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2777B1 - 학업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학업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2777B1
KR102282777B1 KR1020190053420A KR20190053420A KR102282777B1 KR 102282777 B1 KR102282777 B1 KR 102282777B1 KR 1020190053420 A KR1020190053420 A KR 1020190053420A KR 20190053420 A KR20190053420 A KR 20190053420A KR 102282777 B1 KR102282777 B1 KR 102282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ent
terminal device
control unit
grade
c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9263A (ko
Inventor
신종우
신형민
Original Assignee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53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777B1/ko
Publication of KR20200129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학업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생관리장치는, 학생의 학업 중도 포기 가능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등급을 구분하여 등급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학생의 학업 상태가 (기)저장한 등급 정보에 근거해 위험 수위가 기준값 이상인 경계 등급이 될 때, 학생의 부모가 소지하는 부모 단말장치로 경계 등급의 등급 사실을 통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학업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Apparatus for Managing Learning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학업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대학에서 학생들의 학업 포기 가능성에 대한 시그널(signal)을 확보하여 대책을 강구하려는 학업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각 대학교에서는 학교생활의 부적응이나 학과가 본인의 적성에 맞지 않아 학업을 중도 포기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학생들의 대부분이 학교생활에서 부적응의 시그널은 계속 보내고 있으나 학부모나 학교에서는 이러한 시그널을 파악하지 못하고 나중에서야 비로소 학생의 문제점을 파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경우 실제 학교 부적응 과정 중에 학교나 부모들의 적극적으로 학생들에게 개입하여 적응을 돕는다면 많은 중도 포기를 하는 학생수는 감소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학업을 중도에 포기하는 학생들의 시그널을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23492호(2019.03.08)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23994호(2005.03.10)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3928호(2013.09.25)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대학에서 학생들의 학업 포기 가능성에 대한 시그널을 확보하여 대책을 강구하려는 학업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생관리장치는, 학생의 학업 중도 포기 가능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등급을 구분하여 등급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학생의 학업 상태가 상기 저장한 등급 정보에 근거해 위험 수위가 기준값 이상인 경계 등급이 될 때, 상기 학생의 부모가 소지하는 부모 단말장치로 상기 경계 등급의 등급 사실을 통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급을 안전, 관심, 경계 및 위험 등급으로 구분하며, 상기 학업 상태로서 상기 학생의 출결상황, 과제물제출여부 및 수업의 평가결과를 평가하여 상기 경계 등급에 해당될 때 상기 등급 사실을 통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계 등급의 등급 사실을 상기 학생의 지도교수, 과목교수 및 학교 관계자의 단말장치로 각각 더 통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생이 상기 경계 등급에 해당될 때 수업 전 상기 수업의 참여 여부를 상기 학생의 단말장치로 통지하여 응답을 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생의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수업에 참여하겠다는 응답이 없는 경우, 상기 부모 단말장치로 사실을 통지하여 확인을 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생이 경계 등급에 해당될 때 상기 학생의 부모 단말장치, 상기 학생과 관련되는 교수자 및 학교 관계자의 단말장치에 의해 단체 채팅이 가능하도록 단체 채팅방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생관리장치의 구동방법은,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학생관리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학생의 학업 중도 포기 가능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등급을 구분하여 등급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생의 학업 상태가 상기 저장한 등급 정보에 근거해 위험 수위가 기준값 이상인 경계 등급이 될 때, 상기 학생의 부모가 소지하는 부모 단말장치로 상기 경계 등급의 등급 사실을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급을 안전, 관심, 경계 및 위험 등급으로 구분하며, 상기 경계 등급에 해당될 때 상기 등급 사실을 통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계 등급의 등급 사실을 상기 학생의 지도교수, 과목교수 및 학교 관계자의 단말장치로 각각 더 통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생이 상기 경계 등급에 해당될 때 수업 전 상기 수업의 참여 여부를 상기 학생의 단말장치로 통지하여 응답을 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생의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수업에 참여하겠다는 응답이 없는 경우, 상기 부모 단말장치로 사실을 통지하여 확인을 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생이 경계 등급에 해당될 때 상기 학생의 부모 단말장치, 상기 학생과 관련되는 교수자 및 학교 관계자의 단말장치에 의해 단체 채팅이 가능하도록 단체 채팅방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령 대학교 등에서 학생들이 학교생활에 부적응하거나 학과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경우, 이의 시그널을 신속히 감지하여 학교 관계자나 학부모들에게 통지함으로써 학생의 문제를 빠르게 인식하고, 그에 따라 학생의 지도 방향에 대하여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업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부모 단말장치의 화면구현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학업관리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업관리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업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부모 단말장치의 화면구현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업관리시스템(90)은 학습자 단말장치(101), 부모 단말장치(103), 교수자 단말장치(105), 통신망(110) 및 학업관리장치(1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통신망(110)과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학업관리시스템(90)이 구성되거나, 학업관리장치(120)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10) 내의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학습자 단말장치(101)는 스마트폰, 국내 S사의 갤*시기어와 같은 웨어러블장치, 태블릿PC 등을 포함하지만, 데스크탑컴퓨터, 스마트TV와 같은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좀더 정확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단말장치(101)는 학습자, 가령 대학의 학생들이 늘 소지하는 모바일 기반의 스마트폰이나 웨어러블장치, 태블릿PC 등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학습자 단말장치(101)는 학업관리장치(120)로부터 수업의 참석 여부에 대한 질의를 수신할 수 있다. 이는 SMS 메시지의 형태가 될 수 있지만, 메신저와 같은 채팅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질의 메시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학습자 단말장치(101)를 소지하는 학생의 학교생활이나 학과 생활이 지정 등급에 해당될 때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업관리장치(120)는 학생들의 학교생활 부적응이나 학과가 본인의 적성에 맞지 않아 학업을 중도에 포기할 것으로 예상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즉 중도 포기의 위험 수위에 따라 안전, 관심, 경계 및 위험 등급의 4개 등급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를 가정해 볼 때, 경계 등급에 해당될 때부터 이의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학습자 단말장치(101)는 가령 학생이 수업 참여 여부에 대한 메시지를 수신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참여 여부를 알리면서 참석할지 참석하지 않을지의 형태로 응답할 수 있지만, 무응답인 경우에도 학업관리장치(120)는 참석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부모 단말장치(103)는 시중의 사설학원, 초중고교 등의 학교, 또 대학에 다니는 학생들의 부모가 소지하는 스마트폰 등의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물론 앞서 언급한 대로 부모 단말장치(103)는 학습자 단말장치(101)와 같이 그 이외에도 랩탑컴퓨터나 태블릿PC 등의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부모 단말장치(103)는 자신의 자녀가, 가령 대학을 다니는 학생이 학교생활이나 학과 생활에 적응하지 못할 때, 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지는 학업관리장치(120)에서 전송하며, 문자 메시지나 채팅 메시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부모 단말장치(103)는 가령 A라는 부모의 자녀가 대학에 진행 중이고, 그의 학습자 단말장치(101)로 경계 등급을 근거로 수업의 참여 여부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한 후, 전송한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없을 때, 학업관리장치(120)는 해당 학생의 부모 단말장치(103)로 이의 사실을 통지할 수 있다. 물론 앞서 언급한 대로, 해당 학생이 등급에서 경계 등급에 해당될 때부터 이와 같은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모 단말장치(103)는 학업관리장치(120)로부터 자신의 자녀가 수업에 참여한 경우에도 자녀가 수업에 참여하였음을 실시간으로 통지받을 수 있다.
따라서, 해당 학생의 부모는 자신의 부모 단말장치(103)로 전송된 메시지를 통해 자신의 자녀가 현재의 학교생활이나 수업에 충실하지 못하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는 해당 학생의 부모가 해당 사실을 인지하고 자신의 자녀와 학교생활이나 학업과 관련하여 많은 대화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부모와 자녀와의 대화를 통해 자신의 적성을 찾는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또한, 부모 단말장치(103)는 자신의 자녀가 경계 등급에 해당될 때, 가령 도 2에서와 같은 형태의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의 메시지는 출석율이 30% 이상 미달되고, 과제물도 2회 미제출하였으며, 중간고사와 같은 시험에 응시하지 않은 경우에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이 되면, 학생 즉 자신의 자녀의 지도 방향에 대하여 부모가 과목교수나 지도교수 등과 학생의 지도 방향에 대하여 협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학업관리장치(120)는 단체 채팅방과 같이 메신저 기반의 그룹을 생성해 줄 수 있다. 가령, 부모 단말장치(103)는 학업관리장치(120)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자신의 자녀가 경계 등급에 해당될 때, 자동으로 생성되어 있는 단체 채팅방(또는 그룹방) 등을 통해 과목교수나 지도교수와 자신의 자녀에 대하여 상당 또는 협의를 진행할 수 있다.
교수자 단말장치(105) 또한 앞서 언급한 학습자 단말장치(101)나 부모 단말장치(103)의 종류와 크게 다르지 않다. 교수자 단말장치(105)는 지도교수나 과목교수의 단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자신의 과목을 수강하거나 지도를 받는 학생이 학교생활 등과 관련해 경계 등급에 해당될 때, 이의 사실을 학업관리장치(120)로부터 통지받을 수 있다. 교수자 단말장치(105)의 경우에도 도 2에서와 같은 형태의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교수자 단말장치(105)는 학업이나 학교생활에 부적응하는 학생들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담을 진행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지도교수나 과목교수는 가까운 시기에 학생의 부모와 지도 방향에 대하여 협의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교수자 단말장치(105)의 소유주인 교수자의 경우에도, 해당 학생들의 부모가 상담을 요청해 오는 경우, 이에 대하여 응답할 수 있으며, 이는 앞서와 같은 단체 채팅방과 같은 곳에서 이루어지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업관리시스템(90)은 학교 관계자의 관계자 단말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학생의 학업 중도 포기가 우려되거나 할 때, 특히 경계 등급에 해당하게 될 때, 이의 사실을 통지받을 수 있으며, 해당 학생들의 부모나 교수자들이 논의를 요청할 때, 그에 대하여 답변하는 등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체 채팅방을 통해 논의될 수 있는 것을 예시한 바 있다.
통신망(11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1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1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1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1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1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학습자 단말장치(101), 부모 단말장치(103) 및 교수자 단말장치(105) 등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학습자 단말장치(101), 부모 단말장치(103) 및 교수자 단말장치(105)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와 지그비 및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학업관리장치(12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학업관리장치(120)는 학생의 한학기 수업 스케줄을 교수, 학교, 부모가 공유하도록 하고, 각 수업의 일일 출결여부 및 일일평가, 중간평가, 기말평가점수 등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지도교수, 학교, 부모가 모두 해당 학생의 학업 정보를 공유하도록 한다. 그리고 학생정보는 안전, 관심, 경계 및 위험 등급으로 각각 나누어 관리하되, 안전 및 관심 단계에서는 학생 및 부모에게 별도의 정보제공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사생활보호차원이라 볼 수 있다. 다만, 경계 단계(예: 출석 30% 이상 미달, 과제물 2회 미제출, 중간고사 안봄 등)에 이른 경우 특정 과목의 학업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해당 학생의 과목교수, 지도교수, 학교(예: 학교 관계자 등), 부모에게 이를 통지하고 해당 학생에 대한 지도 방향에 대해 협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학업관리장치(120)는 경계 등급에 해당하는 학생에게는 수업 하루 전에 다음 날의 수업 시간 등을 통지하고 해당 수업의 참여 여부를 물을 수 있도록 하고, 학생으로부터 답변이 없는 경우 해당 학부모에게 학생의 수업 참여 여부에 대한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나아가, 학업관리장치(120)는 학생이 수업을 참여한 경우 학생이 수업에 참여하였음을 학부모에게 (실시간으로) 통지한다. 즉, 학업관리장치(120)는 수업 스케줄에 따른 실시간 과목별 출결, 평가, 과제물 등에 대한 제출 결과를 부모나 지도교수 등이 공유하도록 하여 학생들의 학업 포기 시그널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외에도 학업관리장치(120)는 위의 등급에 따라 구분되는 학생들, 더 정확하게는 경계 등급에 진입한 학생들에 대한 특성을 근거로 상담시 유익할 수 있는 정보를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데이터는 선배들, 또는 타 학교의 학생들의 선례에서 도움이 되었던 사례에 관련된 데이터를 근거로, 학생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학부모나 교수자 등의 단말장치로도 해당 데이터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데이터는 인공지능(AI) 프로그램을 통해 딥러닝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학생의 상태를 좀더 정확히 진단하고 예측해 볼 수 있게 된다.
물론 학업관리장치(120)는 앞서 여러 상황들을 판단하여 특정 학생이 지정 조건을 만족할 때 경계 등급으로 판정한 후, 이후부터 관리가 들어가도록 할 수 있지만, 이러한 경계 등급의 판정을 위하여 좀더 다양한 정보를 요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경계 등급을 최종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학업관리장치(120)는 관심 등급에 학생이 해당되면, 해당 학생의 위치를 추적하여 문제를 좀더 정확히 진단해 볼 수 있다. 가령, 특정 학과에 진학 중이지만, 사설 학원에서 수업을 받는 것으로 감지되면 이를 근거로 복수 전공을 제안하거나 할 수도 있다. 또는 교제 중이라 학업을 소홀하는 것이라면 이를 근거로 대처한다.
도 3은 도 1의 학업관리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학업관리장치(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학업관리실행부(320) 및 저장부(3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통신망(110)을 경유하여 학습자 단말장치(101), 부모 단말장치(103) 및 교수자 단말장치(105), 더 나아가 학교나 학원의 관계자 단말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변/복조, 먹싱/디먹싱, 인코딩/디코딩, 암호화/복호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학생이 경계 등급에 해당할 때, 학습자 단말장치(101)로 수업 참여 여부를 물으며, 만약 문의에 대한 답변이 없거나 불참을 통보하는 경우, 부모 단말장치(103)로 이의 사실을 통지할 수 있다. 물론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학생이 학교생활이나 학과 수업에 부적응하여 경계 등급에 해당될 때, 이의 사실을 해당 학생의 부모 단말장치(103)로 통지한다. 이를 통해 해당 학생의 부모는 자녀가 학업에 적응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인지한다.
따라서, 부모 단말장치(103)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에서 전송하는 자신의 자녀의 수업 불참에 대한 정보, 더 정확하게는 경계 등급 이후에 제공되는 수업 불참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교수자 단말장치(105)로도 특정 학생이 학업의 중도 포기가 예상되는 위험 수위인 경계 등급에 해당될 때, 경계 등급의 사실을 통지한다. 물론 저장부(330)에는 학생과 관계되는 부모의 부모 단말장치(103)와 그의 교수자에 대한 교수자 단말장치(105)의 식별정보(예: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정보 등)가 기저장되므로 이를 활용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학업관리장치(120)를 구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학업관리실행부(320) 및 저장부(3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학업관리실행부(320)의 요청에 따라 지정 학생의 학업 포기 시그널을 확보하여 경계 등급에 해당될 때, 관리에 들어가도록 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어부(310)는 지정 학생이 경계 등급에 해당되면 해당 학생의 수업 스케줄에 따라 수업 참여 여부를 묻고, 가령 이에 대한 답변이 없으면 해당 학생의 부모 단말장치(103)로 이를 통지한다.
또한, 제어부(310)는 학업관리실행부(320)의 요청에 따라 지정 학생이 경계 등급에 포함되면 해당 학생의 지도 방향에 대해 협의할 수 있는 소통의 장을 형성한다. 물론 여기서의 "소통의 장"이란 부모, 해당 학생을 지도하는 교수자, 또 학교 관계자 등이 오프라인 상에서 만나 협의하도록 유도하는 것도 가능하겠지만, 그보다는 온라인 상에서 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장치의 연락처 등을 근거로 단체 채팅방을 자동으로 생성해주어, 이를 통해 소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외에도 제어부(310)는 부모 단말장치(103)나 교수자 단말장치(105)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부(330)에 임시 저장한 후, 순서대로 불러내어 학업관리실행부(320)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학업관리실행부(320)는 학생들의 학교 생활이나 학과 생활과 관련한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데이터를 근거로 학생들의 학업 중도 포기 가능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지정 규준(혹은 정책)에 따라 학생의 학업 포기 가능성을 4개 단계로 구분하여 동작할 수 있다. 즉 안전, 관심, 경계 및 위험 등급으로 구분하는 것이다. 물론 평가 대상 항목은 대표적으로 출결상황, 과제물 제출여부 및 중간고사 등의 시험에 참여 여부 등이 될 수 있다.
학업관리실행부(320)는 데이터의 분석 결과 특정 학생이 경계 등급에 해당하게 될 때, 해당 학생의 수업 스케줄을 근거로 학습자 단말장치(101)로 수업 참여 여부를 묻는 등의 동작을 시작한다. 물론 학생들의 수업 스케줄은 학기 초에 서비스에 등록하도록 요청하여 이에 따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학업관리실행부(320)는 답변이 없거나 하면 해당 학생의 부모 단말장치(103)로 이의 사실을 통지한다. 물론, 학업관리실행부(320)는 학생이 경계 등급에 해당되면 해당 사실을 부모 단말장치(103)로 통지하도록 제어부(310)에 지시할 수 있다.
또한, 학업관리실행부(320)는 특정 학생이 경계 등급에 해당될 때, 학부모, 교수자 및 학교 관계자 등이 학생의 지도 방향에 대하여 논의할 수 있는 장을 형성한다. 여기서, 논의의 장은 온라인상에서의 공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학업관리실행부(320)는 경계 등급에 해당되면 자동으로 온라인상의 논의의 장을 생성하며, 여기서 논의의 장은 단체 채팅방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교수자나 학교 관계자의 경우에는 경계 등급에 해당하는 학생별로 단체 채팅방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학업관리실행부(3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을 생성하고, 즉 가공하고 생성한 포맷의 데이터를 도 1의 DB(120a)에 저장시키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외에도 학업관리실행부(320)는 학생의 경계 등급을 좀더 정확히 판단하고 예측하기 위한 딥러닝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인공지능(AI)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앞서 예시한 바 있다. 가령, 학생의 위치추적이나 SNS 활동을 모니터링한 결과 어떠한 요인이 학생의 학업을 방해하는지 분석하여 이를 기초로 학생의 지도 방향에 대한 협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학업관리실행부(320)는 학생의 행동 패턴을 분석한 결과, 선배들의 데이터나 타학교 학생들의 데이터를 취득하여 이를 근거로 대비한 결과 부적응의 원인을 정확히 진단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학교에서는 학습자 단말장치(101)로 다양한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근거로 협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업관리실행부(320)의 요청에 의해 부모와 교수자, 또는 학교 관계자의 협의가 진행된 경우 만약 특정 학생이 유학을 꿈꾸는 것으로 판단되었다면 학업의 중도 포기보다는 학업을 마친 후에 어떠한 방향으로 가면 좋은지 일종의 조언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저장부(330)는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다양한 정보와 데이터를 저장한다. 가령, 학업관리장치(120)의 동작 초기에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DB(120a)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가져와 저장부(330)에 저장한 후, 학업관리실행부(320) 등에서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동작이 완료되면 수정된 데이터를 DB(120a)에 다시 제공하여 갱신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제어부(310)는 CPU와 메모리를 포함하고, CPU와 메모리를 원칩화하여 형성할 수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및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는 램(RAM)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담당하고, 연산부는 2진 비트정보의 연산처리 동작을 담당하며, 명령어해석부는 컴파일러 등의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변환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으로 데이터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CPU는 학업관리장치(120)의 동작 초기에 학업관리실행부(3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연산처리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업관리방법의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4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업관리장치(120)는 학생의 학업 중도 포기 가능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등급을 구분하여 등급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한다(S400). 여기서, 등급은 안전, 관심, 경계 및 위험 등급의 4개 등급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또한, 학업관리장치(120)는 학생의 출결상황, 과제물제출여부 및 수업의 평가결과가 저장부에 구분하여 저장한 등급 중 위험 수위가 높은 경계 등급에 해당될 때, 학생의 부모가 소지하는 부모 단말장치로 경계 등급의 사실을 통지한다(S410).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업관리장치(12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해서는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1: 학습자 단말장치 103: 부모 단말장치
105: 교수자 단말장치 110: 통신망
120: 학업관리장치 300: 통신 인터페이스부
310: 제어부 320: 학업관리실행부
330: 저장부

Claims (7)

  1. 학생의 학업 중도 포기 가능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등급을 구분하여 등급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학생의 학업 상태가 상기 저장한 등급 정보에 근거해 위험 수위가 기준값 이상인 경계 등급이 될 때, 상기 학생의 부모가 소지하는 부모 단말장치로 상기 경계 등급의 등급 사실을 통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급을 안전, 관심, 경계 및 위험 등급으로 구분하며, 상기 학업 상태로서 상기 학생의 출결상황, 과제물제출여부 및 수업의 평가결과를 평가하여 상기 경계 등급에 해당될 때 상기 등급 사실을 통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생이 상기 경계 등급에 해당될 때 수업 전 상기 수업의 참여 여부를 상기 학생의 단말장치로 통지하여 응답을 받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생의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수업에 참여하겠다는 응답이 없는 경우, 상기 부모 단말장치로 사실을 통지하여 확인을 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생이 경계 등급에 해당될 때 상기 학생의 부모 단말장치, 상기 학생과 관련되는 교수자 및 학교 관계자의 단말장치에 의해 단체 채팅이 가능하도록 단체 채팅방을 자동으로 생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생이 관심 등급에 해당될 때 상기 학생의 위치를 추적하거나 SNS 활동을 모니터링한 결과 어떠한 요인이 학생의 학업을 방해하는지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학생의 지도 방향에 대한 협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는 선배들의 데이터나 타학교 학생들의 데이터를 취득하여 학생의 행동 패턴을 분석한 결과와 대비하여 부적응의 원인을 진단하는 학생관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계 등급의 등급 사실을 상기 학생의 지도교수, 과목교수 및 학교 관계자의 단말장치로 각각 더 통지하는 학생관리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학생관리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학생의 학업 중도 포기 가능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등급을 구분하여 등급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학생의 학업 상태가 상기 저장한 등급 정보에 근거해 위험 수위가 기준값 이상인 경계 등급이 될 때, 상기 학생의 부모가 소지하는 부모 단말장치로 상기 경계 등급의 등급 사실을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급을 안전, 관심, 경계 및 위험 등급으로 구분하며, 상기 학업 상태로서 상기 학생의 출결상황, 과제물제출여부 및 수업의 평가결과를 평가하여 상기 경계 등급에 해당될 때 상기 등급 사실을 통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생이 상기 경계 등급에 해당될 때 수업 전 상기 수업의 참여 여부를 상기 학생의 단말장치로 통지하여 응답을 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생의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수업에 참여하겠다는 응답이 없는 경우, 상기 부모 단말장치로 사실을 통지하여 확인을 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생이 경계 등급에 해당될 때 상기 학생의 부모 단말장치, 상기 학생과 관련되는 교수자 및 학교 관계자의 단말장치에 의해 단체 채팅이 가능하도록 단체 채팅방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생이 관심 등급에 해당될 때 상기 학생의 위치를 추적하거나 SNS 활동을 모니터링한 결과 어떠한 요인이 학생의 학업을 방해하는지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학생의 지도 방향에 대한 협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선배들의 데이터나 타학교 학생들의 데이터를 취득하여 학생의 행동 패턴을 분석한 결과와 대비하여 부적응의 원인을 진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학생관리장치의 구동방법.
KR1020190053420A 2019-05-08 2019-05-08 학업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282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420A KR102282777B1 (ko) 2019-05-08 2019-05-08 학업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420A KR102282777B1 (ko) 2019-05-08 2019-05-08 학업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263A KR20200129263A (ko) 2020-11-18
KR102282777B1 true KR102282777B1 (ko) 2021-07-28

Family

ID=73697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420A KR102282777B1 (ko) 2019-05-08 2019-05-08 학업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7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784B1 (ko) * 2021-05-04 2023-11-16 서울사이버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이버 대학의 학습활동 데이터 분석을 통한 중도이탈위험군 예측 모델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994A (ko) 2003-09-04 2005-03-10 주식회사 모바일크로스 모바일 휴대폰을 이용한 인터넷상의 온라인 출석 및 학사관리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20130043541A (ko) * 2011-10-20 2013-04-30 차희찬 스마트 기기의 푸시 메시지를 이용한 학생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30089991A (ko) * 2012-01-26 2013-08-13 주식회사 해우월드 학교, 교사, 학생, 부모간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교폭력 감소 및 학교 선진화 방법
KR20130103928A (ko) 2012-03-12 2013-09-25 이재열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학사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 기록 매체
KR101454971B1 (ko) * 2012-12-04 2014-10-27 이해덕 온라인 학습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69201A (ko) * 2013-12-13 2015-06-23 이준성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실시간 학생생활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1775974B1 (ko) * 2014-10-15 2017-09-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학생 수업태도 분석 시스템 및 분석 방법
KR20190023492A (ko) 2017-08-29 2019-03-08 계원예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학사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263A (ko)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lackman et al. Understanding teachers' perspectives of factors that influence parental involvement practices in special education in B arbados
KR102012286B1 (ko) 카메라 및 거리감지센서를 이용한 순수 공부시간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282777B1 (ko) 학업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US9508266B2 (en) Cross-classroom and cross-institution item validation
CN111382986B (zh) 学生管理方法及装置、计算机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186900B1 (ko) 학생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00117474A (ko) 지능형 학습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Schmude et al. On the Impact of Explanations on Understanding of Algorithmic Decision-Making
Hicks et al. An Ethics Challenge for School Counselors: Part 2.
KR102308448B1 (ko) 유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KR20200102802A (ko) 교육 콘텐츠 제공 장치 및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295503B1 (ko) 심리검사를 이용한 학생관리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eVore et al. Workforce competencies in syndromic surveillance practice at local health departments
KR102105889B1 (ko) 학습서비스장치
KR20180045856A (ko) 개인의 상상력 및 관념화 자기 평가 방법 및 시스템
CN116975148B (zh) 一种基于区块链师生教育管理系统及管理方法
KR20200047285A (ko) 카메라 및 거리감지센서를 이용한 순수 공부시간 측정 장치 및 방법
Crawford et al. Attending to technology adoption in railway control rooms to increase functional resilience
KR102227693B1 (ko)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Thomas et al. BYOD—As Long as your device is not a cell phone! Perspectives from the classroom on cell phones integration
Lai A thousand flowers blooming: The implications of school self-review for policy developers
KR20200012120A (ko)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
KR20240077091A (ko) 전직지원 대상자를 위한 일자리 매칭 시스템 및 방법
KR102158191B1 (ko) 교육 강좌 관리 방법
Woo et al. Enhancing students’ experience in real-time data collection and utilisation: A cloud-based post-occupancy evaluation ap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