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917B1 - 택배차량용 소화물 인-아웃 장치 - Google Patents

택배차량용 소화물 인-아웃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917B1
KR102290917B1 KR1020210063352A KR20210063352A KR102290917B1 KR 102290917 B1 KR102290917 B1 KR 102290917B1 KR 1020210063352 A KR1020210063352 A KR 1020210063352A KR 20210063352 A KR20210063352 A KR 20210063352A KR 102290917 B1 KR102290917 B1 KR 102290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delivery vehicle
parcel
vehicl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배
Original Assignee
김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배 filed Critical 김영배
Priority to KR1020210063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9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0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charge and discharge with pusher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 B60P7/14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the load bracing means comprising a movable bulk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1Light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택배차량용 소화물 인-아웃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형 택배차량에 적합한 링크 구동장치와 소화물의 상하차로의 위치로 푸쉬-풀(Push-Pull)되는 택배차량용 소화물 인-아웃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택배차량용 소화물 인-아웃 장치는, 택배차량의 탑차 내에 설치되고,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에 장착되어 좌우(또는 상하)로 이동되는 한 쌍의 너트; 일단이 상기 한 쌍의 너트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등받이에 각각 연결되어 접철되는 링크; 및 상기 탑차의 천정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링크의 접철에 연동되어 전후 이동되어 소화물의 승차 및 하차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등받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택배차량용 소화물 인-아웃 장치{SMALL PACKAGE IN-OUT APPARUTUS FOR DELIVERY VEHICLE}
본 발명은 택배차량용 소화물 인-아웃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형 택배차량에 적합한 링크 구동장치와 소화물의 상하차로의 위치로 푸쉬-풀(Push-Pull)되는 택배차량용 소화물 인-아웃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발달과 온라인 쇼핑의 활성화로 인하여 온라인을 통한 물품 구매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렇게 온라인을 통해 구매된 물품은 택배를 통하여 구매자들에 배송되고 있으며, 전국에 수만명의 택배기사들은 설정된 시간에 맞추어 물품을 배송하기 위해서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택배회사들은 택배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 총알 배송을 위해서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 상황이고, 최근에는 물품 구매후에 24시간 이내에 택배를 배송하는 업체까지 생겨나고 있는 상황으로서, 빠른 배송은 택배업체들 간의 경쟁력을 높이는 하나의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서, 택배기사들은 택배회사들이 요구하는 빠른 배송의 일정을 맞추기 위한 과도한 업무강도로 인해서 피로가 누적되고 있어, 오히려 배송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택배기사는 택배차량의 적재함에 물품을 적재하거나 하차할 때에 오르내리기를 반복해야 하므로 피로 누적을 가중하고 있으며 보다 빠른 배송을 하는데 장애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58828에는 '택배차량용 컨베이어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택배 차량의 내부 전체에 컨베이어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있어서 장착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문제가 있다.
또한, 화물 차량의 컨테이너 내부의 화물을 하차시킬 수 있는 신축 링크를 이용한 푸쉬 아웃 장치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024911에 개시되어 있으나, 유압 시스템에 의한 구동 장치의 복잡함과 유압 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각종 펌프/유니트 /실린더 등을 별도 설치해야 되고, 실린더 행정을 확보하기 위하여는 행정 거리보다 1.5배의 공간이 필요하여 그만큼의 공간이 허실로 남기 때문에 적재 공간이 줄어들어 소형 화물의 택배 차량에는 적합하지 않은 장치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58828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24911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형 택배차량의 화물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설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택배 상자의 인-아웃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소형 택배차량의 택배 상자의 승차 및 하차를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택배 상자의 인-아웃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소형 택배차량의 택배 상자의 승하차 구조에서 택배 상자의 인-아웃시 쌓여 있는 택배 상자의 안전한 전후 이동을 위한 이송판과 제품 결박기 구조를 설계하여 택배 상자의 승하차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택배차량용 소화물 인-아웃 장치는, 택배차량의 탑차 내에 설치되고,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에 장착되어 좌우(또는 상하)로 이동되는 한 쌍의 너트; 일단이 상기 한 쌍의 너트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등받이에 각각 연결되어 접철되는 링크; 및 상기 탑차의 천정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링크의 접철에 연동되어 전후 이동되어 소화물의 승차 및 하차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등받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등받이의 전측에는 소화물을 고정하는 제품 결박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품 결박기는 둘 이상이 일직선 상의 상하 방향 또는 서로 다른 직선 상의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품 결박기는 좌우 회전하여 개폐하는 좌우 한 쌍의 결박기, 상기 좌우 한 쌍의 결박기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클램프 바, 상기 좌우 한 쌍의 결박기 각각의 일단을 탑차에 고정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 고정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고정체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 탄지되는 탄성체, 상기 탄성체가 끼워지고 상기 몸체의 중심에 관통되어 설치되며 상기 결박기가 끼워져 상기 결박기 위로는 상기 탄성체에 의해 탄지되도록 하는 기둥, 및 상기 결박기의 회전 자유를 갖도록 하고 걸림돌기에 의해 상기 몸체의 걸림홈에 끼워져 상기 결박기를 고정하게 하는 걸림쇠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등받이의 하단부에는 탑차의 바닥면과 수평한 위치에서 소화물을 얹은 상태에서 상기 등받이와 연동되어 전후 이동되는 이송판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판은 상기 등받이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제1 이송판과, 상기 제1 이송판의 하단에 위치되는 제2 이송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이송판에는 장방홀이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장방홀에는 연결핀이 삽입되어 상기 제1 이송판과 제2 이송판이 서로 분리되지 않고, 이동시 같이 연동되어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형 택배차량의 화물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설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택배 상자의 인-아웃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형 택배차량의 택배 상자의 승차 및 하차를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택배 상자의 인-아웃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형 택배차량의 택배 상자의 승하차 구조에서 택배 상자의 인-아웃시 쌓여 있는 택배 상자의 안전한 전후 이동을 위한 이송판과 제품 결박기 구조를 설계하여 택배 상자의 승하차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물 인-아웃 장치가 마련된 택배차량의 측면 구조로서, 링크가 접힌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물 인-아웃 장치가 마련된 택배차량의 측면 구조로서, 링크가 펼쳐진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물 인-아웃 장치가 마련된 택배차량의 평면 구조로서, 링크가 접힌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물 인-아웃 장치가 마련된 택배차량의 평면 구조로서, 링크가 평쳐진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배차량용 소화물 인-아웃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물 인-아웃 장치가 마련된 택배차량의 배면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배차량용 소화물 인-아웃 장치의 결박기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배차량용 소화물 인-아웃 장치의 인-아웃 플레이트의 구조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물 인-아웃 장치가 마련된 택배차량의 측면 구조로서, 링크가 접힌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물 인-아웃 장치가 마련된 택배차량의 측면 구조로서, 링크가 펼쳐진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물 인-아웃 장치가 마련된 택배차량의 평면 구조로서, 링크가 접힌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물 인-아웃 장치가 마련된 택배차량의 평면 구조로서, 링크가 평쳐진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물 인-아웃 장치는 택배 차량(10)의 탑차(17)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물 인-아웃 장치는 스크류(11), 너트(28, 도 5 참조), 모터(12), 링크(13), 등받이(14), 제품 결박기(15) 및 가이드 레일(16), 이송판(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물 인-아웃 장치는 모터(12)의 구동에 의해 스크류(11)가 회전을 하고, 스크류(11)와 탭 체결된 한 쌍의 너트(28)가 좌우로 이동하고, 한 쌍의 너트(28)와 각각 연결된 링크(13)가 펼쳐지고 좁혀지면서 링크(13)의 타단에 연결된 등받이(14)가 가이드 레일(16)을 타고 탑차(17)의 전후로 이동하면서 택배 상자(박스)를 탑차(17)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인-아웃하게 된다.
링크(13)의 일단은 스크류(11)와 탭 체결된 한 쌍의 너트(28)에 연결되고, 타단은 등받이(14)에 결합된 레일(25)에 좌우로 벌어지고 좁혀지도록 연결된다.
본 발명은 링크(13)의 접철 구조를 전기 구동원을 사용하는 데 특징이 있으며, 기존의 유압 구동원 또는 공압 구동원을 사용하는 구조와 대별되고, 이러한 구동원의 차이는 본 발명과 같은 소형 택배 차량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본 발명과 달리 유압 장치 및 공압 장치는 자동차의 유압 및 공압 시스템을 활용할 수가  없기 때문에, 외부 유압 및 공압 장치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즉, 외부 장치에 펌프, 유니트, 실린더 등을 별도 설치해야 된다.
특히, 외부 장치 중 펌프 동력은 차량 동력을 사용해야 하므로, 차량의 개조가 별도로 필요하다.
유압이나 공압 장치의 단점은 실린더 행정이다. 실린더 행정을 확보하기 위하여는 행정 거리보다 1.5배의 공간이 필요하며, 그 만큼의 공간이 허실로 남기 때문에 적재공간이 줄어들 수 밖에 없다.
특히 공압 장치는 유압 장치 보다 토크가 약하기 때문에 그 만큼 큰 실린더와 공간이 필요하여 매우 비효율적인 구조가 된다.
택배 차량과 같이 소형 차량의 탑차의 공간은 매우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링크 구조를 유압 장치나 공압 장치로 개발시, 공간의 제약, 부수적인 부품의 필요성, 차량의 개조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이와 달리 전기 장치를 활용하여 소형 택배 차량의 최적화 구조를 구현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소화물 인-아웃 장치는 스크류(11), 너트(28, 도 5 참조), 모터(12) 및 링크(13)를 갖는다.
DC 전기를 구동력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탑차 안쪽의 최소한의 공간 만으로 구축이 가능하고, 모터(12)의 구동에 의해 스크류(11)가 회전하면서 너트(28)을 좌우 이동토록 하고, 너트(28)에 링크(13) 양측의 일단 각각을 연결하여 연동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링크(13) 양측의 타단 각각은 등받이(14)에 연결되고, 등받이(14)의 상단은 탑차(17)의 천정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6)에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등받이(14)의 타측면 방향으로는 탑차(17)의 입구측에 제품 결박기(15)가 형성될 수 있다.
제품 결박기(15)는 등받이(14)와의 사이에 위치된 택배 상자(박스)를 고정하여 이송시 제품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품 결박기(15)는 좌우 회전하여 개폐하는 좌우 한 쌍의 결박기(19), 좌우 한 쌍의 결박기(19)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클램프 바(20), 좌우 한 쌍의 결박기(19) 각각의 일단을 탑차에 고정하는 회전 고정체(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세한 구조는 도 6 및 도 7를 통해 다시 설명한다.
이송판(23)은 등받이(14)의 하단부에 등받이(14)와 수직 방향으로 연결된 플레이트이며, 택배 상자를 올려 놓고 등받이(14)와 연동되어 탑차 내부를 전후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세한 구조는 도 8를 통해 다시 설명한다.
제품 결박기(15)와 제1 및 제2 이송판(23a, 23b, 도 8 참조)는 등받이(14)에 택배 상자(18, 박스)를 결박하여 자동으로 안쪽 및 입구까지 이송시켜 상하차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으로서, 작업 시간이 기존의 1/2로 단축되고 작업자가 중량물, 박스 등을 들고 탑차 안쪽으로 들어갈 일이 없으며, 탑차 안쪽으로 들어갈 일이 없다 보니 자연히 허리를 숙일 필요가 없어 작업자의 피로도가 줄어들고 근골격계 질환이 예방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소화물 인-아웃 장치는 기존과 달리 소형 택배 차량의 탑차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고, 부품의 수량이 적어 설치 비용이 절약되며, 택배물량의 승차 및 하차까지도 가능한 구조로서 택배 차량의 인 아웃 장치로서 보편화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배차량용 소화물 인-아웃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물 인-아웃 장치는 모터(12)의 구동에 의해 스크류(11)가 회전을 하고, 스크류(11)와 탭 체결된 한 쌍의 너트(28)가 좌우로 이동한다.
링크(13)는 일단이 한 쌍의 너트(28)와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등받이(14)에 결합된 레일(25)에 각각 연결되어 펼쳐지고 좁혀지는 구조를 갖는다.
등받이(14)는 양측 상단에 가이드 레일(16)에 이동 가능하도록 캐스터(26)와 케스터 체결체(27)에 의해 연결되어 전후 직선 이동이 가능하다.
등받이(14)의 하단에는 이송판(23)이 연결되어 이송판(23) 위에 택배 상자를 실고 등받이(14)와 이송판(23)이 함께 전후 이동될 수 있고, 이는 택배 상자의 승차 및 하차를 동시에 가능하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물 인-아웃 장치가 마련된 택배차량의 배면 구조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배차량용 소화물 인-아웃 장치의 결박기 구조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제품 결박기(15)는 좌우 회전하여 개폐하는 좌우 한 쌍의 결박기(19), 좌우 한 쌍의 결박기(19)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클램프 바(20), 좌우 한 쌍의 결박기(19) 각각의 일단을 탑차에 고정하는 회전 고정체(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물 인-아웃 장치는 배면(탑차의 입구측)에서 바라보면, 제품 결박기(16a, 16b, 16c)가 상하로 배열된 구조로 예시될 수 있다.
각각의 제품 결박기(16a, 16b, 16c)는 상하 배열 구조이면서, 측면에서 볼 때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일직선상에 놓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선상 즉 들쭉날쭉하게 또는 최하단 제품 결박기로부터 최상단 제품 결박기로 갈수록 계단형의 위치로 놓일 수 있다.
각각의 제품 결박기(16a, 16b, 16c)는 서로 다른 크기의 택배 상자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여러개가 탑차(17)의 양측에 회전 고정체(21)에 의해 고정되면서 결박기(19)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회전 고정체(21)는 몸체(31), 몸체(31)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 탄지되는 탄성체(32), 탄성체(32)가 끼워지고 몸체(31)의 중심에 관통되어 설치되며 결박기(19)가 끼워져 결박기(19) 위로는 탄성체(32)에 의해 탄지되도록 하는 기둥(34), 결박기(19)에 끼워져 탄성 연동되어 결박기(19)의 회전 자유를 갖도록 하고 걸림돌기(35)에 의해 몸체(31)의 걸림홈(36a, 36b)에 끼워져 결박기(19)를 고정하게 하는 걸림쇠(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결박기(19)는 상방향으로 올리면 탄성체(32)에 의해 탄지되어 올라가고 걸림돌기(35)가 걸림홈(36a, 36b)으로부터 해제되어 회전이 가능하게 되며, 결박기(19)를 놓으면 탄성체(32)에 의해 하방향으로 내려가면서 걸림돌기(35)가 걸림홈(36a, 36b)과 체결되어 고정된다.
걸림돌기(35)가 걸림홈(36a)에 체결되면 결박기(19)는 닫힌 상태이고, 걸림돌기(35)가 걸림홈(36b)에 체결되면 결박기(19)는 열린 상태가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배차량용 소화물 인-아웃 장치의 인-아웃 플레이트의 구조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A)는 탑차 내부의 측면도로서 링크(13)가 펼쳐진 상태도이고, (B)는 탑차 내부의 측면도로서 링크(13)가 접혀진 상태도이며, (C)는 이송판(23a, 23b)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링크(13)에 연결된 등받이(14)의 하단부에는 탑차(17)의 바닥면과 수평한 위치에서 제1 이송판(23a)이 연결되고, 제1 이송판(23a)의 하단에는 탑차(17)의 바닥면과 맞닿는 제2 이송판(23b)이 위치된다.
제1 이송판(23a)에는 장방홀(24)이 형성되고, 장방홀(24)에는 연결핀(23d)이 삽입되어 제1 이송판(23a)과 제2 이송판(23b)이 서로 분리되지 않고, 이동시 같이 연동되어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이송판(23b)이 탑차(17)의 바깥쪽 일측에서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스토퍼(23c)가 탑차(17)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링크(13)에 의해 펼쳐진 상태에서 접혀질 때, 등받이(14)와 연결된 제1 이송판(23a)이 좌측(탑차의 안쪽 방향)으로 이동되고, 장방홀(24)에 의해 어느 길이까지는 제1 이송판(23a)만이 이동되다가 장방홀(24)의 선단부에서 연결핀(23d)에 의해 제2 이송판(23b)이 이동되는 구조를 가지며, 마찬가지로 링크(13)가 펼쳐질 때도 제1 이송판(23a)과 제2 이송판(23b)이 함께 탑차의 바깥쪽 방향으로 이동되다가 제2 이송판(23b)이 스토퍼(23c)에 의해 걸리면 제1 이송판(23a)만이 이동될 수 있다.
제1 이송판(23a) 및 제2 이송판(23b) 위에는 택배 상자들이 쌓일 수 있고, 이동의 편리성을 위해 제1 이송판(23a) 및 제2 이송판(23b)의 하면에는 캐스터가 장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택배 차량 11: 스크류
12 : 모터 13 : 링크
14 : 등받이 15 : 제품 결박기
16: 가이드 레일 17 : 탑차
18 : 택배 상자 23 : 이송판
28 : 너트

Claims (7)

  1. 택배차량의 탑차 내에 설치되고,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에 장착되어 좌우로 이동되는 한 쌍의 너트;
    일단이 상기 한 쌍의 너트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등받이에 각각 연결되어 접철되는 링크;
    상기 탑차의 천정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링크의 접철에 연동되어 전후 이동되어 소화물의 승차 및 하차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등받이;를 포함하는, 택배차량용 소화물 인-아웃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의 전측에는 소화물을 고정하는 제품 결박기가 더 형성되는, 택배차량용 소화물 인-아웃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결박기는 둘 이상이 일직선 상의 상하 방향 또는 서로 다른 직선 상의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택배차량용 소화물 인-아웃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결박기는 좌우 회전하여 개폐하는 좌우 한 쌍의 결박기, 상기 좌우 한 쌍의 결박기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클램프 바, 상기 좌우 한 쌍의 결박기 각각의 일단을 탑차에 고정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 고정체를 포함하는, 택배차량용 소화물 인-아웃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고정체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 탄지되는 탄성체, 상기 탄성체가 끼워지고 상기 몸체의 중심에 관통되어 설치되며 상기 결박기가 끼워져 상기 결박기 위로는 상기 탄성체에 의해 탄지되도록 하는 기둥, 및 상기 결박기의 회전 자유를 갖도록 하고 걸림돌기에 의해 상기 몸체의 걸림홈에 끼워져 상기 결박기를 고정하게 하는 걸림쇠를 포함하는, 택배차량용 소화물 인-아웃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의 하단부에는 탑차의 바닥면과 수평한 위치에서 소화물을 얹은 상태에서 상기 등받이와 연동되어 전후 이동되는 이송판이 형성되는, 택배차량용 소화물 인-아웃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판은 상기 등받이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제1 이송판과, 상기 제1 이송판의 하단에 위치되는 제2 이송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송판에는 장방홀이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장방홀에는 연결핀이 삽입되어 상기 제1 이송판과 제2 이송판이 서로 분리되지 않고, 이동시 같이 연동되어 움직이도록 구성되는, 택배차량용 소화물 인-아웃 장치.
KR1020210063352A 2021-05-17 2021-05-17 택배차량용 소화물 인-아웃 장치 KR102290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352A KR102290917B1 (ko) 2021-05-17 2021-05-17 택배차량용 소화물 인-아웃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352A KR102290917B1 (ko) 2021-05-17 2021-05-17 택배차량용 소화물 인-아웃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0917B1 true KR102290917B1 (ko) 2021-08-18

Family

ID=77464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352A KR102290917B1 (ko) 2021-05-17 2021-05-17 택배차량용 소화물 인-아웃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9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71547A (zh) * 2022-08-10 2022-09-20 蒙城财富汽车有限公司 一种半挂车钢材运输用固定结构及其使用方法
KR20230060722A (ko) * 2021-10-28 2023-05-08 짐캐리 주식회사 자동 잠금 방식의 적재함 개폐 장치 및 방법
KR20230153183A (ko) 2022-04-28 2023-11-06 김영배 차량용 체인 방식의 소화물 인-아웃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5976Y2 (ja) * 1992-12-15 1999-06-02 義正 笠倉 車輛の排気ガスを用いた物品移送装置
KR20180024911A (ko) 2016-08-31 2018-03-08 유장욱 컨테이너 내부 화물 푸쉬아웃장치
KR101858828B1 (ko) 2016-09-06 2018-05-1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택배차량용 컨베이어 장치
KR101966034B1 (ko) * 2017-10-17 2019-04-04 조민규 트럭용 화물 승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5976Y2 (ja) * 1992-12-15 1999-06-02 義正 笠倉 車輛の排気ガスを用いた物品移送装置
KR20180024911A (ko) 2016-08-31 2018-03-08 유장욱 컨테이너 내부 화물 푸쉬아웃장치
KR101858828B1 (ko) 2016-09-06 2018-05-1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택배차량용 컨베이어 장치
KR101966034B1 (ko) * 2017-10-17 2019-04-04 조민규 트럭용 화물 승강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0722A (ko) * 2021-10-28 2023-05-08 짐캐리 주식회사 자동 잠금 방식의 적재함 개폐 장치 및 방법
KR102634623B1 (ko) * 2021-10-28 2024-02-07 짐캐리 주식회사 자동 잠금 방식의 적재함 개폐 장치 및 방법
KR20230153183A (ko) 2022-04-28 2023-11-06 김영배 차량용 체인 방식의 소화물 인-아웃 장치
CN115071547A (zh) * 2022-08-10 2022-09-20 蒙城财富汽车有限公司 一种半挂车钢材运输用固定结构及其使用方法
CN115071547B (zh) * 2022-08-10 2023-10-24 蒙城财富汽车有限公司 一种半挂车钢材运输用固定结构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0917B1 (ko) 택배차량용 소화물 인-아웃 장치
US7832975B1 (en) Spring-biased folding truck ramp
CN211496082U (zh) 一种新型履带式装箱用的传送机
US20070166140A1 (en) Specialized mobile equipment handling lift system
US5839865A (en) Device for the nonskid transport of objects on loading surfaces of motor vehicles
AU2018425538B2 (en) Cargo container
US10745199B2 (en) Material placement device
CN111827805B (zh) 一种厢式货车后门锁机构
KR102480405B1 (ko) 상용차량용 중량물 상하차 장치
US20180370410A1 (en) Transport vehicle for containers
KR20190141948A (ko)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
CN107720012B (zh) 集装箱用汽车运输架及具有其的集装箱
WO2008136672A1 (en) Lift construction, method for transporting a vehicle, and method for collapsing a lift construction
CN106927276A (zh) 轨道传输系统
CN106080701A (zh) 一种推车
EP0376720B1 (en) Carrier pallet
KR101720208B1 (ko) 화물 이동용 스케이트
CN217048855U (zh)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物流运输车
CN214651734U (zh) 一种多车型共用式输送吊具
US20180258683A1 (en) Truck Hopper Gate Opener
CN115489882B (zh) 运输装置和集装箱
CN213706592U (zh) 集装箱
KR200488511Y1 (ko)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
KR100433088B1 (ko) 적재면을가진차량에고정되고미끄러짐없이대상물들을운반하기위한장치
KR20230153183A (ko) 차량용 체인 방식의 소화물 인-아웃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