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056B1 -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056B1
KR102290056B1 KR1020180019948A KR20180019948A KR102290056B1 KR 102290056 B1 KR102290056 B1 KR 102290056B1 KR 1020180019948 A KR1020180019948 A KR 1020180019948A KR 20180019948 A KR20180019948 A KR 20180019948A KR 102290056 B1 KR102290056 B1 KR 102290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member
housing
guide
guide part
storag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9900A (ko
Inventor
서태원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9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056B1/ko
Publication of KR20190099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12Automatic locking or unlock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05C19/022Released by pushing in the closing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는: 차량 수납함 또는 차량 수납함과 마주하는 차체에 고정되며 핀부재가 이동되는 통로가 개구된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하우징부와 함께 핀부재가 이동되는 경로를 하트 형상으로 안내하는 코어부와, 하우징부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이동된 핀부재가 안착되는 홈부를 형성하는 걸림안내부와, 하우징부와 이격되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이동된 핀부재를 걸림안내부로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 및 하우징부와 이격되며 걸림안내부의 외측으로 이동된 핀부재를 하우징부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LOCKING DEVICE FOR GLOVE BOX OF CAR}
본 발명은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정상적인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차량 수납함의 열림을 방지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차량 내부에서 사용되는 물품을 보관하기 위해 수납함이 설치된다. 차량 수납함은 전후 슬라이드 타입과 힌지축을 중심으로 호를 그리며 개방되는 회전 타입으로 구분되며, 슬라이드 타입과 회전타입에는 모두 하트캠 구조가 적용된다.
슬라이드 타입의 차량 수납함은 상측이 개구된 수납몸체가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평방향을 슬라이딩 이동된다. 수납함은 수평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에 의해 잠금과 잠금해제가 이루어지며 수납함의 하측에는 하트캠이 설치된다.
수납함의 수평 이동에 따라 핀부재가 하트캠의 내측 통로를 따라 이동하며 차량 수납함의 잠금과 잠금해제가 이루어진다.
종래에는 수납함이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 비정상적인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수납함이 열리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안전법규를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정상적인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차량 수납함의 열림을 방지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는: 차량 수납함 또는 차량 수납함과 마주하는 차체에 고정되며 핀부재가 이동되는 통로가 개구된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하우징부와 함께 핀부재가 이동되는 경로를 하트 형상으로 안내하는 코어부와, 하우징부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이동된 핀부재가 안착되는 홈부를 형성하는 걸림안내부와, 하우징부와 이격되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이동된 핀부재를 걸림안내부로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 및 하우징부와 이격되며 걸림안내부의 외측으로 이동된 핀부재를 하우징부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우징부의 일측 단부와 걸림안내부의 사이에 핀부재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제1통로부가 형성되며, 하우징부의 타측 단부와 걸림안내부의 사이에 핀부재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제2통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통로부를 통해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이동된 핀부재는 걸림안내부에 걸려서 잠금해제가 구속되며, 걸림안내부에서 이탈된 상기 핀부재는 제2통로부를 통해 하우징부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코어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코어부는, 걸림안내부와 마주하는 측면에 핀부재가 삽입되어 걸리는 홈부를 형성하는 걸림홈부 및 걸림홈부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하우징부의 내측에서 연결되는 코어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걸림안내부는 제2가이드부와 코어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1가이드부 또는 제2가이드부를 향하여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는 걸림안내부에 안착된 핀부재의 수평 센터라인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의 사이의 간격은 핀부재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는: 차량 수납함 또는 차량 수납함과 마주하는 차체에 고정되며 핀부재가 이동되는 통로가 개구된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하우징부와 함께 핀부재가 이동되는 경로를 하트 형상으로 안내하는 코어부와, 하우징부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이동된 핀부재가 안착되는 홈부를 형성하는 걸림안내부와, 하우징부에 연결되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이동된 핀부재를 걸림안내부로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 및 하우징부와 이격되며 걸림안내부의 외측으로 이동된 핀부재를 하우징부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는: 차량 수납함 또는 차량 수납함과 마주하는 차체에 고정되며 핀부재가 이동되는 통로가 개구된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하우징부와 함께 핀부재가 이동되는 경로를 하트 형상으로 안내하는 코어부와, 하우징부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이동된 핀부재가 안착되는 홈부를 형성하는 걸림안내부와, 하우징부와 이격되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이동된 핀부재를 걸림안내부로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 및 하우징부에 연결되며 걸림안내부의 외측으로 이동된 핀부재를 하우징부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는, 비정상적인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 핀부재가 걸림안내부에 걸려서 차량 수납함의 열림을 방지하므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전법규를 만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수납함의 베이스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부재가 걸림안내부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부재가 이상모드 잠금위치에서 정상모드 잠금위치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부재의 제1이탈위치와 제2이탈위치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에서 핀부재가 이동되는 경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가이드부가 하우징부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가이드부가 하우징부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수납함의 베이스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부재가 걸림안내부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부재가 이상모드 잠금위치에서 정상모드 잠금위치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부재의 제1이탈위치와 제2이탈위치를 표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에서 핀부재가 이동되는 경로를 표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가이드부가 하우징부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가이드부가 하우징부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1)는, 차량 수납함(10) 또는 차량 수납함(10)과 마주하는 차체에 고정되며 핀부재(20)가 이동되는 통로가 개구된 하우징부(30)와, 하우징부(30)의 내측에 위치하며 하우징부(30)와 함께 핀부재(20)가 이동되는 경로를 하트 형상으로 안내하는 코어부(40)와, 하우징부(30)의 일측 단부(32)와 타측 단부(34)의 사이에 위치하며 하우징부(30)의 외측으로 이동된 핀부재(20)가 안착되는 홈부를 형성하는 걸림안내부(50)와, 하우징부(30)와 이격되며 하우징부(30)의 외측으로 이동된 핀부재(20)를 걸림안내부(50)로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60) 및 하우징부(30)와 이격되며 걸림안내부(50)의 외측으로 이동된 핀부재(20)를 하우징부(30)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 수납함(10)은 상측이 개구된 서랍 형상이며, 차량 수납함(10)의 하부에 형성된 베이스면(12)에 레일 형상의 직선안내부(14)가 설치된다. 따라서 차량 수납함(10)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동작되어 개폐가 이루어진다.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1)는 베이스면(12) 또는 차량 수납함(10)의 측면 등에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부(30)는 차량 수납함(10) 또는 차량 수납함(10)과 마주하는 차체에 고정되며, 핀부재(20)가 이동되는 통로가 개구된 형상이다. 하우징부(30)의 상측(이하 도 2기준)은 개구된 형상이며, 하우징부(30)의 일측(도 2기준 좌측) 단부와 타측(도 2기준 우측) 단부의 사이에 걸림안내부(50)가 위치하며, 하우징부(30)의 내측에 코어부(40)가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30)는 차량 수납함(10)의 베이스면(12)에서 돌출된 돌기 형상이며, 코어부(40)와 하우징부(30)의 사이에 핀부재(20)가 이동되는 통로가 형성된다.
코어부(40)는 하우징부(30)의 내측에 위치하며, 하우징부(30)와 함께 핀부재(20)가 이동되는 경로를 하트 형상으로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부(40)는, 걸림안내부(50)와 마주하는 측면에 핀부재(20)가 삽입되어 걸리는 홈부를 형성하는 걸림홈부(42)와, 걸림홈부(42)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하우징부(30)의 내측에서 연결되는 코어몸체(44)를 포함한다.
코어부(40)의 상측에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는 걸림홈부(42)의 내측에는 핀부재(20)가 걸린다. 이러한 코어부(40)의 걸림홈부(42)를 정상모드 잠금위치(N1)로 설정한다. 걸림홈부(4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하측을 향하여 가늘어지는 형상을 구비하는 코어몸체(44)는 하우징부(30)와 떨어져서 설치된다. 정상모드에서 하우징부(30)와 코어부(40)가 핀부재(20)를 하트캠 경로로 안내하며 잠금과 잠금해제가 이루어지는 기술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걸림안내부(50)는 하우징부(30)의 일측 단부(32)와 타측 단부(34)의 사이에 위치하며, 하우징부(30)의 외측으로 이동된 핀부재(20)가 안착되는 홈부를 상측에 형성한다. 이러한 걸림안내부(50)는 제2가이드부(70)와 코어부(40)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1가이드부(60) 또는 제2가이드부(70)를 향하여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안내부(50)는 상측을 향하여 오목한 "V"자 형상이며, 하우징부(30)의 일측 단부(32)를 향하여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된다. 걸림안내부(50)는 과하중 작용 후 락(Lock)이 걸리게 해 주는 부분으로, 걸림안내부(50)에 걸린 핀부재(20)가 유동에 의해 흔들리지 않게 고정 시키는 형상이 구비된다.
걸림안내부(50)는 락킹홈부(52)와 제1꼭짓점(54)과 제2꼭짓점(56)과 돌출돌기(58)를 포함한다. 하우징부(30)의 일측 단부(32)를 향하여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걸림안내부(50)의 상측에 오목한 형상의 락킹홈부(52)가 형된다. 이러한 락킹홈부(52)를 이상모드 잠금위치(L1)로 설정하며, 과하중시 핀부재(20)가 락되는 위치이다.
걸림안내부(50)의 상측에는 2개의 꼭짓점이 구비되며, 하우징부(30)의 일측 단부(32)와 마주하는 부분에 제1꼭짓점(54)이 위치하며, 하우징부(30)의 타측 단부(34)와 마주하는 부분에 제2꼭짓점(56)이 위치한다.
그리고, 락킹홈부(52)의 "V" 형상의 홈부의 표면 중 하우징부(30)의 일측 단부(32)를 향한 방향에 돌출돌기(58)가 형성된다. 따라서 락킹홈부(52)의 내측에 걸린 핀부재(20)가 다시 하우징부(30)의 일측 단부(32)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됨을 구속한다.
그리고 하우징부(30)의 일측 단부(32)와 걸림안내부(50)의 사이에 핀부재(20)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제1통로부(80)가 형성되며, 하우징부(30)의 타측 단부(34)와 걸림안내부(50)의 사이에 핀부재(20)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제2통로부(85)가 형성된다.
외부 충격시 하우징부(30)의 내측에 있는 핀부재(20)는 제1통로부(80)를 통해 하우징부(30)의 외측으로 이동된 후 제1가이드부(60)에 접한 후 다시 걸림안내부(50)의 이상모드 잠금위치(L1)로 이동한다. 그리고 추가 충격이 가해질 경우, 락킹홈부(52)에 있는 핀부재(20)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제2가이드부(70)에 접한 후 제2통로부(85)를 통해 하우징부(30)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코어부(40)의 걸림홈부(42)에 걸린다.
즉 제1통로부(80)를 통해 하우징부(30)의 외측으로 이동된 핀부재(20)는 걸림안내부(50)에 걸려서 잠금해제가 구속되며, 걸림안내부(50)에서 이탈된 상기 핀부재(20)는 제2통로부(85)를 통해 하우징부(30)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코어부(40)에 안착되므로 외부 충격에 의해 차량 수납함(10)이 열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걸림안내부(50)의 락킹홈부(52)에 핀부재(20)가 걸리는 위치를 정상모드 잠금위치(N1)로 설정하며, 코어부(40)의 하측에 있는 핀부재(20)의 위치를 정상모드 해제위치(N2)로 설정하며, 걸림안내부(50)의 락킹홈부(52)에 있는 핀부재(20)의 위치를 이상모드 잠금위치(L1)로 설정한다.
제1가이드부(60)는 하우징부(30)와 이격되며, 하우징부(30)의 외측으로 이동된 핀부재(20)를 걸림안내부(50)로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가이드부(60)와 제2가이드부(70)는 걸림안내부(50)에 안착된 핀부재(20)의 수평 센터라인(H)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가이드부(60)는 하우징부(30)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하우징부(30)의 일측 단부(32)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1가이드부(60)는 핀부재(20)의 수평 센터라인(H)(도 6기준 수평선)과 예각을 이루며 경사지게 설치된다. 제1가이드부(60)의 하측에 형성된 제1가이드면(62)은 제1통로부(80)를 통해 하우징부(30)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핀부재(20)가 접하는 면이다.
제2가이드부(70)는 하우징부(30)와 이격되며 걸림안내부(50)의 외측으로 이동된 핀부재(20)를 하우징부(30)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가이드부(70)는 하우징부(30) 및 걸림안내부(50)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제1가이드부(60)와 하우징부(30)의 타측 단부(34)의 사이에 위치하며, 걸림안내부(50)의 상측에 제2가이드부(70)의 하단이 위치한다.
제2가이드부(70)는 핀부재(20)의 수평 센터라인(H)(도 6기준 수평선)과 예각을 이루며 경사지게 설치된다. 제2가이드부(70)의 하측에 형성된 제2가이드면(72)은 걸림안내부(50)에서 상측으로 이동된 핀부재(20)가 접하는 면이다.
제1가이드부(60)와 제2가이드부(70)는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제1가이드부(60)와 제2가이드부(70)의 사이의 간격은 핀부재(2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2가이드부(70)의 안내면(74)은 제2가이드부(70)의 하측 꼭짓점의 상측에 위치하며, 걸림안내부(50)를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된다.
제1가이드부(60)와 제2가이드부(70)는 서로 떨어진 상태로 설치되나, 핀부재(20)와 간섭이 발생되지 않을 경우에는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1가이드부(60)는 제1통로부(80)를 통해 걸림안내부(50)로 이동되는 핀부재(20)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하기 위해 제1통로부(80)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선은 제1가이드부(60)에 접한다.
차량 수납함(10)에 과하중 작용시 제1가이드부(60)의 제1가이드면(62)에 접하는 핀부재(20)의 수직 센터라인(V)은 걸림안내부(50)의 제1꼭짓점(54) 보다 이상모드 잠금위치(L1)를 향한 우측에 위치한다.
제2가이드부(70)의 안내면(74)은 제1가이드부(60)에 접한 핀부재(20)가 하측으로 이동하며 이상모드 잠금위치(L1)로 이동할 때 핀부재(2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제1가이드부(60)를 터치한 핀부재(20)가 걸림안내부(50)의 락킹홈부(52)로 이동되는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면, 제2가이드부(70)의 안내면(74)은 경사면이 아닌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모드 잠금위치(L1)에 있는 핀부재(20)의 수직 센터라인(V)은 제2가이드부(70)의 하측에 구비된 꼭짓점 보다는 제2통로부(85)에 가까운 위치인 우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이상모드 잠금위치(L1)에 있는 핀부재(20)가 상측으로 이동할 때 제2가이드부(70)의 제2가이드면(72)에 접한 후에 제2통로부(85)로 이동되는 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상모드 잠금위치(L1)에서 이동되어 제2가이드부(70)의 제2가이드면(72)에 접하는 핀부재(20)의 수직 센터라인(V)은 걸림안내부(50)의 제2꼭짓점(56) 보다 하우징부(30)의 타측 단부(34)를 향한 우측 지점에 위치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1)에는 제1가이드부(60)와 제2가이드부(70)의 공간과, 제2가이드부(70)와 하우징부(30)의 타측 단부(34) 사이의 공간이 구비된다. 따라서 차량 수납함(10)이 닫힌 상태에서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핀부재(20)가 설정된 작동영역을 벗어나서 과도하게 이동할 수 있다. 즉 핀부재(20)는 제1가이드부(60)와 제2가이드부(7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제1이탈위치(E1)로 이동할 수 있으며, 걸림안내부(50)에서 이탈된 핀부재(20)가 제2가이드부(70)와 하우징부(30)의 타측 단부(34)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제2이탈위치(E2)로 이동할 수 있다. 과도하게 이동된 핀부재(20)는 각 부재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과하여 이동이 이루어지므로 핀부재(20)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외부 충격시 핀부재(20)의 이동 영역에 여유가 있으며, 레이 아웃적으로도 공가이 있을 경우, 기존과 같이 하우징부(30)와 제1가이드부(60) 및 제2가이드부(70)를 연결하여 폐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하우징부(30)의 타측 단부(34)와, 이에 마주하는 걸림안내부(50)의 측면은 하측을 향할 수록 간격이 점차로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즉 제2통로부(85)가 하측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통로를 형성하므로, 제2통로부(85)를 통해 하우징부(30)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핀부재(20)의 이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가이드면(62)과 제2가이드면(72)은 핀부재(20)의 수평 센터라인(H)을 기준으로 수직이거나 수평이면 안된다. 그리고 제1가이드면(62)과 제2가이드면(72)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핀부재(20)의 이동방향에 따라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제1가이드부(60)와 제2가이드부(70)는 강성 보강을 위해 핀부재(20)와 직접 접하는 제1가이드면(62)과 제2가이드면(72)을 제외하고 강성보강 형상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1가이드면(62)과 제2가이드면(72)은 평면 형상이며, 핀부재(20)의 안내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상측과 하측 등의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 2를 기준으로 하며,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1)의 실제 설치방향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정상모드 해제위치(N2)에 있는 핀부재(20)가 정상모드 잠금위치(N1)로 이동되는 경로를 제1경로(P1)로 설정하며, 정상모드 잠금위치(N1)에 있는 핀부재(20)가 정상모드 해제위치(N2)로 이동되는 경로를 제2경로(P2)로 설정한다. 그리고 정상모드 잠금위치(N1)에 있는 핀부재(20)가 제1가이드부(60)에 접한 후 이상모드 잠금위치(L1)로 이동되는 경로를 제3경로(P3)로 설정하며, 이상모드 잠금위치(L1)에 있는 핀부재(20)가 제2가이드부(70)에 접한 후 제2통로부(85)를 통해 정상모드 잠금위치(N1)로 이동되는 경로를 제4경로(P4)로 설정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차량 수납함(10)을 열고 닫을 때, 정상모드 잠금위치(N1)에 있는 핀부재(20)는 제2경로(P1)를 따라 이동되어 정상모드 해제위치(N2)로 이동되며 차량 수납함(10)이 열린다.
그리고 정상모드 해제위치(N2)에 있는 핀부재(20)가 제1경로(P1)를 따라 이동되어 정상모드 잠금위치(N1)에 위치하므로 차량 수납함(10)이 잠금상태가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수납함(10)이 닫힌 상태에서 차량 수납함(10)에 과충격이나 과하중이 전달될 경우, 정상모드 잠금위치(N1)에 있는 핀부재(20)는 제1통로부(80)를 통해 제1가이드부(60)로 이동된 후 다시 이상모드 잠금위치(L1)로 이동되는 제3경로(P3)로 이동된다. 따라서 차량 수납함(10)의 열림이 방지되면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상모드 잠금위치(L1)에 있는 핀부재(20)를 정상모드 잠금위치(N1)로 이동시키기 위해 충격을 가하거나, 외부 충격이 다시 가해지는 경우, 이상모드 잠금위치(L1)에 있는 핀부재(20)는 제4경로(P4)를 통해 정상모드 잠금위치(N1)로 이동한다.
이상 충격이 반복되서 전달될 경우, 핀부재(20)는 제3경로(P3)와 제4경로(P4)를 순차적으로 이동하며 회전되므로 차량 수납함(10)의 열림을 방지하여 안전법규를 만족시킬 수 있다.
이상모드 잠금위치(L1)에 있는 핀부재(20)를 재사용 하기 위해, 차량 수납함(10)을 인위적으로 타격하거나 힘을 가하면, 핀부재(20)는 제4경로(P4)를 따라 이동되어 정상모드 잠금위치(N1)로 이동된다. 이때 가해지는 힘은 가벼운 타격 또는 성인이면 가할수 있는 정도의 하중이다
핀부재(20)의 위치가 정상모드 잠금위치(N1)에 있는 상태에서 정상적인 작동력이 가해지는 경우, 핀부재(20)는 제2경로(P1)를 따라 정상모드 해제위치(N2)로 이동되므로 차량 수납함(10)은 정상적으로 열린다.
따라서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1)는 별도의 구조물 없이도 기존 하트캠 형상을 변경하여 과하중이나 과충격과 같은 비정상 힘이 작용될 경우에도 차량 수납함(10)의 열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30)와 제1가이드부(60)는 제1연장부재(9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가이드부(60)의 제1가이드면이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제1가이드면(62)에 부딪힌 핀부재(20)를 이상모드 잠금위치(L1)로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부(60)와 제2가이드부(70)의 일단(도 8기준 우측)은 연결부재(9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큰 충격시 정상모드 잠금위치(N1)에서 제2가이드부(70)의 측면을 타고 핀부재(20)가 상측으로 이동됨을 차단하기 위해 제2가이드부(70)의 위치를 상측(도 8기준)으로 더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제1가이드부(60)와 제2가이드부(70)의 일단이 연결부재(92)에 의해 연결되므로, 제1가이드부(60)와 제2가이드부(7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상측으로 이동된 핀부재(20)가 제2가이드부(70)의 외측으로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가이드부(70)와 하우징부(30)는 제2연장부재(9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상모드 잠금위치(L1)에 핀부재(20)가 있는 상태에서 큰 충격이 발생될 경우, 핀부재(20)가 제2가이드부(70)와 하우징부(3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1)의 외측으로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해 제2가이드부(70)와 하우징부(30)의 사이 간격을 줄이거나 제2가이드부(70)와 하우징부(30)를 제2연장부재(95)에 의해 연결시킬 수 있다.
외부 충격 발생시 정상모드 잠금위치(N1)에 있는 핀부재(20)는 제1가이드부(60)에 부딪힌 후 이상모드 잠금위치(L1)로 이동되며, 2차와 3차의 충격시에도 핀부재(20)는 제1가이드부(60)와 제2가이드부(70)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어 정상모드 잠금위치(N1)와 이상모드 잠금위치(L1)를 번갈아 가며 이동하므로 차량 도어의 오픈을 방지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비정상적인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 핀부재(20)가 걸림안내부(50)에 걸려서 차량 수납함(10)의 열림을 방지하므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전법규를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
10: 차량 수납함 12: 베이스면 14: 직선안내부
20: 핀부재 H: 수평 센터라인 V:수직 센터라인
30: 하우징부 32: 일측 단부 34: 타측 단부
40: 코어부 42: 걸림홈부 44: 코어몸체
50: 걸림안내부 52: 락킹홈부 54: 제1꼭짓점 56: 제2꼭짓점 58: 돌출돌기
60: 제1가이드부 62: 제1가이드면
70: 제2가이드부 72: 제2가이드면 74: 안내면
80: 제1통로부 85: 제2통로부
90: 제1연장부재 92: 연결부재 95: 제2연장부재
N1: 정상모드 잠금위치 N2: 정상모드 해제위치 L1: 이상모드 잠금위치
E1: 제1이탈위치 E2: 제2이탈위치
P1: 제1경로 P2: 제2경로 P3: 제3경로 P4: 제4경로

Claims (10)

  1. 차량 수납함 또는 상기 차량 수납함과 마주하는 차체에 고정되며, 핀부재가 이동되는 통로가 개구된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부와 함께 상기 핀부재가 이동되는 경로를 하트 형상으로 안내하는 코어부;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이동된 상기 핀부재가 안착되는 홈부를 형성하는 걸림안내부;
    상기 하우징부와 이격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이동된 상기 핀부재를 상기 걸림안내부로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 및
    상기 하우징부와 이격되며 상기 걸림안내부의 외측으로 이동된 상기 핀부재를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 단부와 상기 걸림안내부의 사이에 상기 핀부재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제1통로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타측 단부와 상기 걸림안내부의 사이에 상기 핀부재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제2통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로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이동된 상기 핀부재는 상기 걸림안내부에 걸려서 잠금해제가 구속되며,
    상기 걸림안내부에서 이탈된 상기 핀부재는 상기 제2통로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코어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상기 걸림안내부와 마주하는 측면에 상기 핀부재가 삽입되어 걸리는 홈부를 형성하는 걸림홈부; 및
    상기 걸림홈부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서 연결되는 코어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안내부는 상기 제2가이드부와 상기 코어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가이드부 또는 상기 제2가이드부를 향하여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걸림안내부에 안착된 상기 핀부재의 수평 센터라인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의 사이의 간격은 상기 핀부재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
  9. 차량 수납함 또는 상기 차량 수납함과 마주하는 차체에 고정되며, 핀부재가 이동되는 통로가 개구된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부와 함께 상기 핀부재가 이동되는 경로를 하트 형상으로 안내하는 코어부;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이동된 상기 핀부재가 안착되는 홈부를 형성하는 걸림안내부;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이동된 상기 핀부재를 상기 걸림안내부로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 및
    상기 하우징부와 이격되며 상기 걸림안내부의 외측으로 이동된 상기 핀부재를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
  10. 차량 수납함 또는 상기 차량 수납함과 마주하는 차체에 고정되며, 핀부재가 이동되는 통로가 개구된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부와 함께 상기 핀부재가 이동되는 경로를 하트 형상으로 안내하는 코어부;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이동된 상기 핀부재가 안착되는 홈부를 형성하는 걸림안내부;
    상기 하우징부와 이격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이동된 상기 핀부재를 상기 걸림안내부로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며 상기 걸림안내부의 외측으로 이동된 상기 핀부재를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
KR1020180019948A 2018-02-20 2018-02-20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 KR102290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948A KR102290056B1 (ko) 2018-02-20 2018-02-20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948A KR102290056B1 (ko) 2018-02-20 2018-02-20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900A KR20190099900A (ko) 2019-08-28
KR102290056B1 true KR102290056B1 (ko) 2021-08-13

Family

ID=67775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948A KR102290056B1 (ko) 2018-02-20 2018-02-20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056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9470A (ko) * 2008-12-16 2010-06-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수납장치
KR20160020164A (ko) * 2014-08-13 2016-02-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수납함
KR20160020857A (ko) * 2014-08-14 2016-02-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수납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900A (ko)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227B1 (ko)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
KR102587245B1 (ko)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
US20100031579A1 (en) Protecting Device for Pushing of Sliding Door, Locking Device and Screen Door System
KR101827147B1 (ko)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JP2013124525A (ja) フロントフードのロック機構
KR102290056B1 (ko)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
US20050133667A1 (en) Aircraft door
US20220289005A1 (en) Sliding door structure
US11370362B2 (en) Vehicle storage device
JP6821003B1 (ja) 車両用フードロック装置
JP2019131123A (ja) 車両のスライドドア構造
EP1764465A1 (en) Cover lock mechanism
KR100984960B1 (ko) 자동차용 후드 잠금장치
KR101193626B1 (ko) 글로브 박스의 락킹 장치
KR20160020857A (ko) 차량용 수납함
KR20170072212A (ko) 엘리베이터 장치용의 도어 시스템
KR20210113516A (ko) 안전 사고 방지용 버스 실내 정비커버 구조
KR100494494B1 (ko) 차량의 글로브박스 잠금장치
KR100868420B1 (ko) 도어아웃사이드핸들의 열림방지장치
JP2016175548A (ja) 車両のセカンダリーラッチ機構
KR102447127B1 (ko) 내부격실문 열림 방지 구조로 형성된 차량용 글로브 박스
KR100978744B1 (ko)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핸들 어셈블리의 작동소음 방지구조
JP2016175547A (ja) 車両のセカンダリーラッチ機構
KR101786705B1 (ko) 차량의 대향 개폐형 도어구조
KR102600233B1 (ko) 도어 이탈 방지를 위한 엘리베이터 하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