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483B1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3483B1
KR102293483B1 KR1020200014263A KR20200014263A KR102293483B1 KR 102293483 B1 KR102293483 B1 KR 102293483B1 KR 1020200014263 A KR1020200014263 A KR 1020200014263A KR 20200014263 A KR20200014263 A KR 20200014263A KR 102293483 B1 KR102293483 B1 KR 102293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ristles
moving unit
heigh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0369A (ko
Inventor
김방목
Original Assignee
김방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방목 filed Critical 김방목
Priority to KR1020200014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483B1/ko
Publication of KR20210100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8Supports or guides for bristles
    • A46B9/10Adjustable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칫솔은 칫솔 헤드부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이동 유닛에 상응하는 영역에 배열되는 제1단위 칫솔모, 상기 칫솔 헤드부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이동 유닛에 상응하는 영역 배열되는 제2단위 칫솔모 및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제1이동 유닛과 상기 제2이동 유닛을 차등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상승시켜, 상기 제1이동 유닛과 상기 제2이동 유닛이 서로 다른 높이에 고정되도록 조절하는 칫솔모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칫솔{TOOTH BRUSH}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이동 유닛과 제2이동 유닛의 차등적인 상승에 따라 상기 제1이동 유닛과 상기 제2이동 유닛이 서로 다른 높이에 고정되도록 조절할 수 있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칫솔의 칫솔모는 기본적으로 치아 표면을 닦기 위하여 구성되며, 균일한 높이로 배열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부 기능성 칫솔의 경우 칫솔모의 높이에 차이를 두어 치아의 구석구석을 닦을 수 있도록 칫솔모들을 배열하고 있으나, 치간과 잇몸 사이에 잔류하는 음식물을 완전히 제거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치간 전용 칫솔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양치질에는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일반 칫솔과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치간 전용 칫솔의 철사의 주변에 칫솔모가 구비되는 구조에 의하여, 치간 칫솔질을 하다가 철사가 잇몸에 닿아 잇몸이 상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제1이동 유닛과 제2이동 유닛의 차등적인 상승에 따라 상기 제1이동 유닛과 상기 제2이동 유닛이 서로 다른 높이에 고정되도록 조절할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칫솔은 칫솔 헤드부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이동 유닛에 상응하는 영역에 배열되는 제1단위 칫솔모, 상기 칫솔 헤드부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이동 유닛에 상응하는 영역 배열되는 제2단위 칫솔모 및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제1이동 유닛과 상기 제2이동 유닛을 차등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상승시켜, 상기 제1이동 유닛과 상기 제2이동 유닛이 서로 다른 높이에 고정되도록 조절하는 칫솔모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칫솔 헤드부에 직접 배열되는 제3단위 칫솔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단위 칫솔모, 상기 제2단위 칫솔모, 및 상기 제3단위 칫솔모의 순서로 상기 칫솔 헤드부의 중심에서부터 상기 칫솔 헤드부의 가장자리 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제1이동 유닛과 상기 제2이동 유닛이 최대로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제3칫솔모, 상기 제2칫솔모, 및 상기 제1칫솔모의 순서로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칫솔모 조절부는, 일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이동 유닛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이동 유닛 각각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칫솔 헤드부의 밖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조절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칫솔모 조절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이동 유닛과 상기 칫솔 헤드부의 내부 바닥면 사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이동 유닛과 상기 칫솔 헤드부의 내부 바닥면 사이 각각에 형성된 제1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칫솔.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이동 유닛과 상기 제2이동 유닛 각각은, 상기 제1이동 유닛과 상기 제2이동 유닛 각각이 상승함에 따라, 칫솔 헤드부 내면의 미리 정해진 높이에 형성된 걸림턱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이동 유닛과 상기 제2이동 유닛 각각은, 상기 걸림 유닛이 상기 제1이동 유닛과 상기 제2이동 유닛 각각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제2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칫솔 헤드부 내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이동 유닛을 제1높이에 고정하기 위한 걸림턱,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이동 유닛을 상기 제1높이보다 낮은 제2높이에 고정하기 위한 걸림턱,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이동 유닛을 제3높이에 고정하기 위한 걸림턱,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이동 유닛을 상기 제3높이보다 낮은 제4높이에 고정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높이와 상기 제2높이의 차이는, 상기 제3높이와 상기 제4높이의 차이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들은 제1이동 유닛과 제2이동 유닛의 차등적인 상승에 의하여 상기 제1이동 유닛과 상기 제2이동 유닛이 서로 다른 높이에 고정되도록 조절함에 따라, 제1이동 유닛과 제2이동 유닛 각각에 상응하는 영역에 배열되는 칫솔모가 치간 칫솔질에 적합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들은 필요에 따라 일반적인 칫솔 구조 또는 치간 칫솔 구조로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들은 제1이동 유닛과 제2이동 유닛의 차등적인 상승의 정도와 칫솔모의 끝단이 이루는 기울기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마다 적합한 형태의 치간 칫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칫솔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칫솔의 제1단면도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칫솔의 제2단면도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칫솔의 이동 유닛들을 정해진 높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칫솔 헤드부 내면에 형성된 걸림턱들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칫솔의 제1단면도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자",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프로세서(Processo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 Controller),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APU(Accelerate Processor Unit), DSP(Drive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과 같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의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memory)와 결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칫솔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칫솔(100)은 칫솔 몸체부(105), 칫솔 헤드부(110), 및 복수의 단위 칫솔모들(120-1~120-3)을 포함할 수 있다.
칫솔 몸체부(105)는 사용자가 양치질을 위하여 칫솔(100)을 파지하는 부분으로, 칫솔(100)에서 손잡이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칫솔 몸체부(105)의 일 예시로 일자의 막대기 형태를 가지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다양한 형태 변형이 가능하다.
칫솔 헤드부(110)는 복수의 단위 칫솔모들(120-1~120-3)이 식모되어 배열되는 부분이다.
복수의 단위 칫솔모들(120-1~120-3) 각각은 칫솔 헤드부(110)에서 이동 유닛들(도 2 내지 도 5에서 후술)에 의하여 차등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상승, 하강하는 각각의 단위 영역별로 구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단위 칫솔모들(120-1~120-3) 각각은 칫솔모 배열의 행과 열 중에서 열 방향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칫솔 헤드부(110)의 가장 중심부에 위치한 열의 단위 칫솔모가 제1단위 칫솔모(120-1), 제1단위 칫솔모(120-1)의 양 옆의 열에 위치한 단위 칫솔모들이 제2단위 칫솔모(120-2), 칫솔 헤드부(110)의 가장 가장자리부의 열에 위치한 단위 칫솔모가 제3단위 칫솔모(120-3)로 구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1단위 칫솔모(120-1)에 포함된 칫솔모들은 서로 동일한 높이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으며, 제2단위 칫솔모(120-2)에 포함된 칫솔모들은 서로 동일한 높이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으며, 제1단위 칫솔모(120-1)와 제2단위 칫솔모(120-2)는 서로 차등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3단위 칫솔모(120-3)는 칫솔 헤드부(110) 자체에 직접 식모되어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단위 칫솔모(120-3)는 상승 또는 하강의 이동없이 고정된 높이의 배열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1단위 칫솔모(120-1), 제2단위 칫솔모(120-2), 및 제3단위 칫솔모(120-3)의 순서로 칫솔 헤드부(110)의 중심에서 칫솔 헤드부(110)의 가장자리 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외력에 의하여 제1단위 칫솔모(120-1)와 제2단위 칫솔모(120-2)가 함께 상승하는 경우에, 제1단위 칫솔모(120-1)는 제2단위 칫솔모(120-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높이 상승하며, 더 높은 높이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외력에 의하여 제1단위 칫솔모(120-1)는 제2단위 칫솔모(120-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낮게 상승하며, 더 낮은 높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칫솔모들이 제1단위 칫솔모(120-1), 제2단위 칫솔모(120-2), 및 제3단위 칫솔모(120-3)로 구분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단위 칫솔모들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칫솔의 제1단면도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도 1에서 칫솔 헤드부(110)의 제1방향(I)의 단면 구조인 제1단면도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칫솔 헤드부(110)에는 제1이동 유닛(112-1)과 제2이동 유닛(112-2, 112-3)이 구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1이동 유닛(112-1)은 칫솔 헤드부(110)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제1이동 유닛(112-1)의 상부에 상응하는 영역(예컨대, 제1이동 유닛(112-1)의 윗면)에는 제1단위 칫솔모(120-1)가 식모되어 배열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2이동 유닛들(112-2, 112-3)은 제1이동 유닛(112-1)의 양옆에 위치하며, 제2이동 유닛들(112-2, 112-3) 각각의 상부에 상응하는 영역(예컨대, 제2이동 유닛들(112-2, 112-3) 각각의 윗면)에는 제2단위 칫솔모(120-2)가 식모되어 배열될 수 있다.
제1이동 유닛(112-1)과 제2이동 유닛(112-2, 112-3) 각각은 사용자의 외력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도 2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제1이동 유닛(112-1)과 제2이동 유닛(112-2, 112-3)이 최대로 상승된 상태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제3단위 칫솔모(120-3), 제2단위 칫솔모(120-2), 및 제1단위 칫솔모(120-1)의 순서로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제1이동 유닛(112-1)은 제1이동 유닛(112-1)의 하단에 칫솔 헤드부(11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조절 버튼(114-1)이 연결될 수 있으며, 제2이동 유닛들(112-2, 112-3) 각각은 하단에 칫솔 헤드부(11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조절 버튼들(114-2, 114-3) 각각과 연결될 수 있다.
조절 버튼(114-1~114-3)의 일단은 제1이동 유닛(112-1) 또는 제2이동 유닛(112-2, 112-3)과 연결되고, 타단은 칫솔 헤드부(110)의 밖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1이동 유닛(112-1)의 하단과 칫솔 헤드부(110)의 내부 바닥면 사이, 제2이동 유닛들(112-2, 112-3) 각각의 하단과 칫솔 헤드부(110)의 내부 바닥면 사이에는 제1탄성부(SPR1)이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탄성부(SPR1)는 제1이동 유닛(112-1)과 제2이동 유닛들(112-2, 112-3) 각각에 칫솔 헤드부(110)의 바닥면 측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1탄성부(SPR1)는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이동 유닛(112-1)과 제2이동 유닛들(112-2, 112-3) 각각에는 걸림 유닛(116)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 유닛(116)은 칫솔 헤드부(110)에 걸려서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며, 걸림 유닛(116)이 칫솔 헤드부(110)에 고정되는 상세 구조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칫솔 헤드부(110)에 조절 버튼들(114-1, 114-2, 114-3) 각각을 별도로 누르는 외력을 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이동 유닛(112-1)과 제2이동 유닛(112-2, 112-3) 각각은 독립적으로 상승 이동 또는 하강 이동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칫솔모 조절부는 복수의 단위 칫솔모들(120-1, 120-2, 120-3)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구성들을 포함하는 개념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이동 유닛(112-1), 제2이동 유닛(112-2, 112-3), 제1탄성부(SPR1), 복수의 조절 버튼들(114-1, 114-2, 114-3), 및 복수의 걸림 유닛들(116)은 칫솔모 조절부에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칫솔의 제2단면도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도 1에서 칫솔 헤드부(110)의 제2단위 칫솔모(120-2)를 중심으로 한 제2방향(II)의 단면 구조인 제2단면도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제2단위 칫솔모(120-2)는 제2이동 유닛(112-2)에 식모되어 배열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조절 버튼(114-2)을 누르는 외력에 의하여 높이가 상승할 수 있다.
이 때, 제2단위 칫솔모(120-2)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2이동 유닛(112-2)에는 걸림 유닛(116A, 116B)이 형성되며 칫솔 헤드부(110)의 내부 벽면에는 복수의 걸림턱들(118-1A, 118-1B, 118-2A, 118-2B)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 유닛(116A, 116B)은 제2이동 유닛(112-2)에 형성된 홈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탄성부(SPR2)의 홈 바깥 방향으로 가해지는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미리 정해진 높이에 형성된 걸림턱들(118-1A, 118-1B, 118-2A, 118-2B) 각각에 걸림으로써, 제2이동 유닛(112-2)과 제2단위 칫솔모(120-2)의 높이가 고정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2탄성부(SPR2)는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이동 유닛(112-1)과 제2이동 유닛(112-2, 112-3) 각각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조절 버튼(114-2)을 누르는 외력에 따라 걸림 유닛(116A)은 걸림턱(118-2A)에 걸려서 고정되고, 걸림 유닛(116B)은 걸림턱(118-2B)에 걸려서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조절 버튼(144-2)을 누르는 외력에 따라 걸림 유닛(116A)은 걸림턱(118-1A)에 걸려서 고정되고, 걸림 유닛(116B)은 걸림턱(118-1B)에 걸려서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걸림턱들(118-2A, 118-2B)는 제2단위 칫솔모(120-2)를 1단으로 상승시키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위치에 형성되며, 걸림턱들(118-1A, 118-1B)는 제2단위 칫솔모(120-2)를 2단으로 상승시키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걸림턱(118-2A)은 걸림턱(118-1A)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며, 걸림턱(118-2B)은 걸림턱(118-1B)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예시적으로 제2이동 유닛(112-2)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하여 상승하면서 정해진 높이에 고정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제1이동 유닛(112-1)과 나머지 제2이동 유닛(112-3)의 경우에도 같은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칫솔의 이동 유닛들을 정해진 높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칫솔 헤드부 내면에 형성된 걸림턱들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제2이동 유닛(112-2)에 상응하는 걸림턱들(118-1A, 118-2A)은 도 4에서 가장 왼쪽에 도시되었으며, 제1이동 유닛(112-1)에 상응하는 걸림턱들(118-3A, 118-4A)은 걸림턱들(118-1A, 118-2A)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걸림턱(118-4A)은 제1단위 칫솔모(120-1)를 1단으로 상승시키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위치에 형성되며, 걸림턱(118-3A)은 제1단위 칫솔모(120-1)를 2단으로 상승시키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이동 유닛(113)에 상응하는 걸림턱들(118-5A, 118-6A)은 도 3에 도시된 제2이동 유닛(112-2)에 상응하는 걸림턱들(118-1A, 118-2A)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걸림턱(118-6A)은 제2단위 칫솔모(120-3)를 1단으로 상승시키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위치에 형성되며, 걸림턱(118-5A)은 제2단위 칫솔모(120-3)를 2단으로 상승시키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외력에 의하여 제1이동 유닛(112-1)과 제2이동 유닛들(112-2, 112-3)이 함께 상승하는 경우에, 1단으로 상승하면 제1이동 유닛(112-1)과 제2이동 유닛들(112-2, 112-3) 각각은 걸림턱들(118-2A, 118-4A, 118-6A) 각각에 걸려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외력에 의하여 제1이동 유닛(112-1)과 제2이동 유닛들(112-2, 112-3)이 함께 상승하는 경우에, 2단으로 상승하면 제1이동 유닛(112-1)과 제2이동 유닛들(112-2, 112-3) 각각은 걸림턱들(118-1A, 118-3A, 118-5A) 각각에 걸려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1단에서 제1이동 유닛(112-1)과 제2이동 유닛들(112-2, 112-3)이 고정된 높이의 차이(h1)는 2단에서 제1이동 유닛(112-1)과 제2이동 유닛들(112-2, 112-3)이 고정된 높이의 차이(h2)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1단에서보다 2단에서 단위 칫솔모들(120-1~120-3)의 차이가 더욱 커지기 때문에 단위 칫솔모들(120-1~120-3)의 끝은 상대적으로 더 큰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칫솔 헤드부(110)의 일측 내면에 형성된 걸림턱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칫솔 헤드부(110)의 반대측 내면에도 도 4의 걸림턱들(118-1A~118-6A)과 동일한 높이에 대칭되는 구조로 걸림턱들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외력에 의하여 제1단위 칫솔모(120-1)는 제2단위 칫솔모(120-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낮게 상승하며, 더 낮은 높이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이동 유닛(112-1)은 걸림턱(118-4A)에 걸려서 위치가 고정되며, 제2이동 유닛(112-2)은 걸림턱(118-1A)에 걸려서 위치가 고정되며, 제2이동 유닛(112-3)은 걸림턱(118-5A)에 걸려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즉, 제2이동 유닛들(112-2, 112-3)은 같은 높이의 걸림턱(118-1A, 118-5A)에 걸려서 위치가 고정되며, 제1이동 유닛(112-1)은 제2이동 유닛들(112-2, 112-3)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의 걸림턱(118-4A)에 걸려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칫솔의 제1단면도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칫솔 헤드부(110)에는 구부러질 수 있는 제1커버부(111-1)와 제2커버부(11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버부(111-1)는 하부의 제1이동 유닛(112-1)과 제2이동 유닛들(112-2, 112-3)의 이동에 따라 상응하는 영역(RG1, RG2, RG3)의 높이가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칫솔 헤드부(110)에 제1커버부(111-1)가 형성되는 경우, 제1커버부(111-1)의 높이가 중심부에서 바깥쪽으로 연속적으로 변함에 따라, 단위 칫솔모들(120-1~120-3) 각각에 포함된 칫솔모들의 높이도 중심부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할 수 있다.
제2커버부(111-2)는 복수의 조절 버튼들(114-1~114-3)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2커버부(111-2)를 누름에 따라 복수의 조절 버튼들(114-1~114-3)이 한번에 눌러질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1조절 버튼(114-1)은 제2조절 버튼(114-2)과 제3조절 버튼(114-3)에 비하여 더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제2커버부(111-2)를 누름에 따라 제1이동 유닛(112-1)이 제2이동 유닛들(112-2, 112-3)에 비하여 더 큰 높이 차이만큼 상승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 칫솔
105 : 칫솔 몸체부
110 : 칫솔 헤드부
120-1~120-3 : 단위 칫솔모

Claims (10)

  1. 칫솔 헤드부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이동 유닛에 상응하는 영역에 배열되는 제1단위 칫솔모;
    상기 칫솔 헤드부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이동 유닛에 상응하는 영역 배열되는 제2단위 칫솔모; 및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제1이동 유닛과 상기 제2이동 유닛을 차등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상승시켜, 상기 제1이동 유닛과 상기 제2이동 유닛이 서로 다른 높이에 고정되도록 조절하는 칫솔모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칫솔모 조절부는, 일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이동 유닛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이동 유닛 각각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칫솔 헤드부의 밖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조절 버튼을 포함하는, 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 헤드부에 직접 배열되는 제3단위 칫솔모를 더 포함하는, 칫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위 칫솔모, 상기 제2단위 칫솔모, 및 상기 제3단위 칫솔모의 순서로 상기 칫솔 헤드부의 중심에서부터 상기 칫솔 헤드부의 가장자리 측으로 배치되는, 칫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제1이동 유닛과 상기 제2이동 유닛이 최대로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제3단위 칫솔모, 상기 제2단위 칫솔모, 및 상기 제1단위 칫솔모의 순서로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칫솔.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 조절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이동 유닛과 상기 칫솔 헤드부의 내부 바닥면 사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이동 유닛과 상기 칫솔 헤드부의 내부 바닥면 사이 각각에 형성된 제1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칫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 유닛과 상기 제2이동 유닛 각각은,
    상기 제1이동 유닛과 상기 제2이동 유닛 각각이 상승함에 따라, 칫솔 헤드부 내면의 미리 정해진 높이에 형성된 걸림턱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 유닛을 포함하는, 칫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 유닛과 상기 제2이동 유닛 각각은,
    상기 걸림 유닛이 상기 제1이동 유닛과 상기 제2이동 유닛 각각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제2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칫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 헤드부 내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이동 유닛을 제1높이에 고정하기 위한 걸림턱,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이동 유닛을 상기 제1높이보다 낮은 제2높이에 고정하기 위한 걸림턱,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이동 유닛을 제3높이에 고정하기 위한 걸림턱,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이동 유닛을 상기 제3높이보다 낮은 제4높이에 고정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는, 칫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높이와 상기 제2높이의 차이는, 상기 제3높이와 상기 제4높이의 차이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칫솔.
KR1020200014263A 2020-02-06 2020-02-06 칫솔 KR102293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263A KR102293483B1 (ko) 2020-02-06 2020-02-06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263A KR102293483B1 (ko) 2020-02-06 2020-02-06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369A KR20210100369A (ko) 2021-08-17
KR102293483B1 true KR102293483B1 (ko) 2021-08-25

Family

ID=77466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263A KR102293483B1 (ko) 2020-02-06 2020-02-06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348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9512B2 (ja) * 1998-04-20 2000-05-08 日本電気株式会社 ロータリエンコーダカウント装置およびロータリエンコーダカウント方法、並びに記録媒体
KR200223277Y1 (ko) 2000-11-13 2001-05-15 주식회사에스티월드 버팀력조절이 가능한 도어지지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133U (ja) * 1993-09-07 1995-03-28 信雄 石橋 歯ブラシ
JP3039512U (ja) * 1996-10-04 1997-07-22 俊夫 莊 歯ブラシの伸縮可能な回転毛を有するヘッド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9512B2 (ja) * 1998-04-20 2000-05-08 日本電気株式会社 ロータリエンコーダカウント装置およびロータリエンコーダカウント方法、並びに記録媒体
KR200223277Y1 (ko) 2000-11-13 2001-05-15 주식회사에스티월드 버팀력조절이 가능한 도어지지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369A (ko) 202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4927B2 (en) Brushhead for use with a non-Newtonian cosmetic composition
US5335389A (en) Plaque removing toothbrush
EP2460437A1 (en) Scalp washing device
KR102293483B1 (ko) 칫솔
JPH08236237A (ja) 電気的相互接続コンタクト装置
EP2708155A1 (en) Toothbrush
US20220211167A1 (en) Automatic Suction Cleaning Structure and Cleaner
RU2007122471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MX2021010607A (es) Implemento para el cuidado bucal.
JP2010167047A (ja) 電動式ブラシ装置
JP5717027B2 (ja) マッサージ具
EP1496574A2 (en) IC socket
CN109890247A (zh) 牙刷
JP2016123723A (ja) ヘアブラシ
KR20130032840A (ko) 칫솔
EP3539418A1 (en) Multi-sided vibrating and cleansing toothbrush
JP2010029352A (ja) キーボード清掃用ブラシ
JP2016220976A (ja) 頭皮洗浄用ブラシ
JP7506187B2 (ja) ブラシ
US5277594A (en) Connector
WO2003001943A1 (en) Improved toothbrush
JP2007301168A (ja) 人工皮膚
KR102120336B1 (ko) 인지재활장치
JPH0536870A (ja) Icソケツト
CN106108364A (zh) 洁齿刷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