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803B1 - 강의 진행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강의 진행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3803B1
KR102233803B1 KR1020190016283A KR20190016283A KR102233803B1 KR 102233803 B1 KR102233803 B1 KR 102233803B1 KR 1020190016283 A KR1020190016283 A KR 1020190016283A KR 20190016283 A KR20190016283 A KR 20190016283A KR 102233803 B1 KR102233803 B1 KR 102233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cture
information
time
progress
audi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8814A (ko
Inventor
조진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미용성형레이저의학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미용성형레이저의학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미용성형레이저의학회
Publication of KR20200028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강의 진행상황 알림 방법으로서, 관리자 단말로부터 강의의 시작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청중 단말로 상기 강의의 시작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시작 정보는 상기 시작 시간 정보와 제1 강의명 변경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강의명 변경 정보는 시작된 강의에 대하여 상기 청중 단말에 표시되는 강의명의 외관을 변경하기 위한 정보인 것인, 시작 정보 전송 단계; 상기 청중 단말로 상기 강의의 진행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진행 정보는 상기 강의의 잔여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강의의 잔여 시간 정보는 상기 강의에 지정된 시간까지 남은 시간에 대한 정보인 것인, 진행 정보 전송 단계; 상기 강의에 지정된 시간이 초과되는 경우, 상기 청중 단말로 상기 강의의 초과 시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강의의 초과 시간 정보는 상기 강의에 지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초과 시간에 대한 정보인 것인, 초과 시간 정보 전송 단계;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강의의 종료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청중 단말로 상기 강의의 종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종료 정보는 상기 종료 시간 정보와 제2 강의명 변경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강의명 변경 정보는 종료된 강의에 대하여 상기 청중 단말에 표시되는 강의명의 외관을 변경하기 위한 정보인 것인, 종료 정보 전송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강의 진행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Lecture Progress}
본 발명은 강의 진행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근접한 장소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여러 강의가 진행되는 경우 청중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강의 진행상황을 확인하고 자신이 원하는 강의 시간에 맞춰서 강의에 참석할 수 있게 하는 강의 진행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료, 환경, 정보,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정보의 교류가 일어나고 있으며, 정보 교류의 장으로서 학회가 개최되고 있다. 학회에서는 연사가 강의를 하는 형식 또는 학술토론형식으로 세미나가 진행된다.
다만, 학회는 제한된 일정동안 진행이 되기 때문에, 예정된 세미나가 많은 경우 여러 개의 강의실에서 서로 다른 주제의 강의가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기도 한다. 각 강의실마다 시간대별로 어떤 주제의 강의가 진행되는지 시간표가 결정되며, 청중은 시간표를 확인하고 강의실을 이동하면서 관심이 있는 강의를 듣는다.
시간표에 따라 강의의 종료 시간이 정해져 있지만, 다양한 변수로 인해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 정해진 일정에 어긋나게 강의가 진행되기도 한다. 청중이 강의 시간표에 기초하여 청강하고자 하는 강의를 택하여 계획하더라도 유동적인 진행상황으로 인하여 효율적인 청강이 쉽지 않다. 여러 군데의 강의실에서 강의가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청중이 현재 참석하고 있는 강의실의 강의 진행상황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지만, 다른 강의실에서 이루어지는 강의 진행상황의 파악이 쉽지가 않아 어느 시점에 다른 강의실로 이동해야 하는지 결정하기가 어렵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1-0109977
따라서 청중이 현재 위치하는 강의실의 강의 진행상황뿐만 아니라 다른 강의실의 강의 진행상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의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리자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강의 시작과 강의 종료를 입력하면 강의 청중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실시간으로 강의 진행상황을 제공받고, 어떤 강의가 딜레이 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또한 관심 강의의 진행상황을 확인함으로써 제시간에 강의에 참석할 수 있게 하는 강의 진행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강의 진행상황 알림 방법은, 관리자 단말로부터 강의의 시작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청중 단말로 상기 강의의 시작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시작 정보는 상기 시작 시간 정보와 제1 강의명 변경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강의명 변경 정보는 시작된 강의에 대하여 상기 청중 단말에 표시되는 강의명의 외관을 변경하기 위한 정보인 것인, 시작 정보 전송 단계; 상기 청중 단말로 상기 강의의 진행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진행 정보는 상기 강의의 잔여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강의의 잔여 시간 정보는 상기 강의에 지정된 시간까지 남은 시간에 대한 정보인 것인, 진행 정보 전송 단계; 상기 강의에 지정된 시간이 초과되는 경우, 상기 청중 단말로 상기 강의의 초과 시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강의의 초과 시간 정보는 상기 강의에 지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초과 시간에 대한 정보인 것인, 초과 시간 정보 전송 단계;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강의의 종료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청중 단말로 상기 강의의 종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종료 정보는 상기 종료 시간 정보와 제2 강의명 변경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강의명 변경 정보는 종료된 강의에 대하여 상기 청중 단말에 표시되는 강의명의 외관을 변경하기 위한 정보인 것인, 종료 정보 전송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중이 현재 위치하는 강의실의 강의 진행상황뿐만 아니라 다른 강의실의 강의 진행상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강의가 딜레이 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또한 관심 강의의 진행상황을 확인함으로써 제시간에 강의에 참석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의의 예상 종료시간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청중이 강의가 빨리 끝나거나 딜레이 되는 것을 예측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시간 활용을 하여 여러 강의실을 이동하며 강의를 들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진행상황 알림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강의 진행상황 알림 시스템이 적용되는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관리자 단말에 표시되는 관리자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는 청중 단말에 표시되는 청중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진행상황 알림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종료시간을 산출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예상 종료시간을 산출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청중 단말에 표시되는 청중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관리자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과 청중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의 진행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특정한 구조 또는 기능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진행상황 알림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진행상황 알림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강의 진행상황 알림 시스템이 적용되는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관리자 단말에 표시되는 관리자 화면의 예시도이고, 도 5는 청중 단말에 표시되는 청중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진행상황 알림 시스템은 관리 서버(100), 데이터베이스(200), 관리자 단말(300) 및 청중 단말(400)을 포함하고, 이러한 구성요소가 네트워크(500)를 통해 연결된다.
도 1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진행상황 알림 시스템은 다음의 상황에서 이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학회가 복수의 강의실(A, B, C, D)에서 진행될 수 있으며, 각 강의실 내에는 강의의 진행을 담당하는 관리자가 이용하는 관리자 단말(300)과 해당 강의실에서 강의를 듣기 위해 입실한 청중이 이용하는 청중 단말(400)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3을 참조하면 각 강의실마다 강의의 진행을 담당하는 관리자가 있는 것은 아닐 수 있으며, 한 명의 관리자가 여러 강의실의 진행을 담당할 수도 있다. 예컨대, 관리자 단말(300)은 어느 하나의 강의실 내에 있을 수도 있지만 강의실 외부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경우, 관리자는 각 강의실 내에 설치된 카메라(미도시) 또는 마이크(미도시)를 통해서 강의실 내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강의 시작 여부 및 강의 종료 여부를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진행상황 알림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관리 서버(100)는 관리 서버(100) 내에 데이터베이스(이하 'DB'라 한다)(200)를 포함하고 있으며, DB(200)는 학회 DB, 강의 DB, 강의자 DB 및 청중 DB 등을 포함할 수 있고, DB(200)에 저장되는 관리 정보는 학회 정보, 강의 정보 및 사용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학회 정보는 학회 간의 구별을 위한 정보로서, 학회 명칭, 학회 기간 또는 학회 장소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강의 정보는 강의 간의 구별을 위한 정보로서, 강의 제목, 강의자 이름, 강의 시간 또는 강의 장소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간의 구별을 위한 정보로서, 사용자 이름, 사용자 나이, 사용자 성별, 사용자 소속 또는 사용자 자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자격은 예컨대 관리자 자격과 청중 자격으로 나뉠 수 있다. 사용자 자격이 관리자 자격인지 청중 자격인지에 따라, 사용자가 단말을 통해서 관리 서버(100)에 접근할 수 있는 정보의 범위가 다르며,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의 종류도 다르다.
이 밖에, 강의 정보는 강의의 시작과 관련된 시작 정보, 강의의 진행과 관련된 진행 정보 및 강의에 지정된 시간이 초과된 것과 관련된 초과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관리 서버(100)는 관리자 단말(300) 또는 청중 단말(400)에 관리 정보를 제공하며, 관리자 또는 청중은 관리자 단말(300) 또는 청중 단말(400)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을 통해 관리 정보를 확인하거나 경우에 따라서 관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관리자 단말(300) 및 청중 단말(4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관리자 단말(300) 및 청중 단말(400)은 네트워크(500)를 통해서 관리 서버(100)와 통신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관리자 단말(300) 또는 청중 단말(400)에 관리 정보로서 학회 정보를 제공하고, 관리자 또는 청중은 웹 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학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관리자 또는 청중은 관리자 단말(300) 또는 청중 단말(400)을 이용하여 본인 인증을 위한 로그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관리자 또는 청중은 관리자 단말(300) 또는 청중 단말(400)을 통해 참여하고자 하는 학회 정보와, 해당 학회에서 진행되는 강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사용자 자격에 따라 제공되는 학회 정보 또는 강의 정보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예컨대 관리 서버(100)는 관리자 단말(300)에 도 4와 같은 관리자 화면을 제공하고, 청중 단말(400)에 도 5와 같은 청중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몇몇 실시예에서 관리자와 청중이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몇몇 실시예에서 관리자용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과 청중용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이 분리될 수도 있다.
관리 서버(100)는 강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청중이 학회에서 진행되는 강의 시간표를 미리 확인하고 수강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강의 진행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청중은 자신이 위치한 강의실에서 진행되는 강의의 진행상황뿐만 아니라 다른 강의실에서 진행되는 강의의 진행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청중은 계획적인 강의실 이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강의실에서 진행되는 강의에 늦지 않게 참석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청중 단말(400)에 실시간으로 강의 진행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관리자 단말(300)로부터 강의의 시작 입력을 수신하면, 청중 단말로 강의의 시작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강의가 시작된 이후에, 관리 서버(100)는 청중 단말(400)로 강의의 진행 정보를 제공하며, 강의가 지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진행하는 경우, 청중 단말(400)에 강의의 초과 시간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관리 서버(100)는 관리자 단말(300)로부터 강의의 종료 입력을 수신하면, 청중 단말(400)로 강의의 종료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청중이 해당 강의가 종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관리 서버(100)가 실시간으로 강의 진행상황을 알리는 것에 대하여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관리자 단말(300)은 관리자가 이용하는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을 의미하며,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강의 진행상황에 대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300)을 이용하여 강의의 시작 입력과 종료 입력을 관리 서버(1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서 관리자는 강연자일 수도 있으며, 강연자 이외에 강의의 진행을 돕는 서포터일 수도 있다.
청중 단말(400)은 청중이 이용하는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을 의미하며,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강의 진행상황에 대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청중은 청중 단말(400)을 통해 학회에서 진행되고 있는 다수의 강의 목록과 강의의 진행상황을 확인하여 해당 강의에 늦지 않게 참석할 수 있다.
네트워크(500)는 유선과 무선을 가리지 않으며, 다양한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진행상황 알림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진행상황 알림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종료시간을 산출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예상 종료시간을 산출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청중 단말에 표시되는 청중 화면의 예시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진행상황 알림 방법은 관리 서버(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우선, 도 6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100)는 관리자 단말(300)로부터 강의의 시작 입력을 수신한다(S10).
강의가 시작된 경우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300)을 이용하여 시작 입력을 관리 서버(1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관리자 단말(300)의 화면 상에서 해당 강의의 시작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관리 서버(100)에 시작 입력을 제공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관리자가 강의실 내에 위치한 경우에는 직접 강의의 진행상황을 파악할 수 있지만, 관리자가 강의실 밖에 위치한 경우에는 강의실 내에 설치된 카메라(미도시) 또는 마이크(미도시)로부터 영상 정보 또는 음성 정보를 획득하여 강의의 진행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관리 서버(100)가 강의실 내에 설치된 카메라(미도시) 또는 마이크(미도시)로부터 영상 정보 또는 음성 정보를 받아 관리자 단말(300)에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강의의 진행상황을 파악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6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100)는 청중 단말(400)로 강의의 시작 정보를 전송한다(S20). 여기서, 관리 서버(100)는 청중 단말(400)뿐 아니라 관리자 단말(300)에도 강의의 시작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시작 정보는 시작 시간 정보와 제1 강의명 변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시작 시간 정보는 강의의 시작 입력에 따라 강의가 시작된 시간 정보이며, 예컨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시작 시간 정보로서 연월일시분초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청중은 강의의 시작 시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강의명 변경 정보는 시작된 강의에 대하여 청중 단말(400)에 표시되는 강의명의 외관을 변경하기 위한 정보이다. 제1 강의명 변경 정보에 따라 시작된 강의에 대하여 청중 단말(400)에 표시되는 강의명의 색, 명암, 글자체, 글자 굵기 등이 변경될 수 있으며, 강의명에 별도의 도형, 기호 등이 부가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시작된 강의의 강의명의 글자 굵기가 시작되지 않은 강의의 강의명의 글자 굵기와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표시되는 강의명의 외관을 변경함으로써 청중은 아직 시작되지 않은 강의와 시작된 강의를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100)는 청중 단말(400)로 강의의 진행 정보를 전송한다(S30). 여기서, 관리 서버(100)는 청중 단말(400)뿐 아니라 관리자 단말(300)에도 강의의 진행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진행상황 알림 방법에 따르면, 관리 서버(100)에서 청중 단말(400)로 강의에 대한 진행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청중이 자신이 위치하는 강의실 이외의 다른 강의실에서 진행되는 강의에 대한 진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청중은 다른 강의실에서의 강의 진행상황을 고려하여 강의실 이동 계획을 세울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강의의 진행 정보는 강의의 잔여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강의의 잔여 시간 정보는 강의에 지정된 시간까지 남은 시간에 대한 정보이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30분의 강의 시간이 배정된 강의에서 강의가 10분 진행이 된 경우 잔여 시간은 20분일 수 있다.
한편, 관리 서버(100)는 강의가 시작되면 강의실에 설치된 타이머(미도시), 스크린(미도시) 또는 모니터(미도시)에 강의의 잔여 시간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스크린(미도시) 또는 모니터(미도시)에 연결된 컴퓨터(미도시), 또는 타이머(미도시)에 강의의 잔여 시간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모니터(미도시)는 예컨대 강의실 문 앞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타이머(미도시) 또는 컴퓨터(미도시)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관리 서버(100)와 통신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관리 서버(100)는 잔여 시간이 지정된 시간 이하가 되면 타이머(미도시) 또는 컴퓨터(미도시)에 알람이 표시되거나 울리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강의의 진행 정보는 강의의 강의 시간 정보 및 진행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강의 시간 정보는 해당 강의에 대하여 배정된(지정된) 시간에 대한 정보이고, 진행 시간 정보는 해당 강의의 시작 입력 이후에 강의가 진행된 시간에 대한 정보이다.
이 밖에, 강의의 진행 정보는 강의의 예상 종료시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상 종료시간 정보는, 시작 시간 정보와, 시작 시간 이후 현 시점까지 강의가 진행된 진행 시간 정보, 및 강의의 발표 자료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강의의 발표 자료는 강의를 위해 작성된 것으로, 강의의 진행을 위해 관리 서버(10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예컨대 PDF 파일 또는 PPT 파일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예상 종료시간 정보는 진행 시간 동안 강의가 진행된 발표 자료의 쪽수를 고려하여 발표 자료의 잔여 쪽수를 강의하기 위해 걸리는 시간을 예측함으로써 산출되는데,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종료시간을 산출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7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100)는 시작 시간 정보, 진행 시간 정보 및 발표 자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110).
여기서, 발표 자료에 대한 정보는 발표 자료 전체에 대한 정보뿐 아니라, 진행 시간 동안 강의가 진행된 발표 자료의 쪽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진행 시간 동안 강의가 진행된 발표 자료의 쪽수에 대한 정보는 예컨대 관리자 단말(300)에 의해 입력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강연자가 강의를 위해 강의실에서 사용하는 단말(미도시)로부터 진행 시간 동안 강의가 진행된 발표 자료의 쪽수에 대한 정보가 관리 서버(100)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7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100)는 발표 자료의 잔여 쪽수를 강의하기 위해 걸리는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S120). 예컨대, 관리 서버(100)는 진행 시간 동안 강의가 진행된 발표 자료의 쪽수를 고려하여 발표 자료의 잔여 쪽수를 강의하기 위해 걸리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7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100)는 시작 시간에 진행 시간 및 S120 단계에서 산출하여 예측된 시간을 더해 예상 종료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S130).
전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예상 종료시간 정보를 산출할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관리 서버(100)는 청중 단말(400)에 예상 종료시간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청중이 해당 강의가 정해진 강의 시간 내에 종료할지 여부에 대한 예측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예상 종료시간을 산출하기 위한 방법은 관리 서버(100)가 청중 단말(400)로부터 강의를 청강하고 있다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100)는 단계 S140에서 수신한 입력에 기초하여 산출된 예상 종료시간을 수정할 수 있다(S150).
대부분 강의의 마지막에는 청중으로부터 질문을 받는데, 해당 강의를 듣고 있는 청중의 수가 많을수록 질문의 수가 많아질 것이며, 이에 따라 강의가 늦게 끝날 확률이 높아진다는 점이 반영되었다. 여기서, 예상 종료시간 정보는 산출된 예상 종료시간에, 강의를 청강하고 있다는 입력의 수에 따라 결정되는 질문 지연 시간을 더하여 수정될 수 있다. 질문 지연 시간은 강의를 청강하고 있다는 입력의 수에 비례하여 산출될 수도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계단 함수(step function)에 따라 산출될 수도 있다.
한편, 강의의 진행 정보는 강의의 진행 빠르기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진행 빠르기 정보는, 예상 종료시간과 강의에 지정된 시간을 비교하여 예상 종료시간이 강의에 지정된 시간보다 빠른 경우 빠른 것으로 결정되고, 예상 종료시간과 강의에 지정된 시간을 비교하여 예상 종료시간이 강의에 지정된 시간보다 느린 경우 느린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강의에 지정된 시간은 시작 시간 이후 정해진 강의 시간에 맞춰서 일정대로 종료하는 경우 예상되는 시간을 의미하며, 관리 서버(100)는 예상 종료시간이 일정보다 빨리 마치는 것으로 산출되면 진행 빠르기 정보를 빠름으로 하고 예상 종료시간이 일정보다 늦게 마치는 것으로 산출되면 진행 빠르기 정보를 느림으로 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진행 빠르기 정보를 산출할 수 있으며, 관리 서버(100)는 청중 단말(400)에 진행 빠르기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청중이 해당 강의가 정해진 강의 시간 내에 종료할지 여부에 대한 예측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100)는 강의에 지정된 시간이 초과되는 경우, 청중 단말(400)로 강의의 초과 시간 정보를 전송한다(S40). 여기서, 관리 서버(100)는 청중 단말(400)뿐 아니라 관리자 단말(300)에도 강의의 초과 시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강의의 초과 시간 정보는 강의에 지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초과 시간에 대한 정보로서, 시작 시간 이후 정해진 강의 시간에 맞춰서 일정대로 종료하는 경우 대비하여 현재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났는지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한편, 강의의 초과 시간 정보는, 초과를 나타내는 기호 정보(예컨대, +)와 강의에 지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초과 시간에 대한 정보 및 초과 시간 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초과 시간 색 정보는 초과 시간 정보의 색을 진행 정보의 색과 구분시키기 위한 색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강연자가 지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강의를 진행하는 경우, 해당 강의에 대하여 초과를 나타내는 기호 정보와 함께 초과 시간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기 때문에, 청중은 청중 단말(400)을 통해 어떠한 강의가 얼마나 지연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100)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강의의 종료 입력을 수신한다(S50).
강의가 종료된 경우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300)을 이용하여 종료 입력을 관리 서버(1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관리자 단말(300)의 화면 상에서 해당 강의의 종료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관리 서버(100)에 종료 입력을 제공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관리자가 강의실 내에 위치한 경우에는 직접 강의의 진행상황을 파악할 수 있지만, 관리자가 강의실 밖에 위치한 경우에는 강의실 내에 설치된 카메라(미도시) 또는 마이크(미도시)로부터 영상 정보 또는 음성 정보를 획득하여 강의의 진행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관리 서버(100)가 강의실 내에 설치된 카메라(미도시) 또는 마이크(미도시)로부터 영상 정보 또는 음성 정보를 받아 관리자 단말(300)에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강의의 진행상황을 파악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6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100)는 청중 단말(400)로 강의의 종료 정보를 전송한다(S60). 여기서, 관리 서버(100)는 청중 단말(400)뿐 아니라 관리자 단말(300)에도 강의의 종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종료 정보는 종료 시간 정보와 제2 강의명 변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종료 시간 정보는 강의의 종료 입력에 따라 강의가 종료된 시간 정보이며, 예컨대 도 10을 참조하면 종료 시간 정보로서 연월일시분초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청중은 강의의 종료 시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강의명 변경 정보는 종료된 강의에 대하여 청중 단말(400)에 표시되는 강의명의 외관을 변경하기 위한 정보이다. 제2 강의명 변경 정보에 따라 종료된 강의에 대하여 청중 단말(400)에 표시되는 강의명의 색, 명암, 글자체, 글자 굵기 등이 변경될 수 있으며, 강의명에 별도의 도형, 기호 등이 부가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종료된 강의의 강의명의 글자 색이 종료되지 않은 강의의 강의명의 글자 색과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을 참조하면, 관리자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과 청중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 개시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청중 단말(400)은 관리 서버(100)를 통해 관리자 단말(300)에 표시되는 화면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아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관리 서버 200 : 데이터베이스
300 : 관리자 단말 400 : 청중 단말
500 : 네트워크

Claims (5)

  1.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강의 진행상황 알림 방법으로서,
    관리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강의실에서의 강의의 시작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강의실 각각에 배치된 복수의 청중 단말로 상기 강의의 시작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시작 정보는 시작 시간 정보와 제1 강의명 변경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강의명 변경 정보는 시작된 강의에 대하여 상기 청중 단말에 표시되는 강의명의 외관을 변경하기 위한 정보인 것인, 시작 정보 전송 단계;
    상기 청중 단말로 상기 강의의 진행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진행 정보는 상기 강의의 잔여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강의의 잔여 시간 정보는 상기 강의에 지정된 시간까지 남은 시간에 대한 정보인 것인, 진행 정보 전송 단계;
    상기 강의에 지정된 시간이 초과되는 경우, 상기 청중 단말로 상기 강의의 초과 시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강의의 초과 시간 정보는 상기 강의에 지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초과 시간에 대한 정보인 것인, 초과 시간 정보 전송 단계;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강의의 종료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청중 단말로 상기 강의의 종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종료 정보는 종료 시간 정보와 제2 강의명 변경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강의명 변경 정보는 종료된 강의에 대하여 상기 청중 단말에 표시되는 강의명의 외관을 변경하기 위한 정보인 것인, 종료 정보 전송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진행 정보는 상기 강의의 예상 종료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예상 종료시간 정보는, 상기 시작 시간 정보와, 시작 시간 이후 현 시점까지 강의가 진행된 진행 시간 정보, 및 상기 강의의 발표 자료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으로서, 진행 시간 동안 강의가 진행된 상기 발표 자료의 쪽수를 고려하여 상기 발표 자료의 잔여 쪽수를 강의하기 위해 걸리는 시간을 예측함으로써 산출되는 것이며,
    상기 진행 정보는 상기 강의의 진행 빠르기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행 빠르기 정보는,
    상기 예상 종료시간과 상기 강의에 지정된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예상 종료시간이 상기 강의에 지정된 시간보다 빠른 경우 빠른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예상 종료시간과 상기 강의에 지정된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예상 종료시간이 상기 강의에 지정된 시간보다 느린 경우 느린 것으로 결정되는 것이며,
    상기 청중 단말로부터 상기 강의를 청강하고 있다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예상 종료시간 정보는,
    상기 산출된 상기 예상 종료시간에 질문 지연 시간이 더해져서 결정되는 것이며,
    상기 질문 지연 시간은,
    상기 강의를 청강하고 있다는 입력의 수에 비례하여 산출되거나, 상기 강의를 청강하고 있다는 입력의 수가 입력된 계단 함수에 따라 산출되는 것인,
    강의 진행상황 알림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과 시간 정보 전송 단계에서,
    상기 강의의 초과 시간 정보는, 초과를 나타내는 기호 정보와 상기 강의에 지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초과 시간에 대한 정보 및 초과 시간 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초과 시간 색 정보는 상기 초과 시간 정보의 색을 상기 진행 정보의 색과 구분시키기 위한 색에 대한 정보인 것인, 강의 진행상황 알림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16283A 2018-09-07 2019-02-12 강의 진행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22338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241 2018-09-07
KR20180107241 2018-09-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814A KR20200028814A (ko) 2020-03-17
KR102233803B1 true KR102233803B1 (ko) 2021-03-30

Family

ID=70003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283A KR102233803B1 (ko) 2018-09-07 2019-02-12 강의 진행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38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353B1 (ko) * 2021-07-08 2023-11-09 주식회사 유비온 실시간 화상 교육 시스템에서의 수강 여부 확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9161A (ja) * 2006-02-16 2007-08-30 Ricoh Co Ltd プレゼンテーション評価装置及びプレゼンテーション評価方法
KR101204651B1 (ko) * 2011-12-30 2012-11-27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프레젠테이션 장치 및 프레젠테이션 장치의 발표 시간 정보 제공 방법
JP2014085467A (ja) * 2012-10-23 2014-05-12 Canon Marketing Japan Inc 講習管理サーバ、講習管理サーバ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677A (ja) * 1997-06-25 1999-01-22 Hitachi Ltd プレゼンテ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中継装置
KR20010109977A (ko) 2000-06-05 2001-12-12 김두진 인터넷을 이용한 의학회 운영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9161A (ja) * 2006-02-16 2007-08-30 Ricoh Co Ltd プレゼンテーション評価装置及びプレゼンテーション評価方法
KR101204651B1 (ko) * 2011-12-30 2012-11-27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프레젠테이션 장치 및 프레젠테이션 장치의 발표 시간 정보 제공 방법
JP2014085467A (ja) * 2012-10-23 2014-05-12 Canon Marketing Japan Inc 講習管理サーバ、講習管理サーバ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814A (ko) 202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5412B1 (ko) 가상 회의에서 이벤트를 추적하고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9602625B2 (en) Mediating a communication in an observation platform
JP7092295B2 (ja) 会議室端末、会議室予約システム、質問調査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00105155A1 (en) Application for interactive learning in real-time
US9665575B2 (en) Synchronization of media presentation software
US20140149519A1 (en) Meeting room status based on attendee position information
US20150200978A1 (en) Meeting Conflict Indicator
CN107710251A (zh) 用于会议的自动的装置配置
Paterson et al. The manufacture of an international news event: The day Kosovo was born
CN103473827B (zh) 一种课堂自动签到方法、系统及服务器
KR102200923B1 (ko) 다자간 온라인 미팅 시스템 및 그 미팅 방법
US10133682B2 (en) Managing grouped student devices with timed locks
JP2017107492A (ja) 位置情報管理装置、出席管理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Ruiz-Barrera et al. Developing a web-based congress: the 2020 international web-based neurosurgery congress method
KR102233803B1 (ko) 강의 진행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2467785B1 (ko) 일정 공유 방법
US20140297641A1 (en) Discussion support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6645762B2 (ja) 遠隔教育支援装置、遠隔教育支援方法、及び遠隔教育支援プログラム
CN110418158A (zh) 直播间业务配置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JP6766668B2 (ja) 情報端末、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Moyer Comprehensive {Container-Based} Service Monitoring with Kubernetes and Istio
KR101639990B1 (ko) 대학교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ngh et al. BOOKiiIT-Designing a Venue Booking System (Technical Demo)
Collins Healthy libraries develop healthy communities: Public libraries and their tremendous efforts to support the Affordable Care Act
Tufan et al. Sweeping the traces of Habermasian public sphere in university radio stations: A research from turk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