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2840A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2840A
KR20130032840A KR1020120105295A KR20120105295A KR20130032840A KR 20130032840 A KR20130032840 A KR 20130032840A KR 1020120105295 A KR1020120105295 A KR 1020120105295A KR 20120105295 A KR20120105295 A KR 20120105295A KR 20130032840 A KR20130032840 A KR 20130032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er
toothbrush
matrix
individual
brist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8967B1 (ko
Inventor
이팔형
Original Assignee
이팔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팔형 filed Critical 이팔형
Priority to PCT/KR2013/00050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046350A1/ko
Priority to JP2015532939A priority patent/JP2015532850A/ja
Priority to CN201380049478.7A priority patent/CN104684438B/zh
Publication of KR20130032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967B1/ko
Priority to US14/665,227 priority patent/US978864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25Brushes with elastically deformable heads that change shape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6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movably during use, i.e. the normal brushing action caus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95Removable or interchangeable brush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2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 an expanding or articulating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4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terchangeably removable bristle carriers

Abstract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칫솔모가 식모된 식모체가 칫솔의 헤더 내에서 치아 형태에 따라 상하, 좌우로 탄성이동하면서 치아와 칫솔모의 접촉면적 증대 및 마찰력을 보다 높여 치태제거 효과를 극대화시켜서 구강위생에 보다 일조할 수 있도록 한 칫솔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칫솔(1)은 칫솔의 헤더(2)에 상하 방향으로 하나 이상 관통된 통공(3)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3)의 내부에서는 칫솔모(4)가 식립된 식모체(5)가 칫솔의 헤더(2)와 분리가 되지 않도록 한 부분 이상에서 연결이 되고 상기 식모체(5)는 헤더(2)안에서 상하, 좌우로 탄성이동이 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칫솔은 칫솔모가 식립된 식모체를 헤더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서 헤더 안에서 자유롭게 상하, 좌우로 탄성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서 치아의 다양한 형태에 적합하도록 식모체가 탄성이동하면서 칫솔질을 행하도록 하여 치아와 칫솔모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하여 칫솔질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구강위생에도 일조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칫솔{TOOTHBRUSH}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칫솔모가 식모된 식모체가 칫솔의 헤더 안에서 치아 형태에 따라 상하나 좌우로 탄성이동하면서 치아와 칫솔모의 접촉면적 증대 및 마찰력을 보다 높여 칫솔질로 인한 치태와 음식물 잔사의 제거 효과를 극대화하고 구강위생에 보다 일조할 수 있도록 한 칫솔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칫솔은 평판형으로 이루어진 헤더에 브러시로 이루어진 칫솔모가 일정 간격으로 식모되며, 치아의 굴곡면에 따라 밀착성을 높여 칫솔질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칫솔모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하여 높낮이를 조정하거나, 직경을 굵고 가늘게 하거나 다양한 모양으로 배치를 하는 등 다양한 방안이 강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칫솔은 칫솔모가 고정된 평판형 헤더에 식모가 이루어지므로 칫솔질을 할 때에 치아의 형태에 따라 칫솔모가 밀착되지 못하고 접촉면적이 작아 마찰력도 저하되며, 그로 인해 칫솔질을 할 때에 치아 표면에 균일하게 칫솔모의 마찰력이 작용하지 못하여 칫솔질의 효과가 반감될 수밖에 없었는바,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칫솔이 가진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인이 앞서 출원한 발명(특허출원번호 10-2010-0025447)에서는 독립적으로 개별 제작된 식모체가 칫솔의 헤더 안에서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하방의 탄성부재와 접착이 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제작이 되어서 칫솔질을 할 때에 식모체가 헤더 안에서 탄성부재에 의해서 상하좌우전후방으로 탄성작동을 하도록 한 방법으로 칫솔모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도록 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는 식모체와 칫솔의 헤더를 분리시키지 않고서 하나의 단일 재질로 일체화시켜서 칫솔 사출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제작단가를 절감할 수가 있고, 기존의 방법보다 더 간편하게 탄성작동이 가능한 칫솔을 제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칫솔질을 할 때에 칫솔의 칫솔모가 치아의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접촉면적이 균일화될 수 있도록 하여 칫솔모와 치아의 마찰력 증대로 인해 치태제거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또한 제작공정이 단순해짐으로써 칫솔의 가격이 낮아져서 모든 사람들이 저렴한 가격으로 이러한 기능성 칫솔을 구입하여 치아와 잇몸의 건강에 효과적으로 구강위생 건강증진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류의 구강건강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칫솔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칫솔은 칫솔의 헤더(header)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통공을 형성하고, 통공 내부에서 칫솔모가 식립된 식모체가 칫솔의 헤더 안에서 헤더와 전방 후방의 상부나 하부에서 한 개 부분이상 부분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헤더와 좌측 우측의 상부나 하부에서 한 개 부분이상 부분적으로 연결되거나 전방 후방 좌측 우측의 상부나 하부에서 두 개 부분이상 부분적으로 연결되어 칫솔질을 할 때에 식모체가 칫솔의 헤더 안에서 상하나 좌우로 탄성이동이 가능하게 하여 치아의 형태에 따라 칫솔모가 탄성이동하면서 접촉면적을 최대화시켜 마찰력 증대로 인한 칫솔질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칫솔은 칫솔모가 식립된 식모체를 칫솔의 헤더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통공 내부에 설치하고, 상기의 식모체는 칫솔의 헤더 안에서 헤더와 전후방의 상하부에서 부분 연결되거나 좌우의 상하방에서 부분 연결이 되거나 전후좌우에서 부분 연결이 되게 하고 또한 기능적으로 탄성작동이 가능한 식모체와 칫솔대를 가진 칫솔을 한 번에 사출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작단가를 낮출 수도 있다. 또한 본 칫솔은 칫솔질을 할 때에 식모체가 상하나 좌우로 탄성작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치태를 제거할 때에 치아와 칫솔모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하여 칫솔질의 효과 또한 극대화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구강위생에도 일조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칫솔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a,2b,2c,2d,2e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칫솔의 요부를 발췌한 평면도
도 3a,3b,3c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칫솔의 요부를 발췌한 정단면도
도 3d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칫솔의 요부를 발췌한 저면투시도
도 4a, 4b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칫솔의 요부를 발췌한 평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칫솔의 요부를 발췌한 저면투시도
도 5b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탄성부재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칫솔의 상하좌우 탄성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용상태 좌측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의 칫솔(1)은 도 1에서 보시는 것처럼 칫솔의 헤더(2)의 상하 방향으로 통공(3)을 관통되게 형성하지만 상기 통공(3)은 식모체(5)와 헤더(2) 사이에서 한 개 이상의 관통을 형성하고, 통공(3)의 내부에서는 칫솔모(4)가 식립된 식모체(5)와 칫솔의 헤더(2)가 일체형으로 연결이 되도록 식모체(5)가 칫솔의 헤더(2) 안에서 전방 후방 또는 좌측 우측의 상부나 하부에서 여러 가지 형태의 선이나 면, 봉의 모양을 가진 한 개 이상의 연결부(6)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연결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헤더(2)의 통공(3)이 헤더(2)의 안쪽에서 식모체(5)의 앞뒤좌우 둘레에서 필요로 하는 부분이나 길이만큼 한 개 이상의 부분으로 관통을 하고 이때에 식모체(5)와 헤더(2)가 서로 떨어지지 않고 일체형이 되도록 선, 면, 봉의 모양을 가진 연결부(6)를 한 개 이상 부분적으로 남겨서 통공(3)이 관통을 함으로써 연결부(6)의 위치와 모양, 수에 따라서 칫솔질을 할 때에 식모체(5)가 헤더(2)의 안쪽에서 여러 방향으로 탄성작동을 하면서 치아와 칫솔모(4)의 접촉면적 증대 및 마찰력을 보다 높여 치태제거 효과를 높일 수가 있으며 구강위생에 보다 일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상기와 같이 칫솔을 구성함으로써 칫솔질을 할 때에 손목에서 받은 여러 방향의 힘에 의해서 칫솔모(4)가 치아의 형태에 따라서 먼저 움직이게 되고 따라서 이차적으로 칫솔모(4)가 식립된 식모체(5)가 힘을 받게 된다. 결과적으로 그 힘에 의해서 연결부(6)가 일시적으로 뒤틀리게 되고 동시에 그 힘은 연결부(6)에 응축이 되어서 순간적으로 원상회복하려는 탄성복원력으로 작용함으로써 식모체(5)가 상하좌우로 탄성작동을 하면서 치아와 칫솔모(4)의 접촉면적 증대 및 마찰력을 보다 높여 치태와 음식물 잔사 제거 효과를 높일 수가 있으며 구강위생에 보다 일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헤더(2)에 형성되는 통공(3)은, 칫솔모(4)가 식립이 되는 식모체(5)의 둘레 보다는 넓게 형성이 되며, 상기 식모체(5)는 칫솔의 헤더(2)의 통공 내부에서 헤더(2)와 분리되지 않은 채로 전방 후방의 상방이나 하방에서 혹은 좌측 우측의 상방이나 하방에서 또는 전방 후방 좌측 우측의 상방이나 하방에서 여러 가지 굵기와 선, 면, 봉 등의 여러 가지 모양을 가진 연결부(6)에 의해서 식모체(5)와 헤더(2)는 한 개 이상의 부분에서 연결이 되도록 하여, 기존의 방법처럼 식모체(5)의 탄성작동을 위해서 이중사출방법이나 고주파 접착 등의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의 발명은 칫솔을 제작할 때에 단사출 방법도 사용함으로써 작업시간을 절감하고 동시에 금형비와 재료비를 절감할 수가 있는 많은 장점이 있으며 또한 칫솔을 사출을 할 때에 동시에 헤더(2)와 헤더(2)의 통공(3)내에 형성이 되어있는 식모체(5)를 만들 수가 있는 것이다.
하나의 실시예로써 도 2a의 예시에서 보시는 것처럼 연결부(6)가 헤더(2)와 식모체(5) 사이의 전후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도 2b의 실시예에서는 연결부(6)가 헤더(2)와 식모체(5) 사이의 좌우측에 위치를 하고 있고, 도 2c의 실시예에서는 식모체(5)를 두 부분으로 나누었으며, 도 2d의 실시예에서는 식모체(5) 안에서 필요한 부분만 잘라서 부분식모체(9)를 만들었는데 부분식모체(9)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또는 여러 가지 모양으로 만들 수가 있으며, 도 2e의 실시예에서는 헤더(2)와 식모체(5) 사이의 전방의 한 부분에 연결부(6)를 위치시키고 칫솔질을 할 때에 식모체(5)의 움직임의 폭을 필요에 따라서 제한할 수 있도록 헤더(2)에 볼록돌기(10)를, 식모체(5)에는 이에 대응을 하는 오목홈(11)을 형성하는 등 위와 같이 필요에 따라서 수많은 방법을 적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3a와 도 3b의 실시예의 단면도에서 보시는 것처럼 연결부(6)가 헤더(2)와 식모체의 전방 후방에서 상부나 하부에서 부분적으로 연결되고, 도 3c의 예시에서는 상기 식모체(5)가 칫솔의 헤더(2) 안에서 연질 합성수지재, 실리콘, 합성고무 중 선택된 하나의 재질로 된 탄성연결부재(8)를 통하여 이중사출이나 고주파접착 등 여러 가지 방법 중 하나로 연결되어서 칫솔질을 할 때에 헤더(2) 내에서 움직이는 식모체(5)의 탄성력을 보다 강화시킨 것을 보여주고 있는 단면도를 나타내었으며 도 3d는 탄성연결부재(8)가 적용되었을 때의 칫솔(1) 하부의 투시도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러한 탄성연결부재(8)는 도 3b에서 적용한 것과 마찬가지로 위에 상술한 도 1, 도 2a, 도 2b, 도 2c, 도 2d, 도 4a, 도 4b, 도 5a의 예시에서도 적용할 수 있으며 식모체(5)의 탄성이 필요한 부분에 탄성연결부재(8)의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다.
도 4a의 예시에서 4열의 예를 기준으로 했을 때의 경우를 보면 탄성작동을 위해서 식모체(5)를 4개의 개별식모체(13a)~개별식모체(13d)로 구분을 하여 가로 방향으로 분리를 하였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세로방향으로 개별 분리도 가능하다. 따라서 위의 예에서 보시는 것처럼 필요에 따라서는 양쪽으로 1열 두 개와 중앙의 2열 두 개로 구분하여 3부분으로 분절을 하여 양쪽부위만 탄성작동 하도록 하거나 양쪽 부위는 그대로 둔 채로 중앙의 2열만 분리하여 중앙열 부위만 탄성작동 하게 할 수도 있으며, 양쪽 2열씩 2부분으로 분절을 하여 2열씩 탄성작동 하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세로로 분절이 필요할 경우에는 가로의 분절에서 사용한 것처럼 필요에 따라서 다양하게 세로 분절을 시행하여 탄성작동 하도록 할 수가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식모체(5)의 중앙부분만 사각형 형태로 분절을 하여 그 부분만 움직이게 할 수도 있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본 발명의 도 4a의 예시에서 보시는 것처럼 가로 4열로 칫솔모가 식모가 되었을 경우에 예를 들어서 말하고 있으며 4부분으로 분절이 되어진 각각의 개별식모체(13)는 칫솔의 헤더(2)의 통공 내부에서 상하부 또는 상부나 하부에서 헤더(2)에 전후방으로 여러 가지 형태의 선이나 면의 모양으로 가늘게 부분적으로 연결되어서 칫솔질을 할 때에 개별식모체(13)가 칫솔의 헤더(2) 내에서 좌우로 탄성작동을 하도록 하였다. 또한 여기에서 식모체(5)를 분절하거나 분리한다고 하는 글의 의미는 이글의 내용 흐름상 식모체(5)와 헤더(2) 간의 연결이 없는 완전한 절단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여기에서는 글의 의미상 해석으로 볼 때에 식모체(5)가 헤더(2)에 한 개 이상의 부분에서 연결부(6)로 연결이 되어 있다는 것을 말한다는 것으로 분명히 명시를 하고자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개별식모체(13a)~개별식모체(13d)들의 사이에 상호 핀 형상으로 이루어진 수개의 탄성연결부재(8)를 부분적으로 고무사출을 하거나, 고주파 접착 등의 방법으로 고정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헤더(2)의 형상은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상에서 볼 때에 직사각형은 물론 장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헤더(2)의 형상이 장타원형으로 이루어질 경우 통공(3) 및 식모체(5)의 형상 역시 장타원형으로 이루어지게 제작토록 할 수 있다.
도 4b에서는 개별식모체(13)를 다시 한 개 또는 그 이상 필요한 개수만큼의 식모공을 가진 개별부분식모체(12)로 자르고 개별부분식모체(12)의 전후좌우에서 서로 한 개 이상의 연결부(6)로 연결이 되어 헤드(2)내에서 격자형으로 많은 개별부분식모체(12)를 형성하여 헤드(2)내에서 탄성작동 할 수도 있는데 이를 보다 더 자세하게 설명을 하자면 상기 개별식모체(13)를 한 개 이상의 식모공을 가진 개별부분식모체(12)로 여러 개 나누고, 헤더(2)안에 형성이 된 통공(3)에서 한 개 이상의 식모공을 가진 개별부분식모체(12)는 각각의 개별부분식모체(12)의 전후좌우측에서 서로 한 개 이상의 연결부(6)로 연결이 되도록 하고 특히 개별식모체(13a)와 개별식모체(13d)를 나눈 개별부분식모체(12)들은 그림에서 보시는 것처럼 헤드(2)와 측면으로 연결부(6)에 의해서 연결되어 질 수도 있다. 따라서 여러 개로 나뉘어진 개별부분식모체(12)들은 칫솔 헤더(2) 내부에서 서로 그물망처럼 연결이 되어서 탄성작동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도 5a의 예시에서는 헤더(2)와 식모체(5)의 탄성력을 보다 강화시키기 위해서 강화부재(7)를 사용한 것을 예시하였으며, 도 5b의 예시에서는 여러 가지의 강화부재(7)를 나타내고 있는데, 칫솔질을 할 때에 헤더(2) 내에서 움직이는 식모체(5)의 탄성력을 보다 강화시키기 위해서 사출을 하기 전에 인체에 무해한 여러 가지 재질과 종류의 강화부재(7)를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직사각형의 얇은 판스프링이나 머리핀 모양의 이중철사나 여러 가닥으로 꼬여진 철사, 코일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서 헤더(2)와 식모체(5)가 연결이 되어진 상부나 하부에 가로나 세로로 금형틀 안에 고정을 시켜 칫솔 사출을 하거나 칫솔을 사출한 후에 강화부재(7)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서 헤더(2)와 식모체(5)에 끼워 넣음으로써 칫솔질을 할 때에 보다 더 식모체(5)의 탄성작동이 확실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6의 예시에서는 헤더(2) 안에서 전방 또는 후방에서 헤더(2)에 한 개의 연결부(6)로 연결된 식모체(5)가 좌우로 탄성작동하는 모습을 단면도로 나타내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칫솔(1)을 사용하여 칫솔질을 행하게 되면 치아의 형태에 따라 칫솔모(4)가 식립된 식모체(5)가 상하나 좌우로 탄성이동을 하면서 칫솔모(4)와 치아의 접촉면적이 극대화되어서 보다 효과적인 칫솔질을 수행할 수 있는 바, 이는 칫솔모(4)가 식립된 식모체(5)가 헤더(2)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식모체(5)는 헤더(2)에 형성된 통공(3) 보다 가로, 세로 폭이 짧아 칫솔질을 할 때에 헤더(2) 내에서 상하나 좌우로 탄성작동을 하는 식모체(5)의 유격을 확보해 주어 칫솔질을 할 때에 식모체(5)가 탄성이동하게 되어 칫솔모(4)가 치아의 형태에 따라 이동하면서 접촉면적 증대 및 마찰력을 높여 칫솔질의 효과를 배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칫솔 2: 헤더 3: 통공 4: 칫솔모 5: 식모체 6: 연결부 7: 강화부재
8: 탄성연결부재 9: 부분식모체 10: 볼록돌기 11: 오목홈
12: 개별부분식모체 13(13a~13d): 개별식모체

Claims (8)

  1. 칫솔(1)의 헤더(2)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통공(3)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3)은 식모체(5)와 칫솔 헤더(2)가 분리되지 않도록 식모체(5)의 전후좌우 둘레에서 필요한 부분과 길이만큼 한 개 이상 관통을 하고,
    상기 식모체(5)와 헤더(2)는 한 개 이상 연결부(6)에 의해 연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체(5)는 헤더(2) 안에 형성이 된 통공(3)에서 헤더(2)와 전후좌우에서 두 개 이상의 연결부(6)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체(5)는 다수개의 개별식모체(13)으로 구성하고,
    상기 개별식모체(13)는 헤더(2) 안에 형성이 된 통공(3)에서 헤더(2)와 각각 전후좌우에서 한 개 이상의 연결부(6)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식모체(13)를 한 개 이상의 식모공을 가진 개별부분식모체(12)로 나누고,
    헤더(2) 안에 형성이 된 통공(3)에서 한 개 이상의 식모공을 가진 개별부분식모체(12)는 서로 한 개 이상의 연결부(6)로 연결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식모체(13)를 서로 간에 핀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질 합성수지재, 실리콘, 합성고무 중 선택된 하나의 재질로 된 탄성연결부재(8)로 부분적으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6. 제 1 항에 있어서;
    헤더(2)와 분리시키지 않은 식모체(5)의 내부에 부분식모체(9)를 형성하고,
    상기 부분식모체(9)의 전후좌우에서 한 개 이상의 연결부(6)로 식모체(5)와 연결하여 상기 부분식모체(9)가 식모체(5)의 내부에서 탄성작동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7.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체(5)가 칫솔의 헤더(2) 내에의 식모체(5)의 탄성작동을 보강하기 위해서 판스프링, 이중철사, 꼬여진 철사, 코일 스프링 중 선택된 하나의 강화부재(7)로 식모체(5)와 칫솔의 헤더(2)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8.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체(5)가 칫솔의 헤더(2)와 하부에서 연질 합성수지재, 실리콘, 합성고무 중 선택된 하나의 재질로 된 탄성연결부재(8)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1020120105295A 2011-09-23 2012-09-21 칫솔 KR101388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0504 WO2014046350A1 (ko) 2012-09-21 2013-01-22 칫솔
JP2015532939A JP2015532850A (ja) 2012-09-21 2013-01-22 歯ブラシ
CN201380049478.7A CN104684438B (zh) 2012-09-21 2013-01-22 牙刷
US14/665,227 US9788642B2 (en) 2011-09-23 2015-03-23 Toothbru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537 2011-09-23
KR20110096537 2011-09-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840A true KR20130032840A (ko) 2013-04-02
KR101388967B1 KR101388967B1 (ko) 2014-05-14

Family

ID=48435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295A KR101388967B1 (ko) 2011-09-23 2012-09-21 칫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88642B2 (ko)
KR (1) KR1013889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5325A (ko) * 2016-10-11 2016-10-31 주식회사 네오비 칫솔
CN107427122A (zh) * 2015-03-28 2017-12-01 Neob株式会社 牙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1184A (ko) 2014-12-11 2016-06-21 이경민 어린이용 칫솔
KR101697244B1 (ko) 2015-04-09 2017-01-17 주식회사 네오비 칫솔
KR101695177B1 (ko) 2016-08-12 2017-01-11 민호영 손잡이의 각도 및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칫솔
KR20230070402A (ko) 2021-11-14 2023-05-23 박효문 칫솔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18341A (en) * 1921-07-14 1924-12-09 F R A G Corp Fountain toothbrush
US2266195A (en) * 1938-12-13 1941-12-16 Hallock Robert Lay Toothbrush
US2706825A (en) * 1954-04-02 1955-04-26 Amoron R Blakeman Toothbrush
SE349228B (ko) * 1970-04-06 1972-09-25 Gh Teknik Ab
JPS5620989Y2 (ko) * 1976-07-07 1981-05-18
US4227276A (en) * 1979-02-07 1980-10-14 Ginsburg Stephen J Toothbrush with thermally deformable handle
KR100210638B1 (ko) 1991-03-27 1999-07-15 만후 레드 쉐스케 헤드에 유연 연결 영역을 갖는 칫솔
US5398366A (en) * 1991-03-29 1995-03-21 Bradley; Terry Rocker toothbrush
US5524319A (en) * 1995-05-31 1996-06-11 Avidor; Joseph Toothbrush having spring-mounted bristle holders
GB9606900D0 (en) * 1996-04-02 1996-06-05 Unilever Plc Toothbrush
US5839149A (en) * 1996-08-26 1998-11-24 Scheier; Paul A. Toothbrush with resilient flexible bristle support
US6088870A (en) 1999-02-10 2000-07-18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head with flexibly mounted bristles
KR100326594B1 (ko) * 2000-01-24 2002-03-12 노정식 회동식 칫솔
US6550095B2 (en) * 2000-02-11 2003-04-22 Wynter Shynet Hawkins Flex detach toothbrush
JP2002051838A (ja) 2000-08-09 2002-02-19 Lion Corp 歯ブラシ
US6487748B1 (en) * 2000-08-30 2002-12-03 Jonathan Dardar Toothbrush with replaceable head
IL144053A0 (en) * 2001-06-28 2002-12-01 Medic Nrg Ltd Improved toothbrush
US6704965B2 (en) * 2001-10-22 2004-03-16 Hasan Al Ale Toothbrush with removable brushing members
DE10164336A1 (de) * 2001-12-28 2003-07-17 Trisa Holding Ag Triengen Zahnbürst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Zahnbürste
WO2003099062A1 (fr) * 2002-05-27 2003-12-04 Temuko Co., Ltd. Brosse a dents
US20040194238A1 (en) * 2003-01-14 2004-10-07 Letendre Robert P. Toothbrush having multiple selectable brushing surfaces
US20060272112A9 (en) * 2003-03-14 2006-12-07 The Gillette Company Toothbrush
US8281448B2 (en) * 2005-10-24 2012-10-09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having one or more moving sections
US20080104785A1 (en) * 2006-11-02 2008-05-08 Robinson Dane Q Bristle assembly for a brush and related method
KR100814127B1 (ko) 2007-03-15 2008-03-14 이팔형 칫솔
KR101184337B1 (ko) 2010-03-22 2012-09-24 이팔형 칫솔
EP2436283B1 (en) * 2010-09-29 2016-08-24 Braun GmbH Brush head manufacturing method
US8448287B2 (en) * 2010-10-22 2013-05-28 Mcneil-Ppc, Inc. Replaceable toothbrush head
US8590095B2 (en) * 2011-02-10 2013-11-26 Ranir, Llc Toothbrush with movable head por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27122A (zh) * 2015-03-28 2017-12-01 Neob株式会社 牙刷
KR20160125325A (ko) * 2016-10-11 2016-10-31 주식회사 네오비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89978A1 (en) 2015-07-09
US9788642B2 (en) 2017-10-17
KR101388967B1 (ko) 201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1932B2 (en)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KR101388967B1 (ko) 칫솔
RU2381730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JP5970540B2 (ja) 歯ブラシ
AU2010227072B2 (en) Toothbrush
JP6509902B2 (ja) オーラルケア器具用のヘッド
US7549186B2 (en) Toothbrush
KR101184337B1 (ko) 칫솔
US10433635B2 (en) Toothbrush
WO2014046350A1 (ko) 칫솔
CN105263359A (zh) 用于口腔护理工具的头部
JP3152717U (ja) 歯ブラシ
JPH0975135A (ja) 歯ブラシ
US20150150365A1 (en) Integral brush with no gaps between cleaning assembly and handle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JP3192049U (ja) 歯ブラシ
KR102553647B1 (ko) 칫솔
KR200467404Y1 (ko) 칫솔
KR101741486B1 (ko) 칫솔 헤드
KR101218711B1 (ko) 칫솔
KR200481294Y1 (ko) 상,하로 움직이는 측면식모판을 구비한 칫솔
CN202222686U (zh) 一种牙刷
JP2009000483A (ja) 全歯周歯ブラシの製造法
KR20230027310A (ko) 칫솔
JPH09182627A (ja) 歯ブラシ
JPH08332117A (ja) 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