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4093B1 - 가축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가축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4093B1
KR102284093B1 KR1020190099745A KR20190099745A KR102284093B1 KR 102284093 B1 KR102284093 B1 KR 102284093B1 KR 1020190099745 A KR1020190099745 A KR 1020190099745A KR 20190099745 A KR20190099745 A KR 20190099745A KR 102284093 B1 KR102284093 B1 KR 102284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transport
conveyor
frame
livest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0441A (ko
Inventor
신대식
Original Assignee
신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대식 filed Critical 신대식
Priority to KR1020190099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093B1/ko
Publication of KR20210020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01Fodder distributors with mixer or shredder
    • A01K5/002Fodder distributors with mixer or shredder with mixing or shredding element rotating on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08Automatic devices with conveyor bel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6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 B65G47/57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65G2203/0283Position of the load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료를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일측부에 구성되며, 이송되는 사료를 공급하여 일정기간 저장 및 배출될 수 있도록 되도록 하고, 저장된 사료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운송하는 사료 운송수단; 일측부에 상기 사료 운송수단의 승강 작동을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타측 상단부로 저장된 상기 사료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부에 다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사료 운송수단으로부터 사료를 공급받아 적재 및 저장하는 적재 컨베이어와, 상기 적재 컨베이어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며, 적재된 사료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 및 사료 운송수단의 작동에 의해 저장된 상기 사료가 투입되며, 투입된 사료를 일정 크기로 분쇄하여 배출하는 사료 분쇄기; 및 상기 사료 분쇄기의 일측부에 구성되고, 축사의 전방부에 구성되어 배출되는 절단된 사료를 각 축사 마다 공급하는 공급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축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Feeding and feeding device for livestock}
본 발명은 가축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축용 사료를 분쇄기의 상부에서 낙하하는 방식으로 투입하여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볏짚 등과 같은 사료의 분쇄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사료의 분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분쇄된 사료를 자동으로 축사의 전방으로 자동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사료의 공급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축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산 농가에는 가축의 사료 섭취량을 통제하고, 사료를 보다 효율적으로 급여하여 가축이 사료를 과도하게 섭취하는 것을 방지하며, 이를 통해 사료 및 가축 생육 비용을 절감하도록 사료를 자동으로 정량 공급하는 사료 자동공급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일 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57897호(이하, 선행기술문헌1이라고 함.)에는, 사료챔버를 축사의 급이 경로에서 전진 또는 후진시키기 위하여 축사 구조물에 부설하는 현가 레일과; 사료챔버의 전,후 부분을 레일에 현가 지지시키고 전진 또는 후진 주행시키는 현가 캐리어와; 캐리어에 현가되어 사료 또는 사료와 첨가재(약제포함)를 공급받고, 사료와 첨가재를 혼합하거나 사료를 방출하면서 급이 경로를 전진 또는 후진하는 사료챔버와; 급이시 사료를 방출하도록 사료챔버를 제어하면서 급이경로를 전진하도록 캐리어를 제어하고, 급이경로 종단에서 사료챔버를 출발위치로 회귀시킨 후 제어를 종료하도록 프로그램된 제어부로서 구성한 가축 사료의 자동 급이 시스템이 게재된 바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문헌1은 캐리어 2개를 장착하는 방법으로 캐리어 이동의 안정성은 확보할 수 있지만, 소음 및 진동이 심하고 특히 현가레일의 곡율반경이 커질경우에는 진동 및 소음이 더 심해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현가레일의 곡율반경이 일정각도 이상으로는 구성할 수 없는 제약을 받게 된다.
한편, 챔버의 내부에서 외부로 사료를 불출하는 과정에서 챔버 내에 설치된 스크류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크류핀이 스크류축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이 서로 반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류축이 회전함에 따라 사료가 양측에서 중앙으로 모여지게 되고, 양측에서 사료가 중심방향으로 밀려옴에 따라 사료가 사료배출구 방향으로 강제로 배출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부하는 곧바로 소음 및 진동의 원인이 됨은 물론 잗 은 설비의 고장원인이 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57897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가축용 사료를 분쇄기의 상부에서 낙하하는 방식으로 투입하여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볏짚 등과 같은 사료의 분쇄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사료의 분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축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쇄된 사료를 자동으로 축사의 전방으로 자동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사료의 공급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축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료를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일측부에 구성되며, 이송되는 사료를 공급하여 일정기간 저장 및 배출될 수 있도록 되도록 하고, 저장된 사료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운송하는 사료 운송수단; 일측부에 상기 사료 운송수단의 승강 작동을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타측 상단부로 저장된 상기 사료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부에 다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사료 운송수단으로부터 사료를 공급받아 적재 및 저장하는 적재 컨베이어와, 상기 적재 컨베이어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며, 적재된 사료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 및 사료 운송수단의 작동에 의해 저장된 상기 사료가 투입되며, 투입된 사료를 일정 크기로 분쇄하여 배출하는 사료 분쇄기; 및 상기 사료 분쇄기의 일측부에 구성되고, 축사의 전방부에 구성되어 배출되는 절단된 사료를 각 축사 마다 공급하는 공급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료 운송수단은, 상기 지지지 프레임의 일측 상부에 구성되는 승강 작동수단과, 상기 승강 작동수단과 연결되며, 이송 컨베이어로부터 상기 사료를 공급받고, 공급된 사료를 상기 적재 컨베이어로 운송하도록 승강 작동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의 상부에 구성되며, 상기 사료를 상기 적재 컨베이어측으로 운송하는 운송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료를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일측부에 구성되며, 이송되는 사료가 안착되고 안착된 사료를 상부로 운송하는 사료 운송수단; 상기 사료 운송수단이 결합되며, 상기 사료 운송수단의 운송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지지 프레임과, 상기 사료 운송수단이 결합되는 이송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면와 상기 이송 프레임의 내면 사이에 구성되며, 상기 이송 프레임의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구동부재로 구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사료 운송수단의 하향 이동을 안내하며, 투입된 사료의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분할된 공간을 형성하는 분쇄본체와, 상기 분쇄본체의 상부에 구성되며, 낙하하는 사료가 투입되는 분쇄호퍼와, 상기 분쇄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사료를 분쇄하는 분쇄장치 및 분쇄된 사료를 공급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사료 분쇄기; 및 상기 사료 분쇄기의 일측부에 구성되고, 축사의 전방부에 구성되어 배출되는 사료를 각 축사 마다 공급하는 공급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료 운송수단은, 상기 이송 프레임의 외면에 고정 결합되는 안착 플레이트;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제어 플레이트; 상기 안착 플레이트를 이송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 하우징; 상기 회전 제어 플레이트의 회전을 제어하는 구동 실린더; 및 상기 고정 하우징에 구성되고,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상부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축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에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제1센서; 상기 사료 공급수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1센서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프레임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2센서; 상기 공급 컨베이어에 장착되며, 상기 공급 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3센서; 및 상기 축사에 장착되며, 상기 제3센서로 상기 축사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제4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가축용 사료를 분쇄기의 상부에서 낙하하는 방식으로 투입하여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볏짚 등과 같은 사료의 분쇄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사료의 분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분쇄된 사료를 자동으로 축사의 전방으로 자동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사료의 공급 편의성 및 작업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의 사료 운송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의 사료 분쇄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축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는 가축에게 제공할 볏짚과 같은 사료를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110)와, 이송 컨베이어(110)의 일측부에 구성되며, 이송되는 사료가 안착되고 안착된 사료를 일정기간 저장되도록 하고, 저장된 사료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운송하는 사료 운송수단(300)과, 상기 사료 운송수단(300)이 결합되며, 사료 운송수단(300)의 운송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프레임부(200)와, 프레임부(200) 및 사료 운송수단(300)의 작동에 의해 운송되는 사료가 투입되며, 투입된 사료를 일정 크기로 분쇄하여 배출하는 사료 분쇄기(400) 및 사료 분쇄기(400)의 일측부에 구성되고, 축사(10)의 전방부에 구성되어 배출되는 절단된 사료를 각 축사(10) 마다 공급하여 가축이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급 컨베이어(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송 컨베이어(110)는 가축에게 공급할 사료를 프레임(200)측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다수개의 롤러들에 의해 벨트와 같은 부재를 구동시키면서 사료의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이송 컨베이어(110)에는 프레임부(200)에 승강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사료 운송수단(300)의 제2센서(350)와 연동이 이루어지며, 사료 운송수단(300)이 이송 컨베이어(110)의 상부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제2센서(350)로 이송 컨베이어(110)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제1센서(120)가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부(200)는 사료 운송수단(300)의 승강 작동 및 슬라이딩 이동 작동을 지지하고, 이 사료 운송수단(300)에 안착된 사료를 전달받아 일정 기간 저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저장된 사료를 사료 분쇄기(400)측으로 이송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지지 프레임(210), 적재 컨베이어(220) 및 구동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 프레임(210)은 일측 하단부가 이송 켄베이어(110)와 연결되어 내부로 사료의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타측 상부로 저장된 사료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지지 프레임(210)은 일측 상부에 사료 운송수단(300)을 승강시키는 승강 작동수단(370)이 장착되며, 이 승강 작동수단(370)과 사료 운송수단(300)의 승강부재(380)를 연결하고, 승강 작동수단(370)의 작동 여부에 따라 승강부재(380)를 승강시키는 승강 와이어(372)가 구성된다.
이때, 승강부재(380)는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다수개의 적재 컨베이어(220)로 사료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그 상부면에는 이송 컨베이어(110)로부터 투입된 사료를 적재 컨베이어(220)측으로 운송하는 운송 플레이트(382)를 더 구성한다.
운송 플레이트(382)는 승강부재(380)의 상부면을 따라 X축, 또는 Z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프레임부(200)의 내부에 구성되는 적재 컨베이어(220)측으로 사료를 공급하여 저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적재 컨베이어(220)는 지지 프레임(210)의 타측부 내부에 다수개로 구성되며, 상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 것으로, 구동부재(230)에 의해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적재 컨베이어(220)는 승강부재(380) 및 운송 플레이트(382)로부터 사료를 공급받아 적재함으로써, 지지 프레임(210)의 내부에 저장되도록 한다.
또한, 최상단에 위치한 적재 컨베이어(220)는 승강부재(380)로부터 공급된 사료의 적재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구동부재(230)의 구동 여부에 따라 지지 프레임(210)의 타측 상부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해 저장된 사료를 배출하여 사료 분쇄기(400)측으로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사료의 공급, 저장 및 배출이 가능함은 물론, 일정 기간(예를 들어 24시간 이상) 저장된 사료를 사료 분쇄기(400)측으로 자동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사료의 저장 및 공급을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운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축에게 제공할 볏짚과 같은 사료를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110)와, 이송 컨베이어(110)의 일측부에 구성되며, 이송되는 사료가 안착되고 안착된 사료를 상부로 운송하는 사료 운송수단(300)과, 상기 사료 운송수단(300)이 결합되며, 사료 운송수단(300)의 운송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프레임부(200)와, 프레임부(200)의 작동에 의해 운송되는 사료가 투입되며, 투입된 사료를 일정 크기로 분쇄하여 배출하는 사료 분쇄기(400) 및 사료 분쇄기(400)의 일측부에 구성되고, 축사(10)의 전방부에 구성되어 배출되는 절단된 사료를 각 축사(10) 마다 공급하여 가축이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급 컨베이어(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송 컨베이어(110)는 가축에게 공급할 사료를 프레임(200)측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다수개의 롤러들에 의해 벨트와 같은 부재를 구동시키면서 사료의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이송 컨베이어(110)에는 프레임부(200)측에 위치하는 롤러에 제1센서(120)가 장착된다.
제1센서(120)는 사료 운송수단(300)에 구성되는 제2센서(350)와 연동이 이루어지며, 사료 운송수단(300)이 이송 컨베이어(110)의 상부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제2센서(350)로 이송 컨베이어(110)의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이러한 제1센서(120)는 통상의 레이저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센서(120)로부터 전송되는 이송 컨베이어(110)의 위치정보를 제2센서(350)가 전송받게 되면, 제2센서(350)는 프레임부(200)에 구성되는 구동부재(230)의 구동 정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구동부재(230)로 전송함으로써, 사료 운송수단(300)이 이송 컨베이어(110)의 상부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이송 컨베이어(110)를 통해 이송되는 사료가 상기 이송 컨베이어(110)의 회전 방향으로 이송이 이루어지면서 사료 운송수단(300)의 회전 제어 플레이트(310)의 상부면으로 안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프레임부(200)는 사료 운송수단(300)의 구동을 지지하고, 이 사료 운송수단(300)에 안착된 사료를 사료 분쇄기(400)측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지지 프레임(210), 이송 프레임(240) 및 구동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 프레임(210)은 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각 모서리부가 곡선형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지지 프레임(210)은 외면으로 구동부재(230)가 안착되며, 지지 프레임(210)의 외면을 따라 구름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사료 운송수단(300)이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레일부재(미도시)를 더 구성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구동부재(230)의 형태에 따라 지지 프레임(210)의 외면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예로, 지지 프레임(210)의 외면은 상기 구동부재(230)가 다수개의 롤러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롤러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재(230)가 무한궤도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구동부재(230)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궤도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송 프레임(240)은 지지 프레임(210)의 외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며, 외면으로 사료 운송수단(300)이 고정 결합되며, 내면이 구동부재(230)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재(230)의 구동에 의해 지지 프레임(210)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사료 운송수단(300)의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이송 프레임(240)은 전술한 지지 프레임(210)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사료 운송수단(300)은 일단부가 이송 프레임(240)에 결합되고, 상기 이송 프레임(24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타단부가 이송 컨베이어(110)로부터 사료를 공급받아 안착시키며, 안착된 사료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료 분쇄기(400)로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송 프레임(240)의 외면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구성된다.
이러한 사료 운송수단(3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프레임(240)의 외면에 고정 결합되는 안착 플레이트(320)와, 안착 플레이트(320)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제어 플레이트(310)와, 안착 플레이트(320)를 이송 프레임(240)에 고정시키는 고정 하우징(330)과, 회전 제어 플레이트(310)의 회전을 제어하는 구동 실린더(340)와, 제1센서(120)와 연동하며 구동 실린더(340) 및 구동부재(2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2센서(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착 플레이트(320)는 일단이 고정 하우징(330)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부가 후술할 회전 제어 플레이트(310)의 연결축(316)이 결합되어 회전 제어 플레이트(310)와 회전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이송 컨베이어(110)로부터 이송되는 사료의 안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안착 플레이트(320)의 상부면에는 사료의 안정적인 안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송 프레임(240)의 이동 시 안착 플레이트(32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착홈(미도시)이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회전 제어 플레이트(310)는 안착 플레이트(320)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센서(350)의 제어에 따라 안착 플레이트(320)와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되거나, 상, 하 방향으로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송 컨베이어(110)로부터 이송된 사료를 안착 플레이트(320)의 상부면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사료가 안착 플레이트(32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회전 제어 플레이트(310)는 안착 플레이트(32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축(316)과, 회전 제어 플레이트(310)의 후방부 양측에 연장 형성되고 연결축(316)의 단부가 결합되며, 연결축(316)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회전 지지 브라켓(312)과, 회전 지지 브라켓(312)의 외면에 구성되고, 상기 연결축(316)에 결합되는 회전수단(3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회전수단(314)은 구동 실린더(340)에 구성된 회전 작동부재(344)에 의해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랙-피니언 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전 제어 플레이트(310)는 상부면으로 사료가 이송되면, 상향 회전 작동을 하면서 이송된 사료를 안착 플레이트(320)로 이동시킨다.
또한, 사료 운송수단(300)의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면, 안착 플레이트(320)로부터 상향 수직하게 회전 작동이 이루어져 사료가 안착 플레이트(320)의 전방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회전 제어 플레이트(310)는 사료 분쇄기(400)로 사료의 투입이 이루어질 때, 안착 플레이트(320)로부터 하향 수직하게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사료가 사료 분쇄기(400)의 분쇄호퍼(420)측으로 낙하하도록 구성된다.
구동 실린더(340)는 회전 제어 플레이트(310)의 회전 여부를 제어하는 것으로, 선단부에 구성되며, 구동 실린더(340)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회전수단(314)을 회전시키는 회전 작동부재(344)와, 이 회전 작동부재(344)의 축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실린더 로드(342)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동 실린더(340)는 제2센서(350)에 의해 실린더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센서(350)는 제1센서(120) 및 구동부재(230)와 각각 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연동되며, 제1센서(120)로부터 이송 컨베이어(110)의 위치 정보에 대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구동부재(230)측으로 구동 정지 신호를 전송하고, 사료가 회전 제어 플레이트(310)에 안착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구동 실린더(340)로 구동 신호를 전송하여 상향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구동부재(230)측으로 이송 프레임(240)의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동 신호를 전송하여 사료 운송수단(300)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2센서(350)는 사료 운송수단(300)이 사료 분쇄기(400)측에 도달하게 되면, 구동 실린더(340)의 구동 신호를 전송하여 회전 제어 플레이트(310)의 하향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이에, 작업자는 사료를 분쇄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이송 컨베이어(110)를 구동시키기만 하면 자동으로 사료 운송수단(300)의 상부면으로 안착되고, 안착된 사료는 프레임부(200)의 구동부재(230)의 구동에 의해 사료 분쇄기(400)의 상부면으로 이송되면서 자유 낙하 방식으로 투입이 이루어짐에 따라 사료의 이송, 분쇄 및 공급이 모두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사료 운송수단(300)에는 사료가 안착홈 등에 밀착된 상태에서 끼워져 자유낙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는 가압수단(36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가압수단(360)은 안착 플레이트(320)의 상부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안착홈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의 사료를 밀어 내어 안착홈으로부터 분리되어 자유낙하가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압수단(360)은 고정 하우징(330)에 결합되는 실린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실린더 부재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 부재의 작동 여부에 따라 안착홈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의 사료를 밀어 내어 안착홈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가압 플레이트(362)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압수단(360)과 안착홈은 안착 플레이트(320)의 상부 및 하부면에 모두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사료 운송수단(300)은 이동 프레임(220)과 함께 이송 컨베이어(110)로부터 상향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사료를 운송하고, 이후 이동 프레임(220)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한 다음 이송 컨베이어(110)의 대향하는 위치에 구성되는 사료 분쇄기(400)측으로 하향 이동하여 사료의 자유 낙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사료 운송수단(300)은 이송 프레임(240)을 따라 상부면에서 하향 이동이 이루어질 때, 사료 운송수단(300)의 하부면(최초 사료가 이송되어 적재되는 상부면의 대응되는 면)에 안착되면서 운송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후 가압수단(360) 및 회전 제어 플레이트(310)가 작동하면서 사료의 자유 낙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후 사료 운송수단(300)은 사료 분쇄기(400)에 구성된 안내부(412)를 따라 계속 하향 이동하면서 이송 프레임(240)을 따라 이동하여 이송 컨베이어(110)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사료 분쇄기(400)는 이동 프레임(22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운송되는 사료의 투입이 이루어지며, 투입되는 사료를 일정 크기로 분쇄하여 축사(10)의 전방에 위치하는 공급 컨베이어(500)로 배출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사료 분쇄기(400)는 사료 운송수단(300)의 하향 이동을 안내하며, 투입된 사료의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분할된 공간을 형성하는 분쇄본체(410)와, 분쇄본체(410)의 상부에 구성되며, 투입되는 사료를 분쇄장치(430)로 안내하는 분쇄호퍼(420)와, 분쇄호퍼(420)로부터 공급되는 사료를 분쇄하는 분쇄장치(430) 및 분쇄된 사료를 공급 컨베이어(500)로 배출하는 공급장치(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분쇄본체(410)는 지지 프레임(210)과 연결되게 구성되며, 이송 프레임(240)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 것으로, 후방부로 사료 운송수단(300)이 이송 프레임(240)을 따라 하향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안내부(412)와, 안내부(412)의 전방에 형성되며, 사료의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고, 일면으로 분쇄호퍼(420)가 장착되는 사료 투입부(414)와, 사료 투입부(414)의 하부에 형성되며, 분쇄장치(430) 및 공급장치(450)가 장착되는 사료 분쇄부(416)로 구성된다.
또한, 분쇄본체(410)는 사료의 투입 및 분쇄가 이루어지는 공간과 사료 운송수단(300)의 하향 이동하는 공간을 분할하여 투입 및 분쇄가 이루어질 때 사료의 분진이 안내부(412)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분할격벽(418)이 더 구성될 수 있다.
분쇄장치(430)는 분쇄호퍼(420)의 하부에 연결되게 구성되며, 상기 분쇄호퍼(420)로부터 사료를 공급받아 일정 크기로 분쇄하는 장치로서, 복수개의 분쇄수단과, 분쇄된 사료가 하측으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안내면(436)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복수개의 분쇄수단은 분쇄 스크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및 제2분쇄수단(432, 434)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분쇄수단(432, 434)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작동을 하면서 사료의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제1분쇄수단(432)은 분쇄본체(410)의 전방부에서 후방부로 회전 작동을 하면서 투입된 사료를 1차 분쇄하여 하측으로 배출하고, 제2분쇄수단(434)은 제1분쇄수단(432)으로부터 1차 분쇄된 사료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회전 작동을 하면서 2차 분쇄한 후 하측으로 배출하여 안내면(436)을 따라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분쇄장치(430)에는 분쇄가 완료된 사료를 공급장치(450)로 공급하기 위해 분쇄장치(430)와 공급장치(450)를 연결하며, 일정량의 사료만이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공급수단(440)이 더 구성된다.
이때, 공급수단(440)에는 내부에 분쇄된 사료가 일정량 적재된 상태에만 개방 작동을 하면서 공급장치(450)로 사료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개폐댐퍼(442)가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공급장치(450)는 공급수단(440)을 통해 공급되는 분쇄된 사료를 공급 컨베이어(500)로 배출하는 것으로, 통상의 공급스크류 부재(452)가 내장된다.
이러한 공급장치(450)에는 분쇄된 사료의 배출 시 공급 컨베이어(500)와 공급장치(450) 사이의 공간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배출되는 사료가 공급 컨베이어(500)의 상부면으로 안정적으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공급 안내판(454)이 더 구성될 수 있다.
공급 컨베이어(500)는 공급장치(450)의 전방에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축사(10)의 전방부에 배치되어 분쇄가 완료된 사료를 축사(10)로 자동 공급하여 가축이 공급된 사료의 섭취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공급 컨베이어(500)에는 끝단부에 공급 컨베이어(5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3센서(510)가 구성되고, 제3센서(510)와 연동하며, 축사(10)의 위치 정보를 제3센서(510)로 전송하는 제4센서(520)가 구성된다.
이때, 제4센서(520)는 다수개의 축사(10)들 중에서 가장 끝단에 위치하는 축사(10)에만 장착된다.
또한, 공급 컨베이어(500)는 사료의 공급 시 자동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공급장치(450)의 공급 스크류 부재(452)의 구동 시 함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제3센서(510)로부터 구동 정지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공급장치(450) 및 공급 컨베이어(500)가 모두 구동이 정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구동 정지 신호는 제4센서(520)로부터 축사(10)의 위치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다시말해 공급되는 사료의 위치가 제4센서(520)가 장착된 축사(10)까지 공급되는 경우, 제4센서(520)는 축사(10)의 위치 정보를 제3센서(510)로 전송하여 구동 정지 신호의 생성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이송 컨베이어 120: 제1센서
200: 프레임부 210: 지지 프레임
220: 적재 컨베이어 230: 구동부재
240: 이송 프레임
300: 사료 운송수단 310: 회전 제어 플레이트
320: 안착 플레이트 330: 고정 하우징
340: 구동 실린더 350: 제2센서
360: 가압수단 370: 승강 작동수
380: 승강부재 400: 사료 분쇄기
410: 분쇄본체 420: 분쇄호퍼
430: 분쇄장치 440: 공급수단
450: 공급장치 500: 공급 컨베이어
510: 제3센서 520; 제4센서

Claims (5)

  1. 사료를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일측부에 구성되며, 이송되는 사료가 안착되고 안착된 사료를 상부로 운송하는 사료 운송수단;
    상기 사료 운송수단이 결합되며, 상기 사료 운송수단의 운송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지지 프레임과, 상기 사료 운송수단이 결합되는 이송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면와 상기 이송 프레임의 내면 사이에 구성되며, 상기 이송 프레임의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구동부재로 구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사료 운송수단의 하향 이동을 안내하며, 투입된 사료의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분할된 공간을 형성하는 분쇄본체와, 상기 분쇄본체의 상부에 구성되며, 낙하하는 사료가 투입되는 분쇄호퍼와, 상기 분쇄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사료를 분쇄하는 분쇄장치 및 분쇄된 사료를 공급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사료 분쇄기; 및
    상기 사료 분쇄기의 일측부에 구성되고, 축사의 전방부에 구성되어 배출되는 사료를 각 축사 마다 공급하는 공급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사료 운송수단은,
    상기 이송 프레임의 외면에 고정 결합되는 안착 플레이트;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제어 플레이트;
    상기 안착 플레이트를 이송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 하우징;
    상기 회전 제어 플레이트의 회전을 제어하는 구동 실린더; 및
    상기 고정 하우징에 구성되고,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상부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가압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에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제1센서;
    상기 사료 공급수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1센서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프레임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2센서;
    상기 공급 컨베이어에 장착되며, 상기 공급 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3센서; 및
    상기 축사에 장착되며, 상기 제3센서로 상기 축사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제4센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
KR1020190099745A 2019-08-14 2019-08-14 가축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 KR102284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745A KR102284093B1 (ko) 2019-08-14 2019-08-14 가축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745A KR102284093B1 (ko) 2019-08-14 2019-08-14 가축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441A KR20210020441A (ko) 2021-02-24
KR102284093B1 true KR102284093B1 (ko) 2021-07-30

Family

ID=74689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745A KR102284093B1 (ko) 2019-08-14 2019-08-14 가축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40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4591B1 (ko) * 2020-07-01 2022-05-04 배남섭 가축사료 자동급이기 사료이송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4868701B (zh) * 2022-01-25 2023-01-31 西南大学 一种大鲵养殖用饲料投喂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849Y1 (ko) * 2002-05-22 2002-08-14 안광덕 사료공급 호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897Y1 (ko) 2001-09-25 2001-12-29 안태완 가축 사료의 자동 급이 시스템
KR101599770B1 (ko) * 2014-07-09 2016-03-07 주식회사 린도 버킷엘리베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849Y1 (ko) * 2002-05-22 2002-08-14 안광덕 사료공급 호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441A (ko)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4093B1 (ko) 가축용 사료 이송 및 공급장치
CN211003472U (zh) 一种物料输送机
KR100971383B1 (ko) 전동 급이차
KR101065459B1 (ko) 왕겨 펠릿 성형장치
KR20150015720A (ko) 다축 분쇄 시스템
KR101559135B1 (ko) 이송 스크류를 이용한 호퍼형 사일로의 곡물 순환장치
CN114403022A (zh) 一种兔养殖喂食槽结构、喂食组件及喂食系统
CN108187823A (zh) 一种猪饲料加工用粉碎烘干一体化设备
CN215232014U (zh) 一种填弹装置
CN210879160U (zh) 一种滚筒式的粉料研磨设备
JP2010030717A (ja) 粒状物体払い出し装置
KR101973767B1 (ko) 사료 이송 공급용 누적 체인 컨베이어
KR101747137B1 (ko) 파쇄기용 컨베이어장치
CN101875435A (zh) 松散物料的螺旋进料机
CN219500189U (zh) 一种防卡粮的宠物喂食器
CN117399133B (zh) 一种猪舍仔猪用饲料螺旋传送装置
CN205551989U (zh) 一种自动送料切磨机
CN213595241U (zh) 一种自动送粉系统
CN212126846U (zh) 烧碱制浆工艺中原料定量输送机
CN213568496U (zh) 一种模块组合式扒粮机
CN213050889U (zh) 自动上料型粉末研磨机
CN215140835U (zh) 一种具有定量加料功能的莫来石颗粒粉磨机
CN217707408U (zh) 一种给料机顶料机构
CN219580692U (zh) 一种煤矿开采破碎机
CN212877135U (zh) 一种肉牛撒料运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