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277Y1 - 버팀력조절이 가능한 도어지지기구 - Google Patents

버팀력조절이 가능한 도어지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277Y1
KR200223277Y1 KR2020000031648U KR20000031648U KR200223277Y1 KR 200223277 Y1 KR200223277 Y1 KR 200223277Y1 KR 2020000031648 U KR2020000031648 U KR 2020000031648U KR 20000031648 U KR20000031648 U KR 20000031648U KR 200223277 Y1 KR200223277 Y1 KR 2002232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lder
support
support bal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6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에스티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에스티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에스티월드
Priority to KR20200000316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2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2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277Y1/ko

Link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버팀력조절이 가능한 도어지지기구에 관한 본 고안은, 도어의 측변에 고정되며 중앙부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와; 외주에 수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암나사에 끼워져 고정부재에 대해 승강하며 내주면에 걸림턱이 마련된 파이프형태의 홀더와; 상기 홀더내에 승강가능하며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지지볼과, 상기 지지볼을 걸림턱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돌출된 지지볼을 수용하는 홈이 형성되며 문틀에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도어의 측변에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볼을 돌출되도록 설치하고, 문틀에는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지지볼을 수용하는 홈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를 구비하여,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에 일정 힘 이상의 힘을 가하여야 상기 지지볼이 지지플레이트로부터 이탈되어 비로소 도어가 열릴 수 있도록 도어에 버팀력을 제공하고, 특히 상기 지지볼의 돌출높이는 물론 지지볼이 홈에 가하는 탄성력을 조절하여 도어의 버팀력을 필요에 대응하도록 조절할 수 있고 도어와 문틀사이의 틈새폭이 다르다 하더라도 지지볼의 위치를 조절하여 대응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버팀력조절이 가능한 도어지지기구{Door supporting device which can control supporting force}
본 고안은 사람이 출입하는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지지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도어를 열기위해서는 일정힘 이상의 힘을 가해야 열릴 수 있도록 하는 버팀력을 도어에 제공하는 버팀력조절이 가능한 도어지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건물에 설치되는 각종 도어(door)는 그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구조 및 형태를 갖는다. 상기 도어는 기본적으로 실외와 구분된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도어에 여러가지 기능을 갖는 부속재를 설치하여 도어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 부속재로 공지의 도어체크(door check)를 예로 들 수 있는데 상기 도어체크는 도어가 항상 닫혀있도록 하여 실내로 바람이나 먼지등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막는다.
한편, 일반적인 도어에 있어서, 손잡이 내부에는 손잡이의 비틀림에 의해 연동하여 왕복이동하는 걸쇠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걸쇠는 평상시 도어의 측변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대기하며 도어를 완전히 닫을 경우 문틀의 홈에 삽입되고, 손잡이를 다시 돌리면 상기 홈으로부터 빠져 문을 당겨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도어에 따라서는 상기 걸쇠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도어도 있다. 이러한 도어는 닫혀있다 하더라도 손잡이를 돌리지 않고 밀거나 당기기만 하면 도어의 회동이 이루어져 열리는 도어이다.
그러나 상기 도어는 출입이 간편한 점이 있기는 하지만 외력에 의해 쉽게 열릴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강한 바람이 문으로 들이닥치면 도어가 바람에 밀려 벌어지고, 벌어진 틈새로 바람이나 먼지가 유입됨으로써 실내의 온습도나 청정도 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가 없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도어의 측변에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볼을 돌출되도록 설치하고, 문틀에는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지지볼을 수용하는 홈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를 구비하여,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에 일정 힘 이상의 힘을 가하여야 상기 지지볼이 지지플레이트로부터 이탈되어 비로소 도어가 열릴 수 있도록 도어에 버팀력을 제공하고, 특히 상기 지지볼의 돌출높이는 물론 지지볼이 홈에 가하는 탄성력을 조절하여 도어의 버팀력을 필요에 대응하도록 조절할 수 있고 도어와 문틀사이의 틈새폭이 다르다 하더라도 지지볼의 위치를 조절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된 버팀력조절이 가능한 도어지지기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팀력조절이 가능한 도어지지기구의 도어장착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요소들의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상기 도어장착부의 도어에 대한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팀력조절이 가능한 도어지지기구의 도어에 대한 설치 구조 및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팀력조절이 가능한 도어지지기구의 지지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도어장착부 12:고정부재
14:설치공 16:나사관통구
18:암나사 20:가압스크류
22:슬릿 24:스프링
26:지지볼 28:홀더
30:평면부 32:수나사
34:승강가이드부 36:홀더암나사
40:걸림턱 42:도어
44:장착홈 46:홀더삽입홈
48:나사 50:나사고정홈
52:문틀 54:지지플레이트
56:지지볼삽입홈 60:상측변
62:하측변 64:수직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어에 있어서 도어힌지가 고정되는 측변을 제외한 측변에 설치되어 도어에 일정힘 이상을 가해야만 도어가 열리도록 도어에 버팀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측변에 고정되며 중앙부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와; 외주에 수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암나사에 끼워져 축회전함으로써 고정부재에 대해 승강하여 측변으로부터의 돌출높이가 조절가능한 것으로 단부 내주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양단이 개방된 파이프형태의 홀더와; 상기 홀더내에 삽입되어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걸림턱에 걸린상태로 외부로 돌출되는 지지볼과; 상기 홀더내에 설치되어 지지볼을 걸림턱측으로 탄성가압하되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지지수단과; 상기 도어가 닫히는 문틀에 고정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돌출된 지지볼을 수용하는 반구형의 지지볼삽입홈이 만곡 형성된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더의 내주면에는 홀더암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수단은 지지볼을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홀더암나사에 끼워져 축회전함으로써 홀더내에서 이동이 가능하고 스프링을 가압하여 스프링으로 하여금 지지볼을 걸림턱측으로 탄성가압되도록 하는 가압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홀더의 단부 외주에는 고정부재에 대해 홀더를 잡아 회전시킬 수 있는 토오크전달부로서 적어도 한 쌍 이상의 평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스크류는 외주에 수나사가 형성된 원통형부재로서, 홀더에 대해 가압스크류를 회전시킬 수 있는 토오크전달부로서 가압스크류의 상면에 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도어지지기구는, 회동하는 도어의 측변에 설치되는 도어장착부(10)와, 도어가 닫히는 문틀에 상기 도어장착부(10)와 대응하도록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도 5의 54)가 하나의 세트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팀력조절이 가능한 도어지지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지지기구의 도어장착부(10)는 도어(도 3의 42)의 측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2)와, 상기 고정부재(12)에 나사결합하며 내부에는 지지볼(26)과 스프링(24) 및 가압스크류(20)를 수용하는 홀더(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12)는 사각플레이트 형태를 취하며 중앙에는 설치공(14)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설치공(14)의 내주면에는 암나사(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암나사(18)는 고정부재(12)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홀더(28)를 수직으로 지지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2)를 도어에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부재(12)의 네 귀퉁이부에는 나사관통구(16)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나사관통구(16)는 나사(도 3의 48)가 관통하는 구멍이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재(12)는 본 실시예에서 사각 플레이트 형태를 취하지만 홀더(28)를 수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한 그 형상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설치공(14)에 삽입되는 홀더(28)는 속이 비고 양단이 개방된 파이프형태의 부재로서 외주면에 수나사(3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홀더(28)는 고정부재(12)의 암나사(18)에 끼워져 축회전함에 따라 고정부재(12)에 대해 승강운동이 가능하다.
도면상 상기 홀더(28)의 하단부 외주에는 두 군데의 평면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평면부(30)는 홀더(28) 하단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평평한 부위로서 상호 평행하여 예를들어 스패너와 같은 공구에 물려 토오크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와같이 공구를 이용하여 고정부재(12)에 대해서 홀더(28)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고정부재(12)에 대한 홀더(28)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평면부(30)를 네 군데 형성할 수 도 있고 아예 홀더(28)의 하단부를 육각볼트와 같이 육각으로 형성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홀더(28)의 도면상 하단 내주면에는 걸림턱(40)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40)은 홀더(28) 내부에 수용된 지지볼(26)이 홀더(28)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지지볼(26)의 일부가 홀더(28)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턱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홀더(28)내에는 지지볼(26)과 스프링(24) 및 가압스크류(20)가 수용된다. 상기 지지볼(26)은 홀더(28)내부에서 이동이 가능하며 다만 걸림턱(40)에 의해 외부로 빠져나가지는 못한다. 상기 지지볼(26)은 금속이나 강화플라스틱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24)은 코일스프링으로서 지지볼(26)과 접하며 가압스크류(20)에 의해 눌려 지지볼(26)을 걸림턱(40)측으로 탄성가압한다.
한편, 상기 가압스크류(20)는 스프링(24)을 지지볼(26)측으로 가압하는 부재이다. 상기 가압스크류(2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홀더(28)의 내주면에는 홀더암나사(3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홀더(28)에 대해 가압스크류(20)를 회전시키면 지지볼(26)에 대한 가압스크류(20)이 거리가 조절되어 스프링(24)으로 하여금 지지볼(26)에 적절한 탄성가압력을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 가압스크류(20)의 상면에는 슬릿(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릿(22)은 예를 들어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홀더(28)에 대해 가압스크류(2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마련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슬릿(22)을 대신하여 가압스크류(20)의 상단에 육각너트와 같은 각을 형성하여 스패너와 같은 공구로 토오크를 전달시키도록 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요소들의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홀더(28)가 고정부재(12)의 설치공내에 삽입되어 있으며, 홀더(28)의 내부에는 지지볼(26)과 스프링(24) 및 가압스크류(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고정부재(12)에 대한 홀더(28)의 수직위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홀더(28) 단부 외주에 마련되어 있는 평면부(30)를 잡아 돌리면 홀더(28)가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므로 고정부재(12)에 대한 지지볼(26)의 수직위치를 걸정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홀더(28)에 대해 가압스크류(20)를 회전시키면 가압스크류(20)가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스프링(24)으로 하여금 지지볼(26)에 가하는 탄성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홀더(29)의 내주면은 가압스크류(20)를 위한 홀더암나사(36)와, 지지볼(26)의 원활한 승강운동을 가이드하는 평평한 승강가이드부(34)가 동시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가이드부(34)는 평형하게 가공된 내주면으로서 지지볼(26)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또한 상기 지지볼(26)이 화살표 e방향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지지볼(26)을 지지하는 걸림턱(40)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은 상기 도어장착부(10)가 도어(42)의 상측변(60)에 설치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지지기구는 도어에 있어서 도어힌지(미도시)가 고정되어 있는 측변을 제외한 다른 측변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며, 본 도면은 예를들어 도어의 상측변(60)에 설치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어(42)이 상측변(60)에 도어장착부(10)를 설치하기 위한 장착홈(44) 및 홀더삽입홈(4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홈(44)의 높이는 고정부재(12)의 두께와 같도록 하며 홀더삽입홈(46)은 고정부재(12)에 대해 하부로 최대로 이동한 홀더(28)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도록 깊게 형성한다.
상기 장착홈(44)의 네 귀퉁이부에는 각각 암나사가 형성된 나사고정홈(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고정홈(50)은 나사관통구(16)을 관통한 나사(48)가 삽입하여 고정되는 부위이다.
상기와 같은 장착홈(44)에 고정부재(12)를 올리고 나사(48)를 조이면 도어(42)에 대해 도어장착부(10)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 때 상기 홀더(28)에 대한 가압스크류(20)의 위치는 미리 결정되어 있어야 한다. 즉, 홀더(28)의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볼(26)의 상방향 탄성지지력이 미리 조절된 상태로 장착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홀더(28) 단부의 외주에 마련된 평면부(30)는 고정부재(12)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고정부재(12)에 대한 홀더(28)의 위치는 일단 장착이 된 후 상황에 맞게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팀력조절이 가능한 도어지지기구의 도어에 대한 설치 구조 및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어(42)의 상측변(60) 및 하측변(62)에 도어장착부(10)가 각각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도어의 측변을 감싸는 문틀(52)에 있어서 상기 도어장착부(10)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지지플레이트(54)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54)는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중앙부에 오목한 형태의 지지볼삽입홈(56)이 형성된 부재이다. 상기 지지플레이트(54)는 금속판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강화플라스틱으로 제작할 수 도 있다.
아울러 예를들어 도시한 바와같이, 도어의 상측변(60)과 문틀(52)간의 간격(d1)과 하측변(62)과 문틀간의 간격(d2)이 상호 다르더라도, 고정부재(12)에 대한 홀더(28)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지지기구는 도어와 문틀의 간격에 구애받지 않고 적절히 조절된 상태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42)에 도어장착부(10)를 장착한 후 도어의 상측변(60) 또는 하측변(62)에 대한 홀더(28)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일단 도어장착부(10)를 장착한 상태로 도어를 닫은 후 도어(42)와 문틀(52)간의 간격에 맞추어 홀더(28)를 화살표 c방향 또는 d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간격이 좁으면 홀더(28)를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 지지볼(26)이 지지볼삽입홈(56)내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며, 간격이 넓으면 고정부재(12)에 대해 홀더(28)를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지지볼(26)이 지지볼삽입홈(56)에 삽입되어 탄성력을 충분히 제공하도록 한다.
결국 상기와 같은 홀더(28)의 화살표 c 또는 d방향의 위치조절에 의해 도어(42)의 회동운동에 대항하는 버팀력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볼(26)이 제공하는 탄성력이 원하는 것보다 크거나 작을 경우에는 도어장착부(10)를 도어로부터 분리한 후, 가압스크류(20)를 회전시켜 도 2의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재 장착한다.
도 5는 상기 도어장착부(10)에 대향하도록 문틀(52)에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지지플레이트(54)의 중앙부에는 상기 지지볼(26)이 삽입되는 지지볼삽입홈(56)이 만곡되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네 귀퉁이부에는 예를들어 나사가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문틀에 지지플레이트(54)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장착부(10)를 도어의 상측변(60)과 하측변(62)에 위치시켰지만 실시예에 따라서 도어의 수직변(64)에 설치할 수 도 있고 또한 설치갯수도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버팀력조절이 가능한 도어지지기구는, 도어의 측변에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볼을 돌출되도록 설치하고, 문틀에는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지지볼을 수용하는 홈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를 구비하여,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에 일정 힘 이상의 힘을 가하여야 상기 지지볼이 지지플레이트로부터 이탈되어 비로소 도어가 열릴 수 있도록 도어에 버팀력을 제공하고, 특히 상기 지지볼의 돌출높이는 물론 지지볼이 홈에 가하는 탄성력을 조절하여 도어의 버팀력을 필요에 대응하도록 조절할 수 있고 도어와 문틀사이의 틈새폭이 다르다 하더라도 지지볼의 위치를 조절하여 대응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도어에 있어서 도어힌지가 고정되는 측변을 제외한 측변에 설치되어 도어에 일정힘 이상을 가해야만 도어가 열리도록 도어에 버팀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측변에 고정되며 중앙부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와;
    외주에 수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암나사에 끼워져 축회전함으로써 고정부재에 대해 승강하여 측변으로부터의 돌출높이가 조절가능한 것으로 단부 내주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양단이 개방된 파이프형태의 홀더와;
    상기 홀더내에 삽입되어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걸림턱에 걸린상태로 외부로 돌출되는 지지볼과;
    상기 홀더내에 설치되어 지지볼을 걸림턱측으로 탄성가압하되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지지수단과;
    상기 도어가 닫히는 문틀에 고정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돌출된 지지볼을 수용하는 반구형의 지지볼삽입홈이 만곡 형성된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력조절이 가능한 도어지지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내주면에는 홀더암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수단은 지지볼을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홀더암나사에 끼워져 축회전함으로써 홀더내에서 이동이 가능하고 스프링을 가압하여 스프링으로 하여금 지지볼을 걸림턱측으로 탄성가압되도록 하는 가압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력조절이 가능한 도어지지기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단부 외주에는 고정부재에 대해 홀더를 잡아 회전시킬 수 있는 토오크전달부로서 적어도 한 쌍 이상의 평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력조절이 가능한 도어지지기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스크류는 외주에 수나사가 형성된 원통형부재로서, 홀더에 대해 가압스크류를 회전시킬 수 있는 토오크전달부로서 가압스크류의 상면에 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력조절이 가능한 도어지지기구.
KR2020000031648U 2000-11-13 2000-11-13 버팀력조절이 가능한 도어지지기구 KR2002232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648U KR200223277Y1 (ko) 2000-11-13 2000-11-13 버팀력조절이 가능한 도어지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648U KR200223277Y1 (ko) 2000-11-13 2000-11-13 버팀력조절이 가능한 도어지지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277Y1 true KR200223277Y1 (ko) 2001-05-15

Family

ID=73060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648U KR200223277Y1 (ko) 2000-11-13 2000-11-13 버팀력조절이 가능한 도어지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27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417B1 (ko) 2007-11-13 2008-10-08 박정식 적재물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작업대차
KR101565309B1 (ko) * 2015-06-22 2015-11-03 정재항 사물함용 잠금장치
KR200493895Y1 (ko) * 2020-02-05 2021-06-24 주식회사 위너텍 살균 기능을 갖춘 칫솔걸이
KR20210100369A (ko) * 2020-02-06 2021-08-17 김방목 칫솔
KR102326605B1 (ko) * 2020-09-16 2021-11-12 황정연 도어용 피벗힌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417B1 (ko) 2007-11-13 2008-10-08 박정식 적재물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작업대차
KR101565309B1 (ko) * 2015-06-22 2015-11-03 정재항 사물함용 잠금장치
KR200493895Y1 (ko) * 2020-02-05 2021-06-24 주식회사 위너텍 살균 기능을 갖춘 칫솔걸이
KR20210100369A (ko) * 2020-02-06 2021-08-17 김방목 칫솔
KR102293483B1 (ko) 2020-02-06 2021-08-25 김방목 칫솔
KR102326605B1 (ko) * 2020-09-16 2021-11-12 황정연 도어용 피벗힌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7589B2 (en) Door catch
US5983972A (en) Bearing structure for vertical blinds and roller shades
KR200223277Y1 (ko) 버팀력조절이 가능한 도어지지기구
KR101077656B1 (ko) 수납장 플랫도어의 상하 개폐용 힌지
KR101873772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KR200190938Y1 (ko) 자동 록킹기능을 갖는 도어 힌지장치
KR101730775B1 (ko) 슬라이드 도어용 도어 높이 조절장치
CA2147306A1 (en) Security grill lock assembly
US6138740A (en) Bearing structure for vertical blinds and roller shades
US6681809B2 (en) Device for bending an extremity of a torsional spring
KR100687540B1 (ko) 힌지 장치
KR102099160B1 (ko) 플로어 힌지의 하부 피봇 위치 조절 장치
KR100456819B1 (ko) 천정점검구
US4654928A (en) Adjustable friction block and tackle window balance system
EP1061219A1 (en) Hinge for casements
KR100376254B1 (ko) 미닫이문용 록킹장치
GB2134593A (en) Door closing devices
KR200235937Y1 (ko) 높이조절형롤러
KR200266300Y1 (ko) 이동식 절첩문의 하부슬라이드 롤러
EP3575529A1 (en) Pulley device
CN216043456U (zh) 一种卷帘门一键电动升降装置
KR100530838B1 (ko) 자동도어 개폐장치용 도어행거
KR20200133641A (ko) 도어용 잠금장치
KR100415805B1 (ko) 미닫이문 프리스톱 장치
JPH08284518A (ja) 折戸の軸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