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4079B1 - 혼합-모드 크로마토그래피 막 - Google Patents

혼합-모드 크로마토그래피 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4079B1
KR102284079B1 KR1020157026824A KR20157026824A KR102284079B1 KR 102284079 B1 KR102284079 B1 KR 102284079B1 KR 1020157026824 A KR1020157026824 A KR 1020157026824A KR 20157026824 A KR20157026824 A KR 20157026824A KR 102284079 B1 KR102284079 B1 KR 102284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certain embodiments
composite
present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6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3309A (ko
Inventor
엘레나 엔. 코미코바
찰스 에이치. 허니맨
Original Assignee
머크 밀리포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머크 밀리포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머크 밀리포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23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3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42Layers with a functional group, e.g. an affinity material, a ligand, a reactant or a complexing group
    • B01J20/3285Coating or impregnation layers comprising different type of functional groups or interactions, e.g. different ligands in various parts of the sorbent, mixed mode, dual zone, bimodal, multimodal, ionic or hydrophobic, cationic or anionic, hydrophilic or hydrophob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26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 B01D15/32Bonded phase chromatography
    • B01D15/325Reversed phase
    • B01D15/327Reversed phase with hydrophobic inter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26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 B01D15/36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involving ionic inter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26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 B01D15/36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involving ionic interaction
    • B01D15/361Ion-exchange
    • B01D15/362Cation-exch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26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 B01D15/36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involving ionic interaction
    • B01D15/361Ion-exchange
    • B01D15/363Anion-exch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26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 B01D15/3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involving specific interaction not covered by one or more of groups B01D15/265 - B01D15/36
    • B01D15/3847Multimodal intera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33Membrane, sheet, cloth, pad, lamellar or m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1Sorbent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ative, analytical or investigative chromatography
    • B01J20/286Phases chemically bonded to a substrate, e.g. to silica or to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1Sorbent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ative, analytical or investigative chromatography
    • B01J20/291Gel 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9/00Cation exchange; Use of material as cation exchangers; Treatment of material for improving the cation exchange properties
    • B01J39/26Cation exchangers for chromatograph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1/00Anion exchange; Use of material as anion exchangers; Treatment of material for improving the anion exchange properties
    • B01J41/20Anion exchangers for chromatograph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3/00Amphoteric ion-exchange, i.e. using ion-exchangers having cationic and anionic groups; Use of material as amphoteric ion-exchangers; Treatment of material for improving their amphoteric ion-exchange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7/00Ion-exchange processe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B01J47/12Ion-exchange processe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on-exchange material in the form of ribbons, filaments, fibres or sheets, e.g.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14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 C07K1/16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by chromatography
    • C07K1/165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by chromatography mixed-mode chromatograph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14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 C07K1/16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by chromatography
    • C07K1/18Ion-exchange chromatography

Abstract

복합재 및 혼합-모드 크로마토그래피에 이를 이용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복합재는 지지체 부재를 통해 뚫려있는 복수개의 포어를 갖는 지지체 부재; 및 가교된 다작용성 겔을 포함한다. 이 가교된 다작용기 겔은 다음 중 적어도 2개의 작용기 또는 특징을 지닌다: 양이온성, 음이온성, 소수성, 친수성, 친황성, 수소 결합 주개, 수소 결합 받개, 파이-파이 결합 주개, 파이-파이 결합 받개, 또는 금속 킬레이팅. 이 복합재들은 생물학적 분자 또는 생물학적 이온을 분리 또는 정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혼합-모드 크로마토그래피 막{MIXED-MODE CHROMATOGRAPHY MEMBRANES}
관련 출원
이 출원은 2013년 2월 26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1/769,330호에 기초한 우선권 주장 출원으로서 상기 출원은 그 내용 전체가 본 발명체 참조통합되었다.
멀티모달 크로마토그래피라고도 알려져 있는 혼합-모드 크로마토그래피 (MMC: mixed-mode chromatography)는 정지상과 피분석물 간의 두 가지 이상의 상호작용을 이용함으로써 하나의 피분석물로부터 다른 피분석물을 분리하기 위한 크로마토그래피법이다. 중요한 것은, MMC 내에서의 2차 상호작용이 피분석물의 체류에 기여하는데 충분히 강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접근법은 종래의 단일-모드 크로마토그래피와 구별되는 점이다.
MMC는 종래의 단일-모드 크로마토그래피와 기타의 분리 방법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예컨대, 1회 실시로 역상(RP)/음이온-양이온 교환 (ACE) 컬럼에 의해 양성, 음성 및 중성 물질을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더해, 혼합-모드 크로마토그래피 매질은 월등히 높은 로딩 능력을 나타낸다. MMC는 2가지 유형의 상호작용을 이용하므로, 하나의 혼합-모드 컬럼이 2개 또는 그 이상의 단일 모드 컬럼을 대체할 수 있다; 따라서, MMC는 경제적이면서도 폐기물을 줄일 수 있다.
분리 방법들을 결합하여 간소화하는 이러한 능력은 단백질 정제 프로세스에서의 선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백질 상의 공지 위치가 표적화되는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와 달리, 혼합-모드 리간드는 공지의 특정 위치에 맞춰지지 않는다. 따라서, 혼합-모드 매질의 스크리닝은 유용한 친화성 및 선택성을 제공하는 표적 단백질 상의 위치에 대한 탐색이 된다.
모노클로날 항체는 현재 사용중이거나 임상 시험 중인 단백질-기반 치료 분자들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다. 단백질 A 크로마토그래피는 그의 높은 선택성과 그에 따른 전반적으로 우수한 수율과 순도로 인해, 산업용 모노클로날 항체 정제 프로세스에서 첫 번째 포획 단계에서 흔히 사용된다. 그러나,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의 주요한 결점은 특히 고용량이나 장기간 투여에 필요한 치료용 항체의 경우,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치료에 드는 대다수의 비용의 주요한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더해, 친화성 매트릭스로부터 용탈된 단백질 A 리간드는 그의 잠재적인 면역원성으로 인해 추가의 크로마토그래피 단계에 의해 반드시 제거되어야만 한다(Roque A.C. 외 Biotechnology Progress 20(2004), 639-654). 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단백질 A 크로마토그래피는 낮은 pH에서 용리할 것을 필요로 하므로, 생성물의 응집 또는 침전을 일으킬 수 있다.
모노클로날 항체는 예컨대 이온성 및 소수성 관능기를 나타내는 멀티모달 매질 상에서 MMC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이들 멀티모달 매질은 모노클로날 항체를 분리하기 위한 전통적인 친화성 접근법에 대한 귀중한 대안책을 제공한다. 소수성 성분의 내염성으로 인해, 청정해진(clarified) 세포 배양 상등액을 매트릭스 위에 직접 로딩하여, 모노클로날 항체를 효과적으로 포획할 수 있다. 그러나, 수지의 멀티모달 특성으로 인해, 리간드와 특정한 모노클로날 항체의 상이한 유형의 상호작용이 가능하여, 전통적인 이온-교환 또는 소수성 상호작용 크로마토그래피와는 다른 종류의 독특한 세척 및 용리 조건을 필요로 한다.
친화성에 기반한 방법에 비해, 개선된 선택성, 빠른 유속, 낮은 배압을 나타내고, 저렴하면서도, 보다 킨 컬럼 수명을 제공하고, 프로세스 시간이 단축되고, 생산성과 작업유연성이 증가된 MMC 매질 및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발명의 개요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지지체 부재를 통해 뚫려있는 다수의 포어를 포함하는 지지체 부재; 및
제1 작용기와 제2 작용기를 포함하는 가교된 겔
을 포함하는 복합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1 작용기는 양이온, 음이온, 소수성, 친수성, 친황성, 수소결합 주개(donating), 수소결합 받개(accepting), 파이-파이 결합 주개, 파이-파이-결합 받개, 또는 금속 킬레이팅이며; 제1 작용기는 제2 작용기와는 다른 것이고,
상기 가교된 겔은 지지체 부재의 포어 내에 위치하는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지지체 부재를 통해 뚫려있는 다수의 포어를 포함하는 지지체 부재; 및
제1 작용기와 제2 작용기를 포함하는 가교된 겔
을 포함하는 복합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1 작용기는 강 양이온, 약 양이온, 강 음이온, 약 음이온, 소수성, 친수성, 친황성, 수소결합 주개, 수소결합 받개, 파이-파이 결합 주개, 파이-파이-결합 받개, 또는 금속 킬레이팅이며; 제1 작용기는 제2 작용기와는 다른 것이고,
상기 가교된 겔은 지지체 부재의 포어 내에 위치하는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어떤 물질을 포함하는 제1 유체(fluid)를 제1 유속으로 전술한 복합재 중 어느 하나와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물질의 일부를 상기 복합재 상에 흡착 또는 흡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어떤 물질 및 원치 않는 재료를 포함하는 제1 유체를 제1 유속으로 전술한 복합재 중 어느 하나와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원치 않는 재료의 일부를 상기 복합재 상에 흡착 또는 흡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1 모노머, 광개시제, 가교제 및 용매를 조합하여 모노머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지지체 부재를 상기 모노머 혼합물과 접촉시킴으로써, 변형된(modified) 지지체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지지체 부재는 지지체 부재를 통해 뚫려있는 복수개의 포어를 포함하고, 상기 포어의 평균 포어 직경은 약 0.1 내지 약 25 ㎛임;
상기 변형된 지지체 부재를 폴리머 시트로 커버함으로써 커버된 지지체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커버된 지지체 부재에 일정 시간 광조사함으로써, 복합재(composite material)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합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개관(Overview)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단백질 또는 기타 용질을 흡착하거나 분리하기 위해 복수개의 화학 메카니즘을 이용하는 막-기반 정지상 혼합-모드 크로마토그래피 지지체의 제조 및 그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단편화 또는 응집된 항체, 숙주 세포 단백질, DNA, 내독소, 및 바이러스를 비롯하여, 다른 물질들을 함유하는 혼합물로부터 단백질을 정제하는 데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다음의 메카니즘들 중 적어도 2종 또는 가능하게는 그 이상의 조합을 이용하는 크로마토그래피 지지체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양이온 교환, 음이온 교환, 소수성 상호작용, 친수성 상호작용, 친황성 상호작용, 수소 결합, 파이-파이 결합, 및 금속 친화성.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복합재는 "결합-용리(bind-elute)" 및 "플로우-쓰루(flow-through)" 모드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개개의 작용기들은 관능 모노머의 통합을 통해 포함되므로, 각 관능기의 상대적인 양을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는데 적합하도록 쉽고도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 "결합-용리 모드"라 함은 표적 단백질과 원치 않는 오염물 두 가지 모두가 혼합 모드 크로마토그래피 지지체 또는 복합체에 결합하도록 완충액 조건이 수립된 크로마토그래피에 대한 운용 접근법을 의미한다. 다른 성분들로부터의 표적 단백질의 분획화(fractionation)는 표적 단백질과 오염물질이 지지체로부터 별도로 용출되도록 조건을 변화시킴으로써 후속적으로 달성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멀티모달 양이온-교환 막은 높은 전도성, 고용량 처리량 및 선택성으로 고도의 동적 결합능(dynamic binding capacities) 특성을 나타내는 "결합-용리 모드"에 이용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용리액(eluent)은 표적 단백질의 응집체에서 약 50% 내지 약 99%까지 감소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용리액은 표적 단백질의 응집체에서 약 90%, 약 91%, 약 92%, 약 93%, 약 94%, 약 95%, 약 96%, 약 97%, 약 98%, 또는 약 99%까지 감소된다.
본 발명에서 "플로우-쓰루 모드"라 함은 본래의 온전한 표적 단백질이 적용시 막을 통해 통과하는 한편 오염물질은 선택적으로 체류하도록 완충액 조건이 수립된 크로마토그래피에 대한 운용적 접근법을 가리킨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멀티모달 음이온-교환 막은 DNA, 숙주 세포 단백질 (HCP), 용탈된 단백질 A, 응집체 및 바이러스와 같은 핵심 오염물질들을 한번의 단계로 제거하기 위한 포스트-단백질 A 정제 프로세스에서 "플로우-쓰루 모드"로 이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복합재의 다양한 특징들
겔의 조성
특정 구체예에서, 가교된 겔은 1종 이상의 중합가능한 모노머와 1종 이상의 크로스-링커(cross-linkers)와의 현장(in situ) 중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겔은 1종 이상의 가교-가능한 폴리머와 1종 이상의 크로스-링커와의 반응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적당한 크기의 마크로포어를 갖는 가교된 겔이 형성될 수 있다.
겔은 특이적인 작용기를 갖는 특이적 모노머를 포함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들 모노머들의 코폴리머도 이용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마크로다공성(macroporous) 겔의 평균 포어 직경을 조정함으로써 복합재의 특성을 튜닝할 수 있다. 마크로포어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가교제의 성질과 농도, 겔이 형성되는 용매 또는 용매들의 성질, 중합 개시제 또는 촉매의 양, 및 존재할 경우, 포로젠(porogen)의 성질과 농도에 의존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복합재는 좁은 포어-크기 분포를 가질 수 있다.
다공성 지지체 부재 (Porous Support Member)
몇몇 구체예에서, 다공성 지지체 부재는 평균 직경이 약 0.1 내지 약 25 ㎛인 포어들을 함유한다.
몇몇 구체예에서, 다공성 지지체 부재는 부피 다공도(volume porosity)가 약 40% 내지 약 90%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다공성 지지체는 평평하다.
특정 구체예에서, 다공성 지지체는 디스크-형상이다.
많은 다공성 기질이나 막들이 지지체 부재로서 이용될 수 있다. 몇몇 구체예에서, 다공성 지지체 부재는 폴리머 재료로 만들어진다. 특정 구체예에서, 지지체는 염가로 구입가능한 폴리올레핀일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일 수 있다. 열에 의해 유도된 상분리(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TIPS), 또는 비용매 유도된 상분리에 의해 만들어지는 연장된 폴리올레핀 막을 예로 들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지지체 부재는 천연 폴리머, 예컨대 셀룰로스 또는 그의 유도체일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적절한 지지체는 폴리에테르설폰 막,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막, 나일론 막, 셀룰로스 에스테르 막, 또는 파이버글래스, 여과지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다공성 지지체는 직물 또는 부직물 섬유재, 예컨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섬유상 직물 또는 부직물 지지체 부재는 포어 크기가 TIPS 지지체 부재보다 클 수 있고, 몇몇 경우 약 75 ㎛에 달할 수 있다. 지지체 부재 내의 포어의 크기가 더 크면 마크로다공성 겔 중에 크기가 더 큰 마크로포어를 갖는 복합재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세라믹-기재의 지지체와 같은 비폴리머 지지체 부재도 사용할 수 있다. 다공성 지지체 부재는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취할 수 있다.
몇몇 구체예에서, 지지체 부재는 막의 형상이다.
몇몇 구체예에서, 지지체 부재는 약 10 내지 약 2000 ㎛, 약 10 내지 약 1000 ㎛, 또는 약 10 내지 약 500 ㎛의 두께를 갖는다.
다른 구체예에서, 복수개의 다공성 지지체 유닛을 예컨대 적층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한가지 구체예에서, 다공성 지지체 막들, 예컨대 2 내지 10개의 막들의 적층체를 다공성 지지체의 공극 내에 겔이 형성되기 전에 어셈블링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단일 지지체 부재 유닛을 이용하여 복합재 막을 형성한 다음 이를 사용 전에 적층한다.
겔과 지지체 부재의 관계
겔은 지지체 막 내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고정되다(anchored")라는 용어는 겔이 지지체 부재의 포어 내부에 유지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지만, 이 용어가 반드시 겔이 지지체 부재의 포어에 화학적으로 결합되었다라는 의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몇몇 경우, 겔은 지지체 부재의 포어 표면에 그래프트될 수 있기는 하지만, 겔은 실제로 지지체 부재에 화학적으로 그래프트되지 않고도, 지지체 부재의 구조적 구성 요소에 걸려들어 서로 와인딩됨으로써 겔에 부하되는 물리적 구속력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지지체 부재의 포어를 점하는 겔 내에 마크로포어가 존재하기 때문에, 겔의 마크로포어는 지지체 부재의 포어보다 작은 것이 분명하다. 결과적으로, 복합재의 유동 특성과 분리 특성은 겔의 특성에 좌우되지만, 지지체 부재에 존재하는 포어의 크기가 겔의 마크로포어의 크기보다 크다면, 다공성 지지체 부재의 특성과는 대체로 무관하다. 복합재의 다공성은 지지체 부재를 겔로 충전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는데, 상기 겔의 다공성은 모노머 또는 폴리머, 가교제, 반응 용매, 및 포로젠 (사용될 경우)의 특성과 양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전적으로 좌우될 수 있다. 지지체 부재의 포어가 동일한 겔 재료로 충전되므로, 복합재의 특성에 고도의 일체성이 달성되며, 특정 지지체 부재에 있어서, 이러한 특성은 전적으로는 아니라 하더라도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겔에 의해 결정된다. 최종적인 결론은 본 발명이 복합재의 마크로포어-크기, 투과성 및 표면적을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복합재 중의 마크로포어의 수는 주로 지지체 재료 중의 포어의 수에 의해 좌우되지 않는다. 복합재 중의 마크로포어의 수는 지지체 부재 중의 포어의 수보다 훨씬 많을 수 있는데, 이는 마크로포어가 지지체 부재 중의 포어보다 작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크로다공성 겔의 포어 크기에 미치는 지지체 재료의 포어 크기의 영향을 대체로 무시해도 좋을만 하다. 한가지 예외는 지지체 부재가 포어 크기와 포어 크기 분포에서 큰 차이가 나고, 마크로다공성 겔의 포어 크기가 매우 작고 포어 크기 분포도 매우 좁은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지지체 부재의 다양한 포어 크기 분포가 마크로다공성 겔의 포어 크기 분포에 약하게나마 반영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좁은 포어 크기 범위를 갖는 지지체 부재가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복합재가 비교적 비독성인, 전술한 어느 하나의 복합재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복합재가 접촉 액체 중 비교적 광범위한 염 농도에 대해 관용성인, 전술한 어느 하나의 복합재에 관한 것이다.
복합재의 제조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복합재는 단일 공정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이러한 방법들은 반응 용매로서 물 또는 기타 환경적으로 무해한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이러한 방법은 신속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보다 간단하고, 복합재의 제조에 드는 비용이 저렴해질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복합재는 2종 이상의 모노머, 1종 이상의 가교제, 1종 이상의 개시제 및 임의로 1종 이상의 포로젠을 1종 이상의 적절한 용매에서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얻어진 혼합물은 균질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혼합물은 불균일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혼합물을 이어서 적절한 다공성 지지체 내로 도입하여, 겔 형성 반응이 그 안에서 일어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겔 형성 반응에 적합한 용매로는 1,3-부탄디올, 디(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필 에테르,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1,2-프로판디올,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DPMA), 물, 디옥산, 디메틸설폭사이드 (DMSO), 디메틸포름아미드 (DMF), 아세톤, 에탄올, N-메틸피롤리돈 (NMP), 테트라히드로퓨란 (THF),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토니트릴, N-메틸아세트아미드, 프로판올, 메탄올,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필 에테르, 또는 그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고비점 용매가 사용될 수 있는 이는 이러한 용매들이 가연성을 줄여주고 제조를 쉽게 해주기 때문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저독성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 후 쉽게 폐기될 수 있다. 이러한 용매의 예로는 디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DPM)를 들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반응 혼합물에 포로젠을 첨가할 수 있는데, 여기서 포로젠은 광의로, 포어를 발생시키는 첨가제를 가리키는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포로젠은 열역학적 빈용매(thermodynamically poor solvents) 및 추출가능한 용매, 예컨대 폴리(에틸렌글리콜), 계면활성제 및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몇몇 구체예에서, 겔 형성반응의 성분들은 실온에서 자발적으로 반응하여 겔을 형성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겔 형성 반응은 개시되어야만 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겔 형성 반응은 예컨대 열 활성화 또는 UV 조사와 같은 공지 방법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이 반응은 광개시제 존재 하에 UV 조사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광개시제는 2-히드록시-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메틸-1-프로판온 (Irgacure 2959),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DMPA), 벤조페논, 벤조인 및 벤조인 에테르, 예컨대 벤조인 에틸 에테르 및 벤조인 메틸 에테르, 디알콕시아세토페논, 히드록시알킬페논, 및 α-히드록시메틸 벤조인 설폰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열활성화는 열개시제의 첨가를 필요로 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열개시제는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카보니트릴) (VAZO
Figure 112019019601012-pct00001
촉매 88),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AIBN), 과황산칼륨, 과황산 암모늄 및 과산화벤조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겔형성 반응은 UV 조사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광개시제를 겔형성 반응의 반응물에 첨가하고, 모노머, 가교제 및 광개시제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지지체 부재를 수초 내지 수시간 동안 약 250 nm 내지 약 400 nm의 파장에서 UV 조사에 노출시킬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모노머, 가교제 및 광개시제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지지체 부재를 수초 내지 수시간 동안 약 350 nm의 파장에서 UV 조사에 노출시킬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모노머, 가교제 및 광개시제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지지체 부재를 약 10분간 약 350 nm에서 UV 조사에 노출시킬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가시광선 파장의 빛을 이용하여 중합을 개시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지지체 부재를 통해 에너지가 침투할 수 있도록, 지지체 부재는 사용된 파장에서 흡수도가 낮아야만 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중합이 수행되는 속도는 마크로다공성 겔에서 얻어지는 마크로포어의 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겔 중의 가교제의 농도가 충분한 농도로 증가하면, 겔의 구성성분들이 응집하기 시작해서 폴리머 밀도가 높은 영역과 폴리머가 거의 또는 전혀 없는 영역이 생기게 되는데, 여기서 후자의 영역을 본 발명에서 "마크로포어"라 칭한다. 이러한 메카니즘은 중합 속도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중합은 광중합에서 낮은 광강도가 사용되는 경우처럼, 서서히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겔 성분들이 응집하는데 시간이 더 많이 걸려서, 겔 내에 보다 큰 포어가 형성되게 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고강도 광원이 사용되는 경우와 같이, 중합이 고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응집에 걸리는 시간이 보다 짧아서 크기가 작은 포어가 생긴다.
특정 구체예에서, 일단 복합재가 제조되면, 이들을 다양한 용매로 세척하여 미반응 성분들과 지지체에 고정되지 않은 폴리머나 올리고머를 제거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복합재를 세척하는데 적합한 용매로는 물,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DMF를 들 수 있다.
복합재의 예시적 용도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전술한 복합재 중 어느 하나의 가교된 겔을 통해 유체가 통과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결합 또는 분획화(fractionation) 조건을 알맞게 조절함으로써, 우수한 선택성이 얻어질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예컨대, 용액으로부터의 단백질이나 면역글로불린과 같은 바이오분자의 분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단백질 또는 면역글로불린과 같은 바이오분자의 정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단백질 또는 모노클로날 항체를 높은 선택성으로 정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생물학적 분자 또는 생물학적 이온이 그의 생물학적 활성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중요할 수 있는 그의 3차 또는 4차 구조를 유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분리 또는 정제될 수 있는 생물학적 분자 또는 생물학적 이온에는 단백질 예컨대 알부민, 예컨대 소 혈청 알부민, 및 리소자임이 포함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분리될 수 있는 생물학적 분자 또는 생물학적 이온으로는 인간 및 동물 기원의 γ-글로불린, 면역글로불린 예컨대 인간 및 동물 기원의 IgG, IgM, 또는 IgE, 재조합 또는 천연 기원의 단백질, 예컨대 단백질 A, 피토크롬, 친할로겐성(halophilic) 프로테아제, 폴리(3-히드록시부티레이트) 데폴리머라제, 아큘레신-A 아실라제, 합성 또는 천연 기원의 폴리펩타이드, 인터류킨-2 및 그의 수용체, 효소 예컨대 포스파타제, 데히드로게나제, 리보뉴클리아제 A, 등, 모노클로날 항체, 항체의 단편, 트립신 및 그의 저해제, 다양한 기원의 알부민, 예컨대, α-락트알부민, 인간 혈청 알부민, 달걀 알부민, 오브알부민 등, 시토크롬 C, 면역글로불린, 미오글로불린, 재조합 인간 인터류킨, 재조합 융합 단백질, 핵산 유도된 생성물, 합성 및 천연 기원의 DNA 및 RNA, DNA 플라스미드, 렉틴, α-키모트립시노겐, 및 소분자를 포함하는 천연 생성물을 들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변이체, 불순물 또는 이와 연관된 오염물질로부터 항체 단편을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바이오분자 분리 또는 정제는 가교된 겔에서 실제로 일어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바이오분자 분리 또는 정제는 실제로 가교된 마크로다공성 겔의 마크로포어에서 일어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물질의 가역적 흡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흡착된 물질은 겔을 통해 흐르는 액체를 변화시킴으로써 방출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물질의 흡수와 방출은 가교된 겔의 조성을 변화시킴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완충된 용액으로부터의 복합재에 물질이 적용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염 수용액의 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물질을 용리시킬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높은 결합능을 나타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10% 파과(breakthrough)에서 약 100 mg/mL, 약 110 mg/mL, 약 120 mg/mL, 약 130 mg/mL, 약 140 mg/mL, 약 150 mg/mL, 약 160 mg/mL, 약 170 mg/mL, 약 180 mg/mL, 약 190 mg/mL, 약 200 mg/mL, 약 210 mg/mL, 약 220 mg/mL, 약 230 mg/mL, 약 240 mg/mL, 약 250 mg/mL, 약 260 mg/mL, 약 270 mg/mL, 약 280 mg/mL, 약 290 mg/mL, 약 300 mg/mL, 약 310 mg/mL, 약 320 mg/mL, 약 330 mg/mL, 약 340 mg/mL, 약 350 mg/mL, 약 360 mg/mL, 약 370 mg/mL, 약 380 mg/mL, 약 390 mg/mL, 또는 약 400 mg/mL a의 결합능을 나타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종래의 MMC 수지를 이용하여 보고된 것보다 높은 결합능을 야기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전도성 플로우(conductive flow)로 인해 MMC 수지 방법에서 달성되는 유속보다 훨씬 높은 유속으로 실시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MMC 수지를 이용한 방법과 관련된 압력 강하 문제를 겪지 않는다.
특정 구체예에서, 결합이 일어나는 동안의 유속(제1 유속)은 약 0.1 내지 약 10 mL/분일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용리가 일어나는 동안의 유속(제2 유속)은 약 0.1 내지 약 10 mL/분일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제1 유속 또는 제2 유속은 약 0.1 mL/분, 약 0.5 mL/분, 약 1.0 mL/분, 약 1.5 mL/분, 약 2.0 mL/분, 약 2.5 mL/분, 약 3.0 mL/분, 약 4.0 mL/분, 약 4.5 mL/분, 약 5.0 mL/분, 약 5.5 mL/분, 약 6.0 mL/분, 약 6.5 mL/분, 약 7.0 mL/분, 약 7.5 mL/분, 약 8.0 mL/분, 약 8.5 mL/분, 약 9.0 mL/분, 약 9.5 mL/분, 또는 약 10.0 mL/분일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제1 유속 또는 제2 유속은 약 0.5 mL/분 내지 약 5.0 mL/분일 수 있다.
물의 유량(water flux), Q H2O (kg/m2h)은 다음 방정식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Figure 112015094030860-pct00002
식 중, m 1은 t1에서 막을 통과하여 전달되는 물의 질량, m 2는 t2에서 막을 통과하여 전달되는 물의 질량, A는 단면적, t는 경과된 시간 (t1-t2)이고, 여기서 t1>t2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용리 염 용액(제2 유체, 또는 제3 유체 또는 이후의 유체)에 첨가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첨가제를 저농도(예컨대, 약 1 M 미만, 약 0.5 M 미만, 또는 약 0.2 M 미만)로 첨가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첨가제는 수-혼화성 알코올, 세제(detergent), 디메틸 설폭사이드, 디메틸 포름아미드, 또는 무질서염(chaotropic salt)의 수용액일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첨가제는 물의 표면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소수성 상호작용을 약화시켜 리간드-용질 복합체의 후속적인 해리를 일으킬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혼합-모드 매질은 소수성 및 이온-교환 특성 두 가지 모두를 겸비하여, 이동상 이온 강도, pH 또는 유기 용매 함량을 변화시킴으로써 각 체류 모드의 체류 규모가 조정될 수 있도록 그의 선택성이 제어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선택성은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pH를 변화시키는 것은 이동상의 전도성을 변화시키지 않고 단백질을 용리시키는 유용한 용리 툴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바이오분자 정제의 원-스톱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흔히 이용되는 통상적인 충전식-컬럼 크로마토그래피 기술에 비해, 규모를 키우기가 더 쉽고, 덜 노동집약적이며, 더 빠르고, 더 저렴한 비용으로 실시가능한 바이오분자의 분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포어 크기 결정
SEM ESEM
가교된 마크로다공성 겔 중의 마크로포어들의 평균 직경은 많은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사용가능한 한 가지 방법은 주사 전자 현미경(SEM)을 이용하는 것이다. SEM은 일반적으로 포어 크기 및 다공도를 결정하고 특히 막을 특징화하는데 있어서 잘 확립된 방법이다. 문헌 Basic Principles of Membrane Technology by Marcel Mulder (ⓒ 1996)("Mulder"), 특히 챕터 IV를 참조할 수 있다. Mulder는 막을 특징화하는 방법에 대한 개관을 제공하고 있다. 다공성 막에 있어서, 언급된 첫 번째 방법은 전자 현미경이다. SEM은 미세여과 막을 특징화하는데 있어서 매우 간단하고 유용한 기술이다. 최상층, 단면 및 바닥층에 대하여 선명하고 간명한 막의 사진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더해, 이러한 사진들로부터 다공도와 포어 크기 분포를 평가할 수 있다.
환경 SEM((Environmental SEM: ESEM)은 습한 샘플의 경우, 샘플 챔버에서 가스 환경을 허락함으로써 샘플을 파괴시키지 않고, 이를 이미지화할 수 있는 기술이다. 환경 2차 검출기(environmental secondary detector: ESD)는 3 torr 내지 20 torr에서 기능 및 작동하는 가스 백그라운드를 필요로 한다. 이들 압력 제한은 샘플 챔버에서 습도를 변화시키는 능력을 제한한다. 예를 들어, 10 torr에서, 특정 온도에서의 상대 습도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5094030860-pct00003
이것은 다른 온도에서 샘플 챔버 내의 상대 습도를 가늠하는 유용한 가이드이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이미지를 찍는 동안 샘플 챔버 내의 상대 습도는 약 1% 내지 약 99%이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이미지를 찍는 동안 샘플 챔버 내의 상대 습도는 약 1%, 약 2%, 약 3%, 약 4%, 약 5%, 약 6%, 약 7%, 약 8%, 약 9%, 약 10%, 약 15%, 약 20%, 약 25%, 약 30%, 약 35%, 약 40%, 약 45%, 약 50%, 약 55%, 약 60%, 약 65%, 약 70%, 약 75%, 약 80%, 약 85%, 약 90%, 약 95%, 또는 약 99%이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이미지를 찍는 동안 샘플 챔버 내의 상대 습도는 약 45 %이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현미경은 나노미터급 해상도 및 최대 약 100,000X의 배율을 갖는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샘플 챔버 내의 온도는 약 4℃ 내지 약 95℃이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샘플 챔버 내의 온도는 약 4℃, 약 6℃, 약 8℃, 약 10℃, 약 12℃, 약 14℃, 약 16℃, 약 18℃, 약 20℃, 약 25℃, 약 30℃, 약 35℃, 약 40℃, 약 45℃, 약 50℃, 약 55℃, 약 60℃, 약 65℃, 약 70℃, 약 75℃, 약 80℃, 또는 약 85℃이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샘플 챔버 내의 온도는 약 5℃이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이미지를 찍는 동안 샘플 챔버 내의 압력은 약 3 torr 내지 약 20 torr이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이미지를 찍는 동안 샘플 챔버 내의 압력은 약 4 torr, 약 6 torr, 약 8 torr, 약 10 torr, 약 12 torr, 약 14 torr, 약 16 torr, 약 18 torr, 또는 약 20 torr이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이미지를 찍는 동안 샘플 챔버 내의 압력은 약 3 torr이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전자빔 소스로부터 샘플까지의 작업 거리는 약 6 mm 내지 약 15 mm이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전자빔 소스로부터 샘플까지의 작업 거리는 약 6 mm, 약 7 mm, 약 8 mm, 약 9 mm, 약 10 mm, 약 11 mm, 약 12 mm, 약 13 mm, 약 14 mm, 또는 약 15 mm이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전자빔 소스로부터 샘플까지의 작업 거리는 약 10 mm이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전압은 약 1 kV 내지 약 30 kV이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전압은 약 2 kV, 약 4 kV, 약 6 kV, 약 8 kV, 약 10 kV, 약 12 kV, 약 14 kV, 약 16 kV, 약 18 kV, 약 20 kV, 약 22 kV, 약 24 kV, 약 26 kV, 약 28 kV, 또는 약 30 kV이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전압은 약 20 kV이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평균 포어 직경은 복합재의 최상부 또는 바닥으로부터의 이미지들의 대표적인 샘플에서 포어 직경을 평가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습윤화된 막의 ESEM 이미지를 얻는 것과 관련한 다양한 실험 변수들을 잘 인식 및 숙지하여 그에 따라 적절히 실험을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모세관류 포로메트리 (Capillary Flow Porometry )
모세관류 포로메트리는 다공성 물질의 포어 크기(들)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분석기술이다. 이 분석 기술에서는 습윤 액체를 이용하여 테스트 샘플의 포어를 채우고 비반응성 가스의 압력을 이용하여 포어로부터 액체를 축출한다. 샘플을 통한 유속과 가스 압력을 정확히 측정하여 포어 직경을 다음 방정식을 이용하여 구한다;
D = 4 x γ x cosθ/P
D = 포어 직경
γ = 액체 표면장력
θ = 액체 접촉각
P = 미분 가스 압력
이 방정식은 습윤 샘플롤부터 액체를 축출하는데 필요한 압력이 포어 사이즈에 반비례함을 보여준다. 이 기술은 가압 하에서의 테스트 샘플의 포어로부터 액체의 흐름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포어를 통한 특징화에 유용하다 (샘플의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의 유체 흐름을 가능케 하는 상호연결된 포어들). 이 방법으로는 다른 포어 유형 (폐색 포어 및 블라인드 포어)은 검출할 수 없다.
모세관류 포로메트리는 포어를 통해 가스가 흐르기 시작할 때 포어의 존재를 감지한다. 이것은 가스 압력이 포어의 가장 수축된 부분으로부터 액체를 축출하기에 충부히 높을 때에만 일어난다. 따라서, 이 방법을 이용하여 계산된 포어 직경은 가장 수축된 부분에서의 포어 직경이며 각각의 포어는 이 수축된 직경의 단일 포어로서 탐지된다. 최대 포어 직경 (버블 포인트라 칭해짐)은 습윤 샘플을 통해 최초로 흐르는데 필요한 최저 가스 압력에 의해 결정되며 평균 포어 직경은 이 평균 유압으로부터 계산된다. 이에 더해, 수축된 포어 직경 범위와 포어 크기 분포 두 가지 모두 이 기술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이 방법은 테스트 유체(예컨대 물, 완충액, 알코올)에 함침되는 소형 막 샘플(~2.5 cm 직경)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인가되는 가스 압력은 약 0 내지 약 500 psi에서 선택가능하다.
포어 직경 결정을 위한 기타 방법
Mulder의 문헌에는 다공성 막의 평균 포어 크기를 특징화하는 방법이 설명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원자력 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y: AFM)(164 페이지), 투과도 계산(169 페이지), 가스 흡착-탈착법 (173 페이지), 써모포로메트리(176 페이지), 펌포로메트리(179 페이지) 및 액체 축출법(181 페이지)가 포함된다. Mulder의 문헌 및 그에 인용된 참고문헌들의 교시 내용은 이 분야의 일반 상식의 일부로서, 그 내용 전체가 본 발명에 참조 통합된다.
예시적인 복합재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지지체 부재를 통해 뚫려있는 다수의 포어를 포함하는 지지체 부재; 및
제1 작용기와 제2 작용기를 포함하는 가교된 겔
을 포함하는 복합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1 작용기는 양이온, 음이온, 소수성, 친수성, 친황성, 수소결합 주개(donating), 수소결합 받개(accepting), 파이-파이 결합 주개, 파이-파이-결합 받개, 또는 금속 킬레이팅이며; 제1 작용기는 제2 작용기와는 다른 것이고,
상기 가교된 겔은 지지체 부재의 포어 내에 위치하는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지지체 부재를 통해 뚫려있는 다수의 포어를 포함하는 지지체 부재; 및
제1 작용기와 제2 작용기를 포함하는 가교된 겔
을 포함하는 복합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1 작용기는 강 양이온, 약 양이온, 강 음이온, 약 음이온, 소수성, 친수성, 친황성, 수소결합 주개, 수소결합 받개, 파이-파이 결합 주개, 파이-파이-결합 받개, 또는 금속 킬레이팅이며; 제1 작용기는 제2 작용기와는 다른 것이고,
상기 가교된 겔은 지지체 부재의 포어 내에 위치하는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1 작용기가 강 양이온이고; 제2 작용기는 약 양이온인 전술한 복합재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세 개 이상의 작용기가 사용되는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3개, 4개, 5개, 6개, 7개, 8개, 9개의 서로 다른 작용기들이 사용된,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1 작용기 또는 제2 작용기가 양이온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양이온 작용기는 약 양이온이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양이온 작용기는 강 양이온이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강 양이온은 암모늄 양이온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제1 작용기 또는 제2 작용기는 트리알킬암모늄 래디칼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강 양이온은 트리에틸암모늄 래디칼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약 양이온은 특정 pH에서만 양이온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약 양이온은 양성자화된(protonated) 암모늄 래디칼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약 양이온은 양성자화된 디알킬암모늄 래디칼이다. 특정 구체예서, 약 양이온은 양성자화된 디메틸암모늄 래디칼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1 작용기 또는 제2 작용기가 음이온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음이온 작용기는 약 음이온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양이온 작용기능 강 음이온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강 음이온은 설포네이트 음이온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제1 작용기 또는 제2 작용기는 설포네이트 래디칼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제1 작용기 또는 제2 작용기는 설포네이트 래디칼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가교된 겔이 마크로다공성(macroporous)인, 본 발명은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가교된 겔의 양이온성, 음이온성, 소수성, 친수성, 친황성, 수소 결합 주개, 수소 결합 받개, 파이-파이 결합 주개, 파이-파이 결합 받개, 또는 금속 킬레이팅 능력이 결합하기 적당한 조건(실온, 제1 유체, 후술 내용 참조)에서 탐지되는 것인 본 발명은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된 겔이 2-(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메틸티오)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N-아크릴옥시숙신이미드, 부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2-(N,N-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N-[3-(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에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 메타크릴아미드, 무수 메타크릴산,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스티렌, 4-비닐피리딘, 비닐설폰산, N-비닐-2-피롤리디논 (VP), 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스티렌설폰산, 알긴산, (3-아크릴아미도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할라이드,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할라이드, 4-비닐-N-메틸피리디늄 할라이드, 비닐벤질-N-트리메틸암모늄 할라이드, 메타크릴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 할라이드, 3-설포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2-(2-메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아크릴아미드, N-(3-메톡시프로필 아크릴아미드),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아크릴아미드, N-페닐 아크릴아미드, N-3차-부틸 아크릴아미드, 또는 디아세톤 아크릴아미드로부터 유도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된 겔이 두 개 이상의 모노머로부터 유도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된 겔이 2-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 및 2-(메틸티오)에틸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된 겔이 약 1:약 0.2:약 0.1:약 0.06의 몰 비율의 2-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 및 2-(메틸티오)에틸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된 겔이 약 1:약 0.22:약 0.14:약 0.06의 몰 비율의 2-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 및 2-(메틸티오)에틸 메타크릴레이트부터 유도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된 겔이 2-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된 겔이 약 1:약 0.2:약 0.2:약 0.1의 몰 비율의 2-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된 겔이 약 1: 약 0.25:약 0.15:약 0.14의 몰 비율의 2-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된 겔이 2-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및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된 겔이 약 1:약 0.3:약 0.1의 몰 비율의 2-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및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가교된 겔이 약 1:약 0.26:약 0.15의 몰 비율의 2-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및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로부터 유도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본 발명은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가교된 겔이 비닐벤질-N-트리메틸암모늄 할라이드로부터 유도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본 발명은 전술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된 겔이 비닐벤질-N-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로부터 유도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된 겔이 2-(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ar-비닐벤질)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 및 2-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된 겔이 약 1:약 0.4:약 0.5:약 0.1의 몰 비율의 2-(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ar-비닐벤질)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 및 2-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된 겔이 약 1:약 0.36:약 0.52:약 0.1의 몰 비율의 2-(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ar-비닐벤질)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 및 2-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된 겔이 2-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나트륨 염, 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 및 N-페닐아크릴아미드로부터 유도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된 겔이 약 1:약 0.2:약 0.1의 몰 비율의 2-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나트륨 염, 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 및 N-페닐아크릴아미드로부터 유도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된 겔이 약 1:약 0.18:약 0.1의 몰 비율의 2-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및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된 겔이 2-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나트륨 염, 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 (NIPAM) (또는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 아크릴아미드 (THMAAm) 또는 N-(3-메톡시프로필) 아크릴아미드 (MPAAm) 또는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DMAAm)) 및 N-페닐아크릴아미드로부터 유도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된 겔이 약 1:약 0.2:약 0.1의 몰 비율의 2-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나트륨 염, 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 (NIPAM) (또는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 아크릴아미드 (THMAAm) 또는 N-(3-메톡시프로필) 아크릴아미드 (MPAAm) 또는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DMAAm)) 및 N-페닐아크릴아미드로부터 유도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된 겔이 약 1:약 0.18:약 0.1의 몰 비율의 2-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나트륨 염, 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 (NIPAM) (또는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 아크릴아미드 (THMAAm) 또는 N-(3-메톡시프로필) 아크릴아미드 (MPAAm) 또는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DMAAm)) 및 N-페닐아크릴아미드로부터 유도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된 겔이 2-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나트륨 염, 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 및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된 겔이 약 1:약 0.1:약 0.2의 몰 비율의 2-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나트륨 염, 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 및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된 겔이 약 1:약 0.1:약 0.15의 몰 비율의 2-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나트륨 염, 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 및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제가, 글리세롤 1,3-디글리세롤레이트 디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디메타크릴레이트, 3-(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세롤 프로폭실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비스아크릴아미도아세트산, 2,2-비스[4-(2-아크릴옥시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메타크릴옥시페닐)프로판, 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비닐 에테르, 1,4-시클로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1,10-도데칸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1,4-디아크릴로알파페라진, 디알릴프탈레이트, 2,2-디메틸프로판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N,N-도데카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디비닐벤젠, 글리세롤 트리메타크릴레이트, 글리세롤 트리스(아크릴옥시프로필) 에테르, N,N'-헥사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N,N'-옥타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1,5-펜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1,3-페닐렌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비닐 에테르,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또는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알릴 디글리콜 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비닐 에테르, N,N'-디메타크릴로알파페라진, 디비닐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1,1,1-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타크릴레이트, 1,1,1-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1,1,1-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TRIM-M), 비닐 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알콕시화 시클로헥산 디메탄올 디아크릴레이트, 알콕시화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알콕시화 네오펜틸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방향족 디메타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형된 네오펜틸글리콜 히드록시피발레이트 디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산 디메탄올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에톡실화 비스페놀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에톡실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실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실화 글리세릴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스 (2-히드록시 에틸)이소시아뉴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실화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형된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디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1,3-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3,5-트리아크릴로일헥사히드로-1,3,5-트리아진, 트리메틸올프로판 디알릴 에테르, 2,4,6-트리알릴옥시-1,3,5-트리아진, 1,3,5-트리알릴-1,3,5-트리아진-2,4,6-(1H,3H,5H)-트리온, N,N'-헥사메틸렌비스(메타크릴아미드), 및 글리옥살 비스(디알릴아세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제가 글리세롤 1,3-디글리세롤레이트 디아크릴레이트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제가 글리세롤 디메타크릴레이트 또는 3-(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제가 글리세롤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3-(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제가 글리세롤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3-(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를 약 1:약 0.9의 몰 비율로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제가 글리세롤 프로폭실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제가 1,1,1-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또는 1,1,1-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제가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제가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제가 N,N'-헥사메틸렌비스(메타크릴아미드)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제가 1,3,5-트리아크릴로일헥사히드로-1,3,5-트리아진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제가 2,4,6-트리알릴옥시-1,3,5-트리아진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제가 1,3,5-트리알릴-1,3,5-트리아진-2,4,6-(1H,3H,5H)-트리온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제가 N,N'-헥사메틸렌비스(메타크릴아미드)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제가 글리옥살 비스(디알릴아세탈)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된 겔이 마크로포어를 포함하고; 가교된 마크로다공성 겔은 부피 다공도는 약 30% 내지 약 80%이며; 마크로포어의 평균 포어 직경은 약 10 nm 내지 약 3000 nm인 것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된 겔이 마크로포어를 포함하되; 마크로 다공성 가교된 겔의 부피 다공도가 약 40% 내지 약 70%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된 겔이 마크로포어를 포함하되; 마크로다공성 가교된 겔의 부피 다공도가 약 40%, 약 45%, 약 50%, 약 55%, 약 60%, 약 65%, 또는 약 70%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마크로포어의 평균 포어 직경이 약 25 nm 내지 약 1500 nm인 것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마크로포어의 평균 포어 직경이 약 50 nm 내지 약 1000 nm인 것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마크로포어의 평균 포어 직경이 약 50 nm, 약 100 nm, 약 150 nm, 약 200 nm, 약 250 nm, 약 300 nm, 약 350 nm, 약 400 nm, 약 450 nm, 약 500 nm, 약 550 nm, 약 600 nm, 약 650 nm, 또는 약 700 nm인 것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마크로포어의 평균 포어 직경이 약 300 nm 내지 약 400 nm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복합재가 막(membrane)인 것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지지체 부재가 공극 부피(void volume)를 가지고; 상기 지지체 부재의 공극 부피가 실질적으로 마크로다공성 가교된 겔로 충전되어 있는 것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지지체 부재가 폴리머를 포함하되: 지지체 부재는 약 10 ㎛ 내지 약 500 ㎛ 두께이고; 지지체 부재의 포어는 평균 포어 직경이 약 0.1 ㎛ 내지 약 25 ㎛이며; 지지체 부재의 부피 다공도는 약 40% 내지 약 90%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지지체 부재의 두께가 약 10 ㎛ 내지 약 1000 ㎛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지지체 부재의 두께가 약 10 ㎛ 내지 약 500 ㎛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지지체 부재의 두께가 약 30 ㎛ 내지 약 300 ㎛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지지체 부재의 두께가 약 30 ㎛, 약 50 ㎛, 약 100 ㎛, 약 150 ㎛, 약 200 ㎛, 약 250 ㎛, 또는 약 300 ㎛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지지체 부재의 포어의 평균 포어 직경이 약 0.1 ㎛ 내지 약 25 ㎛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지지체 부재의 포어의 평균 포어 직경이 약 0.5 ㎛ 내지 약 15 ㎛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지지체 부재의 포어의 평균 포어 직경이 약 0.5 ㎛, 약 1 ㎛, 약 2 ㎛, 약 3 ㎛, 약 4 ㎛, 약 5 ㎛, 약 6 ㎛, 약 7 ㎛, 약 8 ㎛, 약 9 ㎛, 약 10 ㎛, 약 11 ㎛, 약 12 ㎛, 약 13 ㎛, 약 14 ㎛, 또는 약 15 ㎛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지지체 부재의 부피 다공도가 약 40% 내지 약 90%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지지체 부재의 부피 다공도가 약 50% 내지 약 80%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지지체 부재의 부피 다공도가 약 50%, 약 60%, 약 70%, 또는 약 80%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지지체 부재가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지지체 부재가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셀룰로스 및 셀룰로스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폴리머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본 발명은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지지체 부재는 지지체 부재가 폴리머를 포함하는 직물 섬유 또는 부직포를 포함하되; 지지체 부재의 두께는 약 10 ㎛ 내지 약 2000 ㎛ 두께이고; 지지체의 포어는 평균 포어 직경이 약 0.1 ㎛ 내지 약 25 ㎛이며; 지지체 부재의 부피 다공도는 약 40% 내지 약 90%인 것인 본 발명은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인 방법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어떤 물질을 포함하는 제1 유체를 제1 유속으로 전술한 복합재 중 어느 하나와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물질의 일부를 상기 복합재 상에 흡착 또는 흡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제1 유체는 분획화된 항체, 응집된 항체, 숙주 세포 단백질,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내독소 또는 바이러스를 추가로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1 유체의 유체 흐름 경로가 실제로 복합재의 마크로포어를 통과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2 유체를 상기 복합재 상에 흡착 또는 흡수된 물질과 제2 유속으로 접촉시킴으로써, 복합재로부터 상기 물질의 제1 부분을 방출시키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2 유체의 유체 흐름 경로가 실제로 복합재의 마크로포어를 통과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3 유체를 상기 복합재 상에 흡착 또는 흡수된 물질과 제3 유속으로 접촉시킴으로써, 복합재로부터 상기 물질의 제2 부분을 방출시키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물질이 생물학적 분자 또는 생물학적 이온인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생물학적 분자 또는 생물학적 이온이 알부민, 리소자임, 바이러스, 세포, 인간 및 동물 기원의 γ-글로불린, 인간 및 동물 기원의 면역글로불린, 재조합 또는 천연 기원의 단백질, 합성 또는 천연 기원의 폴리펩타이드, 인터류킨-2 및 그의 수용체, 효소, 모노클로날 항체, 트립신 및 그의 저해제, 시토크롬 C, 미오글로빈, 미오글로불린, α-키모트립시노겐, 재조합 인간 인터류킨, 재조합 융합 단백질, 핵산 유도된 생성물, 합성 또는 천연 기원의 DNA, 및 합성 또는 천연 기원의 RN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생물학적 분자 또는 생물학적 이온이 리소자임, hIgG, 미오글로빈, 인간 혈청 알부민, 대두 트립신 저해제, 트랜스퍼링, 에놀라제, 오브알부민, 리보뉴클리아제, 달걀 트립신 저해제, 시토크롬 c, 어넥신 V, 또는 α-키모트립시노겐인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1 유체가 완충액인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1 유체 중의 완충액의 농도가 약 20 mM, 약 30 mM, 약 40 mM, 약 50 mM, 약 60 mM, 약 70 mM, 약 75 mM, 약 80 mM, 약 85 mM, 약 90 mM, 약 95 mM, 약 0.1 M, 약 0.11 M, 약 0.12 M, 약 0.13 M, 약 0.14 M, 약 0.15 M, 약 0.16 M, 약 0.17 M, 약 0.18 M, 약 0.19 M 또는 약 0.2 M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1 유체 중의 pH가 약 2, 약 2.5, 약 3, 약 3.5, 약 4, 약 4.5, 약 5, 약 5.5, 약 6, 약 7, 약 8, 또는 약 9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1 유체가 아세트산나트륨을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1 유체가 구연산나트륨을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1 유체가 인산나트륨을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1 유체가 염을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염이 글리신-HCl, NaCl, 및 NH4C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1 유체가 염화나트륨을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1 유체가 염화나트륨을 약 10 mM 내지 약 600 mM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1 유체가 염화나트륨을 약 50 mM, 약 75 mM, 약 100 mM, 약 125 mM, 약 150 mM, 약 175 mM, 약 200 mM, 약 225 mM, 약 250 mM, 약 275 mM, 약 300 mM, 약 325 mM, 약 350 mM, 약 375 mM, 약 400 mM, 약 425 mM, 약 450 mM, 약 475 mM, 약 500 mM, 또는 약 525 mM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1 유체가 청정화된(clarified) 세포 배양 상등액인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1 유체 중의 물질의 농도가 약 0.2 mg/mL 내지 약 10 mg/mL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1 유체 중의 물질의 농도가 약 0.2 mg/mL, 약 0.4 mg/mL, 약 0.6 mg/mL, 약 0.8 mg/mL, 약 1 mg/mL, 약 2 mg/mL, 약 3 mg/mL, 약 4 mg/mL, 약 5 mg/mL, 약 6 mg/mL, 약 7 mg/mL, 약 8 mg/mL, 약 mg/mL, 또는 약 10 mg/mL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1 유속이 최대 약 50 층 부피/분(bed volume/min)인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1 유속이 약 5 층 부피/분, 약 10 층 부피/분, 약 20 층 부피/분, 약 30 층 부피/분, 약 40 층 부피/분, 또는 약 50 층 부피/분인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1 유속이 약 0.5 mL/분 내지 약 2 mL/분인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1 유속이 약 0.5 mL/분, 약 0.6 mL/분, 약 0.7 mL/분, 약 0.8 mL/분, 약 0.9 mL/분, 약 1 mL/분, 약 1.1 mL/분, 약 1.2 mL/분, 약 1.3 mL/분, 약 1.4 mL/분, 약 1.5 mL/분, 약 1.6 mL/분, 약 1.7 mL/분, 또는 약 1.8 mL/분인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2 유체가 완충액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2 유체가 2-(N-모르폴리노)에탄설폰산을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2 유체가 2-(N-모르폴리노)에탄설폰산을 약 50 mM 내지 약 150 mM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2 유체가 2-(N-모르폴리노)에탄황산을 약 50 mM, 약 60 mM, 약 70 mM, 약 80 mM, 약 90 mM, 약 100 mM, 약 110 mM, 약 120 mM, 약 130 mM, 약 140 mM, 또는 약 150 mM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2 유체의 pH가 약 4 내지 약 8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2 유체의 pH가 약 5, 약 5.2, 약 5.4, 약 5.5, 약 5.6, 약 5.7, 약 5.8, 약 5.9, 약 6, 약 6.2, 또는 약 6.4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2 유체가 염을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염이 글리신-HCl, NaCl, 및 NH4C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2 유체 중의 염 농도가 약 70 mM 내지 약 200 mM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염 농도가 약 70 mM, 약 80 mM, 약 90 mM, 약 100 mM, 약 110 mM, 약 115 mM, 약 120 mM, 약 125 mM, 약 130 mM, 약 135 mM, 약 140 mM, 약 145 mM, 약 150 mM, 약 160 mM, 약 170 mM, 약 180 mM, 약 190 mM, 또는 약 200 mM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3 유체가 완충액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3 유체가 2-아미노-2-히드록시메틸-프로판-1,3-디올/HCl (트리스/HCl)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3 유체가 2-아미노-2-히드록시메틸-프로판-1,3-디올/HCl (트리스/HCl)를 약 15 mM 내지 약 40 mM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3 유체가 2-아미노-2-히드록시메틸-프로판-1,3-디올/HCl (트리스/HCl)를 약 15 mM, 약 20 mM, 약 25 mM, 약 30 mM, 약 35 mM, 또는 약 40 mM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3 유체의 pH가 약 7 내지 약 9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3 유체의 pH가 약 7, 약 7.2, 약 7.4, 약 7.6, 약 7.8, 약 8, 약 8.1, 약 8.2, 약 8.3, 약 8.4, 약 8.6, 약 8.8, 또는 약 9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3 유체가 염을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염이 글리신-HCl, NaCl, 및 NH4C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2 유체 중의 염 농도가 약 125 mM 내지 약 400 mM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염 농도가 약 125 mM, 약 150 mM, 약 175 mM, 약 200 mM, 약 225 mM, 약 250 mM, 약 275 mM, 약 300 mM, 약 325 mM, 약 350 mM, 약 375 mM, 또는 약 400 mM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복합재를 세정하는 단계; 및
전술한 단계들을 반복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상기 물질 전부가 복합재 상에 흡착되거나 흡수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어떤 물질과 원치 않는 재료를 포함하는 제1 유체를 전술한 복합재들 중 어느 하나와 제1 유속으로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원치 않는 재료의 일부를 복합재 상에 흡착 또는 흡수시키는 단계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원치 않는 재료가 단편화된 항체, 응집된 항체, 숙주 세포 단백질,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내독소,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상기 원치 않는 재료의 전부가 복합재 상에 흡착되거나 흡수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1 유체의 유체 흐름 경로가 복합재의 마크로포어를 실질적으로 통과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물질이 생물학적 분자 또는 생물학적 이온인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생물학적 분자 또는 생물학적 이온이 알부민, 리소자임, 바이러스, 세포, 인간 및 동물 기원의 γ-글로불린, 인간 및 동물 기원의 면역글로불린, 재조합 및 천연 기원의 단백질, 합성 및 천연 기원의 폴리펩타이드, 인터류킨-2 및 그의 수용체, 효소, 모노클로날 항체, 트립신 및 그의 저해제, 시토크롬 C, 미오글로빈, 미오글로불린, α-키모트립시노겐, 재조합 인간 인터류킨, 재조합 융합 단백질, 핵산 유도된 생성물, 합성 및 천연 기원의 DNA, 및 합성 및 천연 기원의 RN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생물학적 분자 또는 생물학적 이온이 리소자임, hIgG, 미오글로빈, 인간 혈청 알부민, 대두 트립신 저해제, 트랜스퍼링, 에놀라제, 오브알부민, 리보뉴클리아제, 달걀 트립신 저해제, 시토크롬 c, 어넥신 V, 또는 α-키모트립시노겐인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1 유체가 완충액인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1 유체 중의 완충액의 농도가 약 20 mM, 약 30 mM, 약 40 mM, 약 50 mM, 약 60 mM, 약 70 mM, 약 75 mM, 약 80 mM, 약 85 mM, 약 90 mM, 약 95 mM, 약 0.1 M, 약 0.11 M, 약 0.12 M, 약 0.13 M, 약 0.14 M, 약 0.15 M, 약 0.16 M, 약 0.17 M, 약 0.18 M, 약 0.19 M 또는 약 0.2 M인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1 유체가 아세트산나트륨을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1 유체가 구연산나트륨을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1 유체가 인산나트륨을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1 유체가 염을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염이 글리신-HCl, NaCl, 및 NH4C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1 유체가 염화나트륨을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1 유체가 염화나트륨을 약 10 mM 내지 약 600 mM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1 유체가 염화나트륨을 약 50 mM, 약 75 mM, 약 100 mM, 약 125 mM, 약 150 mM, 약 175 mM, 약 200 mM, 약 225 mM, 약 250 mM, 약 275 mM, 약 300 mM, 약 325 mM, 약 350 mM, 약 375 mM, 약 400 mM, 약 425 mM, 약 450 mM, 약 475 mM, 약 500 mM, 또는 약 525 mM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1 유속이 약 0.5 mL/분 내지 약 2 mL/분인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1 유속이 약 0.5 mL/분, 약 0.6 mL/분, 약 0.7 mL/분, 약 0.8 mL/분, 약 0.9 mL/분, 약 1 mL/분, 약 1.1 mL/분, 약 1.2 mL/분, 약 1.3 mL/분, 약 1.4 mL/분, 약 1.5 mL/분, 약 1.6 mL/분, 약 1.7 mL/분, 또는 약 1.8 mL/분인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1 유체가 청정화된 세포 배양 상등액인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제1 모노머, 광개시제, 가교제, 및 용매를 조합함으로써 모노머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지지체 부재를 상기 모노머 혼합물과 접촉시킴으로써, 변형된 지지체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상기 지지체 부재는 지지체 부재를 통해 뚫려 있는 복수개의 포어를 포함하고, 상기 포어의 평균 포어 직경은 약 0.1 내지 약 25 ㎛인 것인 단계;
상기 변형된 지지체 부재를 폴리머 시트로 커버함으로써, 커버된 지지체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커버된 지지체 부재에 일정 시간 광조사함으로써 복합재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합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모노머 혼합물이 복수종의 상이한 모노머들을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모노머 혼합물이 제1 모노머 및 제2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모노머 혼합물이 제3, 제4, 제5, 제6, 제7, 제8, 또는 제9 모노머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복합재를 제2 용매로 세척함으로써, 세척된 복합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제2 용매는 물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복합재 또는 세척된 복합재를 염 용액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염 용액은 나트륨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염 용액은 수산화나트륨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염 용액은 수산화나트륨을 약 0.05 N 내지 약 0.15 N의 농도로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염 용액은 수산화나트륨을 약 0.06 N, 약 0.07 N, 약 0.08 N, 약 0.09 N, 약 0.1 N, 약 0.11 N, 약 0.12 N, 약 0.13 N, 또는 약 0.14 N의 농도로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염 용액은 염화나트륨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염 용액은 염화나트륨을 약 0.05 N 내지 약 0.5 N의 농도로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염 용액은 염화나트륨을 약 0.06 N, 약 0.07 N, 약 0.08 N, 약 0.09 N, 약 0.1 N, 약 0.11 N, 약 0.12 N, 약 0.13 N, 약 0.14 N, 약 0.15 N, 약 0.18 N, 약 0.2 N, 약 0.22 N, 약 0.24 N, 약 0.26 N, 약 0.28 N, 약 0.3 N, 약 0.32 N, 약 0.34 N, 약 0.36 N, 약 0.38 N, 약 0.4 N, 약 0.42 N, 약 0.44 N, 약 0.46 N, 약 0.48 N, 또는 약 0.5 N의 농도로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염 용액은 수산화나트륨 및 염화나트륨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커버된 지지체 부재로부터 과량의 모노머 혼합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모노머 혼합물이 2-(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메틸티오)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N-아크릴옥시숙신이미드, 부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2-(N,N-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N-[3-(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도데실 아크릴레이트, n-도데실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 메타크릴아미드, 무수 메타크릴산,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스티렌, 4-비닐피리딘, 비닐설폰산, N-비닐-2-피롤리디논 (VP), 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스티렌설폰산, 알긴산, (3-아크릴아미도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할라이드,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할라이드, 4-비닐-N-메틸피리디늄 할라이드, 비닐벤질-N-트리메틸암모늄 할라이드, 메타크릴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 할라이드, 3-설포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2-(2-메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아크릴아미드, N-(3-메톡시프로필 아크릴아미드),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아크릴아미드, N-페닐 아크릴아미드, N-3차-부틸 아크릴아미드, 또는 디아세톤 아크릴아미드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모노머 혼합물이 2종 이상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모노머 혼합물이 제2 모노머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모노머 혼합물이 2-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 및 2-(메틸티오)에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모노머 혼합물이 2-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 및 2-(메틸티오)에틸 메타크릴레이트를 약 1:약 0.2:약 0.1:약 0.06의 몰 비율로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모노머 혼합물이 2-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 및 2-(메틸티오)에틸 메타크릴레이트를 약 1:약 0.22:약 0.14:약 0.06의 몰 비율로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모노머 혼합물이 2-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모노머 혼합물이 2-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를 약 1:약 0.2:약 0.2:약 0.1의 몰 비율로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모노머 혼합물이 2-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를 약 1: 약 0.25:약 0.15:약 0.14의 몰 비율로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모노머 혼합물이 2-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및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모노머 혼합물이 2-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및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를 약 1:약 0.3:약 0.1의 몰 비율로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모노머 혼합물이 2-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및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를 약 1:약 0.26:약 0.15의 몰 비율로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모노머 혼합물이 비닐벤질-N-트리메틸암모늄 할라이드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모노머 혼합물이 비닐벤질-N-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모노머 혼합물이 2-(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ar-비닐벤질)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 및 2-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모노머 혼합물이 2-(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ar-비닐벤질)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 및 2-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를 약 1:약 0.4:약 0.5:약 0.1의 몰 비율로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모노머 혼합물이 2-(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ar-비닐벤질)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 및 2-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를 약 1:약 0.36:약 0.52:약 0.1의 몰 비율로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모노머가 용매 중에 집합적으로(collectively) 약 6% 내지 약 38% (w/w)로 존재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모노머가 용매 중에 약 6%, 약 7%, 약 8%, 약 9%, 약 10%, 약 11%, 약 12%, 약 13%, 약 14%, 약 15%, 약 16%, 약 17%, 약 18%, 약 19%, 약 20%, 약 21%, 약 22%, 약 23%, 약 24%, 약 25%, 약 26%, 약 27%, 약 28%, 약 29%, 약 30%, 약 31%, 약 32%, 약 33%, 약 34%, 약 35%, 약 36%, 약 37%, 또는 약 38% (w/w)의 양으로 집합적으로 존재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광개시제가 모노머 혼합물 중에, 모노머의 총 중량에 기초하여 약 0.4% (w/w) 내지 약 2.5% (w/w)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광개시제가 모노머 혼합물 중에, 모노머의 총 중량에 기초하여 약 0.6%, 약 0.8%, 약 1.0%, 약 1.2%, 또는 약 1.4% (w/w)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광개시제가 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벤조페논, 벤조인 및 벤조인 에테르, 디알콕시아세토페논, 히드록시알킬페논, 및 α-히드록시메틸 벤조인 설폰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용매가 1,3-부탄디올, 디(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필 에테르,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1,2-프로판디올,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DPMA), 물, 디옥산, 디메틸설폭사이드 (DMSO), 디메틸포름아미드 (DMF), 아세톤, 에탄올, N-메틸피롤리돈 (NMP), 테트라히드로퓨란 (THF),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토니트릴, N-메틸아세트아미드, 프로판올,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필 에테르, 또는 메탄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용매가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1,2-프로판디올, 및 물을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용매가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용매가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를 약 15% 내지 약 4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용매가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를 약 20%, 약 21%, 약 22%, 약 23%, 약 24%, 약 25%, 약 26%, 약 27%, 약 28%, 약 29%, 약 30%, 약 31%, 약 32%, 약 33%, 약 34%, 또는 약 35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용매가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용매가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를 약 30% 내지 약 9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용매가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를 약 40%, 약 42%, 약 44%, 약 46%, 약 48%, 약 50%, 약 52%, 약 54%, 약 56%, 약 58%, 약 60%, 약 62%, 약 64%, 약 66%, 약 68%, 약 70%, 약 72%, 약 74%, 약 76%, 약 78%, 또는 약 8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용매가 1,2-프로판디올을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용매가 1,2-프로판디올을 약 3% 내지 약 75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용매가 1,2-프로판디올을 약 3%, 약 4%, 약 5%, 약 6%, 약 7%, 약 8%, 약 9%, 약 10%, 약 15%, 약 20%, 약 25%, 약 30%, 약 35%, 약 40%, 약 45%, 약 50%, 약 55%, 약 60%, 약 65%, 약 70%, 또는 약 75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용매가 물을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용매가 물을 약 2% 내지 약 9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용매가 물을 약 2%, 약 3%, 약 4%, 약 5%, 약 6%, 약 7%, 약 8%, 또는 약 9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용매가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용매가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를 약 24% 내지 약 72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용매가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를 약 30%, 약 32%, 약 34%, 약 36%, 약 38%, 약 40%, 약 42%, 약 44%, 약 46%, 약 48%, 약 50%, 약 52%, 약 54%, 약 56%, 약 58%, 약 60%, 약 62%, 약 64%, 또는 약 66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용매가 1,3-부탄디올을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용매가 1,3-부탄디올을 약 35% 내지 약 95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용매가 1,3-부탄디올을 약 40%, 약 45%, 약 50%, 약 55%, 약 60%, 약 65%, 약 70%, 약 75%, 약 80%, 약 85%, 또는 약 9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제가 용매 중에 4% 내지 약 25% (w/w)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제가 용매 중에 약 4%, 약 5%, 약 6%, 약 7%, 약 8%, 약 9%, 약 10%, 약 11%, 약 12%, 약 13%, 약 14%, 약 15%, 약 16%, 약 17%, 약 18%, 약 19%, 약 20%, 약 21%, 약 22%, 약 23%, 약 24%, 또는 약 25% (w/w)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제가 글리세롤 1,3-디글리세롤레이트 디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디메타크릴레이트, 3-(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세롤 프로폭실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비스아크릴아미도아세트산, 2,2-비스[4-(2-아크릴옥시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메타크릴옥시페닐)프로판, 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비닐 에테르, 1,4-시클로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1,10-도데칸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1,4-디아크릴로알파페라진, 디알릴프탈레이트, 2,2-디메틸프로판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N,N-도데카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디비닐벤젠, 글리세롤 트리메타크릴레이트, 글리세롤 트리스(아크릴옥시프로필) 에테르, N,N'-헥사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N,N'-옥타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1,5-펜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1,3-페닐렌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비닐 에테르,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또는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알릴 디글리콜 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비닐 에테르, N,N'-디메타크릴로알파페라진, 디비닐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1,1,1-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타크릴레이트, 1,1,1-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1,1,1-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TRIM-M), 비닐 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알콕시화 시클로헥산 디메탄올 디아크릴레이트, 알콕시화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알콕시화 네오펜틸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방향족 디메타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형된 네오펜틸글리콜 히드록시피발레이트 디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산 디메탄올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에톡실화 비스페놀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에톡실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실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실화 글리세릴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스 (2-히드록시 에틸)이소시아뉴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실화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형된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디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3,5-트리아크릴로일헥사히드로-1,3,5-트리아진, 트리메틸올프로판 디알릴 에테르, 2,4,6-트리알릴옥시-1,3,5-트리아진, 1,3,5-트리알릴-1,3,5-트리아진-2,4,6-(1H,3H,5H)-트리온, N,N'-헥사메틸렌비스(메타크릴아미드), 및 글리옥살 비스(디알릴아세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제가 글리세롤 1,3-디글리세롤레이트 디아크릴레이트인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제가 글리세롤 디메타크릴레이트 또는 3-(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인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제가 글리세롤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3-(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제가 글리세롤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3-(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를 약 1:약 0.9의 몰 비율로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제가 글리세롤 프로폭실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제가 1,1,1-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또는 1,1,1-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제가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가교제가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커버된 지지체 부재가 약 350 nm에서 광조사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기간이 약 1 분, 약 5 분, 약 10 분, 약 15 분, 약 20 분, 약 30 분, 약 45 분, 또는 약 1 시간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복합재가 마크로포어를 포함하는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마크로포어의 평균 포어 직경이 포어의 평균 직경보다 작은 것인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이다.
1은 hIgG 결합-용리 실험에서 혼합-모드 막의 성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2는 결합 완충액(버퍼) 중의 염 함량이 hIgG 결합능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는 내염성(salt tolerance) 실험에서 혼합-모드의 성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3은 hIgG 결합능에 미치는 pH의 효과를 조사하는 실험에서 혼합-모드의 성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4는 결합-용리 모드에서 모노클로날 항체를 정제하는 혼합-모드 막의 성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5는 SEC 컬럼 분석도이다: mAbs 주입 용액(feed solution).
6은 SEC 컬럼 분석도이다: 결합-용리 모드 중 혼합-모드 막을 이용하는 mAbs 포스트 단백질 A의 정제 - 용리액 B.
7은 SEC 컬럼 분석도이다: 결합-용리 모드 중 혼합-모드 막을 이용하는 mAbs 포스트 단백질 A의 정제 - 용리액 C.
도 8은 멀티사이클 혼합-모드 막의 성능 결과를 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다양한 혼합-모드 매질에 있어서 10% 파과(breakthrough)에서의 동적 결합능을 표로 나타낸 도면이다.
10은 실시예 11에 따라 제조된 혼합-모드 막 상에서의 시토크롬 C (1) 및 리소자임 (2)의 선택적 분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11은 막 성능에 미치는 0.5 M NaOH/0.1 M NaCl로의 막 노출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12는 음이온-교환 혼합-모드 막을 이용한, hIgG로부터의 응집체 제거를 나타낸 도면이다.
13은 용리 분획(elution fractions) 중 응집체 소거 데이터를 요약한 도면이다.
14는 용리 분획 중 HCP/DNA 소거 데이터를 요약한 도면이다.
15는 실시예 17에 따라 제조된 혼합-모드 막 상에서의 미오글로빈 (1), 리보뉴클리아제 A (2) 및 리소자임 (3)의 선택적 분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16은 코-모노머의 성질이 막 투과성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17은 코-모노머의 성질이 막 성능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18은 크로스-링커의 성질이 막 투과성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19는 크로스-링커의 성질이 막 성능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20은 실시예 8에 따라 제조된 음이온-교환 혼합-모드 막의 ESEM 마이크로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21은 실시예 11에 따라 제조된 양이온-교환 혼합-모드 막의 ESEM 마이크로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22는 실시예 17에 따라 제조된 양이온-교환 혼합-모드 막의 ESEM 마이크로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23은 혼합-모드 강 양이온 교환 막을 만드는데 이용된 포뮬레이션 성분 및 농도를 정리한 표이다.
24는 혼합-모드 강 양이온 교환 막의 성능 특성을 정리한 표이다.
25는 혼합-모드 강 양이온 교환 막을 만드는데 이용된 포뮬레이션 성분 및 농도를 정리한 표이다.
26은 혼합-모드 강 양이온 교환 막의 성능 특성을 정리한 표이다.
실시예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하기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그러나, 각 실시예에 기재된 상세내용은 설명 목적을 위해 선택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하기 실시예들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유사한 조건 하에 수행되었다.
실시예 1
이 실시예는 멀티-모달 작용성을 갖는 본 발명의 양이온-교환 재료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27.0 wt% N, N'-디메틸아세트아미드, 61.0 wt% 디(프로필렌 글리콜)디메틸 에테르, 7.15 wt% 1,2-프로판디올 4.85 wt% 물을 함유하는 용매 혼합물에 2-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 2-(메틸티오) 메타크릴레이트를 각각 1:0.22:0.14:0.06의 몰 비율로 용해시킴으로써 20 wt% 용액을 제조하였다. 글리세롤 1,3-디글리세롤레이트 디아크릴레이트를 가교제로서 이용하여 8% (mol/mol)의 가교 밀도를 얻었다. 모노머 질량에 대해 광개시제 Irgacure 2959를 1 wt%의 양으로 첨가하였다.
다음의 일반 공정에 따라 광개시 중합을 이용하여 지지체 TR0671 B50 (Hollingsworth & Vose)와 용액으로부터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칭량된 지지체 부재를 폴리(에틸렌)(PE) 시트 상에 놓고 모노머 또는 폴리머 용액을 샘플에 적용하였다. 이어서 상기 샘플을 다른 PE 시트로 커버하고 이렇게 얻은 샌드위치를 고무 롤러로 밀어서 과량의 용액을 제거하였다. 350 nm의 파장에서 10분간 광조사함으로써 개시된 중합에 의해 샘플 중에서 현장 겔 형성을 유도하였다. 얻어진 복합재를 RO로 완전히 세척한 다음 0.1 N 수산화나트륨과 0.1 N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용액에 넣어서 막을 Na+-형태로 하였다. 그 후 RO수(역삼투압수)로 세척한 다음 실온에서 건조하였다.
용질 유량(solute flux), hIgG 및 리소자임 결합능, hIgG 리소자임 회수율 관점에서 막을 특징화하였다.
샘플을 RO수로 습윤시킨 후에 복합재를 통한 용질 유량 측정을 실시하였다. 표준 공정으로서, 직경 7.8 cm의 디스크 형태의 샘플을 두께 3-5 mm의 소결된 그리드 상에 장착하고 제어된 압력 하에 압축 질소가 공급된 셀이 되도록 조립하였다. 상기 셀에 250 mM NaCl을 함유하는 pH 4.5의 85 mM 아세트산나트륨 완충액을 충전하고 100 kPa의 압력을 가하였다. 특정 시간 후에 복합재를 통해 통과하는 완충 용액을, 미리 칭량된 용기 내에 수집 하여 칭량하였다. 모든 실험은 실온, 대기압 하에 투과 아울렛(permeate outlet)에서 실시하였다. ±5%의 재현성을 달성하기 위해 각 측정을 3회 더 반복하였다.
다음 공정에 따라 단백질 흡착 실험을 실시하였다. 흡착 단계에서, 직경 25 mm의 단일 막 디스크 형상의 복합재 샘플을 Natrix 막 홀더에 설치하였다. 막 크로마토그래피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Waters 600E HPLC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250 mM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pH 4.5, 전도성 30 mS/cm (완충액 A)의 85 mM 아세트산나트륨 완충액을 통해 통과시킴으로써 셀과 막 샘플을 프라임시켰다.
Natrix 막 홀더로부터의 용출 스트림의 UV 흡광도(280 nm에서의)와 시스템 압력을 지속적으로 기록하였다. 단백질을 완충액 A에 용해시켜 0.5 mg/mL 용액을 제조하였다. 완충액 A를 결합 완충액이라 칭하였다. 25 mM 트리스/HCl, 250 mM NaCl을 함유하는 pH 8.2의 용리 완충액을 완충액 B라 칭하였다. 모든 완충액들과 단백질 용액들을 포어 크기가 0.2 ㎛인 폴리에테르설폰 (PES) 마이크로다공성 막 (Nalgene)을 통해 여과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피 실험에서, 안정한 UV 흡수 베이스라인이 수립될 때까지 완충액 A를 막을 통해 통과시켰다. 결합-용리 실험을 위해 개발된 이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제1 단계에서 막을 결합 완충액 A로 예비조건화(preconditioning) 하고; 제2 단계에서, 완충액 A에 용해된 단백질을 20-30% 파과에 도달하도록 막을 통해 통과시키고; 제3 단계에서 막을 완충액 A로 세척하며 마지막 단계에서 상기 막을 통과한 완충액 B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상기 막으로부터 용출시킴. 크로마토그래피 실험은 1 mL/분의 유속에서 실시하였다.
흡착/결합 단계에서 막에 가해진 물질의 양과 비교된 탈착된(desorbed) 물질의 양으로서 단백질 회수율을 계산하였다.
이 방법에 의해 생산된 복합재는 인가된 100 kPa의 압력에서 2,950 kg/m2h의 용질 유량을 가졌다. 10% 파과에서의 동적 결합능은 hIgG의 경우 220.1 mg/mL, 리소자임의 경우 135.0 mg/mL이었다. hIgG 및 리소자임의 회수율은 95%가 넘었다.
도 1은 전술한 실험에서 얻어진 hIgG 결합-용리 곡선을 나타낸다.
실시예 2
이 실시예는 멀티-모달 작용성을 갖는 본 발명의 양이온-교환 재료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26.3 wt%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59.6 wt% 디(프로필렌 글리콜)디메틸 에테르, 7.3 wt% 1,2-프로판디올 및 6.8 wt% 물을 함유하는 용매 혼합물에 2-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를 각각 1:0.25:0.15:0.14의 몰 비율로 용해시킴으로써 23 wt% 용액을 제조하였다. 글리세롤 디메타크릴레이트 (GDA) 및 3-(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AHM)를 가교제로서 사용하여 10.6% (mol/mol)의 가교 밀도를 얻었다. 가교제인 GDA 및 AHM를 각각 1:0.9의 몰 비율로 첨가하였다. 모노머 질량에 대해 광개시제 Irgacure 2959를 1 wt%의 양으로 첨가하였다.
전술한 일반 공정(실시예 1)에 따른 광개시된 중합 공정을 이용하여 지지체 TR0671 B50 (Hollingsworth & Vose) 및 용액으로부터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샘플을 350 nm에서 10분간 광조사하였다. 얻어진 복합재를 RO로 완전히 세척한 다음 0.1 N 수산화나트륨과 0.1 N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용액에 넣어서 막을 Na+-형태로 하였다. 그 후 RO수로 세척한 다음 실온에서 건조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막을 실시예 1에 설명된 바와 같이 용질 유량, hIgG 결합능 및 hIgG 회수율 측면에서 특징화하였다.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합재는 10% 파과에서 175.8 mg/mL의 hIgG 결합능과 4,150.00 kg/m2h의 용질 유량을 나타내었다. hIgG의 회수율은 95%를 상회하였다.
실시예 3
이 실시예는 멀티-모달 작용성을 갖는 본 발명의 양이온-교환 재료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27.0 wt%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60.0 wt% 디(프로필렌 글리콜)디메틸 에테르, 6.5 wt% 1,2-프로판디올 및 6.5 wt% 물을 함유하는 용매 혼합물에 2-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를 각각 1:0.26:0.15의 몰 비율로 용해시킴으로써 20.6 wt% 용액을 제조하였다. 글리세롤 프로폭실레이트 (1PO/OH) 트리아크릴레이트를 가교제로서 사용하여 7.7% (mol/mol)의 가교 밀도를 얻었다. 모노머 질량에 대해 광개시제 Irgacure 2959를 1 wt%의 양으로 첨가하였다.
전술한 일반공정(실시예 1)에 따라 광개시된 중합 공정을 이용하여 지지체 TR0671 B50 (Hollingsworth & Vose) 및 용액으로부터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샘플을 350 nm에서 10분간 광조사하였다. 얻어진 복합재를 RO로 완전히 세척한 다음 0.1 N 수산화나트륨과 0.1 N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용액에 넣어서 막을 Na+-형태로 하였다. 그 후 RO수로 세척한 다음 실온에서 건조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막을 실시예 1에 설명된 바와 같이 용질 유량, hIgG 결합능 및 hIgG 회수율 측면에서 특징화하였다.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합재는 10% 파과에서 144 mg/mL의 hIgG 결합능과 2,740.00 kg/m2h의 용질 유량을 나타내었다. hIgG의 회수율은 95%를 상회하였다.
실시예 4
이 실시예는 멀티-모달 작용기를 갖는 본 발명의 양이온-교환 재료의 hIgG 결합능에 미치는 이온 강도의 효과를 설명한다.
혼합 모드 매질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내염성(salt tolerance)이다. 소수성 성분과 이온성 성분을 함유하는 혼합-모드 매질의 이중 작용성으로 인해, 이온 강도를 증가시키면 이온 결합이 파괴되지만, 염 농도를 증가시키면 소수성 흡착이 증강되어 염에 독립적인 성능이 얻어진다.
실시예 1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조된 멀티모달 양이온 교환 막을 이용하여 hIgG 결합능에 대한 이온 강도의 효과를 시험하였다. 0 내지 400 mM 범위로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pH 4.5의 85 mM 아세트산나트륨 완충액을 결합 완충액으로서 이용하였다. 다양한 이온 강도의 결합 완충액에 hIgG를 용해시켜 0.5 mg/mL 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1에 설명된 바와 같이 결합 실험을 실시하였다. 도 2는 결합 완충액 중 염 농도의 함수로서 10% 파과에서의 hIgG 동적 결합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Natrix 약-양이온 교환 막(Natrix C) 및 Natrix 강 양이온 교환 막(Natrix S) 역시도 내염성 연구에서 함께 시험하였다 (도 2).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혼합-모드 막이 다양한 작용성을 갖는 경우, 약-양이온 교환 막(Natrix C)의 경우 관찰되는 바와 같이 내염 성능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능도 향상된다. 본 발명의 멀티모달 막은 출발물질의 전도성 측면에서 전통적인 양이온 교환제보다 훨씬 더 넓은 운용 범위로 성공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두 번째로, 혼합-모드 막은 출발물질의 전도성 감소를 위한 사전 희석 없이, 청정화된 주입 원액(clarified feed stock)을 직접 로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 5
이 실시예는 멀티-모달 작용성을 갖는 본 발명의 양이온-교환 재료의 hIgG 결합능에 미치는 pH의 효과를 설명한다.
pH-의존성 결합은 혼합-모드 매질의 특징들 중 하나이다. 후자는 pH를 이용할 수 있어 이동상의 전도성 변화 없이 단백질 용리를 위한 효과적인 툴이다. 소수성 및 정전기 상호작용의 조합에 의한 혼합-모드 흡수제 작용으로 인해, 이동상 pH는 한 유형의 상호작용으로부터 다른 유형의 상호작용으로의 시프트의 주요 원인이 된다.
실시예 1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조된 멀티모달 양이온 교환 막을 이용하여 pH가 hIgG 결합능에 미치는 효과를 시험하였다. 250 mM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85 mM 아세트산나트륨 완충액을 결합 완충액으로서 사용하였다. pH는 4.0 내지 6.0으로 변화시켰다. 다양한 pH의 결합 완충액에 hIgG를 용해시켜 0.5 mg/mL 용액을 제조하였다. 결합 실험을 실시예 1에 설명된 바와 같이 수행하였다. 도 3은 pH의 함수로서 10% 파과에서 hIgG 동적 결합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pH가 증가함에 따라, 결합능은 감소하는데, 이는 기본 메카니즘과도 일치하는 것이다.
실시예 6
이 실시예는 모노클로날 항체의 정제를 위한 결합-용리 모드에서 혼합-모드 막의 사용을 설명한다.
결합-용리 모드로 혼합-모드 매질을 이용함으로써, 제제(preparation) 또는 단백질 A 정제된 모노클로날 항체로부터의 항체 응집체의 제거를 개선할 수 있다. "결합-용리(Bind-elute)" 모드는 표적 단백질(예컨대, 응집되지 않은 항체)과 원치 않는 오염물질(예컨대, 응집된 항체) 두 가지 모두가 혼합 모드 크로마토그래피 지지체에 결합되도록 완충 조건을 수립하는 크로마토그래피의 운용적 접근법의 하나이다. 목적하는 표적은 지지체로부터 용리되도록 하는 한편 오염물질은 결합된 채로 유지되도록 조건을 변화시킴으로써 응집되지 않은 단백질의 분획화가 후속적으로 달성된다. 이들 오염물질들은 적절한 세정 완충액에 의해 최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실시예 1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조된 멀티모달 양이온 교환 막을 이용하여 모노클로날 항체 정제를 위한 결합-용리 모드에서의 막 성능을 시험하였다. 250 mM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pH 4.5의 85 mM 아세트산나트륨 완충액을 결합 완충액 A로서 사용하였다. 단백질 A 정제된 모노클로날 항체 (mAbs)를 결합 완충액 A에 용해시켜 0.5 mg/mL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 설명된 완충액 A로 막을 1 mL/분의 유속에서 평형화시켰다. mAbs 용액을 막에 가하여 10% 파과% 동적 결합결합능 80%를 달성하고, 평형 완충액 A로 세척한 다음 2 단계로 용리시켰다. 제1 단계는 용리 완충액 B로서 135 mM NaCl을 함유하는 pH 5.7의 100 mM MES 완충액을 사용하는 반면, 제2 단계에서는 용리 완충액 C로서 250 mM NaCl을 함유하는 pH 8.2의 25 mM 트리스/HCl 완충액을 사용하였다 (도 4). 용리액(Eluents)을 SEC 컬럼 TSKgel G3000SWxl (Tosoh Bioscience)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00 mM 황산나트륨을 함유하는 pH 6.7의 100 mM 인산나트륨 완충액을 이동상으로서 이용하였다. 800 μL 샘플을 0.80 mL/분으로 컬럼에 가하였다.
도 4는 결합-용리 모드에서의 혼합-모드 막의 성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2-단계 용리에 의해 응집되지 않은 mAbs를 응집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도 5-7).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완충액 B를 이용하여 용리된 mAbs의 제1 분획은 주입 용액에 비해 응집체를 훨씬 더 적은 양으로 함유한다. 이 혼합-모드 막은 응집체의 양을 1.51%에서 0.11%, 달리 표현하면 93%까지 선택적으로 감소시켰다. 완충액 C로 용리된 mAbs의 제2 분획은 상당한 양의 응집체를 나타내었다 (도 7).
실시예 7
이 실시예는 결합-용리 모드에서의 혼합-모드 막의 멀티사이클 사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조된 멀티모달 양이온 교환 막을 이용하여 멀티사이클에서의 막 성능을 시험하였다. 실시예 1에 설명된 바와 같이 결합-용리 실험을 실시하였다. 막을 100 mM 구연산나트륨 완충액, pH 4.5, 전도성 - 21.9 mS/cm로 평형화시켰다. 동일한 완충액을 결합 완충액 A로서 사용하였다. 단백질 A 정제된 모노클로날 항체(mAbs)를 결합 완충액에 용해시켜 0.5 mg/mL 용액을 제조하였다. mAbs 용액을 막에 가하여 20% 파과 동적 결합능을 얻고, 평형 완충액 A로 세척한 다음, 실시예 6에 설명된 바와 같이 2 단계로 용리시켰다. 제1 단계는 135 mM NaCl를 함유하는 pH 5.7의 100 mM MES 완충액을 용리 완충액 B로서 사용하는 한편, 제2 단계에서는 250 mM NaCl를 함유하는 25 mM 트리스/HCl 완충액을 용리 완충액 C로서 사용하였다. mAbs 주입 용액 및 용리액을 SEC 컬럼 TSKgel G3000SWxl (Tosoh Bioscience) 상에서 분석하였다. 100 mM 황산나트륨을 함유하는 pH 6.7의 100 mM 인산나트륨 완충액을 이동상으로서 사용하였다. 800 μL 샘플을 0.80 mL/분으로 컬럼에 가하였다
280 nm에서의 UV 흡광도에 대해 용리액을 모니터링하여 막의 결합능을 특징화하였다. 이어서 막을 0.1 M NaCl/0.1 M NaCl로 세척하고 두 번째 실시를 위해 완충액 A로 평형시켰다. 이어서 막을 0.1 M NaCl/0.1 M NaCl로 세척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세 번째 실시를 위해 완충액 A로 평형시켰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반복 실시하였다. 도 8은 복수회의 사이클에서의 멀티모달 막의 성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SEC 컬럼 분석 결과 mAb 주입 용액 중 1.5% 응집체가 나타났다.
도 8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Natrix 멀티모달 막은 3회의 실시에서 동적 결합능과 선택적 응집체 제거 측면에서 동일한 성능을 나타냈다. mAbs 포스트 단백질 A 중의 응집체 농도는 1.51%에서 0.11%로 또는 93% 감소하였다.
실시예 8
이 실시예는 멀티-모달 작용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음이온-교환 재료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멀티모달 강 음이온-교환 매질은 프로세스 규모로 모노클로날 항체 (mAbs)의 포스트-단백질 A 정제에 사용될 수 있는 잠재력이 크다. 그 목표는 DNA, 숙주 세포 단백질 (HCP), 용탈된 단백질 A, 응집체 및 바이러스와 같은 핵심 오염물질을 하나의 단계로 제거하는 것이다.
모노머로서 (ar-비닐벤질)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크로스-링커로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TRIM-A)를 52.0 wt% 1,2-프로판디올 및 48.0 wt%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용매 혼합물에 용해시켜 12.6 wt% 용액을 제조하였다. 가교제 TRIM-A를 첨가하여 13% (mol/mol)의 가교 밀도를 달성하였다. 광개시제인 Irgacure 2959를 모노머 질량에 대해 1 wt%의 양으로 첨가하였다.
전술한 일반 공정(실시예 1)에 따른 광개시 중합을 이용하여 지지체 TR0671 B50 (Hollingsworth & Vose) 및 용액으로부터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샘플을 350 nm에서 10분간 광조사하였다. 얻어진 복합재를 RO로 철저히 세척하고 실온에서 건조시켰다.
이렇게 얻어진 막을 실시예 1에 설명된 바와 같이 물, 용질 유량 (150 mM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100 mM 인산나트륨 완충액, pH 7.0) 및 단백질 A 결합능의 측면에서 특징화시켰다. 단백질 A를 150 mM 염화나트륨를 함유하는 pH 7.0의 100 mM 인산나트륨 완충액에 용해시켰다.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합재는 100 kPa에서 1,850.00 kg/m2h의 물 유량, 2,270.00 kg/m2h의 용질 유량 10% 파과에서 85.8 mg/mL의 단백질 A 결합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9
이 실시예는 모노클로날 항체 정제를 위해 플로우-쓰루 모드에서 혼합-모드 막의 사용을 설명한다.
플로우-쓰루 모드에서 혼합-모드 매질을 이용함으로써, 제제 또는 단백질 A 정제된 모노클로날 항체로부터 항체 응집체를 성공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는 정제하고자 하는 응집되지 않은 온전한 단백질을 혼합 모드 크로마토그래피 지지체를 통해 흐르게 하는 한편, 응집체 및 기타 커다란 분자들(바이러스 포함)은 선택적으로 체류시킴으로서 후자를 제거하도록 완충 조건을 설정한 크로마토그래피 운용 접근법이다.
실시예 8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조된 멀티모달 음이온-교환 막을 이용하여 모노클로날 항체 정제를 위한 플로우-쓰루 모드에서의 막 성능을 시험하였다. 실시예 1에 설명된 바와 같이 250 mM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100 mM 인산나트륨 완충액을 이용하여 1 mL/분의 유속에서 막을 평형시켰다. 단백질 A 정제된 모노클로날 항체(mAbs)를 완충액 A에 용해시키고 1 mg/mL의 유속으로 300 mg mAbs/mL를 막에 적용하였다. mAbs 주입 및 플로우쓰루 분획을 SEC 컬럼 TSKgel G3000SWxl (Tosoh Bioscience)으로 분석하였다. 100 mM 황산나트륨을 함유하는, pH 6.7의 100 mM 인산나트륨 완충액을 이동상으로서 사용하였다. 800 μL 샘플을 0.80 mL/분의 유속으로 컬럼에 적용하였다. 응집체 수준이 1.51%로부터 0.32%로 감소하였다.
실시예 10
이 실시예는 멀티-모달 관능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음이온-교환 재료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72.5 wt% 1,3-부탄디올 및 27.5 wt%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를 함유하는 용매 혼합물에 2-(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ar-비닐벤질)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 및 2-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를 1:0.36:0.52:0.1의 몰 비율로 각각 용해시킴으로써 25% 용액을 제조하였다.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를 가교제로서 사용하여 12.2% (mol/mol)의 가교 밀도를 달성하였다. 광개시제 Irgacure 2959를 모노머 질량에 대해 1 wt%의 양으로 첨가하였다.
전술한 일반 공정(실시예 1)에 따라 광개시 중합을 이용하여 지지체 TR0671 B50 (Hollingsworth & Vose) 및 용액으로부터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샘플을 350 nm에서 10분간 광조사하였다. 얻어진 복합재를 RO로 철저히 세척하고 실온에서 건조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막을 실시예 1에 설명된 바와 같이 물, 용질 유량 (250 mM 염화나트륨를 함유하는 100 mM 인산나트륨 완충액, pH 7.0) 측면에서 특징화하고 실시예 9에 설명된 바와 같이 플로우-쓰루 모드로 응집체를 모노클로날 항체로부터 제거하였다. 단백질 A 정제된 모노클로날 항체 (mAbs)를 완충액 A에 용해시키고 400 mg/mL를 1 mg/mL의 유속으로 막에 적용하였다. mAbs 주입 및 플로우쓰루 분획을 SEC 컬럼 TSKgel G3000SWxl (Tosoh Bioscience) 상에서 분석하였다. 100 mM 황산나트륨을 함유하는, pH 6.7의 100 mM 인산나트륨 완충액을 이동상으로서 사용하였다. 800 μL 샘플을 컬럼에 0.80 mL/분의 유속으로 첨가하였다.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합재는 3,750.00 kg/m2h의 물 유량 및 4,050.00 kg/m2h의 용질 유량을 나타냈다. 응집체 수준은 1.51%로부터 0.47%로 감소하였다.
실시예 11
이 실시예는 멀티-모달 작용성을 갖는 본 발명의 양이온-교환 재료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26.7 wt%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61.5 wt% 디(프로필렌 글리콜)디메틸 에테르, 7.1 wt% 1,2-프로판디올 및 4.7 wt% 물을 함유하는 용매 혼합물에 2-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2-(메틸티오)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염산염 및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를 1:0.34:0.05:0.05:0.22의 몰 비율로 각각 용해시켜 19.3 wt% 용액을 제조하였다.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를 가교제로서 사용하여 5.4% (mol/mol)의 가교 밀도를 얻었다. 광개시제인 Irgacure 2959를 모노머 질량에 대해 1 wt%의 양으로 첨가하였다.
전술한 일반 공정(실시예 1)에 따른 광개시된 중합 공정을 이용하여 지지체 TR0671 B50 (Hollingsworth & Vose) 및 용액으로부터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샘플을 350 nm에서 10분간 광조사하였다. 얻어진 복합재를 RO로 완전히 세척한 다음 0.1 N 수산화나트륨과 0.1 N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용액에 넣어서 막을 Na+-형태로 하였다. 그 후 막을 RO수로 세척한 다음 실온에서 건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막을 실시예 1에 설명된 바와 같이 용질 유량 (85 mM 아세트산나트륨 완충액/250 mM NaCl, pH 4.5), hIgG 결합능 및 hIgG 회수율 측면에서 특징화시켰다.
이 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재는 10% 파과에서 181 mg/mL의 hIgG 결합능 및 2,744.00 kg/m2h의 용질 유량을 나타냈다. hIgG의 회수율은 95%를 상회하였다.
실시예 12
이 실시예는 멀티-모달 관능성을 갖는 본 발명의 양이온-교환 재료의 선택성을 설명한다.
선택성은 분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인자이다. 혼합-모드 매질은 이온-교환 특성과 소수성 특성을 겸비하므로 각 체류 모드의 체류 규모가 이동상의 이온 강도, pH 및 유기 용매 함량의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 변화에 의해 조정될 수 있도록 조작할 수 있다.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혼합-모드 막을 선택성 연구에 이용하였다. 전형적인 HPLC 장비에 부착된 스테인레스 강 디스크 홀더에 삽입된 단일층을 이용하여 막을 시험하였다. 리소자임과 시토크롬 C의 선택적 분리에 관한 크로마토그래피 연구를, 이동상(완충액 A)로서 pH 6.5의 20 mM 인산나트륨 완충액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용리 완충액 B로서 1.0 M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20 mM 인산나트륨 완충액을 이용하여 완충액 A로부터 완충액 B로의 선형 구배 용리를 수행하였다. 막 크로마토그래피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Waters 600E HPLC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100 μL 루프를 이용하여 단백질 혼합물 (5mg/mL 리소자임 및 3 mg/mL 시토크롬 C)의 50 μL 샘플을 주입하였다. 막 홀더로부터의 용리액 스트림의 UV 흡광도(280 nm에서) 및 시스템 압력을 지속적으로 기록하였다. 유속은 2 mL/분이었다. 모든 크로마토그래피 연구는 25℃에서 실시하였다. 도 10은 본 발명의 혼합-모드 막에서 단백질의 선택적 분리를 나타낸다.
실시예 13
이 실시예는 멀티-모달 작용기를 갖는 본 발명의 양이온-교환 재료의 부식 안정성(caustic stability)을 설명한다.
수산화나트륨은 크로마토그래피 매질 및 시스템을 세척, 위생 처리 및 보관하는데 광범하게 허용되고 있다. 수산화나트륨 사용의 장점으로는 효율, 저렴한 비용, 검출, 제거 및 폐기의 용이성을 들 수 있다.
수산화나트륨은 단백질과 핵산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대부분의 바이러스, 세균, 효모 및 내독소를 불활성화시키는데도 효과적이다.
선택성과 결합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크로마토그래피 매질 및 시스템을 청결히 하여야 하며 일반적으로 예컨대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하는 것과 같은 알칼리 조건 하에서 세정한다. 예를 들어, 매질의 세척 및 보관에 이용되는 표준 공정은 정치 세척(cleaning-in-place: CIP) 알칼리성 프로토콜로서, 일반적으로 막을 0.5 M NaOH로 세척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사용될 용도로 개발되는 막들은 장기간 통상적인 알칼리 세척을 견뎌내야만 한다.
실시예 11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조된 멀티모달 양이온 교환 막을 0.5 M 수산화나트륨에 노출시켜 막의 성능에 미치는 효과를 시험하였다. 막을 30분 내지 24 시간의 기간 동안 0.1 M NaCl을 함유하는 0.5 M 수산화나트륨 내로 위치시켰다. 그 후, 막을 RO수 (RO water)로 세척하고 250 mM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pH 4.5의 85 mM 아세트산나트륨 완충액으로 평형시켰다. 이어서, 실시예 1에 설명된 바와 같이 용질 유량 및 hIgG 결합능을 측정하였다. 도 11은 0.1 M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0.5 M 수산화나트륨에 대한 막의 노출이 용질 유량 및 hIgG 결합능에 미치는 효과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막은 대단히 높은 부식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0.5 M NaOH/0.1 M NaCl에 최대 24 시간 노출시킨 후에도 막의 성능에는 유의적인 변화가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실시예 14
이 실시예는 모노클로날 항체 정제를 위해 결합-용리 모드에서 혼합-모드 막을 사용하는 것을 설명한다.
실시예 11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조된 멀티모달 양이온 교환 막을 이용하여 결합-용리 모드로 혼합-모드 막을 이용하여 모노클로날 항체를 정제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AKTATM Purifier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GE Life Sciences)을 이용하여 막 크로마토그래피 실험을 수행하였다. 막 홀더로부터의 용출 스트림의 UV 흡광도, pH 및 전도성 그리고 시스템 압력을 지속적으로 기록하였다. 250 mM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pH 4.5의 85 mM 아세트산나트륨 완충액(완충액 A)에 용해된 100 mg/mL 청어 정자 DNA 및 5.2 mg/mL 숙주 세포 단백질 (HCP)로 1 mg/mL 단백질 A 정제된 모노클로날 항체 (mAbs)를 스파이크하여 주입 용액을 제조하였다. 샘플 펌프를 이용하여 주입물을 로딩시켰다. 주입 용액을 막 홀더 내로 주사하기 전에, 완충액 A를 안정한 판독값이 얻어질 때까지 막을 통해 통과시켰다. 표적 mAbs를 2 단계로 용리시켰다. 제1 단계에서 15 mM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pH 6.5의 30mM 인산나트륨 완충액을, 그리고 제2 단계에서 1.0 M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25 mM 트리스/HCl 완충액을 용리 완충액 (완충액 C)로서 이용하였다. 제1 용리 단계로부터의 용리액 (완충액 B)을 8개 분획으로 수집하였다 (A1-A8). HCP 수준과 DNA 농도를 분획을 조합시켜(A1-A5) 및 (A6-A8) 측정하고 주입 분획에서도 측정하였다.
광범위 반응성 차이니즈 햄스터 난소(CHO) HCP ELISA 키트 (Cygnus Technologies F550)를 이용하여 HCP 수준을 측정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피 실험에 사용된 HCP를 이용하여 보정(calibration)을 수행하였다. 캘리브레이터와 샘플들을 Sample Diluent (Cygnus I028)로 희석하였다. Thermo Scientific Multiskan Ascent
Figure 112015094030860-pct00004
Plate Reader를 이용하여 측정을 수행하였다.
DNA 농도를 DNA Assay (Life Technologies Quant-iTTM PicoGreen
Figure 112015094030860-pct00005
dsDNA Assay Kit P11496)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λDNA 표품 및 샘플들을 250 mM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pH 4.5의 85 mM 아세트산나트륨 완충액으로 희석하였다. Thermo Scientific Fluoroskan Ascent
Figure 112015094030860-pct00006
Plate Reader로 측정을 수행하였다.
플로우쓰류 분획 및 주입 용액으로부터의 샘플들도 흡수 분광측정학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흡수 측정은 260 및 280 나노미터(nm)의 파장에서 실시하였다. A260/A280 흡수비를 측정값들로부터 입력하였다. A260/A280이 1.8 이상일 경우 해당 분석 샘플에 단백질이 비교적 없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mAbs 주입 및 용리 분획 A6-A8 역시 SEC 컬럼 TSKgel G3000SWxl (Tosoh Bioscience)에서 분석하였다 (도 13). 100 mM 황산나트륨을 함유하는 pH 6.7의 100 mM 인산나트륨 완충액을 이동상으로 이용하였다. 800 μL 샘플을 0.75 mL/분의 유속으로 컬럼에 적용하였다.
HCP/DNA 소거 데이터를 도 14에 나타내었다.
도 13 및 도 1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1에 설명된 혼합-모드 막은 응집체 소거 측면에서 뿐 아니라 HCP/DNA 소거 측면에서도 탁월한 성능을 나타냈다. 상기 막을 항체 프로세스의 포획 단계에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15
이 실시예는 멀티-모달 작용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음이온-교환 재료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52.7 wt% 1,2-프로판디올, 41.9 wt%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필 에테르 및 5.4 wt% 물을 함유하는 용매 혼합물에 (ar-비닐벤질)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2-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염산염 및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를 각각 1:0.46:0.085의 몰 비율로 용해시킴으로써 13.7 wt% 용액을 제조하였다.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를 가교제로서 사용하여 9.4% (mol/mol)의 가교 밀도를 달성하였다. 광개시제 Irgacure 2959를 모노머 질량에 대해 1 wt%의 양으로 첨가하였다.
전술한 일반 공정(실시예 1)에 따른 광개시된 중합 공정을 이용하여 지지체 TR0671 B50 (Hollingsworth & Vose) 및 용액으로부터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샘플을 350 nm에서 10분간 광조사하였다. 얻어진 복합재를 RO로 완전히 세척하고 실온에서 건조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막을 실시예 1에 설명된 바와 같이 물, 용질 유량 (150 mM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100 mM 인산나트륨 완충액, pH 7.0), 단백질 A 및 청어 정자 DNA 결합능의 측면에서 특징화하였다. 단백질 A를 150 mM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pH 7.0의 100 mM 인산나트륨 완충액에 용해시키고 청어 정자 DNA는 150 mM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pH 6.5의 20 mM 인산나트륨 완충액에 용해시켰다.
이 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재는 10% 파과에서 20 mg/mL의 청어 정자 DNA 결합능과 125.5 mg/mL의 단백질 A 결합능, 100 kPa에서 3,735.00 kg/m2hr의 물 유량 및 4,330.00 kg/m2hr의 용질 유량을 나타냈다.
실시예 16
이 실시예는 플로우-쓰루 모드로 hIgG를 정제하는데 있어서의 혼합-모드 막의 사용을 설명한다.
실시예 15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조된 멀티모달 음이온-교환 막을 이용하여 응집체로부터 hIgG를 정제하는데 있어서 플로우-쓰루 모드에서의 막 성능을 시험하였다. 실시예 1에 설명된 바와 같이 150 mM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20 mM 인산나트륨 완충액 (완충액 A)로 막을 1 mL/분의 유속으로 평형화시켰다. hIgG를 완충액 A에 용해시키고 300 mg hIgG/mL를 1 mg/mL의 유속으로 막에 적용하였다. 응집체를 pH 4.2의 100 mM 아세트산나트륨 완충액으로 용리시켰다 (도 12). hIgG 주입 및 플로우쓰류 분획을 SEC 컬럼 TSKgel G3000SWxl (Tosoh Bioscience)으로 분석하였다. 100 mM 황산나트륨을 함유하는 pH 6.7의 100 mM 인산나트륨 완충액을 이동상으로 이용하였다. 800 μL 샘플을 컬럼에 0.80 mL/분의 유속으로 가하였다. 응집체 수준은 15.1%로부터 8.3%로 감소하였다.
실시예 17
이 실시예는 멀티-모달 작용성을 갖는 본 발명의 강 양이온 교환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17.8 wt%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54.1 wt% 디(프로필렌 글리콜)디메틸 에테르, 17.2 wt% 1,2-프로판디올 및 10.9 wt% 물을 함유하는 용매 혼합물에 2-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나트륨 염, 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 및 N-페닐아크릴아미드를 각각 1:0.18:0.1의 몰 비율로 용해시킴으로써 13.2 wt% 용액을 제조하였다. N,N'-헥사메틸렌비스(메타크릴아미드)를 가교제로서 이용하여 12% (mol/mol)의 가교 밀도를 달성하였다. 광개시제 Irgacure 2959를 모노머 질량에 대해 1 wt%의 양으로 첨가하였다.
전술한 일반 공정(실시예 1)에 따른 광개시된 중합 공정을 이용하여 지지체 TR0671 B50 (Hollingsworth & Vose) 및 용액으로부터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샘플을 350 nm에서 10분간 광조사하였다. 얻어진 복합재를 RO로 완전히 세척하고 실온에서 건조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막을 실시예 1에 설명된 바와 같이 용질 유량 (85 mM 아세트산나트륨 완충액/250 mM NaCl, pH 4.5), hIgG 결합능 (hIgG를 85 mM 아세트산나트륨 완충액/NaCl에 용해시켰음, pH 4.5 및 15 mS/cm의 전도성) 및 hIgG 회수율 관점에서 특징화하였다.
이 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재는 10% 파과에서 91.5 mg/mL의 hIgG 결합능 및 1,564.00 kg/m2hr의 용질 유량을 나타내었다. hIgG의 회수율은 95%를 상회하였다.
실시예 18
이 실시예는 멀티-모달 작용성을 갖는 본 발명의 양이온-교환 재료의 선택성을 설명한다.
실시예 17에서 제조된 혼합-모드 막을 선택성 연구에 이용하였다. 전형적인 HPLC 장비에 부착된 스테인레스 강 디스크 홀더에 삽입된 단일층을 이용하여 막을 시험하였다. 미오글로빈, 리보뉴클리아제 A 및 리소자임의 선택적 분리에 관한 크로마토그래피 연구를, 이동상(완충액 A)로서 pH 6.5의 20 mM 인산나트륨 완충액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용리 완충액 B로서 1.0 M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20 mM 인산나트륨 완충액을 이용하여 완충액 A로부터 완충액 B로의 선형 구배 용리를 수행하였다. 막 크로마토그래피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Waters 600E HPLC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100-μL 루프를 이용하여 단백질 혼합물 (5mg/mL 리보뉴클리아제 A, 3.3 mg/mL 미오글로빈 및 7 mg/mL 리소자임이 1:0.25:0.15의 부피비로 혼합됨)의 50-μL 샘플을 주입하였다. 막 홀더로부터의 용리액 스트림의 UV 흡광도(280 nm에서) 및 시스템 압력을 지속적으로 기록하였다. 유속은 3 mL/분이었다. 모든 크로마토그래피 연구는 25℃에서 실시하였다. 도 15는 본 발명의 혼합-모드 막에서 단백질의 선택적 분리를 나타낸다.
실시예 19
이 실시예는 사용된 코-모노머의 특성이 멀티-모달 작용성을 갖는 본 발명의 강 양이온-교환 재료의 성능에 미치는 효과를 설명한다.
다양한 코-모노머들을 이용하여 실시예 17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일련의 멀티모달 강 양이온-교환 막을 제조하였다. 이에 따라, 17.8 wt%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54.1 wt% 디(프로필렌 글리콜)디메틸 에테르, 17.2 wt% 1,2-프로판디올 및 10.9 wt% 물을 함유하는 용매 혼합물에 2-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나트륨 염, 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 (NIPAM) (또는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 아크릴아미드 (THMAAm) 또는 N-(3-메톡시프로필) 아크릴아미드 (MPAAm) 또는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DMAAm)) 및 N-페닐아크릴아미드를 1:0.18:0.1의 몰 비율로 각각 용해시켜 13.2 wt% 용액을 제조하였다. N,N'-헥사메틸렌비스(메타크릴아미드)를 가교제로서 사용하여 12% (mol/mol)의 가교 밀도를 달성하였다. 광개시제 Irgacure 2959를 모노머 지량에 대해 1 wt%의 양으로 첨가하였다.
전술한 일반 공정(실시예 1)에 따른 광개시된 중합 공정을 이용하여 지지체 TR0671 B50 (Hollingsworth & Vose) 및 용액으로부터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샘플을 350 nm에서 10분간 광조사하였다. 얻어진 복합재를 RO로 완전히 세척하고 실온에서 건조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막을 실시예 1에 설명된 바와 같이 유량 (85 mM 아세트산나트륨 완충액/250 mM NaCl, pH 4.5 및 25 mM 트리스/HCl, 250 mM NaCl, pH 8.2l), hIgG 결합능 및 hIgG 회수율 관점에서 특징화하였다.
도 16 및 17은 코-모노머의 성질이 막 성능에 미치는 효과를 설명한다.
hIgG의 회수율은 시험된 모든 막에서 95%를 상회하였다.
강 양이온 교환 혼합-모드 포뮬레이션에서 코-모노머로서 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를 이용하면 투과 특성과 결합능 두 가지가 모두 우수한 막이 결과되었다.
실시예 20
이 실시예는 사용된 크로스-링커의 성질이 멀티-모달 작용성을 갖는 본 발명의 강 양이온-교환 재료의 성능에 미치는 효과를 설명한다.
다양한 크로스-링커들을 이용하여 일련의 멀티모달 강 양이온-교환 막들을 제조하였다. 이에 따라, 23.7 wt%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55.5 wt%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8.7 wt% 1,2-프로판디올 및 12.1 wt% 물을 함유하는 용매 혼합물에 2-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나트륨 염, 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 및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를 각각 1:0.1:0.15의 몰 비율로 용해시킴으로써 14.5 wt% 용액을 제조하였다.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BIS) (또는 N,N'-헥사메틸렌비스(메타크릴아미드 (헥사-비스) 또는 2,4,6-트리알릴옥시-1,3,5-트리아진 (T-XL-1) 또는 1,3,5-트리알릴-1,3,5-트리아진-2,4,6-(1H,3H,5H)-트리온 (T-XL-2) 또는 1,3,5-트리아크릴로일헥사히드로-1,3,5-트리아진 (T-XL-3) 또는 글리옥살 비스(디알릴아세탈) (GBDA 또는 GBDE))을 가교제로서 사용하여 10% (mol/mol)의 가교 밀도를 달성하였다. 광개시제 Irgacure 2959를 모노머 질량에 대해 1 wt%의 양으로 첨가하였다.
전술한 일반 공정(실시예 1)에 따른 광개시된 중합 공정을 이용하여 지지체 TR0671 B50 (Hollingsworth & Vose) 및 용액으로부터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샘플을 350 nm에서 10분간 광조사하였다. 얻어진 복합재를 RO로 완전히 세척하고 실온에서 건조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막을 실시예 1에 설명된 바와 같이 유량 (85 mM 아세트산나트륨 완충액/250 mM NaCl, pH 4.5 및 25 mM 트리스/HCl, 250 mM NaCl, pH 8.2), hIgG 결합능 및 hIgG 회수율 관점에서 특징화하였다.
도 18 및 19는 사용된 크로스-링커의 성질이 막 성능에 미치는 효과를 설명한다.
hIgG의 회수율은 시험된 모든 막에서 95%를 상회하였다.
전술한 데이터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18 및 도 19에서, 사용된 가교제의 성질은 막 포어의 크기, 포어 부피 분획 및 상호연결성을 제어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3작용성(trifunctional) 크로스-링커인 1,3,5-트리아크릴로일헥사히드로-1,3,5-트리아진을 이용하여, 우수한 투과 특성을 갖는 막이 얻어졌다.
실시예 21
이 실시예는 실시예 8에 따라 제조된 멀티-모달 작용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음이온-교환 재료의 겔 형태학(gel morphology)를 설명한다.
실시예 8에 따라 제조된 혼합-모드 막의 겔 형태를 환경주사전자현미경(ESEM, Philips Electroscan, model E-2020, Electroscan Corp., USA)을 이용하여 시험하였다. 작은 막 샘플 (3mm x 3 mm)을 DI수에 침지시키고, 표면의 물을 젖은 여과지로 제거한 다음 젖은 막을 샘플 챔버에 넣었다. 가열 효과와 샘플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커다란 스폿 크기와 연계하여 20 kV의 가속 전압을 이용하고 배율은 1500x 미만으로 하였다. 빔의 산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9-13 mm의 작업 거리를 이용하였다. Peltier-냉각된 샘플 스테이지를 이용하여 표본 챔버의 온도는 3±0.5℃로 유지하고 압력은 1 내지 4 Torr로 유지하였다. 만족스러운 물 분압 유지를 위해 샘플 챔버를 수증기로 주기적으로 플러싱 처리하여, 막이 항상 수화되도록 함으로써 막 겔 형태에 어떤 변화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샘플 건조를 방지하였다. ESEM 마이크로그래프로부터 음이온-교환 혼합-모드 막의 발달된 마크로다공성 구조가 확인되었다 (도 20).
실시예 22
이 실시예는 실시예 11에 따라 제조된 멀티-모달 작용성을 갖는 본 발명의 양이온-교환 재료의 겔 형태학을 설명한다.
실시예 11에 따라 제조된 혼합-모드 막의 겔 형태를 실시예 21에 설명된 바와 같이 환경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시험하였다 (도 21).
도 21로부터, 실시예 11에 따라 제조된 양이온 교환 혼합-모드 막이 마크로다공성 구조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3
이 실시예는 실시예 17에 따라 제조된 멀티-모달 작용성을 갖는 본 발명의 양이온-교환 재료의 겔 형태학을 설명한다.
실시예 17에 따라 제조된 혼합-모드 막의 겔 형태를 실시예 21에 설명된 바와 같이 환경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시험하였다 (도 22).
도 2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ESEM 마이크로그래프는 실시예 17에 따라 제조된 양이온 교환 혼합-모드 막이 마크로다공성 구조를 가짐을 입증한다.
실시예 24
이 실시예는 멀티-모달 작용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음이온-교환 재료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44.04 wt%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43.71 wt%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및 12.25 wt% 물을 함유하는 용매 혼합물에 (3-아크릴아미도 프로필)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물 중 75 wt% 용액) 및 N-(3-N,N-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아미드를 각각 1:1.17의 몰 비율로 용해시킴으로써 15.5 wt% 용액을 제조하였다.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를 가교제로서 사용하여 6.71% (mol/mol)의 가교 밀도를 달성하였다. 광개시제 Irgacure 2959를 모노머 질량에 대해 1 wt%의 양으로 첨가하였다.
전술한 일반 공정(실시예 1)에 따른 광개시된 중합 공정을 이용하여 지지체 TR0671 B50 (Hollingsworth & Vose) 및 용액으로부터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샘플을 350 nm에서 10분간 광조사하였다. 얻어진 복합재를 적어도 3회 RO로 완전히 세척하고 실온에서 건조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막을 실시예 1에 설명된 바와 같은 일반 공정을 이용하여 용질 유량 (25 mM 트리스/HCl, pH 8.2) 및 BSA 결합능 관점에서 특징화하였다.
이 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재는 결합 완충액으로서 25 mM 트리스/HCl pH 8.2를 이용하여 10% 파과에서 87.4 mg/mL의 BSA 결합능 및 3,970.00 kg/m2h의 용질 유량을 나타내었다.
완전 자동화된 Capillary Flow Porometer - CFP-1500-AE (Porous Materials Inc., PMI)를 이용하여 막의 포어 크기 분석을 수행하였다. 샘플로부터 막 쿠폰(25 mm 직경)을 잘라내었다. 과량의 물을 젖은 여과지로 제거하고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하여 평균 습식 두께를 기록하였다. 그 후, 막 쿠폰을 지지체 스크린 상에 놓고 CFP 기기 내의 에어포트 상의 샘플 스테이지에 장착하였다. 표준 CFP 공정에 따라 오토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테스트 결과 평균 플로우 포어 직경은 0.71 ㎛, 버블 포인트 포어 직경은 1.81 ㎛로 나타났다.
실시예 25
이 실시예는 멀티-모달 작용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음이온-교환 재료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60.32 wt%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29.01 wt%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및 10.67 wt% 물을 함유하는 용매 혼합물에 (3-아크릴아미도 프로필)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물 중 75 wt% 용액), N-(3-N,N-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아미드 및 N-3차-부틸 아크릴아미드를 각각 1:0.53:0.1의 몰 비율로 용해시킴으로써 13.6 wt% 용액을 제조하였다.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를 가교제로서 사용하여 9.91 % (mol/mol)의 가교 밀도를 달성하였다. 광개시제 Irgacure 2959를 모노머 질량에 대해 1 wt%의 양으로 첨가하였다.
전술한 일반 공정(실시예 1)에 따른 광개시된 중합 공정을 이용하여 지지체 TR0671 B50 (Hollingsworth & Vose) 및 용액으로부터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샘플을 350 nm에서 10분간 광조사하였다. 얻어진 복합재를 적어도 3회 RO로 완전히 세척하고 실온에서 건조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막을 실시예 1에 설명된 바와 같은 일반 공정을 이용하여 용질 유량 (25 mM 트리스/HCl, pH 8.2) 및 BSA 결합능 관점에서 특징화하였다.
이 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재는 결합 완충액으로서 25 mM 트리스/HCl pH 8.2를 이용하여 10% 파과에서 151.5 mg/mL의 BSA 결합능 및 1,826.00 kg/m2h의 용질 유량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4에 설명된 바와 같이 완전 자동화된 Capillary Flow Porometer - CFP-1500-AE (Porous Materials Inc.)를 이용하여 막의 포어 크기 분석을 수행하였다. 테스트 결과 평균 플로우 포어 직경은 0.59 ㎛, 버블 포인트 포어 직경은 1.74 ㎛로 나타났다.
실시예 26
이 실시예는 멀티-모달 작용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음이온-교환 재료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60.64 wt%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28.87 wt%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및 10.49 wt% 물을 함유하는 용매 혼합물에 (3-아크릴아미도 프로필)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물 중 75 wt% 용액) 및 N-3차-부틸 아크릴아미드를 1:0.09의 몰 비율로 용해시킴으로써 11.8 wt% 용액을 제조하였다.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를 가교제로서 사용하여 7.25% (mol/mol)의 가교 밀도를 달성하였다. 광개시제 Irgacure 2959를 모노머 질량에 대해 1 wt%의 양으로 첨가하였다.
전술한 일반 공정(실시예 1)에 따른 광개시된 중합 공정을 이용하여 지지체 TR0671 B50 (Hollingsworth & Vose) 및 용액으로부터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샘플을 350 nm에서 10분간 광조사하였다. 얻어진 복합재를 적어도 3회 RO로 완전히 세척하고 실온에서 건조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막을 실시예 1에 설명된 바와 같은 일반 공정을 이용하여 용질 유량 (25 mM 트리스/HCl, pH 8.2) 및 BSA 결합능 관점에서 특징화하였다.
이 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재는 결합 완충액으로서 25 mM 트리스/HCl pH 8.2를 이용하여 10% 파과에서 196.8 mg/mL의 BSA 결합능 및 1,235.00 kg/m2h의 용질 유량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4에 설명된 바와 같이 완전 자동화된 Capillary Flow Porometer - CFP-1500-AE (Porous Materials Inc.)를 이용하여 막의 포어 크기 분석을 수행하였다. 테스트 결과 평균 플로우 포어 직경은 0.31 ㎛, 버블 포인트 포어 직경은 1.50 ㎛로 나타났다.
실시예 27
이 실시예는 멀티-모달 작용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음이온-교환 재료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61.11 wt%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30.15 wt%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및 8.75 wt% 물을 함유하는 용매 혼합물에 (3-아크릴아미도 프로필)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물 중 75 wt% 용액), N-3차-부틸 아크릴아미드 및 디아세톤 아크릴아미드를 각각 1:0.1:0.1의 몰 비율로 용해시킴으로써 12.2 wt% 용액을 제조하였다.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를 가교제로서 사용하여 7.25% (mol/mol)의 가교 밀도를 달성하였다. 광개시제 Irgacure 2959를 모노머 질량에 대해 1 wt%의 양으로 첨가하였다.
전술한 일반 공정(실시예 1)에 따른 광개시된 중합 공정을 이용하여 지지체 TR0671 B50 (Hollingsworth & Vose) 및 용액으로부터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샘플을 350 nm에서 10분간 광조사하였다. 얻어진 복합재를 적어도 3회 RO로 완전히 세척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막을 실시예 1에 설명된 바와 같은 일반 공정을 이용하여 용질 유량 (25 mM 트리스/HCl, pH 8.2) 및 BSA 결합능 관점에서 특징화하였다.
이 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재는 결합 완충액으로서 25 mM 트리스/HCl pH 8.2를 이용하여 10% 파과에서 184.2 mg/mL의 BSA 결합능 및 1,075.00 kg/m2h의 용질 유량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4에 설명된 바와 같이 완전 자동화된 Capillary Flow Porometer - CFP-1500-AE (Porous Materials Inc.)를 이용하여 막의 포어 크기 분석을 수행하였다. 테스트 결과 평균 플로우 포어 직경은 0.21 ㎛, 버블 포인트 포어 직경은 0.95 ㎛로 나타났다.
실시예 28
이 실시예는 멀티-모달 작용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음이온-교환 재료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61.89 wt% N, N'-디메틸아세트아미드, 29.97 wt%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및 8.14 wt% 물을 함유하는 용매 혼합물에 (3-아크릴아미도 프로필)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물 중 75 wt% 용액), N-페닐 아크릴아미드 및 디아세톤 아크릴아미드를 각각 1:0.08:0.16의 몰 비율로 용해시킴으로써 12.8 wt% 용액을 제조하였다. N, 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를 가교제로서 사용하여 10.43% (mol/mol)의 가교 밀도를 달성하였다. 광개시제 Irgacure 2959를 모노머 질량에 대해 1 wt%의 양으로 첨가하였다.
전술한 일반 공정(실시예 1)에 따른 광개시된 중합 공정을 이용하여 지지체 TR0671 B50 (Hollingsworth & Vose) 및 용액으로부터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샘플을 350 nm에서 10분간 광조사하였다. 얻어진 복합재를 적어도 3회 RO로 완전히 세척하고 실온에서 건조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막을 실시예 1에 설명된 바와 같은 일반 공정을 이용하여 용질 유량 (25 mM 트리스/HCl, pH 8.2) 및 BSA 결합능 관점에서 특징화하였다.
이 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재는 결합 완충액으로서 25 mM 트리스/HCl pH 8.2를 이용하여 10% 파과에서 187.9 mg/mL의 BSA 결합능 및 1,135.00 kg/m2h의 용질 유량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4에 설명된 바와 같이 완전 자동화된 Capillary Flow Porometer - CFP-1500-AE (Porous Materials Inc.)를 이용하여 막의 포어 크기 분석을 수행하였다. 테스트 결과 평균 플로우 포어 직경은 0.29 ㎛, 버블 포인트 포어 직경은 1.15 ㎛로 나타났다.
실시예 29
이 실시예는 멀티-모달 작용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음이온-교환 재료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62.18 wt%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29.55 wt%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및 11.33 wt% 물을 함유하는 용매 혼합물에 (3-아크릴아미도 프로필)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물 중 75 wt% 용액), N-(3-N,N-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아미드 및 N-페닐 아크릴아미드를 각각 1:0.51:0.09의 몰 비율로 용해시켜 13.2 wt% 용액을 제조하였다.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를 가교제로서 사용하여 10.43% (mol/mol)의 가교 밀도를 달성하였다. 광개시제 Irgacure 2959를 모노머 질량에 대해 1 wt%의 양으로 첨가하였다.
전술한 일반 공정(실시예 1)에 따른 광개시된 중합 공정을 이용하여 지지체 TR0671 B50 (Hollingsworth & Vose) 및 용액으로부터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샘플을 350 nm에서 10분간 광조사하였다. 얻어진 복합재를 적어도 3회 RO로 완전히 세척하고 실온에서 건조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막을 실시예 1에 설명된 바와 같은 일반 공정을 이용하여 용질 유량 (25 mM 트리스/HCl, pH 8.2) 및 BSA 결합능 관점에서 특징화하였다.
이 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재는 결합 완충액으로서 25 mM 트리스/HCl pH 8.2를 이용하여 10% 파과에서 122.4 mg/mL의 BSA 결합능 및 2,810.00 kg/m2h의 용질 유량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4에 설명된 바와 같이 완전 자동화된 Capillary Flow Porometer - CFP-1500-AE (Porous Materials Inc.)를 이용하여 막의 포어 크기 분석을 수행하였다. 테스트 결과 평균 플로우 포어 직경은 0.65 ㎛, 버블 포인트 포어 직경은 1.69 ㎛로 나타났다.
실시예 30
이 실시예는 멀티-모달 작용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음이온-교환 재료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60.27 wt%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29.73 wt%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및 10.00 wt% 물을 함유하는 용매 혼합물에 (3-아크릴아미도 프로필)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물 중 75 wt% 용액) 및 아크릴산을 각각 1:1.19의 몰 비율로 용해시킴으로써 12.2 wt% 용액을 제조하였다.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를 가교제로서 사용하여 7.25% (mol/mol)의 가교 밀도를 달성하였다. 광개시제 Irgacure 2959를 모노머 질량에 대해 1 wt%의 양으로 첨가하였다.
전술한 일반 공정(실시예 1)에 따른 광개시된 중합 공정을 이용하여 지지체 TR0671 B50 (Hollingsworth & Vose) 및 용액으로부터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샘플을 350 nm에서 10분간 광조사하였다. 얻어진 복합재를 적어도 3회 RO로 완전히 세척하고 실온에서 건조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막을 실시예 1에 설명된 바와 같은 일반 공정을 이용하여 용질 유량 (25 mM 트리스/HCl, pH 8.2) 및 BSA 결합능 관점에서 특징화하였다.
이 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재는 결합 완충액으로서 25 mM 트리스/HCl pH 8.2를 이용하여 10% 파과에서 150.5 mg/mL의 BSA 결합능 및 1,850.00 kg/m2h의 용질 유량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4에 설명된 바와 같이 완전 자동화된 Capillary Flow Porometer - CFP-1500-AE (Porous Materials Inc.)를 이용하여 막의 포어 크기 분석을 수행하였다. 테스트 결과 평균 플로우 포어 직경은 0.57 ㎛, 버블 포인트 포어 직경은 1.44 ㎛로 나타났다.
실시예 31
이 실시예는 소수성이 멀티-모달 작용성을 갖는 본 발명의 양이온-교환 재료의 막 성능에 미치는 효과를 설명한다.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DMAc),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DPM),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DMM),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PrCarb), 1,2-프로판디올 (Prdiol) 및 물을 함유하는 용매 혼합물에 2-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 설폰산 (AMPS), N-페닐 아크릴아미드 (PhAAm) 또는 N-3차-부틸 아크릴아미드 (BuAAm) (하기 도 23에서 PhAAm 및 BuAAm 모노머를 Hm이라 칭한다) 및 N-히드록시에틸 아크릴아미드 (HEAAm)를 용해시켜 10.5 wt% 용액을 제조하였다.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BIS)를 가교제로서 사용하였다. 광개시제 Irgacure 2959를 모노머 질량에 대해 1 wt%의 양으로 첨가하였다. 포뮬레이션 특징을 하기 도 23에 제시하였다.
전술한 일반 공정(실시예 1)에 따른 광개시된 중합 공정을 이용하여 지지체 TR0671 B50 (Hollingsworth & Vose) 및 용액으로부터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샘플을 350 nm에서 10분간 광조사하였다.
얻어진 복합재를 0.25 M NaOH 및 0.5 M NaCl을 함유하는 용액에 10분간 넣어둔 다음 막을 RO로 적어도 3회 완전히 세척하고 실온에서 건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막을 실시예 1에 설명된 일반 공정을 이용하여 용질 유량 (85 mM NaAc/NaCl, 전도성 15 mS/cm, pH 4.4), hIgG 결합능 (BC) 및 단백질 회수율 측면에서 특징화하였다. 85 mM NaAc/NaCl, 전도성 15 mS/cm 및 pH 4.4의 용액을 결합 완충액으로서 사용하고 250 mM NaCl을 함유하는 pH 8.2의 25 mM 트리스/HCl 완충액을 용리 완충액으로서 사용하였다.
건조한 막을 물에 15분간 침지시킨 후 두께 증가 백분율로서 물에서의 팽윤 정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24에 설명된 바와 같이 막의 포어 크기 분석은 완전 자동화된 Capillary Flow Porometer - CFP-1500-AE (Porous Materials Inc.)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다양한 소수성 성분을 갖는 양이온-교환 혼합-모드 막들의 성능 특성들을 하기 도 24에 나타내었다.
도 2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페닐-함유 막은 보다 낮은 완충액 유량 및 보다 높은 동적 결합능을 나타내었다. 후자는 부틸계 막과 비교할 때 페닐계 막의 보다 친수성인 특성과 잘 부합한다.
실시예 32
이 실시예는 코-모노머의 성질이 멀티-모달 작용성을 갖는 본 발명의 양이온-교환 재료의 성능에 미치는 효과를 설명한다.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DMAc),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DPM),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DMM),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PrCarb), 1,2-프로판디올 (Prdiol) 및 물을 함유하는 용매 혼합물에 2-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 설폰산 (AMPS), N-3차-부틸 아크릴아미드 (BuAAm) 및 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 (NIPAM) 또는 N,N'-디메틸 아크릴아미드 (DMAAm) 또는 디아세톤 아크릴아미드 (DAAm) 또는 N-히드록시에틸 아크릴아미드 (HEAAM) (하기 도 25에서 코-모노머들을 CM이라 칭한다)를 용해시킴으로써 10.5 wt% 용액을 제조하였다.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BIS)를 가교제로서 사용하였다. 광개시제 Irgacure 2959를 모노머 질량에 대해 1 wt%의 양으로 첨가하였다. 이 포뮬레이션들의 특징을 하기 도 25에 제시하였다.
전술한 일반 공정(실시예 1)에 따른 광개시된 중합 공정을 이용하여 지지체 TR0671 B50 (Hollingsworth & Vose) 및 용액으로부터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샘플을 350 nm에서 4분 및 10분간 광조사하였다. 얻어진 복합재를 0.25 M NaOH 및 0.5 M NaCl을 함유하는 용액에 10분간 넣어둔 다음 막을 RO로 적어도 3회 완전히 세척하고 실온에서 건조하였다.
10분간 광조사된 막을 실시예 1에 설명된 일반 공정을 이용하여 용질 유량 (85 mM NaAc/NaCl, 전도성 15 mS/cm, pH 4.4), hIgG 결합능 (BC) 및 단백질 회수율 측면에서 특징화하였다. 85 mM NaAc/NaCl, 전도성 15 mS/cm 및 pH 4.4의 용액을 결합 완충액으로서 사용하고 250 mM NaCl을 함유하는 pH 8.2의 25 mM 트리스/HCl 완충액을 용리 완충액으로서 사용하였다. 건조한 막을 물에 15분간 침지시킨 후 두께 증가 백분율로서 물에서의 팽윤 정도를 측정하였다.
4분간 광조사된 막과 10분간 광조사된 막 두 가지 모두를 평균 플로우 포어 크기 및 버블 포인트 포어 크기 측면에서 특징화하였다. 실시예 24에 설명된 바와 같이 막의 포어 크기 분석은 완전 자동화된 Capillary Flow Porometer - CFP-1500-AE (Porous Materials Inc.)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다양한 소수성 성분을 갖는 양이온-교환 혼합-모드 막들의 성능 특성들을 하기 도 26에 나타내었다.
이 실시예에 사용된 모든 선택된 코-모노머들은 친수성, 완전/또는 부분적 수용성이고 중합률 측면에서 AMPS-모노머와의 공용성(compatibility)이 매우 좋다. 도 2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코모노머 종류 변경에 따라 다양한 완충액 유량, hIgG 동적 결합능, 포어 크기 및 팽윤도를 갖는 막들이 결과된다. 4분 및 10분의 중합 시간으로 제조된 NIPAM, DAAm 및 HEAAm-기반 막들은 유사한 평균 플로우 포어 키그 및 버블 포인트 포어 크기를 가졌다. 후자는 이들 사례에서 일어난 높은 중합률을 가리킨다.
참조 병합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미국특허 및 미국특허출원은 본 발명에 참조로 병합된다.
동등물
통상의 기술자라면 일상적인 실험으로도 전술한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 대한 많은 동등물(equivalents)을 구할 수 있음을 인식하거나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동등물 역시 하기 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06)

  1. 복수개의 포어가 지지체 부재를 통해 뚫려 있는 지지체 부재; 및
    2-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또는 그의 염인 음이온을 포함하는 제1 모노머; 제2 모노머; 및 적어도 하나의 제3 모노머와의 반응으로부터 형성된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가교된 겔로서;
    상기 제2 모노머는 소수성 작용기 또는 파이-파이 결합 주개 작용기를 포함하고,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 N-페닐 아크릴아미드 및 N-3차-부틸 아크릴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제3 모노머는 2-(메틸티오)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아크릴아미드, N-(3-메톡시프로필 아크릴아미드),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아크릴아미드, 및 디아세톤 아크릴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가교된 겔
    을 포함하는 복합재로서,
    상기 가교된 겔은 상기 지지체 부재의 포어 내에 위치하는 것인 복합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된 겔은 마크로다공성인 것인 복합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된 겔은 (a) 2-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나트륨 염; (b) N-페닐아크릴아미드인 제2 모노머; 및 (c)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 아크릴아미드, 또는 N-(3-메톡시프로필) 아크릴아미드인 제3 모노머의 반응으로부터 형성된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복합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된 겔은 (a) 2-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b) N-3차-부틸 아크릴아미드인 제2 모노머, 및 (c) 히드록시에틸 아크릴아미드, 또는 디아세톤 아크릴아미드인 제3 모노머의 반응으로부터 형성된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복합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된 겔은 (a) 2-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b) N-3차-부틸 아크릴아미드인 제2 모노머, 및 (c) 디아세톤 아크릴아미드인 제3 모노머의 반응으로부터 형성된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복합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은 가교제로서 1,1,1-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또는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복합재.
  7. 제2항에 있어서, 마크로포어의 평균 포어 직경은 25 nm 내지 1500 nm인 것인 복합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복합재는 막인 것인 복합재.
  9. 어떤 물질을 포함하는 제1 유체를 제8항에 기재된 복합재와 제1 유속으로 접촉시킴으로써, 복합재 상에 상기 물질의 일부를 흡착 또는 흡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질을 복합재 상에 흡착시키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는 단편화된 항체, 응집된 항체, 숙주 세포 단백질,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내독소, 또는 바이러스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알부민, 리소자임, 바이러스, 세포, 인간 및 동물 기원의 γ-글로불린, 인간 및 동물 기원의 면역글로불린, 재조합 및 천연 기원의 단백질, 합성 및 천연 기원의 폴리펩타이드, 인터류킨-2 및 그의 수용체, 효소, 모노클로날 항체, 트립신 및 그의 저해제, 시토크롬 C, 미오글로빈, 미오글로불린, 알파-키모트립시노겐, 재조합 인간 인터류킨, 재조합 융합 단백질, 핵산 유도된 생성물, 합성 및 천연 기원의 DNA, 및 합성 및 천연 기원의 RN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제1 유체는 청정해진 세포 배양 상등액인 것인 방법.
  13. 어떤 물질 및 원치 않는 재료를 포함하는 제1 유체를 제8항에 기재된 복합재와 제1 유속으로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원치 않는 재료의 일부를 상기 복합재 상에 흡착 또는 흡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치 않는 재료를 복합재 상에 흡착시키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원치 않는 재료는 단편화된 항체, 응집된 항체, 숙주 세포 단백질,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내독소, 또는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원치 않는 재료는 전부 상기 복합재 상에 흡착 또는 흡수되는 것인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알부민, 리소자임, 바이러스, 세포, 인간 및 동물 기원의 γ-글로불린, 인간 및 동물 기원의 면역글로불린, 재조합 및 천연 기원의 단백질, 합성 및 천연 기원의 폴리펩타이드, 인터류킨-2 및 그의 수용체, 효소, 모노클로날 항체, 트립신 및 그의 저해제, 시토크롬 C, 미오글로빈, 미오글로불린, 알파-키모트립시노겐, 재조합 인간 인터류킨, 재조합 융합 단백질, 핵산 유도된 생성물, 합성 및 천연 기원의 DNA, 및 합성 및 천연 기원의 RN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제1 유체는 청정해진 세포 배양 상등액인 것인 방법.
  18. 제1 모노머, 제2 모노머, 적어도 하나의 제3 모노머, 광개시제, 가교제 및 용매를 조합하여 모노머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지지체 부재를 상기 모노머 혼합물과 접촉시킴으로써, 변형된 지지체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상기 지지체 부재는 지지체 부재를 통해 뚫려있는 복수개의 포어를 포함하고, 상기 포어의 평균 포어 직경은 0.1 내지 25 ㎛인 것인 단계;
    상기 변형된 지지체 부재를 폴리머 시트로 커버함으로써 커버된 지지체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커버된 지지체 부재에 일정 시간 광조사함으로써, 모노머 혼합물의 반응으로부터 형성된 코폴리머의 가교된 젤을 포함하는 복합재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복합재의 제조방법.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70. 삭제
  71. 삭제
  72. 삭제
  73. 삭제
  74. 삭제
  75. 삭제
  76. 삭제
  77. 삭제
  78. 삭제
  79. 삭제
  80. 삭제
  81. 삭제
  82. 삭제
  83. 삭제
  84. 삭제
  85. 삭제
  86. 삭제
  87. 삭제
  88. 삭제
  89. 삭제
  90. 삭제
  91. 삭제
  92. 삭제
  93. 삭제
  94. 삭제
  95. 삭제
  96. 삭제
  97. 삭제
  98. 삭제
  99. 삭제
  100. 삭제
  101. 삭제
  102. 삭제
  103. 삭제
  104. 삭제
  105. 삭제
  106. 삭제
KR1020157026824A 2013-02-26 2014-02-26 혼합-모드 크로마토그래피 막 KR1022840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69330P 2013-02-26 2013-02-26
US61/769,330 2013-02-26
PCT/US2014/018635 WO2014134147A1 (en) 2013-02-26 2014-02-26 Mixed-mode chromatography membran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309A KR20150123309A (ko) 2015-11-03
KR102284079B1 true KR102284079B1 (ko) 2021-08-02

Family

ID=51387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6824A KR102284079B1 (ko) 2013-02-26 2014-02-26 혼합-모드 크로마토그래피 막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140238935A1 (ko)
EP (2) EP2961762B1 (ko)
JP (3) JP6639236B2 (ko)
KR (1) KR102284079B1 (ko)
AU (1) AU2014223583B2 (ko)
CA (1) CA2902180C (ko)
ES (1) ES2912930T3 (ko)
WO (1) WO20141341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12930T3 (es) 2013-02-26 2022-05-30 Merck Millipore Ltd Membranas de cromatografía en modo mixto
JP6437553B2 (ja) 2014-07-25 2018-12-12 旭化成メディカル株式会社 陽イオン交換クロマトグラフィー担体及びその使用方法
WO2018047906A1 (ja) 2016-09-09 2018-03-15 旭化成メディカル株式会社 強カチオン交換クロマトグラフィー担体及びその使用方法
CN109689189B (zh) 2016-09-09 2022-02-01 3M创新有限公司 官能化共聚物及其使用
WO2018237159A1 (en) * 2017-06-21 2018-12-27 Cephalon, Inc. WASH PAD FOR CATIONIC EXCHANGE CHROMATOGRAPHY
JP7018175B2 (ja) * 2017-12-08 2022-02-10 東ソー株式会社 共重合体、基材用表面処理剤および細胞培養基材
WO2020023566A1 (en) * 2018-07-25 2020-01-30 Merck Sharp & Dohme Corp. Methods of separating host cell lipases from a production protein in chromatographic processes
US11045773B2 (en) * 2018-08-31 2021-06-29 Pall Corporation Salt tolerant porous medium
US10737259B2 (en) * 2018-08-31 2020-08-11 Pall Corporation Salt tolerant anion exchange medium
GB201815405D0 (en) * 2018-09-21 2018-11-07 Fujifilm Mfg Europe Bv Membranes suitable for detecting, filtering and/or purifying biomolecules
CN113195519A (zh) 2018-12-12 2021-07-30 纯净逻辑有限责任公司 亲和膜及其制备方法
TWI786468B (zh) * 2019-11-21 2022-12-11 愛爾蘭商默克密理博有限公司 將配體偶合至複合材料的方法
CN111909418B (zh) * 2020-08-17 2021-09-03 吉林大学 一种改性聚酰亚胺气凝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618455A (zh) * 2020-12-11 2022-06-14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多极性官能团包埋的反相色谱固定相及其制备和应用
WO2022140437A1 (en) * 2020-12-22 2022-06-30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Functional composite membranes for chromatography and catalysi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64867A1 (en) * 2004-06-07 2008-10-30 Nysa Membrane Technologies Inc. Stable Composite Material Comprising Supported Porous Gels
US20090176052A1 (en) 2004-08-13 2009-07-09 Mcmaster University Composite material comprising a non-crosslinked gel polymer
US20120052550A1 (en) * 2008-09-22 2012-03-01 Brad William Woonton Temperature-responsive polymer particles in protein separation appl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1017A (en) * 1973-12-20 1976-11-09 Rohm And Haas Company Ion exchange resins derived from hybrid copolymers
MX3036E (es) * 1974-10-15 1980-03-03 Rohm & Haas Composicion de resina hibrida de intercambio ionico y procedimiento para su obtencion
CN1077804C (zh) 1994-07-28 2002-01-16 米利波尔公司 多孔复合膜及其制法
US5814372A (en) 1995-10-19 1998-09-29 Millipore Corporation Process for forming porous composite membrane
US5647979A (en) * 1996-06-14 1997-07-15 Bio-Rad Laboratories, Inc. One-step preparation of separation media for reversed-phase chromatography
JP2003066157A (ja) * 2001-08-24 2003-03-05 Fujitsu Ten Ltd 車両内人体検出方法
US7073671B2 (en) 2002-06-07 2006-07-11 Millipore Corporation Microporous membrane substrate having caustic stable, low protein binding surface
EP2143481A1 (en) * 2003-02-19 2010-01-13 Natrix Separations Inc. Composite materials comprising supported porous gels
US7479222B2 (en) * 2004-02-05 2009-01-20 Millipore Corporation Porous adsorptive or chromatographic media
SE0400501D0 (sv) 2004-02-27 2004-02-27 Amersham Biosciences Ab Antibody purification
US7750129B2 (en) 2004-02-27 2010-07-06 Ge Healthcare Bio-Sciences Ab 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antibodies
EP1807205B1 (en) 2004-10-21 2012-09-26 GE Healthcare Bio-Sciences AB A method of antibody purification
JP5420531B2 (ja) * 2007-05-25 2014-02-19 メルク パテン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カチオン交換クロマトグラフィーのためのグラフトコポリマー
CN101910268B (zh) * 2007-11-09 2014-07-30 3M创新有限公司 多孔聚合物树脂
US7800382B2 (en) * 2007-12-19 2010-09-21 AEHR Test Ststems System for testing an integrated circuit of a device and its method of use
WO2010002502A2 (en) * 2008-06-30 2010-01-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forming a rewettable asymmetric membrane
AU2009288234B2 (en) * 2008-09-02 2014-08-21 Merck Millipore Ltd. Chromatography membranes, devices containing them, and methods of use thereof
SG185971A1 (en) * 2009-08-26 2012-12-28 Siemens Pte Ltd Ion exchange membranes
KR20170104656A (ko) * 2009-11-13 2017-09-15 나트릭스 세퍼레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소수성 상호반응 크로마토그래피용 막 및 그의 사용방법
US20110301342A1 (en) * 2010-05-18 2011-12-08 Abbott Laboratories, Inc. Apparatus and process for purification of proteins
JP5460651B2 (ja) * 2010-07-28 2014-04-02 ローム アンド ハース カンパニー クロマトグラフィー媒体性能を向上させるグラフト化方法
SG185590A1 (en) * 2010-07-29 2012-12-28 Emd Millipore Corp Grafting method to improve chromatography media performance
KR20130143568A (ko) * 2010-09-14 2013-12-31 나트릭스 세퍼레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키랄 화합물 정제용 크로마토그래피 막
ES2912930T3 (es) 2013-02-26 2022-05-30 Merck Millipore Ltd Membranas de cromatografía en modo mixto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64867A1 (en) * 2004-06-07 2008-10-30 Nysa Membrane Technologies Inc. Stable Composite Material Comprising Supported Porous Gels
US20090176052A1 (en) 2004-08-13 2009-07-09 Mcmaster University Composite material comprising a non-crosslinked gel polymer
US20120052550A1 (en) * 2008-09-22 2012-03-01 Brad William Woonton Temperature-responsive polymer particles in protein separation appl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4223583A1 (en) 2015-10-15
AU2014223583B2 (en) 2019-03-28
EP2961762B1 (en) 2022-04-06
JP2019206002A (ja) 2019-12-05
US11554361B2 (en) 2023-01-17
JP2021184987A (ja) 2021-12-09
KR20150123309A (ko) 2015-11-03
US20180353939A1 (en) 2018-12-13
JP7246277B2 (ja) 2023-03-27
ES2912930T3 (es) 2022-05-30
EP2961762A4 (en) 2016-11-02
CA2902180C (en) 2023-08-15
EP2961762A1 (en) 2016-01-06
JP6639236B2 (ja) 2020-02-05
JP2016510005A (ja) 2016-04-04
US20140238935A1 (en) 2014-08-28
EP4089101A1 (en) 2022-11-16
CA2902180A1 (en) 2014-09-04
WO2014134147A1 (en) 2014-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4079B1 (ko) 혼합-모드 크로마토그래피 막
CA2780095C (en) Hydrophobic interaction chromatography membran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1617936B1 (en) Composite materials comprising supported porous gels
US20140273158A1 (en) Chromatography Membranes Stable Under Caustic Conditions
JP2023502481A (ja) 複合材料に配位子をカップリングするため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