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677B1 -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677B1
KR102291677B1 KR1020197010771A KR20197010771A KR102291677B1 KR 102291677 B1 KR102291677 B1 KR 102291677B1 KR 1020197010771 A KR1020197010771 A KR 1020197010771A KR 20197010771 A KR20197010771 A KR 20197010771A KR 102291677 B1 KR102291677 B1 KR 102291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section
shuttle bus
flow amount
person
shu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0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4122A (ko
Inventor
멍 장
Original Assignee
바이두 온라인 네트웍 테크놀러지 (베이징)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두 온라인 네트웍 테크놀러지 (베이징)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바이두 온라인 네트웍 테크놀러지 (베이징)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54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06Q10/047Optimisation of routes or paths, e.g. travelling salesman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S100) 지도의 위치 확인 데이터에 따라, 현재 구역의 각 도로 구간에서의 각 시간대의 제1 사람 유동량을 획득하는 단계; (S101) 버스에서의 카드 찍은 데이터에 따라, 각 도로 구간에서의 각 시간대의 버스가 운송한 제2 사람 유동량을 획득하는 단계; (S102) 각 도로 구간에서의 각 시간대의 제1 사람 유동량 및 대응되는 버스가 운송한 제2 사람 유동량, 단일 선로의 최대 이정 및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에 따라, 셔틀버스의 노선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지능화의 방식을 통해 셔틀버스 노선을 설정할 수 있는 바, 기존 기술의 셔틀버스 노선을 인공으로 설정하는 방식과 비교하면, 시간과 힘을 절약할 뿐만 아니라, 설정되는 셔틀버스 노선이 더 정확하며, 버스 운송에 대한 효과적인 분류를 진정으로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
본 출원은 출원일이 2016년 09월 29일이고, 출원번호가 201610866548.3이며 발명의 명칭이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방법 및 장치”인 중국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전자 버스 처리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도시화의 발전에 따라, 도시에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밀려들어, 도시 교통이 도시에서 하나의 매우 중요한 문제로 된 것을 초래하였다.
현재의 도시에서, 지상 교통은 주로 버스를 이용한다. 버스의 설치는 통상적으로 도시의 주요 사무 장소와 엔터테인먼트 쇼핑 장소 등을 둘러싼다. 직장인인 사용자는 통상적으로 버스를 타는 것을 통해 출근 지점에 갈수 있고, 귀가할 수도 있으며, 일부 대형 엔터테인먼트 쇼핑 장소 등에 갈 수도 있다. 그러나, 출퇴근 고봉기일때, 대부분의 사용자의 출행 시간이 비교적 밀집되고, 정해진 시간에 따라 디스패치(dispatch, 버스를 관리하고 배치하는 것)되는 버스에 의해 운송되는 승객의 수는 제한되어 있어, 통상적으로 버스 정류장에 대량의 승객이 체류되는 것을 초래할 수 있다. 당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 기술에서, 버스 디스패칭 메인 스테이션은, 버스를 증가하는 것을 통해 체류된 승객을 데려간다. 그러나 증가되는 버스 노선이 고정되고, 체류되는 승객이 모두 같은 버스의 노선에 있다고 할수 없기에, 이에 따라 승객이 체류되는 문제를 진정으로 해결하지 못한다. 이 외에, 기존 기술에서, 인공적인 방식을 통해 체류된 승객이 비교적 많은 버스 정류장을 선별하여 셔틀버스 노선을 형성하여, 셔틀버스를 개설하는 것을 통해 사람 유동량을 분담할 수도 있다.
그러나, 기존 기술에서, 인공적인 방식으로 설정하는 셔틀버스 노선은, 정확성이 매우 부족하다.
본 발명은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여, 지능화의 셔틀버스 노선의 설정 방식을 제공하는데 사용하며, 셔틀버스 노선 기획의 정확성을 향상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바, 상기 방법은,
지도의 위치 확인 데이터에 따라, 현재 구역의 각 도로 구간에서의 각 시간대의 제1 사람 유동량을 획득하는 단계;
버스에서의 카드 찍은 데이터에 따라, 각 상기 도로 구간에서의 각 상기 시간대의 버스가 운송한 제2 사람 유동량을 획득하는 단계;
각 상기 도로 구간에서의 각 상기 시간대의 제1 사람 유동량 및 대응되는 버스가 운송한 제2 사람 유동량, 단일 선로의 최대 이정 및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에 따라, 셔틀버스의 노선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 선택 가능하게, 상기와 같이 기술한 방법에서, 각 상기 도로 구간에서의 각 상기 시간대의 제1 사람 유동량 및 대응되는 버스가 운송한 제2 사람 유동량, 단일 선로의 최대 이정 및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에 따라, 셔틀버스의 노선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각 상기 도로 구간에서의 각 상기 시간대의 상기 제1 사람 유동량 및 대응되는 버스가 운송한 상기 제2 사람 유동량에 따라, 각 상기 도로 구간에서의 각 상기 시간대의 남은 제3 사람 유동량을 확정하는 단계;
각 상기 도로 구간에서의 각 상기 시간대로부터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이 최대일 경우에 대응되는 목표 시간대 및 대응되는 제1 목표 도로 구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각 상기 도로 구간의 상기 제3 사람 유동량 및 상기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에 따라,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각 상기 도로 구간에 가중치를 설치하는 단계;
현재 도로 구간을 상기 제1 목표 도로 구간으로 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현재 도로 구간의 각 상기 인접된 도로 구간에서 가중치가 제일 큰 도로 구간을 선택하여 새로운 현재 도로 구간으로 하여, 상기 제1 셔틀버스 노선의 길이가 미리 설정된 길이의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때까지 제1 셔틀버스 노선을 형성하여, 상기 제1 셔틀버스 노선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 선택 가능하게, 상기와 같이 기술한 방법에서,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각 상기 도로 구간의 상기 제3 사람 유동량 및 상기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에 따라,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각 상기 도로 구간에 가중치를 설치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각 상기 도로 구간에서의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이 상기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 크다면, 상기 도로 구간의 가중치를 1로 설치하고; 크지 않으면 상기 도로 구간의 가중치를 상기 도로 구간에서의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에서 상기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를 나눈 값으로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 선택 가능하게, 상기와 같이 기술한 방법에서, 상기 제1 셔틀버스 노선을 확정한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상기 제1 셔틀버스 노선에 포함된 각 상기 도로 구간에 남은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각 상기 도로 구간에서 업데이트한 후의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이 최대일 경우에 대응되는 제2 목표 도로 구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각 상기 도로 구간의 업데이트한 후의 상기 제3 사람 유동량 및 상기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에 따라,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각 상기 도로 구간의 가중치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현재 도로 구간을 상기 제2 목표 도로 구간으로 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현재 도로 구간의 각 상기 인접된 도로 구간에서 가중치가 제일 큰 도로 구간을 선택하여 새로운 현재 도로 구간으로 하여, 상기 제2 셔틀버스의 노선의 길이가 상기 미리 설정된 길이의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때까지 제2 셔틀버스 노선을 형성하여, 상기 제2 셔틀버스 노선을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더 선택 가능하게, 상기와 같이 기술한 방법에서,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각 상기 도로 구간에서 업데이트한 후의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이 최대일 경우에 대응되는 제2 목표 도로 구간을 획득한 이후와,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각 상기 도로 구간의 업데이트한 후의 상기 제3 사람 유동량 및 상기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에 따라,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각 상기 도로 구간에 가중치를 설치하기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상기 제2 목표 도로 구간의 업데이트한 후의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이 상기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의 미리 설정된 배수보다 작지 않은지를 판단하고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더 선택 가능하게, 상기와 같이 기술한 방법에서,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상기 제2 목표 도로 구간의 업데이트한 후의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이 상기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의 미리 설정된 배수보다 작을 경우, 상기 방법은,
셔틀버스 노선 기획을 정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더 선택 가능하게, 상기와 같이 기술한 방법에서,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상기 제1 셔틀버스 노선에 포함된 각 상기 도로 구간에 남은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을 업데이트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상기 제1 셔틀버스 노선에 포함된 각 상기 도로 구간의 상기 가중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가중치가 1일 때,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을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에서 상기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를 감한 것으로 업데이트하고; 그렇지 않고 상기 가중치가 1보다 작을 때,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을 0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장치를 더 제공하는 바, 상기 장치는 획득 모듈 및 확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획득 모듈은 지도의 위치 확인 데이터에 따라, 현재 구역의 각 도로 구간에서의 각 시간대의 제1 사람 유동량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획득 모듈은 또한 버스에서의 카드 찍은 데이터에 따라, 각 상기 도로 구간에서의 각 상기 시간대의 버스가 운송한 제2 사람 유동량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확정 모듈은 각 상기 도로 구간에서의 각 상기 시간대의 제1 사람 유동량 및 대응되는 버스가 운송한 제2 사람 유동량, 단일 선로의 최대 이정 및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에 따라, 셔틀버스의 노선 정보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더 선택 가능하게, 상기와 같이 기술한 장치에서, 상기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각 상기 도로 구간에서의 각 상기 시간대의 상기 제1 사람 유동량 및 대응되는 버스가 운송한 상기 제2 사람 유동량에 따라, 각 상기 도로 구간에서의 각 상기 시간대의 남은 제3 사람 유동량을 확정하고;
각 상기 도로 구간에서의 각 상기 시간대로부터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이 최대일 경우에 대응되는 목표 시간대 및 대응되는 제1 목표 도로 구간을 획득하며;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각 상기 도로 구간의 상기 제3 사람 유동량 및 상기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에 따라,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각 상기 도로 구간에 가중치를 설치하고; 및
현재 도로 구간을 상기 제1 목표 도로 구간으로 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현재 도로 구간의 각 상기 인접된 도로 구간에서 가중치가 제일 큰 도로 구간을 선택하여 새로운 현재 도로 구간으로 하여, 상기 제1 셔틀버스 노선의 길이가 미리 설정된 길이의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때까지 제1 셔틀버스 노선을 형성하여, 상기 제1 셔틀버스 노선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더 선택 가능하게, 상기와 같이 기술한 장치에서, 상기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각 상기 도로 구간 에서의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이 상기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 크다면, 상기 도로 구간의 가중치를 1로 설치하고; 크지 않으면 상기 도로 구간의 가중치를 상기 도로 구간에서의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에서 상기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를 나눈 값으로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더 선택 가능하게, 상기와 같이 기술한 장치에서, 상기 장치는 업데이트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업데이트 모듈은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상기 제1 셔틀버스 노선에 포함된 각 상기 도로 구간에 남은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획득 모듈은 또한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각 상기 도로 구간에서 업데이트한 후의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이 최대일 경우에 대응되는 제2 목표 도로 구간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업데이트 모듈은 또한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각 상기 도로 구간의 업데이트한 후의 상기 제3 사람 유동량 및 상기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에 따라,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각 상기 도로 구간의 가중치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확정 모듈은 또한 상기 현재 도로 구간을 상기 제2 목표 도로 구간으로 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현재 도로 구간의 각 상기 인접된 도로 구간에서 가중치가 제일 큰 도로 구간을 선택하여 새로운 현재 도로 구간으로 하여, 상기 제2 셔틀버스 노선의 길이가 상기 미리 설정된 길이의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때까지 제2 셔틀버스 노선을 형성하여, 상기 제2 셔틀버스 노선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더 선택 가능하게, 상기와 같이 기술한 장치에서, 상기 확정 모듈은 또한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상기 제2 목표 도로 구간의 업데이트한 후의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이 상기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의 미리 설정된 배수보다 작지 않은지를 판단하고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더 선택 가능하게, 상기와 같이 기술한 장치에서, 상기 장치는 정지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지 모듈은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상기 제2 목표 도로 구간의 업데이트한 후의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이 상기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의 미리 설정된 배수보다 작을 경우, 셔틀버스 노선 기획을 정지하기 위한 것이다.
더 선택 가능하게, 상기와 같이 기술한 장치에서, 상기 업데이트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상기 셔틀버스 노선에 포함된 각 상기 도로 구간의 상기 가중치를 획득하고;
상기 가중치가 1일 때,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을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에서 상기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를 감한 것으로 업데이트하고; 그렇지 않고 상기 가중치가 1보다 작을 때,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을 0으로 업데이트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방법 및 장치는, 지도의 위치 확인 데이터에 따라, 현재 구역의 각 도로 구간에서의 각 시간대의 제1 사람 유동량을 획득하고; 버스에서의 카드 찍은 데이터에 따라, 각 도로 구간에서의 각 시간대의 버스가 운송한 제2 사람 유동량을 획득하며; 각 도로 구간에서의 각 시간대의 제1 사람 유동량 및 대응되는 버스가 운송한 제2 사람 유동량, 단일 선로의 최대 이정 및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에 따라, 셔틀버스의 노선 정보를 확정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지능화의 방식을 통해 셔틀버스 노선을 설정할 수 있는 바, 기존 기술의 셔틀버스 노선을 인공으로 설정하는 방식과 비교하면, 시간과 힘을 절약할 뿐만 아니라, 설정되는 셔틀버스 노선이 더 정확하며, 버스 운송에 대한 효과적인 분류를 진정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방법의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장치의 제1 실시예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장치의 제2 실시예의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수단 및 장점을 더 분명하게 하기 위해, 아래에 도면과 구체적인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방법의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방법은, 구체적으로 하기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00: 지도의 위치 확인 데이터에 따라, 현재 구역의 각 도로 구간에서의 각 시간대의 제1 사람 유동량을 획득하고;
101: 버스에서의 카드 찍은 데이터에 따라, 각 도로 구간에서의 각 시간대의 버스가 운송한 제2 사람 유동량을 획득하며;
102: 각 도로 구간에서의 각 시간대의 제1 사람 유동량 및 대응되는 버스가 운송한 제2 사람 유동량, 단일 선로의 최대 이정 및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에 따라, 셔틀버스의 노선 정보를 확정한다.
본 실시예의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방법의 실행 주체는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장치일 수 있고, 당해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장치는 구체적으로 버스 터미널의 디스패칭 서버에 설치될 수 있어, 교통 고봉기에, 셔틀버스 노선을 생성하여, 설정된 셔틀버스 노선에 따라 셔틀버스를 개설하는 것을 통해, 효과적으로 고봉인 인파를 분류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기술적 수단이 사용될 경우, 하나의 구역에 대해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셔틀버스 노선을 설정하려는 현재 구역에 대하여, 먼저 지도의 위치 확인 데이터에 따라, 현재 구역의 각 도로 구간에서의 각 시간대의 제1 사람 유동량을 획득한다. 본 실시예의 지도의 위치 확인 데이터는 당해 현재 구역의 지난 얼마간의 시간 동안의 과거 위치 확인 데이터, 예를 들어 현재 구역의 지난 1개월 동안의 지도의 위치 확인 데이터이다. 그 다음 당해 현재 구역의 지난 1개월 동안의 위치 확인 데이터에 따라, 각 도로 구간에서의 각 시간대의 제1 사람 유동량을 획득한다. 현재 구역의 어느 한 도로 구간에 대해, 매일 같은 시간대의 사람 유동량에 대해 합을 얻어, 당일의 당해 시간대의 사람 유동량으로 하고; 그 다음 과거 위치 확인 데이터에서 당해 시간대의 매일의 사람 유동량에 대해 합계한 후, 평균을 구하여 현재 구역의 당해 도로 구간에서의 당해 시간대의 제1 사람 유동량으로 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지도의 위치 확인 데이터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을 통해 사용자에 대한 위치 확인을 구현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각 도로 구간의 사람 유동량을 모니터링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의 시간대는 구체적으로 하루를 복수의 시간대로 나눌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사용자가 있는 도시의 도로 상황에 따라 설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시간마다 하나의 시간대로 설치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7:00-9:00, 9:00-11:00 등등, 순차적으로 유추하는 것이며, 밤 23:00-0:00 및 0:00-1:00를 하나의 시간대로 설치할 수 있다.
그 다음, 버스에서의 카드 찍은 데이터에 따라, 각 도로 구간에서의 각 시간대의 버스가 운송한 제2 사람 유동량을 획득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각 도로 구간에서의 각 시간대의 버스가 운송한 제2 사람 유동량의 획득 방식은 제1 사람 유동량의 획득 방식의 원리와 서로 같다. 예를 들어 버스의 지난 30일 동안의 카드 찍은 데이터에 따라, 어느 버스가 지난 매일의 각 도로 구간에서의 각 시간대에서 누계한 사람 유동량을 획득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버스가 지난 매일의 각 시간대의 각 도로 구간의 사람 유동량은 버스에서의 사람 유동량을 가리키는 것이지, 카드 결제량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다. 그 다음 지난 30일 동안의, 동일한 선로의 버스의 동일한 도로 구간에서 동일한 시간대의 사람 유동량의 합을 구한 후 평균을 구한 것을, 당해 도로 구간의 당해 시간대의 당해 버스가 운송한 사람 유동량으로 하고; 마지막으로 당해 시간대의 당해 도로 구간에서 모든 버스가 운송한 사람 유동량에 대해 합계를 구하여, 당해 도로 구간에서 당해 시간대의 버스가 운송한 제2 사람 유동량으로 한다.
임의의 도로 구간의 임의의 시간대에 대하여, 당해 도로 구간에서 당해 시간대의 제1 사람 유동량 및 대응되는 버스가 운송한 제2 사람 유동량에 따라, 유량 보존 법칙에 따라, 제1 사람 유동량에서 제2 사람 유동량을 감하여, 당해 도로 구간의 당해 시간대에서 분류하고자 하는 사람 유동량을 확정할 수 있다. 그 다음 다시 설정해야 하는 셔틀버스 노선에서의 단일 선로의 최대 이정 및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에 따라, 셔틀버스의 노선 정보를 확정한다.
본 실시예의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방법은, 지도의 위치 확인 데이터에 따라, 현재 구역의 각 도로 구간에서의 각 시간대의 제1 사람 유동량을 획득하고; 버스에서의 카드 찍은 데이터에 따라, 각 도로 구간에서의 각 시간대의 버스가 운송한 제2 사람 유동량을 획득하며; 각 도로 구간에서의 각 시간대의 제1 사람 유동량 및 대응되는 버스가 운송한 제2 사람 유동량, 단일 선로의 최대 이정 및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에 따라, 셔틀버스의 노선 정보를 확정한다. 본 실시예의 기술적 수단은, 지능화의 방식을 통해 셔틀버스 노선을 설정할 수 있는 바, 기존 기술의 셔틀버스 노선을 인공으로 설정하는 방식과 비교하면, 시간과 힘을 절약할 뿐만 아니라, 설정되는 셔틀버스 노선이 더 정확하며, 버스 운송에 대한 효과적인 분류를 진정으로 구현할 수 있다.
더 선택 가능하게, 상술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술적 수단의 기초하에서, 단계 102"각 도로 구간에서의 각 시간대의 제1 사람 유동량 및 대응되는 버스가 운송한 제2 사람 유동량, 단일 선로의 최대 이정 및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에 따라, 셔틀버스의 노선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하기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1) 각 도로 구간에서의 각 시간대의 제1 사람 유동량 및 대응되는 버스가 운송한 제2 사람 유동량에 따라, 각 도로 구간에서의 각 시간대의 남은 제3 사람 유동량을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제3 사람 유동량은 제1 사람 유동량에서 제2 사람 유동량을 감한 것과 같다.
(a2) 각 도로 구간에서의 각 시간대로부터 제3 사람 유동량이 최대일 경우에 대응되는 목표 시간대 및 대응되는 제1 목표 도로 구간을 획득한다.
상술한 실시예의 방식에 따라, 각 도로 구간의 각 시간대의 제3 사람 유동량을 획득할 수 있고, 그 다음 제3 사람 유동량이 최대일 경우에 대응되는 시간대를 획득하여 목표 시간대로 하고, 제3 사람 유동량이 최대일 경우에 대응되는 도로 구간을 제1 목표 도로 구간으로 한다.
(a3) 목표 시간대 내의 각 도로 구간의 제3 사람 유동량 및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에 따라, 목표 시간대 내의 각 도로 구간에 가중치를 설치한다.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하기의 방식을 통해 가중치를 설치할 수 있다. 목표 시간대 내의, 각 도로 구간에서의 제3 사람 유동량이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 만약 크다면, 도로 구간의 가중치를 1로 설치하고; 크지 않으면 도로 구간의 가중치를 도로 구간에서의 제3 사람 유동량에서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를 나눈 값으로 설치한다.
(a4) 현재 도로 구간을 제1 목표 도로 구간으로 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현재 도로 구간의 각 인접된 도로 구간에서 가중치가 제일 큰 도로 구간을 선택하여 새로운 현재 도로 구간으로 하여, 제1 셔틀버스 노선의 길이가 미리 설정된 길이의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때까지 제1 셔틀버스 노선을 형성하여, 제1 셔틀버스 노선을 확정한다.
목표 시간대 내의 각 도로 구간에 가중치를 설치한 후, 그 다음 목표 시간대 내의 각 도로 구간에 따라 가중치를 설치하고, 목표 시간대 내의 각 도로 구간에서 일부 도로 구간을 선택하여, 제1 셔틀버스 노선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택할 경우, 현재 도로 구간을 제1 목표 도로 구간으로 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현재 도로 구간의 각 인접된 도로 구간에서 가중치가 제일 큰 도로 구간을 선택하여 새로운 현재 도로 구간으로 하여, 제1 셔틀버스 노선의 길이가 미리 설정된 길이의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때까지 제1 셔틀버스 노선을 형성하며, 이때 계속 선택하는 것을 정지한다. 이때 획득한 제1 셔틀버스 노선은 최종 확정된 제1 셔틀버스 노선이다. 본 실시예에서, 미리 설정된 길이의 역치를 설치하는 것을 통해 제1 셔틀버스 노선 길이의 마감 선택 값으로 하고, 제1 셔틀버스 노선의 길이가 미리 설정된 길이의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이때 더이상 선택하지 않는다. 제1 목표 도로 구간으로부터 시작하여, 현재 정지 도로 구간까지, 제1 셔틀버스 노선을 총체적으로 형성한다.
더 선택 가능하게, 상술한 실시예의 기술적 수단의 기초하에서, 셔틀버스 노선을 확정한 후, 하기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b1) 목표 시간대 내의, 제1 셔틀버스 노선에 포함된 각 도로 구간에 남은 제3 사람 유동량을 업데이트한다.
상술한 단계(a1) 내지 (a4)를 통해 첫 번째 셔틀버스 노선을 선택한 후, 첫 번째 셔틀버스 노선이 일부분 사람 유동량을 운송하였기에, 이때 첫 번째 셔틀버스 노선에 포함된 각 도로 구간에 남은 제3 사람 유동량을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목표 시간대 내의 각 도로 구간의 가중치에 따라 대응되는 제3 사람 유동량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업데이트할 경우, 목표 시간대 내의, 제1 셔틀버스 노선에 포함된 각 도로 구간의 가중치를 먼저 획득할 수 있고; 가중치가 1일 경우, 제1 셔틀버스 노선의 셔틀버스가 탑승제한 인원수의 사람 유동량을 운송하였고, 현재 도로 구간에 나머지 사람 유동량이 더 있는 것을 설명하는 바, 즉 나머지 사람 유동량은 제3 사람 유동량에서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를 감한 것과 같고; 그렇지 않고 가중치가 1보다 작으면, 제1 셔틀버스 노선의 셔틀버스가 당해 도로 구간의 모든 사람 유동량을 운송한 것을 설명하며, 이때 제3 사람 유동량을 0으로 업데이트한다. (b2) 목표 시간대 내의 각 도로 구간에서 업데이트한 후의 제3 사람 유동량이 최대일 경우에 대응되는 제2 목표 도로 구간을 획득한다.
(b3) 목표 시간대 내의 각 도로 구간의 업데이트한 후의 제3 사람 유동량 및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에 따라, 목표 시간대 내의 각 도로 구간의 가중치를 업데이트한다.
구체적인 것은 상술한 단계(a3)를 참조하여 목표 시간대 내의 각 도로 구간의 가중치의 업데이트를 구현할 수 있다.
(b4) 현재 도로 구간을 제2 목표 도로 구간으로 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현재 도로 구간의 각 인접된 도로 구간에서 가중치가 제일 큰 도로 구간을 선택하여 새로운 현재 도로 구간으로 하여, 제2 셔틀버스 노선의 길이가 미리 설정된 길이의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때까지 제2 셔틀버스 노선을 형성하여, 제2 셔틀버스 노선을 확정한다.
본 실시예의 제2 셔틀버스 노선과 제1 셔틀버스 노선의 확정 방식은 서로 유사하며, 서로 다른 것은, 제1 셔틀버스 노선은 처음으로 셔틀버스 선로를 선택한 것이고, 남은 각 셔틀버스 선로를 선택하는 방식은 모두 상술한 제2 셔틀버스 노선의 확정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셔틀버스 노선과 제2 셔틀버스 노선에서 사용되는 셔틀버스는 서로 같은 것일 수 있다. 즉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도 같은 것이다. 본 실시예의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는 셔틀버스의 최대로 탑습 가능한 인원수가 아니며, 셔틀버스의 좌석수로 이해할 수 있다.
더 선택 가능하게, 상술한 실시예의 기술적 수단의 기초하에서, 그 중, 단계 (b2) "목표 시간대 내의 각 도로 구간에서 업데이트한 후의 제3 사람 유동량이 최대일 경우에 대응되는 제2 목표 도로 구간을 획득"한 후, 단계 (b3) "목표 시간대 내의 각 도로 구간의 업데이트한 후의 제3 사람 유동량 및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에 따라, 목표 시간대 내의 각 도로 구간에 가중치를 설치"하기 전에, 목표 시간대 내의 제2 목표 도로 구간의 업데이트한 후의 제3 사람 유동량이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의 미리 설정된 배수보다 작지 않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확정하되, 만약 작지 않으면, 단계 (b3)를 계속 실행하고; 만약 작으면, 셔틀버스 노선 기획을 정지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의 미리 설정된 배수는, 현재 구역의 도시 교통의 실제 수요에 따라 설치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당해 미리 설정된 배수는 소수일 수 있고, 정수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1배일 수 있고, 1.3배, 또는 기타 배수일 수도 있다. 당해 미리 설정된 배수의 설치가 클수록, 셔틀버스 자원이 낭비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2배로 설정될 경우, 목표 시간대 내의 제2 목표 도로 구간의 업데이트한 후의 제3 사람 유동량이 또한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의 2배보다 크거나 같은 지를 판단하면, 이때 셔틀버스 노선을 계속 기획할 필요가 더 있는 것을 의미하여, 셔틀버스를 통해 버스에 대해 분류한다. 목표 시간대 내의 제2 목표 도로 구간의 업데이트한 후의 제3 사람 유동량이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의 2배보다 작으면, 이때 도로 구간에서의 남은 사람 유동량이 이미 매우 적은 것을 의미하여, 버스가 자체 스스로 소화할 수 있으며, 셔틀버스 노선을 계속 기획함을 정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의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방법은, 지능화의 방식을 통해 셔틀버스 노선을 설정할 수 있는 바, 기존 기술의 셔틀버스 노선을 인공으로 설정하는 방식과 비교하면, 시간과 힘을 절약할 뿐만 아니라, 설정되는 셔틀버스 노선이 더 정확하며, 버스 운송에 대한 효과적인 분류를 진정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장치의 제1 실시예의 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장치는, 구체적으로 획득 모듈(10) 및 확정 모듈(11)을 포함할 수 있다.
획득 모듈(10)은 지도의 위치 확인 데이터에 따라, 현재 구역의 각 도로 구간에서의 각 시간대의 제1 사람 유동량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고; 획득 모듈(10)은 또한 버스에서의 카드 찍은 데이터에 따라, 각 도로 구간에서의 각 시간대의 버스가 운송한 제2 사람 유동량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확정 모듈(11)은 획득 모듈(10)에 의해 획득된 각 도로 구간에서의 각 시간대의 제1 사람 유동량 및 대응되는 버스가 운송한 제2 사람 유동량, 단일 선로의 최대 이정 및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에 따라, 셔틀버스의 노선 정보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장치는 상술한 모듈을 이용하는 것을 통해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를 구현하고, 상술한 관련 방법의 실시예와 구현 원리 및 기술 효과가 서로 같은 바, 상세한 것은 상술한 관련 방법의 실시예의 기재를 참조할 수 있고,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장치의 제2 실시예의 구조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장치는 상술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술적 수단의 기초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장치에서, 확정 모듈(11)은 구체적으로,
획득 모듈(10)에 의해 획득된 각 도로 구간에서의 각 시간대의 제1 사람 유동량 및 대응되는 버스가 운송한 제2 사람 유동량에 따라, 각 도로 구간에서의 각 시간대의 남은 제3 사람 유동량을 확정하고;
각 도로 구간에서의 각 시간대로부터 제3 사람 유동량이 최대일 경우에 대응되는 목표 시간대 및 대응되는 제1 목표 도로 구간을 획득하고;
목표 시간대 내의 각 도로 구간의 제3 사람 유동량 및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에 따라, 목표 시간대 내의 각 도로 구간에 가중치를 설치하고;
현재 도로 구간을 제1 목표 도로 구간으로 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현재 도로 구간의 각 인접된 도로 구간에서 가중치가 제일 큰 도로 구간을 선택하여 새로운 현재 도로 구간으로 하여, 제1 셔틀버스 노선의 길이가 미리 설정된 길이의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때까지, 제1 셔틀버스 노선을 형성하여, 제1 셔틀버스 노선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더 선택 가능하게, 본 실시예의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장치에서, 확정 모듈(11)은 구체적으로 목표 시간대 내의, 각 도로 구간에서의 제3 사람 유동량이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 만약 크다면, 도로 구간의 가중치를 1로 설치하고; 크지 않으면 도로 구간의 가중치를 도로 구간에서의 제3 사람 유동량에서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를 나눈 값으로 설치한다.
더 선택 가능하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장치는, 업데이트 모듈(12)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업데이트 모듈(12)은 목표 시간대 내의, 제1 셔틀버스 노선에 포함된 각 도로 구간에 남은 제3 사람 유동량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확정 모듈(11)에 의해 설치된 목표 시간대 내의 각 도로 구간에 따라 가중치를 설치하여, 목표 시간대 내의, 제1 셔틀버스 노선에 포함된 각 도로 구간에 남은 제3 사람 유동량을 업데이트한다.
획득 모듈(10)은 또한 목표 시간대 내의 각 도로 구간에서 업데이트한 후의 제3 사람 유동량이 최대일 경우에 대응되는 제2 목표 도로 구간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고;
업데이트 모듈(12)은 또한 목표 시간대 내의 각 도로 구간의 업데이트한 후의 제3 사람 유동량 및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에 따라, 목표 시간대 내의 각 도로 구간의 가중치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것이고;
확정 모듈(11)은 또한 현재 도로 구간을 획득 모듈(10)에 의해 획득된 제2 목표 도로 구간으로 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현재 도로 구간의 각 인접된 도로 구간에서 가중치가 제일 큰 도로 구간을 선택하여 새로운 현재 도로 구간으로 하여, 제2 셔틀버스 노선의 길이가 미리 설정된 길이의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때까지, 제2 셔틀버스 노선을 형성하여, 제2 셔틀버스 노선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더 선택 가능하게, 본 실시예의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장치에서, 확정 모듈(11)은 또한 목표 시간대 내의 제2 목표 도로 구간의 업데이트한 후의 제3 사람 유동량이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의 미리 설정된 배수보다 작지 않은 것을 판단하고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더 선택 가능하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장치는 정지 모듈(13)을 더 포함한다.
정지 모듈(13)은 확정 모듈(11)에 의해 목표 시간대 내의 제2 목표 도로 구간의 업데이트한 후의 제3 사람 유동량이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의 미리 설정된 배수보다 작은 것이 확정될 경우, 셔틀버스 노선 기획을 정지한다.
더 선택 가능하게, 본 실시예의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장치에서, 업데이트 모듈(12)은 구체적으로,
확정 모듈(11)에 의해 확정된 목표 시간대 내의, 셔틀버스 노선에 포함된 각 도로 구간의 가중치를 획득하고;
가중치가 1일 때, 제3 사람 유동량을 제3 사람 유동량에서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를 감한 것으로 업데이트하고; 그렇지 않고 가중치가 1보다 작을 때, 제3 사람 유동량을 0으로 업데이트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장치는 상술한 모듈을 이용하는 것을 통해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를 구현하고, 상술한 관련 방법의 실시예와 구현 원리 및 기술 효과가 서로 같은 바, 상세한 것은 상술한 관련 방법의 실시예의 기재를 참조할 수 있고,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여러 개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마땅히 기타의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음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기술된 장치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분할은, 단지 논리적 기능의 분할이고, 실제로 구현될 경우 이 외의 분할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분리 부품으로 되어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거나 분리되어 있지 않을 수 있으며, 유닛으로 표시되는 부품은 물리적인 유닛일 수 있거나 아닐 수도 있다. 즉 한 곳에 위치되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제의 수요에 따라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의 방안을 구현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외에,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될 수 있고, 각각의 유닛이 단독으로 물리적인 존재일 수도 있으며, 2개 또는 2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다. 상술한 집적된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식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드웨어에에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을 가한 형식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상술한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된 집적된 유닛은,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어느 정도의 명령을 포함하여 한대의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 또는 프로세서 (processor)에 의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의 일부 단계가 실행되도록 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플래시 디스크, 이동식 하드디스크, 롬(Read-Only Memory, ROM), 램(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시디롬 등 여러가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정신 및 원칙 내에서, 이루어진 모든 수정, 균등물의 치환, 개진 등은 마땅히 본 발명의 보호의 범위 내에 모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16)

  1.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지도의 위치 확인 데이터에 따라, 현재 구역의 각 도로 구간에서의 각 시간대의 제1 사람 유동량을 획득하는 단계;
    버스에서의 카드 찍은 데이터에 따라, 각 상기 도로 구간에서의 각 상기 시간대의 버스가 운송한 제2 사람 유동량을 획득하는 단계;
    각 상기 도로 구간에서의 각 상기 시간대의 제1 사람 유동량 및 대응되는 버스가 운송한 제2 사람 유동량, 단일 선로의 최대 이정 및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에 따라, 셔틀버스의 노선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 상기 도로 구간에서의 각 상기 시간대의 제1 사람 유동량 및 대응되는 버스가 운송한 제2 사람 유동량, 단일 선로의 최대 이정 및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에 따라, 셔틀버스의 노선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는,
    각 상기 도로 구간에서의 각 상기 시간대의 상기 제1 사람 유동량 및 대응되는 버스가 운송한 상기 제2 사람 유동량에 따라, 각 상기 도로 구간에서의 각 상기 시간대의 남은 제3 사람 유동량을 확정하는 단계;
    각 상기 도로 구간에서의 각 상기 시간대로부터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이 최대일 경우에 대응되는 목표 시간대 및 대응되는 제1 목표 도로 구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각 상기 도로 구간의 상기 제3 사람 유동량 및 상기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에 따라,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각 상기 도로 구간에 가중치를 설치하는 단계;
    현재 도로 구간을 상기 제1 목표 도로 구간으로 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현재 도로 구간의 각 인접된 도로 구간에서 가중치가 제일 큰 도로 구간을 선택하여 새로운 현재 도로 구간으로 하여, 제1 셔틀버스 노선의 길이가 미리 설정된 길이의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때까지 상기 제1 셔틀버스 노선을 형성하여, 상기 제1 셔틀버스 노선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방법.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각 상기 도로 구간의 상기 제3 사람 유동량 및 상기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에 따라,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각 상기 도로 구간에 가중치를 설치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각 상기 도로 구간에서의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이 상기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 크다면, 상기 도로 구간의 가중치를 1로 설치하고; 크지 않으면 상기 도로 구간의 가중치를 상기 도로 구간에서의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에서 상기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를 나눈 값으로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셔틀버스 노선을 확정한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상기 제1 셔틀버스 노선에 포함된 각 상기 도로 구간에 남은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각 상기 도로 구간에서 업데이트한 후의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이 최대일 경우에 대응되는 제2 목표 도로 구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각 상기 도로 구간의 업데이트한 후의 상기 제3 사람 유동량 및 상기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에 따라,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각 상기 도로 구간의 가중치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현재 도로 구간을 상기 제2 목표 도로 구간으로 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현재 도로 구간의 각 상기 인접된 도로 구간에서 가중치가 제일 큰 도로 구간을 선택하여 새로운 현재 도로 구간으로 하여, 제2 셔틀버스의 노선의 길이가 상기 미리 설정된 길이의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때까지 상기 제2 셔틀버스 노선을 형성하여, 상기 제2 셔틀버스 노선을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각 상기 도로 구간에서 업데이트한 후의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이 최대일 경우에 대응되는 제2 목표 도로 구간을 획득한 이후와,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각 상기 도로 구간의 업데이트한 후의 상기 제3 사람 유동량 및 상기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에 따라,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각 상기 도로 구간에 가중치를 설치하기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상기 제2 목표 도로 구간의 업데이트한 후의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이 상기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의 미리 설정된 배수보다 작지 않은지를 판단하고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상기 제2 목표 도로 구간의 업데이트한 후의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이 상기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의 미리 설정된 배수보다 작을 경우, 상기 방법은,
    셔틀버스 노선 기획을 정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방법.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상기 제1 셔틀버스 노선에 포함된 각 상기 도로 구간에 남은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을 업데이트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상기 제1 셔틀버스 노선에 포함된 각 상기 도로 구간의 상기 가중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가중치가 1일 때,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을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에서 상기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를 감한 것으로 업데이트하고; 그렇지 않고 상기 가중치가 1보다 작을 때,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을 0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방법.
  8.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획득 모듈 및 확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획득 모듈은 지도의 위치 확인 데이터에 따라, 현재 구역의 각 도로 구간에서의 각 시간대의 제1 사람 유동량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획득 모듈은 또한 버스에서의 카드 찍은 데이터에 따라, 각 상기 도로 구간에서의 각 상기 시간대의 버스가 운송한 제2 사람 유동량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확정 모듈은 각 상기 도로 구간에서의 각 상기 시간대의 제1 사람 유동량 및 대응되는 버스가 운송한 제2 사람 유동량, 단일 선로의 최대 이정 및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에 따라, 셔틀버스의 노선 정보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확정 모듈은,
    각 상기 도로 구간에서의 각 상기 시간대의 상기 제1 사람 유동량 및 대응되는 버스가 운송한 상기 제2 사람 유동량에 따라, 각 상기 도로 구간에서의 각 상기 시간대의 남은 제3 사람 유동량을 확정하고;
    각 상기 도로 구간에서의 각 상기 시간대로부터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이 최대일 경우에 대응되는 목표 시간대 및 대응되는 제1 목표 도로 구간을 획득하며;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각 상기 도로 구간의 상기 제3 사람 유동량 및 상기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에 따라,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각 상기 도로 구간에 가중치를 설치하고; 및
    현재 도로 구간을 상기 제1 목표 도로 구간으로 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현재 도로 구간의 각 인접된 도로 구간에서 가중치가 제일 큰 도로 구간을 선택하여 새로운 현재 도로 구간으로 하여, 제1 셔틀버스 노선의 길이가 미리 설정된 길이의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때까지 상기 제1 셔틀버스 노선을 형성하여, 상기 제1 셔틀버스 노선을 확정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장치.
  9. 삭제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각 상기 도로 구간 에서의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이 상기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 크다면, 상기 도로 구간의 가중치를 1로 설치하고; 크지 않으면 상기 도로 구간의 가중치를 상기 도로 구간에서의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에서 상기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를 나눈 값으로 설치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업데이트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업데이트 모듈은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상기 제1 셔틀버스 노선에 포함된 각 상기 도로 구간에 남은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획득 모듈은 또한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각 상기 도로 구간에서 업데이트한 후의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이 최대일 경우에 대응되는 제2 목표 도로 구간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업데이트 모듈은 또한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각 상기 도로 구간의 업데이트한 후의 상기 제3 사람 유동량 및 상기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에 따라,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각 상기 도로 구간의 가중치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확정 모듈은 또한 상기 현재 도로 구간을 상기 제2 목표 도로 구간으로 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현재 도로 구간의 각 상기 인접된 도로 구간에서 가중치가 제일 큰 도로 구간을 선택하여 새로운 현재 도로 구간으로 하여, 제2 셔틀버스의 노선의 길이가 상기 미리 설정된 길이의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때까지 상기 제2 셔틀버스 노선을 형성하여, 상기 제2 셔틀버스 노선을 확정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모듈은 또한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상기 제2 목표 도로 구간의 업데이트한 후의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이 상기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의 미리 설정된 배수보다 작지 않은지를 판단하고 확정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정지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지 모듈은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상기 제2 목표 도로 구간의 업데이트한 후의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이 상기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의 미리 설정된 배수보다 작을 경우, 셔틀버스 노선 기획을 정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장치.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시간대 내의, 상기 셔틀버스 노선에 포함된 각 상기 도로 구간의 상기 가중치를 획득하고;
    상기 가중치가 1일 때,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을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에서 상기 셔틀버스의 탑승제한 인원수를 감한 것으로 업데이트하고; 그렇지 않고 상기 가중치가 1보다 작을 때, 상기 제3 사람 유동량을 0으로 업데이트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장치.
  15. 기기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
    메모리;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 항, 제3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방법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16. 컴퓨터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코딩되어 있고, 상기 프로그램이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가, 제1 항, 제3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방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
KR1020197010771A 2016-09-29 2017-05-16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 KR1022916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866548.3A CN106297273B (zh) 2016-09-29 2016-09-29 班车路线的处理方法及装置
CN201610866548.3 2016-09-29
PCT/CN2017/084439 WO2018058965A1 (zh) 2016-09-29 2017-05-16 班车路线的处理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122A KR20190054122A (ko) 2019-05-21
KR102291677B1 true KR102291677B1 (ko) 2021-08-20

Family

ID=57716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0771A KR102291677B1 (ko) 2016-09-29 2017-05-16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91263B2 (ko)
KR (1) KR102291677B1 (ko)
CN (1) CN106297273B (ko)
WO (1) WO20180589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97273B (zh) * 2016-09-29 2019-11-26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班车路线的处理方法及装置
CN110378502A (zh) * 2018-09-13 2019-10-25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辅助无人车确定路径的方法和装置
CN109840669A (zh) * 2018-11-16 2019-06-04 浩鲸云计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公交线路路段乘客量的计算方法
CN110188894A (zh) * 2019-05-28 2019-08-30 安徽中科爱电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企业班车运维服务系统
KR102252686B1 (ko) * 2019-07-30 2021-05-18 주식회사 리버스랩 정보취합을 통한 최적자동노선생성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03710B1 (ko) 2019-11-01 2021-09-23 주식회사 퀸즈스마일 교통상품 및 음식상품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38582B1 (ko) 2019-12-04 2021-12-13 마스코리아 주식회사 거점형 셔틀 운행 제어 방법
JP6903176B1 (ja) * 2020-01-17 2021-07-14 ヤフー株式会社 特定装置、特定方法、および特定プログラム
CN114418349A (zh) * 2021-12-30 2022-04-29 深圳云天励飞技术股份有限公司 公交高峰专线的评估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19476A (zh) * 2016-03-28 2016-06-29 深圳市佳信捷技术股份有限公司 公交系统调度信息的更新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8664A (ja) * 2002-03-28 2003-10-10 Seiko Epson Corp 車両運行管理システム、情報サービス方法、および情報記録媒体
CN101510354A (zh) * 2009-03-03 2009-08-19 浙江大学宁波理工学院 基于无线射频的公交车实时调度方法
CN101615340A (zh) * 2009-07-24 2009-12-30 北京工业大学 公交动态调度中的实时信息处理方法
JP5307218B2 (ja) * 2011-10-27 2013-10-02 株式会社京三製作所 乗合車両運行管理用センタ装置
CN103177565A (zh) * 2011-12-20 2013-06-26 西安众智惠泽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实际乘车请求的公交车调度信息调整系统
SG11201407487QA (en) * 2012-05-14 2014-12-30 Hitachi Ltd Transportation route distribution ratio control system and transportation route distribution control method
CN102831767B (zh) * 2012-08-13 2014-07-09 东南大学 一种综合成本优化的城市公共交通多模式站点停靠方法
CN102867408B (zh) * 2012-09-17 2014-05-07 北京理工大学 一种公交出行路线的选择方法
CN103077606B (zh) * 2013-01-05 2015-12-23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公交调度管理系统
CN103325257A (zh) * 2013-07-16 2013-09-25 许若言 一种高效的公交调度方法和装置
FR3010566A1 (fr) * 2013-09-09 2015-03-13 Coovia Systeme de declaration automatique et de calcul de trajet de covoiturage combinant plusieurs modes de transport
JP6301730B2 (ja) * 2013-10-04 2018-03-28 株式会社東芝 電動車両の運行管理装置及び運行計画立案方法
CN104732756A (zh) * 2013-12-24 2015-06-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利用移动通信数据挖掘进行公交规划的方法
US9836979B2 (en) * 2014-01-13 2017-12-05 Conduent Business Services, Llc Method and system for latent demand modeling for a transportation system
JP6246635B2 (ja) * 2014-03-20 2017-12-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運行計画サーバ、およびダイヤ作成方法
CN104064028B (zh) * 2014-06-23 2016-04-06 银江股份有限公司 基于多元信息数据的公交到站时间预测方法及系统
US20160078576A1 (en) * 2014-09-17 2016-03-17 Fortress Systems International, Inc. Cloud-based vehicle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CN104573849A (zh) * 2014-12-12 2015-04-29 安徽富煌和利时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arima模型预测客流的公交调度优化方法
KR20160102699A (ko) * 2015-02-23 2016-08-31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역버스의 공석 수에 기반한 교통 환승편 대기 시간을 반영하여 최적 환승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740029B1 (ko) * 2015-04-09 2017-06-08 박병종 구간 운송차량의 경로 가변시스템
CN105261211B (zh) * 2015-08-26 2017-10-20 浙江工业大学 一种交通综合因素影响下的公交发车间隔过渡方法
CN106297273B (zh) * 2016-09-29 2019-11-26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班车路线的处理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19476A (zh) * 2016-03-28 2016-06-29 深圳市佳信捷技术股份有限公司 公交系统调度信息的更新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122A (ko) 2019-05-21
WO2018058965A1 (zh) 2018-04-05
CN106297273B (zh) 2019-11-26
CN106297273A (zh) 2017-01-04
JP6891263B2 (ja) 2021-06-18
JP2019521446A (ja) 2019-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1677B1 (ko) 셔틀버스 노선의 처리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
KR102162729B1 (ko) 버스 노선 추천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
CN107506864B (zh) 一种客运巴士路线规划方法和装置
Heilig et al. Potentials of autonomous vehicles in a changing private transportation system–a case study in the Stuttgart region
Truong et al. Coordinated transit signal priority model considering stochastic bus arrival time
Niu et al. Optimizing urban rail timetable under time-dependent demand and oversaturated conditions
García-Palomares et al. Optimizing the location of stations in bike-sharing programs: A GIS approach
Sánchez-Martínez Inference of public transportation trip destinations by using fare transaction and vehicle location data: Dynamic programming approach
US9786173B2 (en) Dynamic routing of transit vehicles
CN103712630A (zh) 一种车辆导航系统及车辆导航方法
CN108549976A (zh) 智慧旅游大数据分析方法
CN110796323A (zh) 车辆的调度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Deng et al. Reduce bus bunching with a real-time speed control algorithm considering heterogeneous roadway conditions and intersection delays
Wang et al. Intelligent taxi dispatch system for advance reservations
Gibson et al. Estimating the bus user time benefits of implementing a median busway: Methodology and case study
Kato et al. Economic benefits of urban rail projects that improve travel-time reliability: Evidence from Tokyo, Japan
CN114036411A (zh) 一种路线规划方法、装置、设备及介质
Kuchumov et al. Application of smart technologies for the development of a region: A case study on tourism industry in St. Petersburg
CN105654340A (zh) 旅客真实航程的确定方法及系统
Galicia et 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ystem dynamics procedure for bus rapid transit ridership estimation
Dafu et al. Commuter travel identification based on bus IC data
KR20170124368A (ko) 수요 예측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Sun et al. Analysis of public transit transfer influence factors based on mobile terminal
Boumpa et al. Smart Delivery for Goods Exploiting ML Algorithms
Hounsell Implications of running time variability for passengers and operators–a case study using Bondi’s 333 bu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081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330

Effective date: 20210719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