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5732B1 - 휴대용 오븐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오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5732B1
KR102285732B1 KR1020190120526A KR20190120526A KR102285732B1 KR 102285732 B1 KR102285732 B1 KR 102285732B1 KR 1020190120526 A KR1020190120526 A KR 1020190120526A KR 20190120526 A KR20190120526 A KR 20190120526A KR 102285732 B1 KR102285732 B1 KR 102285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oking
cooking object
cas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7965A (ko
Inventor
이승철
Original Assignee
스마트로스터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마트로스터 (주) filed Critical 스마트로스터 (주)
Priority to KR1020190120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732B1/ko
Publication of KR20210037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47J37/0635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with refl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64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오븐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정 높이를 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삽입되며 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 상부에 안착되는 수용유닛,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부에 안착되고, 적어도 일부에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상면에 조리대상물이 안착되는 그릴유닛, 상기 수용공간에서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상부 방향으로 조리광을 방출하여 상기 조리대상물에 열을 가하는 가열유닛 및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서 상기 개구부를 감싸며 내부에 상기 조리대상물을 수용하고,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커버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오븐장치{Portable oven equipment}
본 발명은 휴대용 오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 하부에 가열유닛을 구비하고 상부에 별도의 커버유닛을 구비하여 내부에 수용된 조리대상물에 복사열을 고르게 전달하여 조리하는 휴대용 오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븐장치는 밀폐된 공간에서 고기 등과 같은 음식물에 복사열을 전달하여 직화방식으로 조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오븐장치는 조리대상물에 열을 전달하기 위해 밀폐된 공간에서 외부로 열이 새어나가는 것을 차단하고, 내부에 별도의 열원을 인접하게 배치하여 열을 전달한다. 이때, 오븐장치 내부에는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오븐장치의 사용 시 열원과 인접한 부분에서는 조리대상물에 과도하게 많은 복사열이 전달되지만, 이와 반대부분에서는 오히려 열의 전달이 부족하게 되어 조리대상물의 온도편차가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장시간 조리하는 경우, 열원과 인접한 부분은 과도한 조리로 인해 조리대상물이 타게 되고, 반대편의 경우 충분히 익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개발된 오븐장치의 경우 밀폐된 공간에서 조리대상물을 둘러싸는 형태로 복수 개의 열원을 다양한 위치에 배치하여 동시에 조리함으로써 조리대상물에 고르게 열을 전달해 조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오븐장치의 경우 복수 개의 열원이 조리대상물을 둘러 싸도록 배치함으로써 장치의 크기 자체가 커지며, 전력소모가 심하고 가격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오븐장치의 구매에 부담을 느껴 사용자들이 사용을 꺼리게 된다, 특히, 최근에는 1인 가구의 증가로 작은 용량의 가전제품의 출시가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이에 알맞은 오븐장치의 개발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조리대상물의 조리 시 온도편차를 최소화 하여 고르게 조리가 가능함과 동시에 크기가 작고 휴대가 간편한 오븐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 하부에 가열유닛의 상부에 조리대상물을 안착한 후 별도의 커버유닛으로 상부를 감싸도록 구성하며, 가열유닛에서 방출된 조리광을 상기 조리대상물의 상부와 하부로 동시에 전달 함으로써 조리대상물을 고르게 조리할 수 있는 휴대용 오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오븐장치는 일정 높이를 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삽입되며 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 상부에 안착되는 수용유닛,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부에 안착되고, 적어도 일부에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상면에 조리대상물이 안착되는 그릴유닛, 상기 수용공간에서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상부 방향으로 조리광을 방출하여 상기 조리대상물에 열을 가하는 가열유닛 및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서 상기 개구부를 감싸며 내부에 상기 조리대상물을 수용하고,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커버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 측면에서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길게 형성되어 상기 조리광을 방출하는 방출램프 및 상기 방출램프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하방향에서 일부를 감싸며 상기 조리광을 상기 조리대상물을 향해 반사하는 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부는 상기 방출램프의 하부부분보다 상부부분이 상대적으로 길게 만곡진 형태로 형성되며 개구된 부분이 상향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유닛은 투명 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반사부의 상부부분과 하부부분을 연결하여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불순물을 차단하는 보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폭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이격되어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그릴유닛을 향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릴유닛은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 대응하며 하부로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둘레부, 상기 둘레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며 복수 개의 막대부재로 이루어져 상면에 상기 조리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둘레를 따라 상하로 배치되어 측면을 이루며 일정높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둘레부와 연결되는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부는 적어도 일부에 복수 개의 연통구가 형성되어 상기 가열유닛에서 조사된 상기 조리광이 상기 그릴유닛을 통과하여 상부의 상기 커버유닛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릴유닛은 복수 개의 상기 홀 중 적어도 일부의 측면에 광도파부가 형성되어 상기 조사광의 일부가 상부로 반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유닛은 내면의 일부에 별도의 반사코팅이 형성되어 상기 조리대상물의 상부로 전달되는 상기 조리광을 하부로 반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반사코팅의 하부에 구비되며 복수 개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조리광을 랜덤하게 확산시키는 확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바닥면 또는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통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오븐장치에 의하면, 조리대상물이 안착되는 그릴유닛이 하부로 함몰 형성됨으로써 상기 조리광의 일부가 상기 조리대상물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상부로 전달되고, 상부로 전달된 상기 조리광을 하부로 반사하여 상기 조리대상물로 전달 함으로써, 상기 조리대상물의 상 하부 동시에 상기 조리광을 직접 전달하여 온도편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유닛에 상기 반사코팅과 상기 확산시트를 추가함으로써, 상기 조리대상물의 상부로 전달된 상기 조리광을 반사함과 동시에 고르게 분산시켜, 상기 조리대상물로 전달되는 상기 조리광을 고르게 할 수 잇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오븐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오븐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휴대용 오븐장치에서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휴대용 오븐장치에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도 1의 휴대용 오븐장치에서 커버유닛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의 휴대용 오븐장치에서 커버유닛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7은 도 1의 휴대용 오븐장치에서 그릴유닛에 별도의 광도파부가 형성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전방·후방 또는 상측·하측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오븐장치의 구성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오븐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오븐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휴대용 오븐장치에서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의 휴대용 오븐장치에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도 1의 휴대용 오븐장치에서 커버유닛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오븐장치는, 케이스(100), 수용유닛(200), 그릴유닛(300), 가열유닛(400) 및 커버유닛(5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오븐장치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서 음식의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케이스(100)는 사용양태에 따라 다양한 외관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에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상기 수용유닛(200), 상기 가열유닛(400) 및 상기 그릴유닛(300)이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는 제어를 위한 기판 및 화력이나 타이머 등의 동작을 조절하는 조작부(1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조작부(120)는 상기 케이스(100)의 측면에서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내부에는 이를 제어하는 기판회로 등이 수용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에는 외부의 공기가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통기구(1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기구(132)는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용이하게 유입되고, 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된 상기 가열유닛(400) 및 조작부(120)를 원활하게 냉각 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케이스(100)의 바닥면(130) 및 측면에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통기구(132)의 개수 및 형상은 케이스(100)의 용량 및 사용양태 등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0)에는 안정적으로 거치하고 상기 케이스(100)의 바닥면(130)과 외부 바닥을 이격시켜 하부에 열기가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다리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리부(140)는 상기 케이스(100)의 횡 방향을 따라 양측에 각각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00)가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서 지지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수용유닛(200)은 상기 케이스(100) 내부,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벽 또는 바닥면(130)의 체결공에 걸쳐지도록 삽입되어 상부에 배치되는 조리대상물(10)에서 발생된 액체를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습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유닛(200)은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삽입되며 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케이스(100)의 바닥면(130) 상부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수용유닛(20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스(100)의 바닥면(130)과 이격 배치된다.
상기 수용유닛(200)은, 중앙부가 하부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물을 수용하며,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물이 증발하여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의 습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유닛(200)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함몰된 부분의 둘레를 따라 소정 높이의 벽면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상부에서 낙하하는 상기 조리대상물(10)의 기름을 수거할 수 잇다.
즉, 상기 수용유닛(200)은 상기 수용공간(110) 하부에서 물을 수용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110)의 내부 습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상기 그릴유닛(300) 또는 상기 조리대상물(10)로부터 낙하하는 기름을 수용한다.
한편, 상기 가열유닛(400)은 상기 수용공간(110)에서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상부방향으로 조리광을 방출하여 상기 조리대상물(10)에 열을 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열유닛(400)은 상기 수용공간(11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상기 조리광을 방출하며, 방출된 상기 조리광이 상기 조리대상물(10)에 직접 전달되거나 또는 상기 수용공간(110) 외부로 전달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열유닛(400)은 상기 수용공간(110)의 하부에서 상기 케이스(100)의 폭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이격되어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그릴유닛(300)을 향해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열유닛(400)은 횡 방향으로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길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의 측면에 배치되며, 중앙부분은 상기 수용유닛(200)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열유닛(400)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수용유닛(200)을 중심으로 양방향 이격 배치되며, 상향 경사를 가지고 상부방향으로 상기 조리광을 방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열유닛(400)은 크게 방출램프(410), 반사부(420) 및 보호부(430)를 포함하며, 상기 방출램프(410)는 상기 수용공간(110)의 내부 측면에서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길게 형성되어 상기 조리광을 방출한다. 이때, 상기 조리광은 일반적으로 광으로써, 상기 그릴유닛(300) 또는 상기 조리대상물(10)에 직접 복사열을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리광은 UV,IR등 다양한 파장대의 광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방출램프(4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110)의 하부에서 상호 대칭되도록 이격 배치된다.
한편, 상기 반사부(420)는 상기 방출램프(410)와 일정 거리 이격 되어 상기 방출램프(410)를 상하방향에서 일부를 감싸며 배치되어 상기 조리광을 반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사부(420)는 상기 방출램프(410)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조리광을 반사하며, 일부가 개구되어 개구된 부분을 통해 상기 조리광을 방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사부(420)는 상기 방출램프(410)의 상부에서 하부를 연속하여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개구된 부분이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반사부(420)는 상기 방출램프(410)를 기준으로 하부부분보다 상부부분이 상대적으로 길게 만곡진 형태로 형성되어 개구된 부분이 상향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반사부(420)의 상부부분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며 만곡진 형태를 가짐으로써, 상기 반사부(420)에 의해 반사되는 상기 조리광이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고르게 분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조리대상물(10)에 고르게 열이 전달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반사부(420)가 상기 방출램프(410)에서 방출된 상기 조리광을 단순히 균일하게 반사하는 경우, 반사되는 상기 조리광은 특정 방향으로 편향되며, 이에 따라 상기 조리대상물(10)에 전달되는 열이 고르게 분산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상기 반사부(42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방출램프(410)에서 방출된 광이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로 고르게 분산되어 반사되며, 이에 따라 상기 조리광이 상기 조리대상물(10)에 직접 복사열을 전달하고 일부는 상기 수용공간(110) 상부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반사부(420)는 상기 방출램프(410)에서 방출된 상기 조리광의 일부가 직접 상부로 전달되고 나머지는 상기 반사부(420)를 통해 반사되어 상부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보호부(430)는 상기 방출램프(410) 및 상기 반사부(420)에 이물질을 차단하여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반사부(420)의 상부부분과 하부부분을 연결하여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보호부(430)는 상기 방출램프(410)에서 방출된 상기 조리광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반사부(420)의 개구된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상기 반사부(42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상기 조리대상물(10)을 조리하는 경우 상기 조리대상물(10)에서 발생된 기름이 하부로 낙하하며, 일부가 상기 가열유닛(400)으로 낙하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보호부(430)가 상기 방출램프(410) 및 상기 반사부(420)를 차단하여 보호함으로써 낙하된 기름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부(430)는 상하방향에 따라 수직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방출램프(410)와 상기 반사부(420)를 보호함과 동시에 낙하하는 기름이 상기 보호부(430)상에서 유지하지 않고 하부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열유닛(400)은 상기 방출램프(410), 상기 반사부(420) 및 상기 보호부(430)를 포함하며, 상기 방출램프(410)를 통해 방출된 상기 조리광은 상부 방향으로 전달되어 상기 조리대상물(10)에 복사열을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그릴유닛(300)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110) 외부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가열유닛(400)은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반사부(420)의 개구된 부분이 향하는 경사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열유닛(400)은 한 쌍으로 이격되어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배치되며, 후술하는 상기 그릴유닛(300)의 형태 또는 상기 조리대상물(10)의 종류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가열유닛(400)의 경사각도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릴유닛(300)은, 상기 수용공간(110) 내에서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조리대상물(10)을 일정 높이에서 지지하며 후술하는 상기 가열유닛(400)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조리광을 통해 조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그릴유닛(300)은,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부에 안착되고 상면에 상기 조리대상물(10)이 수용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그릴유닛(300)은, 적어도 일부에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조리대상물(10)에서 발생되는 기름이 하부로 흐르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가열유닛(400)에서 전달되는 상기 조리광으로부터 복사열을 직접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릴유닛(300)은 크게 둘레부(310), 안착부(320) 및 측면부(330)를 포함하며, 상기 둘레부(310)는 상기 그릴유닛(300)의 최 외각을 따라 둘레를 형성하며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 대응하여 하부로 낙하하지 않도록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320)는 상기 둘레부(310)에서 하부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배치되며, 복수 막대부재가 이격 배치된 형태로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조리대상물(10)이 상부에 안착되며, 일부는 하부로 직접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부(320)는 상기 홀이 슬릿 형태로 형성되도록 상기 막대부재가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홀이 원형이나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막대부재가 교차되거나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측면부(330)는 상기 안착부(320)의 둘레를 따라 상하로 배치되어 측면을 이루며, 일정 높이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둘레부(310)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측면부(330)는 상기 안착부(320)와 상기 둘레부(310)를 잇는 측벽의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그릴유닛(300)에서 상기 안착부(320)가 기 설정된 깊이만큼 함몰 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면부(330)은 상기 안착부(320)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함몰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둘레부(310)와 상기 안착부(32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측면부(330)는 상기 안착부(320)의 둘레를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측면부(330)는 상기 가열유닛에서 방출된 상기 조리광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상기 안착부(32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연통구(33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통구(332)는 상기 그릴유닛(300)에 형성된 상기 홀의 일종으로, 상기 안착부(320)에 형성된 상기 홀과 동일한 형상일 수도 있고,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측면부(330)에 상기 연통구(332)가 형성되는 경우 후술하는 상기 가열유닛(400)에서 방출된 상기 조리광이 상기 연통구(332)를 통과하여 상기 조리대상물(10)에 직접 복사열을 전달하거나, 또는 상부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조리대상물(10)이 고르게 조리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측면부(330)는 복수 개의 상기 연통구(332)가 둘레를 따라 일부 영역에 연속하여 형성되며, 긴 슬릿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통구(332)는 상술한 상기 가열유닛(400)이 배치된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가열유닛(400)에서 방출된 상기 조리광이 상기 연통구(332)를 통해 상부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그릴유닛(300)은 상기 둘레부(310), 상기 안착부(320) 및 상기 측면부(330)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320)가 함몰 형성되어 상기 조리대상물(10)의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320)에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측면부(330)에 상기 연통구(332)가 형성되어 상기 가열유닛(400)에서 방출된 상기 조리광이 상기 조리대상물(10)에 직접 전달되거나 또는 상기 수용공간(110)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유닛(500)은,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서 상기 수용공간(110)을 커버하며 상기 조리대상물(10)을 외부와 차단시키는 구성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110) 외부로 노출된 상기 조리대상물(10)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유닛(5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방향으로 함몰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내면에 별도의 반사코팅(51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반사코팅(510)은 상기 케이스(100)에 구비된 상기 가열유닛(400)에서 방출된 상기 조리광이 상기 그릴유닛(300)을 통과하여 상부로 전달되는 경우 이를 상기 조리대상물(10)로 반사한다.
즉, 상기 커버유닛(500)은 함몰된 내면에 상기 반사코팅(510)이 형성되어 상기 조리대상물(10)의 상부로 전달되는 상기 조리광을 하부로 반사하고, 이에 따라 상기 조리대상물(10)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기 조리광이 조사되어 복사열을 전달받는다.
여기서, 상기 반사코팅(510)은 상기 커버유닛(500)의 함몰된 내면 일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된 부분의 내면 중앙부분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커버유닛(500)은 상기 조리대상물(10)을 일부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조리광의 반사를 위해 일정 곡률을 가지며, 만곡진 형태로 내부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조리대상물(10)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잇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오븐유닛은, 상술한 상기 케이스(100), 상기 수용유닛(200), 상기 그릴유닛(300), 상기 가열유닛(400) 및 상기 커버유닛(500)을 포함하며, 상기 그릴유닛(300)의 상부에 상기 조리대상물(10)이 안착된 상태로 상기 커버유닛(500)이 상기 조리대상물(10)을 상부에서 감싸며 밀폐한다.
그리고 상기 가열유닛(400)에 의해 방출된 조리광이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상기 조리대상물(10)에 직접 복사열을 전달하고, 일부는 상기 그릴유닛(300)을 관통하여 상부로 전달된 후 상기 커버유닛(500)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조리대상물(10)의 상부에 복사열을 전달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오븐장치는 상기 가열유닛(400)이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상기 조리대상물(10)의 하부만 가열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조리대상물(10)의 상부도 함께 가열함으로써 상기 그릴유닛(300)을 기준으로 상 하부의 온도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그릴유닛(300)에서, 상기 안착부(320)가 하부로 함몰되어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조리대상물(10)의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상기 가열유닛(400)과 인접하도록 하여 열전달 효율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상기 가열유닛(400)에서 출사된 상기 조리광이 모두 상기 조리대상물(10)의 하부로 전달되지 않고 일부가 상기 측면부(330)로 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330)로 향하는 상기 조리광의 일부는 상기 연통구(332)를 통해 상기 조리대상물(10)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상부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조리광이 상기 조리대상물(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복사열을 전달한다.
이와 같이 상기 그릴유닛(300)이 상기 안착부(320)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330)에 상기 연통구(332)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조리광의 일부를 상부로 분할하여 상기 조리대상물(10)의 상부와 하부를 모두 가열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오븐장치의 구성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았으며,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버유닛(500)의 변형된 형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1의 휴대용 오븐장치에서 커버유닛(500)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상기 커버유닛(500)과 동일하지만, 별도의 확산부(520)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확산부(520)은 상기 커버유닛(500)의 내면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반사코팅(510)에 적층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조리광을 확산 시켜 상기 조리광이 균일하게 상기 조리대상물(1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확산부(520)은 광 투과성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반사코팅(510)의 하부에 별도의 레이어를 가지며 적층되고, 하부방향으로 복수 개의 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확산부(520)은, 상기 수용공간(110)의 내면에서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구비되어 하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리광을 랜덤화가 확산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확산부(520)은 상기 반사코팅(510)의 하부에서 구비되며, 복수 개의 돌기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확산부(520)과 상기 반사코팅(510)이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유닛(500)이 상기 확산부(520)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도록 구성 됨으로써 상기 조리광을 하부로 반사하는 경우 보다 넓은 범위로 반사함과 동시에 고르게 분산시켜 상기 조리대상물(10)의 온도편차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오븐장치에서 상기 그릴유닛(300)에 별도의 광도파부(340)가 더 추가된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도 1의 휴대용 오븐장치에서 그릴유닛(300)에 별도의 광도파부(340)가 형성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상술한 상기 그릴유닛(300)은 상기 조리광이 일부 투과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홀 중 적어도 일부의 측면에 별도의 광도파부(340)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릴유닛(300)은 상술한 상기 둘레부(310), 상기 안착부(320) 및 상기 측면부(330)와 함께 추가적으로 상기 광도파부(340)가 더 포함되며, 상기 광도파부(340)는 상기 가열유닛(400)에서 방출된 상기 조리광의 일부가 상부로 반사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광도파부(340)는 상기 안착부(32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 및 상기 측면부(330)에 형성된 상기 연통구(332)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리광이 상기 홀 및 상기 연통구(332)를 통해 상부로 전달되는 경우 일부는 상기 광도파부(340)에 의해 상부로 반사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측면부(330)에 형성된 상기 연통구(332)의 측면에 상기 광도파부(340)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조리광의 일부가 상기 광도파부(340)에서 반사되어 상부로 전달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광도파부(340)는 상기 복수 개의 홀 및 상기 연통구(332)의 측면과 함께 추가적으로 상기 측면부(330)의 하면에 더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측면부(330)의 경우 상기 안착부(320)가 함몰 형성되어 있어 이를 연결하기 위해 상하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측면부(330)의 하면에 상기 광도파부(340)가 형성되어 상기 조리광을 상부로 반사한다.
이에 따라 상기 그릴유닛(300)을 투과하여 상부로 전달되는 상기 조리광을 증가시켜 상기 조리대상물(10)을 고르게 조리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오븐장치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상기 조리대상물(10)이 안착되는 그릴유닛(300)이 하부로 함몰 형성됨으로써 상기 조리광의 일부가 상기 조리대상물(10)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상부로 전달되고, 상부로 전달된 상기 조리광을 하부로 반사하여 상기 조리대상물(10)로 전달 함으로써, 상기 조리대상물(10)의 상 하부 동시에 상기 조리광을 직접 전달하여 온도편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커버유닛(500)에 상기 반사코팅(510)과 상기 확산시트를 추가함으로써, 상기 조리대상물(10)의 상부로 전달된 상기 조리광을 반사함과 동시에 고르게 분산시켜, 상기 조리대상물(10)로 전달되는 상기 조리광을 고르게 할 수 잇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휴대용 오븐장치는 상기 가열유닛(400)을 상기 수용공간(110) 하부에만 구비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조리대상물(10)의 조리 시 온도편차를 최소화하여 조리성능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온도편차의 저감으로 인해 조리 시 상기 조리대상물(10)을 뒤집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조리대상물
100: 케이스
110: 수용공간
120: 조작부
200: 수용유닛
300: 그릴유닛
310: 둘레부
320: 안착부
330: 측면부
340: 광도파부
400: 가열유닛
410: 방출램프
420: 반사부
430: 보호부
500: 커버유닛

Claims (9)

  1. 일정 높이를 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삽입되며 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 상부에 안착되는 수용유닛;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부에 안착되고, 적어도 일부에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상면에 조리대상물이 안착되는 그릴유닛;
    상기 수용공간에서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상부 방향으로 조리광을 방출하여 상기 조리대상물에 열을 가하는 가열유닛; 및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서 상기 개구부를 감싸며 내부에 상기 조리대상물을 수용하고,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커버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그릴유닛은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 대응하며 하부로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둘레부, 상기 둘레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며 복수 개의 막대부재로 이루어져 상면에 상기 조리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둘레를 따라 상하로 배치되어 측면을 이루며 일정높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둘레부와 연결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는 적어도 일부에 복수 개의 연통구가 형성되어 상기 가열유닛에서 조사된 상기 조리광이 상기 그릴유닛을 통과하여 상부의 상기 커버유닛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휴대용 오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 측면에서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길게 형성되어 상기 조리광을 방출하는 방출램프; 및
    상기 방출램프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하방향에서 일부를 감싸며 상기 조리광을 상기 조리대상물을 향해 반사하는 반사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오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방출램프의 하부부분보다 상부부분이 상대적으로 길게 만곡진 형태로 형성되며 개구된 부분이 상향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휴대용 오븐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유닛은,
    투명 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반사부의 상부부분과 하부부분을 연결하여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불순물을 차단하는 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오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폭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이격되어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그릴유닛을 향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오븐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유닛은,
    복수 개의 상기 홀 중 적어도 일부의 측면에 광도파부가 형성되어 상기 조리광의 일부가 상부로 반사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오븐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은,
    내면의 일부에 반사코팅이 형성되어 상기 조리대상물의 상부로 전달되는 상기 조리광을 하부로 반사하는 휴대용 오븐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바닥면 또는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통기구를 포함하는 휴대용 오븐장치.
KR1020190120526A 2019-09-30 2019-09-30 휴대용 오븐장치 KR102285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526A KR102285732B1 (ko) 2019-09-30 2019-09-30 휴대용 오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526A KR102285732B1 (ko) 2019-09-30 2019-09-30 휴대용 오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965A KR20210037965A (ko) 2021-04-07
KR102285732B1 true KR102285732B1 (ko) 2021-08-04

Family

ID=75469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526A KR102285732B1 (ko) 2019-09-30 2019-09-30 휴대용 오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57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0553A (ja) * 2001-04-26 2002-11-05 Sanyo Electric Co Ltd 電気調理器
WO2012087041A2 (ko) 2010-12-23 2012-06-28 Hong Jongho 오븐 조리기
CN206659694U (zh) * 2016-11-21 2017-11-24 中山市康拉德电器有限公司 一种红外烤机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599B1 (ko) * 2010-03-31 2016-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야외용 조리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0553A (ja) * 2001-04-26 2002-11-05 Sanyo Electric Co Ltd 電気調理器
WO2012087041A2 (ko) 2010-12-23 2012-06-28 Hong Jongho 오븐 조리기
CN206659694U (zh) * 2016-11-21 2017-11-24 中山市康拉德电器有限公司 一种红外烤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965A (ko) 202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6191B2 (en) Portable baking oven
JP4627745B2 (ja) 加熱調理器
KR100760821B1 (ko) 오븐
JP2004305710A (ja) 調理装置
KR200473900Y1 (ko) 로스터의 구이판 조립체
KR20010083892A (ko) 브라우닝 장치를 갖춘 극초단파 오븐
KR102285732B1 (ko) 휴대용 오븐장치
KR100688360B1 (ko) 가스 복사 조리기기의 배기장치
JP2007187384A (ja) 耐熱カバー及びこれを備えたヒータ装置若しくは加熱調理器
CN110274265B (zh) 加热烹调器
CN211484133U (zh) 煎烤机
KR20180118960A (ko) 양방향 적외선 가열 조리기
EP2110001B1 (en) Cooking apparatus
KR101232617B1 (ko) 직화 가열용 조리기구
KR101467484B1 (ko) 근적외선을 이용한 가열 조리기구
KR101530589B1 (ko) 안전 전기로스터
JP2004305708A (ja) 調理装置
AU782537B2 (en) Luminaire
KR200385674Y1 (ko) 입체식 볶음장치
CN101606431B (zh) 烹饪器具
JP3120205U (ja) 加熱調理器
KR20200017067A (ko) 회전 구이기
KR200490166Y1 (ko) 적외선 전기조리기
KR200409739Y1 (ko) 가스레인지 기기의 과열방지 복사열반사판
JP2010065878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