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520B1 - 센서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센서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520B1
KR102290520B1 KR1020207010868A KR20207010868A KR102290520B1 KR 102290520 B1 KR102290520 B1 KR 102290520B1 KR 1020207010868 A KR1020207010868 A KR 1020207010868A KR 20207010868 A KR20207010868 A KR 20207010868A KR 102290520 B1 KR102290520 B1 KR 102290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module
connector
termina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0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3582A (ko
Inventor
가즈아키 가나자와
기요시 아사이
다케시 호리카와
Original Assignee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53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092Pressure sensor associated with other sensors, e.g. for measuring acceleration or tempera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061Electrical connection means
    • G01L19/0084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23/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or recording rapid changes, such as oscillations, in the pressure of steam, gas, or liquid; Indicators for determining work or energy of steam, internal-combustion, or other fluid-pressure engines from the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 G01L23/26Details or accesso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01L19/142Multiple part housings
    • G01L19/143Two part hou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23/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or recording rapid changes, such as oscillations, in the pressure of steam, gas, or liquid; Indicators for determining work or energy of steam, internal-combustion, or other fluid-pressure engines from the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 G01L23/08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or recording rapid changes, such as oscillations, in the pressure of steam, gas, or liquid; Indicators for determining work or energy of steam, internal-combustion, or other fluid-pressure engines from the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operated electrically
    • G01L23/1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or recording rapid changes, such as oscillations, in the pressure of steam, gas, or liquid; Indicators for determining work or energy of steam, internal-combustion, or other fluid-pressure engines from the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operated electrically by pressure-sensitive members of the piezoelectric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9/00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L9/08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by making use of piezoelectric devices, i.e. electric circuit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과제)본 발명은, 다양한 센서유닛의 레퍼토리에 대응할 수 있어, 생산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센서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이 센서용 커넥터(2)는, 모듈 삽입·부착부(31) 내에 삽입·부착되는 단자모듈(5, 5 … )을 구비하고, 공통부품화된 포고핀형의 단자모듈(5)이 접속단자(4)의 모듈 삽입·부착부(31)측으로 노출된 접속단자(4)와 서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슬라이딩 접촉편(525, 525)을 통하여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레퍼토리를 갖는 센서유닛(1)에 대하여 커넥터 하우징(3)의 모듈 삽입·부착부(31, 31 … )의 배치 및 극의 수 등의 변경에 따라 대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센서용 커넥터
본 발명은, 센서와 전자기기를 접속하는 커넥터(connector)로서, 특히 내연기관(內燃機關)의 연료분사장치(燃料噴射裝置)에 사용되는 압력센서 등과 제어장치의 접속에 사용되는 센서용 커넥터(sensor用 connector)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내연기관의 연료분사장치에 있어서는, 각 기통(氣筒) 내에서 발생하는 연소압력이나 코먼레일(common rail) 내의 압력을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하여 압력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압력센서는,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 하우징(sensor housing)(11)의 접합측 단부(端部)에 센서본체(12)가 설치되어 있는 센서유닛(sensor unit)(1)과, 센서유닛(1)에 조립되고 센서본체(12)와 접속되는 커넥터(9)를 구비하고, 이 커넥터(9)를 통하여 센서본체(12)와 케이블 등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커넥터(9)는, 센서본체(12)의 표면에 접속되는 리드단자(lead端子)(91)와, 리드단자(91)와 접속되는 접속단자(92)와, 접속단자(92)를 지지하는 하우징(93)을 구비하고, 리드단자(91)를 통하여 접속단자(92)가 센서본체(1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리드단자(91)는, 센서본체(12)에 용접 등에 의하여 미리 접속되어 있고, 하우징(93)을 센서 하우징(11)과 서로 조립함으로써 리드단자(91)와 접속단자(92)가 접촉되고, 그 상태에서 양 단자(91, 92)가 하우징(93)에 개구된 용접용 구멍(94)을 이용하여 용접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서의 부호 95는 용접용 구멍(94)을 막는 밀봉 뚜껑이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에는, 센서본체와 접속단자의 사이에 스프링 모양의 리드단자를 구비하고, 하우징을 센서부에 조립함으로써 센서용 기판의 표면에 리드단자가 탄성적으로 접속되도록 한 것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을 참조).
: 일본국 특허공표 특표2003―529070호 공보
그러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커넥터와 접속되는 센서유닛에 다양성(레퍼토리(repertory))이 있어, 센서유닛별로 센서본체의 극(極)의 수, 센서본체에 대한 리드단자의 접촉위치 등이 다르다.
따라서 각 센서유닛에 접속되는 커넥터는, 대응하는 센서유닛별로 리드단자의 형상이나 배치 및 그것에 접속되는 접속단자의 형상이나 배치가 달라서, 그들을 수용하는 하우징도 대응하는 센서유닛별로 설정할 필요가 있었다.
즉 종래의 센서용 커넥터에서는, 센서유닛의 레퍼토리별로 전용의 것을 준비할 필요가 있어, 커넥터의 구성부품이 공통화되지 않아서, 각각 독자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생산공정이 번잡하게 됨과 아울러, 생산 코스트가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센서본체와 리드단자를 미리 접속시켜 두는 구조이면, 센서본체와 리드단자를 용접하는 공정과, 리드단자와 접속단자를 용접하는 공정을 거치지 않으면 안 되어, 조립이 번잡하게 됨으로써 작업효율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리드단자와 접속단자를 용접하는 데에는, 커넥터 하우징에 용접용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있고, 또한 용접 완료 후에는 이 용접용 구멍을 폐쇄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고려하여 다양한 센서유닛의 레퍼토리에 대응할 수 있고, 생산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센서용 커넥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청구항1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특징은, 센서 하우징의 접합측 단부에 센서본체가 설치되어 있는 센서유닛에 조립되고 상기 센서본체와 접속되는 센서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센서 하우징과 접합되는 커넥터 하우징과, 그 커넥터 하우징에 지지된 접속단자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있어서 센서본체와 대향하는 면으로 개구된 모듈 삽입·부착부 내에 삽입·부착되는 단자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단자모듈은, 상기 모듈 삽입·부착부 내에 고정되는 모듈 기부와, 그 모듈 기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된 가동 접촉자와, 상기 모듈 기부와 상기 가동 접촉자 사이에 삽입된 가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가동 접촉자는, 모듈 삽입·부착부측으로 노출된 상기 접속단자와 서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슬라이딩 접촉편을 구비하고, 상기 가압수단에 가압되어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있어서 센서본체와 대향하는 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센서 하우징에 접합시킴으로써 상기 센서본체와 접촉하도록 한 것에 있다.
청구항2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특징은, 청구항1의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슬라이딩 접촉편은, 상기 가동 접촉자의 측면에서 비스듬하게 외측을 향하여 연장된 컨틸레버 스프링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있다.
청구항3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특징은,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의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모듈 기부는, 평판 모양의 단판과, 그 단판의 옆 가장자리에서 세워서 배치된 안내용 측판을 구비하고, 상기 가동 접촉자는, 상기 안내용 측판의 외측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포개진 슬라이드 판과, 그 슬라이드 판의 선단에 지지되고 상기 센서본체에 강하게 눌려지는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판 또는 안내용 측판 중 어느 일방의 대향면에서 돌출시킨 맞물림 돌기가 어느 타방의 대향면부에 형성된 슬라이드 방향으로 길이가 긴 장공에 삽입되고, 상기 가압수단이 상기 단판에 지지되어 상기 접촉부를 서로 이반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한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센서용 커넥터는, 청구항1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레퍼토리를 갖는 센서유닛에 대하여 모듈화된 공통의 단자모듈에 의하여 대응할 수 있어, 자동조립기의 작업을 일원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조립작업의 효율이 향상되어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청구항2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접속단자에 대하여 가동 접촉자가 원활하게 슬라이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적합한 접촉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청구항3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최소한의 부품 수로 단자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도1] 본 발명에 관한 센서용 커넥터를 사용한 센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 도1에 있어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 (a)는 도1에 있어서의 센서용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b)는 동 측면도이고, (c)는 동 정면도이다.
[도4] 도1에 있어서의 센서용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5] 도4에 있어서의 단자모듈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6] 도3에 있어서의 단자모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7] 종래의 센서유닛에 대한 센서용 커넥터의 부착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센서용 커넥터(sensor用 connector)의 실시태양을 도1∼도6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종래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연기관의 각 기통(氣筒) 내에서 발생하는 연소압력이나 코먼레일(common rail) 내의 압력을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압력센서(A)를 예로 하여 설명하고, 도면에서의 부호 1은 센서유닛(sensor unit), 부호 2는 센서용 커넥터이다.
이러한 종류의 압력센서(A)는, 도1,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 하우징(sensor housing)(11)의 접합측 단부(端部)에 센서본체(12)(압전센서(壓電sensor))가 설치된 센서유닛(1)을 구비하고, 이 센서유닛(1)에 센서용 커넥터(2)가 조립되고, 센서용 커넥터(2)를 통하여 내연기관의 제어부와 연결되는 케이블 등(도시하지 않는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센서 하우징(11)은, 예를 들면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몰드체(mold體)(111)와, 몰드체(111)의 외부를 덮는 커버(112)를 구비하고, 센서본체(12)가 설치된 접합 끝면(13)이 커버(112)의 커넥터측 둘레벽(112a)에 둘러싸여지고, 센서용 커넥터(2)의 단부가 감합(嵌合)되는 오목 모양의 커넥터 감합부(connector 嵌合部)(14)가 형성되어 있다.
센서용 커넥터(2)는, 도3,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 하우징(11)과 접합되는 커넥터 하우징(connector housing)(3)과, 커넥터 하우징(3)에 지지된 접속단자(4, 4 … )와, 커넥터 하우징(3)에 있어서 센서본체(12)와 대향(對向)하는 면에 개구된 모듈 삽입·부착부(module 揷入·附着部)(31, 31 … )에 삽입·부착되는 단자모듈(端子module)(5, 5 … )을 구비하고, 센서유닛(1)의 태양(態樣) 즉 센서본체(12)의 극(極)의 수나 배치 등에 맞추어서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3)에 단자모듈(5, 5 … )을 삽입·부착함으로써 다양한 센서유닛(1)에 대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접속단자(4, 4 … )는,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전성 금속재를 블랭킹·벤딩 가공(blanking·bending 加工)함으로써 형성되고, 직사각형 모양의 고정편(固定片)(41)과, 고정편(41)의 일단(一端)에서 연장된 핀 모양의 단자본체(42)와, 고정편(41)과 서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접촉편(43)과, 고정편(41)과 접촉편(43)을 연결하는 연결편(4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면에서의 부호 45는, 각 고정편(41)의 양 옆 가장자리에 돌출하도록 형성된 록킹 돌기(locking 突起)이다.
커넥터 하우징(3)은,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성 수지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센서 하우징(11)의 커넥터 감합부(14)에 끼워지는 센서측 감합부(sensor側 嵌合部)(32)와, 센서측 감합부(32)의 타단(他端)측에 배치된 통 모양의 외부 접속부(33)를 구비하고 있다.
센서측 감합부(32)는, 센서 하우징(11)의 접합 끝면(13)과 포개지는 편평한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고, 접합면부에 오목부(321)를 갖고, 그 바닥면(321a)이 센서본체(12)와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이 센서측 감합부(32)는, 외주에 O링 등의 지수부재(止水部材)(6)가 끼워지는 지수재용 홈(止水材用 groove)(322)이 형성되고, 커넥터 감합부(14)에 감합되었을 때에 커넥터측 둘레벽(112a)과의 간극이 지수부재(6)에 의하여 밀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센서측 감합부(32)에는, 타단측의 외주부에 고정용 계단부(323)가 형성되고,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측 둘레벽(112a)의 단부를 코킹(caulking)하여 고정용 계단부(323)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커넥터 하우징(3)이 센서 하우징(11)에 접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 센서측 감합부(32)에는, 센서본체(12)의 태양 즉 센서본체(12)측 단자의 극의 수 및 배치에 맞추어서 모듈 삽입·부착부(31, 31 … )를 구비함과 아울러, 모듈 삽입·부착부(31, 31 … )와 인접하여 접속단자(4, 4 … )가 지지되는 접속단자 지지부(34, 34 … )가 형성되어 있다.
모듈 삽입·부착부(31, 31 … )는, 센서본체(12)와 대향하는 면 즉 오목부 바닥면(321a)으로 개구된 직사각형의 홀 모양으로 형성되고, 접합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깊이를 갖고 있다.
또한 모듈 삽입·부착부(31, 31 … )에는, 접속단자(4, 4 … )측에 접합방향을 향하는 직사각형의 구멍 모양의 연통홈(連通groove)(311)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단자모듈(5, 5 … )의 가동 접촉자(可動 接觸子)(52)가 접합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가동 접촉자(52)(슬라이딩 접촉편(sliding 接觸片)(525, 525))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접속단자 지지부(34)는, 접속단자(4)의 고정편(41)이 삽입·부착되는 고정편 삽입구멍(341)과, 고정편 삽입구멍(341)과 연통하고 외부 접속부(33) 내로 관통되는 단자 삽통구멍(端子 揷通孔)(342)과, 연결편(44)이 수용되는 수용홈부(343)를 구비하고, 고정편(41)을 고정편 삽입구멍(341)에 압입함으로써 단자본체(42)가 단자 삽통구멍(342)을 통하여 외부 접속부(33) 내로 돌출됨과 아울러, 접촉편(43)이 모듈 삽입·부착부(31)측 즉 연통홈(311) 내로 노출하도록 되어 있다.
단자모듈(5, 5 … )은, 도5,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듈 삽입·부착부(31) 내에 고정되는 모듈 기부(module 基部)(51)와, 모듈 기부(51)에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된 가동 접촉자(52)와, 모듈 기부(51)와 가동 접촉자(52)의 사이에 삽입된 가압수단(53)을 구비하고, 모듈 기부(51), 가동 접촉자(52) 및 가압수단(53)이 서로 도통(導通)된 상태에서 조립되어 모듈화(일체화)되어 있다.
모듈 기부(51)는, 도전성 금속제 판재를 블랭킹·벤딩 가공함으로써 형성되고, 십자 평판 모양의 단판(端板)(511)과, 단판(511)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옆 가장자리에서 세워서 형성된 1쌍의 안내용 측판(512)과, 단판(511)의 다른 옆 가장자리에서 세워서 형성된 가압수단 지지편(513, 513)을 구비하고 있다.
안내용 측판(512)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양 옆 가장자리에 모듈 삽입·부착부(31)의 내벽으로 파고들어가서 맞물리는 고정용 록킹편(固定用 locking片)(514, 514)이 일체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내용 측판(512)에는, 그 표면의 중앙부분에 외측을 향하게 돌출되고 단판(511)측에 계단부(515a)를 갖는 맞물림 돌기(515)가 형성되어 있다.
양 가압수단 지지편(513, 513)은, 가늘고 긴 띠모양으로 형성되고 가압수단(53)의 직경과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대향하고 가압수단(53)을 사이에 끼움으로써, 대향하는 양 안내용 측판(512, 512)의 사이에서 가압수단(53)이 이탈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가동 접촉자(52)는, 도전성 금속판재를 블랭킹·벤딩 가공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고 안내용 측판(512)의 외측에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대향하여 포개지는 1쌍의 슬라이드 판(slide 板)(521, 521)과, 양 슬라이드 판(521, 521)의 선단에 지지되고 센서본체(12)에 강하게 눌려지는 접촉부(522)를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드 판(521)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선단측에 지지부(523)를 사이에 두고 접촉부(522)의 옆 가장자리가 일체로 지지되어 있다.
각 슬라이드 판(521)에는, 중앙부에 가동 접촉자(52)의 이동방향을 향하는 장공(長孔) 모양의 슬라이드 구멍(524)이 형성되고, 이 슬라이드 구멍(524)에 안내용 측판(512)의 맞물림 돌기(515)가 삽입되고, 슬라이드 판(521, 521)이 안내용 측판(512)으로 안내되어, 가동 접촉자(52)가 모듈 기부(51)에 대하여 슬라이드 구멍(524)의 길이분만큼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일방(一方)의 슬라이드 판(521, 521)에는, 연통홈(311) 내로 노출된 접촉편(43)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접촉되는 슬라이딩 접촉편(525, 525)이 일체로 지지되어 있다.
슬라이딩 접촉편(525, 525)은, 기단(基端)이 슬라이드 판(521)의 끝 가장자리에 일체로 지지된 띠모양의 절편(切片)이 외측을 향하여 되접혀서 꺽이고, 가동 접촉자(52)의 측면에서 비스듬하게 외측을 향하여 연장된 컨틸레버 스프링(cantilever spring)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슬라이딩 접촉편(525, 525)의 선단부에는 원호모양의 접점부(525a)가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522)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 표면측으로 팽출(膨出)된 접점(522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가압수단(53)은, 코일스프링에 의하여 구성되고, 일단(一端)이 단판(511)에 지지되고, 타단(他端)이 접촉부(522)를 가압하여, 가동 접촉자(52)를 압출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단자모듈(5, 5 … )은,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듈 기부(51)의 가압수단 지지편(513, 513) 사이에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가압수단(53)을 삽입하고, 그 상태에서 가압수단(53)을 압입하면서 가동 접촉자(52)를 모듈 기부(51)측에 조립함으로써 맞물림 돌기(515)가 슬라이드 구멍(524)에 삽입되어, 가동 접촉자(52)가 모듈 기부(51)에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접합됨으로써 모듈 기부(51), 가동 접촉자(52) 및 가압수단(53)이 원터치로 일체화(모듈화)된다.
또한 이 단자모듈(5, 5 … )은, 모듈 삽입·부착부(31, 31 … )에 압입됨으로써 모듈 기부(51)의 고정용 록킹편(514, 514)이 모듈 삽입·부착부(31, 31 … )의 내벽으로 파고들어가서, 가동 접촉자(52)가 접합 끝면에서 압입될 수 있도록 돌출된 상태에서 커넥터 하우징(3)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고, 또한 슬라이딩 접촉편(525, 525)이 모듈 삽입·부착부(31, 31 … )측으로 노출된 접속단자(4, 4 … ) 즉 연통홈(311) 내로 노출된 접촉편(43)에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접촉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센서용 커넥터(2)는, 센서본체(12)와 접촉되는 단자를 다양한 센서유닛(1)의 태양에 대응할 수 있는 공통의 포고핀식(pogo pin式)(압접식(壓接式))의 단자모듈(5, 5 … )로 하고, 그 단자모듈(5, 5 … )을 각 레퍼토리(repertory)에 대응한 커넥터 하우징(3)의 모듈 삽통부(module 揷通部)에 압입(삽입·부착)함으로써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3)에 용이하게 갖출 수 있고, 또한 용접 등을 사용하지 않고 접속단자(4, 4 … )와의 도통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이 센서용 커넥터(2)에서는, 단자모듈(5, 5 … )이 공통화됨으로써, 다양한 레퍼토리를 갖는 센서유닛(1)에 대하여 커넥터 하우징(3)의 모듈 삽입·부착부(31, 31 … )의 배치 및 극의 수 등의 변경에 따라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접속단자(4, 4 … )의 형상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아서, 모듈 삽입·부착부(31, 31 … )로 노출되는 접촉편(43)을 갖고 있으면 좋기 때문에, 대응하는 센서유닛(1)의 태양에 맞추어서 자유롭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센서용 커넥터(2)는, 모듈화된 공통의 단자모듈(5, 5 … )을 구비함으로써, 자동조립기 등의 작업을 일원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조립작업의 효율이 향상되어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내연기관용의 압력센서(A)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센서유닛(1)의 종류 및 태양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아서, 예를 들면 센서본체(12)는 압전센서 이외의 센서이어도 좋다. 또한 센서 하우징(11) 및 커넥터 하우징(3)의 태양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 접촉편(525)을 컨틸레버 스프링 모양으로 형성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슬라이딩 접촉편의 태양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아서, 접속단자측에 컨틸레버 스프링을 설치하고, 슬라이딩 접촉편을 평판 모양으로 형성하여, 접속단자의 컨틸레버 스프링에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접촉시켜도 좋다.
1 : 센서유닛
11 : 센서 하우징
111 : 몰드체
112 : 커버
13 : 접합 끝면
14 : 커넥터 감합부
12 : 센서본체(압전센서)
2 : 센서용 커넥터
3 : 커넥터 하우징
31 : 모듈 삽입·부착부
311 : 연통홈
32 : 센서측 감합부
321 : 오목부
322 : 지수재용 홈
323 : 고정용 계단부
33 : 외부 접속부
34 : 접속단자 지지부
341 : 고정편 삽입구멍
342 : 단자 삽통구멍
343 : 수용홈부
4 : 접속단자
41 : 고정편
42 : 단자본체
43 : 접촉편
44 : 연결편
45 : 록킹 돌기
5 : 단자모듈
51 : 모듈 기부
511 : 단판
512 : 안내용 측판
513 : 가압수단 지지편
514 : 고정용 록킹편
515 : 맞물림 돌기
52 : 가동 접촉자
521 : 슬라이드 판
522 : 접촉부
523 : 지지부
524 : 슬라이드 구멍
525 : 슬라이딩 접촉편
53 : 가압수단
6 : 지수부재

Claims (3)

  1. 센서 하우징(sensor housing)의 접합측 단부(端部)에 센서본체가 설치되어 있는 센서유닛에 조립되고 상기 센서본체와 접속되는 센서용 커넥터(sensor用 connector)에 있어서,
    상기 센서 하우징과 접합되는 커넥터 하우징(connector housing)과, 그 커넥터 하우징에 지지된 접속단자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있어서 센서본체와 대향(對向)하는 면(面)으로 개구된 모듈 삽입·부착부(module 揷入·附着部) 내에 삽입·부착되는 단자모듈(端子module)을 구비하고,
    상기 단자모듈은, 상기 모듈 삽입·부착부 내에 고정되는 모듈 기부(module 基部)와, 그 모듈 기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된 가동 접촉자(可動 接觸子)와, 상기 모듈 기부와 상기 가동 접촉자 사이에 삽입된 가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가동 접촉자는, 모듈 삽입·부착부측으로 노출된 상기 접속단자와 서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슬라이딩 접촉편(sliding 接觸片)을 구비하고, 상기 가압수단에 가압되어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있어서 센서본체와 대향하는 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센서 하우징에 접합시킴으로써 상기 센서본체와 접촉하도록 하고,
    상기 모듈 기부는, 평판 모양의 단판(端板)과, 그 단판의 옆 가장자리에서 세워서 배치된 안내용 측판을 구비하고,
    상기 가동 접촉자는, 상기 안내용 측판의 외측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포개진 슬라이드 판(slide 板)과, 그 슬라이드 판의 선단(先端)에 지지되고 상기 센서본체에 강하게 눌려지는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판 또는 안내용 측판 중 어느 일방(一方)의 대향면(對向面)에서 돌출시킨 맞물림 돌기가 어느 타방(他方)의 대향면부에 형성된 슬라이드 방향으로 길이가 긴 장공(長孔)에 삽입되어, 상기 가압수단이 상기 단판에 지지되어 상기 접촉부를 서로 이반(離反)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접촉편은, 상기 가동 접촉자의 측면에서 비스듬하게 외측을 향하여 연장된 컨틸레버 스프링(cantilever spring)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센서용 커넥터.
  3. 삭제
KR1020207010868A 2017-12-26 2018-06-19 센서용 커넥터 KR102290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48855 2017-12-26
JP2017248855A JP6541083B1 (ja) 2017-12-26 2017-12-26 センサ用コネクタ
PCT/JP2018/023217 WO2019130624A1 (ja) 2017-12-26 2018-06-19 センサ用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582A KR20200053582A (ko) 2020-05-18
KR102290520B1 true KR102290520B1 (ko) 2021-08-13

Family

ID=67066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0868A KR102290520B1 (ko) 2017-12-26 2018-06-19 센서용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37070B2 (ko)
JP (1) JP6541083B1 (ko)
KR (1) KR102290520B1 (ko)
CN (1) CN111279171B (ko)
DE (1) DE112018006611B4 (ko)
WO (1) WO2019130624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82926A1 (en) * 2008-04-30 2009-11-19 Wolfgang Hauer Pressure-sensor system
JP2010243428A (ja) * 2009-04-09 2010-10-28 Nagano Keiki Co Ltd 流体圧力測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4594A (ja) * 1997-07-25 1999-02-16 Yamatake Honeywell Co Ltd 圧力検出器
DE10014992C2 (de) 2000-03-25 2002-01-31 Bosch Gmbh Robert Sensoranordnung
US6429662B1 (en) * 2000-06-14 2002-08-06 Ifd Corporation Internal fault indicator for power electrical devices
JP2002071499A (ja) * 2000-08-28 2002-03-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圧力センサ
US6584851B2 (en) * 2000-11-30 2003-07-01 Nagano Keiki Co., Ltd. Fluid pressure sensor having a pressure port
WO2002066868A1 (en) 2001-02-15 2002-08-29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Mechatronics pressure sensor and contact
DE10114751C1 (de) * 2001-03-22 2002-11-21 Gerhard Kurz Drucksensor
JP4608228B2 (ja) * 2004-03-30 2011-01-12 長野計器株式会社 圧力セ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19024B2 (ja) * 2006-11-16 2012-04-18 横河電機株式会社 圧力センサ
CN201251493Y (zh) * 2008-09-04 2009-06-03 孔志能 膜片式塑料夹板机芯小型压力表
JP5698064B2 (ja) * 2011-04-22 2015-04-08 アズビル株式会社 圧力センサ
DE102012201416A1 (de) * 2012-02-01 2013-08-01 Robert Bosch Gmbh Sensorsystem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ensorsystems
CN102865965A (zh) * 2012-09-20 2013-01-09 芜湖通和汽车管路系统有限公司 一种液压传感器
EP3308124B1 (en) 2015-06-09 2021-06-02 Moog GmbH Pressure sensor module with electrical contacts
EP3128305B1 (en) * 2015-08-07 2019-07-31 Sensata Technologies, Inc. A hermetic pressure sens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82926A1 (en) * 2008-04-30 2009-11-19 Wolfgang Hauer Pressure-sensor system
JP2010243428A (ja) * 2009-04-09 2010-10-28 Nagano Keiki Co Ltd 流体圧力測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13473A (ja) 2019-07-11
WO2019130624A1 (ja) 2019-07-04
CN111279171A (zh) 2020-06-12
DE112018006611B4 (de) 2023-02-09
KR20200053582A (ko) 2020-05-18
US11237070B2 (en) 2022-02-01
DE112018006611T5 (de) 2020-09-10
CN111279171B (zh) 2021-08-24
JP6541083B1 (ja) 2019-07-10
US20200292402A1 (en) 202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06508B1 (en) Spring connector with waterproofing function
JP5345542B2 (ja) 圧接接続部並びに2つの構成部分を接続するための方法
CN111201673B (zh) 连接器端子及连接器
US9959987B2 (en) Switch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witch device
US7488904B2 (en) Resin molded component fitted with a metal plate and molding method therefor
KR101031773B1 (ko) 전기 커넥터
JP2013187155A (ja) 端子とその接続構造
CN108123247B (zh) 两件式阳电端子及其装配方法
US8721351B2 (en) Sensor
JPH0718381U (ja) コネクタ
KR102290520B1 (ko) 센서용 커넥터
US10366851B2 (en) Switch device and detecting apparatus equipped with it
KR102254297B1 (ko) 가압 소자, 전기/전자 부품
CN111342281B (zh) 端子用密封元件及其制造方法以及包含其的连接器
CN114079188B (zh) 内壳组装时的基板保护结构
KR101414906B1 (ko) 산소센서의 터미널 구조
CN217819114U (zh) 传感器装置
CN216120888U (zh) 快速接线的接线端子
JP7214543B2 (ja) 端子用シール部材、その製法及びそれを備えるコネクタ
JP5186006B2 (ja) 端子接続構造および回転型センサ
US7314381B2 (en) Electric component having connector attached to case via seal member
KR200328527Y1 (ko) 무접점 기동 스위치
JP2010287506A (ja) カードコネクタ
JPH09306593A (ja) コネクタ装置
KR101472662B1 (ko) 산소센서용 터미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