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5244B1 - 유무선 통신 기능을 통한 화재 발생 대응 및 관리 기능을 포함하는 소화기 설치용 크레이들 - Google Patents

유무선 통신 기능을 통한 화재 발생 대응 및 관리 기능을 포함하는 소화기 설치용 크레이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5244B1
KR102285244B1 KR1020200158707A KR20200158707A KR102285244B1 KR 102285244 B1 KR102285244 B1 KR 102285244B1 KR 1020200158707 A KR1020200158707 A KR 1020200158707A KR 20200158707 A KR20200158707 A KR 20200158707A KR 102285244 B1 KR102285244 B1 KR 102285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ire
fire extinguisher
wired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8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두찬
이길용
박계원
최정민
Original Assignee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8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2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62C13/78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화재 발생에 대한 종합적인 감지 및 대응이 가능하고, 특히 근거리/원거리 통신 기능을 통해서 거주자인 유저 및 해당 실내의 관리를 수행하는 원격의 관제 서버를 통해 복합적인 화재 감지 및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며, 실내 소형 소화장비의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한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 기능을 통한 화재 발생 대응 및 관리 기능을 포함하는 소화기 설치용 크레이들은, 고체 에어로졸 기반의 소형 휴대용 소화기가 거치되는 소화기 거치부; 소화기 거치부 인근에 설치되어, 거치된 소화기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 정보 데이터를 송출하는 소화기 정보 센싱 모듈; 적어도 주위의 공기 질 및 화재 발생 여부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환경 정보를 송출하는 환경 센싱 모듈; 송출된 상태 정보 데이터 및 환경 정보를 가공하여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모니터링 정보를 적어도 유저 단말 또는 원격의 관제 서버에 송출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무선 통신 기능을 통한 화재 발생 대응 및 관리 기능을 포함하는 소화기 설치용 크레이들{FIRE EXTINGUISHER INSTALLATION CRADLE HAVING FIRE RESPONSE AND MANAGEMENT FUNCTIONS THROUG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S}
본 발명은 거주지 등에 설치 가능한 소화가 설치용 크레이들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화재 감지 및 환경 정보 감지가 가능하고, 근거리 및 원거리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실내의 세이프 홈 구현이 가능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실내의 화재 감지 기능, 환경 센싱 기능, 소화기 상태 정보 센싱 기능을 포함하여 세이프 홈 구현에 필요한 데이터 처리 및 통신이 가능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홈 기술의 발달에 따라서 가정 등 거주지 내의 생활의 질은 매우 높아지고 있으나, 이와 더불어서 기술의 발달에 따른 안전 위협 요인이 점차 증가하거나 상존하고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시설물들의 발달에 따라서 초고등 거주시설 및 사회 시설들이 갖추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현장에서는 화재 발생 시 다수의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위협이 존재하는 것이다.
이러한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서, 다수의 시설물에서는 스마트 홈 기술과 연동하여 화재 발생의 감지 및 대응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은, 주로 다수 거주 시설에서 자동으로 화재 발생 등을 모니터링하고, 이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 관리 및 대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적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
즉 거주자 들의 입장에서는 해당 기술들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어렵고, 특히 화재 발생 시 초기에 이를 거주자가 주체가 되어 대응하거나, 화재 발생 시 즉각적으로 거주자들에게 이를 알릴 수 있는 기술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거주자들이 화재 발생 시 가장 쉽게 찾을 수 있는 기기는 소화기이다. 즉 화재 발생 시 거주자가 주체가 되어 화재 발생에 대응하기 위한 기기는 댁내에 설치되는 소형 소화기인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소형 소화기는 그 기능이 한정되어 있어 주로 베란다 등 실제로 화재 발생 시 찾기 어려운 장소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한국등록특허 제10-1868366호 등에서는 소화기의 일측에 설치되는 마이크 및 스피커와 함께 해당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제어 수단을 통해서 소화기 사용법 및 사용자 근접 감지 센서를 포함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접근 시 소화기의 안내 멘트를 자동으로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거주자에게 단순히 소화장비의 위치만을 안내하기 때문에, 소화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화재 초기 대응 및 대응에 대한 기능적 측면을 기대하기 힘들고, 화재 발생 시 거주자뿐 아니라 다양한 대응 주체에 대한 통합적인 화재 감시 및 대응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화재 발생에 대한 종합적인 감지 및 대응이 가능하고, 특히 근거리/원거리 통신 기능을 통해서 거주자인 유저 및 해당 실내의 관리를 수행하는 원격의 관제 서버를 통해 복합적인 화재 감지 및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며, 실내 소형 소화장비의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 기능을 통한 화재 발생 대응 및 관리 기능을 포함하는 소화기 설치용 크레이들은, 고체 에어로졸 기반의 소형 휴대용 소화기가 거치되는 소화기 거치부; 상기 소화기 거치부 인근에 설치되어, 거치된 소화기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 정보 데이터를 송출하는 소화기 정보 센싱 모듈; 적어도 주위의 공기 질 및 화재 발생 여부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환경 정보를 송출하는 환경 센싱 모듈; 송출된 상기 상태 정보 데이터 및 환경 정보를 가공하여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적어도 유저 단말 또는 원격의 관제 서버에 송출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화기 정보 센싱 모듈은, 적어도 소화기의 외면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 및 소화기의 무게를 센싱하는 하중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세서는, 기 저장된 소화기 외면의 적정 온도 범위 정보와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소화기의 외면 온도에 의하여 도출된 소화기 정상 온도 상태 여부에 대한 정보, 기 저장된 소화기의 무게 정보, 상기 하중 센서에 의하여 센싱된 소화기의 무게 정보 및 상기 고체 에어로졸 성분을 포함하는 소화제의 밀도 정보를 이용하여 연산된 소화제 부족 여부에 대한 정보, 및 기 저장된 소화기의 제조 시점 정보, 유효 사용 기간 정보 및 현재 시점 정보에 따라서 도출되는 소화기 사용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 정보로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소화기 정상 온도 상태 여부에 대한 정보, 상기 소화제 부족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소화기 사용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유저 단말의 소화기 정보 모니터링 요청 입력의 수신 시 상기 소화기의 사용 방법 안내 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환경 정보에 포함된 정보의 분석 결과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주위의 공기 내의 유독 가스 농도 정보, 화재 발생 알림 정보 및 화재 발생 신고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페어링된 유저 단말에 적어도 화재 발생 알림 정보 및 화재 발생 신고 요청 신호를 전송하며,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관제 서버에 공기 내의 유독 가스 농도 정보 및 화재 발생 알림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관제 서버에서 화재 발생 공간의 유독 가스 농도 정보 및 화재 발생 알림 정보를 이용하여 대응 방안에 대한 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관제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유무선 네트워크가 정상 동작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화재 발생에 의하여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가 비정상 동작하는 경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하여 페어링된 유저 단말에 데이터 쉐어링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쉐어링 요청에 대한 유저 단말로부터의 승인 입력을 수신 시, 유저 단말의 관제 서버와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관제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는 음성 및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환경 정보에 포함된 정보의 분석 결과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주위의 공기 내의 유독 가스 농도 정보, 화재 발생 알림 정보 및 화재 발생 신고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출력 모듈을 통해 상기 공개 내의 유독 가스 농도 정보, 화재 발생 알림 정보 및 화재 발생 신고 요청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크레이들 자체의 출력 수단뿐 아니라, 근거리/원거리 통신 수단을 통해 연결된 유저 단말 및 관제 단말에, 화재 발생에 관련된 통합적인 정보를 포함하여 화재 발생 시 대응에 영향을 미치는 공기 질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하도록 하고, 이를 소화기가 설치될 수 있는 장비에 설치함으로써, 크레이들을 실내에 설치함을 통해 통합적인 공기 질 및 화재 대응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소화기의 사용에 관련된 소화기의 상태 정보와, 화재 발생 시의 대응 및 대피 정보를 유저 단말, 관제 단말 등에 통합적으로 송신하기 때문에, 통신 기능을 활용하여 다수의 주체가 한 번에 화재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화재 대응 시의 활용 가능한 소화기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 기능을 통한 화재 발생 대응 및 관리 기능을 포함하는 소화기 설치용 크레이들의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 기능을 통한 화재 발생 대응 및 관리 기능을 포함하는 소화기 설치용 크레이들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통신 모듈의 관제 서버와의 연결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유저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관제 서버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출력 모듈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에 기재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각 구성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의 구성이 생략되거나, 과하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해당 도시 사항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및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됨이 당연할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하나의 기술적 특징 또는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에 참조되어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 기능을 통한 화재 발생 대응 및 관리 기능을 포함하는 소화기 설치용 크레이들의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 기능을 통한 화재 발생 대응 및 관리 기능을 포함하는 소화기 설치용 크레이들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통신 모듈의 관제 서버와의 연결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유저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관제 서버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출력 모듈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이다.
상술한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 기능을 통한 화재 발생 대응 및 관리 기능을 포함하는 소화기 설치용 크레이들(이하에서는 크레이들 또는 본 발명의 크레이들이라 함)은, 소화기 거치부(11), 소화기 정보 센싱 모듈(20), 환경 센싱 모듈(30), 프로세서(40) 및 통신 모듈(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추가적으로 프로세서(40)에 연동되는 출력 모듈(9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크레이들은 휴대용 소화기(10)가 설치될 수 있는 거치대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구성들을 통해서 통신 기능, 환경 센싱 기능, 소화기 상태 센싱 기능을 통해서 유저와 관제 센터의 관리자에게 실내의 다양한 정보 등을 전송하여, 유저 측면과 관리자 측면에서의 통합적인 화재 대응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장비이다.
소화기 거치부(11)는 소화기(10)가 삽입 설치되거나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어 소화기를 평소에 보관하고 있고, 화재 발생 시 유저들이 크레이들에 접근하여 소화기 거치부(11)로부터 소화기(10)를 이탈시켜 소화기(1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 소화기(10)는, 압력이 가해질 때 방출되는 액체, 파우더 또는 가스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휴대용 장치로서, 분말 등 고체형, 강화액 압축 등 액체형 등 다양한 소재로 구성되는 장비이다. 본 발명에서는 고체 에어로졸 기반의 소재와 첨가재가 혼합되어 분사될 수 있는 소형 휴대용 소화기가 본 발명에서의 소화기(1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소화기(10)는 본 발명에서의 크레이들에 설치 가능한 전용 소화기일수 있거나, 크레이들의 소화기 거치부(11)가 일반적인 휴대용 소화기의 규격에 맞도록 설계되어 다양한 소화기(1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일반적인 휴대용 소화기의 규격에 맞도록 소화기 거치부(11)가 설계되는 경우, 후술하는 통신 모듈(50)의 추가적인 기능에 의하여, 유저 단말(70)에서 초기 소화기 세팅 시 소화기(10)의 스펙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후술하는 소화기 정보 센싱 모듈(20)에 의하여 소화기(10)의 상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크레이들 전용 소화기인 경우, 유저 단말에서 별도의 소화기 세팅이 필요하지 않고 신규 소화기 설치에 대한 입력만을 수행하면, 자동으로 기 저장된 소화기 정보에 따라서 초기 정보가 세팅될 수 있다.
소화기 정보 센싱 모듈(20)은, 도 1,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기 거치부(11) 인근에 설치되어, 거치된 소화기(10)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 정보 데이터를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소화기 거치부(11) 인근에 설치됨은, 센서의 종류에 따라서 소화기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소화기가 거치되는 구성인 소화기 거치부(11)에 설치됨을 의미할 뿐이며, 그 설치 위치에 대한 직접적인 제한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소화기(10)의 상태 정보는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서, 소화기(10)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환경 센싱 모듈(30)은, 적어도 주위의 공기 질 및 화재 발생 여부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환경 정보를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주위는, 크레이들이 설치된 공간을 의미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환경 센싱 모듈(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크레이들에 설치된 구성을 의미하나, 후술하는 통신 모듈(50)의 기능을 활용하는 경우, 통신 모듈(50)과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때는 통신 모듈(50)과 인접하거나 근거리 통신 모듈의 통신 가능 범위 내에서 크레이들과 이격되어 별도로 설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유무선 네트워크에 의하여 직접 또는 후술하는 관제 서버(80)를 통하여 연동될 수 있는 환경 정보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송출하는 센서 모듈이 환경 센싱 모듈(30)에 포함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40)는, 소화기 정보 센싱 모듈(20)로부터 송출된 상태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환경 센싱 모듈(30)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신한 뒤, 이를 가공하여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통신 모듈(50)은 모니터링 정보를 적어도 유저 단말 또는 원격의 관제 서버에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프로세서(40)에 의하여 생성된 정보가 통신 모듈(50)을 통해, 유저 단말(70) 또는 관제 서버(80)에 송출됨으로써, 유저 단말(70) 및 관제 서버(80)에서 모니터링 정보를 활용하여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통신 모듈(50)은 관제 서버(80)와의 연동을 통해서 관제 서버(80)에서 입력되는 다양한 정보를 출력 수단(90) 또는 유저 단말(70)에 전송하여 화재 발생 전후의 대응 및 관리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거주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소화기 정보 센싱 모듈(20)은, 도 1 및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기의 외면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21) 및 소화기의 무게를 센싱하는 하중 센서(22)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소화기와 소화기 거치부(11) 사이의 정상 거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접촉 센서(미도시) 등의 설치 감지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온도 센서(21)는 소화기의 외면 온도를 센싱하는 구성으로서, 화재 발생 시에는 사용자가 해당 소화기를 정상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온도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온도 센서(21)에 의하여 센싱된 온도가 지나치게 높을 때에는 소화기(10)를 파지하는 것이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평상 시 및 화재 발생 시 모두의 상황에서는, 소화기(10)가 정상 작동할 수 있는 온도 범위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지나치게 온도가 낮은 경우 압력이 감소하거나 분말이 고화되어 소화기(10)가 정상작동되지 않거나, 지나치게 온도가 높은 경우 소화기(10)에 영향을 주어 소화기(10)가 정상작동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하중 센서(22)는 소화기(10)에 충진된 소화제의 양을 연산하는 데 사용된다. 즉, 초기 하중을 세팅하게 되면, 소화기(10)의 사용에 따라서 감소되는 무게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소화제의 밀도를 이용하여, 소화기(10) 내부의 소화제의 충진양을 연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 프로세스(40)는 기 저장된 소화기(10) 외면의 적정 온도 범위 정보(예를 들어 섭씨 5도 내지 40도)와 온도 센서(21)에 의하여 측정된 소화기(10)의 외면 온도에 의하여 도출된 소화기 정상 온도 상태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기 저장된 소화기(10)의 무게 정보, 하중 센서(22)에 의하여 센싱된 소화기(10)의 무게 정보 및 고체 에어로졸 성분을 포함하는 소화제의 밀도 정보를 이용하여 연산된 소화제 부족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기 저장된 소화기(10)의 제조 시점 정보, 유효 사용 기간 정보 및 현재 시점 정보에 따라서 도출되는 소화기 사용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 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이후 통신 모듈(50)은 프로세서(40)로부터 상술한 모니터링 정보로서 소화기(1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유저 단말(70) 또는 관제 서버(80)에 전송하여 소화기(10)의 상태를 관리하거나 유저에게 소화기의 상태를 관리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즉, 소화기 정상 온도 상태 여부에 대한 정보, 소화제 부족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소화기 사용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유저 단말(70)의 소화기 정보 모니터링 요청 입력의 수신 시 소화기(10)의 사용 방법 안내 정보와 함께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모니터링 요청 입력 수신 시에 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서 주기적인 전송으로 그 실시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유저가 소화기를 관리하기 위해서 소화기 정보 모니터링 요청 입력을 유저 단말(70)에서 본 발명의 모든 기능 수행을 위해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또는 접속되는 웹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행하게 되면, 통신 모듈(50)이 이를 감지하거나 관제 서버(80)로부터 수신하게 되며, 이때 상술한 소화기(10)의 상태에 관한 정보 및 소화기(10)의 사용 방법 안내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정보의 전송을 포함하여 본 발명에서 언급될 정보 등의 유저 단말(70) 및 관제 단말(80)로의 정보에 대한 전송의 개념은, 유저 단말(70) 및 관제 단말(8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서 데이터를 전송하여 유저 단말(70) 및 관제 단말(80)에 즉시 출력되게 하거나, 유저 단말(70) 및 관제 단말(80)의 정보 출력 입력에 대응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유저 단말(70) 및 관제 단말(80)에 전송하여 유저 단말(70) 및 관제 단말(80)의 저장 공간에 저장하는 방식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환경 센싱 모듈(30)에 의하여 감지되는 다양한 환경 정보 역시 유저 단말(70)에 전송되어, 유저 단말(70)을 통해 유저가 주위의 정보 및 환재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시점,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환경 센싱 모듈(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위의 공기 질 및 성분 등을 센싱하는 공기 성분 센서(31)와,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 센서(32)를 포함한다. 공기 성분 센서(31)는 미세먼지를 포함하여 일산화탄소 등 화재 발생 시 또는 평상 시 인체에 유해한 공기 성분에 대한 존재 여부 및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환경 센싱 모듈(30)은 상술한 공기 성분 데이터 및 화재 발생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환경 정보로서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40)는 환경 정보 역시 모니터링 정보로 가공하여 유저 단말(70) 또는 관제 서버(80)에 전송함으로써,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유저 단말의 화면(100)을 참조하면, 먼저 공기 상태에 대한 정보(102)가 출력되어 인근의 공기 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화재 발생 여부 정보(103) 역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소화기 정보 모니터링 요청 입력의 수행 시,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소화기(10)의 상태에 관한 정보가 출력될 수 있는데, 정상 사용 가능 정보로서 온도 정보 및 소화제 용량 정보(104)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소화기(10)의 사용 방법에 대한 정보를 작동 방법 보기 메뉴(105)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소화기(10)의 구매 일시(초기 설치 일시)에 대한 정보(101) 역시 출력되어, 유저가 소화기(10)의 유통 기한 또는 사용 기한 정보에 따라서 교체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화재 감지 센서(32)에 의하여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라면, 통신 모듈(50)에서는 화재가 발생함에 따른 대피 안내, 대응 안내 등의 정보가 송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프로세서(40)는, 환경 정보에 포함된 정보의 분석 결과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주위의 공기 내의 유독 가스 농도 정보, 화재 발생 알림 정보 및 화재 발생 신고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세서(40)에 의하여 상술한 정보가 생성되면, 통신 모듈(50)은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페어링된 유저 단말(70)에 적어도 화재 발생 알림 정보 및 화재 발생 신고 요청 신호를 전송하며,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관제 서버(80)에 공기 내의 유독 가스 농도 정보 및 화재 발생 알림 정보를 전송하여, 관제 서버(80)에서 화재 발생 공간의 유독 가스 농도 정보 및 화재 발생 알림 정보를 이용하여 대응 방안에 대한 결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유저 단말(70)과 통신 모듈(50)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 근거리 통신 수단에 의하여 연동될 수 있는데, 특히 블루투스 방식은, 각 단말이 훼손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통신 기능이 정상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후술하는 통신 모듈(50)과 관제 서버(80)의 통신 연결 보조 시에도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즉, 유저 단말(70)과 통신 모듈(60) 사이의 근거리 통신 연결은, 다양한 정보의 효과적인 전송을 위한 목적 이외에, 유저 단말(70)의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통신 모듈(60)과 관제 서버(80)와의 통신 연결 기능을 보조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관제 서버(70)와 통신 모듈(50)은 원거리 유/무선 통신 수단으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LAN, LTE, 5G, Wi-fi, IP 방송 표준 네트워크 등 다양한 알려진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도 5 및 6의 화면(110, 120)을 참조하면, 유저 단말(70)에는 화재 발생 시, 예를 들어 화면(110) 등의 팝업(Pop-Up) 메뉴가 출력되고, 이에는 화재 발생 신고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소방서 등 대응 기관에 대한 신고가 가능한 소방서 등 대응 기관에 대한 신고 메뉴(111), 대피 시의 유의 정보 등이 포함된 대피 방법 보기 메뉴(112) 및 설치된 소화기(10)의 사용 방법에 대한 안내 정보라 출력되는 메뉴(113) 등을 활용하여, 화재 발생 시의 초기 대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화면(120) 등의 구체적인 유저 단말(70)의 화면에서는, 실내의 도면의 활용이 가능 시, 평소 세팅에 있어서 실내 도면 입력 및 소화기(10)의 배치 위치에 대한 유저의 입력에 따라서 실내 공간 정보(121)가 저장되고 있다가, 화재 발생 시 소화기의 위치 정보(14), 화재 발생 위치 정보(122) 및 현관문 등의 대피 가능 위치(123)에 대한 정보가 실내 공간 정보(121)등으로 가공되어 출력되어, 유저가 화재 발생 시 소화기를 편리하게 찾고, 대피 영역을 편리하게 파악하여 초기 대응 및 안전한 대피가 직관적으로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대피 안내에 대한 정보 및 도 5와 마찬가지로 소화기(10)의 사용 방법에 대한 안내 정보라 출력되는 메뉴(124) 등을 활용하여, 화재 발생 시의 초기 대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관제 서버(80)에서는 도 7과 같은 화면(130)이 서버(80) 단말의 출력 수단에 출력될 수 있다. 즉, 화재 발생 공간에서의 환경 센싱 모듈(30)에 의하여 파악된 공기 농도 보기(131) 메뉴를 통해서 공기 내의 유독 가스 농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화재 발생 알림 정보 중, 유저의 신고가 이루어졌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와 함께, 신고 접수 시 신고에 따라서 파악된 수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132), 주변의 CCTV 등의 정보를 통해 획득 가능한 화재 발생 영역의 인근의 다양한 영상 및 환경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133)를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제 서버(80)는 해당 정보들을 소방서 등 대응 기관에 전송함으로써, 화재 발생 시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통신 모듈(50)이 탑재된 크레이들이 다수개 각각의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경우, 관제 서버(80)를 통한 통합 관리 기능을 통해서, 환경 정보 및 화재 발생 정보에 따라서 다양한 부가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즉, 관제 서버(80)는 다수의 크레이들에 탑재된 통신 모듈(50)로부터 상술한 바와 같이 출력 가능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서 역으로 크레이들 또는 유저 단말(70)에 정보를 전송하여 화재 발생에 대한 초기 대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어느 한 크레이들로부터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근처의 크레이들 및 이에 연동된 유저 단말(70)이나, 근처의 크레이들에 현재 페어링 상태가 아니나, 관제 서버(80)에 등록되어 크레이들에 연동된 바 있는 유저 단말로서 관제 서버(80)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 가능한 유저 단말에 유저와 연관된 크레이들이 설치된 장소에 인접된 크레이들에서 화재 발생이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크레이들의 통신 모듈(50)에서 이를 수신 시 주변의 페어링된 유저 단말(70)에 이를 전송하거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출력 수단(60)을 통해 직접 알리는 방식을 활용하여, 주변에 화재가 발생했음을 알리고, 이에 따라서 유저가 소화기(10)를 이용하여 주변의 화재에 함께 대응할 수 있도록 하거나, 빠른 초기 대피가 가능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관제 서버(80)에 연동된 유저 단말(70)에 화재 발생 알림을 전송하여 자신이 거주하나 현재 위치되지 않은 영역의 인근에서의 화재 발생을 알리고 이에 따라서 거주지에 대한 초기 대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화재가 발생하여 확산되는 결과 또는 화재가 직접 해당 위치에서 초기 발현된 경우, 통신 모듈(50)과 관제 서버(80)의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장비에 화재가 영향을 미침에 따라서 통신 모듈(50)과 관제 서버(80)의 통신이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 디바이스(공유기 등)가 손상되거나, 랜 선 등이 손실될 수 있고, 이 경우 통신 모듈(50)이 자체 LTE 또는 5G 등이 무선 통신 기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관제 서버(80)와의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적어도 거주자가 완전히 대피하여 화재 발생 현장에서 벗어나기 전까지만이라도 통신 모듈(50)과 관제 서버(80)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게 되면, 화재에 대한 초기 정보 파악 및 대응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동안은 통신 모듈(50)과 관제 서버(80) 사이의 통신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의 통신 모듈(50)은 관제 서버(8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유무선 네트워크가 정상 동작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화재 발생에 의하여 유무선 네트워크가 비정상 동작하는 경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하여 페어링된 유저 단말(70)에 데이터 쉐어링 요청을 전송하고, 데이터 쉐어링 요청에 대한 유저 단말(70)로부터의 승인 입력을 수신 시, 유저 단말(70)의 관제 서버(80)와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이용하여, 관제 서버(80)와의 데이터 송수신 네트워크를 연결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때 페어링된 유저 단말(70)에 데이터 쉐어링 요청을 전송하고, 데이터 쉐어링 요청에 대한 유저 단말(70)로부터의 승인 입력을 수신하는 프로세스는 화재 발생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서 생략되며 강제로 연결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 태블릿 PC, 휴대 전화기 등의 유저 단말(70)은 보통 3G, LTE(4G), 5G 등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기지국(53)을 통해 다수의 통신 가능 단말에 연결 가능하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 단말(70)과 관제 서버(80) 사이의 웹 접속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한 통신 연결은, 기지국(53)을 통한 연결로써 가능하게 된다.
이때 근거리 통신 모듈(51)은 블루투스 등 통신 모듈(50) 및 유저 단말(70) 자체에 설치되며, 원거리 통신 모듈(51)은 예를 들어 와이파이 공유기 및 랜선, 모뎀 등의 셋탑 박스 등 별도의 장비에 탑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소화기(10)가 배치되기 힘든 위치의 별도의 장비는 화재에 의하여 손상을 입을 가능성이 높고, 실제 손상이 가해지면 원거리 통신 모듈(51)을 통한 통신 모듈(50)과 기지국(53)의 연결이 불가능하고, 이에 따라서 통신 모듈(50)과 관제 서버(80)의 연결 경로(P2)는 그 기능이 중단된다.
그러나 상술한 근거리 통신 모듈(52)을 통한 통신 모듈(50)과 유저 단말(70)의 연동 및 유저 단말(70)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기지국(53) 및 이를 통한 관제 서버(80)와의 연결 경로(P1)는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는 경우, 적어도 유저 단말(70)을 소지한 인체가 화재 발생 장소를 이탈하기 전까지는 통신 모듈(50)과 관제 서버(80)가 P1 경로를 통해 연동되어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유지할 수 있음에 따라서 화재 발생 시의 초기 대응 및 관리가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간접적 정보 전달 이외에, 직접적인 정보 송출을 통해 대피 및 대응을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크레이들에는 상술한 출력 모듈(60), 즉 프로세서(40)에 연결되어 음성 및 영상 신호가 출력되는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출력 모듈(6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특히 관제 서버(80)로부터 입력되는 다양한 정보의 출력에 따라서 화재 발생 시의 대응 및 평소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프로세서(40)는 환경 정보에 포함된 정보의 분석 결과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주위의 공기 내의 유독 가스 농도 정보, 화재 발생 알림 정보 및 화재 발생 신고 요청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출력 모듈(60)을 통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모듈(60)의 상술한 영상 신호가 출력되는 세부 구성인 디스플레이 장치(90) 등을 통해서, 상기 공개 내의 유독 가스 농도 정보, 화재 발생 알림 정보 및 화재 발생 신고 요청 신호를 출력하여 현장에서 거주자 들에게 정확한 정보 출력을 통한 화재 발생 여부에 대한 관리, 소화기(10)에 대한 정보 확인 및 대피 등 초기 대응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도 8에 도시된 바 이외에, 스피커 등의 음성 출력 모듈이 존재 시 이를 통해서 음성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고체 에어로졸 기반의 소형 휴대용 소화기(10)가 거치되는 소화기 거치부(11);
    상기 소화기 거치부(11) 인근에 설치되어, 거치된 소화기(10)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 정보 데이터를 송출하는 소화기 정보 센싱 모듈(20);
    적어도 주위의 공기 질 및 화재 발생 여부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환경 정보를 송출하는 환경 센싱 모듈(30);
    송출된 상기 상태 정보 데이터 및 환경 정보를 가공하여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40); 및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적어도 유저 단말(70) 또는 원격의 관제 서버(80)에 송출하는 통신 모듈(50);을 포함하고,
    상기 소화기 정보 센싱 모듈(20)은,
    적어도 소화기(10)의 외면 온도를 센싱하여 사용자가 상기 소화기(10)를 정상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온도인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온도 센서(21) 및 소화기(10)의 무게를 센싱하는 하중 센서(22)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50)은,
    페어링된 유저 단말(70)로부터 입력된 소화기(10)의 스펙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화기 거치부(11)에 설치 가능한 소화기별로 상기 프로세서(40)가 초기 소화기 세팅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 기능을 통한 화재 발생 대응 및 관리 기능을 포함하는 소화기 설치용 크레이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40)는,
    기 저장된 소화기(10) 외면의 적정 온도 범위 정보와 상기 온도 센서(21)에 의하여 측정된 소화기(10)의 외면 온도에 의하여 도출된 소화기(10) 정상 온도 상태 여부에 대한 정보, 기 저장된 소화기(10)의 무게 정보, 상기 하중 센서(22)에 의하여 센싱된 소화기(10)의 무게 정보 및 상기 고체 에어로졸 성분을 포함하는 소화제의 밀도 정보를 이용하여 연산된 소화제 부족 여부에 대한 정보, 및 기 저장된 소화기(10)의 제조 시점 정보, 유효 사용 기간 정보 및 현재 시점 정보에 따라서 도출되는 소화기 사용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 정보로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 기능을 통한 화재 발생 대응 및 관리 기능을 포함하는 소화기 설치용 크레이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50)은,
    상기 소화기(10) 정상 온도 상태 여부에 대한 정보, 상기 소화제 부족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소화기 사용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유저 단말(70)의 소화기 정보 모니터링 요청 입력의 수신 시 상기 소화기(10)의 사용 방법 안내 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 기능을 통한 화재 발생 대응 및 관리 기능을 포함하는 소화기 설치용 크레이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40)는,
    상기 환경 정보에 포함된 정보의 분석 결과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주위의 공기 내의 유독 가스 농도 정보, 화재 발생 알림 정보 및 화재 발생 신고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 기능을 통한 화재 발생 대응 및 관리 기능을 포함하는 소화기 설치용 크레이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50)은,
    근거리 통신 모듈(50)을 이용하여 페어링된 유저 단말(70)에 적어도 화재 발생 알림 정보 및 화재 발생 신고 요청 신호를 전송하며,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관제 서버(80)에 공기 내의 유독 가스 농도 정보 및 화재 발생 알림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관제 서버(80)에서 화재 발생 공간의 유독 가스 농도 정보 및 화재 발생 알림 정보를 이용하여 대응 방안에 대한 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 기능을 통한 화재 발생 대응 및 관리 기능을 포함하는 소화기 설치용 크레이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50)은,
    상기 관제 서버(8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유무선 네트워크가 정상 동작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화재 발생에 의하여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가 비정상 동작하는 경우, 근거리 통신 모듈(50)에 의하여 페어링된 유저 단말(70)에 데이터 쉐어링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쉐어링 요청에 대한 유저 단말(70)로부터의 승인 입력을 수신 시, 유저 단말(70)의 관제 서버(80)와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관제 서버(80)와의 데이터 송수신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 기능을 통한 화재 발생 대응 및 관리 기능을 포함하는 소화기 설치용 크레이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40)에 연결되는 음성 및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 기능을 통한 화재 발생 대응 및 관리 기능을 포함하는 소화기 설치용 크레이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40)는,
    상기 환경 정보에 포함된 정보의 분석 결과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주위의 공기 내의 유독 가스 농도 정보, 화재 발생 알림 정보 및 화재 발생 신고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출력 모듈을 통해 상기 공기 내의 유독 가스 농도 정보, 화재 발생 알림 정보 및 화재 발생 신고 요청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 기능을 통한 화재 발생 대응 및 관리 기능을 포함하는 소화기 설치용 크레이들.
KR1020200158707A 2020-11-24 2020-11-24 유무선 통신 기능을 통한 화재 발생 대응 및 관리 기능을 포함하는 소화기 설치용 크레이들 KR102285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707A KR102285244B1 (ko) 2020-11-24 2020-11-24 유무선 통신 기능을 통한 화재 발생 대응 및 관리 기능을 포함하는 소화기 설치용 크레이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707A KR102285244B1 (ko) 2020-11-24 2020-11-24 유무선 통신 기능을 통한 화재 발생 대응 및 관리 기능을 포함하는 소화기 설치용 크레이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5244B1 true KR102285244B1 (ko) 2021-08-04

Family

ID=77314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8707A KR102285244B1 (ko) 2020-11-24 2020-11-24 유무선 통신 기능을 통한 화재 발생 대응 및 관리 기능을 포함하는 소화기 설치용 크레이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52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2519B1 (ko) * 2022-12-30 2024-06-05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공기 질 센서 기반의 화재 감지 및 대응 기능을 포함하는 소형 소화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8806A (ko) * 2009-03-30 2010-10-08 허성진 교육용 소화기
KR102159966B1 (ko) * 2020-03-09 2020-09-25 주식회사 나산이엔씨 스마트 박스를 이용한 지능형 소화기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8806A (ko) * 2009-03-30 2010-10-08 허성진 교육용 소화기
KR102159966B1 (ko) * 2020-03-09 2020-09-25 주식회사 나산이엔씨 스마트 박스를 이용한 지능형 소화기 관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2519B1 (ko) * 2022-12-30 2024-06-05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공기 질 센서 기반의 화재 감지 및 대응 기능을 포함하는 소형 소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5463B1 (ko) 건물 내에 설치되는 자동화재 탐지설비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제어시스템
KR102023851B1 (ko) 기존 소방감지기를 활용한 IoT 스마트 화재감지 안내시스템
KR101684374B1 (ko) 공동주택의 화재감시기능을 갖춘 소방통합관리 시스템
JP4592769B2 (ja) 基地局および移動機
KR101439860B1 (ko)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감지 방법
KR101292304B1 (ko) 화재발생 위치정보를 포함한 화재 알림 경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032406B1 (ko) 재난 경보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077185A (ja) 省電力機能を備えた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1774897B1 (ko) 화재 신호의 휴대폰 통보 및 화재수신반의 리셋 시스템
KR101399475B1 (ko) 실시간 스마트형 무인 화재 관제 시스템
KR101439267B1 (ko) 실시간 스마트형 무인 화재 관제 장치
KR102285244B1 (ko) 유무선 통신 기능을 통한 화재 발생 대응 및 관리 기능을 포함하는 소화기 설치용 크레이들
KR100927581B1 (ko) 원격 방재 관리 시스템
KR102315704B1 (ko) P형 복합식 수신기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775489B1 (ko) 소방 전원공급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JP5153206B2 (ja) 家庭用セキュリティ機器及びその端末
CN108404331A (zh) 消防预防方法、装置、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KR20120064414A (ko) 보안 이벤트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KR102296974B1 (ko) 소화전 기반 IoT 원격 화재 알림 시스템
KR101160256B1 (ko) 경보출력을 제어하는 센서 장치
KR20120026887A (ko)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
KR101527725B1 (ko)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 및 이의 관리 방법
JP5297783B2 (ja) 緊急地震通報システム
JP4951397B2 (ja) 地震通報方法とシステム
JP2023006192A (ja) 位置情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