
제 2그룹 4.3
제 3그룹 4.2
제 4그룹 4.6
상기 표 3의 결과를 참조하면, 4개의 그룹 모두 변비 증상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제 1 내지 제 3그룹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제 4그룹은 제 1 내지 제 3그룹보다 증상이 더 개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홍시, 삶아서 익힌 호박, 삶아서 익히 고구마, 사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갈아 천연 페이스트를 수득하는 원물가공단계와;
    상기 천연 페이스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용미생물군 0.1 내지 5중량부와, 당 5 내지 10중량부와, 탄산수 2 내지 10중량부를 가하여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단계에서 수득한 혼합물을 발효시켜 발효물을 수득하는 발효단계와;
    상기 발효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연유 또는 분유 2 내지 40중량부와, 골무꽃 추출물 1 내지 10중량부를 첨가하는 첨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식물성 유산균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단계는 20 내지 30℃에서 2 내지 10일 동안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식물성 유산균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식물성 유산균 발효식품은 페이스트, 음료, 과립, 정제, 파우더, 환, 캡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식물성 유산균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KR1020190047020A 2018-07-26 2019-04-23 천연 식물성 유산균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KR1022948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897 2018-07-26
KR20180086897 2018-07-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709A KR20200012709A (ko) 2020-02-05
KR102294897B1 true KR102294897B1 (ko) 2021-08-27

Family

ID=69514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020A KR102294897B1 (ko) 2018-07-26 2019-04-23 천연 식물성 유산균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8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20845A4 (en) * 2020-03-20 2024-04-03 Shawna Lattimore SWEET POTATO FERMENTATION PROCESS AND OBTAINED MILK ALTERNATIV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6929A (ja) * 1999-09-24 2001-04-03 Kumamoto Prefecture サツマイモ乳酸発酵食品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0116A (ko) 2008-03-19 2009-09-23 정성란 식품효소의 제조방법
KR101160070B1 (ko) 2009-01-30 2012-06-26 정소암 찻잎 효소 및 이를 이용한 식품의 제조방법
KR20120090582A (ko) * 2011-02-08 2012-08-17 서범구 유용미생물과 천연물을 이용한 다이어트조성물
KR20160051912A (ko) * 2014-10-20 2016-05-12 박순흥 다기능성의 em 타블렛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em 타블렛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6929A (ja) * 1999-09-24 2001-04-03 Kumamoto Prefecture サツマイモ乳酸発酵食品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게시물(네이버 지식인, 'EM활성액 만들때 탄산수 사용해도 될까요? 탄산수가 몸에 좋다고 들어서요 탄산수에 미강가루 섞어서 만들어도 되는지 궁금 합니다?‘, 2015.01.16.) 사본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709A (ko)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3605B1 (ko) 오이식초를 함유한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CN103519283B (zh) 一种猕猴桃发酵饮料及制备方法和应用
CN104982928B (zh) 一种红豆杉果保健酵素及其制备方法
KR101793933B1 (ko) 항산화활성 및 미백효과가 있는 기능성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102214532B1 (ko) 석류 유산균 발효물을 이용한 건강식품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CN111493273B (zh) 一种滇黄精发酵液制备方法
CN103361223B (zh) 复合保健果酒及其制作方法
KR20200040205A (ko) 발효숙성 노니와 코코넛 슈가를 포함하는 발효 노니 식초, 이를 포함하는 식초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Chen et al. Traditional food, modern food and nutritional value of Sea 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 A review
CN114009556A (zh) 一种高抗氧化活性木姜叶柯水果康普茶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872128B1 (ko) 면역 증진용 발효 양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료 제조방법
TWI430754B (zh) 高γ-胺基丁酸含有物之製造方法
CN104939237A (zh) 一种红豆杉酵素饮料及其制备方法
CN104382129A (zh) 一种甜玉米红茶菌饮品
KR102294897B1 (ko) 천연 식물성 유산균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Sukenti et al. Ethnobotany of Sasak traditional beverages as functional foods
KR102168192B1 (ko) 발효 생약초, 과실류 및 표고를 이용한 건강 혼합차 개발
KR101732456B1 (ko) 3단복합 발효원액 및 그 제조방법
CN111406931A (zh) 一种黑果腺肋花楸复合酵素及其制备方法
JP5114625B2 (ja) γ−アミノ酪酸高含有物の製造方法
CN105341591A (zh) 一种浓缩型保健无花果汁
KR100994196B1 (ko) 마늘 청국장 발효액의 제조방법
KR20060121719A (ko) 김치 유산균을 이용한 식품·음료의 제조방법
CN114601086A (zh) 一种黑枸杞苹果复合发酵饮料及其制备方法
KR20020034102A (ko) 약이되는 물질을 함유한 식초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