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6058B1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6058B1
KR100966058B1 KR1020060130655A KR20060130655A KR100966058B1 KR 100966058 B1 KR100966058 B1 KR 100966058B1 KR 1020060130655 A KR1020060130655 A KR 1020060130655A KR 20060130655 A KR20060130655 A KR 20060130655A KR 100966058 B1 KR100966058 B1 KR 100966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erminal support
terminal
connector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0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5830A (ko
Inventor
료조 고야마
에이지 와카츠키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65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5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H01R13/6474Impedance matching by variation of conductive properties, e.g. by dimension variations
    • H01R13/6476Impedance matching by variation of conductive properties, e.g. by dimension variations by making an aperture, e.g. a hol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접속의 상대측에 돌출한 단자 지지부의 강도를 금속 셀에 의해 높이고, 또한 접속의 상대측과의 로크를 설치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하우징과, 하우징에 병렬로 부착되는 복수의 단자와, 하우징의 일부를 덮는 하우징 커버를 구비한다. 하우징은 접속의 상대측에 돌출하여 이 돌출 방향을 따라 복수의 단자와 이 복수의 단자와 병렬로 배치된 접속의 상대측과의 로크에 사용되는 래치 부재가 배열되어 있는 단자 지지부를 갖는다. 하우징 커버는 단자 지지부를 돌출 방향을 따라 덮는 통 형상부를 갖는다. 이에 대응하여 하우징은 단자 지지부의 기단측에 돌출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하우징의 내부를 향하는 간극을 갖고 있고, 통 형상부에 의해 단자 지지부를 덮었을 때에 통 형상부의 기단측이 하우징의 간극에 협지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ELECTRIC CONNECTOR}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커넥터 (1) 의 평면도이다.
도 2 는 오버 몰드 전의 전기 커넥터의 상측 사시도이다.
도 3 은 오버 몰드 전의 전기 커넥터의 하측 사시도이다.
도 4 는 오버 몰드 전의 전기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는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한 단자의 후방 확대 사시도이다.
도 6 은 래치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7 은 하우징의 상측 외관 사시도이다.
도 8 은 하우징의 하측 외관 사시도이다.
도 9 는 도 7 에 도시하는 하우징에 래치 부재와 단자를 배치한 도면이다.
도 10 은 도 9 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1 은 도 10 의 A-A 선 단면 사시도이다.
도 12 는 도 10 의 B-B 선 단면 사시도이다.
도 13 은 도 10 의 C-C 선 단면도이다.
도 14 는 제 1 셀의 상면 사시도이다.
도 15 는 제 1 셀의 이면 사시도이다.
도 16 은 제 2 셀의 상면 사시도이다.
도 17 은 제 1 셀을 하우징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 은 본원의 전기 커넥터와 리셉터클측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9 는 종래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러그측 커넥터 2 : 리셉터클측 커넥터
11 : 케이블 13 : 프린트 서킷 보드
15 : 리드 구멍 20 : 래치 부재
21 : 로크 편 22 : ㄷ 자 형상 부분
23 : 전방 연장부 24 : 압입 지지부
30 : 단자 31 : 접속부
32 : 고정부 33 : 접촉편
34 : 접촉부 35 : 구멍
36 : 압입 돌기부 38 : 수직부
39 : 리드 고정부 46 : 로크 구멍
47 : 박육부 48 : 후육부
49 : 단자 구멍 50 : 하우징
51 : 세로공 52 : 가로 홈
53 : 세로공 54 : 홈
55 : 간극 56 : 걸어맞춤 돌기
57 : 걸어맞춤 돌기 58 : 단자 지지부
59 : 단자 홈 60 : 측면
61 : 걸어맞춤 돌기 62 : 걸어맞춤 돌기
63 : 지지 기둥 64 : 내부 돌출부
66 : 상부 전방 벽면 68 : 상면
69 : 저면 70 : 제 1 셀
72 : 제 2 셀 76 : 걸어맞춤 구멍
77 : 걸어맞춤 구멍 78 : 슬릿
81 : 걸어맞춤 구멍 82 : 걸어맞춤 구멍
83 : 코킹부 84 : 판부
86 : 절삭 깊이 87 : 통 형상부
88 : 전면 개구부 89 : 절곡부
90 : 측벽 91 : 상벽
92 : 측벽 93 : 바닥벽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7176호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다시 말하면 단자 지지부를 덮는 하우징 커버를 가 진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를 퍼스널 컴퓨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등에 접속할 때, 예컨대 커넥터의 삽입 방향을 잘못하는 등 하여 커넥터를 비틀어, 커넥터에 이상한 힘을 가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상태로부터 커넥터를 보호하기 위해서, 그러한 커넥터에는 일반적으로 접속의 상대측에 돌출한 부분이 금속제 하우징 커버 등으로 덮여 있다.
그러나, 단순히 접속의 상대측에 돌출된 부분을 통상의 방법으로 덮은 것만으로는, 충분한 강도가 얻어지지 않고, 비틀림 등에 의해 단자의 파손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2003-17176 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금속제 커버의 일부를 하우징의 간극에 배치하도록 한 것도 있다.
도 19 에 이 공보에 개시된 커넥터의 금속 셀을 도시한다. 이 종래예에서는, 금속 셀의 통 형상부 (112) 의 기단측의 상반분 (113) 이 하우징측에 돌출하여 있고, 이 돌출한 상반분 (113) 을 하우징 (도시하지 않음) 의 간극에 삽입하여 하우징의 강도를 높이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금속 셀의 상반분만을 삽입한 것만으로는, 여전히 충분한 강도는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이 커넥터는 하우징이 단자를 유지하는 하우징 본체와, 금속 셀이 삽입되는 하우징 커버가 별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가 높아짐과 함께, 끼워맞춤부의 높이가 높아진다.
본원 발명은, 이러한 타입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금속 셀에 의해 하우징,특히 접속의 상대측에 돌출한 단자 지지부의 강도를 충분히 높임과 함께, 그러한 단자 지지부에 접속의 상대측과의 로크도 설치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병렬로 부착되는 복수의 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덮는 하우징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접속의 상대측에 돌출하여 이 돌출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단자와 이 복수의 단자와 병렬로 배치된 상기 접속의 상대측과의 로크에 사용되는 래치 부재가 배열되어 있는 단자 지지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단자 지지부를 상기 돌출 방향을 따라 덮는 통 형상부를 갖고 있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 지지부의 기단측에 상기 돌출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하는 간극을 갖고 있고, 상기 통 형상부에 의해 상기 단자 지지부를 덮었을 때에 상기 통 형상부의 기단측이 상기 하우징의 간극에 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간극은 적어도 상기 돌출 방향을 따라 상기 단자 지지부의 좌우 각측에 연재하는 후육부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간극은 적어도 각 상기 복수의 단자가 배치되는 상기 단자 지지부의 일방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각 상기 복수의 단자는 적어도 상기 단자 지지부의 일방의 면에 상기 돌출 방향을 따라 대략 상반분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배치되는 접촉편을 갖고, 상기 하우징의 간극은 상기 접촉편을 노출시키는 단자 구멍을 설치한 상부 전방 벽면과, 상기 단자 지지부의 일방의 면에서 상기 복수의 단자를 양측에서 끼워 넣는 위치에 배치되는 래치 부재를 설치하는 부분과, 상기 단자 지지부의 일방의 면과는 반대측에 설치한 하부 기둥부를 제외한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부의 기단측에 있어서 개방되고 또한 선단측에 있어서 닫힌 슬릿이 상기 돌출 방향을 따라 상기 통 형상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부로서 일체로 성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통 형상부를 갖는 제 1 커버부와, 상기 통 형상부를 갖지 않는 제 2 커버부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 커버는 한 장의 금속을 펀칭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단자 지지부는 판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통 형상부는 상기 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발명의 효과
로크를 구비한, 충분한 강도의 금속 셀에 의해 하우징을 보호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커넥터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에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커넥터 (1) 의 평면도를, 도 2, 도 3 에 오버 몰드 전의 전기 커넥터 (1) 의 상측 사시도와 하측 사시도를, 또한 도 4 에 오버 몰드 전의 전기 커넥터 (1) 의 분해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후술하는 도 18 에서 명백하게 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전기 커넥터 (1) 는, 소위 플러그측 커넥터로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실제 사용시에는 기판 (101) 에 탑재된 리셉터클측 커넥터 (상대 커넥터 : 2) 에 대하여 착탈 자유롭게 끼워 맞추어 사용한다.
전기 커넥터 (1) 는, 주로, 수지 등에 의해 일체 성형된 하우징 (50) 과, 하우징 (50) 의 커버로서 사용되는 제 1 셀 (70)(제 1 커버부), 제 2 셀 (72)(제 2 커버부) 과, 하우징 (50) 의 내부에 예컨대 0.4mm 간격과 같은 협소한 피치로 세로방향으로 병렬 배치되는 평판 형상의 단자 (30) 와, 이들 단자 (30) 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끼워넣는 위치에서 단자 (30) 와 함께 병렬 배치되어 플러그측 커넥터와 리셉터클측 커넥터 (2) 를 로크하는 래치 부재 (20) 와, 하우징 (50) 의 후부에 뚜껑을 덮어 래치 부재 (20) 나 단자 (30) 의 빠져나감을 방지하는 프린트 서킷 보드 (PCB : 13) 로 이루어진다. 단, 프린트 서킷 보드 (13) 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제 2 셀 (72) 이외의 부품은, 예컨대, 도시하는 화살표 K 로 나타내는 대략 직선 배열 방향으로서 서로 장착할 수 있다. 우선, 단자 (30) 와 래치 부재 (20) 가 하우징 (50) 에 압입되고, 이어서, 프린트 서킷 보드 (13) 의 리드 구멍 (15) 에 단자 (30) 의 리드 고정부 (39) 를 관통시킴으로써, 그들을 프린트 서킷 보드 (13) 로부터 돌출시키고, 이들 돌출된 리드 고정부 (39) 에 대해서 케이블 (11) 의 리드 (도시하지 않음) 가 땜납 등으로 고정된다. 이들 작업 후에, 제 1 셀 (70) 이 장착되고, 또한 제 2 셀 (72) 이 도시의 화살표 L 방향으로부터 장착된다 (제 2 셀 (72) 을 장착할 때, 제 2 셀 (72) 의 코킹부 (83) 는 도시하는 바와 같은 「닫힘」상태 (통 형상) 이 아니라 「열림」상태로 되어 있음). 마지막으로 「열림」상태의 코킹부 (83) 가 케이블 (11) 의 주위에 대하여 판부 (84) 와 함께 코킹된다. 또한,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프린트 서킷 보드 (13) 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고, 이것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자 (30) 의 리드 고정부 (39) 에 케이블 (11) 의 리드가 땜납 등으로 직접적으로 고정된다.
도 5 에, 하우징 (50) 의 내부에 배치한 단자 (30) 의 배열 상태를 후방으로부터 확대한 사시도로 도시한다. 이들 5 개의 단자 중, 예컨대 2 개는 데이터 통신용이고, 2 개는 예비이며, 나머지 1 개는 그라운드용이다. 일례로서 합계 5 개의 단자 (30) 를 나타내고 있지만, 그 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 특히 데이터 통신용 단자에 대해서는, 차동 전송을 달성하기 위해서 짝수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개 1 세트로서 이용함으로써, 플러스의 노이즈와 마이너스의 노이즈를 캔슬하여 전송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각 단자 (30) 는 후반부의 접속부 (31) 와, 중간부의 고정부 (32) 와, 전반부의 접촉편 (33) 으로 이루어진다. 고정부 (32) 와 접촉편 (33) 에 대해서는,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모든 단자에서 대략 동일한 크기, 길이로 되어 있다.
접속부 (31) 는 압입 방향으로 대하여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 (38) 와, 압입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드 고정부 (39) 로 이루어진다. 리드 고정부 (39) 는 서로 인접하는 리드 고정부에 있어서의 수직 거리를 크게 하여, 이들 사이의 접촉 (전기적 간섭) 을 방지하도록 수직 방향으로서 상하 서로 다르게 배치되어 있다.
접촉편 (33) 은, 압입 방향을 향하여 끝이 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선단에는 위쪽을 향한 접촉부 (34) 가 설치되어 있다. 접촉부 (34) 는 전기 커넥터 (1) 와 리셉터클측 커넥터 (2)(도 18 참조) 의 끼워맞춤시에 리셉터클측 대응 단자 (102) 의 접촉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이 접촉부 (34) 는 1 개의 단자에 관해서 1 개만 설정되어 있고, 따라서, 단자 (30) 는 소위 일점 접촉 단자로서 기능한다. 리셉터클측 대응 단자 (102) 와의 접촉을 부드럽게 또한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각 단자 (30) 의 특히 접촉편 (33) 은 여기에 스프링성을 부여함에 따라 상하로 변위 가능하게 되고 있고, 또한, 하우징 (50)(단자 지지부 (58) 의 박육부 (47)) 으로부터 다소 부상된 상태로 유지된다.
고정부 (32) 의 대략 중앙에 하우징 (50) 으로의 부착 방향을 따라 대략 일렬로 배열된 복수 (여기서는 3 개) 의 구멍 (35) 을 설치하고 있다. 이들 구멍 (35) 을 피치 방향에서, 인접하는 단자의 대향부에 설치함으로써, 단자간의 대향 면적을 감소시켜, 그들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커패시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커패시턴스를 작게 억제함으로써 임피던스 정합을 취하기 쉽게 하고, 단자간의 크로스 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인접하는 단자간의 대향 면적이 가능한 한 커지도록, 각 단자 (30) 의 구멍 (35) 은 서로 피치 방향으로 동일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 에 점선「M」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부 (34) 는 복수의 구멍 (35) 의 배열 방향을 따라, 이들 구멍 (35) 의 배열 위치와 대략 동일한 높이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부 (34) 를 이러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구멍 (35) 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탄성에 의해 접촉부 (34) 의 스프링성이 보다 커지는 것이 기대된다. 이들 구멍 (35) 의 크기는, 크로스 토크를 감소시킨다고 하는 점에서는 크면 클수록 좋지만, 실제로는 고정부 (32) 가 가늘고 긴 형상인 것, 또한, 단자의 강도나 가공성의 점에서 그들의 크기는 제한된다. 단자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복수의 구멍 (35) 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구멍과 구멍 사이에 기둥 (37) 이 될 수 있는 부분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자 (30) 를 하우징 (50) 에 압입 고정할 때, 압입에 이용되는 돌기부 (36) 에 큰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이들 압입 돌기부 (36) 는 도 5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강도가 큰 기둥 (37) 의 분기점 부근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에 래치 부재 (20) 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래치 부재 (20) 는 그 후방부에 본체부인 コ 자 형상 부분 (22) 과, 그 コ 자의 상방 부분이 전방을 향하여 연장된 부분인 전방 연장부 (23) 를 갖는다. 이들 전방 연장부 (23) 와 コ 자 형상 부분 (22) 사이에는, コ 자 형상 부분 (22) 의 대응부 (25) 와 함께 하우 징 (50) 에 압입되는 압입 지지부 (24) 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전방 연장부 (23) 의 선단에는 コ 자 형상 부분 (22) 의 작용에 따라 상하로 탄성 변위 가능한 로크 편 (21) 이 설치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13 을 참조하여, 하우징 (50) 의 구성을 설명한다. 여기서, 도 7 은 하우징 (50) 의 상측 외관 사시도, 도 8 은 그 하측 외관 사시도, 도 9 는 도 7 에 도시하는 하우징 (50) 에 래치 부재 (20) 와 단자 (30) 를 배치한 것, 도 10 은 이 도 9 의 배면 사시도, 또한 도 11 내지 도 13 은 각각 도 10 의 A-A 선 단면 사시도, B-B 선 단면 사시도, C-C 선 단면도이다.
하우징 (50) 은 그 선단측에 상대 커넥터측에 돌출한 판 형상의 단자 지지부 (58) 를 갖는다. 단자 지지부 (58) 의 기단측에는 단자 지지부 (58) 의 돌출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하우징 (50) 의 내부를 향하는 간극 (55) 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간극 (55) 는 하우징 (50) 에 부착된 제 1 셀 (70) 기단측의 일부를 협지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단자 지지부 (58) 의 강도를 높이는 데에 도움이 된다. 간극 (55) 는 하우징 (50) 의 상부 전방 벽면 (66) 과, 래치 부재 (20) 를 설치한 부분과, 래치 부재 (20) 나 단자 (30) 를 설치한 단자 지지부 (58) 의 일방의 면과는 반대측에 설치한 지지 기둥 (63 : 도 8 참조) 을 제외한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단, 간극 (55) 을 설치하는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단자 지지부 (58) 의 돌출 방향 (혹은 그 역방향) 을 따라 단자 지지부 (58) 의 좌우 각 측에 연재하는 후육부 (48) 의 주위에만 설치해도 되고, 또한, 단자 (30) 가 배치되는 단자 지지부 (58) 의 일방의 면 (41) 과는 반대측의 면 (42) 에만 설치해도 된다. 간극 (55) 에 제 1 셀 (70) 의 일부를 협지시킴으로써, 제 1 셀 (70) 에 의해서 덮이는 단자 지지부 (58) 의 면적 부분을 크게 하여, 단자 지지부 (58) 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 커넥터 단자와의 삽입 제거시에 생기는 비틀림에 의해 단자 지지부 (58) 가 파괴되는 위험을 적게 할 수 있다.
단자 (30) 와 래치 부재 (20) 는, 각각, 하우징 (50) 의 세로공 (51) 이나 세로공 (53) 을 통과하여 하우징 (50) 에 압입된다. 이 때, 단자 (30) 의 접촉편 (33) 은 세로공 (51) 과 연통한 단자 구멍 (49) 을 통과하여, 접촉편 (33) 의 상반분과 접촉부 (34) 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단자 지지부 (58) 의 박육부 (47) 의 단자 홈 (59) 을 따라 탄성적으로 유지된다. 마찬가지로, 래치 부재 (20) 는 세로공 (53) 과 연통한 로크 구멍 (46) 을 통과하여, 전방 연장부 (23) 의 대략 상반분과 로크 편 (21) 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단자 지지부 (58) 의 후육부 (48) 에 설치한 홈 (54) 을 따라 탄성적으로 유지된다. 리셉터클측 커넥터 (도 18 참조) 와의 끼워맞춤시에 래치 부재 (20) 는 탄성 변위 가능한 로크 편 (21) 을 이용하여 상대 커넥터의 대응 래치 부재에 걸려, 전기 커넥터 (1) 를 상대 커넥터와 로크될 수 있다.
도 11, 도 12 의 단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 (50) 의, 정확히 단자 (30) 의 고정부 (32) 가 배치되는 위치 부근에, 인접하는 단자 (30) 사이에 간극을 형성할 수 있는 가로 홈 (52) 이 복수의 단자 (30) 에 걸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간극 (52) 을 설치함으로써, 인접하는 단자간의 유전율을 작게 하고, 단자 간에서의 크로스 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다. 공극 (52) 은 피치 방향으로서 구멍 (35) 과 대략 동일한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크로스 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크로스 토크를 감소시킨다는 의미에서는, 공극 (52) 은 크면 클수록 좋지만, 실제로는, 단자의 강도나 가공성을 고려하여 결정할 필요가 있다.
다음에, 도 14 내지 도 17 을 참조하여, 제 1 셀 (70), 제 2 셀 (72) 의 구성을 설명한다. 여기서, 도 14 는 제 1 셀 (70) 의 상면 사시도를, 도 15 는 그 이면 사시도를, 도 16 은 제 2 셀 (72) 의 상면 사시도를, 또한 도 17 은 제 1 셀 (70) 을 하우징 (50) 에 부착한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제 1 셀 (70)은 한 장의 얇은 금속판을 펀칭하고 절곡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는 매우 용이하다. 제 1 셀 (70) 은 주로, 단자 지지부 (58) 를 그 돌출 방향을 따라 덮는 통 형상부 (87) 외에, 하우징 (50) 의 상부 전방 벽면 (66) 을 전방으로부터 덮는 절곡부 (89) 와, 하우징 (50) 의 상면 (68) 을 덮는 상벽 (91) 과, 또한 하우징 (50) 의 측면 (60) 의 상반부를 덮는 측벽 (90) 을 갖는다. 통 형상부 (87) 는, 절곡부 (89) 를 통해 상벽 (91) 과 연결되어 있고, 하평탄부 (87e) 에 있어서 오목부 (26) 와 볼록부 (27) 가 서로 맞물림으로써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통 형상부 (87) 에는 래치 부재 (20) 의 설치를 허락하기 위해서, 통 형상부 (87) 의 기단측 (87i) 에 있어서 개방되고 또한 전방의 연결부 (87f) 에 있어서 닫힌 슬릿 (78) 이 설치되어 있다. 즉, 통 형상부 (87) 는 절곡부 (89) 에 연결되고, 한 쌍의 슬릿 (78) 에 끼워진 상평탄 부 (87a) 와, 연결부 (87f) 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만곡부 (87h) 와, 상기 상평탄부 (87a) 에 대향하여, 당해 상평탄부 (87a) 와 평행한 하평탄부 (87e) 를 갖고 있다. 또한, 만곡부 (87h) 는 하우징 (50) 의 후육부 (48) 를 둘러싸도록, 슬릿 (78) 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평탄부 (87a) 와 대략 면일한 상만곡부 (87b) 와, 통 형상부 (87) 의 측면을 이루는 측만곡부 (87c) 와, 하만곡부 (87d) 의 3 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단면에서 보아 대략 「C」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평탄부 (87a) 에는, 도 14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릿 (78) 의 연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 (87g) 가 설치되어 있고, 이 볼록부 (87g) 에 의해서 통 형상부 (87) 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있음과 함께, 전기 커넥터 (1) 가 리셉터클측 커넥터 (2) 와 끼워 맞추었을 때의 끼워맞춤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평탄부 (87e) 에는, 제 1 셀 (70) 을 하우징 (50) 에 부착할 때에 하우징 (50) 의 지지 기둥 (63) 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서, 지지 기둥 (63) 의 대응 위치에 노치 (86) 를 설치하고 있다 (도 15, 도 17 참조).
그리고, 제 1 셀 (70) 을 하우징 (50) 에 부착했을 때, 통 형상부 (87) 의 기단측 (87i) 은 하우징 (50) 의 간극 (55) 에 삽입되고, 거기서 협지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 (50) 의 간극 (55) 에 삽입되는 기단측 (87i) 은 이 간극 (55) 에 대응하도록, 통 형상부 (87) 의 만곡부 (87h) 와 하평탄부 (87e) 에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통 형상부 (87) 의 기단측 (87i) 이 하우징 (50) 의 간극 (55) 에 의해서 협지되기 때문에, 제 1 셀 (70) 이 하우징 (50) 에 대하여 확실히 고정됨과 함께, 커넥터에 비틀림이 가해진 경우에 있어서도 그 비틀림력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에서는, 통 형상부 (87) 에 슬릿 (78) 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평탄부 (87a) 와 만곡부 (87h) 가 연결부 (87f) 를 통해 연결되어 있을 뿐이고, 만곡부 (87h) 및 하평탄부 (87e) 에서의 내비틀림성이 저하될 우려 (즉, 비틀림에 의해 슬릿이 넓어질 우려) 가 있지만, 이 만곡부 (87h) 및 하평탄부 (87e) 의 기단측 (87i) 이 간극 (55) 에 의해서 협지되어 있어 슬릿 (78) 이 설치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비틀림에 대하여 내구성이 있다. 특히, 통 형상부 (87) 의 만곡부 (87h) 는 하우징 (50) 의 후육부 (48) 의 외측의 만곡을 따라 그 주위를 둘러싸도록 (즉, 돌출한 단자 지지부 (58) 를 양측에서 지탱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만곡부 (87c) 의 기단측 (87i) 이 간극 (55) 으로 협지됨으로써, 모든 방향으로서의 비틀림에 대하여 내구성이 있다. 또한, 래치 부재 (20) 의 로크 편 (21) 이 배치되는 통 형상부 (87) 의 상평탄부 (87a) 와 대향하는 하평탄부 (87e) 가 하우징 (50) 의 간극 (55) 에 의해서 협지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의 삽입 제거 동작에 있어서 래치 부재 (20) 로부터의 반력이 단자 지지부 (58) 에 가해진 경우에 있어서도, 그 힘에 대한 내구성이 있다.
제 1 셀 (70) 을 하우징 (50) 에 부착했을 때, 측벽 (90) 에 설치한 걸어맞춤 구멍 (76) 은, 하우징 (50) 의 측면 (60) 에 설치한 걸어맞춤 돌기 (56) 와 걸어 맞추고, 상벽 (91) 에 설치한 걸어맞춤 구멍 (81) 은 하우징 (50) 의 상면 (68) 에 설치한 걸어맞춤 돌기 (61) 와 걸어 맞춘다. 이에 따라, 제 1 셀 (70) 을 하우징 (50) 에 걸린다. 이 때, 단자 지지부 (58) 는 그 대략 모든 주위를 제 1 셀 (70) 의 통 형상부 (87) 에 의해 고리 형상으로 덮인다.
제 2 셀 (72) 도, 제 1 셀 (70) 과 마찬가지로, 한 장의 얇은 금속판을 펀칭 절곡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제 2 셀 (72) 의 후단에는, 케이블을 유지하기 위한 코킹부 (83) 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셀 (72) 의 본체부는 제 1 셀 (70) 과 서로 상보 형상을 이룬다. 제 1 셀 (70) 과 제 2 셀 (72) 이 조합되었을 때, 그들은 단자 지지부 (58) 와 하우징 (50) 의 측면 외주와 후단측을 덮는다. 하우징 (50) 에 제 2 셀 (72) 을 부착했을 때, 측벽 (92) 에 설치한 걸어맞춤 구멍 (77) 은 하우징 (50) 의 측면 (60) 에 설치한 걸어맞춤 돌기 (57) 에 걸어 맞추고, 바닥벽 (93) 에 설치한 걸어맞춤 구멍 (82) 은 하우징 (50) 의 바닥면 (69) 에 설치한 걸어맞춤 돌기 (62) 에 걸어 맞춘다. 이에 따라, 하우징 (50) 에 제 2 셀 (72) 을 걸리게 할 수 있다.
도 18 에, 본원의 전기 커넥터 (플러그측 커넥터 : 1) 와, 리셉터클측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도시한다. 리셉터클측 커넥터 (2) 는 예컨대, 기판 (101) 의 가장자리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플러그측 커넥터인 전기 커넥터 (1) 의 제 1 셀 (70) 에 의해 고리 형상으로 덮인 단자 지지부 (58) 의 선단이, 리셉터클측 커넥터 (2) 의 삽입부 (104) 에 삽입되면, 전기 커넥터 (1) 측 접촉부 (34) 가 리셉터클측 커넥터 (2) 측 접촉편 (102) 과 접촉하고, 또한, 전기 커넥터 (1) 측 로크 편 (21) 이 리셉터클측 커넥터 (2) 측 끼워맞춤 구멍 (106) 에 끼워 맞추고, 그들 전기 커넥터 (1) 를 리셉터클측 커넥터 (2) 에 로크할 수 있다.
본원의 전기 커넥터는 소형의 전자·전기 기기에 폭넓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병렬로 부착되는 복수의 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덮는 하우징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접속의 상대측에 돌출하여 이 돌출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단자와 이 복수의 단자와 병렬로 배치된 상기 접속의 상대측과의 로크에 사용되는 래치 부재가 배열되어 있는 단자 지지부를 갖고 있고,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단자 지지부를 상기 돌출 방향을 따라 덮는 통 형상부를 갖고 있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 지지부의 기단측에, 상기 돌출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하는 간극을 갖고 있고, 상기 통 형상부에 의해 상기 단자 지지부를 덮었을 때에 상기 통 형상부의 기단측이 상기 하우징의 간극에 협지되며, 상기 하우징의 간극은 적어도 상기 돌출 방향을 따라 상기 단자 지지부의 좌우 각 측에 연재하는 후육부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간극은 적어도, 각 상기 복수의 단자가 배치되는 상기 단자 지지부의 일방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각 상기 복수의 단자는 적어도, 상기 단자 지지부의 일방의 면에 상기 돌출 방향을 따라 상반부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배치되는 접촉편을 갖고, 상기 하우징의 간극은 상기 접촉편을 노출시키는 단자 구멍을 형성한 상부 전방 벽면과, 상기 단자 지지부의 일방의 면에서 상기 복수의 단자를 양측에서 끼워 넣는 위치에 배치되는 래치 부재를 설치하는 부분과, 상기 단자 지지부의 일방의 면과는 반대측에 설치한 하부 기둥부를 제외한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5.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부의 기단측에 있어서 개방되고 또한 선단측에 있어서 닫힌 슬릿이 상기 돌출 방향을 따라 상기 통 형상부에 설치한 전기 커넥터.
  6.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부로서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7.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통 형상부를 갖는 제 1 커버부와, 상기 통 형상부를 갖지 않는 제 2 커버부로 이루어지는 전기 커넥터.
  8.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는 한 장의 금속을 펀칭 절곡함으로써 형성되는 전기 커넥터.
  9.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지지부는 판 형상인 전기 커넥터.
  10.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부는 상기 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KR1020060130655A 2005-12-20 2006-12-20 전기 커넥터 KR1009660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66907 2005-12-20
JP2005366907A JP4451386B2 (ja) 2005-12-20 2005-12-20 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830A KR20070065830A (ko) 2007-06-25
KR100966058B1 true KR100966058B1 (ko) 2010-06-28

Family

ID=37792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0655A KR100966058B1 (ko) 2005-12-20 2006-12-20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71236B2 (ko)
EP (1) EP1801929B1 (ko)
JP (1) JP4451386B2 (ko)
KR (1) KR100966058B1 (ko)
CN (1) CN100557893C (ko)
DE (1) DE602006012271D1 (ko)
TW (1) TW20074656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299366U (en) * 2005-12-26 2006-10-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4278673B2 (ja) * 2006-10-17 2009-06-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08177102A (ja) * 2007-01-19 2008-07-31 Hosiden Corp 多極プラグ
TWM320773U (en) * 2007-02-15 2007-10-11 Advanced Connectek Inc Hook and connector with the hook
JP4427564B2 (ja) 2007-06-13 2010-03-10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プラグ
JP4445982B2 (ja) 2007-06-29 2010-04-07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5008492B2 (ja) * 2007-08-01 2012-08-2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シールドコネクタ
US7628638B2 (en) * 2008-04-01 2009-12-0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with latch means
CN201252170Y (zh) 2008-06-26 2009-06-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CN201440525U (zh) * 2009-05-11 2010-04-2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1639091U (zh) * 2010-01-28 2010-11-1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CN201829704U (zh) * 2010-09-15 2011-05-1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US9088107B2 (en) * 2010-12-16 2015-07-21 Taras Kowalczyszyn Housing for containing electronic components therein
JP5478556B2 (ja) * 2011-05-27 2014-04-2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8915750B2 (en) 2012-04-16 2014-12-23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Plug connector with mis-insert features and corresponding receptacle connector therewith
WO2015164538A1 (en) 2014-04-23 2015-10-2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 cap and shielded terminals
CN106159531B (zh) * 2015-03-25 2018-03-0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头连接器组件
JP6818418B2 (ja) * 2016-02-26 2021-01-2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シェルを有する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WO2018094941A1 (zh) * 2016-11-25 2018-05-3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连接器接口及移动终端
US10320124B1 (en) * 2018-05-02 2019-06-11 All Best Precision Technolog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rnal terminals having opposite sides located from connector internal sidewalls
JP7067265B2 (ja) * 2018-05-22 2022-05-16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5868A (ja) 1997-12-18 1999-07-09 Yazaki Corp 圧接コネクタ
JP2003017176A (ja) 2001-04-27 2003-01-17 Molex Inc プラグ
US20050227537A1 (en) * 2004-04-09 2005-10-13 Advanced Connectek Inc. Electrical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800609A (nl) * 1988-03-11 1989-10-02 Du Pont Nederland Connector.
JPH03111256U (ko) 1990-02-27 1991-11-14
US6210231B1 (en) * 1999-11-29 2001-04-0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TWM257029U (en) * 2004-04-30 2005-02-11 Advanced Connectek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a locking device
CN2850045Y (zh) * 2005-04-08 2006-12-2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5868A (ja) 1997-12-18 1999-07-09 Yazaki Corp 圧接コネクタ
JP2003017176A (ja) 2001-04-27 2003-01-17 Molex Inc プラグ
US20050227537A1 (en) * 2004-04-09 2005-10-13 Advanced Connectek Inc. Electric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6012271D1 (de) 2010-04-01
US20070141891A1 (en) 2007-06-21
TW200746564A (en) 2007-12-16
US7771236B2 (en) 2010-08-10
CN100557893C (zh) 2009-11-04
JP4451386B2 (ja) 2010-04-14
EP1801929A1 (en) 2007-06-27
EP1801929B1 (en) 2010-02-17
CN1988275A (zh) 2007-06-27
TWI355782B (ko) 2012-01-01
JP2007172941A (ja) 2007-07-05
KR20070065830A (ko) 2007-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058B1 (ko) 전기 커넥터
JP4550733B2 (ja) 電気コネクタ
JP4278674B2 (ja) 電気コネクタ
US7670179B2 (en) Connecting element for shielded USOC RJ telecommunication and/or data cables having metal housing
JP4349633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7909648B2 (en) Electric connector having ground contacts formed from a grounding shield
JP4522144B2 (ja) 電気コネクタ
EP2019453B1 (en) Board connector, mating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EP1914845B1 (en) Electrical connector
US7438595B2 (en) Small-sized electrical connector easily improved in EMI characteristics
CN111628353B (zh) 屏蔽端子及屏蔽连接器
KR20080084638A (ko) 다극동축커넥터
JP4563915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19140014A (ja) 電気コネクタ
WO2008050666A1 (fr) Connecteu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