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187B1 -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187B1
KR102287187B1 KR1020180173790A KR20180173790A KR102287187B1 KR 102287187 B1 KR102287187 B1 KR 102287187B1 KR 1020180173790 A KR1020180173790 A KR 1020180173790A KR 20180173790 A KR20180173790 A KR 20180173790A KR 102287187 B1 KR102287187 B1 KR 102287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laver
intestinal
present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2825A (ko
Inventor
정우혁
오태환
천상호
임영태
김은주
정연종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전라남도
완도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전라남도, 완도군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180173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187B1/ko
Publication of KR20200082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23V2200/3202Prebiotics, ingredients fermented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by beneficial microflor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김 추출물은 장기능 개선 효과가 우수하여 식품 첨가물, 건강기능식품 또는 가축 사료 첨가물 등에 활용될 수 있어, 김의 활용도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Description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및 이의 용도{Prebiotics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Pyropia yezoensis as effective component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2000년 초부터 메타게노믹스(Metagenomics) 분야의 연구기술이 발전되면서 사람의 장내 세균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장내 미생물 분포가 사람의 비만, 질병, 면역 및 심지어 성격까지 관여한다는 연구결과들이 계속 소개되고 있다. 메타게놈(metagenome)을 분석하는 연구의 발전은 특정 환경에서 기존의 배양 가능한 미생물만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배양이 어려운 절대 혐기성균까지 DNA 수준에서 분포를 분석하여 미생물들의 상호작용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식품, 의학 및 의약 산업 등에 적용하려는 다양한 시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장내 미생물의 분포를 분석하고 개인의 신체적인 특성에 따라 적합한 프로바이오틱스와 프로바이오틱스 촉진물질인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 등을 처방하여 장내 환경을 개선시켜 궁극적으로 질병 예방 및 치료 등을 기대하는 맞춤형 기능성 유용 소재개발 연구에 활용되고 있으며, 동물자원 산업에서도 최근 메타게노믹스 연구기술을 활용한 가축의 장내 미생물 분석에 대한 연구들이 시작되고 있다.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는 식이섬유의 일종으로 소화, 흡수되지 않고 장 속을 이동하면서 장 운동을 촉진하는 물질이다. 특히 유산균의 먹이 역할을 해서 유산균의 장 속 증식에 도움이 되는데 올리고당류, 리눌린, 락툴로스 등이 대표적인 프리바이오틱스다. 프리바이오틱스의 섭취는 염증 및 독소를 발생시키는 세균의 장 이탈, 유해균의 과다증식의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프리바이오틱스 섭취로 장내 유산균의 증식이 활발해지면 장 속 pH가 낮아지게 된다. 유익균이 생성하는 유기산이 장을 산성화 하기 때문이다. pH 6 이하로 낮아지면 암모니아 생성과 흡수가 감소하면서 암모니아를 발생시키는 유해균이 적어지기 때문이다. 특히 유해균 중에는 비만을 유발하는 퍼미큐티스(Firmicutes) 등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체중 감량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체내 암모니아 수치가 높다는 건 그만큼 장 속에서 생성되는 가스, 암모니아가 많고, 동시에 유해균도 많다는 뜻이다. 일례로 변비가 심할수록 암모니아 수치도 높은 경향을 보이는데 프리바이오틱스 섭취로 유해균이 억제되는 비결 또한 산도(pH)에 있다. 보통 산도가 6 이하인 비피더스균(pH4.5)은 장 속 유해균의 사멸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된다.
김은 해조류 중 홍조식물문(rhodophyta), 홍조식물강(rhodophyceae), 보라털목(bangiales), 보라털목과(bangiacea)에 속하는데, 세계적으로 약 140종, 우리나라에는 16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 주요 서식종으로는 방사무늬김(Pyropia yezoensis), 잇바디돌김(P. dentata), 모무늬돌김(P. seriata) 및 참김(P. tenera)이 있다. 이 중, 방사무늬김은 맛과 식감이 부드럽고, 광택이 좋아 김 제품화에 적합해 전세계적으로 소비량이 가장 많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853687호에는 '방사무늬김 추출물의 스테롤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및 방사무늬김 추출물의 스테롤 분획물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805176호에는 '김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대해서는 기재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방사무늬김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다당류를 활용하여 프리바이오틱스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방사무늬김의 열수 추출물을 실험동물에 급이시켜 장내미생물 생태 변화를 모니터링한 결과, 방사무늬김의 열수 추출물을 급이시킨 실험동물의 경우 대표적인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또는 비피도박테리움 속의 균이 비급이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며, 단쇄지방산 생성균을 다수 포함하고 있는 클로스트리디아세애 과(Clostridiaceae), 에리시페로트리차세애 과(Erysipelotrichaceae)의 균수가 비급이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프리바이오틱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리바이오틱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축 사료첨가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리바이오틱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김 추출물은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 소재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능 개선 효과가 우수하여 식품 첨가물, 건강기능식품 또는 가축 사료 첨가물 등에 활용될 수 있어, 김의 활용도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능성 평가 및 양성대조군 비교평가에 관한 동물실험 계획을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실험 모식도이다.
도 3은 김 열수 추출물에 의한 장 건강 증진효과 조사를 위한 동물실험 개시일에 Heatmap을 이용하여 나타낸 모든 개체군의 장내미생물 상태이다.
도 4는 NMDS(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를 이용한 장내미생물 생태 비교 분석 결과로, (A)는 샘플투여 14일 이후, (B)는 샘플투여 28일 이후를 나타낸다. BLK: 정상대조군, WTD: 음성대조군, FOS: 양성대조군, EPT100: 100 mg/kg b.w, EPT300: 300 mg/kg b.w, EPT500: 500 mg/kg b.w. 화살표: NMDS 상에서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미생물을 나타냄(p<0.05).
도 5는 동물실험 14일 이후, 샘플처리에 따라 속(Genus) 수준에서 정상대조군인 BLK와 장내미생물 생태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차이를 보이는(p<0.05) 미생물을 나타낸 것이다. (A): BLK-WTD, (B): BLK-FOS, (C): BLK-ETP100, (D): BLK-ETP300, (E): BLK-ETP500. BLK: 정상대조군, WTD: 음성대조군, FOS: 양성대조군, EPT100: 100 mg/kg b.w, EPT300: 300 mg/kg b.w, EPT500: 500 mg/kg b.w.
도 6은 동물실험 28일 이후, 샘플처리에 따라 속(Genus) 수준에서 정상대조군인 BLK와 장내미생물 생태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차이를 보이는(p<0.05) 미생물을 나타낸 것이다. (A): BLK-WTD, (B): BLK-FOS, (C): BLK-ETP100, (D): BLK-ETP300, (E): BLK-ETP500. BLK: 정상대조군, WTD: 음성대조군, FOS: 양성대조군, EPT100: 100 mg/kg b.w, EPT300: 300 mg/kg b.w, EPT500: 500 mg/kg b.w.
도 7은 김 열수 추출물에 의한 면역시스템 관련 질병 감소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A): BLK-EPT100, (B): BLK-EPT300, (C): BLK-EPT500. BLK: 정상대조군, WTD: 음성대조군, FOS: 양성대조군, EPT100: 100 mg/kg b.w, EPT300: 300 mg/kg b.w, EPT500: 500 mg/kg b.w.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프리바이오틱스를 제공한다.
용어 '프리바이오틱스'는 동물에 의한 가수분해 및 흡수가 최소한으로 이루어지고, 장내 미생물 중 유익균의 우점을 유도하는 단쇄 탄수화물, 즉 올리고당으로 정의할 수 있다. 대부분의 프리바이오틱스는 장내 유익균이 선택적으로 기질로서 이용할 수 있고, 대표적으로 FOS(fructooligosaccharide), TOS(transgalactooligosaccharide), OF(oligofructose) 또는 이눌린 등이 있다. 유익 세균으로도 불리는 프로바이오틱스(prebiotics)는 정상 숙주 위장 마이크로플로라(microflora)를 유지하고 또 병원성 세균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는 것과 같이 숙주에 대하여 유익한 효과를 제공하는데, 이러한 프로바이오틱스의 성장 또는 유지를 지지하는 것이 바로 프리바이오틱스이다.
본 발명의 프리바이오틱스에 있어서, 상기 김 추출물은 방사무늬김(Pyropia yezoensis)의 열수 추출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김 추출물은 동물 모델에 식이시킬 경우 프로바이오틱스 기능이 있는 장내 유용미생물의 증가를 유도할 수 있어, 프리바이오틱스로 기능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김 추출물은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 코프로바실러스 속(Coprobacillus), 로세부리아 속(Roseburia), 코프로코커스 속(Coprococcus), 알로바쿨룸 속(Allobaculum), 펩토코카세애 과(Peptococcaceae), 크리스텐세넬라세애 과(Christensenellaceae), 클로스트리디아세애 과(Clostridiaceae) 및 에리시페로트리차세애 과(Erysipelotrichacea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장내미생물 균총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리바이오틱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축 사료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가축 사료첨가제는 원형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추가적으로 가축에 허용되는 곡류 및 그 부산물 등의 공지된 담체, 안정제 등을 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구연산, 후말산, 아디픽산, 젖산, 사과산 등의 유기산이나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산성 피로인산염, 폴리인산염(중합인산염) 등의 인산염이나, 폴리페놀, 카테킨, 알파-토코페롤, 로즈마리 추출물, 비타민 C, 녹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키토산, 탄닌산, 피틴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 항생물질, 항균제 및 기타의 첨가제 등을 가할 수도 있으며, 그 형상으로서는 분체, 과립, 펠릿, 현탁액 등의 적당한 상태일 수 있으며, 상기 사료첨가제를 공급하는 경우는 가축 등에 대하여 단독으로 또는 사료에 혼합하여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리바이오틱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바이오틱스는 김 추출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방사무늬김(P. yezoensis)의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장질환은 기능성 소화불량, 궤양성 소화불량, 비궤양성 소화불량, 위-식도 역류질환, 역류성 식도염, 위무력증, 거짓장폐색, 위운동 마비, 변비, 과민성 대장 증후군, 과민성 대장염, 당뇨병성 위장 운동장애, 화학요법으로 인한 위장 운동장애, 소화관 운동장애로 인한 장폐쇄증, 근긴장성 이영양증으로 인한 위장관 운동장애 및 비심인성 흉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은 산화 예방을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캔디, 초콜릿,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김 추출물 또는 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프리바이오틱스는 장내 유익균 증식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김 추출물 또는 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프리바이오틱스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김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및 방법
1. 실험 디자인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완도해양바이오연구센터에서 동물실험 대행업체에 의뢰하여 동물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6주령의 수컷 Spraugue-Dawley 래트 60마리를 정상대조군 (Blank, BLK, n=10), 음성대조군 (Water drink, WTD, n=10), 양성대조군 (Fructooligosaccharides, FOS, n=10), 김 열수추출물 100 mg/kg b.w (Extract of Pyropia yezoensis, EPT100, n=10), 김 열수추출물 300 mg/kg b.w (Extract of Pyropia tenera, EPT300, n=10), 김 열수추출물 500 mg/kg b.w (Extract of Pyropia tenera, EPT500, n=10)을 포함한 총 6그룹으로 나눠 28일간 샘플들을 경구투여 방식으로 투여하며 장내미생물생태 변화 모니터링을 위한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김 유래 다당류를 추출하기 위하여 추출방법은 열수추출을 선택하였으며, 건조 김 15g에 증류수 300㎖을 가하고, 100℃에서 3시간 동안 반복해서 3회에 걸쳐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필터 페이퍼(25㎛)로 여과한 후 회전농축기를 이용하여 50℃, 50psi 조건으로 농축한 뒤, 동결건조기를 건조 후 고형물의 수율을 측정하였다. 3회 반복 추출한 추출물은 고형분 함량이 6.48g으로 수율은 43.2%로 확인되었다.
2. 분변채취 및 DNA 추출
본 동물실험을 수행하는 동안 장내미생물생태 분석을 위해 개체별로 매주 분변을 채취하여 DNA 추출 이전까지 -20℃에 보관하였고, 실험종료 이후 동물실험 대행업체로부터 분변샘플을 받아 본 발명에 사용하였다. DNA는 분변으로부터 추출하기 위해 QIAamp Powerfecal DNA 키트(QIAGEN, USA)를 이용하였으며,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DNA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DNA는 일루미나(Illumina)사의 MiSeq 플랫폼을 이용하여 장내미생물생태를 분석하기 위한 라이브러리 제작 이전 까지 -20℃에 보관하였다.
3. MiSeq 준비
일루미나사(USA)에서 제공하고 있는 '16S Metagenomic Sequencing Library Preparation' 가이드라인에 따라 MiSeq을 이용한 미생물 생태분석을 위한 준비를 실시하였다. 16S rRNA 내에 존재하는 9개의 Variable regions 중 V4를 KAPA HiFi HotStart ReadyMix PCR 키트(Kapabiosystems, USA)를 사용하여 PCR을 통해 증폭하고, 그 PCR 산물을 HiAccuBead (Accugene, Korea)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정제된 PCR 산물은 또 한 번의 PCR를 이용하여 MiSeq 분석을 위한 Barcode sequence를 붙여주었다. 이전에 PCR 산물 정제를 위한 방법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프라이머를 제거하고, 각 샘플의 최종 PCR 산물의 농도를 Qubit assay (Invitrogen, USA)로 측정하였다. 모든 샘플들의 최종 PCR 산물이 동일한 농도가 들어가도록 에펜도르프 튜브에 모아, 시퀀싱을 의뢰하였다(Macrogen, Korea).
4. MiSeq 결과 분석
MiSeq으로부터 얻은 시퀀스데이터는 본 연구실에서 보유하고 있는 서버 (Dell PowerEdge R920, Memory 1.5TB, Hard 900Gb)에서 리눅스(Linux) 기반으로 수행였으며, Mothur라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 DNA 추출부터 미생물 유전체분석은 도 2에 개시된 것과 같이 수행되며, 도 2에 나타낸 분석과정을 통해 얻어지는 결과 데이터들은 R이라는 소프트웨어(https://www.r-project.org/)와 STEMP(http://kiwi.cs.dal.ca/Software/STAMP)를 통해 통계분석 및 시각화되어 Heatmap, Biplot 등으로 미생물생태에 대한 비교분석결과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샘플정보 및 시퀀스 수
본 발명에서 김 유래 다당류 추출물에 의한 장내미생물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험동물 중 하나인 래트를 이용하여 동물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경구투여 방법으로 각 샘플들을 투여하여 매주 채취한 분변 중 실험시작일, 실험시작 14일 및 28일 후 샘플로부터 DNA를 추출하여 미생물의 16S rRNA 유전자 중 V4를 PCR을 통해 증폭하였다(표 1). 이 PCR 산물은 일루미나사의 플랫폼 중 하나인 MiSeq을 이용하여 염기서열분석을 수행하였으며, 150개 분변샘플로부터 총 9,754,223 reads의 시퀀스를 얻었고, Mothur SOP에 따라 에러 시퀀스를 제거하였는데 약 35.8%의 시퀀스가 제거되어, 총 6,263,648 reads의 시퀀스를 이용하여 장내미생물 생태분석에 사용하였다(표 2 내지 표 5). 각 샘플 당 시퀀스 수를 최저 시퀀스 수인 18,998 reads로 표준화를 시켜 Mothur(https://www.mothur.org/wiki/MiSeq_SOP)를 이용하여 시퀀스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였고, 이로부터 얻어지는 결과는 R 소프트웨어, STEMP를 통해 통계분석을 수행하여 표 또는 그림으로 시각화하였다.
Figure 112018132363034-pat00001
Figure 112018132363034-pat00002
Figure 112018132363034-pat00003
Figure 112018132363034-pat00004
Figure 112018132363034-pat00005
실시예 2. 장내미생물 생태변화 분석
샘플투여 직전에 채취한 분변으로부터 추출한 DNA를 이용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기에 앞서 모든 개체군의 장내미생물생태가 유사한지 확인하기 위해 Heatmap을 통해 분석하였다(도 3). 각 그룹에 속해 있는 개체군들이 특정한 형태의 장내미생물생태를 이루며 그룹화 되어있지 않고, 임의적으로 섞여있는 것이 확인되어 김 열수 추출물에 의한 장내미생물생태 변화 조사를 수행하는데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샘플 간 장내미생물생태 차이를 2차원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NMDS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를 통해 샘플투여 후 14일 및 28일째의 모든 그룹의 장내미생물생태를 분석하였다(도 4). AMOVA (Analysis of molecular variance)를 이용한 장내미생물생태 비교분석에서는 샘플투여 14일 이후에 모든 그룹 간 장내미생물생태가 유의적으로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으나(p<0.05) (표 6), NMDS 결과에서는 정상대조군인 BLK 그룹만 확연하게 다른 장내미생물생태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다른 그룹 간의 장내미생물생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4A). 이를 통하여 14일 동안 샘플을 투여한 각 그룹 간 장내미생물생태가 크게 차이가 없었지만, 샘플 투여에 의해서 장내미생물생태가 변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샘플투여 28일 이후 AMOVA 결과에서 모든 그룹 간 장내미생물생태가 유의적으로 다르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나(p<0.01) (표 3), NMDS 결과에서는 정상대조군인 BLK과 김 열수 추출물을 투여한 그룹 중 EPT300이 유사한 장내미생물생태를 나타내고, 김 열수 추출물을 투여한 그룹 중 EPT100와 EPT500가 유사한 장내미생물생태를 나타내었다. 프락토올리고당을 투여한 양성대조군 FOS는 부형제인 물을 투여한 WTD의 장내미생물생태가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4B). 도 4에 표시된 화살표는 모든 샘플의 장내미생물생태를 상대적 거리로 나타낸 좌표에 대해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미생물을 나타내며, 그 중 샘플투여 28일 이후에 상대조군인 BLK에 비해 프락토올리고당을 투여한 FOS에서 유산균으로 널리 알려져 몸에 이롭다고 알려진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속이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5).
Figure 112018132363034-pat00006
실시예 3. 속(Genus) 수준에서 장내미생물 생태변화 분석
속(Genus) 수준에서 정상대조군인 BLK와 샘플을 투여한 모든 그룹 간 장내미생물생태를 비교분석하여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는 미생물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p<0.05), 그렇게 BLK와 다른 그룹 간 유의적으로 차이를 나타내는 미생물에 대해서 Heatmap으로 나타내었다(도 5 및 도 6). 샘플투여 14일 이후에는 정상대조군인 BLK에 비하여 김 열수 추출물을 처리한 EPT300을 제외한 모든 그룹에서 유익균으로 알려진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양성대조군인 FOS와 김 열수 추출물을 처리한 EPT100 및 EPT500에서 비피도박테리움 속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IBS (Irritable bowel syndrom) 환자에 비해 건강한 사람의 장 내에 많이 존재한다고 보고된 바가 있는 코프로바실러스 속(Coprobacillus)이 정상대조군인 BLK에 비하여 부형제인 물을 투여한 WTD와 김 열수 추출물을 처리한 EPT300 및 EPT500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김 열수 추출물을 처리한 그룹 중 EPT100에서만 체내에서 다양한 대사조절에 관여하여 유익한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단쇄지방산 (Short chain fatty acids, SCFAs)을 생성하는 로세부리아 속(Roseburia)과 코프로코커스 속(Coprococcus)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샘플투여 28일 이후에는 김 열수 추출물을 처리한 EPT500을 제외한 모든 그룹에서 SCFAs 중 하나인 부티레이트(butyrate) 생성균으로 알려져 있는 알로바쿨룸 속(Allobaculum)이 정상대조군인 BLK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김 열수 추출물을 처리한 그룹 중 EPT300에서만 부티레이트 키나제(butyrate kinase) 또는 CoA transferase를 포함하여 부티레이트를 생성한다고 보고된 코프로코커스 속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펩토코카세애 과(Peptococcaceae), 크리스텐세넬라세애 과(Christensenellaceae)는 EPT100, EPT500에서만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펩토코카세아에 과는 피르미쿠테스 문(phylum Firmicutes)에 속해 있으며, 사람의 장 내에 서식하며 탄수화물로부터 대표적인 SCFAs인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propionate), 부티레이트를 생성한다고 보고되었으며, 크리스텐세넬라시아에는 마르거나 건강한 사람의 장내미생물에 높은 수준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김 열수 추출물을 처리한 모든 그룹에서 클로스트리디아세애 과(Clostridiaceae), 에리시페로트리차세애 과(Erysipelotrichaceae)가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클로스트리디아세애는 펩토코카세애와 유사하게 피르미쿠테스 문에 속해 있으며, 사람의 장 내에 서식하며 탄수화물로부터 대표적인 SCFAs인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부티레이트를 생성한다고 보고되었으며, 에리시페로트리차세애는 담즙산 대사과정(bile acid metabolism)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항염증반응을 증진시킨다고 보고되었다. 상기와 같이 장내미생물생태를 통해 대사과정을 예측할 수 있는데, 김 열수 추출물에 의한 장내미생물생태 차이는 면역시스템 관련 질병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도 7).

Claims (5)

  1. 방사무늬김(Pyropia yezoensis)의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프리바이오틱스로서,
    상기 방사무늬김의 열수 추출물은 건조 방사무늬김 15g에 물 300ml을 가하고, 100℃에서 3시간 동안 반복해서 3회에 걸쳐 추출하여 제조되며,
    상기 방사무늬김의 열수 추출물은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 코프로바실러스 속(Coprobacillus), 로세부리아 속(Roseburia), 코프로코커스 속(Coprococcus), 알로바쿨룸 속(Allobaculum), 펩토코카세애 과(Peptococcaceae), 크리스텐세넬라세애 과(Christensenellaceae), 클로스트리디아세애 과(Clostridiaceae) 및 에리시페로트리차세애 과(Erysipelotrichaceae)의 장내미생물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바이오틱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의 프리바이오틱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축 사료첨가제.
  5. 제1항의 프리바이오틱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KR1020180173790A 2018-12-31 2018-12-31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287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790A KR102287187B1 (ko) 2018-12-31 2018-12-31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790A KR102287187B1 (ko) 2018-12-31 2018-12-31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825A KR20200082825A (ko) 2020-07-08
KR102287187B1 true KR102287187B1 (ko) 2021-08-06

Family

ID=71600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790A KR102287187B1 (ko) 2018-12-31 2018-12-31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18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3759B1 (ko) 2004-11-03 2006-04-24 주식회사 베터앤베터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증강효과를 갖는 동물사료 첨가제
WO2017191078A1 (en) 2016-05-02 2017-11-09 Stefano Scoglio The use of phycocyanins, purified or as present in cyanobacterial microalgae or extracts thereof, as prebiotics, to enhance the viability, gastrointestinal survival, pathogen-fighting ability, and the overall health-enhancing properties of probiotic cultures and products.
KR101805176B1 (ko) * 2016-04-22 2017-12-07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김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1853687B1 (ko) 2015-10-08 2018-05-04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무늬김 추출물의 스테롤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및 방사무늬김 추출물의 스테롤 분획물의 제조방법
WO2018112194A1 (en) * 2016-12-15 2018-06-21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odulating growth of a genetically modified gut bacterial cell
JP2018537114A (ja) 2015-12-17 2018-12-20 シージェイ チェルジェダン コーポレイション 腸内生存率が高められた乳酸菌のコーティン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1057A (ja) * 1993-08-11 1995-02-28 Kawasaki Steel Corp 乳酸菌およびビフィズス菌の増殖促進物質含有物
CN101160136A (zh) * 2005-04-15 2008-04-09 大日本油墨化学工业株式会社 通过乳酸菌培养所得到的降血压剂
KR101071147B1 (ko) * 2008-12-24 2011-10-10 대한민국 김을 이용한 가축사료의 제조방법 및 가축의 사육방법
KR101615042B1 (ko) * 2013-11-28 2016-04-2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유산균 증식 촉진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3759B1 (ko) 2004-11-03 2006-04-24 주식회사 베터앤베터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증강효과를 갖는 동물사료 첨가제
KR101853687B1 (ko) 2015-10-08 2018-05-04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무늬김 추출물의 스테롤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및 방사무늬김 추출물의 스테롤 분획물의 제조방법
JP2018537114A (ja) 2015-12-17 2018-12-20 シージェイ チェルジェダン コーポレイション 腸内生存率が高められた乳酸菌のコーティング方法
KR101805176B1 (ko) * 2016-04-22 2017-12-07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김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WO2017191078A1 (en) 2016-05-02 2017-11-09 Stefano Scoglio The use of phycocyanins, purified or as present in cyanobacterial microalgae or extracts thereof, as prebiotics, to enhance the viability, gastrointestinal survival, pathogen-fighting ability, and the overall health-enhancing properties of probiotic cultures and products.
WO2018112194A1 (en) * 2016-12-15 2018-06-21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odulating growth of a genetically modified gut bacterial cell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roteins and Carbohydrates from Red Seaweeds: Evidence forBeneficial Effects on Gut Function and Microbiota", Mar. Drugs Vol. pp 5358-5383(20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825A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oo et al. Transformation of durian biomass into a highly valuable end commodity: Trends and opportunities
Yonejima et al. Lactic acid bacteria-containing chocolate as a practical probiotic product with increased acid tolerance
KR101919759B1 (ko) 해조류 유래 다당류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반려동물 영양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246853A (zh) 选择益生菌的方法
JP6998613B2 (ja) 筍酵素分解物または筍発酵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腸機能の低下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組成物の生産方法
CN112203670A (zh) 制剂和使用方法
WO2016163245A1 (ja) 筋肉細胞におけるエネルギー代謝活性化剤
KR101834383B1 (ko) 항비만 활성을 갖는 와이셀라 시바리아 WIKIM28(Weissella cibaria WIKIM28)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JP2007308373A (ja) 腸内菌叢改善剤
JP2016124832A (ja) 筋肉細胞におけるエネルギー代謝活性化剤
KR102287187B1 (ko)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2012224551A (ja) ビフィズス菌または乳酸菌の生存維持用組成物
Rattanakiat et al. Prebiotic activity of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Jerusalem artichoke tuber and development of prebiotic granules
JP2010254594A (ja) 腸内バクテロイデス増殖促進剤
JP2022044826A (ja) 経口組成物
KR20190072923A (ko) 식용꽃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면역활성 증진 기능성 음료 및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33473B1 (ko) 고구마 줄기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 개선용 조성물
JP2019004756A (ja) グルコシダーゼ阻害能を有する乳酸菌
Kou et al.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oligosaccharides purified from Asparagus officinalis peel.
JP2010124720A (ja) 植物性乳酸菌増殖促進用組成物及び経口摂取用組成物
CA3085995C (en) Composition for type i allergy
Wang et al. Effects of Eucommia ulmoides Oliver leaves on gut microbiota and intestinal function during in vitro simulated digestion and fermentation
CN103037877A (zh) 用于在大肠中增加双歧杆菌和抑制双歧杆菌减少的试剂
KR101783673B1 (ko) 유아 분변에서 분리한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항산화 기능을 갖는 발효유의 제조방법
CN101637264A (zh) 低聚糖益生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