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7693B1 -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7693B1
KR102227693B1 KR1020190027374A KR20190027374A KR102227693B1 KR 102227693 B1 KR102227693 B1 KR 102227693B1 KR 1020190027374 A KR1020190027374 A KR 1020190027374A KR 20190027374 A KR20190027374 A KR 20190027374A KR 102227693 B1 KR102227693 B1 KR 102227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ort
data
team
team members
tea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8574A (ko
Inventor
신종우
Original Assignee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7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693B1/ko
Publication of KR20200108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는, 온라인상에서의 팀워크에 의해 리포트 작성이 가능한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로서, 리포트 작성을 위해 팀워크가 형성된 팀원 각자의 사용자장치로 온라인상의 리포트 양식을 제공하고, 제공한 리포트 양식에서 각 팀원이 온라인상에서 입력 및 삭제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수신한 입력 및 삭제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팀워크에 의한 최종 리포트를 생성하고, 화면상에 (기)생성한 최종 리포트의 주변에 표시하기 위한 각 팀원의 팀워크 히스토리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Apparatus for Problem Based Learning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과제물 제작시 온라인상의 실시간 협업이 가능하고, 제작된 과제물을 통해 협업 과정의 확인이 가능한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전의 강의법을 지양하고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전통적인 교육은 지식에 대한 정보만을 강조할 뿐 실제 문제 해결을 위한 능력은 육성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스스로 학습을 할 수 있는 자기주도적 학습 기능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PBL(Problem-Based Learning)은 최근 들어 주목받은 교육 방법의 하나이며 비구조화된 문제 즉 답이 정해져 있지 않은 주제로 수업하는 방식으로 답이 정해져 있지 않으므로 그룹간의 협동심을 요구하는 수업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창의적인 사고와 논리적인 사고를 습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교육 방법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각 그룹(혹은 팀) 내에서 이루어지는 문제 인식부터 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기록해야만 이를 평가자가 평가할 수 있으나 그 토의 과정을 각 과정별로 정리하는데 시간이 상당하여 실제 토의보다는 과제 제품을 위한 리포트 작성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토론의 특성상 협업 중 특정인의 생각이나 방향 등으로만 결론이 유도되는 문제가 있고, 또 협업 중 불성실한 조원에 따른 불합리한 평가가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29198호(2018.02.08.)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8143호(2009.06.09.)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19058호(2018.11.0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45102호(2014.09.2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3556호(2009.12.02.)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과제물 제작시 온라인상의 실시간 협업이 가능하고, 제작된 과제물을 통해 협업 과정의 확인이 가능한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는, 온라인상에서의 팀워크(teamwork)에 의해 리포트(report) 작성이 가능한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로서, 리포트 작성을 위해 팀워크가 형성된 팀원 각자의 사용자장치로 온라인상의 리포트 양식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한 리포트 양식에서 각 팀원이 온라인상에서 입력 및 삭제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한 입력 및 삭제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팀워크에 의한 최종 리포트를 생성하고, 화면상에서 상기 생성한 최종 리포트의 주변에 표시하기 위한 상기 각 팀원의 팀워크 히스토리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및 삭제 관련 데이터가 수신될 때 제공되는 상기 각 팀원의 로그정보를 근거로 리포트 작성의 개인별 참여도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팀원의 데이터 입력 횟수 및 참여 시간을 분석하여 상기 개인별 참여도를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포트 작성을 위해 평가자가 제시하는 지정 주제와 관련한 팀원들의 문제도출 과정을 확인하기 위해 문제인식, 문제해결안 및 해결안평가의 세부 항목을 포함하는 리포트 양식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부 항목에서 각 팀원이 입력하는 상기 지정 주제 관련 사진 및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은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온라인상에서의 팀워크에 의해 리포트 작성이 가능한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리포트 작성을 위해 팀워크가 형성된 팀원 각자의 사용자장치로 온라인상의 리포트 양식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한 리포트 양식에서 각 팀원이 온라인상에서 입력 및 삭제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신한 입력 및 삭제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팀워크에 의한 최종 리포트를 생성하고, 화면상에서 상기 생성한 최종 리포트의 주변에 표시하기 위한 상기 각 팀원의 팀워크 히스토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입력 및 삭제 관련 데이터가 수신될 때 제공되는 상기 각 팀원의 로그정보를 근거로 리포트 작성의 개인별 참여도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인별 참여도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각 팀원의 데이터 입력 횟수 및 참여 시간을 분석하여 상기 개인별 참여도를 평가할 수 있다.
상기 리포트 양식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리포트 작성을 위해 평가자가 제시하는 지정 주제와 관련해 팀원들의 문제도출 과정을 확인하기 위하여 문제인식, 문제해결안 및 해결안평가의 세부 항목을 포함하는 리포트 양식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세부 항목에서 각 팀원이 입력하는 상기 지정 주제 관련 사진 및 동영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령 학생들이 과제를 진행하는 과정을 모두 온라인을 통해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오프라인상의 별도의 리포트를 제작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의 부담을 줄일 수 있고, 또한 평가자도 학습자들의 참여 및 문제 도출과정을 온라인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제기반학습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의한 PBL 과제물서비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사용자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리포트 양식의 예시도,
도 4는 도 1의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5는 도 1의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제기반학습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의한 PBL 과제물서비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사용자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리포트 양식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제기반학습시스템(90)은 사용자장치(100), 통신망(110) 및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1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통신망(110)과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사용자장치(100)와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120)가 다이렉트 통신(예: P2P 통신)을 수행하거나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1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통신망(110) 내의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사용자장치(100)는 가령 대학의 학생들과 교수자들이 소유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장치(100)는 데스크탑컴퓨터, 랩탑컴퓨터, 태블릿PC, 스마트폰, 스마트TV 등을 포함하며, 이에 연동하는 인공지능(AI) 스피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장치(100)는 학생들이 소지하는 제1 사용자장치와 학생들에게 과제를 제시하여 평가하는 평가자 즉 교수자가 소지하는 제2 사용자장치로 구분할 수 있다. 물론, 제1 사용자장치는 교수자가 제시하는 과제물(report)을 온라인상에서 협업하여 작성하기 위해 편성되는 각 그룹의 학생들이 소지하는 복수의 사용자장치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같은 조(혹은 그룹)에 속하는 학생 A와 학생 B는 서로 다른 장소에서 서로 다른 사용자장치를 통해 교수자가 제시한 과제물에 대한 데이터를 온라인상으로 각각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데이터는 팀원들 자신이 생각하는 의견이나 온라인사이트 등에서 수집되는 문서, 사진 및 동영상 등의 다양한 정보나 자료를 포함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학생들의 제1 사용자장치는 그룹별로 교수자가 제시한 과제물을 작성하기 위하여 자신이 소지하는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등을 통해 도 2에서와 같은 리포트 양식, 더 정확하게는 그렇게 구성(layout)되는 화면을 수신할 수 있다. 물론 그 이전에 제1 사용자장치는 도 1의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120)에 온라인으로 접속하여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가령,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120)가 대학의 운영 서버이면 해당 교수자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팀별로 주어진 주제의 리포트 양식에 온라인상으로 데이터를 입력하여 과제물을 완성할 수 있다.
가령, 학생들의 제1 사용자장치에는 도 2에서와 같은 리포트 양식의 화면이 표시된다. 물론 화면의 레이아웃은 다양할 수 있으며, 도 2에서의 항목들은 즉 해당 과제에 대한 단계별 세부 평가항목은 팀원들이 직접 입력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각 학습자들은 각각의 항목과 관련하여 자신이 수집하는 정보나 자료, 그리고 생각하는 의견 등을 기재할 수 있는데, 수집되는 정보나 자료는 문서, 동영상, 사진 및 온라인사이트 링크(주소) 등을 게재할 수 있다. 또한 토론 등의 내용도 기록할 수 있다. 도 2에서와 같은 화면이 제1 사용자장치에 표시되면 화면의 일측에는 팀원들의 접속 상태가 아이콘 등으로 표시될 수 있고, 해당 팀원들의 로그 기록은 실시간으로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120)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 학생이 문제인식 항목에 토론 내용을 기록하고, 문제해결안 항목에 B 학생도 참여하여 문서나 사진, 또는 동영상 등을 첨부하면, 해당 기록은 어떤 학생이 입력한 것인지 화면의 일측에 함께 표시되거나 화면에 표시되지 않더라도 해당 데이터와 연계해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120)로 제공되어 DB(120a)에 저장시킴으로써 평가자가 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120)는 해당 정보를 요청한 사용자가 평가자인 것으로 확인되면 DB(120a)에 저장된 관련 데이터를 평가자의 사용자장치(100)로 제공하는 것이다.
검색포탈의 블로그를 한번 생각해보자. 사용자들은 사진 등을 첨부하여 블로그에서 다양한 형태로 글을 게재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비스의 특성상 복수의 팀원들이 리포트 양식의 화면에 동시 접속하여 협업을 통해 과제물을 작성하게 된다. 또한, 과제물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특정 내용을 삭제하는 경우 화면에서 해당 내용이 삭제되지만, 관련 내용은 DB(120a)에 기록이 남는다. 각 단계에서 공통된 의견 등이 모아지는 경우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내용 등은 삭제를 통해 과제물의 내용을 명확히 하게 된다. 다만, 삭제 등을 통해 의견을 모으는 온라상의 협업 과정 즉 히스토리(history)는 DB(120a)에 기록되는 것이다.
그리고, 동일 팀을 구성하는 각 팀원들이 모두 과제 작성을 완료하였다고 승인하는 경우 과제물이 제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같은 팀에서 A 학생이 문제인식 부분을 담당하고, B 학생이 문제해결안 부분을 담당하며, C 학생이 해결안평가 부분을 담당하였다고 가정해 보자. A 내지 C의 각 학생이 자신의 사용자장치를 통해 각각 승인을 하게 되면, 도 1의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120)는 각 학생들의 승인을 취합할 수 있다. 물론 과제물의 최종 제출 기한까지는 자유롭게 수정이 가능할 수 있으므로,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120)는 최종 제출 마감일을 기준으로 팀원들의 모든 승인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최종 제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평가자는 제2 사용자장치를 통해 과제물을 제출한 각 팀들의 입력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더 정확하게는 각 팀별로 주어진 과제물의 제작에 참여하는 팀원들의 실시간 협업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평가자, 가령 교수자는 그룹간의 협동심을 보고자 하는 것이므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확인하게 된다. 즉 평가자는 삭제된 내용을 포함하는 전체 입력물을 확인할 수 있고, 또 그에 따른 최종 제출본도 확인해 볼 수 있어 팀원들이 해결안을 도출하는 과정을 제2 사용자장치를 통해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평가자가 제2 사용자장치를 통해 각 팀의 최종 제출본을 화면에 표시하였을 때, 그 주변 영역에는 삭제된 데이터와 관련한 내역이 화면에 보여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2 사용자장치는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120)로부터 제공된 과제 즉 관련 화면에의 팀원 각각의 로그정보로서 입력횟수 및 참여시간 등이 분석된 분석결과를 해당 과제와 관련한 개인별 참여도로서 확인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개인별 참여도는 과제물 작성에 참여하는 각 팀원들의 활동에 대한 분석 결과이다.
통신망(11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1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1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1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1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1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사용자장치(100)를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사용자장치(100)와 지그비 및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12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120)는 그룹간 즉 각 팀의 팀원간의 협동심을 요구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평가자는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120)를 통해 비구조화된 문제 즉 답이 정해져 있는 않은 주제를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120)를 통해 학생들에게 제시한다. 더 정확히 말해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120)는 특정 주제에 대한 과제물을 기설정된 양식에서 작성될 수 있도록 도 2에서와 같은 서비스 화면을 하나의 그룹 즉 팀을 형성하는 팀원들에게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즉 각 팀원들의 서비스 요청에 의해 제공한다. 다시 말해 하나의 사용자장치(100)를 통해 팀원들의 의견을 종합해 제출하는 것이 아니라, 각 팀원들이 자신의 사용자장치(100)를 통해 동시에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협업하여 과제물을 작성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채팅과 같이 실시간으로 과제물 작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팀원이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접속하여 자신에게 할당된 항목을 완성하고, 또는 다른 팀원이 작성한 내용 등을 수정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120)는 각 팀원이 소지하는 사용자장치(100)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도 2에서와 같은 레이아웃의 서비스 화면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온라인상에서 팀원들이 서로 협업하여 작성하는 리포트 양식을 수신하게 된다. 물론 시간적인 간격을 두고 팀원들이 작성할 수 있으며, 세부 항목을 나누어 각각 분담하여 자신의 담당 부분을 작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세부 항목을 각각 분담하여 팀원이 동시에 접속하여 리포트 작성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120)는 리포트 즉 과제물이 온라인상에서 각 팀원들에 의해 작성될 때, 작성 또는 첨부되고 삭제되는 내용을 모두 기록하고, 이를 DB(120a)에 저장한다. 물론 DB(120a)는 그 이외에도 다양한 데이터를 분류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각 팀원별로 작성되는 리포트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120)는 리포트의 작성 히스토리를 기록할 뿐 아니라, 팀원들이 모두 최종적으로 승인한 데이터를 DB(120a)에 저장시킨다. 물론 팀원들은 특정 시간에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120)에 접속하여 기저장된 내용을 불러내어 수정한 후 재저장시킬 수 있다.
팀원들의 최종 승인이 완료되면, 물론 그 이전에도 주기적으로 분석이 가능하겠지만,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120)는 팀원들의 사용자장치(100)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팀원들의 개인별 참여도를 평가한다. 제출된 과제와 관련하여 팀원 각각의 입력 횟수 및 참여시간 등을 분석하여 참여도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120)는 입력 횟수나 참여시간 등을 막대 그래프의 형태로 형성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팀원들에 의해 작성된 과제의 결과물과 분석결과는 평가자의 요청시 평가자의 사용자장치(100)로 제공된다. 교수자 등의 평가자는 사용자장치(100)를 통해 각 그룹에서 제출한 과제물과 관련해 과제물이 작성되는 과정과 그에 따르는 최종 결과를 확인해 볼 수 있다. 또한, 해당 과제물을 작성하기 위해 팀원들이 얼마나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작성하였는지를 가령 개인별 참여도의 평가 결과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그래프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화면은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과제의 진행 과정을 모두 온라인을 통해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학생들이 오프라인이나 MS워드 및 한글과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해 문서에 별도의 리포트를 작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부담감을 덜 수 있고, 또 평가자의 경우 학습자들의 참여 및 문제 도출 과정을 한 눈에 쉽게 확인해 볼 수 있어 토론이 특정인의 생각이나 방향으로만 유도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나아가 협업 중 불성실한 팀원은 선별하여 그에 합당한 평가를 내릴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4는 도 1의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400), 제어부(410), PBL 과제물생성부(420) 및 저장부(4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4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PBL 과제물생성부(4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4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는 도 1의 통신망을 경유하여 사용자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는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변/복조, 인코딩/디코딩, 먹싱/디먹싱 등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해서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는 가령 대학에서 학생들이 헙업하여 리포트를 작성하기 위해 편성되는 각 팀별 팀원들의 사용자장치(100)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도 2에서와 같은 양식의 서비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는 제공된 서비스 화면에서 입력되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제어부(410)의 제어에 따라 PBL 과제물생성부(420)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다양한 형태의 입력 데이터는 세부 항목에 대하여 팀원들이 개별적으로 또는 협업하여 작성하는 의견 내용이나 그의 과정에서 첨부되는 사진, 동영상 및 링크 주소 등의 데이터나 정보를 의미하며, 작성 과정에서 삭제되거나 수정되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삭제되는 내용은 평가자의 사용자장치(100)에서만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지만, 팀원들도 자신의 사용자장치(100)를 통해 볼 수 있도록 과제물의 최종 제출본의 좌측 또는 우측의 일 영역에서 삭제되는 내용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어디까지나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는 것이지만, 학생들과 평가자가 동일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더욱 유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는 평가자가 소지하는 사용자장치(100)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학생들이 협업하여 작성을 완료한 과제의 결과물 즉 과제물을 제공한다. 평가자가 확인하는 화면은 도 2에서 볼 때, 특정 세부 항목에서 팀원들이 최종적으로 입력하여 완성한 입력 데이터들과 그 좌측 또는 우측의 일 영역에 팀원들이 리포트를 작성하면서, 즉 리포트 양식의 공란에 데이터를 입력하면서 삭제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삭제 내용의 확인은 별도의 버튼을 선택하여 나타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는 평가자의 요청에 따라 평가자의 사용자장치(100)로 과제물 작성을 위해 참여한 팀원들의 개인별 참여도를 가령 그래프의 형태로 보여줄 수 있다. 여기서 개인별 참여도는 해당 화면에 접속하여 과제물 작성에 참여한 참여 횟수나 참여 시간 등에 대한 로그정보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제어부(410)는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120)를 구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400), PBL 과제물생성부(420) 및 저장부(430)의 전반적인 제어동작을 담당한다. 팀원들의 사용자장치(100)로부터 과제물 작성을 위한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제어부(410)는 저장부(430) 등에 저장되어 있는 기제작된 레이아웃 구조의 리포트 양식을 제공하고, 제공된 해당 리포트 양식에 데이터가 입력될 때, 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PBL 과제물생성부(420)에 제공하여 데이터가 입력된 과제물을 최종적으로 생성하도록 하며, 또 팀원들의 사용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로그정보(예: 사용자ID정보, 참여시간 등)를 PBL 과제물생성부(420)에 제공하여, 작성된 과제물에 대한 개인별 참여도를 분석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410)는 제공된 리포트 양식에 데이터가 입력되는 사항 이외에도 입력된 데이터가 삭제될 때 해당 삭제된 데이터와 함께 로그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부(400)에서 수신하여 PBL 과제물생성부(420)에 제공함으로써 삭제된 내용이 누구에 의해 삭제되었고 또 어떠한 내용이 삭제되었는지 평가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포맷을 형성한다. 가령, 해당 포맷은 도 2의 리포트 양식에서 좌측이나 우측의 영역에 최종 제출본의 리포트와 함께 표시되도록 하거나 지정 버튼을 클릭해 별도로 요청할 때 보여지도록 할 수 있다.
PBL 과제물생성부(420)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 팀의 팀원들이 서로 다른 사용자장치(100)를 통해 작성하는 과제물의 주제 관련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완성된 과제물을 생성한다. 다시 말해 각 팀원들의 데이터가 기제공된 리포트 양식 또는 그 양식의 세부 항목에 입력되면 해당 데이터가 누구에 의해 입력된 것인지 확인하여 해당 데이터를 적정한 위치에 삽입하고, 팀원이나 평가자들에게 데이터가 입력된 형태의 리포트가 화면상에서 보여지도록 한다.
PBL 과제물생성부(420)의 화면 구성 과정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포트(혹은 과제물)는 평가자가 제시한 주제와 관련해 학생들이 자신이 원하는 적절한 레이아웃을 복수의 리포트 양식에서 선택하여 작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리포트 양식에 데이터가 입력되고 삭제되고 할 때, 삭제되는 데이터를 학생과 평가자가 동일한 화면을 통해 볼 수 있도록 하거나, 학생들의 사용자장치(100)에는 삭제되는 데이터가 보이지 않고 평가자들에게만 보이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후자의 경우를 바람직하게 보고 있다. 또한, 평가자가 그 삭제 내용을 최종적으로 제출된 리포트와 함께 보고자 할 때, 별도의 버튼을 더 선택하여 삭제 내용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다양한 내용은 시스템 설계자가 화면 설계를 어떻게 프로그래밍하려는지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PBL 과제물생성부(420)는 과제물이 작성될 때 각 팀의 팀원들의 개인별 참여도가 얼마나 되는지를 평가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과제물의 작성에 참여한 팀원들의 로그정보를 분석한다. 대표적으로 참여 횟수를 분석하고, 참여시간을 분석할 수 있다. 통상 사용자장치(100)는 팀원들이 입력하는 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제공할 때 팀원들의 사용자정보를 함께 전송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로그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사용자정보는 사용자장치(100)의 장치식별정보가 될 수 있고, 학생들이 서비스에 로그인하는 사용자ID 정보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PBL 과제물생성부(420)는 과제물의 작성 기한을 관리할 수 있다. 평가자가 과제물 제출 최종마감기한을 지정하면, 해당 기간 동안은 자유롭게 팀원들이 서비스에 접속하여 수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마감기한이 지나면 수정을 차단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마감이 되었을 때, PBL 과제물생성부(420)는 위에서와 같은 분석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데이터의 분석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430)는 제어부(4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가령, 지정된 양식의 리포트를 저장하고, 학생들의 선택에 따라 적절한 포맷의 리포트 양식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해당 선택 사항은 PBL 과제물생성부(420)에 제공되어 관리될 수 있다. 팀원들이 해당 리포트 양식을 기준으로 작성하여 데이터를 제공하면 저장부(430)는 PBL 과제물생성부(420)에서 이를 기반으로 작성한 리포트를 제어부(410)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다. 물론 이의 과정에서 장기간의 저장이 필요한 경우에는 도 1의 DB(120a)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1의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5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120)는 리포트(혹은 과제물)의 작성을 위해 팀워크가 형성된 팀원 각자의 사용자장치(100)로 온라인상의 리포트 양식을 제공하고, 제공한 리포트 양식에서 각 팀원이 온라인상에서 입력 및 삭제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S500).
물론 이의 과정에서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120)는 각 팀원이 데이터를 입력한 후 수정하거나 삭제하는 경우, 관련 기록은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이용해 리포트 작성 히스토리를 형성한다. 여기서, 히스토리는 최종 제출된 리포트의 일측에 가령 말풍선의 형태로 삭제된 내용을 보여주되, 누구에 의해 수정되고 삭제된 것인지 함께 보여주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120)는 수신한 입력 및 삭제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팀워크에 의한 최종 리포트를 생성하고, 화면상에서 (기)생성한 최종 리포트의 주변에 표시하기 위한 각 팀원의 삭제 히스토리를 생성한다(S510).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12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앞서의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사용자장치 110: 통신망
120: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 400: 통신 인터페이스부
410: 제어부 420: PBL 과제물생성부
430: 저장부

Claims (6)

  1. 온라인상에서의 팀워크(teamwork)에 의해 리포트(report) 작성이 가능한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로서,
    리포트 작성을 위해 팀워크가 형성된 팀원 각자의 사용자장치로 온라인상의 리포트 양식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한 리포트 양식에서 각 팀원이 온라인상에서 입력 및 삭제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한 입력 및 삭제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팀워크에 의한 최종 리포트를 생성하고, 화면상에서 상기 생성한 최종 리포트의 주변에 표시하기 위한 상기 각 팀원의 팀워크 히스토리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스토리를 생성하기 위하여, 최종 제출된 리포트의 일측에 삭제된 내용을 보여주되, 누구에 의해 수정되고 삭제된 것인지를 보여주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팀원 각자의 사용자장치로부터 상기 리포트의 작성을 완료하였다고 각각 승인하면, 상기 팀원 각자의 승인을 취합하여 상기 리포트의 제출 마감일 기준으로 상기 팀원의 모든 승인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최종 제출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리포트의 제출 마감 기한까지는 수정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팀원의 최종 승인이 완료되면, 제출된 리포트와 관련하여 팀원의 각각의 입력 횟수 및 참여시간을 분석하여 개인별 참여도를 분석하고, 입력횟수와 참여시간을 시각적인 그래프의 형태로 형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팀원 각자의 사용자장치를 통해 상기 리포트의 최종 제출본의 좌측 또는 우측의 일 영역에서 삭제되는 내용을 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팀원 각자의 데이터가 기제공된 리포트 양식의 세부 항목에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가 누구에 의해 입력된 것인지 확인하여 상기 데이터를 지정 위치에 삽입하고, 팀원이나 평가자들에게 상기 데이터가 입력된 형태의 리포트가 화면상에서 보여지도록 하는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포트 작성을 위해 평가자가 제시하는 지정 주제와 관련해 팀원들의 문제도출 과정을 확인하기 위해 문제인식, 문제해결안 및 해결안평가의 세부 항목을 포함하는 리포트 양식을 제공하는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부 항목에서 각 팀원이 입력하는 상기 지정 주제 관련 사진 및 동영상을 포함하는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
  6.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온라인상에서의 팀워크에 의해 리포트 작성이 가능한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리포트 작성을 위해 팀워크가 형성된 팀원 각자의 사용자장치로 온라인상의 리포트 양식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한 리포트 양식에서 각 팀원이 온라인상에서 입력 및 삭제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신한 입력 및 삭제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팀워크에 의한 최종 리포트를 생성하고, 화면상에서 상기 생성한 최종 리포트의 주변에 표시하기 위한 상기 각 팀원의 팀워크 히스토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히스토리를 생성하기 위하여, 최종 제출된 리포트의 일측에 삭제된 내용을 보여주되, 누구에 의해 수정되고 삭제된 것인지를 보여주는 단계;
    상기 팀원 각자의 사용자장치로부터 상기 리포트의 작성을 완료하였다고 각각 승인하면, 상기 팀원 각자의 승인을 취합하여 상기 리포트의 제출 마감일 기준으로 상기 팀원의 모든 승인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최종 제출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리포트의 제출 마감 기한까지는 수정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
    상기 팀원의 최종 승인이 완료되면, 제출된 리포트와 관련하여 팀원의 각각의 입력 횟수 및 참여시간을 분석하여 개인별 참여도를 분석하고, 입력횟수와 참여시간을 시각적인 그래프의 형태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팀원 각자의 사용자장치를 통해 상기 리포트의 최종 제출본의 좌측 또는 우측의 일 영역에서 삭제되는 내용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팀원 각자의 데이터가 기제공된 리포트 양식의 세부 항목에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가 누구에 의해 입력된 것인지 확인하여 상기 데이터를 지정 위치에 삽입하고, 팀원이나 평가자들에게 상기 데이터가 입력된 형태의 리포트가 화면상에서 보여지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
KR1020190027374A 2019-03-11 2019-03-11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227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374A KR102227693B1 (ko) 2019-03-11 2019-03-11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374A KR102227693B1 (ko) 2019-03-11 2019-03-11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574A KR20200108574A (ko) 2020-09-21
KR102227693B1 true KR102227693B1 (ko) 2021-03-12

Family

ID=72707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374A KR102227693B1 (ko) 2019-03-11 2019-03-11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6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17178A (ja) * 2007-01-24 2010-05-20 マルチモダル テクノロジーズ,インク. 文書編集システムによるユーザインタラクションの監視
KR101734728B1 (ko) * 2015-12-17 2017-05-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온라인 협동 학습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101950422B1 (ko) 2017-08-10 2019-02-20 (주)사이냅소프트 편집 권한 설정을 지원하는 공동 편집을 위한 문서 편집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8143A (ko) 2007-12-04 2009-06-09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웹 기반 물성 데이터의 품질 평가 및 보고서 작성 시스템
KR20090123556A (ko) 2008-05-28 2009-12-02 주식회사 신한은행 보고서 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445102B1 (ko) 2012-10-23 2014-10-02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 보고서 자동 등록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94062A (ko) * 2013-01-17 2014-07-30 (주)링커 평가 방법 및 시스템
KR101829198B1 (ko) 2016-08-29 2018-02-19 (주)비아이매트릭스 보고서의 중요도를 분석하는 메타 데이터 기반 온라인 분석 프로세싱 시스템
KR20180119058A (ko) 2017-04-24 2018-11-01 주식회사 앞집 부동산 분석보고서 제공 장치
KR20190010365A (ko) * 2017-07-22 2019-01-30 황유상 모니터링 및 협업 툴을 제공하기위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17178A (ja) * 2007-01-24 2010-05-20 マルチモダル テクノロジーズ,インク. 文書編集システムによるユーザインタラクションの監視
KR101734728B1 (ko) * 2015-12-17 2017-05-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온라인 협동 학습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101950422B1 (ko) 2017-08-10 2019-02-20 (주)사이냅소프트 편집 권한 설정을 지원하는 공동 편집을 위한 문서 편집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574A (ko) 2020-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90211A1 (en) Method of shar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between learning communities
Spicer The nuts and bolts of evaluating science communication activities
Ordóñez de Pablos Assessing the role of mobile technologies and distanc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Chantanarungpak Using e-Portfolio on social media
Mac an Bhaird et al. Mathematics support centres’ online presence: provision in Ireland and the UK in 2018
Malele et al. Bridging the innovation chasm: Measuring awareness of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on policies and platforms at the universities of technology in South Africa
Zhu et al. Engineering leadership in a Chinese industrial context: An exploration using the four capabilities model
KR20200132080A (ko) 문제생성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Hodges et al. Assessing curriculum designed to foster students’ entrepreneurial knowledge and small business skills from a global perspective
KR102227693B1 (ko) 문제기반학습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Henning et al. The emergence and maturation of student affairs assessment
Akobo Action learning through radio: exploring conceptual views and lived experiences of women entrepreneurs
KR20200108575A (ko) 퀴즈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Theodosiou et al. Primary school heads’ professional socialization and leadership development in Cyprus
Kuleshova et al. Retracted: Professional training of future engineers‐teachers: The societal needs of modern educational technologies introduction
TWI693566B (zh) 三方資料關係的處理方法
McLure et al.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barriers and supports: initiating educational change at the system level
Petch et al. Embedding research into practice through innovation and creativity: a case study from social services
Luić et al. Planning, managing and leading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schools
Commissar et al. IMBES pre‐conference: Using insight from research to improve education
Hizmetli Turning knowledge into success: The role of collaboration in knowledge management implementation
Reychav et al. The role of user-centered design and usability on knowledge sharing: a school website field study
Celep et al. Creating knowledge sharing culture via social network sites at school: A research intended for teachers
Subramanian et al. Using SAS™ software to enhance pedagogy for text mining and sentiment analysis using social media (Twitter™) data
Stewart Toward an ethics of classroom tools: Educating educators for data litera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