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9201A -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실시간 학생생활관리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실시간 학생생활관리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9201A
KR20150069201A KR1020130155336A KR20130155336A KR20150069201A KR 20150069201 A KR20150069201 A KR 20150069201A KR 1020130155336 A KR1020130155336 A KR 1020130155336A KR 20130155336 A KR20130155336 A KR 20130155336A KR 20150069201 A KR20150069201 A KR 20150069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ent
mobile device
teacher
data
li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5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택
유정웅
이현지
이준성
Original Assignee
이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성 filed Critical 이준성
Priority to KR1020130155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9201A/ko
Publication of KR20150069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2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학생생활관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사용 학생생활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교사용 모바일 기기(100)와; 학생생활을 관리하기 위한 학부모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학부모용 모바일 기기(110)와; 학생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학생용 모바일 기기(120)와; 실시간으로 학생생활관리를 하기 위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100, 110, 120)에 연동하는 솔루션이 탑재되고, 상벌 데이터 연산부(200)와 상벌 데이터 저장부(210) 및 사용자 등록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부(220)를 구비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100, 110, 120)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학생생활관리와 관련된 정보를 푸쉬알림 메시지로 제공하는 학사관리서버(20)와; 상기 학사관리서버(20)로부터 상벌 데이터를 수신하고, 공중통신망을 통하여 상벌 데이터가 갱신된 해당 학생의 학생용 모바일 기기(120)와 학부모용 모바일 기기(110)에 상기 푸쉬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동통신사 서버(30)로 구성되어 모바일 기기의 애플리케이션에 설정된 가감점에 의하여 해당 학생에게 점수를 부여하고, 부여된 상벌점의 점수와 함께 누적점수가 해당학생 및 학부모의 스마트폰, 그리고 담임교사의 스마트폰에 푸쉬알림 기능으로 전송되고, 담임교사의 스마트폰을 통하여 해당 학생의 최종 점수가 누적된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실시간 학생생활관리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real-time student academic life management using mobile device and system therof}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와 인터넷 웹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학교, 교사, 학생 및 학부모간에 네트워킹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에는 학생의 생활관리를 위한 상벌관련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학생 생활관리를 위한 양방향 상벌점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이 정보를 학생과 학부모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함으로써, 학교폭력으로 심각한 교육사회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학생 생활관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실시간 학생생활관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중등부와 같은 교육현장에서는 학생들의 생활관리를 위하여 일부 교사들이 학생들에게 체벌을 가함으로 인하여 학부모가 교사 및 학교에 감정적으로 대립하여 간혹 사회적인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체벌에 의하여 발생되는 문제점의 원인은 학생들의 행동에 해한 처벌의 기준이 마련되지 아니하여 교사가 학생을 상대로 감정이 개입된 물리적 폭력에 의하여 학생들의 몸과 마음에 상처를 남기게 되기 때문이다.
이에 학교에서는 체벌을 가하지 않고 학생들의 생활관리를 하기 위해서 학생들의 행동에 대한 처벌과 선행의 기준을 정하고, 상점과 벌점을 부여하여 학생 개개인에 대한 학교생활의 지표로 활용하고 있다. 즉, 수업시간의 준비물을 가져오지 않았다거나 학교 교칙을 어겼을 때에는 선생님이 학생에게 벌점을 주고, 수업시간에 바른 태도를 보였다거나 칭찬받을 선행을 하였을 때에는 상점을 주고 있다.
이러한 상벌점 제도를 운영하는 방법의 일례로는 상점과 벌점을 수치로 정하여 기록부에 상벌사항을 수기로 기록하거나, 상점과 벌점에 해당하는 색상으로 구분되는 표식, 예를 들면 상점은 초록색 표식이고, 벌점은 노란색 표식으로 선정하여 상벌사항이 발생할 때마다 해당 표식을 학생에게 나누어주고, 이를 기록하는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상벌점 제도가 없었을 때에는 학생들이 체벌을 받는 명확한 기준이 없어서 교사의 주관적 판단으로 학생의 잘못된 행동을 규정짓고 체벌을 내렸지만, 상벌점 제도가 실시되면서 학생들의 잘못된 행동과 올바른 행동을 명확하게 규정지어 잘못된 행동은 처벌을 받게 하고, 올바른 행동은 칭찬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상벌점 제도는 가혹한 체벌이 사라지면서 교사와 학생 사이에 좋은 분위기를 형성하고, 학생들의 학교 생활관리를 보다 유연성있게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상벌점 제도가 시행되면서 학생들은 자신이 잘못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잘못에 대해 돌이켜 볼 시간도 없이 그저 종이에 벌점 항목을 적고 싸인을 함으로써 자신의 잘못을 잘 알지 못하거나,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등 이처럼 벌점은 학생들에게 잘못을 깨우치도록 하기 보다는 형식적인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만연해지고 있다.
또한 상벌점 제도는 선생님들도 감정에 휩쓸리기 쉬운 체벌보다는 학생을 좀 더 객관적이고 냉정하게 바라보는 기회가 될 수 있다. 상당히 효율적인 학생생활관리 방법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지만, 상벌점 제도로 인단 폐단도 발생되고 있다.
그 예로, 학교마다 고민을 겪는 학생 징계와 체벌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도입된 상벌점 제도가 자리를 잡아가면서 상벌점 제도를 이용하여 자신의 학업 성취도를 높이고자 수업시간에 적극적으로 발표를 하기 위해서 나서는 등, 시행 과정에서 일부 학생들의 불만을 사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학생을 평가하여 벌점 또는 상점을 부과하면서 각각의 학교는 일정한 기준을 제시하여 공정성이 보장되고 학생들에게도 규칙 준수에 대한 인식을 심어주는 계기가 될 수 있는 상벌점 제도에 의한 학생생활관리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상벌사항이 발생할 때마다 해당 표식을 학생에게 나누어주거나, 이를 기록하는 종래의 방법은 평가 기준의 객관성과 공정성이 결여되어 그 평가 결과에 대해서 학무모들로부터 신빙성이 평가절하되고 있어서 새로운 방식에 의한 평가방법이 필요한 시점에 있다.
또한, 상벌점 제도가 도입되면서 체벌이 사라지게 되어 학부모와 교사 및 학교와의 마찰이 감소하였지만, 상대적으로 교권이 붕괴되었다는 사회적인 문제가 부각되기도 하고, 무엇보다도 소명절차가 없이 일방적으로 벌점을 받게 되거나, 가정과 연계되지 아니 생활관리 방식의 한계로 인하여 상벌교육효과를 극대화 할 수 없어서 새로운 방식의 상벌점 제도가 필요한 시점에 있다.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를 대표하는 스마트폰(smart phone)은 휴대폰과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 다양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적 기능을 제공하고,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상당 부분 기능을 변경하거나 확장할 수 있으며, 휴대폰 기능에 스케줄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기능을 통합시킨 것으로, 가장 큰 특징은 완제품으로 출시되어 음성통화를 비롯하여 주어진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의 휴대폰과는 달리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하여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접속할 수 있는 특징이 있어서 새로운 수요 창출을 위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학생생활관리를 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로서 스마트폰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소지한 학생의 위치를 확인하고, 학생의 생활반경을 고려하여 위해업소와 출입금지 지역을 선정하는 한편 생활관리에 필요한 출입횟수와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며, 스마트폰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학생이 어느 곳에 출입하고 머무는 시간은 언제인지 출입 빈도는 어느 정도 인지를 확인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학생의 출입지역과 시간 및 횟수를 고려하여 상담이 필요한 단계인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상담이 필요한 경우 교사와 학부모에게 상황을 전달하여 생활관리가 이루어지게 하는 학생생활관리 방법이 제안되었다.
상기한 생활관리 방법은 미리 위해업소의 출입시간과 횟수 장소 등을 설정하여 학생이 출입하면 안되는 시간에 출입하거나 출입이 금지된 장소에 출입을 하거나 출입이 허용되더라도 장시간 머무는 등의 위해요소를 미리 파악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이나 횟수 기간 등을 초과할 때 생활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교사나 학부모에게 통보함으로써 생활관리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인데, 이러한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위해업소를 파악하여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야 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위해업소가 없어지거나 새로 생겼을 경우에 즉시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는 것이 사실상 곤란하여 잘못 수집된 데이터에 의하여 평가를 하게 되므로 원활한 생활관리가 이루어 질 수 없다.
둘째, 출입금지 지역이나 위해업소를 출입하는 행위는 학생의 신분으로서 방치되어서는 아니되는 행동이지만, 상기한 방법에 의하면, 위해한 장소에 일정기간 동안 일정 횟수 이상을 출입한 다음에 누적된 데이터에 의하여 비로소 생활관리를 실시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98570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000104
본 발명은 학부모와 교사가 소지하고 있는 모바일 기기의 애플리케이션과 웹서비스의 실시간 연동을 통해 교사의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수집된 상벌 데이터를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저장하고, 갱신된 해당 데이터를 해당 학생 및 학부모가 소지하고 있는 모바일 기기에 푸쉬알림(push notification)으로 전송하여 확인할 수 있게 하거나, 인터넷이 가능한 웹 단말기에 팝업(popup)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여, 해당 학생이 확인한 결과 본인이 아니라면 그 사실을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실시간으로 직접 소명할 수 있는 학생생활관리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학부모가 자녀들의 학교생활에 관하여 보다 명확한 상벌의 기준과 객관적이고 공정한 평가에 의하여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자녀의 상벌 사항을 확인할 수 있게 되어 가정에서 자녀들의 학생생활을 가정에서도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학생들은 상벌 규정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학생신분을 스스로 자각하여 보다 올바른 자세로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학생생활관리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에 따라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학생생활관리 방법은 학사관리서버에 상벌규정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사용자 등록을 하는 제1단계(S1); 학사관리서버로부터 학생생활관리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교사, 학부모 및 학생 소유의 모바일 기기 및 웹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에 설치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 따라 교사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벌상황이 상벌점수와 화상데이터로 수집되어 교사의 모바일 기기에 저장됨과 동시에 학사관리서버에 전송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 의하여 교사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학사관리서버로 전송된 데이터를 기존 데이터와 비교하여 갱신하는 연산을 수행한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갱신된 데이터를 해당 학생과 학부모 및 담임교사, 생활관리 전담교사와 같은 관련교사의 모바일 기기 및 웹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에 따라 갱신된 데이터를 수신한 학생으로부터 본인의 진위 여부에 대한 수정요청을 하여 본인이 아니면 상벌 데이터를 갱신하는 연산을 하는 제4단계를 수행하는 과정을 반복하고, 본인이 맞으면 상벌점수를 확정하여 학사관리서버에 저장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학생의 담임교사, 학교의 모든 교사의 스마트폰에 설치되고, 학교교사들은 담임교사, 학생관리 전담교사, 일반교사에 관계없이 학교 내 또는 학교외의 장소에서 상기 가감점에 해당되는 학생을 발견하면, 소지하고 있는 모바일 기기의 애플리케이션에 설정된 가감점에 의하여 해당 학생에게 점수를 부여하고, 부여된 상벌점의 점수와 함께 누적점수가 해당학생 및 학부모의 스마트폰, 그리고 담임교사의 스마트폰에 푸쉬알림 기능으로 전송되고, 담임교사의 스마트폰을 통하여 해당 학생의 최종 점수가 누적된다.
이러한 상벌점은 해당학생이 어떠한 항목에 장단점이 있는지 해당학생 및 학부모가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학생생활 관리를 실시간으로 교사와 함께 할 수 있다.
이로써 학교의 징계위원회 및 장학생 및 학교 추천 우수 학생의 선발 등에 공정하고 객관적인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학생생활관리 장치의 기술적인 특징은 교사용 학생생활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교사용 모바일 기기와; 학생생활을 관리하기 위한 학부모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학부모용 모바일 기기와; 학생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학생용 모바일 기기와; 학생생활관리를 하기 위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에 연동하는 솔루션이 탑재되고, 상벌 데이터 연산부와 상벌 데이터 저장부 및 사용자 등록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부를 구비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학생생활관리와 관련된 정보를 푸쉬알림 메시지로 제공하는 학사관리서버와; 상기 학사관리서버로부터 상벌 데이터를 수신하고, 공중통신망을 통하여 상벌 데이터가 갱신된 해당학생의 학부모 모바일 기기에 상기 푸쉬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동통신사 서버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모바일 기기의 학생생활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교사용 모바일 기기에서 취득된 상벌 데이터가 학사관리서버에 전송되어 해당 학생의 상벌 데이터가 갱신 및 저장되고, 교사용 모바일 기기와 학부모용 모바일 기기 및 학생용 모바일 기기는 상기 학사관리서버에 네트워킹되어 해당 학생의 상벌관련 데이터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벌 현장의 영상이나 이미지 데이터를 통하여 학생들의 행동에 대한 보다 명확한 상벌의 기준과 객관적인 평가 방법을 제시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학교마다 일정한 기준을 제시하고 이에 따라 학생을 평가하여 벌점 또는 상점을 부과할 수 있다. 이는 상벌 기준에 공정성이 보장되고 학생들에게도 규칙 준수에 대한 인식을 심어주는 계기가 된다.
이러한 상벌점은 각각의 학생이 어떤 항목에 장단점이 있는지를 분석하여 저장하고 이를 통지함으로서 해당 학생 및 학부모가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학생생활 관리를 실시간으로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이로써 학교의 관계자는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 방법에 의하여 취득된 상벌 데이터를 토대로 하여 상벌위원회의 학사결정 및 장학생 선발과 학교 추천 우수 학생을 선발함에 있어서 공정하고 객관적인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학부모가 자녀의 학교생활에서 발견되는 문제점과 개선사항을 실시간으로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파악하여 자녀교육의 지표로 삼을 수 있고, 담임교사와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시스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상벌시스템이 디스플레이된 일례의 도면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설명될 것이다.
다음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 블록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10), 학사관리서버(20) 및 이동통신사 서버(30)로 구성된다.
모바일 기기(10)는 교사용 모바일 기기(100)와, 학부모용 모바일 기기(110)와, 학생용 모바일 기기(120)로 구성된다.
교사용 모바일 기기(100)는 학사관리서버(20)로부터 인증절차가 완료되면 교사용 학생생활관리 애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 되어 설치된다.
교사용 학생생활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상벌관계 항목을 창의항목과 인성항목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의 항복으로 분류되고, 각각의 항목에서 상점과 벌점에 대한 세부사항의 가감점이 설정되며, 해당 학생의 행위에 대한 동영상, 또는 정지화상을 촬영하여 학사관리서버(20)에 전송하는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한 항목에 대한 세부 사항의 가감점은 출결사항, 수업 준비물, 과제제출여부, 성적, 학습상태, 학업성취도, 선행, 제반 규정의 이행여부 등과 같이 학사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학부모용 모바일 기기(110)는 학사관리서버(20)로부터 인증절차가 완료되면 학생생활을 관리하기 위한 학부모용 애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 되어 설치된다.
학생용 모바일 기기(120)는 학사관리서버(20)로부터 인증절차가 완료되면 학생용 애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 되어 설치된다.
학사관리서버(20)는 실시간으로 학생생활관리를 하기 위하여 탑재된 솔루션에 의하여 운영되는 상벌 데이터 연산부(200)와 상벌 데이터 저장부(210) 및 사용자 등록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부(220)로 구성된다.
학생생활관리를 하기 위한 솔루션은 다양한 형태로 분류되어 교사용 모바일 기기(100)로부터 수신된 상벌 항목에 대한 상점과 벌점을 선별하여 상벌 데이터 연산부(200)에서 연산하고, 그 결과 데이터를 누적되는 갱신데이터의 형태로 상벌 데이터 저장부(210)에 저장한다.
상벌 데이터 연산부(200)는 교사용 모바일 기기(100)로부터 수신된 상벌 데이터를 기존에 수신된 상벌 데이터와 비교하여 동일한 학생에 대하여 일정한 시간 내에 동일한 상벌 데이터가 수신되었으면 이를 하나의 상벌 데이터로 처리하여 갱신 테이터를 연산하여 상벌 데이터 저장부(210)에 전송한다.
상벌 데이터 저장부(210)는 학생생활관리를 위하여 교사와 학부모 및 학생의 모바일 기기에 배포되는 애플리케이션과, 담임교사, 학생관리 전담교사를 포함한 불특정 다수의 교사와 학생 및 학부모에 대한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가 구축되고, 상벌 데이터 연산부(200)에서 연산된 상벌 데이터 및 누적되어 갱신되는 상벌 데이터, 그리고 교사용 모바일 기기(100)로부터 학생의 상벌 상황의 현장과 관련하여 수신되는 동영상과 정지화상 이미지가 저장된다.
인증 데이터부(220)는 교사용 모바일 기기(100)와 학부모용 모바일 기기(110) 및 학생용 모바일 기기(120)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접속을 위한 인증을 수행한다.
이러한 학사관리 서버(20)는 교사용 모바일 기기(100)로부터 똑같은 행위에 대하여 인접한 시간대에 2건 이상의 상벌점이 수신되면 이를 하나로 인식하여 연산 및 저장하는 중복 방지 기능을 구비한다.
이동통신사 서버(30)는 모바일 기기(10)와 학사관리서버(20)가 양방향으로 네트워킹되는 공중통신망을 통하여 교사용 모바일 기기(100)의 상벌 데이터를 학사관리서버(20)에 전송하고, 상기 학사관리서버(20)로부터 상벌 데이터를 푸쉬알림 메시지로 수신하여 교사용 모바일 기기(100)와 해당 학생의 학부모용 모바일 기기(110) 및 학생용 모바일 기기(120)에 전송한다. 또한 학부모용 모바일 기기(110)의 서비스 제공 요청 신호와, 상벌 데이터를 수신한 학생용 모바일 기기(120)로부터 오류 수정 요청 신호를 학사관리 서버(20)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학생생활관리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학사관리서버(20)의 상벌 데이터 저장부(210)에 담임교사, 학생관리 전담교사를 포함한 불특정 다수의 교사와 학생 및 학부모에 대한 사용자 등록이 완료되면(제1단계, S1), 교사와 학생 및 학부모는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모바일 기기(100, 110, 120)를 학사관리서버(20)에 접속하여 인증 데이터부(220)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이 확인되면 상벌 데이터 저장부(210)로부터 사용자 구분에 따르는 학생생활관리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한다.(제2단계, S2)
그리고 담임교사, 학생관리 전담교사를 포함한 불특정 다수의 교사들은 상벌에 해당하는 상황이 발생되면, 모바일 기기(100)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해당 학생의 이름을 입력하여 학사관리서버(20)에 데이터 요청을 하면, 학사관리서버(20)로부터 해당학생의 상벌 상황이 수신되어 디스플레이 된다.
이렇게 디스플레이 되는 상벌 상황 목록에서 해당 상벌 항목을 선택적으로 입력하면, 입력된 데이터가 학사관리서버(20)에 수신된다.(제3단계, S3)
학사관리서버(20)에 수신되는 상벌 데이터는 학생생활관리 베이터 베이스에 설정된 상벌 항목 이외에 교사에 의하여 모바일 기기로 촬영된 동영상, 또는 정지화상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 이렇게 영상이나 이미지로 상벌 현장이 파악됨으로 인하여 해당학생이 잘못 선택된 경우에 확인 및 정정과정을 거쳐서 오류를 수정할 수 있고, 보다 객관적인 상벌 근거를 제시할 수 있으며, 또한 학생생활지도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학사관리서버(20)에 수신된 상벌 데이터는 상벌 데이터 연산부(200)에서 상벌점수가 연산되어 그 결과가 누적되는 상벌 점수로 상벌 데이터 저장부(210)에 저장(제4단계, S4)됨과 동시에, 최초 발생된 상벌 데이터 또는 갱신된 상벌 데이터를 담임교사의 모바일 기기(100)와 해당학생의 학부모 모바일 기기(110) 및 해당학생의 모바일 기기(120)에 푸쉬 알림 기능으로 전송한다.(제5단계, S5)
따라서, 해당학생과 학부모는 상벌이 발생한 상황과 상벌점수를 언제 어디서나 즉시 확인할 수 있게 되며, 그 일례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이때, 푸쉬 알림을 전송받은 학생이 전송된 상벌 테이터를 확인한 결과, 본인이 아닐 경우에는 학사관리서버(20)에 수정요청을 하여 본인이 아닌 것으로 판정되면 상벌 데이터를 갱신하는 연산을 수행(제4단계, S4)하고, 본인이 맞으면 상벌점수를 확정한다.(제6단계, S6)
또한 교사용 모바일 기기(100)와, 학부모용 모바일 기기(110) 및 학생용 모바일 기기(120)는 푸쉬 알림 기능에 의한 상벌점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사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자녀의 상벌 데이터베이스를 자의적으로 열람할 수 있다.
10 : 모바일 기기 20 : 학사관리서버
30 : 이동통신서버 100 : 교사용 모바일 기기
110 : 학부모용 모바일 기기 120 : 학생용 모바일 기기
200 : 상벌 데이터 연산부 210 : 상벌 데이터 저장부
220 : 인증 데이터부

Claims (3)

  1. 학사관리서버에 상벌규정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사용자 등록을 하는 제1단계(S1);
    학사관리서버로부터 학생생활관리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교사, 학부모 및 학생 소유의 모바일 기기 및 웹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에 설치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제2단계(S2);
    상기 제2단계(S2)에 따라 교사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벌상황이 상벌점수와 화상데이터로 수집되어 교사의 모바일 기기에 저장됨과 동시에 학사관리서버에 전송되는 제3단계(S3);
    상기 제3단계(S3)에 의하여 교사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학사관리서버로 전송된 데이터를 기존 데이터와 비교하여 갱신하는 연산을 수행한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4단계(S4);
    상기 제4단계(S4)에서 갱신된 데이터를 해당 학생과 학부모 및 담임교사, 생활관리 전담교사와 같은 관련교사의 모바일 기기 및 웹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5단계(S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실시간 학생생활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S5)에 따라 갱신된 데이터를 수신한 학생으로부터 본인의 진위 여부에 대한 수정요청을 하여 본인이 아니면 상벌 데이터를 갱신하는 연산을 하는 제4단계(S4)를 수행하는 과정을 반복하고, 본인이 맞으면 상벌점수를 확정하여 학사관리서버에 저장하는 제6단계(S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실시간 학생생활관리 방법.
  3. 교사용 학생생활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교사용 모바일 기기와(100);
    학생생활을 관리하기 위한 학부모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학부모용 모바일 기기(110)와;
    학생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학생용 모바일 기기(120)와;
    학생생활관리를 하기 위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100, 110, 120)에 연동하는 솔루션이 탑재되고, 상벌 데이터 연산부(200)와 상벌 데이터 저장부(210) 및 사용자 등록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부(220)를 구비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100, 110, 120)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학생생활관리와 관련된 정보를 푸쉬알림 메시지로 제공하는 학사관리서버(20)와;
    상기 학사관리서버(20)로부터 상벌 데이터를 수신하고, 공중통신망을 통하여 상벌 데이터가 갱신된 해당 학생의 학생용 모바일 기기(120)와 학부모용 모바일 기기(110)에 상기 푸쉬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동통신사 서버(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실시간 학생생활관리 장치.
KR1020130155336A 2013-12-13 2013-12-13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실시간 학생생활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692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336A KR20150069201A (ko) 2013-12-13 2013-12-13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실시간 학생생활관리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336A KR20150069201A (ko) 2013-12-13 2013-12-13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실시간 학생생활관리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201A true KR20150069201A (ko) 2015-06-23

Family

ID=53516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5336A KR20150069201A (ko) 2013-12-13 2013-12-13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실시간 학생생활관리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920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1437A (zh) * 2019-06-14 2019-09-06 斯坦福启天联合(广州)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课堂教学的多屏信息交互控制系统
KR20200129263A (ko) * 2019-05-08 2020-11-18 신종우 학업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263A (ko) * 2019-05-08 2020-11-18 신종우 학업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110211437A (zh) * 2019-06-14 2019-09-06 斯坦福启天联合(广州)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课堂教学的多屏信息交互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y ‘It’sa hard balance to find’: the perspectives of youth justice practitioners in England on the place of ‘risk’in an emerging ‘Child-First’world
Duffy et al. Macro impacts on caseworker decision-making in child welfare: A cross-national comparison
Hayes “More of a street cop than a detective”: An analysis of the roles and functions of parenting coordinators in North Carolina
Lyytimäki et al. Russian dolls and Chinese whispers: Two perspectives on the unintended effects of sustainability indicator communication
Sleeboom-Faulkner et al. The formalization of social-science research ethics: How did we get there?
CN106534237B (zh) 一种针对课程修改用户信息的方法及装置
US20110130153A1 (en) Computerized Traveler Tracking
KR20150007268A (ko) 통학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방법
KR101397371B1 (ko) 그룹 내 구성원 관리 지원 시스템 및 방법
Peckover et al. Keeping the focus on children: the challenges of safeguarding children affected by domestic abuse
KR20150069201A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실시간 학생생활관리 방법 및 그 장치
Mengoni et al. A tool to record and support the early development of children including those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or disabilities
KR20150094921A (ko) Xidstory 앱과 근거리 통신 기능을 이용한 출석 체크 방법
JP489174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20100125070A (ko) 상벌점을 이용한 생활지도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071133B1 (ko) 커뮤니티 기반의 운동예약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서버
Halpin et al. EarlyBird in South Staffordshire: Reflections on an innovative model of interagency working to deliver an intervention for families of preschool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
KR102233803B1 (ko) 강의 진행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1996045B1 (ko) 차량 운행예약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6485764B1 (ja) 教室運営サーバ、教室運営システム、教室運営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yra et al. Engaging children in longitudinal behavioral studies through playful technologies
Flynn et al. Improving accessibility of public transport information for the blind
Fensham-Smith Gypsy and traveller education: engaging families-a research report
Liang 'ParkinVT', A Concept Mobile Application for Improved Parking at Virginia Tech
Day The place of risk within child first justice: An exploration of the perspectives of youth justice practitio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