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5502B1 - 중밀도 섬유판 가공 방법 - Google Patents

중밀도 섬유판 가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5502B1
KR102285502B1 KR1020210040709A KR20210040709A KR102285502B1 KR 102285502 B1 KR102285502 B1 KR 102285502B1 KR 1020210040709 A KR1020210040709 A KR 1020210040709A KR 20210040709 A KR20210040709 A KR 20210040709A KR 102285502 B1 KR102285502 B1 KR 102285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ller
plate
transparent pet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미
이규열
Original Assignee
박정미
이규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미, 이규열 filed Critical 박정미
Priority to KR1020210040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5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7/00After-treatment, e.g. reducing swelling or shrinkage, surfacing; Protecting the edges of boards against access of humid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03Mechanical surface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8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by multi-step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18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furniture or of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07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and at least partly composed of recyc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4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from fib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나 주방 가구재용으로서 작업성을 제고하고 미관상 좋은 인상을 줄 수 있으며 제조 단가가 저렴하도록 구현한 중밀도 섬유판 가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투명 PET 접착용 래핑 장치를 이용하여 목재 파편을 중간 정도의 밀도를 갖도록 평판 형태로 압축 성형하여 제조된 중밀도 섬유판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투명 PET를 랩핑하는 래핑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중밀도 섬유판 가공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MEDIUM DENSITY FIBERBOARD}
본 발명은 중밀도 섬유판 가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구나 주방 가구재용으로서 작업성을 제고하고 미관상 좋은 인상을 줄 수 있으며 제조 단가가 저렴하도록 구현한 중밀도 섬유판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MDF 보드(MDF; medium density fiber)로 일컬어지는 중밀도 섬유판은 원목을 분쇄한 목재 파편에다 아교를 섞어서 중간 정도의 밀도를 갖도록 평판 형태로 압착시킨 목질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압축 성형하고 압착한 보드의 앞, 뒷면으로 랩핑지를 접착 마감한 구조로서 얻어진다.
상기와 같은 가구용 목질체는 일반적으로 마감재로서 필름을 표면에 피복시켜 가공목재로서도 원목과 같은 고유의 무늬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폴리비닐계 등의 수지로 형성되는 필름시트에 인쇄층을 형성한 인쇄마감재를 구비하게 된다.
하지만, 기존의 인쇄마감재는 사용목적에 따라 소정 형상을 갖는 가구용 목재기판의 평면 상에 굴곡부가 형성되거나 혹은 테두리를 이루는 둘레 등 세부한 곳에는 상기 수지층의 가요성의 문제로 효과적인 무늬 인쇄 작업에 이루어지지 못했으며, 이러한 인쇄마감재는 외부의 고온 및 충격으로부터 변질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어 패널의 내구성을 저하시키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66232호 한국등록특허 제10-2005082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가구나 주방 가구재용으로서 작업성을 제고하고 미관상 좋은 인상을 줄 수 있으며 제조 단가가 저렴하도록 구현한 중밀도 섬유판 가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밀도 섬유판 가공 방법은, 투명 PET 접착용 래핑 장치를 이용하여 목재 파편을 중간 정도의 밀도를 갖도록 평판 형태로 압축 성형하여 제조된 중밀도 섬유판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투명 PET를 랩핑하는 래핑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밀도 섬유판 가공 방법은, 목재 파편을 중간 정도의 밀도를 갖도록 평판 형태로 압축 성형하여 제조된 중밀도 섬유판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을 벨트 형상의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사포를 이용하여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샌딩 처리하는 샌딩 단계; 샌딩이 완료된 상기 중밀도 섬유판의 먼지를 플라스틱 재질의 솔로 털어내는 1차 먼지털기 단계; 상기 중밀도 섬유판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정전기 방지 세정제를 도포하는 세정제 도포 단계; 샌딩이 완료된 상기 중밀도 섬유판의 먼지를 플라스틱 재질의 솔로 털어내는 2차 먼지털기 단계; 및 투명 PET 접착용 래핑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중밀도 섬유판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투명 PET를 랩핑하는 래핑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명 PET 접착용 래핑 장치는, 상기 중밀도 섬유판을 이송할 수 있도록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되는 이송 롤러; 하측에서 밀착된 상태로 이송 중인 상기 중밀도 섬유판의 이송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단 상측 공간에 수용되는 용융 상태의 접착제를 상기 중밀도 섬유판의 상측면에 도포하는 도포 롤러; 상기 도포 롤러의 전단에서 상기 도포 롤러와 대향하며 설치되어 후단 상측 공간과 상기 도포 롤러의 전단 상측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용융 상태의 접착제가 수용되도록 하며, 상기 도포 롤러와의 이격 거리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도포 롤러에 의해 도포되는 접착제의 양을 조절하는 도포량 조절 롤러; 상기 도포 롤러의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도포 롤러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측에서 밀착된 상태로 이송 중인 상기 중밀도 섬유판의 상측면에 도포되어 있는 접착제의 표면을 매끈하게 긁어주는 역회전 롤러; 상기 역회전 롤러의 상측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역회전 롤러에 표면에 묻은 접착제를 긁은 뒤 상기 도포 롤러로 넘겨주는 접착제 제거 블레이드; 투명 PET 권취롤이 안착되며, 상기 투명 PET 권취롤을 회전시켜 상기 투명 PET를 권출시켜 주는 투명 PET 공급 롤러; 및 서로 밀착되어 설치되는 제1 롤러와 제2 롤러로 이루어지며,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상기 중밀도 섬유판의 상측면에 상기 투명 PET 공급 롤러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투명 PET를 압착하여 부착시키는 압착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명 PET 접착용 래핑 장치는, 상기 투명 PET 공급 롤러와 상기 압착 롤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투명 PET 공급 롤러로부터 상기 압착 롤러로 전달되는 상기 투명 PET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 롤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력 조절 롤러부는, 상기 투명 PET 공급 롤러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투명 PET를 전달하는 제1 지지 롤러; 상기 제1 지지 롤러를 경유한 뒤 전달되는 상기 투명 PET를 상기 압착 롤러 방향으로 전달하는 제2 지지 롤러; 상기 제1 지지 롤러와 상기 제2 지지 롤러의 각 일측 사이를 지지하는 제1 롤러 지지부; 및 상기 제1 롤러 지지부와 대향하며 이격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롤러와 상기 제2 지지 롤러의 각 다른 일측 사이를 지지하는 제2 장력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롤러 지지부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중간 지지 플레이트; 하부가 하측으로 둥근 반원 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중간 지지 플레이트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상부 회동 플레이트; 상기 상부 회동 플레이트와 상하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부가 상측으로 둥근 반원 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중간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하부 회동 플레이트; 상기 상부 회동 플레이트의 전단과 상기 중간 지지 플레이트의 전단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회동 플레이트의 전단을 지지하는 제1 플레이트 지지부; 상기 상부 회동 플레이트의 후단과 상기 중간 지지 플레이트의 후단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회동 플레이트의 후단을 지지하는 제2 플레이트 지지부; 상기 하부 회동 플레이트의 전단과 상기 중간 지지 플레이트의 전단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 회동 플레이트의 전단을 지지하는 제3 플레이트 지지부; 및 상기 하부 회동 플레이트의 후단과 상기 중간 지지 플레이트의 후단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 회동 플레이트의 후단을 지지하는 제4 플레이트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 지지부는, 상기 상부 회동 플레이트의 전단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상기 중간 지지 플레이트의 전단 상측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대; 상기 상부 지지대와 상기 하부 지지대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상부 지지대와 상기 하부 지지대 간의 간격이 늘어나거나 줄어듦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상기 상부 지지대와 상기 하부 지지대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장력 조절체; 및 상기 하부 지지대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며, 각 상부가 상기 장력 조절체의 외측을 따라 연결 설치되는 테두리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력 조절체는,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측에 설치되는 상부 회전 유도 베어링;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회전 유도 베어링의 하측에 설치되는 상부 지지 기둥; 상기 하부 지지대의 상측에 설치되는 하부 회전 유도 베어링; 상기 상부 지지 기둥보다 작은 지름의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회전 유도 베어링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지지 기둥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안착홈에 상부가 삽입되는 하부 지지 기둥; 상기 하부 안착홈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안착홈으로 삽입된 상기 하부 지지 기둥의 상측을 지지하는 수직 완충 용수철; 및 상기 테두리 지지대의 상부 일측이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지지 기둥의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형성되는 회전 유도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테두리 지지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의 상부 테두리에 설치되는 수직 지지 프레임; 상기 회전 유도홈과 대향하는 상기 수직 지지 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 유도홈의 내측면에 밀착 안착되는 안착 돌기; 상기 안착 돌기의 전단에 형성되며, 전면이 전단 상측을 향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돌기 헤드; 상기 돌기 헤드의 전단 경사면에 설치되어 상기 돌기 헤드의 전단 경사면과 상기 회전 유도홈의 전단 벽면 사이를 지지하는 경사 지지 스프링; 및 상기 회전 유도홈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상기 안착 돌기의 일측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회전 유도홈의 내측면을 따라 사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에 체결되어 상기 상부 지지 기둥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상부 지지 기둥을 회전시켜 주는 회전 유도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중밀도 섬유판의 전면 또는 후면에 경화성 접착제를 도포한 후 전면과 후면을 랩핑하였을 때 요철이 없는 매끈한 표면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일반 가구나 주방 가구재용으로서 작업성을 제고하고 미관상 좋은 인상을 줄 수 있고 방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가공 목재의 표면을 코팅하거나 표면에 장식시트를 부착하는 용도에 제조비용이 저렴한 중밀도 섬유판이 활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밀도 섬유판 가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밀도 섬유판 가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 PET 접착용 래핑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 PET 접착용 래핑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플레이트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밀도 섬유판 가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밀도 섬유판 가공 방법은, 투명 PET 접착용 래핑 장치(10)를 이용하여 중밀도 섬유판(P)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투명 PET를 랩핑한다(S150).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밀도 섬유판 가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밀도 섬유판 가공 방법은, 우선 목재 파편을 중간 정도의 밀도를 갖도록 평판 형태로 압축 성형하여 제조된 중밀도 섬유판(P)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을 벨트 형상의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사포를 이용하여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샌딩 처리한다(S110).
일 실시예에서, 샌딩 단계(S110)는, 벨트 형상의 180번 사포를 이용하여 1차 샌딩 처리하되, 이때, 1차 샌딩처리에서 롤러들에 의하여 회전되는 사포벨트의 이동속도는 15m/s의 속도로 진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중밀도 섬유판(P)의 전면부를 벨트형상의 220번 사포로 폭방향인 가로 방향으로 2차 샌딩 처리한다.
상기 2차 샌딩 처리는 1차 샌딩 처리되는 방향과 수직한 가로 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220번 사포에 의해 처리된다.
이때, 벨트 형상의 220번 사포 종동축과 구동축에 연결되는 다른 회전 롤러들에 연결되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컨베이에 벨트에 의하여 길이 방향으로 들어오는 중밀도 섬유판(P)에 대하여 롤러들에 결합되어 있는 220번 사포는 수직한 가로 또는 폭 방향으로 2차 샌딩 처리한다.
이때, 2차 샌딩처리에서 롤러들에 의하여 회전되는 사포벨트의 이동속도는 6m/s의 속도로 진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중밀도 섬유판(P)의 전면부를 벨트형상의 320번 사포로 길이방향으로 3차 샌딩 처리한다.
상기 3차 샌딩 처리는 2차 샌딩 처리되는 방향과 수직한 길이 방향으로 1차 샌딩 처리와 동일한 방향으로 320번 사포에 의해 처리된다.
벨트 형상의 320번 사포는 종동축과 구동축에 연결되는 다른 구조의 회전 롤러들에 연결되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길이 방향으로 들어오는 중밀도 섬유판(P)에 대하여 롤러들에 결합되어 있는 벨트 형상의 320번 사포는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3차 샌딩 처리된다.
이때, 상기 3차 샌딩처리에서 롤러들에 의하여 회전되는 사포벨트의 이동속도는 5m/s의 속도로 진행하게 된다.
상술한 단계 샌딩 단계(S110)에 의해 샌딩이 완료된 중밀도 섬유판(P)의 먼지를 플라스틱 재질의 솔로 털어낸다(S120).
먼지 제거 단계(S120)는 3차례의 샌딩 처리 과정 중에 발생된 분진에 의하여 중밀도 섬유판(P)의 표면에 오염이 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후 접착제 도포와 표면 요철이 없이 완전한 마감처리를 위한 준비단계이다.
중밀도 섬유판(P)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정전기 방지 세정제를 도포한다(S130).
상기 세정제 도포 단계(S130)는 이후 2차 먼지 제거 단계(S140)에서 먼지를 털어낼 때 플라스틱 솔과 중밀도 섬유판 마찰면 사이에 발생되는 정전기 방지를 위해 정전기 방지 세정제(Antistatic-cleaner)를 도포해 정전기를 방지한다.
정전기를 방지하는 이유는 플라스틱 솔에 의해 제거된 먼지들이 공기중에 떠돌다 정전기에 의해 중밀도 섬유판(P) 표면에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샌딩이 완료된 중밀도 섬유판(P)의 먼지를 플라스틱 재질의 솔로 털어낸다(S140).
도 2 이하에서 후술하는 투명 PET 접착용 래핑 장치(10)를 이용하여 중밀도 섬유판(P)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투명 PET를 랩핑한다(S15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밀도 섬유판 가공 방법은, 중밀도 섬유판의 전면 또는 후면에 경화성 접착제를 도포한 후 전면과 후면을 랩핑하였을 때 요철이 없는 매끈한 표면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일반 가구나 주방 가구재용으로서 작업성을 제고하고 미관상 좋은 인상을 줄 수 있고 방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가공 목재의 표면을 코팅하거나 표면에 장식시트를 부착하는 용도에 제조비용이 저렴한 중밀도 섬유판이 활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 PET 접착용 래핑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투명 PET 접착용 래핑 장치(10)는, 이송 롤러(11), 도포 롤러(12), 도포량 조절 롤러(13), 역회전 롤러(14), 접착제 제거 블레이드(15), 투명 PET 공급 롤러(16) 및 압착 롤러(17-1, 71-2)를 포함한다.
이송 롤러(11)는, 중밀도 섬유판(P)을 이송할 수 있도록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된다.
도포 롤러(12)는, 하측에서 밀착된 상태로 이송 롤러(11)에 의해 이송 중인 중밀도 섬유판(P)의 이송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단 상측 공간에 수용되는 용융 상태의 접착제(W)를 중밀도 섬유판(P)의 상측면에 도포한다.
도포량 조절 롤러(13)는, 도포 롤러(12)의 전단에서 도포 롤러(12)와 대향하며 설치되어 후단 상측 공간과 도포 롤러(12)의 전단 상측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용융 상태의 접착제(W)가 수용되도록 하며, 도포 롤러(12)와의 이격 거리가 조절됨에 따라 도포 롤러(12)에 의해 도포되는 접착제(W)의 양을 조절한다.
즉, 도포량 조절 롤러(13)가 도포 롤러(12)와 밀착됨에 따라 도포되는 접착제(W)의 양이 줄어들게 되고, 도포량 조절 롤러(13)가 도포 롤러(12)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도포되는 접착제(W)의 양이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역회전 롤러(14)는, 도포 롤러(12)의 후단에 설치되며, 도포 롤러(12)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측에서 밀착된 상태로 이송 중인 중밀도 섬유판(P)의 상측면에 도포되어 있는 접착제(W)의 표면을 매끈하게 긁어준다.
접착제 제거 블레이드(15)는, 역회전 롤러(14)의 상측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며, 역회전 롤러(14)에 표면에 묻은 접착제(W)를 긁은 뒤 도포 롤러(12)로 넘겨준다.
투명 PET 공급 롤러(16)는, 투명 PET 권취롤이 안착되며, 투명 PET 권취롤을 회전시켜 투명 PET를 권출시켜 준다.
압착 롤러(17-1, 71-2)는, 서로 밀착되어 설치되는 제1 롤러와 제2 롤러로 이루어지며, 접착제(W)가 도포되어 있는 중밀도 섬유판(P)의 상측면에 투명 PET 공급 롤러로부터 공급되는 투명 PET를 압착하여 부착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투명 PET 접착용 래핑 장치(10)는, 핫코팅용 설비와 압착 설비를 하나의 유닛에 모아 놓은 설비로서 접착제 도포면을 매끈하게 긁어주어 투명 PET 포일을 붙여도 접착층이 깔끔하게 나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중밀도 섬유판(P)의 표면에 투명 High Gloss 또는 투명의 Super Matt 필름을 접착하여 기존의 유색 PET 포일 또는 도장 효과를 대체할 수 있다.
역회전 롤러(14)를 작동한 경우와 미작동한 경우의 차이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예로 접착제가 도포된 표면을 매끈하게 긁어주는게 기존의 COMPACT LINE과 대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투명 PET 접착용 래핑 장치(10)는, 반드시 투명 PET 포일만을 붙이는 설비는 아니며, 기존의 COMPACT LINE처럼 일반 유색 PET, PP 포일 접착 작업도 가능하며, 압착 롤러(17-1, 71-2)를 상승시키게 되면 단순 글루 스프레더 기능을 하여 HPM, 아크릴시트와 같은 판재 접착도 가능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 PET 접착용 래핑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 PET 접착용 래핑 장치(20)는, 이송 롤러(11), 도포 롤러(12), 도포량 조절 롤러(13), 역회전 롤러(14), 접착제 제거 블레이드(15), 투명 PET 공급 롤러(16), 압착 롤러(17) 및 장력 조절 롤러부(18)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송 롤러(11), 도포 롤러(12), 도포량 조절 롤러(13), 역회전 롤러(14), 접착제 제거 블레이드(15), 투명 PET 공급 롤러(16) 및 압착 롤러(17)는, 도 3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장력 조절 롤러부(18)는, 투명 PET 공급 롤러(16)와 압착 롤러(17) 사이에 설치되어 투명 PET 공급 롤러(16)로부터 압착 롤러(17)로 전달되는 투명 PET(500)의 장력을 조절한다.
일 실시예에서, 장력 조절 롤러부(18)는, 제1 지지 롤러(100), 제2 지지 롤러(200), 제1 롤러 지지부(300) 및 제2 장력 조절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롤러(100)는, 투명 PET 공급 롤러(16)로부터 전달되는 투명 PET(500)를 제2 지지 롤러(200)로 방향으로 전달하며, 제1 롤러 지지부(300) 및 제2 장력 조절부(400)에 의해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지지된다.
제2 지지 롤러(200)는, 제1 지지 롤러(100)를 경유한 뒤 전달되는 투명 PET(500)를 압착 롤러(17) 방향으로 전달하며, 제1 롤러 지지부(300) 및 제2 장력 조절부(400)에 의해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지지된다.
제1 롤러 지지부(300)는, 제2 장력 조절부(400)와 대향하며 이격 설치되어 제1 지지 롤러(100)와 제2 지지 롤러(200)의 각 일측 사이를 지지한다.
제2 장력 조절부(400)는, 제1 롤러 지지부(300)와 대향하며 이격 설치되어 제1 지지 롤러(100)와 제2 지지 롤러(200)의 각 다른 일측 사이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롤러 지지부(300)는, 중간 지지 플레이트(310), 상부 회동 플레이트(320), 상부 회동 플레이트(320), 하부 회동 플레이트(330), 제1 플레이트 지지부(340), 제2 플레이트 지지부(350), 제3 플레이트 지지부(360) 및 제4 플레이트 지지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지지 플레이트(31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에 상부 회동 플레이트(32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에 상부 회동 플레이트(32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상부 회동 플레이트(320)는, 하부가 하측으로 둥근 반원 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하부가 중간 지지 플레이트(31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지지 롤러(100)의 일측을 지지한다.
즉, 상부 회동 플레이트(320)는, 제1 지지 롤러(100)를 경유하여 이동 중인 투명 PET(500)로부터 장력이 증감이 발생되는 경우 전후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제1 플레이트 지지부(340) 및 제2 플레이트 지지부(350)에 의해 진동 또는 충격이 감쇄되어 투명 PET(500)에 항상 일정한 장력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하부 회동 플레이트(330)는, 상부 회동 플레이트(320)와 상하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부가 상측으로 둥근 반원 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상부가 중간 지지 플레이트(310)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2 지지 롤러(200)의 일측을 지지한다.
즉, 하부 회동 플레이트(330)는, 제2 지지 롤러(200)를 경유하여 이동 중인 투명 PET(500)로부터 장력이 증감이 발생되는 경우 전후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제3 플레이트 지지부(360) 및 제4 플레이트 지지부(370)에 의해 진동 또는 충격이 감쇄되어 투명 PET(500)에 항상 일정한 장력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 지지부(340)는, 상부 회동 플레이트(320)의 전단과 중간 지지 플레이트(310)의 전단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부 회동 플레이트(320)의 전단을 지지한다.
제2 플레이트 지지부(350)는, 상부 회동 플레이트(320)의 후단과 중간 지지 플레이트(310)의 후단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부 회동 플레이트(320)의 후단을 지지한다.
제3 플레이트 지지부(360)는, 하부 회동 플레이트(330)의 전단과 중간 지지 플레이트(310)의 전단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하부 회동 플레이트(330)의 전단을 지지한다.
제4 플레이트 지지부(370)는, 하부 회동 플레이트(330)의 후단과 중간 지지 플레이트(310)의 후단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하부 회동 플레이트(330)의 후단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장력 조절 롤러부(18)는, 투명 PET 공급 롤러(16)와 압착 롤러(17) 사이에 설치되어 투명 PET 공급 롤러(16)로부터 압착 롤러(17)로 전달되는 투명 PET(500)에 필요 이상의 장력이 전달되어 투명 PET(500)가 찢어지는 등의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제1 플레이트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플레이트 지지부(600)는, 상부 지지대(610), 하부 지지대(620), 장력 조절체(630) 및 테두리 지지대(640)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대(610)는, 장력 조절체(630)의 상측에 설치되어 하부 지지대(620)와 대향하면서 상부 회동 플레이트(320)의 전단 하측을 지지하며, 상부 회동 플레이트(320)의 전단 하측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을 장력 조절체(630)로 전달한다.
하부 지지대(620)는, 상부 지지대(610)와 대향하면서 중간 지지 플레이트(310)의 전단 상측을 지지하며, 상측에 연결 설치되는 장력 조절체(630)를 지지한다.
장력 조절체(630)는, 상부 지지대(610)와 하부 지지대(620)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부 회동 플레이트(320)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상부 지지대(610)와 하부 지지대(620) 간의 간격이 늘어나거나 줄어듦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상부 지지대(610)와 하부 지지대(620)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며, 측면을 따라 다수 개의 테두리 지지대(640)가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장력 조절체(630)는, 상부 회전 유도 베어링(631), 상부 지지 기둥(632), 하부 회전 유도 베어링(633), 하부 지지 기둥(634), 수직 완충 용수철(635) 및 회전 유도홈(636-1, 636-2, 636-3, 636-4)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회전 유도 베어링(631)은, 상부 지지대(610)의 하측에 설치되고, 하측에 설치되는 상부 지지 기둥(632)을 상부 지지대(61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시킨다.
상부 지지 기둥(632)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회전 유도 베어링(631)의 하측에 설치되고, 외측을 따라 다수 개의 회전 유도홈(636-1, 636-2, 636-3, 636-4)들이 형성되고, 하측에 연결 설치되는 하부 지지 기둥(634)에 의해 지지되며, 상부 회전 유도 베어링(631)으로부터 상하 방향의 외력이 전달됨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하부 회전 유도 베어링(633)은, 하부 지지대(620)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기둥(634)을 하부 지지대(62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시킨다.
하부 지지 기둥(634)은, 상부 지지 기둥(632)보다 작은 지름의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 회전 유도 베어링(633)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부 지지 기둥(632)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안착홈(6321)에 상부가 삽입되어 하부 안착홈(6321)의 상측에 설치되는 수직 완충 용수철(635)에 의해 상측이 지지되면서 상부 지지 기둥(632)을 지지한다.
수직 완충 용수철(635)은, 하부 안착홈(6321)의 상측에 설치되어 하부 안착홈(6321)으로 삽입된 하부 지지 기둥(634)의 상측을 지지하며, 상부 지지 기둥(632)과 하부 지지 기둥(634) 사이에 발생되는 상하 방향의 외력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완충시켜 준다.
회전 유도홈(636-1, 636-2, 636-3, 636-4)은, 테두리 지지대(640)의 상부 일측, 즉 안착 돌기(642)가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부 지지 기둥(632)의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형성된다.
테두리 지지대(640)는, 하부 지지대(620)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며, 각 상부가 장력 조절체(630)의 외측을 따라 연결 설치되어, 장력 조절체(630)를 지지하는 동시에 장력 조절체(630)가 수축함에 따라 장력 조절체(630)가 회전되도록 유도한다.
일 실시예에서, 테두리 지지대(640)는, 수직 지지 프레임(641), 안착 돌기(642), 돌기 헤드(643), 경사 지지 스프링(644) 및 회전 유도 돌기(645)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지지 프레임(641)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부 지지대(620)의 상부 테두리에 설치되며, 상부 일측에 안착 돌기(642)가 형성된다.
안착 돌기(642)는, 회전 유도홈(636-1, 636-2, 636-3, 636-4)과 대향하는 수직 지지 프레임(641)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며, 회전 유도홈(636-1, 636-2, 636-3, 636-4)의 내측면에 밀착 안착되며, 내측면에 회전 유도 돌기(645)가 형성된다.
돌기 헤드(643)는, 안착 돌기(642)의 전단에 형성되며, 경사 지지 스프링(644)이 안착되는 전면이 전단 상측을 향하는 경사면(6431)을 형성한다.
경사 지지 스프링(644)은, 돌기 헤드(643)의 전단 경사면(6431)에 설치되어 돌기 헤드(643)의 전단 경사면과 회전 유도홈(636-1, 636-2, 636-3, 636-4)의 전단 벽면(6361) 사이를 지지한다.
즉, 경사 지지 스프링(644)은, 상부 지지 기둥(632)이 회전하는 동시에 하강함에 따라 사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회전 유도홈(636-1, 636-2, 636-3, 636-4)의 전단 벽면(6361)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게 되는 것이다.
회전 유도 돌기(645)는, 회전 유도홈(636-1, 636-2, 636-3, 636-4)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안착 돌기(642)의 일측을 따라 형성되며, 회전 유도홈(636-1, 636-2, 636-3, 636-4)의 내측면을 따라 사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6362)에 체결되어 상부 지지 기둥(632)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딩홈(636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부 지지 기둥(632)을 회전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플레이트 지지부(600)는, 상부 회동 플레이트(32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제1 지지 롤러(100)를 경유하여 이동 중인 투명 PET(500)에 항상 일정한 장력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투명 PET 접착용 래핑 장치
11: 이송 롤러
12: 도포 롤러
13: 도포량 조절 롤러
14: 역회전 롤러
15: 접착제 제거 블레이드
16: 투명 PET 공급 롤러
17: 압착 롤러
18: 장력 조절 롤러부

Claims (2)

  1. 투명 PET 접착용 래핑 장치를 이용하여 목재 파편을 중간 정도의 밀도를 갖도록 평판 형태로 압축 성형하여 제조된 중밀도 섬유판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투명 PET를 랩핑하는 래핑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래핑 단계 이전에, 상기 중밀도 섬유판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을 벨트 형상의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사포를 이용하여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샌딩 처리하는 샌딩 단계; 샌딩이 완료된 상기 중밀도 섬유판의 먼지를 플라스틱 재질의 솔로 털어내는 1차 먼지털기 단계; 상기 중밀도 섬유판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정전기 방지 세정제를 도포하는 세정제 도포 단계; 및 샌딩이 완료된 상기 중밀도 섬유판의 먼지를 플라스틱 재질의 솔로 털어내는 2차 먼지털기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투명 PET 접착용 래핑 장치는,
    상기 중밀도 섬유판을 이송할 수 있도록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되는 이송 롤러;
    하측에서 밀착된 상태로 이송 중인 상기 중밀도 섬유판의 이송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단 상측 공간에 수용되는 용융 상태의 접착제를 상기 중밀도 섬유판의 상측면에 도포하는 도포 롤러;
    상기 도포 롤러의 전단에서 상기 도포 롤러와 대향하며 설치되어 후단 상측 공간과 상기 도포 롤러의 전단 상측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용융 상태의 접착제가 수용되도록 하며, 상기 도포 롤러와의 이격 거리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도포 롤러에 의해 도포되는 접착제의 양을 조절하는 도포량 조절 롤러;
    상기 도포 롤러의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도포 롤러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측에서 밀착된 상태로 이송 중인 상기 중밀도 섬유판의 상측면에 도포되어 있는 접착제의 표면을 매끈하게 긁어주는 역회전 롤러;
    상기 역회전 롤러의 상측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역회전 롤러에 표면에 묻은 접착제를 긁은 뒤 상기 도포 롤러로 넘겨주는 접착제 제거 블레이드;
    투명 PET 권취롤이 안착되며, 상기 투명 PET 권취롤을 회전시켜 상기 투명 PET를 권출시켜 주는 투명 PET 공급 롤러; 및
    서로 밀착되어 설치되는 제1 롤러와 제2 롤러로 이루어지며,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상기 중밀도 섬유판의 상측면에 상기 투명 PET 공급 롤러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투명 PET를 압착하여 부착시키는 압착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투명 PET 접착용 래핑 장치는,
    상기 투명 PET 공급 롤러와 상기 압착 롤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투명 PET 공급 롤러로부터 상기 압착 롤러로 전달되는 상기 투명 PET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 롤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력 조절 롤러부는,
    상기 투명 PET 공급 롤러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투명 PET를 전달하는 제1 지지 롤러;
    상기 제1 지지 롤러를 경유한 뒤 전달되는 상기 투명 PET를 상기 압착 롤러 방향으로 전달하는 제2 지지 롤러;
    상기 제1 지지 롤러와 상기 제2 지지 롤러의 각 일측 사이를 지지하는 제1 롤러 지지부; 및
    상기 제1 롤러 지지부와 대향하며 이격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롤러와 상기 제2 지지 롤러의 각 다른 일측 사이를 지지하는 제2 장력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롤러 지지부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중간 지지 플레이트;
    하부가 하측으로 둥근 반원 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중간 지지 플레이트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상부 회동 플레이트;
    상기 상부 회동 플레이트와 상하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부가 상측으로 둥근 반원 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중간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하부 회동 플레이트;
    상기 상부 회동 플레이트의 전단과 상기 중간 지지 플레이트의 전단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회동 플레이트의 전단을 지지하는 제1 플레이트 지지부;
    상기 상부 회동 플레이트의 후단과 상기 중간 지지 플레이트의 후단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회동 플레이트의 후단을 지지하는 제2 플레이트 지지부;
    상기 하부 회동 플레이트의 전단과 상기 중간 지지 플레이트의 전단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 회동 플레이트의 전단을 지지하는 제3 플레이트 지지부; 및
    상기 하부 회동 플레이트의 후단과 상기 중간 지지 플레이트의 후단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 회동 플레이트의 후단을 지지하는 제4 플레이트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 지지부는,
    상기 상부 회동 플레이트의 전단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상기 중간 지지 플레이트의 전단 상측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대;
    상기 상부 지지대와 상기 하부 지지대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상부 지지대와 상기 하부 지지대 간의 간격이 늘어나거나 줄어듦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상기 상부 지지대와 상기 하부 지지대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장력 조절체; 및
    상기 하부 지지대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며, 각 상부가 상기 장력 조절체의 외측을 따라 연결 설치되는 테두리 지지대;를 포함하는, 중밀도 섬유판 가공 방법.
  2. 삭제
KR1020210040709A 2021-03-29 2021-03-29 중밀도 섬유판 가공 방법 KR102285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709A KR102285502B1 (ko) 2021-03-29 2021-03-29 중밀도 섬유판 가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709A KR102285502B1 (ko) 2021-03-29 2021-03-29 중밀도 섬유판 가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5502B1 true KR102285502B1 (ko) 2021-08-03

Family

ID=77314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709A KR102285502B1 (ko) 2021-03-29 2021-03-29 중밀도 섬유판 가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55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232Y1 (ko) 2001-12-14 2002-02-27 임영순 난연 중밀도 섬유판
KR101828075B1 (ko) * 2017-06-12 2018-02-09 이규열 파티클 보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2005082B1 (ko) 2018-11-14 2019-07-30 제이씨씨 주식회사 친환경 중밀도 섬유판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친환경 중밀도 섬유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232Y1 (ko) 2001-12-14 2002-02-27 임영순 난연 중밀도 섬유판
KR101828075B1 (ko) * 2017-06-12 2018-02-09 이규열 파티클 보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2005082B1 (ko) 2018-11-14 2019-07-30 제이씨씨 주식회사 친환경 중밀도 섬유판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친환경 중밀도 섬유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3567B2 (ja) 接着剤が不要でダストがない複合床材料システムの製造方法
US3150022A (en) Continuous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mosaic sheets
CN108144817B (zh) 一种转移膜上胶方法
US20100080896A1 (en) Device to disperse particles onto a surface
KR102285502B1 (ko) 중밀도 섬유판 가공 방법
EP2093075A2 (en) Adhesive film for panels of mosaics tesserae and panels using said film
CN101695849A (zh) 一种环保人造板生产防止粘板的方法和装置
JPH08238736A (ja) ラミネータ
JP6754545B2 (ja) 接着剤塗布装置および建築部材
JP4143774B2 (ja) 板状物の塗装方法及び該板状物を用いた化粧板
JPH08155914A (ja) 木口面に化粧紙が貼着された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S582808B2 (ja) 塩化ビニ−ル化粧シ−トの連続貼着方法
KR102258851B1 (ko) 파티클 보드 가공 방법
JP2004331288A (ja) 移動手すり用印刷シール
CN212736430U (zh) 直线封边机
JP3361983B2 (ja) マグネットロールによる圧着成形装置
JP5846948B2 (ja) プラテンサンダー及びプラテン型ベルト研磨方法
CN211998018U (zh) 用于全自动覆膜机的上料装置
JP2920499B2 (ja) 板状物の塗装方法及び該板状物を用いた化粧板
CN211303603U (zh) 一种四辊精涂机
JPS5815083Y2 (ja) ベルトサンダ−機の踏圧パツド装置
JP2510884B2 (ja) フロ―コ―タの被塗物搬送装置
KR101060736B1 (ko) 장식용 핫픽스 부착장치
KR20230057088A (ko) 목재판 장식필름 접착장치
CN113477485A (zh) 具有砂粒层的防水材料生产装置和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