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2802A - 교육 콘텐츠 제공 장치 및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교육 콘텐츠 제공 장치 및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2802A
KR20200102802A KR1020190021267A KR20190021267A KR20200102802A KR 20200102802 A KR20200102802 A KR 20200102802A KR 1020190021267 A KR1020190021267 A KR 1020190021267A KR 20190021267 A KR20190021267 A KR 20190021267A KR 20200102802 A KR20200102802 A KR 20200102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educational
learner
online
off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탁
홍정민
임도원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주)휴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넷 filed Critical (주)휴넷
Priority to KR1020190021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2802A/ko
Publication of KR20200102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8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육 콘텐츠 제공 장치 및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육 콘텐츠 제공 장치는, 학습자 단말과 유무선으로 연결되서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교육 콘텐츠 제공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교육 콘텐츠를 저장하되, 제1 기준에 의해서 복수의 교육 콘텐츠를 온라인 콘텐츠와 오프라인 콘텐츠로 제1 분류하고, 제1 분류된 온라인 콘텐츠에 대해서 제2 기준에 의해서 온라인 콘텐츠와 오프라인 콘텐츠로 제2 분류함으로써, 복수의 교육 콘텐츠를 복수의 온라인 콘텐츠와 복수의 오프라인 콘텐츠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교육 콘텐츠 저장부, 복수의 온라인 콘텐츠와 복수의 오프라인 콘텐츠를 학습자 단말에 제공하는 교육 콘텐츠 제공부 및 교육 콘텐츠 제공부에 의해서 제공된 온라인 콘텐츠를 학습한 학습자로부터 학습자의 응답을 수신하고, 수신된 학습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오프라인 콘텐츠의 일부를 변경하여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도록 상기 교육 콘텐츠 제공부를 제어하는 교육 콘텐츠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육 콘텐츠 제공 장치 및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Apparatus for providing education content and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 content}
본 발명은 교육 콘텐츠 제공 장치 및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에 적합한 교육 콘텐츠를 자동적으로 구별하고, 온라인과 오프라인 교육을 상호 연계시켜 교육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콘텐츠 제공 장치 및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립러닝의 이슈화는 미국 시골의 한 과학교사로부터 출발하였다. 우드랜드 파크 고등학교의 교사인 존 버그만(Jonathan Bergman)과 아론 샘(Arom Sam)은 과학교과에 플립러닝을 접목해 보았는데 많은 교육 효과를 보았던 사례가 있다. 존 버그만의 출발은 수업시간의 대부분을 일 방향의 강의식 수업으로 진행할 수밖에 없을까라는 것이었고, 강의식이 아닌 다른 방식이면 보다 효과적인 과학수업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이 있었던 것이다.
플립러닝의 출발이 된 가장 핵심 질문은 "무엇이 대면 수업에 최선일까?"라는 것이었다. 교사와 학생이 한 공간에 모이는 오프라인 교육을 어떻게 설계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교육 방법인가에 대한 물음으로 출발한 것이 바로 플립러닝이다. 과거 오프라인에서 강의 중심의 이론 학습을 하고, 집에서 실습 중심의 학습을 진행하였다면, 이것이 플립(flipped)되어 즉 뒤집혀 집에서 이론 학습을 온라인으로 진행하고 교실에서는 상호 토론하고 협력하는 실천 학습을 수행하는 것이 플립러닝 학습이다.
그런데, 오프라인 교육은 논외로 하더라도, 온라인의 경우 플립러닝은 단순히 이러닝(e-learning)을 넘어 오프라인 교육과 연계하여 설계되어야 하기 때문에 교육내용에 따라 그 시스템의 구성은 상이할 수밖에 없다.
가령 회사의 조직 등에서 팀장의 사람관리 능력은 회사의 소득 증대에 직결될 수 있는 만큼, 탁월한 팀장을 만들기 위해서 기존의 단순한 인터넷원격훈련을 넘어서는 보다 차별화되는 시스템이 시장에서 요구되고 있다.
웹사이트 1: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80960&cid=42171& categoryId=58268
본 발명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교육에 적합한 교육 콘텐츠를 구분하여 교육 커리큘럼을 설계하고, 온라인 교육의 결과를 오프라인 교육에 반영함으로써 온라인 오프라인 교육의 연계성을 향상시켜 학습자의 교육 효과를 향상시키는 교육 콘텐츠 제공 장치 및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단말과 유무선으로 연결되서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교육 콘텐츠 제공 장치는, 학습자 단말과 유무선으로 연결되서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교육 콘텐츠 제공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교육 콘텐츠를 저장하되, 제1 기준에 의해서 상기 복수의 교육 콘텐츠를 온라인 콘텐츠와 오프라인 콘텐츠로 제1 분류하고, 상기 제1 분류된 온라인 콘텐츠에 대해서 제2 기준에 의해서 온라인 콘텐츠와 오프라인 콘텐츠로 제2 분류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교육 콘텐츠를 복수의 온라인 콘텐츠와 복수의 오프라인 콘텐츠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교육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복수의 온라인 콘텐츠와 상기 복수의 오프라인 콘텐츠를 상기 학습자 단말에 제공하는 교육 콘텐츠 제공부 및 상기 교육 콘텐츠 제공부에 의해서 제공된 상기 온라인 콘텐츠를 학습한 학습자로부터 학습자의 응답을 수신하고, 수신된 학습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오프라인 콘텐츠의 일부를 변경하여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도록 상기 교육 콘텐츠 제공부를 제어하는 교육 콘텐츠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교육 콘텐츠 제어부는, 상기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교육 과정이 종료되면, 상기 온라인 콘텐츠의 교육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질의 문항을 상기 학습자 단말로 제공하여 교육 진단 절차를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교육 콘텐츠 제어부는,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상기 질의 문항에 대한 학습자의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학습자의 응답을 분석하여 해당 학습자에게 개인별 보충 자료의 제공 여부를 결정하고, 제공 여부가 결정된 학습자에게 상기 보충 자료의 제공을 위한 코칭 푸쉬(coaching push)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교육 콘텐츠 제어부는, 상기 학습자의 응답을 통계 분석하여 해당 학습자의 오프라인 콘텐츠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교육 콘텐츠는, 콘텐츠의 학습 효과의 속성을 나타내는 복수의 효과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콘텐츠의 학습 목표의 속성을 나타내는 복수의 목표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효과 태그는 듣기 자료, 읽기 자료, 시청각 자료, 시범강의 자료, 집단 토의 자료, 실습 자료, 말로 설명하는 자료인지 여부를 구분할 수 있는 정보이고, 상기 복수의 목표 태그는 적용 목표, 분석 목표, 평가 목표, 창안 목표, 이해 목표, 암기 목표인지 여부를 구분할 수 있는 정보이다.
이 경우에, 상기 교육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복수의 교육 콘텐츠가 듣기 자료, 읽기 자료 및 시청각 자료의 효과 태그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면 해당 콘텐츠를 온라인 콘텐츠로 분류하고, 포함하지 않으면 오프라인 콘텐츠로 분류함으로써, 상기 제1 분류를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교육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복수의 교육 콘텐츠가 이해 목표, 암기 목표의 목표 태그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면 해당 콘텐츠를 온라인 콘텐츠로 분류하고, 포함하지 않으면 오프라인 콘텐츠로 분류함으로써, 상기 제2 분류를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교육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온라인 콘텐츠와 상기 오프라인 콘텐츠를 구별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에 제공하되, 상기 온라인 콘텐츠로서 학습 내용 항목, 교육 진단 항목 및 학습자의 요약/질문을 업로드하는 항목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교육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온라인 콘텐츠와 상기 오프라인 콘텐츠를 구별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에 제공하되, 상기 오프라인 콘텐츠로서 그룹 토의 게시판, 교육 자료 게시판, 질의/응답 게시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학습자 단말과 유무선으로 연결되서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은, 학습자 단말과 유무선으로 연결되서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주제의 교육 과정을 저장하고, 특정 주제의 교육 과정별로 매칭된 복수의 교육 콘텐츠를 저장하는 교육 콘텐츠 저장부로부터 복수의 교육 콘텐츠를 독출하는 교육 콘텐츠 독출 단계, 상기 특정 주제의 교육 과정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교육 콘텐츠를 온라인 콘텐츠 또는 오프라인 콘텐츠로 구분하기 위하여 제1 기준에 의해서 상기 복수의 교육 콘텐츠를 온라인 콘텐츠와 오프라인 콘텐츠로 제1 분류하고, 상기 제1 분류된 온라인 콘텐츠에 대해서 제2 기준에 의해서 온라인 콘텐츠와 오프라인 콘텐츠로 제2 분류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교육 콘텐츠를 복수의 온라인 콘텐츠와 복수의 오프라인 콘텐츠로 구분하는 교육 콘텐츠 구별 단계, 상기 교육 콘텐츠 구별 단계 이후에 온라인 콘텐츠와 오프라인 콘텐츠로 구분된 상기 특정 주제의 교육 과정을 상기 학습자 단말로 온라인 콘텐츠와 오프라인 콘텐츠로 구분하여 제공하는 교육 콘텐츠 제공 단계, 상기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교육 과정이 종료되면, 상기 온라인 콘텐츠의 교육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질의를 상기 학습자 단말로 제공하여 교육 진단 절차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상기 질의에 대한 학습자의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학습자의 응답을 분석하여 해당 학습자에게 개인별 보충 자료의 제공 여부를 결정하고, 제공 여부가 결정된 학습자에게 상기 보충 자료의 제공을 위한 코칭 푸쉬(coaching push)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블룸(Bloom)의 교육목표 분류와 NTL(National Traning Laboratory)의 학습효과 피라미드를 이론적 백그라운드로 삼아 FSD(Filtering, Design & Synergy) 기반의 플립러닝 교수설계 모델을 적용하여 컨텐츠를 제작, 배포함으로써 플립러닝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러닝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플립러닝장치의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3은 도 1의 플립러닝장치의 다른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4는 도 3의 제어부의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러닝 교수설계 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단계 분류 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6의 분류 모델에 의한 2단계 분류 샘플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6의 분류 모델에 의한 커리큘럼 샘플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이중 시너지 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맞춤형 이중 시너지 모델에 따른 학습 플로우의 샘플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교육 콘텐츠 제공 장치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 예 : 플립러닝 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러닝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러닝 시스템(90)은 단말장치(100), 통신망(110) 및 플립러닝장치(1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통신망(110)과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단말장치(100)와 플립러닝장치(120)가 P2P(Peer to Peer) 다이렉트 통신을 수행하거나, 단말장치(100)가 스탠드 얼론(stand alone) 형태로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동작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단말장치(100)는 학습자의 학습을 위한 다양한 장치를 포함한다. 단말장치(100)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데스크탑 컴퓨터, 웨어러블 장치, 나아가 PDP나 스마트 TV 및 MP3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장치(100)는 학습자의 요청에 의해 플립러닝을 위한 온라인 수업을 진행한다. 다시 말해 단말장치(100)는 플립러닝 학습의 성공 키인 WSQ(Watchign, Summary & Question)의 활성화를 위한 교육생 - 강사, 교육생 - 교육생, 교육 담당자 간 참여형 소통 창구 및 학습과 토의가 가능하도록 에듀테그(EduTech) 기술을 활용하여 학습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플립러닝 컨텐츠를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러닝 컨텐츠는 체계화된 플립러닝 수업을 통해 팀장의 사람관리 역량을 내재화하고 향상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시적으로 이러한 교육 과정의 예로 팀장리더십(상품명)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학습자는 단말장치(100)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러닝을 진행하기 위하여 플립러닝장치(120)에 접속한다. 플립러닝 수업을 진행하기에 앞서 단말장치(100)의 학습자는 팀장리더십 과정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교육 서비스와 관련된 복수의 커리큘럼에 대하여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거나 오프라인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커리큘럼"은 특정 교육 컨텐츠에 대하여 강의차별로 구분된 각각의 교과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커리큘럼에 대하여 이러한 온라인 수업과 오프라인 수업의 진행과정이 학습자마다 상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학습자는 각자의 교육 수준과, 여건에 따라 설계된 맞춤식 교육 커리큘럼에 따라 복수의 커리큘럼을 진행할 수 있다. 물론 학습자들의 통계분석을 통해 복수의 커리큘럼을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각각 구분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단말장치(100)는 플립러닝장치(120)로부터 복수의 교육 콘텐츠를 제공받는 다. 이때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는 플립러닝장치(120)에 의해서 기 분류된 온라인 콘텐츠와 오프라인 콘텐츠를 제공받고, 제공된 온라인 콘텐츠 및 오프라인 콘텐츠에 관한 정보가 단말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다.
플립러닝장치(120)는 특정 주제의 교육 과정에 포함된 복수의 교육 콘텐츠에 대해서 온라인 콘텐츠 또는 오프라인 콘텐츠로 분류하는 작업을 미리 실행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알고리즘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별도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단말장치(100)는 플립러닝장치(120)에 의해서 제공된 구분된 온라인과 오프라인 콘텐츠에서 온라인 콘텐츠를 실행한다. 단말장치(100)는 온라인 콘텐츠의 교육 과정 중에는 학습자가 WSQ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학습 콘텐츠를 제공한다.
즉, 단말장치(100)는 학습자가 강의 동영상 시청하기(Watching), 강의 내용 요약하기(Summary), 강의 관련 질문하기(Question)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학습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요약하기, 질문하기 등의 항목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면, 입력된 정보를 플립러닝장치(120)로 전송한다.
단말장치(100)는 온라인 교육이 완료되면, 플립러닝장치(120)로부터 해당 강의에 대한 강의 평가를 진행하고, 강의 이해력을 점검하기 위한 진단 질문지를 수신한다. 단말장치(100)는 수신된 질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학습자가 질문지에 응답하면, 응답한 내용을 플립러닝장치(120)로 전송한다.
단말장치(100)는 질문지를 플립러닝장치(120)로 전송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플립러닝장치(120)로부터 개인별 보충자료를 수신한다. 경우에 따라서 단말장치(100)는 개인별 보충자료를 수신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단말장치(100)는 개일별 보충자료를 코칭 푸쉬(coching push) 과정을 통해서 수신한다.
이외에도 단말장치(100)는 진단 이후에 별도로 액티비티(Activity) 즉 참여수업을 결정하기 위한 별도의 질문에 답변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참여수업을 최종적으로 결정할 때 활용될 수 있다.
통신망(11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1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1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1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10) 내의 액세스포인트(AP)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1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단말장치(100)를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단말장치(100)와 지그비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플립러닝장치(12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플립러닝장치(120)는 특정 주제의 교육 과정에 대한 복수의 교육 콘텐츠를 온라인 콘텐츠와 오프라인 콘텐츠로 구분하여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예컨대, 플립러닝장치(120)는 온라인 교육이 가능한 교육 콘텐츠에 대해서는 온라인 콘텐츠로 분류하고, 오프라인 교육이 가능한 교육 콘텐츠에 대해서는 오프라인 콘텐츠로 분류하되 각각을 구별하여 단장장치(100)에 제공한다. 이처럼, 플립러닝장치(120)는 종전의 오프라인 콘텐츠 중에서 온라인 콘텐츠와 오프라인 콘텐츠로 구별하고, 온라인 콘텐츠를 오프라인 콘텐츠의 실시 전에 사전에 제공함으로써 사전 학습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플립러닝장치(120)는 온라인 콘텐츠를 통하여 사전 교육을 이수하는 학습자에게 온라인 콘텐츠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WSQ(Watching, Summary, Question) 동작을 유도하는 관련 콘텐츠를 온라인 동영상 콘텐츠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립러닝장치(120)는 온라인 콘텐츠 과정이 종료된 경우에, 해당 과정의 학습자에게 해당 과정의 성과 달성을 위한 복수의 질문을 포함하는 질문지를 전자적인 방식으로 제공하고, 질문지에 대한 학습자의 응답에 따라 해당 학습자의 오프라인 교육 콘텐츠를 조정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플립러닝장치의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플립러닝장치(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00), 플립러닝처리부(210) 및 저장부(2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서의 의미와 동일하다.
먼저,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도 1의 통신망(110)을 경유하여 단말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의 과정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변복조, 인코딩/디코딩 등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지만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현재 단말장치(100)에서 실행하려는 컨텐츠, 특정 주제의 교육 과정을 실행하기에 앞서 플립러닝처리부(210)의 제어에 따라 단말장치(100)로 기 구분된 온라인 콘텐츠와 오프라인 콘텐츠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플립러닝처리부(210)의 제어하에 위의 과정에 의해 구분된 복수의 커리큘럼 중 온라인 커리큘럼에 대한 컨텐츠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하고, 이의 과정에서도 WQS에 기반한 학습자의 다양한 학습정보를 취득하여 플립러닝처리부(210)에 제공하게 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단말장치(100)의 학습자가 온라인 커리큘럼의 학습에 대한 사전 진단을 수행하도록 하고, 그에 대한 진단 결과를 플립러닝처리부(210)에 제공할 수 있다.
플립러닝처리부(2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00) 및 저장부(220)를 제어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저장부(220)에 저장된 복수의 교육 콘텐츠를 온라인 콘텐츠와 오프라인 콘텐츠로 구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러한 제어 기능과 콘텐츠 구분 동작은 하나의 소프트웨어 단위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콘텐츠 구분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저장부(220)는 다양한 주제의 강의 콘텐츠를 저장한다. 저장부(220)는 특정 주제의 교육 과정에 포함되는 복수의 교육 콘텐츠를 저장한다. 교육 콘텐츠는 동영상, 텍스트, 음성파일, 플래시, 웹페이지, 기타 시청각 자료 등 다양한 형식일 수 있다.
플립러닝처리부(210)는 콘텐츠를 분류할 수 있는 알고리즘과, 각 콘텐츠를 독출하고 저장하고, 다른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내부에 저장하고 있다. 저장부(220)는 이의 실행에 따라 산출된 관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플립러닝장치의 다른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고, 도 4는 도 3의 제어부의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립러닝장치(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플립러닝실행부(320) 및 저장부(3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서의 의미와 동일하다.
도 2의 플립러닝장치(120)와 비교해 볼 때, 도 3의 플립러닝장치(120')는 도 2의 플립러닝처리부(210)가 도 3에서와 같이 제어부(310)와 플립러닝실행부(320)로 물리적으로 즉 하드웨어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310)는 플립러닝장치(120')를 구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플립러닝실행부(320) 및 저장부(330)를 제어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플립러닝실행부(3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러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플립러닝실행부(320)는 롬(ROM)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나아가서는 이이피롬(EEPROM)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컴퓨터와 같은 외부장치에 의해 플립러닝의 프로그램에 대한 읽기/쓰기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에서 제어부(3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플립러닝실행부(320)에 제공하고, 플립러닝실행부(320)에서 처리된 결과를 저장부(330)에 저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310)는 플립러닝실행부(320)의 연산 결과를 처리하는 것이다.
만약, 도 3의 제어부(310)가 도 4에서와 같이 CPU(400)와 메모리(41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CPU(400)는 장치(120')의 초기 구동시 플립러닝실행부(3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410)에 저장시켜 플립러닝 동작을 위해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처리 속도는 상당히 증대될 수 있을 것이다.
CPU(400)는 가령 마이크로프로세서 즉 마이컴(MICOM)으로서 연산회로(ALU)와 제어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명령 해석부나 레지스터 그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메모리(410)는 램(RAM)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러닝 교수설계 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립러닝실행부(320)의 내부에서 실행되는 동작을 도시적으로 설명한다.
플립러닝실행부(320)는 단말장치(100)에 제공하는 복수의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기에 앞서, 복수의 교육 콘텐츠를 복수의 온라인 콘텐츠와 복수의 오프라인 콘텐츠로 분류하는 필터링(filtering)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1차 분류는 "복수의 교육 콘텐츠의 학습 내용을 성취하기 위해 오프라인 학습이 꼭 필요한가" 여부에 따라 정제된다. 오프라인 학습이 꼭 필요한 콘텐츠에 대해서는 오프라인 콘텐츠로 분류하고,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온라인 콘텐츠로 분류한다. 1차 분류에서 걸러진 복수의 교육 콘텐츠에 대해서 2차 분류를 진행한다.
2차 분류는 "상위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콘텐츠인가" 여부에 따라 분류된다. 즉, 해당 콘텐츠의 교육 목표가 상위 학습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 아닌 경우에는 온라인 교육으로 분류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오프라인 교육으로 분류한다.
플립러닝실행부(320)는 이렇게 분류된 복수의 온라인 콘텐츠와 복수의 오프라인 콘텐츠를 구분하여 사용자의 단말장치(100)에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플립러닝실행부(320)는 1차, 2차 분류 과정을 통해서 복수의 교육 콘텐츠를 복수의 온라인 콘텐츠와 복수의 오프라인 콘텐츠로 구분한 뒤, 복수의 온라인 콘텐츠는 WSQ 과정과 사전 진단 과정을 통해서 복수의 오프라인 교육과의 연계성을 높이도록 설계된다. 또한, 복수의 오프라인 콘텐츠는 6개 액티비티 툴을 적용하여 오프라인 콘텐츠의 교육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플립러닝실행부(320)는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교육이 종료된 경우에 해당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단 과정을 거치고, 진단 결과에 따라 복수의 오프라인 콘텐츠에 피드백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플립러닝실행부(320)는 사용자가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교육 종료 후 사전 진단 과정을 거치면서 그 결과에 따라 복수의 오프라인 콘텐츠의 내용, 구성, 난이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즉, 특정 주제에 대해서 특정 개인이 이해도가 낮은 경우 오프라인 교육 콘텐츠를 보다 강화시켜서 온라인 콘텐츠로 이해하지 못한 내용을 이해시키도록 한다. 반면, 이해도가 높은 개인에 대해서는 난이도가 낮은 오프라인 교육 컨텐츠를 배제하고, 보다 실용적이고 실무적인 액티비티를 실행하도록 제안함으로써 개인 맞춤형 학습을 통한 교육 시너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단계 분류 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립러닝장치(120)의 2단계 분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첫번째, 기존의 강의식 수업과 실천학습 수업이 혼재된 오프라인 커리큘럼(A 내지 F)을 리스팅하고, 1차 분류에서 '교육 효과성이 높은가'에 대한 기준(제1 기준)으로 강의식 수업 방식인 듣고, 읽고, 시청각 자료를 보는 효과성이 낮은 부분의 커리큘럼(B, E)은 온라인으로 분류하고, 그 밖의 콘텐츠(A, C, D, F)는 일차적으로 오프라인 콘텐츠로 분류한다.
2단계 분류에서는 효과성이 높은 방법들만 모인 커리큘럼(A, C, D, F)을 바탕으로 실천학습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기준(제2 기준)인 '학습이 상위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지고, 이때 적용하고, 분석하고, 평가하고, 창안하는 상위 학습 목표를 갖는 콘텐츠(A, D)를 남기고 이해하고, 암기하는 목표를 가진 커리큘럼(C, F)의 경우는 다시 온라인으로 보낸다. 이렇게 2단계 분류 과정을 거치면서 복수의 오프라인 실천 콘텐츠(A, D)와 복수의 온라인 이론 콘텐츠(B, C, E, F)를 구분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분류 모델에 의한 2단계 분류 샘플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1 내지 14의 모듈에서 1 및 11 모듈은 온라인 콘텐츠로 분류되고, 2, 3, 4, 6, 9, 13, 14 모듈은 오프라인 콘텐츠로 분류된다. 5, 7, 8, 10, 12 모듈은 온라인/오프라인 공통 모듈로 분류된다. 공통 모듈의 경우에는 온라인 콘텐츠에도 포함시키고, 오프라인 콘텐츠에도 포함시킨다.
도 8은 도 6의 분류 모델에 의한 커리큘럼 샘플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온라인 콘텐츠는 18차시로 구성되고, 교수학습방법은 강의법에 의하므로, 온라인 방식이 적합하다. 오프라인 콘텐츠는 8차시로 구성되고, 교수학습방법은 진단 및 롤 플레이 실습, 비디오 관찰, 사례 연구, 게임, 실습, 비디오 관찰 및 피드백 등 학습자가 직접 실습해야 하는 내용이므로 오프라인 콘텐츠로 적합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이중 시너지 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온라인 교육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WSQ 과정 및 사전 진단 과정을 통해서 해소한다. 이렇게 온라인 교육이 갖고 있는 문제점이 해소되면 오프라인 교육의 효과도 증대되므로 온-오프라인 연계를 통한 학습 시너지가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교육의 진단 결과에 근거하여 오프라인 교육을 재설계하므로 오프라인 콘텐츠가 온라인 교육의 문제점을 뒷받침해주고, 개인과 개인의 역량차로 인한 교육 효과의 차이를 극복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도 9의 맞춤형 이중 시너지 모델에 따른 학습 플로우의 샘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온라인 이론 학습은 이론 학습 위주의 콘텐츠이다. 이러한 온라인 콘텐츠는 WSQ 과정이 가능한 교육 콘텐츠이다. 예컨대, 세일즈 관련 교육 과정의 경우에 온라인 이론 학습으로 5개 모듈(모듈 1 내지 모듈 5)을 설계한다. 5개 모듈은 모두 온라인 이론 학습으로 구성된다. 모듈 1은 3개의 온라인 콘텐츠를 포함하고, 모듈 2 내지 4는 4개의 온라인 콘텐츠를 포함하며, 모듈 5는 3개의 온라인 콘텐츠를 포함한다. 학습자는 5개의 모듈에 포함된 온라인 콘텐츠에 대해서 학습한다. 주로 온라인 콘텐츠는 동영상으로 구성되며, 학습자가 동영상을 시청한 뒤 내용을 요약한다. 학습자는 요약한 뒤에도 의문이 생기면 질문기능을 이용하여 교습자에게 질문을 할 수 있다. 이렇게 학습자가 질문한 내용은 추후 오프라인 콘텐츠에 피드백됨으로써 오프라인 콘텐츠의 구성에 영향을 주게 된다.
온라인 콘텐츠 교육이 종료하면, 온라인 콘텐츠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제시함으로써 진단을 진행한다. 진단의 내용은 기 학습한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복수 개의 질문이 학습자에게 주어지고, 학습자는 질문에 답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학습자가 진단에 대한 질문지를 모두 작성하면, 진단은 완료되고, 진단 결과를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진단 결과에 따라 세일즈 스킬이 부족한 학습자에게는 부족한 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코칭 푸쉬를 생성해서 해당 학습자의 단말장치(100)로 전송한다. 만약 진달 결과가 우수할 경우에는 코칭 푸쉬를 생성하지 않고, 오프라인 실천 학습에 대한 콘텐츠를 제공한다.
학습자는 진단 결과를 통해서 자신의 부족한 점과 강점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해당 교육 과정에서 복수의 진단 결과가 취합되면 복수의 진단 결과를 통계 처리하여 학습자등의 온라인 학업 성취도를 평가할 수 있는 자료를 생성한다. 이렇게 통계 분석된 내용은 오프라인 콘텐츠에 피드백되고, 오프라인 콘텐츠의 구성에 영향을 주게 된다.
진단 과정이 종료하면, 코칭 푸쉬를 받은 학습자의 경우에는 코칭 푸쉬의 내용에 따라 주어진 임무를 완료하면 오프라인 실천 학습 과정으로 넘어간다. 또는 코팅 푸쉬를 받지 않았거나 받았더라도 특별한 임무가 주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오프라인 실천 학습 과정으로 바로 넘어가게 된다.
오프라인 실천 학습은 사전 진단 결과와 온라인 이론 학습 과정에서 WSQ를 통해서 획득한 학습자의 학습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학습자의 액티비티(Activity)를 최종적으로 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온라인 이론 학습에서 특정 차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학습자에게는 해당 온라인 차시와 관련성 높은 특정 액티비티를 중점적으로 실행하도록 오프라인 실천 학습이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온라인 교육 과정에서 학습자의 성취도를 분석하여 오프라인 교육 과정을 통해서 보강함으로써 학습자가 이론 교육의 부족함을 실습 교육으로 보강하여 이해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온라인과 오프라인 교육의 연계성이 높아지는 효과를 발휘한다.
플립러닝실행부(320)는 맞춤형 이중시너지 모델을 통해 도 10에서와 같은 학습 플로우를 진행할 수 있다. 온라인 이론 학습에서는 Question 기능을 강화할 수 있도록 Q&A를 구성하고 사전 진단을 통해 오프라인 학습 전 학습자 상태를 확인하고 결과에 따른 개인 진단결과에 맞춘 피드백을 코칭 푸시하여 (학업을) 보충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진단 결과를 통계 분석하여 오프라인 액티비티(Activity) 활동시 난이도 및 진단 결과에 대한 내용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실시 예 : 교육 콘텐츠 제공 장치>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교육 콘텐츠 제공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교육 콘텐츠 제공 장치(1000)는 교육 콘텐츠 저장부(1100), 교육 콘텐츠 구별부(1200), 교육 콘텐츠 제공부(1300) 및 교육 콘텐츠 제어부(1400)를 포함한다. 교육 콘텐츠 저장부(1100)와 교육 콘텐츠 구별부(1200)는 하나의 통합된 교육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교육 콘텐츠 저장부(1100)와 교육 콘텐츠 구별부(1200)로 개별적으로 구현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교육 콘텐츠 저장부(1100)는 시사, 경제, 문화, 공학, 경영, 정치 등 다수의 주제에 관한 교육 과정 정보를 저장한다. 교육 콘텐츠 저장부(1100)는 특정 주제(예컨대, MBA)에 관한 복수의 교육 콘텐츠를 저장한다. 교육 콘텐츠 저장부(1100)는 복수의 교육 콘텐츠의 학습 효과의 속성을 나타내는 효과 태그, 콘텐츠의 학습 목표의 속성을 나타내는 목표 태그를 해당 콘텐츠와 함께 저장한다. 이때, 효과 태그는 듣기 자료, 읽기 자료, 시청각 자료, 시범강의 자료, 집단 토의 자료, 실습 자료, 말로 설명하는 자료인지 여부를 구분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목표 태그는 적용 목표, 분석 목표, 평가 목표, 창안 목표, 이해 목표, 암기 목표인지 여부를 구분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교육 콘텐츠 구별부(1200)는 분류 알고리즘에 따라 복수의 교육 콘텐츠를 온라인 콘텐츠와 오프라인 콘텐츠로 구분한다. 교육 컨텐츠 구별부(1200)는 복수의 교육 콘텐츠가 듣기 자료, 읽기 자료 및 시청각 자료의 효과 태그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면 해당 콘텐츠를 온라인 콘텐츠로 분류하고, 포함하지 않으면 오프라인 콘텐츠로 분류한다(제1 분류 동작).
교육 콘텐츠 구별부(1200)는 복수의 교육 콘텐츠가 이해 목표, 암기 목표의 목표 태그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면 해당 콘텐츠를 온라인 콘텐츠로 분류하고, 포함하지 않으면 오프라인 콘텐츠로 분류한다(제2 분류 동작).
교육 콘텐츠 제공부(1300)는 교육 콘텐츠 구별부(1200)에 의해서 구별된 온라인 콘텐츠와 오프라인 콘텐츠를 학습자 단말(100)에 제공한다.
교육 콘텐츠 제공부(1300)는 온라인 콘텐츠와 오프라인 콘텐츠를 구별하여 학습자 단말(100)에 제공하거, 온라인 콘텐츠로서 학습 내용 항목, 교육 진단 항목 및 학습자의 요약/질문을 업로드하는 항목을 함께 제공한다.
교육 콘텐츠 제공부(1300)는 온라인 콘텐츠와 오프라인 콘텐츠를 구별하여 학습자 단말(100)에 제공하고, 오프라인 콘텐츠로서 그룹 토의 게시판, 교육 자료 게시판, 질의/응답 게시판을 함께 제공한다.
교육 콘텐츠 제공부(1300)가 학습자 단말(100)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통신 방식은 본 발명을 이해하기에 핵심이 아니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교육 콘텐츠 제어부(1400)는 교육 콘텐츠 제공부(1300)에 의해서 제공된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학습자의 응답을 수신한다. 교육 콘텐츠 제어부(1400)는 수신된 학습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오프라인 콘텐츠의 일부를 변경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하도록 교육 콘텐츠 제공부(1300)를 제어한다.
교육 콘텐츠 제어부(1400)는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교육 과정이 종료되면, 온라인 콘텐츠의 교육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질의 문항을 생성하여 학습자 단말(100)로 제공하도록 교육 콘텐츠 제공부(1300)를 제어한다.
교육 콘텐츠 제어부(1400)는 학습자 단말(100)로부터 상기 질의 문항에 대한 학습자의 응답을 수신한다. 교육 콘텐츠 제어부(1400)는 수신된 학습자의 응답을 분석하여 해당 학습자에게 개인별 보충 자료의 제공 여부를 결정한다. 교육 콘텐츠 제어부(1400)는 제공 여부가 결정된 학습자에게 보충 자료의 제공을 위한 코칭 푸쉬(coaching push) 동작을 수행한 뒤, 코팅 푸쉬 메시지를 학습자 단말(100)에 전달하도록 교육 콘텐츠 제공부(1300)를 제어한다.
교육 콘텐츠 제어부(1400)는 학습자의 응답을 통계 분석하여 해당 학습자의 오프라인 콘텐츠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3 실시 예 :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은 교육 콘텐츠 독출 단계(S1210), 교육 콘텐츠 구별 단계(S1220), 교육 콘텐츠 제공 단계(S1230), 교육 진단 절차를 실행하는 단계(S1240) 및 코칭 푸쉬(coaching push)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S1250)를 포함한다.
교육 콘텐츠 독출 단계(S1210)에서, 교육 콘텐츠 제공 장치(1000)는 다수의 주제의 교육 과정을 저장하고, 특정 주제의 교육 과정별로 매칭된 복수의 교육 콘텐츠를 저장하는 교육 콘텐츠 저장부로부터 복수의 교육 콘텐츠를 독출한다.
교육 콘텐츠 구별 단계(S1220)에서, 교육 콘텐츠 제공 장치(1000)는 특정 주제의 교육 과정에 포함된 복수의 교육 콘텐츠를 온라인 콘텐츠 또는 오프라인 콘텐츠로 구분하기 위하여 제1 필터링에 의해서 복수의 교육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라인 콘텐츠를 선별하고, 선별되지 않고 남은 교육 콘텐츠에 대해서 제2 필터링에 의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라인 콘텐츠를 선별함으로써, 복수의 교육 콘텐츠를 온라인 콘텐츠와 오프라인 콘텐츠로 구분한다.
교육 콘텐츠 제공 단계(S1230)에서 교육 콘텐츠 제공 장치(1000)는 교육 콘텐츠 구별 단계(S1320) 이후에 온라인 콘텐츠와 오프라인 콘텐츠로 구분된 특정 주제의 교육 과정을 학습자 단말(100)로 온라인 콘텐츠와 오프라인 콘텐츠로 구분하여 제공한다.
교육 진단 절차를 실행하는 단계(S1240)에서, 교육 콘텐츠 제공 장치(1000)는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교육 과정이 종료되면, 온라인 콘텐츠의 교육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질의를 학습자 단말(100)로 제공한다.
코칭 푸쉬(coaching push)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S1250)에서, 교육 콘텐츠 제공 장치(1000)는 학습자 단말(100)로부터 질의에 대한 학습자의 응답을 수신하면, 수신된 학습자의 응답을 분석하여 해당 학습자에게 개인별 보충 자료의 제공 여부를 결정하고, 제공 여부가 결정된 학습자에게 보충 자료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단말장치 110: 통신망
120, 120': 플립러닝장치 200, 300: 통신 인터페이스부
210: 플립러닝처리부 220, 330: 저장부
310: 제어부 320: 플립러닝실행부
400: CPU 410: 메모리
1000 : 교육 콘텐츠 제공 장치 1100 : 교육 콘텐츠 저장부
1200 : 교육 콘텐츠 구별부 1300 : 교육 콘텐츠 제공부
1400 : 교육 콘텐츠 제어부

Claims (10)

  1. 학습자 단말과 유무선으로 연결되서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교육 콘텐츠 제공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교육 콘텐츠를 저장하되, 제1 기준에 의해서 상기 복수의 교육 콘텐츠를 온라인 콘텐츠와 오프라인 콘텐츠로 제1 분류하고, 상기 제1 분류된 온라인 콘텐츠에 대해서 제2 기준에 의해서 온라인 콘텐츠와 오프라인 콘텐츠로 제2 분류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교육 콘텐츠를 복수의 온라인 콘텐츠와 복수의 오프라인 콘텐츠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교육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복수의 온라인 콘텐츠와 상기 복수의 오프라인 콘텐츠를 상기 학습자 단말에 제공하는 교육 콘텐츠 제공부; 및
    상기 교육 콘텐츠 제공부에 의해서 제공된 상기 온라인 콘텐츠를 학습한 학습자로부터 학습자의 응답을 수신하고, 수신된 학습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오프라인 콘텐츠의 일부를 변경하여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도록 상기 교육 콘텐츠 제공부를 제어하는 교육 콘텐츠 제어부를 포함하는 교육 콘텐츠 제공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 콘텐츠 제어부는, 상기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교육 과정이 종료되면, 상기 온라인 콘텐츠의 교육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질의 문항을 상기 학습자 단말로 제공하여 교육 진단 절차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콘텐츠 제공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 콘텐츠 제어부는,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상기 질의 문항에 대한 학습자의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학습자의 응답을 분석하여 해당 학습자에게 개인별 보충 자료의 제공 여부를 결정하고, 제공 여부가 결정된 학습자에게 상기 보충 자료의 제공을 위한 코칭 푸쉬(coaching push)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콘텐츠 제공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 콘텐츠 제어부는, 상기 학습자의 응답을 통계 분석하여 해당 학습자의 오프라인 콘텐츠의 난이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콘텐츠 제공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교육 콘텐츠는, 콘텐츠의 학습 효과의 속성을 나타내는 복수의 효과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콘텐츠의 학습 목표의 속성을 나타내는 복수의 목표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효과 태그는 듣기 자료, 읽기 자료, 시청각 자료, 시범강의 자료, 집단 토의 자료, 실습 자료, 말로 설명하는 자료인지 여부를 구분할 수 있는 정보이고,
    상기 복수의 목표 태그는 적용 목표, 분석 목표, 평가 목표, 창안 목표, 이해 목표, 암기 목표인지 여부를 구분할 수 있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콘텐츠 제공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복수의 교육 콘텐츠가 듣기 자료, 읽기 자료 및 시청각 자료의 효과 태그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면 해당 콘텐츠를 온라인 콘텐츠로 분류하고, 포함하지 않으면 오프라인 콘텐츠로 분류함으로써, 상기 제1 분류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콘텐츠 제공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복수의 교육 콘텐츠가 이해 목표, 암기 목표의 목표 태그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면 해당 콘텐츠를 온라인 콘텐츠로 분류하고, 포함하지 않으면 오프라인 콘텐츠로 분류함으로써, 상기 제2 분류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콘텐츠 제공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온라인 콘텐츠와 상기 오프라인 콘텐츠를 구별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에 제공하되,
    상기 온라인 콘텐츠로서 학습 내용 항목, 교육 진단 항목 및 학습자의 요약/질문을 업로드하는 항목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콘텐츠 제공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온라인 콘텐츠와 상기 오프라인 콘텐츠를 구별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에 제공하되,
    상기 오프라인 콘텐츠로서 그룹 토의 게시판, 교육 자료 게시판, 질의/응답 게시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콘텐츠 제공 장치.
  10. 학습자 단말과 유무선으로 연결되서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주제의 교육 과정을 저장하고, 특정 주제의 교육 과정별로 매칭된 복수의 교육 콘텐츠를 저장하는 교육 콘텐츠 저장부로부터 복수의 교육 콘텐츠를 독출하는 교육 콘텐츠 독출 단계;
    상기 특정 주제의 교육 과정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교육 콘텐츠를 온라인 콘텐츠 또는 오프라인 콘텐츠로 구분하기 위하여 제1 기준에 의해서 상기 복수의 교육 콘텐츠를 온라인 콘텐츠와 오프라인 콘텐츠로 제1 분류하고, 상기 제1 분류된 온라인 콘텐츠에 대해서 제2 기준에 의해서 온라인 콘텐츠와 오프라인 콘텐츠로 제2 분류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교육 콘텐츠를 복수의 온라인 콘텐츠와 복수의 오프라인 콘텐츠로 구분하는 교육 콘텐츠 구별 단계;
    상기 교육 콘텐츠 구별 단계 이후에 온라인 콘텐츠와 오프라인 콘텐츠로 구분된 상기 특정 주제의 교육 과정을 상기 학습자 단말로 온라인 콘텐츠와 오프라인 콘텐츠로 구분하여 제공하는 교육 콘텐츠 제공 단계;
    상기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교육 과정이 종료되면, 상기 온라인 콘텐츠의 교육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질의를 상기 학습자 단말로 제공하여 교육 진단 절차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상기 질의에 대한 학습자의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학습자의 응답을 분석하여 해당 학습자에게 개인별 보충 자료의 제공 여부를 결정하고, 제공 여부가 결정된 학습자에게 상기 보충 자료의 제공을 위한 코칭 푸쉬(coaching push)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0190021267A 2019-02-22 2019-02-22 교육 콘텐츠 제공 장치 및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KR202001028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267A KR20200102802A (ko) 2019-02-22 2019-02-22 교육 콘텐츠 제공 장치 및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267A KR20200102802A (ko) 2019-02-22 2019-02-22 교육 콘텐츠 제공 장치 및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802A true KR20200102802A (ko) 2020-09-01

Family

ID=72469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267A KR20200102802A (ko) 2019-02-22 2019-02-22 교육 콘텐츠 제공 장치 및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280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354A (ko) 2021-01-20 2022-07-27 나재원 Ar 교육 콘텐츠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427085B1 (ko) * 2021-10-06 2022-07-29 이혜정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tegoryId=58268
웹사이트 1: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80960&cid=42171&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354A (ko) 2021-01-20 2022-07-27 나재원 Ar 교육 콘텐츠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427085B1 (ko) * 2021-10-06 2022-07-29 이혜정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itink et al. Eliciting teachers’ technological pedagogical knowledge
Izzo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Enhancing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He et al. Exploring authenticity of microteaching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mes
Crawford et al. Integrating professional development content and formative assessment with the coaching process: The Texas school ready model
US20120164619A1 (en) Educational Assessment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Kim et al. An analysis of argumentation discourse patterns in elementary teachers’ science classroom discussions
Okech et al. MSW student experiences in online vs. face-to-face teaching formats?
Sjöstedt Assessing a broad teaching approach: The impact of combining active learning methods on student performance in undergraduate peace and conflict studies
Lancaster et al. Teacher preparation and the inclusive practice of pre-service teachers: A comparative follow-up study
Attia Postgraduate students’ perceptions toward online assessment: The case of the faculty of education, Umm Al-Qura university
Alsheikh Developing an integrated framework to utilize big data fo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Saudi Arabia
Tseng et al. Effect of integrating blended teaching into mathematics learning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Kumar et al. AIAVRT: 5.0 Trans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with Next Generation AI-3D Animation and VR Integrated Computer Graphics Imagery.
KR20200102802A (ko) 교육 콘텐츠 제공 장치 및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Singh et al.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on Teacher Education
Sanchez et al. Defining, teaching, and assessing ethical reasoning in action
Dieker et al. Use of technology in the preparation of pre-service teachers
Forsythe et al. The framework for analyzing video in science teacher education (FAVSTE)
Alhaddad The Impacts of EdTech Collaboration, IoT-Connected Classroom and Intelligent Grading System on Educational Performance
Hessenauer et al. Becoming a social worker: BSW social workers' educational experiences
Murugan et al. The Wonders of Mobile Phone Technology in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KR20160043323A (ko) 두뇌유형별 맞춤형 학습 장치 및 방법
Engellant et al. Team-based learning: The impact of team collaboration software on individual learning outcomes
Rickards et al. Engaging faculty in an evaluative conversation
Roy AI Intervention in Education Systems of India: An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