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3516A - 안전 사고 방지용 버스 실내 정비커버 구조 - Google Patents
안전 사고 방지용 버스 실내 정비커버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13516A KR20210113516A KR1020200028476A KR20200028476A KR20210113516A KR 20210113516 A KR20210113516 A KR 20210113516A KR 1020200028476 A KR1020200028476 A KR 1020200028476A KR 20200028476 A KR20200028476 A KR 20200028476A KR 20210113516 A KR20210113516 A KR 202101135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hinge pin
- wire
- frame
- fasten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9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71 soo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63—Floor elements for repai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05—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for motor ca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54—Load carrying floors for commercial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 B62D31/02—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for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omnibu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ing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사고 방지용 버스 실내 정비커버 구조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정비구를 개폐시키는 정비커버의 조작성을 높이면서 정비구를 통해 발생되는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 사고 방지용 버스 실내 정비커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정비구에 장착된 프레임; 각각의 양측 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힌지핀으로 연결되어 상기 정비구를 개폐하는 제1 도어와 제2 도어; 상기 제1 도어와 상기 제2 도어가 연동되어 회전하도록 상기 제1 도어의 일측 단부에 연결된 힌지핀 및 이와 마주보는 상기 제2 도어의 일측 단부에 연결된 힌지핀을 연결시키는 연동 수단; 및 상기 제1 도어 및 제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도어 및 제2 도어를 체결시키는 체결 수단;을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정비구에 장착된 프레임; 각각의 양측 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힌지핀으로 연결되어 상기 정비구를 개폐하는 제1 도어와 제2 도어; 상기 제1 도어와 상기 제2 도어가 연동되어 회전하도록 상기 제1 도어의 일측 단부에 연결된 힌지핀 및 이와 마주보는 상기 제2 도어의 일측 단부에 연결된 힌지핀을 연결시키는 연동 수단; 및 상기 제1 도어 및 제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도어 및 제2 도어를 체결시키는 체결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전 사고 방지용 버스 실내 정비커버 구조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정비구를 개폐시키는 정비커버의 조작성을 높이면서 정비구를 통해 발생되는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 사고 방지용 버스 실내 정비커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는 많은 승객을 운송시키는 현대의 운송수단 가운데 하나로서, 버스 운행 및 탑승객의 안전을 위해 차량 정비가 수행된다. 특히, 이를 위해 버스 내부의 플로어에는 엔진, T/M 등을 점검하거나 정비할 수 있는 정비구와 이를 개폐할 수 있는 정비커버가 형성된다.
정비커버는, 평상시에 정비구를 폐쇄시켜 정비구를 통해 유입되는 소음, 먼지, 매연 또는 열을 차단하는 동시에 탑승객의 이동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하고, 정비시에 정비구를 개방시켜 정비구가 위치한 차량 내 부품의 정비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비커버에 관한 종래 기술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3148호(버스 실내의 엔진 점검 커버 어셈블리)는 커버 프레임의 기본 골격 에 상부 및 하부 테두리를 1단 구조로 형성하고, 실링 패드와 웨더스트립을 이용한 2중 실링 구조를 형성하여 차체 프레임에 연결됨으로써, 엔진 점검 커버 구조의 복잡성을 제거하고 실링 효과를 증대시키는 기술이다.
한편, 정비커버는 버스 내부의 플로어와 평행하게 형성되는데, 차량 정비시에 정비커버가 탈거되면 정비 작업자들 또는 탑승객이 이동하면서 정비구의 개방 상태를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정비 작업자들 또는 탑승객이 정비구에 발이 빠지거나 심하면 정비구를 통해 낙상 사고가 발생될 염려가 있다.
또한, 정비커버를 탈거시키기 위해 차체 프레임과 체결된 복수의 볼트를 해제시켜야 하므로 정비커버의 탈거 및 장착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도 발생된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의해서도 이러한 문제들을 전혀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정비커버의 탈거 및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 정비 작업자들 또는 탑승객이 정비구가 개방된 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발명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비구에 장착된 프레임; 각각의 양측 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힌지핀으로 연결되어 상기 정비구를 개폐하는 제1 도어와 제2 도어; 상기 제1 도어와 상기 제2 도어가 연동되어 회전하도록 상기 제1 도어의 일측 단부에 연결된 힌지핀 및 이와 마주보는 상기 제2 도어의 일측 단부에 연결된 힌지핀을 연결시키는 연동 수단; 및 상기 제1 도어 및 제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도어 및 제2 도어를 체결시키는 체결 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힌지핀의 일단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도어 또는 상기 제2 도어에 고정되고, 상기 삽입홀의 일측에는 상기 힌지핀의 일단이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인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동 수단은 와이어로 구성되되, 상기 제1 도어의 일측 단부에 연결된 힌지핀 및 이와 마주보는 상기 제2 도어의 일측 단부에 연결된 힌지핀은 상기 와이어에 의해 엇걸기 감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의 꼬임을 방지하도록 상기 와이어에 와이어 가이드 및 일단이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스프링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핀에 상기 와이어가 감긴 부위에는 상기 와이어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고정핀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 수단은, 일측에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도어 또는 제2 도어에 장착된 체결 브라켓; 및 일단이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고 타단에 와셔가 장착된 체결 볼트;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도어 또는 제2 도어의 닫힘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제1 걸림턱과, 열림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제2 걸림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비시에는 제1 도어 및 제2 도어가 양 여닫이 방식으로 열려 유지되므로 탑승자 또는 작업자는 정비구가 개방된 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도어 및 제2 도어를 체결시키는 위치의 개수가 적으므로 정비커버를 정비구에서 탈거하거나 장착하는 작업이 수월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도어 및 제2 도어가 서로 연동 수단에 의해 연동되므로 어느 하나의 도어가 개방되면 다른 도어도 개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힌지핀을 인출홀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도어 또는 제2 도어를 프레임에서 탈거할 수 있으므로 정비 작업이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고 방지용 버스 실내 정비커버 구조에서 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고 방지용 버스 실내 정비커버 구조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핀의 일단이 프레임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핀의 타단이 도어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가 힌지핀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가 힌지핀에 감겨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고 방지용 버스 실내 정비커버 구조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핀의 일단이 프레임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핀의 타단이 도어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가 힌지핀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가 힌지핀에 감겨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사고 방지용 버스 실내 정비커버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고 방지용 버스 실내 정비커버 구조는 버스 실내 바닥에 형성된 정비구를 커버하는 정비커버 구조로서, 종래 버스 정비시 정비구가 완전 개방되어 정비구를 통해 안전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고안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고 방지용 버스 실내 정비커버 구조에서 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고 방지용 버스 실내 정비커버 구조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평상시에는 정비구(1)가 정비커버(제1 도어(21) 및 제2 도어(22))에 의해 닫혀 있어 탑승자 또는 정비 작업자가 버스 실내를 이동하는데 장애가 되지 않는다. 도 2를 참조하면, 정비시에는 정비커버(제1 도어(21) 및 제2 도어(22))가 양 여닫이 방식으로 개방되어 프레임(10)에 대해 대략 90°정도의 각도를 이루면서 유지되므로 탑승자 또는 작업자는 정비구(1)가 개방된 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물론 개방된 정비커버가 프레임(10)과 이루는 각도는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정비시에 안전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안전 사고 방지용 버스 실내 정비커버 구조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핀의 일단이 프레임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핀의 타단이 도어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고 방지용 버스 실내 정비커버 구조는 프레임(10), 제1 도어(21) 및 제2 도어(22), 연동 수단 및 체결 수단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10)은 정비구(1)를 형성하도록 버스 실내 바닥에 고정되는 것으로, 제1 도어(21) 및 제2 도어(22)가 연결되어 안착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10)은 대략 사각형으로 구성되나, 프레임(1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프레임(10)에는 제1 도어(21) 또는 제2 도어(22)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제1 걸림턱(11)과 제1 도어(21) 또는 제2 도어(22)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제2 걸림턱(12)이 형성된다.
프레임(10)의 일측에는 제1 도어(21)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제2 도어(22)가 연결된다. 제1 도어(21) 또는 제2 도어(22)가 프레임(10)에 연결되는 부위에는 힌지핀(30)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홀(14)과 힌지핀(30)의 일단이 인출되는 인출홀(16)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삽입홀(14)과 인출홀(16)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힌지핀(30)의 일단은 제1 헤드(31)와 제2 헤드(32)를 포함하고, 그 사이에는 삽입부(33)가 형성된다. 한편, 삽입홀(14)은 제1 헤드(31)와 제2 헤드(32)의 크기 보다 작고, 인출홀(16)은 제1 헤드(31)와 제2 헤드(32)의 크기 보다 크다. 도 4를 참조하면, 힌지핀(30)의 일단이 인출홀(16)을 통해 삽입된 후 삽입홀(14)로 이동하면 삽입부(33)가 삽입홀(14)에 안착됨으로써 프레임(10)에 연결된다. 물론, 힌지핀(30)의 일단이 프레임(10)에서 인출되는 과정은 전술한 과정과 반대로 수행된다.
제1 도어(21)와 제2 도어(22)는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양 여닫이 방식으로 정비구(1)를 개폐하는 것으로,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도어(21)와 제2 도어(22)의 양측(도어들이 프레임에 연결되는 양측) 단부에는 힌지핀(30)의 타단이 삽입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힌지핀(30)의 타단은 도어들(21, 2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힌지핀(30)의 타단은 세레이션(serration) 가공이 수행된다. 그러나 힌지핀(30)의 타단이 도어들(21, 22)에 고정되는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제1 도어(21)와 제2 도어(22)의 일측(도어들이 서로 마주보는 측)의 중심 부근에는 제1 볼트 삽입홈(23)과 제2 볼트 삽입홈(24)이 형성된다. 제1 볼트 삽입홈(23)과 제2 볼트 삽입홈(24)은 서로 마주보도록 연결되면 홀이 형성된다. 제1 볼트 삽입홈(23)과 제2 볼트 삽입홈(24)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할 체결 수단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가 힌지핀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가 힌지핀에 감겨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7에는 제2 도어(22) 및 프레임(10)의 일부가 생략되어 도시되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연동 수단은 제1 도어(21)와 제2 도어(22)를 서로 연동시켜 어느 하나의 도어(21 또는 22)를 개방시키면 다른 하나의 도어(21 또는 22)가 개방되도록 하는 수단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 수단은 와이어(40)가 사용된다.
와이어(40)는 제1 도어(21)의 일측 단부에 연결된 힌지핀(30)과 제2 도어(22)의 일측 단부에 연결된 힌지핀(30)의 중심 부근에 감긴 상태에서 서로 이어져 있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도어(21)와 연결된 힌지핀(30)을 제1 힌지핀(30a)이라 하고, 제2 도어(22)에 연결된 힌지핀(30)을 제2 힌지핀(30b)이라 한다. 와이어(40)가 힌지핀들(30a, 30b)을 연결하는 방식은 엇걸기 감김 방식이다. 예를 들어, 엇걸기 감김 방식은, 제1 힌지핀(30a)의 상부에서 인출된 와이어(40)의 제1 라인(40a)은 제2 힌지핀(30b)의 하부와 연결되고, 제2 힌지핀(30b)의 상부에서 인출된 와이어(40)의 제2 라인(40b)은 제1 힌지핀(30a)의 상부와 연결되는 방식이다. 물론, 상술한 예시와 다른 방식으로 와이어(40)가 힌지핀(30)에 엇걸기 감김될 수 있다.
힌지핀(30)에서 와이어(40)가 감긴 부위에는 고정핀(35)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어(21, 22)의 과도한 개폐 작용이 있더라도 힌지핀(30)에 와이어(40)의 감긴 부분이 고정핀(35)으로 고정되므로 와이어(40)의 감김이 풀리지 않는다.
와이어(40)의 대략 중간 부위에는 그 꼬임을 방지하도록 와이어 가이드(43)가 형성된다. 와이어 가이드(43)에는 와이어(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가진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라인(40a) 및 제2 라인(40b)은 각각 와이어 가이드(43)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서로 일정한 간격이 유지될 수 있으므로 와이어(40)가 꼬이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와이어(40)가 힌지핀(30)에 연결된 상태에서 와이어(40)의 장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스프링(44)이 형성된다. 스프링(44)의 일단은 와이어 가이드(43)에 연결되고, 타단은 프레임(10)에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연동 수단은 제1 도어(21)와 제2 도어(22)가 연동되어 움직일 수 있다면 톱니 방식 등 공지된 다른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와이어(40)를 통해 제1 도어(21) 및 제2 도어(22)가 연동되어 작동하는 과정을 살펴 본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도어(21) 및 제2 도어(22)가 닫힌 상태에서, 제1 도어(21)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움직이면 제1 힌지핀(30a)은 일측 방향(도 7에서 시계 방향)으로 움직이고, 제1 라인(40a)에는 제1 도어(21)를 향하는 방향으로 장력이 가해진다. 그러면 제2 힌지핀(30b)은 타측 방향(도 7에서 반 시계 방향)으로 움직이고, 제2 도어(22) 역시 개방되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때, 제2 라인(40b)에는 제2 도어(22)를 향하는 방향으로 장력이 가해지면서 제1 도어(21) 및 제2 도어(22)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자연스럽다.
한편, 제1 도어(21) 및 제2 도어(22)가 닫힌 상태에서, 제2 도어(22)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에도 와이어(40)에 작용하는 장력에 의해 제1 도어(21)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체결 수단은 도어(21, 22)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 도어(21) 및 제2 도어(22)를 체결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수단은 체결 브라켓(51) 및 체결 볼트(55)를 포함한다.
체결 브라켓(51)은 제1 도어(21) 또는 제2 도어(2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도어(22)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체결 브라켓(51)은 제2 도어(22)의 하부 중 제2 볼트 삽입홈(24)이 형성된 위치에 장착된다. 체결 브라켓(51)의 일측에는 체결홀(53)이 형성된다.
체결 볼트(55)는 체결 브라켓(51)과 연결되어 제1 도어(21) 및 제2 도어(22)를 서로 체결시키는 것으로, 체결 볼트(55)의 일단은 체결홀(53)에 나사 결합되고, 타단에는 와셔(57)가 형성된다. 와셔(57)는 제1 도어(21) 및 제2 도어(22)가 서로 맞닿는 부위에서 제1 도어(21) 및 제2 도어(22)가 쉽게 열리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이 좋다.
체결 볼트(55)는 제1 도어(21) 및 제2 도어(22)가 닫힌 상태에서 제1 볼트 삽입홈(23) 및 제2 볼트 삽입홈(24)에 의해 형성된 홀에 체결 볼트(55)가 삽입되면 체결 볼트(55)의 타단은 체결 브라켓(51)에 형성된 체결홀(53)에 나사 결합되고, 체결 볼트(55)의 일단에 형성된 와셔(57)는 제1 도어(21)와 제2 도어(22)를 서로 체결시킨다.
종래, 정비구(1)를 개폐하기 위해 복수의 볼트를 체결하거나 해제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초래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도어(21)와 제2 도어(22)가 맞닿는 부위에 하나의 체결 수단만이 형성되므로 정비커버의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체결 수단은 제1 도어(21) 및 제2 도어(22)를 체결시킬 수 있다면 회전 래치 방식, 원터치 방식 등 공지의 다른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정비커버가 정비 과정에 방해가 되는 경우, 작업자는 제1 도어(21) 또는 제2 도어(22)를 프레임(10)에서 탈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와이어(40)에 연결된 스프링(44)을 프레임(10)에서 해제시켜 와이어(40)에 가해진 장력을 제거한 뒤, 삽입홀(14)에 삽입된 힌지핀(30)의 일단을 인출홀(16)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도어(21) 또는 제2 도어(22)를 프레임(10)에서 탈거한다. 그러면 제1 도어(21) 또는 제2 도어(22)가 프레임(10)에 장착된 상태보다 정비 작업이 보다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정비구
10 : 프레임
11 : 제1 걸림턱 12 : 제2 걸림턱
14 : 삽입홀 16 : 인출홀
21 : 제1 도어 22 : 제2 도어
23 : 제1 볼트 삽입홈 24 : 제2 볼트 삽입홈
30 : 힌지핀 31 : 제1 헤드
32 : 제2 헤드 33 : 삽입부
35 : 고정핀 40 : 와이어
43 : 와이어 가이드 44 : 스프링
51 : 체결 브라켓 53 : 체결홀
55 : 체결 볼트 57 : 와셔
11 : 제1 걸림턱 12 : 제2 걸림턱
14 : 삽입홀 16 : 인출홀
21 : 제1 도어 22 : 제2 도어
23 : 제1 볼트 삽입홈 24 : 제2 볼트 삽입홈
30 : 힌지핀 31 : 제1 헤드
32 : 제2 헤드 33 : 삽입부
35 : 고정핀 40 : 와이어
43 : 와이어 가이드 44 : 스프링
51 : 체결 브라켓 53 : 체결홀
55 : 체결 볼트 57 : 와셔
Claims (9)
- 정비구에 장착된 프레임;
각각의 양측 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힌지핀으로 연결되어 상기 정비구를 개폐하는 제1 도어와 제2 도어;
상기 제1 도어와 상기 제2 도어가 연동되어 회전하도록 상기 제1 도어의 일측 단부에 연결된 힌지핀 및 이와 마주보는 상기 제2 도어의 일측 단부에 연결된 힌지핀을 연결시키는 연동 수단; 및
상기 제1 도어 및 제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도어 및 제2 도어를 체결시키는 체결 수단;을 포함하는 안전 사고 방지용 버스 실내 정비커버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핀의 일단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도어 또는 상기 제2 도어에 고정되는 안전 사고 방지용 버스 실내 정비커버 구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의 일측에는 상기 힌지핀의 일단이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인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사고 방지용 버스 실내 정비커버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수단은 와이어로 구성되되,
상기 제1 도어의 일측 단부에 연결된 힌지핀 및 이와 마주보는 상기 제2 도어의 일측 단부에 연결된 힌지핀은 상기 와이어에 의해 엇걸기 감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사고 방지용 버스 실내 정비커버 구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꼬임을 방지하도록 상기 와이어에 와이어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사고 방지용 버스 실내 정비커버 구조. - 제 4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스프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사고 방지용 버스 실내 정비커버 구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핀에 상기 와이어가 감긴 부위에는 상기 와이어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고정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사고 방지용 버스 실내 정비커버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은,
일측에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도어 또는 제2 도어에 장착된 체결 브라켓; 및
일단이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고 타단에 와셔가 장착된 체결 볼트;를 포함하는 안전 사고 방지용 버스 실내 정비커버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도어 또는 제2 도어의 닫힘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제1 걸림턱과, 열림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제2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사고 방지용 버스 실내 정비커버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8476A KR20210113516A (ko) | 2020-03-06 | 2020-03-06 | 안전 사고 방지용 버스 실내 정비커버 구조 |
US17/000,526 US11608121B2 (en) | 2020-03-06 | 2020-08-24 | Indoor maintenance cover of bus |
CN202010929188.3A CN113353157A (zh) | 2020-03-06 | 2020-09-07 | 公共汽车的车内维护覆盖件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8476A KR20210113516A (ko) | 2020-03-06 | 2020-03-06 | 안전 사고 방지용 버스 실내 정비커버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3516A true KR20210113516A (ko) | 2021-09-16 |
Family
ID=77524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8476A KR20210113516A (ko) | 2020-03-06 | 2020-03-06 | 안전 사고 방지용 버스 실내 정비커버 구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1608121B2 (ko) |
KR (1) | KR20210113516A (ko) |
CN (1) | CN113353157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13516A (ko) * | 2020-03-06 | 2021-09-1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안전 사고 방지용 버스 실내 정비커버 구조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3148Y1 (ko) | 1999-06-30 | 2001-09-29 | 이계안 | 버스 실내의 엔진 점검 커버 어셈블리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794938A (en) * | 1928-06-20 | 1931-03-03 | Christian J Wunderlich | Door |
US3022107A (en) * | 1960-10-31 | 1962-02-20 | Gen Motors Corp | Vehicle closure |
DE9214963U1 (de) * | 1992-06-10 | 1992-12-24 | Knürr-Mechanik für die Elektronik AG, 8000 München | Scharnier |
US20100289278A1 (en) * | 2009-05-15 | 2010-11-18 | Tang Gordon C | Easily Installed and non-defacing security latch |
US8808835B2 (en) * | 2012-11-28 | 2014-08-19 | Global Ip Holdings, Llc | System including a panel assembly having a container and a compression-molded, composite cover for covering the container |
FR2999518B1 (fr) * | 2012-12-18 | 2016-01-08 | Renault Sas | Agencement d'une structure de soubassement d'un vehicule automobile avec une enceinte renfermant un dispositif de commande de coupe-circuit |
US9352695B1 (en) * | 2015-05-22 | 2016-05-31 | Fca Us Llc | Vehicle floor assembly |
KR200481779Y1 (ko) * | 2016-02-05 | 2016-11-08 | 정정우 |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
DE102016108344A1 (de) * | 2016-05-04 | 2017-11-09 | Rahrbach Gmbh | Türantrieb für Doppeltüren |
JP6543604B2 (ja) * | 2016-10-25 | 2019-07-10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車両 |
DE102017100055A1 (de) * | 2017-01-03 | 2018-07-05 | Lisa Dräxlmaier GmbH | Bewegungsmechanismus für einen Deckel in einem Fahrzeug |
US10040397B1 (en) * | 2017-09-20 | 2018-08-07 |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 Split console lid and armrest in both open and closed positions |
JP7071185B2 (ja) * | 2018-03-23 | 2022-05-18 |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 コンソールボックス |
EP3840990A4 (en) * | 2018-08-21 | 2022-04-20 |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m Systems Co. Ltd | VEHICLE INTERIOR COMPONENT |
CN109707288B (zh) * | 2018-12-01 | 2020-07-17 | 上海海钊民防设备有限公司 | 钢结构人防门 |
KR20210113516A (ko) * | 2020-03-06 | 2021-09-1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안전 사고 방지용 버스 실내 정비커버 구조 |
-
2020
- 2020-03-06 KR KR1020200028476A patent/KR20210113516A/ko unknown
- 2020-08-24 US US17/000,526 patent/US11608121B2/en active Active
- 2020-09-07 CN CN202010929188.3A patent/CN113353157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3148Y1 (ko) | 1999-06-30 | 2001-09-29 | 이계안 | 버스 실내의 엔진 점검 커버 어셈블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10276628A1 (en) | 2021-09-09 |
US11608121B2 (en) | 2023-03-21 |
CN113353157A (zh) | 2021-09-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77227B1 (ko) |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 | |
KR100320835B1 (ko) |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진동 방지 구조 | |
KR20210113516A (ko) | 안전 사고 방지용 버스 실내 정비커버 구조 | |
CA2988887C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railcar doors | |
US4608777A (en) | Sliding door apparatus | |
US20060261599A1 (en) | Cover lock mechanism | |
JP3465514B2 (ja) | スライドドア支持装置 | |
CN211871104U (zh) | 电梯的轿厢顶棚救出装置 | |
CN107421479A (zh) | 一种车门检测装置 | |
CN213627149U (zh) | 一种铰接车门启闭装置 | |
JP2002357062A (ja) | シャッターパネルの落下防止装置 | |
JP3677891B2 (ja) | 車両用点検口構造 | |
WO2015118637A1 (ja) | エレベータかごの整風装置 | |
KR100405605B1 (ko) | 자동차의 후드 장착 구조 | |
KR20070023394A (ko) | 도어 모듈 | |
KR200142386Y1 (ko) | 컨버터블형 차량의 도어처짐 방지장치 | |
KR200154408Y1 (ko) | 버스용 선반의 개폐장치 | |
JPS581404Y2 (ja) | 鉄道有蓋貨車の引戸止め装置 | |
KR100218405B1 (ko) |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 |
KR100196375B1 (ko) | 승합차 도어의 안전잠금 장치용 와이어의 필라리드측 취부구조 | |
JPH08108885A (ja) | カーフェリー用舷門装置 | |
KR100380377B1 (ko) | 버스용 플랩도어의 힌지 조립체 | |
KR970004383Y1 (ko) | 엘리베이터의 이중 승강도어장치 | |
KR100901417B1 (ko) | 도어힌지 기구 | |
KR200275948Y1 (ko) | 안전출입문의 잠금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