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9470A -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9470A
KR20100069470A KR1020080128161A KR20080128161A KR20100069470A KR 20100069470 A KR20100069470 A KR 20100069470A KR 1020080128161 A KR1020080128161 A KR 1020080128161A KR 20080128161 A KR20080128161 A KR 20080128161A KR 20100069470 A KR20100069470 A KR 20100069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ixing
catching
unit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8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경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8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9470A/ko
Publication of KR20100069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4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05C19/022Released by pushing in the closing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수납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하우징부와; 이 하우징부에 삽입되는 수납부와; 하우징부와 수납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고정부와; 하우징부와 수납부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수납부 삽입시 고정부를 고정시키는 제1걸림부; 및 하우징부와 수납부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외부 충격시 제1걸림부에서 이탈된 고정부를 고정시키는 제2걸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충돌 등에 의해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제2걸림부가 제1걸림부에서 이탈된 고정핀을 고정시킴으로써, 차량 충돌 등에 의한 외부 충격시 오작동으로 인한 수납부의 임의적인 돌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 충돌 등에 의한 외부 충격시 오작동으로 인한 수납부의 임의적인 돌출로 인한 부상 위험으로부터 승객을 보호할 수 있다.
차량, 수납, 하트 캠

Description

수납장치{CONTAINER APPARATUS}
본 발명은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구비되는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트레이와 같은 수납장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가 하우징에 삽입되었다가 전방으로 배출되어 필요한 물품을 수납공간에 수납하게 된다.
이러한 수납장치에는 하트 캠 장치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하우징에 삽입 고정된 케이스를 누르면 케이스가 하우징에서 돌출되고, 재차 누르면 케이스가 하우징에 삽입 고정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수납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의 내부에는 하우징(1)이 장착된다. 하우징(1)의 내부에는 케이스(11)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며, 하우징(1)의 전면은 개방된다. 이러한 하우징(1)에는 핀부(2)가 구비된다. 또한, 케이스(11)는 하우징(1)에 삽입 되며, 케이스(11)의 내부에는 수용공간(13)이 형성된다. 이 케이스(11)의 측면에는 하트 형상의 가이드부(12)가 형성된다.
핀부(2)는 하우징(1)에 고정 설치되는 회전바(3)와 결합되어 회전된다. 이러한 핀부(2)에는 가이드부(12) 방향으로 고정돌기(4)가 돌출된다. 고정돌기(4)는 가이드부(12)에 구비되는 가이드홈(14)의 궤적을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케이스(11)의 후방과 하우징(1) 사이에는 탄성체(미도시)가 내장되어 케이스(11)가 하우징(1)에서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수납장치에 따르면, 케이스(11)가 하우징(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때에는, 고정돌기(4)는 가이드홈(14)의 'b' 지점에 위치되어 가이드부(12)에 걸림 고정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케이스(11)를 눌러주면, 탄성체에 의해 고정돌기(4)가 'b' 지점에서 이탈되어 'a' 지점으로 이동되어 걸림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케이스(11)는 하우징(1)에서 돌출된다.
상기와 같은 수납장치는, 차량의 충돌 등에 의해 수납장치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고정돌기가 가이드부에 걸림 고정된 상태에서 이탈되면서 케이스가 돌출되는 오작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외부 충격에 의한 오작동이 억제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수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삽입되는 수납부와;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수납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고정부와;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수납부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부 삽입시 상기 고정부를 고정시키는 제1걸림부; 및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수납부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외부 충격시 상기 제1걸림부에서 이탈된 고정부를 고정시키는 제2걸림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제1걸림부 및 상기 제2걸림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가 이동하는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고정부가 제1걸림부 측으로 이동하는 제1가이드홈과; 상기 제1걸림부에서 이탈된 고정부가 이동하는 제2가이드홈; 및 상기 제2걸 림부에서 이탈된 고정부가 이동하는 제3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제2가이드홈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걸림부와 인접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납장치에 따르면, 차량 충돌 등에 의해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제2걸림부가 제1걸림부에서 이탈된 고정핀을 고정시킴으로써, 차량 충돌 등에 의한 외부 충격시 오작동으로 인한 수납부의 임의적인 돌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 충돌 등에 의한 외부 충격시 오작동으로 인한 수납부의 임의적인 돌출로 인한 부상 위험으로부터 승객을 보호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하트 캠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치(100)는 하우징부(110)와, 수납부(120)와, 고정부(130) 및 하트 캠부(14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10)는 차량의 내부, 바람직하게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센터페시아 중앙에 형성된다. 하우징부(110)의 내부에는 후술할 수납부(120)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며, 공간부의 전면은 개방된다.
수납부(120)는 공간부의 전면을 통해 하우징부(110)에 삽입된다. 수납부(120)는 하우징부(110)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수납부(120)의 내부에는 상단이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에는 물품 또는 담뱃재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수납부(120)의 후방과 하우징부(110) 사이에는 탄성체(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탄성체는 하우징부(110)에 삽입된 수납부(120)를 돌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고정부(130)는 하우징부(110)와 수납부(12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130)가 하우징부(110)의 측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고정부(130)는 결합홀(132)을 갖는 몸체(131)와, 후술할 하트 캠부(140)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핀(135)을 포함한다.
한편, 하우징부(110)의 측부에는 결합홀(132)에 삽입되는 회전바(미도시)가 구비되는데, 고정부(130)는 결합홀(132)을 통한 회전바와 몸체(131)의 결합에 의해 하우징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트 캠부(140)는 하우징부(110)와 수납부(120) 중, 고정부(130)가 구비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트 캠부(140)가 수납부(120)의 측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하트 캠부(140)는 가이드부(142)와, 제1걸림부(144) 및 제2걸림부(146)를 포함한다.
가이드부(142)는 수납부(120)의 측부에 돌출되게 구비된다. 가이드부(142)는 후술할 제1걸림부(144) 및 제2걸림부(146)의 외측에 구비되되, 제1걸림부(144) 및 제2걸림부(146)의 외측을 대략 하트 형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부(142)는 제1걸림부(144) 및 제2걸림부(146)와 함께 고정부(130)가 이동하는 경로인 가이드홈(145)을 형성한다.
가이드홈(145)은 제1 내지 제3가이드홈(145a,145b,145c)을 포함한다. 제1가이드홈(145a)은 가이드부(142)와 제1걸림부(144) 사이에 형성되어 고정부(130)의 고정핀(135)이 제1걸림부(144) 측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며, 제2가이드홈(145b)은 제1걸림부(144)와 제2걸림부(146) 사이에 형성되어 제1걸림부(144)에서 이탈된 고정핀(135)이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그리고 제3가이드홈(145c)은 가이드부(142)와 제2걸림부(146) 사이에 형성되어 제2걸림부(146)에서 이탈된 고정부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제1걸림부(144)는 가이드부(142)의 내측에 배치된다. 제1걸림부(144)는 수납부(120)의 측부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가이드부(142)와 함께 가이드홈(145)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1걸림부(144)에는 고정부(130)의 고정핀(135)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1걸림홈(144a)이 형성된다. 가이드홈(145)의 궤적을 따라 이동된 고정핀(135)은 제1걸림홈(144a)에 안착되면서 제1걸림부(144)에 고정된다.
제2걸림부(146)는 제1걸림부(144)와 인접되게 가이드부(142)의 내측에 배치된다. 제2걸림부(146)는 제1걸림부(144)와 마찬가지로 수납부(120)의 측부에 돌출되게 구비된다. 제2걸림부(146)는 가이드홈(145),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가이드홈(145b)를 사이에 두고 제1걸림부(144)와 인접되게 배치되며, 이러한 제2걸림부(146)에는 고정부(130)의 고정핀(135)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2걸림홈(146a)이 형성된다. 외부 충격시 제1걸림부(144)에서 이탈된 고정핀(135)은 제2걸림홈(146a)에 안착되면서 제2걸림부(146)에 고정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130)가 하우징부(110)에 구비되고 하트 캠부(140)가 수납부(120)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고정부(130)가 수납부(120)에 구비되고 하트 캠부(140)가 하우징부(110)에 구비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수납장치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걸림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수납장치의 외부 충격에 의한 걸림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치(100)의 작동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장치(100)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될 경우, 사용자가 수납부(120; 도 2 참조)를 하우징부(110; 도 2 참조) 내부로 삽입시키면, 하트 캠부(140)는 수납부(120)를 따라 이동한다. 여기서는, 하트 캠부(140)가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부(130; 도 2 참조)가 이동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하트 캠부(140)를 기준으로 고정부(130)의 이동 상태를 설명한다.
수납부(120)가 하우징부(110)의 내부로 삽입되면, 고정부(130)의 고정핀(135)은 가이드부(142)와 제1걸림부(144) 사이에 형성된 제1가이드홈(145a)에 의해 그 경로가 가이드되어 제1가이드홈(145a)을 따라 이동한다. 수납부(120)가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면, 고정핀(135)은 제1걸림홈(144a)에 안착되면서 제1걸림부(144)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납부(120)를 가압하여 주면, 탄성체(미도시)에 의해 수납부(120)는 하우징부(110)의 내부로 미세하게 이동되고, 수납부(120)를 가압하는 외력이 사라지면 탄성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수납부(120)는 하우징부(110)에서 돌출된다. 이때, 수납부(120)에 가해지는 외력은 0.8∼1.2㎏f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걸림홈(144a)에 안착되어 있던 고정핀(135)은 제1걸림부(144)에서 이탈되면서 제1걸림부(144)와 제2걸림부(146) 사이에 형성된 제2가이드홈(145b)에 의해 그 경로가 가이드되어 제2가이드홈(145b)을 따라 이동된다. 이로써 고정핀(135)은 제1걸림부(144)에서의 고정 상태가 해제된다.
한편, 고정핀(135)이 제1걸림부(144)에 고정된 상태에서, 차량의 충돌 등과 같은 외부 충격이 수납부(120)의 개폐 방향으로 가해지게 되면, 고정핀(135)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가이드홈(145b)을 따라 이동되지 않고 제1걸림부(144)에서 제2걸림부(146)로 곧바로 이동되어 제2걸림홈(146a)에 안착됨으로써 제2걸림부(146)에 고정된다.
이처럼 고정핀(135)이 제2가이드홈(145b)을 따라 이동되지 않고 제2걸림부(146)에 고정됨으로써, 수납부(120)는 하우징부(110)에서 돌출되지 않고 고정되어 하우징부(11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고정핀(135)의 이동은 수납부(120)에 가해지는 외력이 1.5㎏f 이상일 때, 즉 정상적인 사용자의 조작이 아닌 차량의 충돌 등과 같은 상황에서 이루어지도록 설정되며, 이는 제1걸림부(144)와 제2걸림부(146)의 간격을 적절히 조절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핀(135)이 제2걸림부(146)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러한 고정 상태를 해제하고자할 경우에는, 평상시 사용자가 수납부(120)를 인출시키고자할 때와 마찬가지로 수납부(120)를 가압하여 주면, 제2걸림홈(146a)에 안착되어 있던 고정핀(135)이 제2걸림부(146)에서 이탈된다. 이처럼 제2걸림부(146)에서 이탈된 고정핀(135)은 가이드부(142)와 제2걸림부(146) 사이에 형성된 제3가이드홈(145c)에 의해 그 경로가 가이드되어 제3가이드홈(145c)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제2걸림부(146)에서의 고정 상태가 해제된다. 이로써 수납부(120)는 고정 상태가 해제되어 하우징부(110)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수납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충돌 등에 의해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제2걸림부(146)가 제1걸림부(144)에서 이탈된 고정핀(135)을 고정 시킴으로써, 차량 충돌 등에 의한 외부 충격시 오작동으로 인한 수납부(120)의 임의적인 돌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 충돌 등에 의한 외부 충격시 오작동으로 인한 수납부(120)의 임의적인 돌출로 인한 부상 위험으로부터 승객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수납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하트 캠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수납장치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걸림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수납장치의 외부 충격에 의한 걸림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수납장치 110 : 하우징부
120 : 수납부 130 : 고정부
131 : 몸체 135 : 고정핀
140 : 하트 캠부 142 : 가이드부
144 : 제1걸림부 146 : 제2걸림부

Claims (4)

  1.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삽입되는 수납부;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수납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고정부;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수납부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부 삽입시 상기 고정부를 고정시키는 제1걸림부; 및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수납부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외부 충격시 상기 제1걸림부에서 이탈된 고정부를 고정시키는 제2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 및 상기 제2걸림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가 이동하는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고정부가 제1걸림부 측으로 이동하는 제1가이드홈;
    상기 제1걸림부에서 이탈된 고정부가 이동하는 제2가이드홈; 및
    상기 제2걸림부에서 이탈된 고정부가 이동하는 제3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제2가이드홈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걸림부와 인접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치.
KR1020080128161A 2008-12-16 2008-12-16 수납장치 KR201000694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161A KR20100069470A (ko) 2008-12-16 2008-12-16 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161A KR20100069470A (ko) 2008-12-16 2008-12-16 수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470A true KR20100069470A (ko) 2010-06-24

Family

ID=42367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8161A KR20100069470A (ko) 2008-12-16 2008-12-16 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94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900A (ko) * 2018-02-20 2019-08-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900A (ko) * 2018-02-20 2019-08-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수납함용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4623B2 (ja) 車両用収納装置
ES2727557T3 (es) Dispositivo de accionamiento para una parte de mueble móvil
JP3545647B2 (ja) 電子キイ構造
JP4412234B2 (ja) グローブボックス
EP3309005B1 (en) Sliding armrest for vehicle
US9937827B1 (en) Sliding armrest for vehicle
CN108473075B (zh) 辅助把手
KR20090062177A (ko) 자동차 암레스트 콘솔박스의 고정 구조
KR100973134B1 (ko) 글러브 박스
CN102839876B (zh) 具有防止储存装置无意打开的锁定器件的机动车辆储存装置
US9113679B2 (en) Buckle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buckle from being released by an impact
US9211845B2 (en) Doors for console boxes
KR20100069470A (ko) 수납장치
JP2016211205A (ja) フューエルリッド構造
JP2009161094A (ja) ドア装置
KR101571088B1 (ko) 트레이의 록킹장치
KR100794020B1 (ko) 자동차용 트레이의 도어 열림방지장치
KR20100069467A (ko)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
KR100931262B1 (ko) 차량용 트레이 잠금장치
KR20150066468A (ko) 특히 차량 대시보드용 보관 기기 및 대응하는 차량
KR100756968B1 (ko) 차량용 콘솔의 록킹 장치
JP4650766B2 (ja) 収納装置
JP4306569B2 (ja) 引き出し装置
JP2011084240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小物収納装置
KR20100069739A (ko) 수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