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1773B1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1773B1
KR101031773B1 KR1020070098719A KR20070098719A KR101031773B1 KR 101031773 B1 KR101031773 B1 KR 101031773B1 KR 1020070098719 A KR1020070098719 A KR 1020070098719A KR 20070098719 A KR20070098719 A KR 20070098719A KR 101031773 B1 KR101031773 B1 KR 101031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housing
shield member
fitting portion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8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4773A (ko
Inventor
요스케 다케우치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4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4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1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for shielded multiconduct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01R13/6593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the shield being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내비틀림성을 높인 제조 용이한 소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복수의 단자를 유지하는 하우징과, 그 외주에 장착되는 실드 부재를 구비한다. 하우징은 단자의 피고정부를 유지하는 하우징 본체부와, 상대 커넥터측에 대한 돌출 방향을 따라 단자가 배열된 하우징 끼워맞춤부를 갖는다. 실드 부재는 제 1 및 제 2 실드 부재를 갖고, 제 1 실드 부재는 하우징 끼워맞춤부를 덮는 통 형상의 실드 끼워맞춤부와, 하우징 본체부의 일부를 덮는 제 1 실드 본체부와, 실드 끼워맞춤부와 제 1 실드 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는다. 제 2 실드 부재는 하우징 본체부의 일부를 덮는 제 2 실드 본체부와, 제 2 실드 본체부로부터 실드 끼워맞춤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는다. 제 1 실드 부재의 실드 끼워맞춤부의 기단측에는 적어도 1 개의 패임부가 형성되어 있고, 연장부는 패임부에 삽입되는 돌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특히 케이블 말단부에 설치되는 플러그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나 PDA 그 밖의 휴대용 전자 기기 등에 있어서는, 전자 기기측의 커넥터 (리셉터클 커넥터) 에 대하여 케이블 말단부에 설치된 전기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를 끼워맞춤으로써 신호 전송이나 충전을 실시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커넥터에서는, 이들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끼워맞춤 상태에서 비틀림 등의 과도한 힘이 부가되는 경우가 있어, 이 비틀림력에 대한 강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시되어 왔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98985호 (특허 문헌 1) 에는, 도 13 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커넥터는 케이블 말단에 장착되어 수지 성형되는 파지부 (100) 와, 이 파지부 (100) 로부터 돌출되고 상대 커넥터에 꽂혀져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부 (112) 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콘택트를 병렬 유지하는 하우징 (도시되어 있지 않음) 과, 이 하우징의 외주를 덮는 실드 부재 (120, 140) 를 갖고 있다. 실드 부재는, 통 형상의 끼워맞춤부를 갖 는 제 1 부재 (120) 와 이 제 1 부재에 고정되는 제 2 부재 (140) 를 갖고 있고, 제 2 부재 (140) 에 형성된 관통공 (125a∼c) 에 제 1 부재의 핀부·볼록부 (146a, b, 147) 를 걺으로써 위치 결정과 굽힘 응력 (비틀림력) 에 대한 강도를 유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98985호
그러나, 특허 문헌 1 의 커넥터에서는, 비틀림력에 대한 충분한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핀부·볼록부 (146a, 147) 를 형성하기 위해서 별도의 절곡 가공이 필요해지고, 또한, 그 가공이 관통공 (125a∼c) 에 정확히 들어가도록 실시할 필요가 있어, 제조 공정이 번잡해졌다. 또한, 이들 핀부 등을 구성하기 위해 커넥터의 높이 방향이 커져, 최근 요망되고 있는 커넥터의 소형화에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들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내비틀림성을 높인 제조 용이한 소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단자를 유지하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의 외주에 장착되는 실드 부재를 구비하고 ;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의 피고정부를 유지하는 하우징 본체부와, 이 하우징 본체부로부터 상대 커넥터측으로 돌출되고, 그 돌출 방향을 따라 상기 단자가 배열된 판 형상의 하우징 끼워맞춤부를 갖고 ; 상기 실드 부재는, 제 1 실드 부재와 제 2 실드 부재를 갖고 ; 상기 제 1 실드 부재는, 상기 하우징 끼워맞춤부를 덮는 통 형상의 실드 끼워맞춤부와, 상기 하우징 본체부의 일부를 덮는 제 1 실드 본체부와, 상기 실드 끼워맞춤부와 제 1 실드 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 상기 제 2 실드 부재는, 상기 하우징 본체부의 일부를 덮는 제 2 실드 본체부와, 이 제 2 실드 본체부로부터 상기 실드 끼워맞춤부를 향하여 연장되 는 연장부를 갖고 있고 ; 상기 제 1 실드 부재의 실드 끼워맞춤부의 기단측에는 적어도 1 개의 패임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가 상기 패임부에 삽입되는 돌부 (突部)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실드 끼워맞춤부는, 추가로, 상기 연장부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패임부보다 상기 돌출 방향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실드 부재측을 향하여 돌출된 돌기부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실드 끼워맞춤부는, 상기 돌출 방향과 역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 본체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협지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비틀림력에 대한 강도를 높인 소형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그 제조도 용이해진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 에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커넥터 (1) 의 평면도를, 도 2, 도 3 에 도 1 의 외커버 (2) 를 수지 성형하기 전의 전기 커넥터 (1) 의 상측 및 하측 사시도를, 도 4 에 그 분해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전기 커넥터 (1) 는, 주로 수지 등에 의해 일체 성형된 하우징 (50) 과, 1 장의 얇은 금속판을 펀칭하여 절곡시킴으로써 형성된 실드 부재 (70, 72) 와, 또한, 1 장의 얇은 금속판을 펀칭함으로써 형성된 평판 형상 단자 (30) 및 평판 형상 잠금편 (10) 으로 이루어진다. 실드 부재는, 서로 상보 형상을 이루는 제 1 실드 부재 (70) 와, 제 2 실드 부재 (72) 의 세트로 구성되고, 하우징 (50) 의 외주에 2 개 1 세트로서 장착된다. 단자 (30) 는 합계 5 개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 (50) 의 내부에 협피치로 세로 방향으로 병렬 유지된다. 또한, 잠금편 (10) 은 합계 2 개 형성되어 있고, 단자 (30) 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운 위치에서 하우징 (50) 에 있어서 단자 (30) 에 평행하게 병렬 유지된다.
이 전기 커넥터 (1) 는, 플러그 커넥터로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실제 사용시에는, 예를 들어, 기판에 탑재된 리셉터클 커넥터인 상대 커넥터에 대하여, 도 2 의 화살표 「H」 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접근 혹은 이간되고, 외커버 (2) (도 1 참조) 가 수지 성형되어 있지 않은 선단의 하우징 끼워맞춤부 (58) 나 통 형상의 실드 끼워맞춤부 (87) 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착탈이 자유롭게 끼워 맞추도록 사용된다.
도 4 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2 실드 부재 (72) 이외의 부품은, 예를 들어, 도시 화살표 「K」 로 나타내는 대략 직선 배열 방향으로 서로 조립할 수 있다. 먼저, 단자 (30) 와 잠금편 (10) 이 하우징 (50) 에 압입되고, 이어서, 단자 (30) 의 리드 고정부 (39) 에 대하여 케이블 (11) 의 리드 (도시되어 있지 않음) 가 땜납 등에 의해 고정되고, 그 후, 하우징 (50) 에 제 1 실드 부재 (70) 가 조립되고, 또, 제 2 실드 부재 (72) 가 도시 화살표 (L) 의 방향으로부터 조립된다. 제 1 실드 부재 (70) 와 제 2 실드 부재 (72) 는, 서로 조립되었을 때에, 실질적으로 하우징 끼워맞춤부 (58) 와 하우징 (50) 의 측면 외주 및 후단측을 덮는다. 또한, 이 때, 케이블 (11) 은, 제 1 실드 부재 (70) 의 판부 (84) 와 제 2 실드 부재 (72) 의 코킹부 (83) 사이에 끼인 상태로 배치된다. 그 후, 제 2 실드 부재 (72) 의 코킹부 양단에 형성된 상보 형상의 볼록부 (85) 와 오목부 (86) 를 서로 맞댐으로써, 케이블 (11) 이나 판부 (84) 를 외주로부터 코킹, 도시한 바와 같은 「개방된」 상태에서 통 형상의 「폐쇄된」 상태 (도시되어 있지 않음) 로 하여 조립이 완료된다.
합계 5 개의 단자 (30) 를 예시하고 있으나, 그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중, 예를 들어, 2 개는 데이터 통신용이고, 2 개는 예비이고, 나머지 1 개는 그라운드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2 개 1 세트로 하여 사용함으로써, 플러스의 노이즈와 마이너스의 노이즈를 캔슬하여, 전송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각 단자 (30) 의 피고정부 (32) 와 아암부 (33) 에 대해서는 다소 차이는 있지만, 모든 단자에서 대략 동일한 크기,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아암부 (33) 는, 압입 방향을 향해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고, 선단에는 상방을 향한 접촉부 (34) 가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 (34) 는, 전기 커넥터 (1) 와 상대 커넥터의 끼워맞춤시에, 상대 커넥터측 대응 단자의 접촉부와 접촉되어, 케이블 (11) 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상대 커넥터측에 전달할 수 있는 부분이다.
각 잠금편 (10) 은, 기부 (12) 와, 그 기부 (12) 로부터 상대 커넥터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압입 고정부 (16) 와, 그 기부 (12) 로부터 압입 고정부 (16) 와 대략 평행하게 상대 커넥터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부 (15) 로 이루어진다. 잠금편 (10) 을 하우징 (50) 에 조립할 때, 압입 고정부 (16) 는, 아암부 (15) 의 압입 돌기 (17) 를 이용하여 하우징 (50) 의 피압입부 (52) 에 압입 고정된다. 아암부 (15) 에는, 만곡부 (13) 를 형성함으로써 스프링성이 부여되고 있어, 선단에 형성한 잠금부 (14) 부근을 포함하는 대략 전체가 높이 방향 (아암부 (15) 의 변위 방향) 으로 소정량만큼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시에 있어서, 잠금부 (14) 는 상대 커넥터측의 피걸림부 (도시되어 있지 않음) 에 걸려,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잠금부 (14) 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변위는 상대 커넥터에 대한 삽입 발거 (拔去) 시에 자연스럽게 얻을 수 있으며, 이 삽입 발거 작업을 통하여, 플러그 커넥터 (1) 와 상대 커넥터를 자연스럽고 간편하게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킬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 에 하우징 (50) 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다. 도 5 는 하우징 (50) 의 상측 외관 사시도, 도 6 은 그 하측 외관 사시도, 도 7 은 도 5 의 A-A 선 단면도이다. 하우징 (50) 은, 각 단자 (30) 의 피고정부 (32) 가 고정되고, 또한, 각 잠금편 (10) 의 압입 고정부 (16) 가 고정되는 하우징 본체부 (62) 와, 이 하우징 본체부 (62) 로부터 선단측 (상대 커넥터측) 으로 돌출된 판 형상의 하우징 끼워맞춤부 (58) 를 갖는다. 각 단자 (30) 나 각 잠금편 (10) 은, 이 돌출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하우징 끼워맞춤부 (58) 의 기단측에는, 하우징 (50) 의 상부 전방 벽면 (66) 과, 잠금편 (10) 이 안내되는 잠금공 (46) 근변과, 잠금편 (10) 이나 단자 (30) 를 형성한 하우징 끼워맞춤부 (58) 의 일방의 면과는 반대측에 형성한 지지 기둥 (63) (도 6 참조) 을 제외한 전체 둘레에 걸쳐서, 하우징 끼워맞춤부 (58) 의 돌출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하우징 (50) 내부를 향하는 홈 (55) 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 (55) 에 대응하여, 제 1 실드 부재 (70) 의 기단측의 일부 (도 8 의 (87i) (협지부)) 는, 하우징 본체부 (62) 로부터 상대 커넥터측과는 역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하에서, 홈 (55) 에 제 1 실드 부재 (70) 의 기단측의 일부 (도 8 의 (87i)) 를 협지시킴으로써, 제 1 실드 부재 (70) 에 의해 덮이는 하우징 끼워맞춤부 (58) 의 면적 부분을 크게 하여, 하우징 끼워맞춤부 (58) 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로써, 비틀림력이 부가되기 쉬운, 제 1 실드 본체부 (73) 로부터 돌출되는 실드 끼워맞춤부 (87) 의 강도를 높일 수 있어, 커넥터의 내비틀림성을 높일 수 있다.
단자 (30) 와 잠금편 (10) 은, 각각 하우징 (50) 의 배면측에 형성된 세로 공 (孔) 이나 세로 혈 (穴) (도시되어 있지 않음) 을 통해서 하우징 (50) 에 병렬로 압입된다. 압입 후, 단자 (30) 의 아암부 (33) 는, 세로 공과 연통된 단자공 (49) 을 통해서, 아암부 (33) 의 상부 절반과 접촉부 (34) 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하우징 끼워맞춤부 (58) 의 박육부 (47) 의 단자 홈 (59) 을 따라 탄성적으로 유지된다. 마찬가지로, 잠금편 (10) 은, 세로 공과 연통된 잠금공 (46) 을 통해서, 아암부 (15) 의 대략 상부 절반과 잠금부 (14) 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또한, 하우징 (50) (하우징 끼워맞춤부 (58) 의 박육부 (47)) 으로부터 다소 부상된 상태에서, 하우징 끼워맞춤부 (58) 의 후육부 (48) 에 형성한 홈 (54) 을 따라 탄성적 으로 유지된다.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시에, 잠금편 (10) 은 탄성 변위 가능한 잠금부 (14) 를 이용하여 상대 커넥터의 피걸림부에 걸려, 전기 커넥터 (1) 와 상대 커넥터 사이의 끼워맞춤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주로 도 8 내지 10 을 참조하여, 실드 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 은 제 1 실드 부재 (70) 의 이면 사시도를, 도 9 는 제 2 실드 부재 (72) 의 상면 사시도를, 도 10 은 제 1 실드 부재 (70) 만을 하우징 (50) 에 장착한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제 1 실드 부재 (70) 는, 주로 하우징 끼워맞춤부 (58) 를 그 돌출 방향을 따라 덮는 통 형상의 실드 끼워맞춤부 (87) 와, 하우징 (50) 의 나머지 일부를 덮는 제 1 실드 본체부 (73) 와, 제 1 실드 본체부 (73) 의 상벽 (91) 과 실드 끼워맞춤부 (87) 를 연결함과 함께 하우징 (50) 의 상부 전방 벽면 (66) 을 전방으로부터 덮는 절곡부 (연결부) (89) 로 이루어진다. 제 1 실드 본체부 (73) 는, 예를 들어, 하우징 (50) 의 상면 (68) (도 5 등) 을 덮는 상벽 (91) 이나 측면 (60) (도 5 등) 의 상부 절반을 덮는 측벽 (90) 을 구비한다.
실드 끼워맞춤부 (87) 에는, 잠금편 (10) 의 설치를 허용하기 위해, 실드 끼워맞춤부 (87) 의 기단측 (87i) 에서 개방되고, 또한, 전방의 연결부 (87f) 에서 막힌 슬릿 (78) 이 형성되어 있고, 실드 끼워맞춤부 (87) 는, 이 1 쌍의 슬릿 (78) 에 끼인 상부 평탄부 (87a) 외에, 연결부 (87f) 를 통하여 이어져 있는 만곡부 (87h) 와, 상부 평탄부 (87a) 에 대향하고, 상부 평탄부 (87a) 와 평행한 하부 평탄부 (87e) 를 포함한다.
상부 평탄부 (87a) 에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 (78) 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 (87g) 가 형성되어 있어, 이 볼록부 (87g) 에 의해 실드 끼워맞춤부 (87) 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있음과 함께, 커넥터 (1) 가 리셉터클 커넥터와 끼워맞춰졌을 때에 있어서의 끼워맞춤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평탄부 (87e) 에는, 제 1 실드 부재 (70) 를 하우징 (50) 에 장착할 때에 하우징 (50) 의 지지 기둥 (63) 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지지 기둥 (63) 의 대응 위치에 노치부 (81) 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시에 상대 커넥터측에 소정의 힘으로 맞닿아 발거를 방지하는 누름편 (88) 도 형성되어 있다.
실드 끼워맞춤부 (87) 의 기단측 (87i) 에는, 예를 들어, 하부 평탄부 (87e) 를 펀칭함으로써 형성한 관통공 (79) 과 같은 패임부와, 이 패임부에 인접하게 형성된 돌기부 (80) 와 같은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 (80) 는, 제 2 실드 부재 (72) 의 연장부 (93) 를 규제하기 위해 형성된 부분으로서, 실드 끼워맞춤부 (87) 의 돌출 방향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또한, 제 2 실드 부재 (72) 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이 돌기부 (80) 를 형성함으로써, 커넥터의 내비틀림성을 보다 더 높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도시한 돌기부 (80) 는, 실드 끼워맞춤부 (87) 의 기단측 (87i) 의 하측을 하우징 끼워맞춤부 (58) 의 돌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편 (舌片) 을 외부에 형성하도록 펀칭한 후, 원호를 그리듯이 절곡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하우징 끼워맞춤부 (58) 의 돌출 방향으로 설편을 외부에 형성하 도록 펀칭한 후, 단순히 직각으로 절곡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단, 도시한 구성에 따르면, 판면 방향의 판 두께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강도가 높은 규제부가 얻어진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드 부재 (70) 를 하우징 (50) 에 장착하였을 때, 하우징 끼워맞춤부 (58) 는, 그 대략 모든 주위가 제 1 실드 부재 (70) 의 실드 끼워맞춤부 (87) 에 의해 고리 형상으로 덮여진다. 이 때, 실드 끼워맞춤부 (87) 의 기단측 (87i) 은 하우징 (50) 의 홈 (55) 에 삽입되고, 거기서 협지된다. 기단측 (87i) 을 홈 (55) 에 의해 협지시킴으로써, 제 1 실드 부재 (70) 는 하우징 (50) 에 대하여 확실하게 고정되고, 커넥터에 비틀림이 부가된 경우에 있어서도 그 비틀림력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홈 (55) 에 삽입된 기단측 (87i) 의 베이스 부근은, 그 상부로부터 측면에 걸쳐서, 하우징 (50) 의 앞측으로 돌출된 코너 돌출부 (61) 에 의해 외측으로부터 덮여지기 때문에, 이로써, 커넥터에 대한 비틀림력에 대한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실드 부재 (72) 는, 주로 하우징 본체부 (62) 의 일부를 덮는 제 2 실드 본체부 (예를 들어, 하우징 (50) 의 측면이나 저면 (64) 을 덮는 측벽 (92) 이나 저벽 (95) 을 구비한다) 와, 제 1 실드 부재 (70) 와 조립되었을 때에 제 2 실드 본체부로부터 제 1 실드 부재 (70) 의 실드 끼워맞춤부 (87) 를 향하여 연장되는 앞측의 연장부 (93) 로 이루어진다. 연장부 (93) 에는, 제 1 실드 부재 (70) 와 제 2 실드 부재 (72) 가 조립되었을 때에 제 1 실드 부재 (70) 의 관통공 (79) 에 삽입되는 돌부 (94) 가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 (79) 에 돌부 (94) 를 삽입함으로써, 제 1 실드 부재 (70) 와 제 2 실드 부재 (72) 의 끼워맞춤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제 1 실드 부재 (70) 의 돌기부 (80) 에 의해, 비틀림력에 대한 강도를 높일 수 있고, 또한, 비틀림력에 대한 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의 소형화, 특히, 커넥터의 높이 방향을 작게 할 수 있다.
도 11, 도 12 를 참조하여, 제 1 실드 부재 (70) 의 돌기부 (규제부) (80) 를 이용한, 비틀림력에 대한 강화 작용을 설명한다. 도 11, 도 12 는, 편의상 제 1 실드 부재 (70) 와 제 2 실드 부재 (72) 만을 도시하고 있고, 도 11 은 특히 그것들이 조립되기 전의 상태를 제 1 실드 부재 (70) 의 돌기부 (80) 나 제 2 실드 부재 (72) 의 돌부 (94) 의 대략 중심 위치에서 단면 사시도로 나타내고, 도 12 는 그것들이 조립된 후의 상태를 동일한 방법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 2 실드 부재 (72) 는, 도 11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예를 들어, 도시 화살표 「M」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 1 실드 부재와 조립되어, 도 12 에 나타내는 상태로 된다. 도 12 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시 화살표 「R」 방향으로 실드 끼워맞춤부 (87) 에 비틀림력이 부가된 경우, 돌부 (94) 의 이면 (하우징측의 측면) (97) 이, 돌기부 (80) (규제부) 의 앞측 측면 (82) 과 충돌함으로써, 커넥터의 높이 방향 (도시 화살표 「N」 방향) 에 있어서 큰 영역 (큰 길이 부분) 에서 연장부 (93) 가 규제되게 된다. 이로써, 특히 커넥터의 높이 방향으로 힘이 부가되는 비틀림에 대하여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도시 화살표 「Q」 방향으로 실드 끼워맞춤부 (87) 에 비틀림력이 부가된 경우에는, 연장부 (93) 의 돌부 (94) 를 제외한 상측면 (98) 의 영역이 실드 끼워맞춤부 (87) 의 하부 평탄부 (87e) (하면) 와 면하고 있기 때문에, 또한, 실드 끼워맞춤부 (87) 와 절곡부 (89) 의 접힘매 (99) 에 의해, 그러한 운동은 규제된다.
제 1 실드 부재 (70) 를 하우징 (50) 에 장착하였을 때, 측벽 (90) 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 (76) 은, 하우징 (50) 측면 (60) 에 형성된 걸어맞춤 돌기 (56) 와 걸어 맞춰지고, 이로써, 제 1 실드 부재 (70) 를 하우징 (50) 에 걸 수 있다. 또한, 제 2 실드 부재 (72) 를 하우징 (50) 에 장착하였을 때, 측벽 (92) 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 (77) 은, 하우징 (50) 측면 (60) 에 형성된 걸어맞춤 돌기 (56) 와 걸어 맞춰진다. 이들의 걸어맞춤을 통하여, 제 1 실드 부재 (70) 및 제 2 실드 부재 (72) 는 하우징 (50) 에 고정될 수 있다.
본원의 전기 커넥터는 소형의 전자·전기 기기에 폭넓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2 는 외커버를 수지 성형하기 전의 전기 커넥터의 상측 사시도이다.
도 3 은 외커버를 수지 성형하기 전의 전기 커넥터의 하측 사시도이다.
도 4 는 전기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는 하우징의 상측 외관 사시도이다.
도 6 는 하우징의 하측 외관 사시도이다.
도 7 는 도 5 의 A-A 선 단면 사시도이다.
도 8 은 제 1 실드 부재의 이면 사시도이다.
도 9 는 제 2 실드 부재 (72) 의 상면 사시도이다.
도 10 은 제 1 실드 부재를 하우징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제 1 실드 부재와 제 2 실드 부재만을, 그것들이 조립되기 전의 상태로서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12 는 제 1 실드 부재 (70) 와 제 2 실드 부재 (72) 만을, 그것들이 조립된 후의 상태로서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13 은 종래의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 플러그 커넥터
2 : 외커버
10 : 잠금편
11 : 케이블
12 : 기부
13 : 만곡부
14 : 잠금부
15 : 아암부
16 : 압입 고정부
17 : 압입 돌기
30 : 단자
32 : 피고정부
33 : 아암부
34 : 접촉부
39 : 리드 고정부
47 : 박육부
48 : 후육부
49 : 단자공
50 : 하우징
52 : 피압입부
54 : 홈
55 : 홈
58 : 하우징 끼워맞춤부
59 : 단자 홈
60 : 측면
61 : 코너 돌출부
62 : 하우징 본체부
63 : 지지 기둥
64 : 저면
66 : 상부 전방 벽면
68 : 상면
70 : 제 1 실드 부재
72 : 제 2 실드 부재
73 : 제 1 실드 본체부
76 : 걸어맞춤구멍
77 : 걸어맞춤구멍
78 : 슬릿
79 : 관통공 (패임부)
80 : 돌기부 (규제부)
81 : 노치부
82 : 앞측 측면
83 : 코킹부
84 : 판부
85 : 볼록부
86 : 오목부
87 : 실드 끼워맞춤부
88 : 누름편
89 : 절곡부
90 : 측벽
91 : 상벽
92 : 측벽
93 : 전벽 (연장부)
94 : 돌부
95 : 저벽
96 : 표면측
97 : 이면측
98 : 상측면
99 : 접힘매

Claims (4)

  1. 복수의 단자를 유지하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의 외주에 장착되는 실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의 피고정부를 유지하는 하우징 본체부와, 이 하우징 본체부로부터 상대 커넥터측으로 돌출되고, 그 돌출 방향을 따라 상기 단자가 배열된 판 형상의 하우징 끼워맞춤부를 갖고,
    상기 실드 부재는, 제 1 실드 부재와 제 2 실드 부재를 갖고,
    상기 제 1 실드 부재는, 상기 하우징 끼워맞춤부에 대응하여 상기 상태 커넥터 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하우징 끼워맞춤부를 덮는 통 형상의 실드 끼워맞춤부와, 상기 하우징 본체부의 일부를 덮는 제 1 실드 본체부와, 상기 실드 끼워맞춤부와 제 1 실드 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제 2 실드 부재는, 상기 하우징 본체부의 일부를 덮는 제 2 실드 본체부와, 이 제 2 실드 본체부로부터 상기 실드 끼워맞춤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 1 실드 부재의 실드 끼워맞춤부의 기단측에는 적어도 1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돌부를 구비하며,
    상기 실드 끼워맞춤부는 추가로 상기 제 2 실드 부재 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연장 부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갖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연결부와 함께 상기 하우징 본체부의 상기 상대 커넥터 측의 면을 덮도록, 상기 연결부와의 사이에 상기 실드 끼워맞춤부를 사이에 두는 위치에 연장 하고, 상기 돌부는 상기 연장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실드 끼워맞춤부의 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그 직교 방향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관통공보다 상기 돌출 방향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 끼워맞춤부는, 상기 돌출 방향과 역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 본체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협지부를 갖는 커넥터.
  4. 삭제
KR1020070098719A 2006-10-17 2007-10-01 전기 커넥터 KR1010317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82847A JP4278674B2 (ja) 2006-10-17 2006-10-17 電気コネクタ
JPJP-P-2006-00282847 2006-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773A KR20080034773A (ko) 2008-04-22
KR101031773B1 true KR101031773B1 (ko) 2011-04-29

Family

ID=38920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8719A KR101031773B1 (ko) 2006-10-17 2007-10-01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25155B2 (ko)
EP (1) EP1914841B1 (ko)
JP (1) JP4278674B2 (ko)
KR (1) KR101031773B1 (ko)
CN (1) CN101183761B (ko)
TW (1) TW20082051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8673B2 (ja) * 2006-10-17 2009-06-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01207249B (zh) * 2006-12-22 2011-10-0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FR2921740B1 (fr) * 2007-09-28 2011-04-22 Oberthur Card Syst Sa Procede de fabrication d'une cle electronique a connecteur usb
CN201440525U (zh) * 2009-05-11 2010-04-2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5680435B2 (ja) 2011-02-14 2015-03-04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の係止構造
CN102185202B (zh) * 2011-03-25 2016-02-24 东莞市泰康电子科技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装方法
WO2014121068A1 (en) * 2013-01-31 2014-08-07 Tyco Electronics Amp Gmbh Slotted shield
JP6276157B2 (ja) * 2014-09-29 2018-02-07 ホシデン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
JP6818418B2 (ja) * 2016-02-26 2021-01-2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シェルを有する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JP6703860B2 (ja) * 2016-02-26 2020-06-0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
JP6757572B2 (ja) * 2016-02-26 2020-09-2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ロック機構を有するシェルを備えた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JP7047753B2 (ja) * 2018-12-28 2022-04-0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構造体
TWI743581B (zh) * 2019-10-30 2021-10-21 好慶科技企業股份有限公司 訊號通訊插座
JP2022070624A (ja) * 2020-10-27 2022-05-13 住友電装株式会社 シールド接続構造及びコネク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4454A (ja) * 1993-01-15 1995-10-03 Whitaker Corp:The シールド型電気コネクタ
US6039606A (en) * 1998-09-25 2000-03-2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connector
US6165016A (en) * 1999-06-15 2000-12-2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3269A (en) * 1995-03-27 1997-11-04 The Whitaker Corporatio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with cable strain relief
JP3064874B2 (ja) * 1995-06-12 2000-07-12 ソニー株式会社 コネクタプラグ
US5944559A (en) * 1996-06-29 1999-08-3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5941733A (en) * 1996-08-31 1999-08-2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Universal serial bus plug connector
US6165015A (en) * 1997-07-17 2000-12-2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2002298985A (ja) 2001-03-30 2002-10-11 Mitsumi Electric Co Ltd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4454A (ja) * 1993-01-15 1995-10-03 Whitaker Corp:The シールド型電気コネクタ
US6039606A (en) * 1998-09-25 2000-03-2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connector
US6165016A (en) * 1999-06-15 2000-12-2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83761A (zh) 2008-05-21
TWI363460B (ko) 2012-05-01
US20080090457A1 (en) 2008-04-17
US7425155B2 (en) 2008-09-16
CN101183761B (zh) 2010-06-02
JP4278674B2 (ja) 2009-06-17
TW200820511A (en) 2008-05-01
EP1914841A1 (en) 2008-04-23
EP1914841B1 (en) 2012-08-08
JP2008103114A (ja) 2008-05-01
KR20080034773A (ko) 2008-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773B1 (ko) 전기 커넥터
KR100942681B1 (ko) 전기 커넥터
KR100997056B1 (ko) 전기 커넥터
KR100966058B1 (ko) 전기 커넥터
US8979584B2 (en) Board-mounted connector
US6241541B1 (en) Switch-equipped coaxial connector
EP1988608A1 (en) Connector
KR20060076170A (ko) 셔터 부착 전기 커넥터
US7297026B2 (en) Connector with a shell having a function of guiding insertion and removal of a mating connector
EP2112718A2 (en) Electrical contact
US5883787A (en) Floating guided connector and method
US6767227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010000499A1 (en) Switch-equipped coaxial connector
US6217345B1 (en) Electrical connector
US20100167591A1 (en) Connector
KR200465951Y1 (ko) PCB를 사용하지 않는 벤딩형 직땜 microUSB 플러그 조립체
KR20210096006A (ko) 커넥터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
JP2007502521A (ja) ばね装填式電気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