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6887A -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6887A
KR20120026887A KR1020100089068A KR20100089068A KR20120026887A KR 20120026887 A KR20120026887 A KR 20120026887A KR 1020100089068 A KR1020100089068 A KR 1020100089068A KR 20100089068 A KR20100089068 A KR 20100089068A KR 20120026887 A KR20120026887 A KR 20120026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unit
information
wireless
relate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4521B1 (ko
Inventor
양한규
이현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스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스 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스 코리아
Priority to KR1020100089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4521B1/ko
Publication of KR20120026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 초기 화재 진압이 가능한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은 화재감지장치와, 화재와 관련된 종합 관제를 수행하는 종합관제서버와, 화재감지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재 감지 신호에 따라, 화재 발생을 안내함과 동시에, 화재가 발생한 지점으로 초기화재 진압장비를 구동시켜 화재를 진압하며, 동시에, 종합관제서버로 화재 상황을 안내하는 간이형 화재처리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화재 발생 시, 초기화재 진압장비를 자동으로 구동시켜 화재가 초기에 진압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fire with wire or wireless}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 초기 화재 진압이 가능한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발생시 이에 신속, 정확하게 대처하여 귀중한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시스템이 방재 시스템이며, 이러한 방재 시스템에는 초기화재 대응장치가 부가되어 방재를 하게 된다.
특히, 아파트, 백화점, 멀티플렉스 영화관 등과 같이 유동인구가 많은 고층건물에는 화재 발생시 이에 신속하게 대처하여 재산과 인명을 보호하기 위해 초기화재 대응장치, 예를 들어 스프링쿨러, 방화 셔터, 댐퍼(또는, 환풍기)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화재 감지시 수동으로 초기화재 대응장치를 구동시켜 방재를 하게 된다.
초기화재 대응장치를 구동시켜 방재를 수행하는 종래 방재 시스템을 살펴보면,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정보를 발생하여 이를 유선으로 송신하는 다수의 화재감지기(화재감지센서)들과, 다수의 화재감지기로부터 입력되는 화재정보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계 장치와, 중계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화재정보를 분석하여 화재발생 감지시 화재 발생 위치를 외부에 표시하고, 화재경보를 종합관제장치를 포함한다.
화재감지기는 건물 내 복수의 개소마다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고, 중계 장치는 건물 각 층에 설치되어 다수의 화재감지기로부터 입력되는 화재정보를 수신하며, 종합관제장치는 건물 전체를 통제하고 관리하는 관리실에 설치되어 중계 장치와 실시간으로 화재정보를 송수신하면서 화재 발생을 감시한다. 만일 화재가 발생하면 중계 장치와 종합관제장치는 화재경보를 발령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한 건물의 위치를 필요에 따라 연결된 관공서 등에 화재 발생 사실을 알려준다. 그러나, 이 같은 종래의 방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로, 초기화재 대응장치는 화재가 감지되고 중계 장치와 종합관제장치 간의 통신을 통해 화재로 판단될 경우, 종합관제장치를 관리하는 관리자 또는 외부 사람들이 수동으로 초기화재 대응장치를 제어하여 화재를 진압함으로써, 화재 발생시부터 초기화재 대응장치가 동작하기까지의 소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둘째로, 화재로 인해 중계 장치와 종합관제장치 간에 데이터 통신을 송수신하는 통신 장치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화재발생에 대한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하여, 초기 화재 진압이 불가능한 문제가 발생한다.
셋째로, 유선에 의한 전원 공급 방식이므로, 화재로 인해 단선 되거나 유실되는 경우, 또는 다른 요인에 의해 단선되는 경우에는 전원 공급이 불가능하여, 방재 시스템 자체가 동작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며, 화재 발생 시, 전원 공급이 차단 됨으로써, 건물 전체에 설치된 소방기기 및 기구들을 사용할 수 없다.
마지막으로, 초기화재 대응장치를 구동하고, 화재감지기로부터 감지된 화재 관련 정보를 종합관제장치로 전송하는 중계 장치는 건물의 복도에 설치되어 있어,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 시 종합관제장치로 신속하게 안내하지 못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복도와 같이 외부에서 화재가 발생 시, 실내에 있는 거주자들은 화재 발생 안내를 즉각적으로 안내 받지 못하게 되어 일분 일초가 시급한 대피 상황에서 보다 신속한 화재 진압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보다 큰 인명 및 재산 피해를 가져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화재 발생 시 건물 내에 설치된 초기화재 진압장비를 구동시켜 초기화재 진압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간이형 화재처리장치는 실내에 설치되어 별도의 중계 장치 없이 화재 감지에 따른 화재 발생을 안내함으로써, 실내에 거주하는 거주자의 화재 대응이 신속히 이루어짐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간이형 화재처리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간이형 화재처리장치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해도 복수의 간이형 화재처리장치들 간 혹은 종합관제서버 간의 화재 관련 정보가 원활히 송수신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화재감지장치와 간이형 화재처리장치 간에 지그비(Zigbee)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함으로써, 전원을 절감함과 동시에 설치에 용이함을 도모하고자함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간이형 화재처리장치와 종합관제서버 간에 유선 통신, 무선 통신, 음성 통신을 모두 이용하여 화재 관련 정보가 정상적으로 송수신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전력 공급에 의한 작동 방식이 아니라 미리 설치된 배터리에 의해 동작되어 화재 발생시 초기 화재진압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들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은 화재감지장치와, 화재와 관련된 종합 관제를 수행하는 종합관제서버와, 화재감지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재 감지 신호에 따라, 화재 발생을 안내함과 동시에, 화재가 발생한 지점으로 초기화재 진압장비를 구동시켜 화재를 진압하며 동시에, 종합관제서버로 화재 상황을 안내하는 간이형 화재처리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간이형 화재처리장치는 건물의 실내에 복수개가 설치되며, 복수의 간이형 화재처리장치들은 버스(BUS) 형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화재 발생 시, 초기화재 진압장비를 자동으로 구동시켜 화재가 초기에 진압될 수 있으며, 간이형 화재처리장치가 실내에 설치되어 거주자에게 화재 발생을 보다 빠르게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간이형 화재처리장치는 복수의 간이형 화재처리장치들 또는 화재감지장치 또는 종합관제서버 또는 관공서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통신부를 통해 화재감지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재 관련 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그 결과 정보를 종합관제서버 또는 관공서로 안내하거나 혹은 초기화재 진압장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제어부는 화재감지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재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화재 발생인지 혹은 화재 경고인지를 분석하는 화재 정보 분석부와, 화재 정보 분석부의 분석이 화재 발생이면, 스피커 및/또는 화면을 통해 화재 발생을 알리는 화재 경보부를 포함하는 화재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초기화재 진압장비는 스프링쿨러, 비상용 셔터, 비상사다리, 감시카메라를 포함하며, 화재 처리부는 화재 정보 분석부의 분석이 화재 발생이면, 화재 관련 정보에 포함된 화재 감지 정보를 참조하여 화재가 발생한 지점으로 초기화재 진압장치를 구동시키는 초기화재 진압장비 구동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화재 처리부는 화재 정보 분석부의 분석이 화재 발생이면, 종합관제서버 및 관공서로 화재 발생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화재 신고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화재 신고부는 종합관제서버 관리자의 휴대 단말기 및 관공서 담당자의 휴대 단말기로 화재 발생을 안내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화재 처리부는 화재 정보 분석부의 분석이 화재 경고이면, 종합관제서버와 스피커 및/또는 화면을 통해 화재 경고를 알리는 화재 경고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제어부는 현재 동작 상태를 체크하여 스피커 및/또는 화면을 통해 동작 상태를 안내하는 자가 진단 체크부를 더 포함하며, 화재 체크부는 화재 정보 분석부의 분석이 자가 진단 정보이거나 혹은 자가 진단 체크부에 체크된 자가 진단 정보를 종합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자가 진단 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간이형 화재처리장치는 화재감지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재 관련 정보가 화재 감지 정보인지 화재 경고 정보인지 혹은 자가 진단 정보인지를 판단하여 자체 경고하거나 혹은 종합관제서버 및 관공서로 화재 발생을 안내할 뿐만 아니라, 화재감지장치의 자가 진단 정보와 자체 자가 진단 정보를 종합관제서버로 전송하여 이상 유무를 안내함으로써, 신속한 사후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종합관제서버는 간이형 화재처리장치와 화재 감지 정보 또는 자가 진단 정보를 포함하는 화재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화재감지장치들의 식별 정보, 간이형 화재처리장치의 식별 정보, 비상 연락 번호, 지도 맵 정보, 간이형 화재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재 관련 정보가 기록되어 저장되는 메모리와, 통신부를 통해 간이형 화재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재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그에 따른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메모리에 저장하는 수신 정보 처리부와, 수신 정보 처리부를 통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재 관련 정보가 화재 감지 정보이면, 관리자로부터의 초기화재 진압 명령에 따라, 화재 감지 정보를 참조하여 화재가 발생한 지점으로 초기화재 진압장비를 구동하는 진압장비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제어부는 수신 정보 처리부를 통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재 관련 정보가 화재 감지 정보이면,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들을 참조하여 초기화재 진압장비에 포함된 감시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화면에 출력하거나 혹은 화재 관련 정보와 관련된 지점을 메모리에 저장된 지도 맵에 표시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와, 메모리에 저장된 비상 연락 번호로 화재 발생을 알려주는 비상 전화 호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화재 발생 시 관리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초기화재 진압장비를 동작시킬 수 있으며, 감시카메라를 통해 화재가 발생한 지점이 촬영된 영상을 화면에 출력하거나 혹은 해당 화재 지점을 지도 맵에 표시하여 화면에 출력함으로써, 보다 빠른 화재 발생 상황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사후 처리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은 화재 발생 시 건물 내에 설치된 초기화재 진압장비를 자동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신속하게 초기화재 진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간이형 화재처리장치는 실내에 설치되어 있어 별도의 중계 장치 없이 화재 감지에 따른 화재 발생을 안내함으로써, 실내에 거주하는 거주자의 화재 대응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의 간이형 화재처리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간이형 화재처리장치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여도 복수의 간이형 화재처리장치들과 종합관제서버 간의 화재 관련 정보가 원활히 송수신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화재감지장치와 간이형 화재처리장치 간에 지그비(Zigbee)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함으로써, 전원을 절감함과 동시에 설치에 용이함을 도모해주며, 간이형 화재처리장치와 종합관제서버 간의 통신은 모든 통신이 가능함으로써, 간이형 화재처리장치와 종합관제서버 간의 화재 관련 정보가 정상적으로 송수신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간이형 화재처리장치는 화재감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화재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거주자에게 화재 경고를 안내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 발생시 종합관제서버와 관공서로 화재 발생을 안내함으로써, 화재 신고 접수 단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종합관제서버는 화재감지장치로부터 감지된 화재 발생 상황을 안내 및 화재 발생 지점이 촬영된 영상을 화면으로 출력함으로써, 관리자는 화재 발생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하여 화재 발생을 진압할 수 있으며, 화재 진압 후의 사후 처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형 화재처리장치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화재 진압장비를 도시한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합관제서버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은 화재감지장치(100), 간이형 화재처리장치(200), 초기화재 진압장비(300), 종합관제서버(400)를 포함한다.
화재감지장치(100)는 건물 내 복수의 개소 혹은 실내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화재 관련 정보를 화재처리장치(200)로 전송한다. 이 같은 화재감지장치(100)는 실내의 온도, 가스 등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화재 관련 정보를 화재처리장치(200)로 전송한다. 간이형 화재처리장치(200)는 화재감지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화재 감지 신호에 따라, 화재 발생을 안내함과 동시에, 화재가 발생한 지점으로 초기화재 진압장비(300)를 구동시켜 초기에 화재를 진압한다. 뿐만 아니라, 간이형 화재처리장치(200)는 화재감지장치(100)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종합관제서버(400)로 화재 발생 상황을 안내한다. 이 같은 간이형 화재처리장치(200)는 건물의 실내에 복수개가 설치되며, 복수의 간이형 화재처리장치(200)들은 버스(BUS) 형태로 연결되어 쌍방향 통신을 함으로써, 복수의 간이형 화재처리장치(200)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간이형 화재처리장치(200)의 동작에 이상이 발생해도 복수의 간이형 화재처리장치(200)들과 종합관제서버(400) 간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간이형 화재처리장치(200)는 건물의 실내에 설치됨에 따라, 실내에서 생활하는 거주자는 화재 발생 상황을 쉽고 빠르게 인지하여 그에 따른 대피를 신속히 할 수 있다.
초기화재 진압장비(300)는 소방서와 같은 관공서(500)에서 화재가 발생한 장소로 출동하기 전까지 화재가 발생한 지점을 초기에 진압하거나 건물에 있는 거주자들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진압장비로써, 스프링쿨러, 비상용 셔터, 비상사다리 등이 될 수 있다. 종합관제서버(400)는 복수의 간이형 화재처리장치(200)들과 화재감지장치(100)로부터 감지된 화재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화재 발생 상황을 체크하여 화재 발생 시 그에 따른 화재 발생 상황은 안내하는 서버로써, 일 예로 건물 관리 서버가 될 수 있다.
즉, 복수의 화재감지장치(100)들 중 적어도 하나의 화재감지장치(100)로부터 화재 관련 정보를 수신한 간이형 화재처리장치(200)는 화재감지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화재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화재 관련 정보가 화재 발생 정보인지 아니면 화재 경고 정보인지를 판단한다. 이후, 간이형 화재처리장치(200)는 화재감지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화재 관련 정보의 분석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수신된 화재 관련 정보가 화재 발생 정보이면, 간이형 화재처리장치(200)는 비상벨과 같은 경음기를 통해 실내에 있는 거주자에게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알린다. 이와 함께, 간이형 화재처리장치(200)는 수신된 화재 관련 정보를 참조하여 화재가 발생한 지점으로 초기화재 진압장비(300)를 동작시켜 화재가 진압되도록 처리한다. 뿐만 아니라, 간이형 화재처리장치(200)는 종합관제서버(400)와 관공서(500)로 화재 발생을 안내하고, 보다 신속한 화재 진압을 위해서 종합관제서버(400) 관리자 또는 관공서(500) 담당자의 휴대 단말기로 화재 발생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종합관제서버(400) 관리자 또는 관공서(500) 담당자는 화재 발생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하여 화재 발생을 진압하고, 화재 진압 후의 사후 처리까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장치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감지장치(100)는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10), 다수의 간이형 화재처리장치(200)들과 화재 관련 정보들을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120),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30)를 포함한다.
감지센서(110)는 화재 감지를 위한 센서로써, 열을 검출하는 열 감지센서,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감지센서, 연기를 검출하는 연기 감지센서, 가스 누출을 감지하는 가스 감지 센서, 열이나 온도, 연기 또는 가스를 복합적으로 검출하는 복합 감지센서, 영상을 통해 화재를 감지하는 영상 감지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20)는 감지센서(110)에서 감지된 화재 감지 신호 또는 자가 진단 정보를 포함하는 화재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간이형 화재처리장치(200)로 전송한다. 이 같은 무선 통신부(120)는 지그비 통신 모듈 또는 블루투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그비 통신 모듈의 경우 일반적인 RF 통신 방식에 비해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근거리 무선 통신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의 정확성을 도모하고, 설치시 별도의 장치가 필요 없어 그에 따른 편리함을 제공한다.
감지센서(110)와 무선 통신부(12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30)는 변환부(131), 전원 공급부(132), 체크부(133)를 통해 달성할 있다. 변환부(131)는 집광판으로부터 수집된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며, 전원 공급부(132)는 변환부(131)로부터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배터리(134)에 충전하며, 배터리(134)에 충전된 전기 에너지를 전술한 감지센서(110)와 무선 통신부(120)에 공급한다. 체크부(133)는 배터리(134)의 충전 상태를 체크한다. 즉, 체크부(133)는 배터리(134)의 전압이 기설정된 전압 이하인지를 체크한다. 체크 결과, 배터리(134)의 전압이 기설정된 전압 이하이면, 화재감지장치(100)는 전원 공급부(132)를 통해 배터리(134)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이에 따라,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도 배터리(134) 내에 충전된 전원을 감지센서(110)와 무선 통신부(120)에 공급하여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32)를 통해 배터리(134)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 이후에도 체크부(133)의 체크 결과, 배터리(134)의 전압이 기설정된 전압 이하이면, 배터리 이상과 관련된 자가 진단 정보를 포함하는 화재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120)를 통해 간이형 화재처리장치(200)로 전송한다. 이 같이, 체크부(133)를 통해 배터리(134)의 충전 상태를 체크하여 이상이 발생 시 외부로 안내함으로써, 사후 조치가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형 화재처리장치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간이형 화재처리장치(200)는 통신부(210),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버스로 연결된 복수의 간이형 화재처리장치(200)들 또는 화재감지장치(100) 또는 종합관제서버(400) 또는 관공서(5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이 같은 통신부(210)는 무선 통신부(211), DTMF 신호 송수신부(212)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211)는 화재감지장치(100)와 지그비 통신 모듈 또는 블루투스를 통해 화재 감지 정보 또는 자가 진단 정보를 포함하는 화재 관련 정보를 송수신한다. DTMF 신호 송수신부(212)는 종합관제서버(400)와 DTMF 신호로 화재감지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화재 관련 정보를 송수신한다. 즉, DTMF 신호 송수신부(212)는 종합관제서버(400)로부터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신호 처리하여 변환한 후, 제어부(220)로 전송하거나, 제어부(220)로부터 수신된 화재 관련 정보를 DTMF 신호로 변환하여 종합관제서버(400)로 전송한다.
한편, 통신부(210)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유선 통신부(213), 음성 통신부(214)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유선 통신부(213)는 RS485 통신 또는 RS232C 통신을 통해 종합관제서버(400) 또는 관공서(500)와 화재 관련 정보를 송수신한다. 실시예에 따라, DTMF 신호 송수신부(212)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여 종합관제서버(400)와 데이터 통신이 불가능할 경우, 유선 통신부(213)인 RS485 또는 RS232C 통신을 통해 종합관제장치(500)와 화재 관련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음성 통신부(214)는 음성 신호를 이용하여 종합관제서버(400)와 통신한다. 간이형 화재처리장치(200)에는 종합관제서버(400)와 음성 통신이 가능한 마이크가 구비되어 있으며, 화재가 발생 시, 실내에 있는 거주자는 간이형 화재처리장치(200)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종합관제서버(400) 관리자와 음성으로 화재 관련 정보를 전달한다.
제어부(220)는 전술한 통신부(210)를 통해 화재감지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화재 관련 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그 결과 정보를 종합관제서버(400) 또는 관공서(500)로 안내하거나 혹은 초기화재 진압장비(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같은 제어부(220)는 화재 정보 분석부(221), 화재 처리부(222)를 통해 달성할 수 있다. 화재 정보 분석부(221)는 무선 통신부(211)를 통해 화재감지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화재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된 화재 관련 정보가 화재 발생과 관련된 정보인지 아니면 화재 경고와 관련된 정보인지를 분석한다.
화재 처리부(222)는 화재 정보 분석부(221)의 분석 결과에 따라 화재 발생을 안내하거나 혹은 화재 경고를 안내하는 것으로써, 화재 경보부(223), 초기화재 진압장비 구동부(224), 화재 신고부(225), 화재 경고부(226), 자가 진단 처리부(227)를 통해 달성할 수 있다.
화재 경보부(223)는 화재 정보 분석부(221)의 분석이 화재 발생이면, 스피커 및/또는 화면을 통해 실내에 있는 사람들에게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알린다. 초기화재 진압장비 구동부(224)는 화재 정보 분석부(221)의 분석이 화재 발생이면, 화재 관련 정보에 포함된 화재 감지 정보를 참조하여 화재가 발생한 지점으로 초기화재 진압장비(300)를 구동시켜 초기에 화재 진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초기화재 진압장비(300)는 스프링쿨러, 비상용 셔터, 비상사다리, 감시카메라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스프링쿨러는 화재 발생 시, 해당 화재 지점을 살수하며, 비상용 셔터는 화재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며, 비상사다리는 화재 발생 시, 실내에 있는 거주자들이 화재가 발생한 지점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한다. 감시카메라는 화재가 발생한 지점을 촬영하는 것으로 종합관제서버(400) 관리자의 요청 시 혹은 화재가 발생한 즉시 화재 발생 지점을 촬영하여 종합관제서버(400)로 전송한다. 이 같은 초기화재 진압장비(300)의 동작은 초기화재 진압장비 구동부(224)의 구동 명령 또는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동작한다. 이하에서는 초기화재 진압장비 구동부(224)의 구동 명령에 따라 초기화재 진압장비(300)에 포함된 각각의 장비들을 구동하는 초기화재 진압장비(300)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화재 진압장비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화재 진압장비(300)는 초기화재 진압을 위한 진압 장비인 스프링쿨러(310), 비상용 셔터(320), 비상사다리(330), 감시카메라(340)와 초기화재 진압장비 구동부(224)의 구동 명령에 따라 각각의 진압 장비를 구동하는 구동부(35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쿨러(310)는 화재 발생 시, 해당 화재 지점을 살수하며, 비상용 셔터(320)는 화재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며, 비상사다리(330)는 화재 발생 시, 사람들이 외부로 탈출하도록 한다. 화재가 발생한 지점을 촬영하는 감시카메라(340)는 종합관제서버(400) 측의 요청에 따라 혹은 화재가 발생 시 즉각적으로 화재 발생 지점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종합관제서버(400)에서 발생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화재 원인 등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데이터로 사용하게 된다.
구동부(350)는 전술한 초기화재 진압을 위한 각각의 진압 장비들을 동작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 같은 구동부(350)는 각각의 진압 장비들을 개별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진압 장비들과 대응되어 구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나의 구동부(350)가 각각의 진압 장비들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이 같은 구동부(350)는 수동 스위치(351), 스위칭소자(352), 배터리(353)를 포함한다. 수동 스위치(351)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각각의 진압 장비들을 동작시킨다. 스위칭소자(352)는 초기화재 진압장치 구동부(224)의 구동 명령에 따라 각각의 진압 장비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릴레이는 스위칭소자(352)로부터 출력된 구동신호를 각각의 진압 장비들로 전송하며, 배터리(353)는 각각의 진압 장비들이 구동되도록 전원을 공급한다.
실시예에 따라, 초기화재 진압장비 구동부(224)로부터 초기화재 진압장비(300)의 각각의 진압 장비들 중 스프링쿨러(310)와 관련된 구동 명령 정보가 수신되면, 스프링쿨러(310)와 대응되는 구동부(350)의 스위칭소자(352)는 스프링쿨러(310)가 동작되도록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구동신호가 출력되면, 릴레이는 출력된 구동신호를 스프링쿨러(310)로 전송한다. 한편,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수동 스위치(351)가 스위칭되면, 수동 스위치(351)는 스프링쿨러(31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스프링쿨러(310)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수동 스위치(351)가 스위칭되거나 또는 스위칭소자(352)를 통해 출력된 구동신호가 릴레이를 통해 스프링쿨러(310)로 전송되면, 스프링쿨러(310)는 배터리(353)로부터 공급된 전원으로 구동되어 해당 화재 지점을 살수한다.
화재 신고부(225)는 화재 정보 분석부(221)의 분석이 화재 발생이면, 화재 신고 DB(230)에 저장된 화재 발생 안내 메시지를 종합관제서버(400) 및 관공서(500)로 전송한다. 여기서, 화재 발생 안내 메시지는 화재가 발생한 지점의 위치 정보와 해당 건물 관리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 같은 화재 신고부(225)는 화재 발생 신고가 완벽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화재 신고 DB(230)에 기저장된 화재 신고 연락처를 참조하여 종합관제서버(400) 관리자의 휴대 단말기와 관공서(500) 담당자의 휴대 단말기로 화재 발생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다.
한편, 화재 정보 분석부(221)의 분석이 화재 경고이면, 화재 경고부(226)는 종합관제서버(400)와 스피커 및/또는 화면을 통해 실내에 있는 거주자들에게 화재 경고를 알린다. 실시예에 따라, 간이형 화재처리장치(200)는 화재 경고를 알리는 온도값이 기설정되어 있으며, 화재감지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온도값이 기설정된 온도값을 초과하면, 화재 정보 분석부(221)는 화재 경고임으로 판단한다. 이에 따라, 화재 경고부(226)는 종합관제서버(400)와 스피커 및/또는 화면을 통해 실내에 있는 거주자들에게 화재 경고를 알림으로써, 화재 발생을 미리 차단할 수 있다. 자가 진단 처리부(227)는 화재 정보 분석부(221)의 분석이 자가 진단 정보이면, 이를 종합관제서버(400)로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제어부(220)는 현재 동작 상태를 체크하여 스피커 및/또는 화면을 통해 동작 상태를 체크하는 자가 진단 체크부(228)를 더 포함한다. 자가 진단 체크부(228)는 자체적으로 각 구성들의 동작 상태를 체크하거나 또는 종합관제서버(400)로부터 수신된 자가 진단 체크 요청에 따라 동작 상태를 체크한다. 이 같이, 각 구성들의 동작 상태가 체크된 자가 진단 정보는 자가 진단 처리부(228)를 통해 종합관제서버(400)로 전송됨으로써, 종합관제서버(400)의 관리자는 화재감지장치(100) 또는 간이형 화재처리장치(200)의 동작 상태를 화면을 통해 모니터링 하여 각 장치들이 이상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합관제서버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합관제서버(400)는 간이형 화재처리장치(200)와 화재 감지 정보 또는 자가 진단 정보를 포함하는 화재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410), 화재 관련 정보가 기록되어 저장되는 메모리(420), 화재 상황을 안내하며 초기화재 진압장비(300)를 구동하는 제어부(430)를 포함한다.
간이형 화재처리장치(200)와 화재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410)는 DTMF 신호 송수신부(411)와 유선 통신부(412), 음성 통신부(413)를 포함한다. DTMF 신호 송수신부(411)는 간이형 화재처리장치(200)와 DTMF 신호로 화재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으로써, 간이형 화재처리장치(200)로부터 DTMF 신호로 화재 관련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DTMF 신호에서 화재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제어부(43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430)는 DTMF 신호 송수신부(411)로부터 수신된 화재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DTMF 신호 송수신부(411)는 제어부(43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초기화재 진압장비(300)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신호 또는 상태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화재 관련 정보를 DTMF 신호로 변환하여 간이형 화재처리장치(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태 요청 정보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장치(100) 또는 실내에 설치되는 간이형 화재처리장치(200) 또는 초기화재 진압을 위한 초기화재 진압장비(300)의 동작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정보이다.
유무 통신부(412)는 RS485 통신 또는 RS232C 통신을 통해 간이형 화재처리장치(200)와 화재 관련 정보를 송수신한다. 실시예에 따라, DTMF 신호 송수신부(411)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여 간이형 화재처리장치(200)와 데이터 통신이 불가능할 경우, 유선 통신부(412)인 RS485 또는 RS232C 통신을 통해 간이형 화재처리장치(200)와 화재 관련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음성 통신부(413)는 음성 신호를 이용하여 간이형 화재처리장치(200)와 통신한다. 이 같은 음성 통신부(413)를 통해 종합관제서버(400) 관리자는 실내에 있는 거주자와 음성으로 화재 상황을 보고받을 수 있다.
간이형 화재처리장치(200)로부터 수신된 화재 관련 정보가 기록되어 저장되는 메모리(420)는 복수의 화재감지장치(100)들의 식별 정보와 복수의 간이형 화재처리장치(200)들의 식별 정보, 비상 연락 번호, 지도 맵 정보가 저장된다. 화재 발생 시, 화재가 발생한 지점으로 초기화재 진압장비(300)를 구동하는 제어부(430)는 수신 정보 처리부(431), 진압장비 구동부(432), 영상 출력부(433), 비상 전화 호출부(434)를 통해 달성할 수 있다.
수신 정보 처리부(431)는 통신부(410)를 통해 간이형 화재처리장치(200)로부터 수신된 화재 관련 정보가 화재 감지 정보인지 아니면 자가 진단 정보인지를 판단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메모리(420)에 저장한다.
진압장비 구동부(432)는 수신 정보 처리부(431)를 통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재 관련 정보가 화재 감지 정보이면, 관리자로부터의 초기화재 진압 명령에 따라, 화재 감지 정보에 포함된 화재감지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화재가 발생한 지점으로 초기화재 진압장비(300)를 동작시켜 화재가 초기가 진압되도록 처리한다. 영상 출력부(433)는 수신 정보 처리부(431)를 통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재 관련 정보가 화재 감지 정보이면,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메모리(420)에 저장된 정보들을 참조하여 초기화재 진압장비(300)인 감시카메라로부터 촬영된 화재발생 지점의 영상을 화면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종합관제서버(400) 관리자는 화재가 발생한 건물 실내 내부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사후 처리를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영상 출력부(433)는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메모리(420)에 저장된 건물의 지도 맵 정보를 이용하여 화재 감지 정보와 관련된 지점을 해당 지도 맵 정보에 표시하여 화면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화면에 출력된 지도 맵에 표시된 화재 지점을 확인하여 화재가 발생한 지점으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다.
비상 전화 호출부(434)는 화재 감지 정보를 포함하는 화재 관련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메모리(420)에 저장된 비상 연락 번호로 종합관제서버(400) 관리자 또는 관공서(500) 담당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화재 발생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화재 발생 안내 메시지를 수신한 종합관제서버(400) 관리자 또는 관공서(500) 담당자는 신속하게 화재 발생 상황을 파악하여 화재 발생을 진압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화재감지장치 110 : 감지센서
120 : 무선 통신부 130 : 전원부
131 : 변환부 132 : 전원 공급부
133 :체크부 134 : 배터리
200 : 간이형 화재처리장치 210 : 통신부
220 : 제어부 211 : 무선 통신부
212 : DTMF 신호 송수신부 213 : 유선 통신부
214 : 음성 통신부 220 : 제어부
221 : 화재 정보 분석부 222 : 화재 처리부
223 : 화재 경보부 224 : 초기화재 진압장비 구동부
225 : 화재 신고부 226 : 화재 경고부
227 : 자가 진단 처리부 228 : 자가 진단 체크부
300 : 초기화재 진압장비 310 : 스프링쿨러
320 : 비상용셔터 330 : 비상사다리
340 : 감시카메라 350 : 구동부
351 : 수동 스위치 352 : 스위칭소자
353 : 배터리 400 : 종합관제서버
410 : 통신부 420 : 메모리
430 : 제어부 411 : DTMF 신호 송수신부
412 : 유선 통신부 413 : 음성 통신부
431 : 수신 정보 처리부 432 : 진압장비 구동부
433 : 영상 출력부 434 : 비상 전화 호출부
500 : 관공서

Claims (15)

  1. 화재감지장치와;
    화재와 관련된 종합 관제를 수행하는 종합관제서버와;
    상기 화재감지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재 감지 신호에 따라, 화재 발생을 안내함과 동시에, 화재가 발생한 지점으로 초기화재 진압장비를 구동시켜 화재를 진압하며, 동시에 상기 종합관제서버로 화재 상황을 안내하는 간이형 화재처리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이형 화재처리장치는:
    건물의 실내에 복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간이형 화재처리장치들은 버스(BUS) 형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장치는: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화재 감지 정보 또는 자가 진단 정보를 포함하는 화재 관련 정보를 상기 간이형 화재처리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와;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상기 변환부로부터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배터리에 충전하며,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감지센서 및 상기 무선 통신부에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체크하는 체크부를 포함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간이형 화재처리장치는:
    상기 복수의 간이형 화재처리장치들 또는 상기 화재감지장치 또는 상기 종합관제서버 또는 관공서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화재감지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재 관련 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그 결과 정보를 상기 종합관제서버 또는 관공서로 안내하거나 혹은 상기 초기화재 진압장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감지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재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화재 발생인지 혹은 화재 경고인지를 분석하는 화재 정보 분석부와;
    상기 화재 정보 분석부의 분석이 화재 발생이면, 스피커 및/또는 화면을 통해 화재 발생을 알리는 화재 경보부를 포함하는 화재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재 진압장비는:
    스프링쿨러, 비상용 셔터, 비상사다리, 감시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화재 처리부는
    상기 화재 정보 분석부의 분석이 화재 발생이면, 상기 화재 관련 정보에 포함된 화재 감지 정보를 참조하여 화재가 발생한 지점으로 상기 초기화재 진압장치를 구동시키는 초기화재 진압장비 구동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처리부는:
    상기 화재 정보 분석부의 분석이 화재 발생이면, 상기 종합관제서버 및 상기 관공서로 화재 발생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화재 신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신고부는:
    상기 종합관제서버 관리자의 휴대 단말기 및 상기 관공서 담당자의 휴대 단말기로 화재 발생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처리부는:
    상기 화재 정보 분석부의 분석이 화재 경고이면, 상기 종합관제서버와 상기 스피커 및/또는 상기 화면을 통해 화재 경고를 알리는 화재 경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동작 상태를 체크하여 스피커 및/또는 화면을 통해 동작 상태를 안내하는 자가 진단 체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재 체크부는
    상기 화재 정보 분석부의 분석이 자가 진단 정보이거나 혹은 상기 자가 진단 체크부에 체크된 자가 진단 정보를 상기 종합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자가 진단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화재감지장치와 지그비 통신 모듈 또는 블루투스를 통해 상기 화재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종합관제서버와 DTMF 신호로 상기 화재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는 DTMF 신호 송수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화재감지장치와 지그비 통신 모듈 또는 블루투스를 통해 상기 화재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RS485 통신 또는 RS232C 통신을 통해 상기 종합관제서버 또는 관공서와 상기 화재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는 유선 통신부와;
    음성 신호를 통해 상기 종합관제서버 또는 관공서와 상기 화재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는 음성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합관제서버는:
    상기 간이형 화재처리장치와 화재 감지 정보 또는 자가 진단 정보를 포함하는 화재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화재감지장치들의 식별 정보, 상기 간이형 화재처리장치의 식별 정보, 비상 연락 번호, 지도 맵 정보, 상기 간이형 화재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재 관련 정보가 기록되어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간이형 화재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재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그에 따른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수신 정보 처리부와,
    상기 수신 정보 처리부를 통해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재 관련 정보가 화재 감지 정보이면, 관리자로부터의 초기화재 진압 명령에 따라, 상기 화재 감지 정보를 참조하여 화재가 발생한 지점으로 상기 초기화재 진압장비를 구동하는 진압장비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 정보 처리부를 통해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재 관련 정보가 화재 감지 정보이면, 상기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들을 참조하여 상기 초기화재 진압장비에 포함된 감시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화면에 출력하거나 혹은 상기 화재 관련 정보와 관련된 지점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지도 맵에 표시하여 상기 화면에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비상 연락 번호로 화재 발생을 알려주는 비상 전화 호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간이형 화재처리장치와 DTMF 신호로 상기 화재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는 DTMF 신호 송수신부와;
    상기 간이형 화재처리장치와 RS485 통신 또는 RS232C 통신을 통해 상기 화재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는 유선 통신부와;
    상기 간이형 화재처리장치와 음성 신호로 통신하는 음성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


KR1020100089068A 2010-09-10 2010-09-10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 KR101154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068A KR101154521B1 (ko) 2010-09-10 2010-09-10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068A KR101154521B1 (ko) 2010-09-10 2010-09-10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887A true KR20120026887A (ko) 2012-03-20
KR101154521B1 KR101154521B1 (ko) 2012-06-13

Family

ID=46132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068A KR101154521B1 (ko) 2010-09-10 2010-09-10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452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680B1 (ko) * 2012-06-18 2013-01-22 주식회사 다스 코리아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
KR20170060228A (ko) * 2015-11-23 2017-06-01 이교준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
KR102132288B1 (ko) * 2020-02-04 2020-07-09 (주)일선시스템 IoT 기능을 탑재한 소화 장치
KR102545774B1 (ko) * 2022-01-07 2023-06-22 (주)상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소방용 화재경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860B1 (ko) 2013-06-21 2014-09-16 최진상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감지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3047B1 (ko) * 2003-06-25 2005-10-24 신창 디지털 방재 주식회사 디지털 무선통신을 이용한 방재시스템
JP5276764B2 (ja) 2005-03-24 2013-08-28 株式会社大林組 火災監視システム
KR20100002104A (ko) * 2008-06-26 2010-01-06 주식회사 보생디에프에스 무선 디지털 통합 방재시스템
JP2010061365A (ja) 2008-09-03 2010-03-18 Hochiki Corp 火災感知器及び消火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680B1 (ko) * 2012-06-18 2013-01-22 주식회사 다스 코리아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
KR20170060228A (ko) * 2015-11-23 2017-06-01 이교준 화재연기 확산방지 장치
KR102132288B1 (ko) * 2020-02-04 2020-07-09 (주)일선시스템 IoT 기능을 탑재한 소화 장치
WO2021157770A1 (ko) * 2020-02-04 2021-08-12 (주)일선시스템 IoT 기능을 탑재한 소화 장치
KR102545774B1 (ko) * 2022-01-07 2023-06-22 (주)상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소방용 화재경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4521B1 (ko) 201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680B1 (ko)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
KR101827733B1 (ko) 지능형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772806B1 (ko) 화재 발생 위치에 따라 대피 방향이 자동으로 변환되는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200152035A1 (en) Remote disaster prevention system
KR101154521B1 (ko)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
JP5245054B2 (ja) 警報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警報システム
WO2019221312A1 (ko) 인명구조정보를 포함하는 화재정보 제공 기능을 갖는 화재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41155B1 (ko)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경보 시스템
KR101399475B1 (ko) 실시간 스마트형 무인 화재 관제 시스템
KR20190094672A (ko) 무선 화재경보시스템 및 방법
KR20100002104A (ko) 무선 디지털 통합 방재시스템
KR20140094680A (ko) 실시간 스마트형 무인 화재 관제 장치
KR101931558B1 (ko) 화재 진압 스마트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1269232B1 (ko) 화재 속보 기능을 겸한 화재 수신 장치
KR20100012093U (ko) 119 화재 알림 장치
KR102462358B1 (ko) 화재감시시스템
KR200466854Y1 (ko) 화재 발생 표시 및 진압 박스
KR101176608B1 (ko) 통합 화재 처리 장치
KR102119894B1 (ko) 사용자 이동단말을 이용한 화재 무선 제어 시스템
KR200463408Y1 (ko) 긴급 구조 알림 장치
US20170018163A1 (en) Method for triggering of the emergency responding system by using human scream
KR101063309B1 (ko) 엘리베이터의 방범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방범시스템
KR102349423B1 (ko) 소방용 스마트 화재 감지장치
KR101028753B1 (ko) 통신기능을 구비한 전력 감시용 화재수신기
KR102427445B1 (ko) 비상방송 축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