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005B1 - 편광판 - Google Patents

편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005B1
KR102290005B1 KR1020197005912A KR20197005912A KR102290005B1 KR 102290005 B1 KR102290005 B1 KR 102290005B1 KR 1020197005912 A KR1020197005912 A KR 1020197005912A KR 20197005912 A KR20197005912 A KR 20197005912A KR 102290005 B1 KR102290005 B1 KR 102290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cured material
layer
material lay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5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3603A (ko
Inventor
사키 오카야마
에미 가와사키
오사무 가제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쿠라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쿠라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쿠라레
Publication of KR20190033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편광 필름층과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경화물층이 적층된 편광판으로서, 상기 경화물층의 두께가 10 ㎛ 이하이고, 붕산 투과도가 붕소 원자 환산으로 2.25 g/㎡·day 이하이며, 상기 편광 필름층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상기 경화물층이 직접 인접된 편광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편광 필름층에 적층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경화물층의 두께가 10 ㎛ 이하여도, 초기의 편광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내습열성이 우수한 편광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편광판
본 발명은 박막으로 내습열성이 우수한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광의 투과 및 차폐 기능을 갖는 편광판은, 광의 편광 상태를 변화시키는 액정과 함께 액정 디스플레이 (LCD) 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이다. 종래의 편광판은,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이하,「폴리비닐알코올」을「PVA」로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을 염색 및 연신하여 이루어지는 편광 필름층의 편면 또는 양면에 보호 필름을 첩합 (貼合) 하여 제조되어 왔다.
상기 보호 필름으로는, 종래부터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TAC) 등의 필름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의 모바일기로의 전개에 수반하여 박막 경량화가 요구되게 되었고, 이와 같은 관점에서 편광 필름층에 보호 필름을 배치하지 않고, 편광 필름층의 표면에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층을 형성한 편광판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 5 등을 참조). 그러나, 고온 고습도 조건하에서의 사용시에 편광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어, 내습열성이 우수한 편광판이 요구되었다.
일본 공표특허공보 2013-51383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22118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03071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4592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334307호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편광 필름층에 적층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경화물층의 두께가 10 ㎛ 이하여도, 초기의 편광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내습열성이 우수한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경화물층의 두께가 10 ㎛ 여도, 붕산 투과도가 붕소 원자 환산으로 2.25 g/㎡·day 이하인 경화물층을 편광 필름층에 적층함으로써, 상기 과제의 해결이 가능한 것을 알아내고, 당해 지견에 기초하여 더욱 검토를 거듭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1] 편광 필름층과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경화물층이 적층된 편광판으로서,
상기 경화물층의 두께가 10 ㎛ 이하이고, 붕산 투과도가 붕소 원자 환산으로 2.25 g/㎡·day 이하이며, 상기 편광 필름층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상기 경화물층이 직접 인접된 편광판 ;
[2] 상기 경화물층 상에 보호 필름층을 갖지 않는, 상기 [1] 의 편광판 ;
[3] 상기 경화물층이 적층된 면과 반대면에 있어서의 상기 편광 필름층 상에 보호 필름층을 갖지 않는, 상기 [1] 또는 [2] 의 편광판 ;
[4] 상기 수지 조성물이,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인, 상기 [1] ∼ [3] 중 어느 하나의 편광판 ;
[5] 상기 편광 필름층에 있어서의 붕산 함유량이, 붕소 원자 환산으로 편광 필름층에 대해서 1 ∼ 8 질량% 인, 상기 [1] ∼ [4] 중 어느 하나의 편광판 ;
[6] 상기 편광 필름층의 두께가 20 ㎛ 이하인, [1] ∼ [5] 중 어느 하나의 편광판 ;
[7] 편광판 전체의 두께가 40 ㎛ 이하인, [1] ∼ [6] 중 어느 하나의 편광판 ;
[8] 상기 경화물층의 수증기 투과도가 2500 g/㎡·day 이하인, 상기 [1] ∼ [7] 중 어느 하나의 편광판 ;
[9] 층 구성이, 편광 필름층/상기 경화물층의 2 층 구조, 또는 상기 경화물층/편광 필름층/상기 경화물층의 3 층 구조인, 상기 [1] ∼ [8] 중 어느 하나의 편광판 ;
[10] 전광선 투과율이 40 ∼ 45 % 이고, 편광도가 99.9 % 이상인, 상기 [1] ∼ [9] 중 어느 하나의 편광판 ;
[11] 60 ℃, 90 %RH 의 조건하에서 48 시간의 내습열성 시험을 행한 후의 전광선 투과율의 변화량이 1.5 % 이하이고, 편광도가 99.9 % 이상인, 상기 [1] ∼ [10] 중 어느 하나의 편광판 ;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편광 필름층에 적층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경화물층의 두께가 10 ㎛ 이하여도, 초기의 편광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내습열성이 우수한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붕소 원자 환산의 붕산 투과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편광 필름층과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경화물층이 적층된 편광판으로서, 상기 경화물층의 두께가 10 ㎛ 이하이고, 붕산 투과도가 붕소 원자 환산으로 2.25 g/㎡·day 이하이며, 상기 편광 필름층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상기 경화물층이 직접 인접된 편광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편광 필름층에 적층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경화물층의 두께가 10 ㎛ 이하여도, 상기 경화물층의 붕산 투과도가 2.25 g/㎡·day 이하임으로써, 내습열성이 우수한 편광판이 얻어지는 것이 본 발명자들에 의해서 분명해졌다. 즉, 본 발명의 편광판은, 박막이어도 내습열성이 우수하여, 초기의 편광 성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편광 필름층)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편광 필름층은, PVA 필름 (전형적으로는 1 축 연신된 PVA 필름) 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편광 필름층은, 이색성 색소를 미리 함유시킨 PVA 필름을 연신하거나, PVA 필름의 연신과 동시에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키거나, PVA 필름을 연신하여 매트릭스를 형성한 후에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키거나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PVA 로는, 아세트산비닐, 포름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부티르산비닐, 피발산비닐, 베르사트산비닐, 라우르산비닐, 스테아르산비닐, 벤조산비닐, 아세트산이소프로페닐 등의 비닐에스테르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비닐에스테르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닐에스테르 중에서도, PVA 의 제조 용이성, 입수 용이성, 비용 등의 관점에서 아세트산비닐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PVA 로는, 비닐에스테르 단량체와 그것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의 비닐에스테르 단위를 비닐알코올 단위로 변환시킨 것이어도 된다. 비닐에스테르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이소부텐 등의 탄소수 2 ∼ 30 의 α-올레핀 ; (메트)아크릴산 또는 그 염 ;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n-프로필, (메트)아크릴산i-프로필, (메트)아크릴산n-부틸, (메트)아크릴산i-부틸, (메트)아크릴산t-부틸,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도데실, (메트)아크릴산옥타데실 등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 (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메트)아크릴아미드, (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판술폰산 또는 그 염, (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필디메틸아민 또는 그 염,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또는 그 유도체 등의 (메트)아크릴아미드 유도체 ; N-비닐포름아미드, N-비닐아세토아미드, N-비닐피롤리돈 등의 N-비닐아미드 ; 메틸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n-프로필비닐에테르, i-프로필비닐에테르, n-부틸비닐에테르, i-부틸비닐에테르, t-부틸비닐에테르, 도데실비닐에테르, 스테아릴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안화 비닐;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불화비닐, 불화비닐리덴 등의 할로겐화비닐; 아세트산알릴, 염화알릴 등의 알릴 화합물 ; 말레산 또는 그 염, 에스테르 혹은 산무수물 ; 이타콘산 또는 그 염, 에스테르 혹은 산무수물 ;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등의 비닐실릴 화합물 ; 불포화 술폰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상기한 다른 단량체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가질 수 있다. 당해 다른 단량체는, 비닐에스테르 단량체를 중합 반응에 제공할 때, 이것을 반응 용기 내에 미리 존재하게 하거나, 혹은, 중합 반응의 진행 중에 반응 용기 내에 이것을 첨가하거나 하여 사용할 수 있다. 편광 성능의 관점에서는, 다른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단위의 함유량은, 10 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 몰%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PVA 의 중합도는, 1,500 ∼ 6,000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1,800 ∼ 5,000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00 ∼ 4,000 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중합도가 1,500 이상임으로써, 필름을 1 축 연신하여 얻어지는 편광 필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당해 중합도가 6,000 이하임으로써, 제조 비용의 상승이나, 제막 (製膜) 시에 있어서의 공정 통과성의 불량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PVA 의 중합도는, JIS K6726-1994 의 기재에 준하여 측정한 평균 중합도를 의미한다.
상기 PVA 의 비누화도는, 편광 필름층의 편광 성능 등의 관점에서, 95 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8 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8.5 몰%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99.0 몰%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비누화도가 95 몰% 미만이면, 편광 필름층의 제조 과정에서 PVA 가 용출되기 쉬워지고, 용출된 PVA 가 필름에 부착되어 편광 필름층의 편광 성능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PVA 의 비누화도란, PVA 가 갖는, 비누화에 의해서 비닐알코올 단위로 변환될 수 있는 구조 단위 (전형적으로는, 비닐에스테르 단위) 와 비닐알코올 단위의 합계 몰수에 대해서, 당해 비닐알코올 단위의 몰수가 차지하는 비율 (몰%) 을 말한다. 비누화도는 JIS K6726-1994 의 기재에 준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PVA 필름은 가소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PVA 필름이 가소제를 함유함으로써, 취급성이나 연신성 등이 향상된다. 가소제로서, 다가 알코올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구체적으로는,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글리세린,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가소제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PVA 필름의 연신성이 보다 향상되는 관점에서 글리세린이 바람직하다.
상기 PVA 필름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은, PVA 100 질량부에 대해서 1 ∼ 2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3 ∼ 17 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 ∼ 15 질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가소제의 함유량이 1 질량부 이상임으로써, PVA 필름의 연신성이 보다 향상된다. 한편, 가소제의 함유량이 20 질량부 이하임으로써, PVA 필름의 표면에 가소제가 블리드 아웃되어 PVA 필름의 취급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PVA 필름에는, 추가로, 충전제, 구리 화합물 등의 가공 안정제, 내후성 안정제, 착색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난연제, 다른 열가소성 수지, 윤활제, 향료, 소포제, 소취제, 증량제, 박리제, 이형제, 보강제, 가교제, 곰팡이 방지제, 방부제, 결정화 속도 지연제 등의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편광 필름층의 두께로는, 2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보다 얇은 편광 필름층일수록 내습열성이 저하되기 쉽고, 그와 같은 편광 필름층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얻어지게 된다. 편광 필름층의 두께는 15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2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편광 필름층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은 경우에는, 제조시에 주름이나 파열 등의 문제를 일으키기 쉬운 점에서, 편광 필름층의 두께는,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 ㎛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편광 필름층의 붕산 함유량으로는, 붕소 원자 환산으로 편광 필름층에 대해서 1 ∼ 8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붕산 함유량이 1 질량% 미만인 경우, 내습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붕산 함유량은, 2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붕산 함유량이 8 질량% 를 초과할 경우, 고온시의 편광 필름의 치수 변화가 커질 우려가 있다. 상기 붕산 함유량은, 5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붕소 원자 환산의 붕산 함유량은, 편광 필름을 0.0005 질량% 가 되도록 증류수에 용해시켜 측정 샘플로 하고, ICP 발광 분석법에 의해서 측정 샘플 중의 붕소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하기 식 (1) 로 산출된다.
[(X × 10-6 × Y)/Z] × 100 (1)
X : 측정 샘플의 붕소 농도 [ppm]
Y : 편광 필름이 용해된 측정 샘플의 질량 [g]
Z : 편광 필름의 질량 [g]
(편광 필름층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편광 필름층을 제조할 때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편광 필름층은, 상기 PVA 필름을 1 축 연신하는 공정,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수세 처리하는 공정을, 임의로 조합한 제조 공정을 거쳐 바람직하게 제조된다. 당해 제조 공정을 통한, PVA 필름의 총연신 배율은 4 ∼ 8 배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 필요에 따라서, 추가로 팽윤 처리, 고정 처리, 건조 처리, 열처리 등을 행해도 된다.
상기 팽윤 처리는, PVA 필름을 물에 침지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물에 침지할 때의 물의 온도로는, 20 ∼ 40 ℃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22 ∼ 38 ℃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5 ∼ 35 ℃ 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물에 침지시키는 시간으로는, 예를 들어, 0.1 ∼ 5 분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 3 분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물에 침지할 때의 물은 순수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성분이 용해된 수용액이어도 되고, 물과 수성 매체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상기 PVA 필름을 1 축 연신하는 공정은, 습식 연신법 또는 건식 연신법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습식 연신법의 경우에는, 붕산을 함유하는 수용액 중에서 행할 수도 있고, 후술하는 염색욕 중이나 고정 처리욕 중에서 행할 수도 있다. 또 건식 연신법의 경우에는, 실온인 상태에서 1 축 연신 처리를 행해도 되고, 가열하면서 1 축 연신 처리를 행해도 되며, 흡수 후의 PVA 필름을 사용하여 공기 중에서 1 축 연신 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 이 중에서도, 습식 연신법이 바람직하고, 붕산을 함유하는 수용액 중에서 1 축 연신 처리를 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붕산 수용액 중에 있어서의 붕산의 농도는 0.5 ∼ 15 질량%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7 질량%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붕산 수용액은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해도 되고, 그 농도는 0.01 ∼ 10 질량% 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축 연신 처리에 있어서의 연신 온도는, 30 ∼ 90 ℃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 80 ℃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0 ∼ 70 ℃ 의 범위 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1 축 연신 처리에 있어서의 연신 배율 (원료의 PVA 필름으로부터의 전체 연신 배율) 은, 얻어지는 편광 필름의 편광 성능 관점에서 4 ∼ 8 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은, 1 축 연신 처리 전, 1 축 연신 처리시, 1 축 연신 처리 후의 어느 단계여도 된다. 염색욕으로서, 이색성 색소를 함유하는 수용액에, PVA 필름을 침지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상기 수용액 중의 이색성 색소의 농도는 이색성 색소의 종류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0.001 ∼ 2 질량% 의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상기 수용액으로서, 요오드-요오드화칼륨 수용액 [요오드 (I2) 와 요오드화칼륨 (KI) 을 함유하는 수용액] 을 사용할 경우에는, 요오드계 색소를 효율적으로 PVA 필름에 흡착시킬 수 있다. 당해 수용액 중의 요오드 (I2) 의 농도는 0.01 ∼ 1 질량% 가 바람직하고, 요오드화칼륨 (KI) 의 농도는 0.01 ∼ 50 질량% 가 바람직하다. 이색성 색소를 효율적으로 PVA 필름에 흡착시킬 수 있는 점에서, 염색 처리할 때의 이색성 색소를 함유하는 수용액의 온도는 5 ∼ 50 ℃ 가 바람직하다. PVA 필름을 상기 수용액에 침지시키는 시간은 0.1 ∼ 10 분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이색성 색소로는, 예를 들어, 요오드계 색소인 I3 - 이나 I5 -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카운터 카티온으로는, 예를 들어,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을 들 수 있다. 요오드계 색소는, 예를 들어, 요오드 (I2) 와 요오드화칼륨을 접촉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은, 붕산 가교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에 상기 PVA 필름을 침지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처리를 행함으로써,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습식 연신을 행할 때, 필름 중의 PVA 가 물에 용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상기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은, 상기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 후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붕산 가교제로는, 붕산, 붕사 등의 붕산염 등의 붕소 화합물을 1 종 또는 2 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붕산 가교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의 농도는 1 ∼ 15 질량% 가 바람직하고, 2 ∼ 7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붕산 가교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은 요오드화칼륨 등의 보조제를 함유해도 된다. 가교 처리시의 상기 수용액의 온도는, 20 ∼ 50 ℃ 가 바람직하다.
편광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는, PVA 필름에 대한 이색성 색소 (요오드계 색소 등) 의 흡착을 강고하게 하기 위해서, 1 축 연신 처리 후에 고정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처리에 사용하는 고정 처리욕으로는, 바람직하게는 붕산, 붕사 등의 붕산염 등의 붕소 화합물을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붕소 화합물의 농도는, 2 ∼ 15 질량% 가 바람직하고, 고정 처리액의 온도는, 15 ∼ 60 ℃ 가 바람직하다. 또, 필요에 따라서, 고정 처리액 중에 요오드 화합물이나 금속 화합물을 첨가해도 된다.
상기 수세 처리하는 공정에서는, 물, 증류수, 순수 등에 필름을 침지시켜 행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 편광 성능 향상의 관점에서, 세정 처리에 사용하는 수용액은 요오드화칼륨 등의 요오드화물을 보조제로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당해 요오드화물의 농도는 0.5 ∼ 10 질량%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세정 처리에 있어서의 수용액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5 ∼ 50 ℃ 이고, 바람직하게는 10 ∼ 45 ℃,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40 ℃ 이다. 경제적인 관점에서 수용액의 온도가 지나치게 낮은 것은 바람직하고 않고, 수용액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편광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상기 세정 처리 후에 건조 처리, 열처리 등을 행해도 된다. 건조 처리의 조건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30 ∼ 150 ℃ 에서 건조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의 온도에서 건조시킴으로써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편광 필름이 얻어지기 쉽다. 건조 처리 후에 열처리를 행함으로써, 더욱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편광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열처리란, 수분율이 5 % 이하인 건조 처리 후의 편광 필름을 추가로 가열하여, 편광 필름의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처리이다. 열처리의 조건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60 ∼ 150 ℃ 에서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0 ℃ 보다 저온에서 열처리를 행하면, 열처리에 의한 치수 안정화 효과가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고, 150 ℃ 보다 고온에서 열처리를 행하면, 편광 필름에 적변 (赤變) 이 심하게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편광 필름은, 통상적이면, 그 양면 또는 편면에, 광학적으로 투명하며 또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보호 필름을 첩합한 편광판으로서 사용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 필름층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후술하는 경화물층이 직접 적층되고, 상기 편광 필름층의 타방의 면 및 상기 경화물층 상에 보호 필름층을 갖지 않는 형태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인 점에서, 편광판을 박막 경량화할 수 있음과 함께, 저비용인 이점을 갖는다. 상기 보호 필름으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TAC), 디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아세트산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 ;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경화물층)
본 발명에 있어서의 경화물층은, 두께가 10 ㎛ 이하이고, 붕산 투과도가 붕소 원자 환산으로 2.25 g/㎡·day 이하를 만족하는 것이다. 특히, 경화물층의 붕산 투과도가 붕소 원자 환산으로 2.25 g/㎡·day 이하인 것이 중요하고, 초기의 편광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내습열성이 우수한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붕산 투과도가 붕소 원자 환산으로 2.25 g/㎡·day 를 초과할 경우, 편광판의 내습열성을 충분히 개선할 수 없다. 이 관점에서, 붕산 투과도가 붕소 원자 환산으로 1.50 g/㎡·day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g/㎡·day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50 g/㎡·day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20 g/㎡·day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경화물층에 있어서의 붕소 원자 환산의 붕산 투과도의 하한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붕소 원자 환산의 붕산 투과도가 지나치게 낮을 경우, 경화물층의 유연성이 없어지기 쉬운 경향이 있는 점에서, 붕산 투과도가 붕소 원자 환산으로 0.02 g/㎡·day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g/㎡·day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10 g/㎡·day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붕소 원자 환산의 붕산 투과도 (A) 는, 순수로 채워진 투습도 컵에 측정 대상의 경화물층을 고정시키고, 60 ℃ 의 8 질량% 붕산 수용액 중에 침지시켜, 시험 개시 전과 24 시간 후의 투습도 컵 내의 붕소 농도를 ICP 발광 분석법으로 분석하고, 그 농도 증가량으로부터 하기 식 (2) 로 산출된다.
A = {(a24-a0) × 10-6 × M}/S (2)
A : 붕소 원자 환산의 붕산 투과도 [g/㎡·day]
a24 : 24 시간 후의 샘플수 중의 붕소 농도 [ppm]
a0 : 시험 개시 전의 샘플수 중의 붕소 농도 [ppm]
M : 샘플수의 중량 [g]
S : 경화물층과 붕산 수용액이 접촉하고 있는 면적 (투습도 컵의 투과 면적) [㎡]
또한, 단체에 의한 측정이 곤란한 경화물층에 대해서는, 삼아세트산셀룰로오스 (TAC) 필름 등의 기재 필름 상에 경화물층이 형성된 다층 필름을 사용하고, 상기 식 (2) 와 동일하게 하여, 다층 필름의 전체 붕소 원자 환산의 붕산 투과도 (A') 를 측정함으로써, 경화물층에 있어서의 붕소 원자 환산의 붕산 투과도 (q2/l2) 가 하기 식 (3) 으로 산출된다.
1/A' = L/Q = l1/q1 + l2/q2 (3)
A' : 경화물층과 기재 필름의 전체 붕소 원자 환산의 붕산 투과도 [g/㎡·day]
L : 경화물층과 기재 필름의 전체 막두께 [㎛]
Q : 경화물층과 기재 필름의 전체 붕산 투과 계수 [g·㎛/㎡·day]
l1 : 기재 필름의 막두께 [㎛]
q1 : 기재 필름의 붕산 투과 계수 [g·㎛/㎡·day]
l2 : 경화물층의 막두께 [㎛]
q2 : 경화물층의 붕산 투과 계수 [g·㎛/㎡·day]
상기 경화물층으로는, 붕산 투과도가 붕소 원자 환산으로 2.25 g/㎡·day 이하를 만족하는 것이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졸겔법을 응용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수지 조성물 등, 임의의 수지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편광 필름층을 세게 가열했을 경우에 편광 성능이 저하되기 쉽기 때문에, 온화한 조건에서 편광 필름층과 적층할 수 있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아크릴 수지 아크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한 실시양태이다. 여기서, 아크릴 수지 아크릴레이트란, 카르복실기, 글리시딜기, 하이드록시기 등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를 공중합시켜 얻은 아크릴 수지에, 이들 관능기와 반응할 수 있는 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켜 이중 결합 (C = C) 을 도입한 것을 들 수 있다. 아크릴 수지 아크릴레이트의 중량 평균 분자량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62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50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7000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아크릴 수지 아크릴레이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통상적으로 1000000 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경화물층의 두께는 10 ㎛ 이하인 것이 중요하다. 두께가 10 ㎛ 를 초과할 경우, 종래의 보호 필름을 적층한 편광판에 대해서 충분한 박막화를 달성할 수 없다. 이 관점에서, 경화물층의 두께는 8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6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경화물층의 두께의 하한은 반드시 한정되지 않지만, 얇은 경화물층에서 상기 붕소 원자 환산의 붕산 투과도를 달성할 경우, 경화물층의 유연성이 없어지기 쉬운 경향이 있는 점에서, 0.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경화물층의 수증기 투과도가 2500 g/㎡·day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물층의 수증기 투과도가 2500 g/㎡·day 를 초과할 경우, 편광판의 외관 불량 등의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이 관점에서, 상기 경화물층의 수증기 투과도는 2000 g/㎡·day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0 g/㎡·day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경화물층의 수증기 투과도는, 통상적으로 500 g/㎡·day 이상이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경화물층의 수증기 투과도 (B) 는, JIS Z-0208 에 준거해서 구할 수 있다.
또한, 단체에 의한 측정이 곤란한 경화물층에 대해서는, 삼아세트산셀룰로오스 (TAC) 필름 등의 기재 필름 상에 경화물층이 형성된 다층 필름을 사용하여 JIS Z-0208 에 준거하여 상기 다층 필름의 전체 수증기 투과도 (B') 를 측정함으로써, 경화물층의 수증기 투과도 (p2/l2) 가 하기 식 (4) 에서 산출된다.
1/B' = L/P = l1/p1 + l2/p2 (4)
B' : 경화물층과 기재 필름의 전체 수증기 투과도 [g/㎡·day]
L : 경화물층과 기재 필름의 전체 막두께 [㎛]
P : 경화물층과 기재 필름의 전체 수증기 투과 계수 [g·㎛/㎡·day]
l1 : 기재 필름의 막두께 [㎛]
p1 : 기재 필름의 수증기 투과 계수 [g·㎛/㎡·day]
l2 : 경화물층의 막두께 [㎛]
p2 : 경화물층의 수증기 투과 계수 [g·㎛/㎡·day]
(편광판)
본 발명의 편광판은, 상기 편광 필름층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상기 경화물층이 직접 인접된 것이다. 상기 경화물층 상에 보호 필름층을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양태이고, 상기 경화물층이 적층된 면과 반대면에 있어서의 상기 편광 필름층 상에 보호 필름층을 갖지 않는 것도 바람직한 실시양태이다. 본 발명의 편광판의 층 구성으로는, 편광 필름층/경화물층의 2 층 구조여도 되지만, 경화물층/편광 필름층/경화물층의 3 층 구조로 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내구성이 얻어짐과 함께, 편광 필름의 컬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3 층 구조로 하는 경우, 편광 필름의 일방의 면에 적층하는 경화물층과 편광 필름 타방의 면에 적층되는 경화물층이, 각각 다른 수지 조성물이어도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경화물층은, 상기한 붕소 원자 환산의 붕산 투과도와 두께를 만족하는 단독의 층이어도 되지만, 2 종류 이상의 경화물층을 적층한 다층 구조를 갖는 조성물층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편광 필름층과 경화물층 사이의 접착력은 0.06 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력이 0.06 N/㎜ 미만일 경우, 편광판의 가공 중에 층간 박리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이 관점에서, 접착력은 0.08 N/㎜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2 N/㎜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편광판 전체의 두께로는, 보다 얇은 편광 필름층일수록 내습열성이 저하되기 쉽고, 그와 같은 편광 필름층에 있어서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얻어지는 점에서, 4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5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5 ㎛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편광판 전체의 두께가 얇으면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2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전광선 투과율이 40 ∼ 45 % 인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 성능의 관점에서, 전광선 투과율은 41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2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편광도의 관점에서, 전광선 투과율은 44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전광선 투과율은, 실시예에서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도가 99.9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 성능의 관점에서, 편광도는 99.92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9.95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편광도는, 실시예에서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60 ℃, 90 %RH 의 조건하에서 48 시간의 내습열성 시험을 행한 후의 전광선 투과율의 변화량이 1.5 % 이하이고, 편광도가 99.9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내습열성 시험 후의 편광판의 전광선 투과율의 변화량이 일정 이하이며, 또한 편광도가 일정 이상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편광판은, 박막이어도 내습열성이 우수하여, 초기의 편광 성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전광선 투과율의 변화량은, 1.3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1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광선 투과율의 변화량은 통상적으로 0.1 % 이상이다. 또, 상기 편광도는, 99.92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9.95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99.98 %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예들에 의해서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아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채용된, 편광 필름층의 붕산 함유량, 경화물층의 붕산 투과도, 편광판의 전광선 투과율과 편광도, 내습열성 시험의 각 측정 내지 평가 방법을 아래에 나타낸다.
[편광 필름층의 붕산 함유량]
편광 필름의 질량 Z (g) 를 측정하고, 편광 필름이 0.0005 질량% 가 되도록 증류수 20 ㎖ 에 용해시켰다. 편광 필름을 용해시킨 수용액을 측정 샘플로 하고, 그 질량 Y (g) 를 측정하였다. 그 후, 시마즈 제작소 제조 멀티형 ICP 발광 분석 장치 (ICPE-9000) 를 사용하여 측정 샘플의 붕소 농도 X (ppm) 를 측정하였다. 그 후, 하기 식 (1) 에 값을 대입하여 산출한 값을 편광 필름층의 붕산의 질량% 로 하였다.
편광 필름층의 붕산 함유량 (질량%)
[(X × 10-6 × Y)/Z] × 100 (1)
X : 측정 샘플의 붕소 농도 [ppm]
Y : 편광 필름이 용해된 측정 샘플의 질량 [g]
Z : 편광 필름의 질량 [g]
[경화물층의 붕소 원자 환산의 붕산 투과도]
본 발명에 있어서, 경화물층의 붕소 원자 환산의 붕산 투과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측정하는 경화물층을, 미리 순수를 넣어 둔 투습도 컵 (조임식, JIS Z-0208 준거) 에 고정시키고, 60 ℃ 의 8 질량% 붕산 수용액 중에 침지시켜, 시험 개시 전과 24 시간 후의 컵 내의 샘플수의 붕소 농도를 ICP 발광 분석법 (시마즈 제작소 시마즈 멀티형 ICP 발광 분석 장치 ICPE-9000) 으로 분석하고, 그 농도 증가량으로부터 하기 식 (2) 로 붕소 원자 환산의 붕산 투과도 (A) 를 산출하였다 (도 1 참조).
A = {(a24 - a0) × 10-6 × M}/S (2)
A : 붕소 원자 환산의 붕산 투과도 [g/㎡·day]
a24 : 24 시간 후의 샘플수 중의 붕소 농도 [ppm]
a0 : 시험 개시 전의 샘플수 중의 붕소 농도 [ppm]
M : 샘플수의 중량 [g]
S : 경화물층과 붕산 수용액이 접촉하는 면적 (투습도 컵의 투과 면적) [㎡]
또한, 단체에 의한 측정이 곤란한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층에 대해서는, 붕소 원자 환산의 붕산 투과도가 높은 기재 필름 (예를 들어, 삼아세트산셀룰로오스 (TAC) 필름 등) 에 경화물층을 형성시킨 다층 필름을 사용하여, 경화물층과 기재 필름의 전체 붕소 원자 환산의 붕산 투과도 (A') 를 측정하고, 개개의 경화물층의 붕소 원자 환산의 붕산 투과도 (q2/l2) 를, 하기 식 (3) 에 의해서 계산으로 구하였다.
1/A' = L/Q = l1/q1 + l2/q2 (3)
A' : 경화물층과 기재 필름의 전체 붕소 원자 환산의 붕산 투과도 [g/㎡·day]
L : 경화물층과 기재 필름의 전체 막두께 [㎛]
Q : 경화물층과 기재 필름의 전체 붕산 투과 계수 [g·㎛/㎡·day]
l1 : 기재 필름의 막두께 [㎛]
q1 : 기재 필름의 붕산 투과 계수 [g·㎛/㎡·day]
l2 : 경화물층의 막두께 [㎛]
q2 : 경화물층의 붕산 투과 계수 [g·㎛/㎡·day]
[경화물층의 수증기 투과도]
본 발명에 있어서, 경화물층의 수증기 투과도의 측정은, JIS Z-0208 에 준거하여 행하였다. 즉, 측정하는 경화물층을, 염화칼슘을 넣은 투습도 컵 (조임식) 에 고정시키고, 40 ℃ 90%RH 의 환경하에서 24 시간마다 중량 증가량을 측정하여, 수증기 투과도 (B) 를 산출하였다.
또한, 단체에 의한 측정이 곤란한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층에 대해서는, 수증기 투과도가 높은 기재 필름 (예를 들어, 삼아세트산셀룰로오스 (TAC) 필름 등) 에 경화물층을 형성시킨 다층 필름을 사용하여, 경화물층과 기재 필름의 전체 수증기 투과도 (B') 를 측정하고, 개개의 경화물층의 수증기 투과도 (p2/l2) 를, 하기 식 (4) 에 의해서 계산으로 구하였다.
1/B' = L/P = l1/p1 + l2/p2 (4)
B' : 경화물층과 기재 필름의 전체 수증기 투과도 [g/㎡·day]
L : 경화물층과 기재 필름의 전체 막두께 [㎛]
P : 경화물층과 기재 필름의 전체 수증기 투과 계수 [g·㎛/㎡·day]
l1 : 기재 필름의 막두께 [㎛]
p1 : 기재 필름의 수증기 투과 계수 [g·㎛/㎡·day]
l2 : 경화물층의 막두께 [㎛]
p2 : 경화물층의 수증기 투과 계수 [g·㎛/㎡·day]
[편광판의 전광선 투과율 및 편광도]
이하의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서 얻어진 편광판의 폭 방향 (TD) 의 중앙부로부터, 편광판의 길이 방향 (MD) 으로 2 ㎝, 폭 방향 (TD) 으로 3 ㎝ 의 장방형의 샘플을 TD 방향으로 동일하게 MD 방향으로 근방의 2 장을 채취하고, 적분구 장착 분광 광도계 (니혼 분광 주식회사 제조「V7100」) 를 사용하여, JIS Z 8722 (물체색 측정 방법) 에 준거하여, C 광원, 2°시야의 가시광 영역의 시감도 보정을 행하고, 당해 샘플에 대해서, 길이 방향에 대해서 45°기울인 경우의 광의 투과율과 -45°기울인 경우의 광의 투과율을 측정하여, 이 평균치 (%) 들을 그 편광판의 전광선 투과율로 하였다. 또, 당해 샘플에 대해서 패럴렐 니콜 상태에서의 광의 투과율
Figure 112019020577511-pct00001
(%), 크로스 니콜 상태에서의 광의 투과율
Figure 112019020577511-pct00002
(%) 을 상기와 동일하게 측정하고, 하기 식 (5) 에 의해서 편광도를 구하였다.
편광도 =
Figure 112019020577511-pct00003
(5)
[편광판의 내습열성]
편광판을 금속 프레임에 고정시켜 60 ℃, 90 %RH 의 항온 항습기 (야마토 과학 주식회사 제조 HUMIDIC CHAMBER IG400) 에 넣고, 48 시간의 내습열성 시험을 행하고, 시험 후에, 상기 방법에 의해서 전광선 투과율, 편광도를 측정하여, 이것을 편광판의 내습열성의 지표로 하였다.
[실시예 1]
(편광 필름의 제작)
PVA (아세트산비닐과 에틸렌의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평균 중합도 2,400, 비누화도 99.4 몰%, 에틸렌 단위의 함유율 2.5 몰%) 100 질량부, 가소제로서 글리세린 10 질량부, 계면 활성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0.1 질량부 및 물로 이루어지는 제막 원액을 사용하여 캐스트 제막함으로써 얻어진, 두께 30 ㎛ 의 PVA 필름에 대해서, 팽윤 공정, 염색 공정, 가교 공정, 연신 공정, 고정 처리 공정 및 건조 공정을 행함으로써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즉, 상기한 PVA 필름을, 온도 30 ℃ 의 수중에 1 분간 침지시키고 있는 동안, 원래 길이의 2 배까지 길이 방향 (MD) 으로 1 축 연신 (1 단째 연신) 한 후, 사용량으로서 요오드를 0.03 질량% 및 요오드화칼륨을 0.7 질량% 의 농도로 물에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온도 32 ℃ 의 염색욕에 2 분간 침지시키고 있는 동안, 원래 길이의 2.3 배까지 길이 방향 (MD) 으로 1 축 연신 (2 단째 연신) 하고, 이어서 붕산을 2.6 질량% 의 농도로 함유하는 온도 32 ℃ 의 가교욕에 2 분간 침지시키고 있는 동안, 원래 길이의 2.6 배까지 길이 방향 (MD) 으로 1 축 연신 (3 단째 연신) 하고, 추가로 붕산을 2.8 질량% 및 요오드화칼륨을 5 질량% 의 농도로 함유하는 온도 57 ℃ 의 붕산/요오드화칼륨 수용액 중에 침지시키고 있는 동안, 원래 길이의 6 배까지 길이 방향 (MD) 으로 1 축 연신 (4 단째 연신) 하고, 그 후, 붕산을 1.5 질량% 및 요오드화칼륨을 5 질량% 의 농도로 함유하는 온도 22 ℃ 의 요오드화칼륨 수용액 중에 5 초간 침지시킴으로써 필름을 세정하고, 계속해서 40 ℃ 의 건조기에서 240 초간 건조시킴으로써, 두께 12 ㎛ 의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편광판의 제조)
수지 조성물로서, 히타치 화성 (주) 제조의 아크릴 수지 아크릴레이트 제품인 제품명「히타로이드 7975 (중량 평균 분자량 : 80000)」20 g 과,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의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인 제품명「이르카규어 184」0.25 g 을 샘플병에 칭량하여 넣고, 혼합한 후, No.13 의 바 코터를 사용하여, 두께 12 ㎛ 의 편광 필름층의 표면에 도공하였다. 도공된 편광 필름층을 70 ℃ 에서 1 분간 건조시킨 후, 블랙 라이트를 사용하여 적산 광량이 400 mJ/㎠ 가 되도록 조사하여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켰다. 또한, 편광 필름층의 반대면에 동일하게 도공하고, 편면의 경화물층의 두께가 5.9 ㎛, 전체로 두께 24 ㎛ 의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편광판을 사용하여, 상기 방법에 의해서 전광선 투과율, 편광도를 측정하고, 내습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또, 삼아세트산셀룰로오스 (TAC) 필름 상의 편면에 도공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경화물층이 적층된 TAC 필름을 제조하고, 경화물층의 수증기 투과도 및 붕산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DIC (주) 제조의 아크릴산에스테르 폴리머와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혼합물 제품인 제품명「유니디크 V-684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편광판을 사용하여 전광선 투과율, 편광도를 측정하고 내습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또, 삼아세트산셀룰로오스 (TAC) 필름 상의 편면에 도공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경화물층이 적층된 TAC 필름을 제조하고, 경화물층의 수증기 투과도, 붕산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히타치 화성 (주) 제조의 아크릴 수지 아크릴레이트 제품인 제품명「히타로이드 7988 (중량 평균 분자량 : 60000)」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편광판을 사용하여 전광선 투과율, 편광도를 측정하고, 내습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또, 삼아세트산셀룰로오스 (TAC) 필름 상의 편면에 도공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경화물층이 적층된 TAC 필름을 제조하고, 경화물층의 수증기 투과도, 붕산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히타치 화성 (주) 제조의 아크릴 수지 아크릴레이트 제품인 제품명「히타로이드 7975D (중량 평균 분자량 : 15000)」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편광판을 사용하여 전광선 투과율, 편광도를 측정하고, 내습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또, 삼아세트산셀룰로오스 (TAC) 필름 상의 편면에 도공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경화물층이 적층된 TAC 필름을 제조하고, 경화물층의 수증기 투과도, 붕산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DIC (주) 제조의 아크릴산에스테르 폴리머 제품인 제품명「유니디크 V-6840」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편광판을 사용하여 전광선 투과율, 편광도를 측정하고, 내습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또, 삼아세트산셀룰로오스 (TAC) 필름 상의 편면에 도공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경화물층이 적층된 TAC 필름을 제조하고, 경화물층의 수증기 투과도, 붕산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9020577511-pct00004
1 : 경화물층
2 : TAC 필름
3 : 투습도 컵
4 : 순수
5 : 밀폐 용기
6 : 60 ℃ 의 8 질량% 붕산 수용액
7 : 샘플수
8 : 채취기

Claims (11)

  1. 편광 필름층과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경화물층이 적층된 편광판으로서,
    상기 경화물층의 두께가 10 ㎛ 이하이고, 붕산 투과도가 붕소 원자 환산으로 2.25 g/㎡·day 이하이고,
    상기 경화물층의 수증기 투과도가 900 g/㎡·day 이하이고,
    상기 편광 필름층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상기 경화물층이 직접 인접되며,
    상기 편광판 전체의 두께가 40 ㎛ 이하인, 편광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물층 상에 보호 필름층을 갖지 않는, 편광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물층이 적층된 면과 반대면에 있어서의 상기 편광 필름층 상에 보호 필름층을 갖지 않는, 편광판.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이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인, 편광판.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층에 있어서의 붕산 함유량이, 붕소 원자 환산으로 편광 필름층에 대해서 1 ∼ 8 질량% 인, 편광판.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층의 두께가 20 ㎛ 이하인, 편광판.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층 구성이, 편광 필름층/상기 경화물층의 2 층 구조, 또는 상기 경화물층/편광 필름층/상기 경화물층의 3 층 구조인, 편광판.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광선 투과율이 40 ∼ 45 % 이고, 편광도가 99.9 % 이상인, 편광판.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60 ℃, 90 %RH 의 조건하에서 48 시간의 내습열성 시험을 행한 후의 전광선 투과율의 변화량이 1.5 % 이하이고, 편광도가 99.9 % 이상인, 편광판.
KR1020197005912A 2016-08-22 2017-08-21 편광판 KR1022900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62130 2016-08-22
JP2016162130 2016-08-22
PCT/JP2017/029714 WO2018038028A1 (ja) 2016-08-22 2017-08-21 偏光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603A KR20190033603A (ko) 2019-03-29
KR102290005B1 true KR102290005B1 (ko) 2021-08-13

Family

ID=61246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5912A KR102290005B1 (ko) 2016-08-22 2017-08-21 편광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18038028A1 (ko)
KR (1) KR102290005B1 (ko)
CN (1) CN109642977B (ko)
TW (1) TWI712496B (ko)
WO (1) WO20180380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30706B (zh) * 2017-09-14 2024-02-01 日商可樂麗股份有限公司 偏光薄膜保護用積層體及其製造方法
WO2020066125A1 (ja) * 2018-09-25 2020-04-02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偏光板を含む画像表示装置
JP2020126226A (ja) * 2019-02-04 2020-08-20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表示装置
CN116490565A (zh) * 2020-10-28 2023-07-25 株式会社可乐丽 聚乙烯醇膜和使用其的偏振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9931A (ja) 2003-03-18 2004-10-07 Fuji Photo Film Co Ltd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3174851A (ja) 2011-04-21 2013-09-05 Fujifilm Corp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8889B2 (ja) 1997-07-11 2005-08-03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KR100929993B1 (ko) * 2003-02-04 2009-12-07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및 그의 제조 방법
JP4306269B2 (ja) 2003-02-12 2009-07-29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その製造方法、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JP4740184B2 (ja) * 2006-05-16 2011-08-03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5463914B2 (ja) * 2008-01-30 2014-04-0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アクリル樹脂含有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182468B1 (ko) * 2009-12-15 2012-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JP5546933B2 (ja) 2010-04-07 2014-07-09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5572589B2 (ja) * 2011-05-26 2014-08-1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656454B1 (ko) * 2013-06-21 2016-09-09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자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WO2016052549A1 (ja) * 2014-09-30 2016-04-07 日東電工株式会社 片保護偏光フィルム、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連続製造方法
JP6138755B2 (ja) * 2014-12-24 2017-05-31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9931A (ja) 2003-03-18 2004-10-07 Fuji Photo Film Co Ltd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3174851A (ja) 2011-04-21 2013-09-05 Fujifilm Corp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12496B (zh) 2020-12-11
JPWO2018038028A1 (ja) 2019-06-20
TW201811559A (zh) 2018-04-01
KR20190033603A (ko) 2019-03-29
CN109642977A (zh) 2019-04-16
CN109642977B (zh) 2021-09-24
WO2018038028A1 (ja) 2018-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0005B1 (ko) 편광판
KR101607950B1 (ko) 요오드계 편광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2327242B1 (ko) 편광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6953496B2 (ja) 偏光子の製造方法
KR102600802B1 (ko) 편광자, 편광 필름, 적층 편광 필름, 화상 표시 패널,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060089601A (ko) 편광 필름과 그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학 부품
JP2011257756A (ja) 偏光子の製造方法
KR20210089631A (ko) 편광막, 편광 필름, 적층 편광 필름, 화상 표시 패널,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210089632A (ko) 편광막, 편광 필름, 적층 편광 필름, 화상 표시 패널,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210139234A (ko)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편광 필름, 및 편광판
JP2019015926A (ja) 偏光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26194B1 (ko)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KR20150001276A (ko) 편광자의 제조방법 및 편광자
TW201617652A (zh) 偏光薄膜
TW201423174A (zh) 偏光板及包含該偏光板之液晶顯示裝置
KR20190119126A (ko) 편광 필름, 편광판, 및 그들의 제조 방법
KR20190119127A (ko) 편광 필름, 편광판, 및 그들의 제조 방법
KR20220045928A (ko) 편광 필름, 적층 편광 필름, 화상 표시 패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179612B1 (ko) 편광 필름
JP2023053968A (ja) 偏光板、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偏光フィルム
JP2012008234A (ja) 偏光子および偏光板
KR20220149535A (ko) 편광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2411225B1 (ko) 편광 필름
KR20200110373A (ko) 편광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6735541B2 (ja) 偏光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