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9990B1 - 대학교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학교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9990B1
KR101639990B1 KR1020140115612A KR20140115612A KR101639990B1 KR 101639990 B1 KR101639990 B1 KR 101639990B1 KR 1020140115612 A KR1020140115612 A KR 1020140115612A KR 20140115612 A KR20140115612 A KR 20140115612A KR 101639990 B1 KR101639990 B1 KR 101639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cture
information
course
attendance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5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7709A (ko
Inventor
정일정
Original Assignee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50027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온라인인을 통한 대학교 교육 서비스의 제공에 대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대학을 다니는 학생은 대학에서 요구하는 졸업학점을 이수하기 위하여 PC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온라인 강의를 수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그러한 온라인 강의 제공과 관련된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Description

대학교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Online Education Providing System for University Education}
온라인인을 통한 대학교 교육 서비스의 제공에 대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대학을 다니는 학생은 대학에서 요구하는 졸업학점을 이수하기 위하여 PC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온라인 강의를 수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그러한 온라인 강의 제공과 관련된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온라인강의는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수업을 말한다.
근자에는 인터넷 통신망이 발전함에 따라서 대학의 강의도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온라인 강의는 학생이 직접 학교에 등교를 할 필요가 없고, 대학교수도 직접 강단에 서서 강의를 수행할 필요가 없으며, 일반인도 대학생이 될 수 있는 등 학생의 범위가 확장될 수 있고, 오프라인 수강료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저렴하므로 날로 치솟는 교육비를 절감하는 대안이 될 수 있는 등의 여러 장점이 있어 그 확산현상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대학의 학생이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기 위하여 자신의 PC나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한다면 대학의 온라인 강의를 더욱 편리하게 수강할 수 있다.
기존의 온라인 강의와 관련된 기술은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065295호를 포함하여 많이 개발되어 오고 있지만, 대학교 강의에 적합하지 않은 면이 있다. 기존의 온라인 강의는 주로는 영어 온라인 강의나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EBS 강의에 초점되어 있으며,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단순히 제공하는 측면으로만 개발되어 있을 뿐, 학사관리, 출결상황관리, 학점관리, 강의스케쥴 등등을 구현해야 하는 정규 학교 과정에서 이용하기에는 상당히 부족하다.
수강자의 PC나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대학교 교육을 온라인으로 제공받음에 있어, 대학 교육과정에 적합한 교육환경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즉,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제공받는 것 이외에도, 학사관리, 출결상황관리, 학점관리, 강의스케쥴 등등 대학교 교육에 적합한 교육환경 및 그에 맞는 강의 제공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전술한 필요를 충족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강자가 대학의 온라인 교육 서버가 운영하는 웹사이트를 통하여 수강자 자신의 PC 단말기로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고, 수강신청, 강의스케쥴, 수강이력정보, 학점이수상태정보, 출결상황정보 등등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는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 기술과 관련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수강자가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위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기술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수강자 정보 메모리, PC환경 웹사이트 제공부, 어플리케이션 메모리, 및 수강자 인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강자 정보 메모리는, 수강자의 PC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강자 등록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PC환경 웹사이트 제공부는, PC환경에 맞는 온라인 강의 관련 웹사이트로서, 로그인창, 수강신청을 접수받기 위한 수강신청부, 강의콘텐츠 표시부, 학사정보 표시부, 강의스케줄 표시부 및 등록단말기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학사정보 표시부는 수강이력정보 표시, 학점이수상태정보 표시 및 출결상황정보 표시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메모리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온라인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메모리이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수강자로부터 수강과목에 대한 수강신청을 입력받음에 따라 그 수강신청 정보를 온라인 교육 서버로 전송하는 수강신청 모듈과, 상기 온라인 교육 서버로부터 상기 신청된 수강과목에 대응하는 강의콘텐츠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강의콘텐츠가 지정됨에 따라 상기 온라인 교육 서버로 상기 지정된 강의콘텐츠 전송을 요청하며, 상기 교육 서버로부터 상기 강의콘텐츠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으로 상기 강의콘텐츠 내용을 표시하는 강의듣기 모듈과, 수강이력정보를 표시하는 수강이력정보 모듈과, 학점이수상태정보를 표시하는 학점이수상태정보 모듈과, 상기 온라인 교육 서버로부터 상기 수강신청 과목에 대한 출결상황정보를 수신하고, 수강자로부터 출결상황정보 출력을 요청받음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출결상황정보를 표시하는 출결상황정보 모듈과, 상기 온라인 교육 서버로부터 상기 수강신청에 기초하여 강의스케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강자로부터 강의스케줄정보의 출력을 요청받음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강의스케줄정보를 표시하는 강의스케줄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강자 인증부되는, 웹사이트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인스톨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로그인이 요청된 경우, 저장된 수강자 등록 정보를 통하여 등록수강자인지 여부를 인증한다.
수강자는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단순히 제공받는 것 이외에도, 학사관리, 출결상황관리, 학점관리, 강의스케쥴 등등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통해 온라인 강의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온라인 교육서버, 수강자에 대한 학점 및 출결을 관리하는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및 수강자단말기 사이에서 정보의 흐름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온라인 교육 서비스가 제공되는 웹사이트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온라인 강의가 이루어지는 또 다른 실시예 과정 나타낸다.
도 5는 온라인 교육 서버와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구성 중 강의듣기부의 화면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이 화면 표시 중 강의스케줄의 변경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이동통신 단말기 화면에서의 수강이력정보 표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학점이수상태정보 표시에 대한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은 학점이수상태정보 표시와 연동되어 표시되는 수강이력정보 표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출결상황정보 표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수강 신청 시 기 신청된 수강과목 일정과 충돌이 발생한 상황을 표시해 주도록 팝업되어 나타난 강의스케쥴표 화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수강자가 자신의 데스크탑 PC를 통해 온라인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시스템은 후술하는 과정을 수행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먼저, 온라인 교육 서버가 온라인 강의를 위한 웹사이트를 통하여 수강자 등록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교육 서버는 수강자가 수강자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수강자 등록 정보를 통하여 등록수강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라인 교육 서버가 상기 인증된 등록수강자의 강의콘텐츠 제공 요청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라인 교육 서버가 상기 웹사이트를 통하여 상기 요청된 강의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라인 교육 서버가 상기 인증된 등록수강자의 학사정보 제공 요청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라인 교육 서버가 상기 웹사이트를 통하여 수강이력정보, 학점이수상태정보 및 출결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교육 서버는 상기 수강자가 상기 요청된 강의콘텐츠를 수강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수강이력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성한 수강이력정보를 상기 웹사이트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온라인 교육 서버는 상기 수강자가 상기 요청된 강의콘텐츠를 수강 완료한 경우 상기 요청된 강의콘텐츠의 수강 완료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강 완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강이력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교육 서버는 상기 수강자가 수강한 온라인 강의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출결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성한 출결정보를 상기 웹사이트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웹사이트를 통하여 상기 수강자의 수강자단말기의 등록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수강자단말기의 상기 등록은 상기 수강자단말기의 고유번호를 수신받아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강자단말기는 복수 개의 수강자단말기의 등록이 가능하다.
상기 온라인 교육 서버는 상기 수강자가 상기 등록된 수강자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한 경우에만 상기 요청된 강의콘텐츠, 상기 수강이력정보, 상기 학점이수상태정보 및 상기 출결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내용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 도2, 및 도3에서 사용된 도면 부호는 도1, 도2, 및 도3에 대해서만 한정하여 이용된다.
먼저, 온라인 교육 서버(10)가 웹사이트(40)를 통하여 수강자 등록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단계(S100)를 포함한다.
수강자 등록 정보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수강자가 본교의 학생임을 증명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수강자가 본교와 학점인정의 협력관계에 있는 타대학의 학생임을 증명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수강자 등록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단계(S100)는 온라인 교육 서버(10)가 전송받은 수강자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수강자가 본교의 학생이거나 본교와 학점인정의 협력관계에 있는 특정 타대학의 학생인 경우 수강자 등록을 허용하는 단계 및 등록이 허용된 수강자의 수강자 등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수강자 등록 정보가 저장되는 단계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등록이 허용된 수강자에 대하여 웹사이트(40) 상에서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부여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교육 서버(10)는 수강자가 수강자단말기(20)를 통하여 웹사이트(40)에 접속하는 경우 저장된 수강자 등록 정보를 통하여 등록수강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S200)를 포함한다. 등록된 수강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S200)는 수강자가 수강자단말기(20)를 통하여 등록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온라인 교육 서버(10)에 웹사이트(40)의 로그인창을 통하여 로그인하는 경우 등록된 수강자임이 자동으로 인증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온라인 교육 서버(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수강자단말기(20)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여기서, 온라인 교육 서버(10)는 사립 또는 국공립 대학의 운영주체가 운영하는 서버(10)일 수 있다. 또한, 수강자는 전술한 대학에 재학하면서 대학에서 규정한 교양필수 또는 전공필수과목을 모두 이수해야 하는 학생일 수 있다. 또한, 수강자단말기(20)는 전술한 대학에 재학중인 학생의 단말기로서 예컨대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나 테블릿 PC를 포함하는 각종 컴퓨터 또는 모바일 기기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수강자 단말(20)이 PC가 아닌 스마트폰 또는 텝블릿 PC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에는 후술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필요할 수 있다.
대학에서 학생은 졸업 또는 수료를 하기 위하여 각 대학에서 요구하는 졸업학점을 이수해야 한다. 예컨대 4년제 대학의 졸업학점이 전공과목의 학점과 교양과목의 학점을 합산하여 총 144학점이라면 그 대학의 학생은 한 학기에 평균 18학점을 이수하여야 그 대학을 졸업할 수 있다.
대학의 학생은 전술한 졸업학점을 이수하기 위하여 학교에 직접 출석하여 오프라인 강의를 수강함으로써 졸업에 필요한 학점을 획득한다.
대학의 온라인 강의도 학생이 대학으로부터 학점이수와 관련한 강의콘텐츠를 제공받아 온라인 강의를 수강함으로써 규정된 졸업학점을 이수하면 졸업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학점이수와 관련한 강의콘텐츠를 제공받아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는 것은 학생이 직접 출석하여 오프라인 강의를 수강하는 것과 마찬가지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서버(10)는 학점이수와 관련한 강의콘텐츠를 생성 또는 입력받고, 이를 저장한 뒤에 필요한 시점에 전송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웹사이트(40)는 강의콘텐츠 표시부(41), 학사정보 표시부(42), 강의스케줄 표시부(43) 및 등록단말기 표시부(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학사정보 표시부(42)는 수강이력정보, 학점이수상태정보 및 출결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교육 서버(10)가 인증된 등록수강자의 강의콘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온라인 교육 서버(10)가 웹사이트(40)를 통하여 요청된 강의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웹사이트(40) 상에서 강의콘텐츠 표시부(41)는 온라인 교육 서버(10)로부터 제공받은 강의콘텐츠를 재생하는 부분일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서버(10)가 웹사이트(40) 상에 강의콘텐츠를 올려놓으면 수강자는 수강자단말기(20)를 통하여 상기 웹사이트(40)에 접속하여 웹사이트(40) 상의 강의콘텐츠 표시부(41)에서 강의콘텐츠를 재생시켜 온라인 강의를 수강할 수 있다. 예컨대 수강자는 웹사이트(40) 상에서 강의콘텐츠 표시부(41)를 통하여 대학교수의 동영상 강의를 재생시켜 수강할 수 있다. 강의콘텐츠가 재생되는 도중에 온라인 교육 서버(10)와의 접속이 끊기고, 다시 접속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강의콘텐츠는 끊긴 위치부터 다시 재생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교육 서버(10)가 인증된 등록수강자의 학사정보 제공 요청을 수강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학사정보는 수강이력정보, 학점이수상태정보 및 출결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교육 서버(10)가 웹사이트(40)를 통하여 수강이력정보, 학점이수상태정보 및 출결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서버(10)는 수강자가 강의콘텐츠를 수강한 결과에 기초하여 수강이력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수강이력정보를 웹사이트(40)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서버(10)는 수강자가 강의콘텐츠를 수강 완료한 경우 해당 강의콘텐츠의 수강 완료 정보를 수강자 단말로부터 수신받고, 수강 완료 정보에 기초하여 수강이력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수강이력정보는 수강자가 온라인 강의를 수강한 이력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수강이력정보는 예컨대 한 학기에 수강자가 어떠한 강의를 수강하였는지 또는 몇 개의 강의를 수강하였는지 여부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온라인 교육 서버(10)는 수강자가 이수한 학점정보에 기초하여 학점이수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학점이수상태정보를 웹사이트(40)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웹사이트(40) 상에서 학사정보 표시부(42)는 온라인 교육 서버(10)로부터 수강자에 대한 학점이수상태정보와 출결정보를 전송받아 표시할 수 있다.
학점이수상태정보는 예컨대 수강자에 대한 학점이수의 상태를 보여주는 정보일 수 있다. 즉 수강자는 학점이수상태정보를 통하여 수강자가 현재까지 이수한 학점 또는 졸업학점에 도달하기 위하여 앞으로 이수해야 할 학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예에서 수강자가 졸업학점인 144학점 중 이제까지 72학점을 이수하였다면, 수강자 자신이 72학점을 이수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학점이수상태정보는 전공필수, 전공선택, 교양필수, 및 교양선택 등 학점 유형별로 세분화된 정보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온라인 교육 서버(10)는 수강자가 수강한 온라인 강의와 관련하여 청취한 강의 콘텐츠의 개수에 기초하여 출결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출결정보를 웹사이트(40)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출결정보는 예컨대 수강자의 출결상태를 보여주는 정보일 수 있다.
수강자는 온라인 강의의 개별 강의 콘텐츠를 수강함으로써 해당 강의시간 또는 강의 콘텐츠에 대해 출석한 것으로 인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출석은 강의 콘텐츠가 수강자단말기(20)에서 재생이 완료되거나 출석을 인정할 수 있을 정도로 재생된 경우에 인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재생시간을 기초로 출결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강의콘텐츠가 수강자단말기에서 재생된 뒤에는 수강자단말기(20)에는 재생시간이 저장될 수 있으며, 저장된 재생시간은 학사 관리를 수행하는 LMS가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온라인 강의가 제공되는 도중에 접속이 끊기는 경우 제공이 중단된 위치부터 다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재생시간은 접속이 끊긴 시점부터 다시 카운트될 수 있다. LMS가 전송받은 재생시간은 대학 교수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출결 또는 학점 관리에 기초가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결체크의 방법은 전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서 웹사이트(40) 상에서 학사정보 표시부(42)는 학점이수상태정보와 출결정보를 수강자에 대한 학점 및 출결을 관리하는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30)로부터 전송받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웹사이트(40) 상의 강의콘텐츠 표시부(41)는 온라인 교육 서버(10)로부터 강의콘텐츠를 제공받아 재생할 수 있고, 학사정보 표시부(42)는 LMS(30)로부터 학점이수상태정보와 출결정보를 제공받아 표시할 수 있다.
출결정보를 온라인 교육 서버(10)로부터 전송받는 경우 출결정보는 수강자의 전술한 수강이력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수강자에게 강의콘텐츠가 제공되어 수강자가 수강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의 개수를 고려하여 수강자의 출결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웹사이트(40)는 강의스케줄 표시부(43)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강의스케줄 표시부(43)는 실시예에 따라서 LMS(30)로부터 강의스케줄정보를 전송받아서 표시할 수 있다.
온라인 강의에 있어서 강의스케줄은 오프라인 강의의 경우와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오프라인 강의의 경우 한 주에 월요일 1 교시, 수요일 3 교시에 전공과목이 배치되고 화요일 2 교시, 목요일 4교시에 교양과목이 배치되는 등의 과목 스케줄 배치를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예컨대 온라인 강의에 있어서 강의스케줄은 시간과 장소에 구속을 덜 받는 특성이 있으므로 온라인 강의를 이수해야 하는 단위기간 내에 전술한 두 과목을 모두 수강하면 되는 방식으로 수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단위기간은 예컨대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로 설정할 수 있다. 단위기간은 예컨대 정상적으로 8학기의 과정을 이수하면 졸업 또는 수료할 수 있는 4년제 대학에 있어서 한 학기를 이수기간이라고 한다면 이러한 이수기간을 쪼개어 구분한 기간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한 이수기간은 복수 개의 단위기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대학강의는 온라인 강의와 오프라인 강의를 모두 포함하여 진행될 수 있다. 강의스케줄 표시부(43)는 수강자의 수강신청에 의하여 수강신청된 과목에 대하여 기 설정된 강의스케줄정보를 온라인 교육 서버(10)로부터 전송받아 표시할 수 있다.
수강자는 오프라인 강의의 강의스케줄을 별도로 입력할 수 있다. 웹사이트(40) 상의 강의스케줄 표시부(43)는 온라인 강의스케줄정보뿐만 아니라, 수강자의 입력에 의한 오프라인 강의스케줄정보 표시도 가능하다.
상기 강의스케줄정보는 오프라인 강의스케줄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오프라인 강의스케줄정보를 고려하여 갱신될 수 있다.
수강자단말기(20)는 웹사이트(40)를 통하여 온라인 교육 서버(10)에 등록가능하다.
웹사이트(40)는 수강자단말기(20)가 등록된 수강자단말기(20)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등록단말기 표시부(44)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서버(10)는 수강자가 등록된 수강자단말기(20)를 통하여 웹사이트(40)에 접속한 경우에만 상기 요청된 강의콘텐츠, 수강이력정보, 학점이수상태정보, 출결정보 및 강의스케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대학강의는 수강자가 누구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학점을 이수해야 하는 수강자가 아닌 다른 이가 수강한다면 학점이수의 의미가 없다. 온라인 교육 서버(10)는 수강자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강자단말기(20)를 등록하고 등록된 단말기에만 강의콘텐츠나 학사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대리 수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수강자단말기(20)의 등록은 온라인 교육 서버(10)가 수강자단말기(20)의 고유번호를 수신받아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수강자단말기(20)의 등록은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말기 고유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고유번호는 해당 단말기만이 갖고 있는 번호를 의미할 수 있다. 단말기 고유번호를 통하여 해당 단말기와 다른 단말기를 구별할 수 있는 번호를 의미할 수 있다. 등록할 수 있는 수강자단말기(2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수강자는 등록된 수강자단말기(20)를 변경할 수 있으며, 수강자단말기(20)의 변경은 실시예에 따라서 새로운 수강자단말기(20)의 고유번호를 온라인 교육 서버(10)에 등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수강자가 자신의 개인용 수강자단말기(20)의 고유번호를 온라인 교육 서버(10)에 등록하면, 온라인 교육 서버(10)는 후에 수강자가 수강자단말기(20)를 통하여 웹사이트(40)에 접속하는 경우 접속된 수강자단말기(20)가 등록된 단말기인지 인증을 한 뒤에 등록된 단말기임이 확인되면 강의콘텐츠 등을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온라인 교육 서버(10)는 수강자가 등록된 수강자인지 여부와 수강자단말기(20)가 등록된 단말기인지 여부를 모두 확인하고, 등록된 수강자가 등록된 수강자단말기(20)를 사용하여 접속한 것이 확인되면 강의콘텐츠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강자에게 제공된 강의콘텐츠가 수강된 정도를 기초로 출결정보가 생성될 수 있으며, 강의콘텐츠가 수강된 정도를 기초로 학점이 부여될 수 있다. 즉 수강자가 학습 및 복습을 수행한 결과와 관련한 데이터를 LMS로부터 제공받아 이를 이용하여 좀 더 세분화된 평가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강자는 온라인 강의를 수강 후에도 자유롭게 반복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수강자가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그에 맞는 환경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수강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강자 등록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요청을 받은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로그인이 있는 경우 상기 저장된 수강자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등록된 수강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라인 교육 서버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다운로드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수강신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라인 교육 서버가 강의콘텐츠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강의콘텐츠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다운로드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라인 교육 서버가 최근에 갱신된 출결상황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출결상황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다운로드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라인 교육 서버는 상기 수강신청에 기초하여 강의스케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강의스케줄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다운로드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강자 등록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받은 수강자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강자가 본교의 학생이거나 본교와 학점인정의 협력관계에 있는 특정 타대학의 학생인 경우 수강자등록을 허용하고, 상기 수강자 등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표시화면은 수강신청부, 강의듣기부, 출결상황정보 표시부 및 강의스케줄정보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강의듣기부는 상기 수강자가 상기 수강신청한 과목들의 리스트가 표시되고,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수강신청한 과목들 중 상기 수강자로부터 선택된 과목과 관련된 상기 강의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상기 강의듣기부는 상기 강의콘텐츠를 재생하는 강의콘텐츠 표시부와 상기 강의콘텐츠와 관련한 텍스트콘텐츠를 표시하는 텍스트콘텐츠 표시부 및 상기 온라인 교육 서버에 로그인하여 수강중인 수강자들의 수강자리스트를 표시하는 수강자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수강자 표시부는 상기 수강자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수강 중인 수강자들 중 통신이 가능한 수강자를 표시하는 통신가능 수강자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결상황정보는 상기 온라인 교육 서버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상기 출결상황정보는 상기 수강자가 상기 전송된 강의콘텐츠를 수강한 결과에 따라 갱신될 수 있다.
상기 출결상황정보는 상기 수강자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출결상황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갱신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강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로그인하는 경우에 갱신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강자가 상기 강의콘텐츠의 수강을 완료한 경우에 갱신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수강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강자 등록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수강자 정보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요청을 받은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기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로그인이 있는 경우 상기 저장된 수강자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등록된 수강자인지 여부를 확인(또는 인증)하는 수강자 확인부(또는 인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수강자로부터 수강과목에 대한 수강신청을 입력받음에 따라 그 수강신청 정보를 온라인 교육 서버로 전송하는 수강신청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온라인 교육 서버로부터 상기 신청된 수강과목에 대응하는 강의콘텐츠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강의콘텐츠가 지정됨에 따라 상기 온라인 교육 서버로 상기 지정된 강의콘텐츠 전송을 요청하며, 상기 교육 서버로부터 상기 강의콘텐츠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으로 상기 강의콘텐츠 내용을 표시하는 강의듣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온라인 교육 서버로부터 상기 수강신청 과목에 대한 출결상황정보를 수신하고, 수강자로부터 출결상황정보 출력을 요청받음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출결상황정보를 표시하는 출결상황정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온라인 교육 서버로부터 상기 수강신청에 기초하여 강의스케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강자로부터 강의스케줄정보의 출력을 요청받음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강의스케줄정보를 표시하는 강의스케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4 내지 도8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온라인 교육 서버(10)가 수강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로부터 수강자 등록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단계(S100)를 포함한다. 수강자 등록 정보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수강자가 본교의 학생임을 증명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서버(10)가 수강자 등록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단계(S100)는 온라인 교육 서버(10)가 전송받은 수강자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수강자가 본교의 학생이거나 본교와 학점인정의 협력관계에 있는 특정 타대학의 학생인 경우 수강자등록을 허용하고, 수강자 등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온라인 교육 서버(10)는 사립 또는 국공립 대학의 운영주체가 운영하는 서버(10)일 수 있다. 또한, 수강자는 전술한 대학에 재학하면서 대학에서 규정한 교양필수 또는 전공필수과목을 모두 이수해야 하는 학생일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20)는 수강자가 가지고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 통신을 할 수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온라인 교육 서버(10)가 이동통신 단말기(2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요청을 받은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20)로 어플리케이션(30, 도 3을 참조)을 다운로드하는 단계(S200)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30)은 스마트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20) 상에서 실행시킬 수 있는 일종의 프로그램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요청은 수강자가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 마켓 예컨대 티스토어(T-store) 등에서 원하는 어플리케이션(30)을 다운로드받기 위하여 관련 버튼을 클릭하는 행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하여서는 어플리케이션(30)을 반드시 어플리케이션 마켓에 요청할 필요는 없으며 대학 등이 운영하는 온라인 교육 서버(10)에 요청할 수도 있다. 온라인 교육 서버(10)는 수강자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요청이 있으면 해당 어플리케이션(30)을 수강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20)로부터 로그인이 있는 경우 저장된 수강자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등록된 수강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300) 및 온라인 교육 서버(10)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에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30)을 통하여 수강신청을 수신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즉, 온라인 교육 서버(10)로부터 등록이 확인된 수강자는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20)로 온라인 교육 서버(10)로부터 제공받은 어플리케이션(30)을 통하여 수강신청을 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교육 서버(10)가 강의콘텐츠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강의콘텐츠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에 다운로드된 상기 어플리케이션(30)을 통하여 제공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수강자는 어플리케이션(30)을 통하여 온라인 교육 서버(10)에 로그인하여 강의콘텐츠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서버(10)는 수강자의 강의콘텐츠 제공 요청이 있으면 해당 강의콘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송은 실시예에 따라서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방식에 의할 수 있다. 전송된 강의콘텐츠는 어플리케이션(30)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30)의 표시화면은 수강신청부(31), 강의듣기부(32), 출결상황정보 표시부(33) 및 강의스케줄정보 표시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강자는 수강신청부(31), 강의듣기부(32), 출결상황정보 표시부(33) 및 강의스케줄정보 표시부(34)를 통하여 수강신청의 요청, 강의듣기의 요청, 출결상황정보의 요청 또는 강의스케줄정보의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수강신청의 요청, 강의듣기의 요청, 출결상황정보의 요청 또는 강의스케줄정보의 요청이 각각 입력되면 이동통신 단말기(20)는 수강신청의 요청신호, 강의듣기의 요청신호, 출결상황정보의 요청신호 또는 강의스케줄정보의 요청신호를 각각 온라인 교육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수강자는 강의듣기부(32)를 통하여 온라인 교육 서버(10)로부터 전송받은 강의콘텐츠를 재생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강의듣기부(32)는 수강자가 수강신청한 과목들의 리스트가 표시되고, 리스트에 포함된 수강신청한 과목들 중 수강자로부터 선택된 과목과 관련된 강의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수강자는 해당 학기에 학점을 이수하고자 하는 복수의 특정과목에 대하여 복수의 수강신청을 할 수 있다. 강의듣기부(32)는 수강자의 조작에 의하여 수강자가 수강신청한 특정과목들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수강자는 리스트를 보고 리스트에 포함된 수강신청한 과목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강의듣기부(32)는 수강자로부터 선택된 과목과 관련한 강의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30)의 화면 구성 중 강의듣기부의 화면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더욱 구체적으로 강의듣기부(32)는 강의콘텐츠를 재생하는 강의콘텐츠 표시부(32a)와 강의콘텐츠와 관련한 텍스트콘텐츠를 표시하는 텍스트콘텐츠 표시부(32b) 및 온라인 교육 서버(10)에 로그인하여 수강중인 수강자들의 수강자리스트를 표시하는 수강자 표시부(32c)를 포함할 수 있다.
강의듣기부(32)에서 강의콘텐츠 표시부(32a)는 온라인 교육 서버(10)로부터 전송받은 강의콘텐츠를 재생하는 부분일 수 있다. 예컨대 강의콘텐츠는 특정교수의 특정과목에 대한 동영상강의일 수 있으며 이 경우 강의콘텐츠 표시부(32a)는 이러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텍스트콘텐츠 표시부(32b)는 강의콘텐츠에서 대학교수의 구두강의의 내용이나 판서 내용을 텍스트로 표시하는 부분일 수 있다.
강의콘텐츠는 여러 수강자들이 동시에 수강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수강자는 정해진 시간에 함께 온라인 교육 서버(10)에 로그인하여 동시에 강의콘텐츠를 전송받아 수강할 수 있다. 수강자 표시부(32c)는 온라인 교육 서버(10)에 동시에 로그인하고 있는 수강자들의 수강자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수강자는 어플리케이션(30)의 수강자 표시부(32c)에 표시된 수강자들의 리스트를 확인하여 어느 수강자가 수강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수강자 표시부(32c)는 실시예에 따라서 수강자리스트에 포함된 수강중인 수강자들 중 통신이 가능한 수강자를 표시하는 통신가능수강자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통신가능수강자 표시부를 이용하여 함께 수강하는 수강자들 간에 강의콘텐츠 내용에 관하여 토론을 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30)의 표시화면은 강의자료 다운로드부(35)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강자는 강의자료 다운로드부(35)를 통하여 온라인 교육 서버(10)에 강의자료의 다운로드를 요청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서버(10)는 강의자료 다운로드 요청이 있으면 강의자료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강의자료는 예컨대 강의콘텐츠와 관련한 테스트콘텐츠 또는 복습콘텐츠 등일 수 있다.
테스트콘텐츠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강의콘텐츠를 수강한 수강자에게 대학교수가 학점을 취득할 수 있도록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한 콘텐츠일 수 있다. 복습콘텐츠는 실시에에 따라서는 강의콘텐츠를 수강한 수강자가 수강한 내용을 복습하기 위한 콘텐츠일 수 있다. 복습 콘텐츠는 예컨대 강의콘텐츠 상에서 대학교수가 판서한 텍스트 콘텐츠이거나 PPT 파일일 수 있다.
수강자는 강의콘텐츠를 제공받아 온라인 강의를 수강한 뒤에는 수강한 온라인 강의의 복습이 가능하다. 대학 교수는 복습 콘텐츠가 제공되어 온라인 강의의 복습이 제대로 이루어지는지 여부에 따라 학점을 부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학점 부가는 수강자 단말기에서 복습 콘텐츠의 재생이 완료되거나 학점을 인정할 수 있을 정도로 재생된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학점을 인정할 수 있을 정도로 재생된 경우라 함은, 해당 콘텐츠의 전체 용량 중 일정 부분 이상 재생된 경우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또는, 해당 콘텐츠의 전체 재생시간에 대한 수강자의 실제 재생시간의 비율로 판단할 수도 있다. 예컨대, 100분 용량의 콘텐츠에 대해 70분 이상 재생된 경우 수강자는 해당 콘텐츠를 수강 완료한 것으로 인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강의콘텐츠는 강의콘텐츠가 실행되는 처음부터만 재생되도록 설정될 수 있고, 강의콘텐츠가 실행되는 재생시간 중 임의의 시간에서 수강자가 온라인 강의를 수강할 수 없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수강자가 첫 학습시에는 스크롤 바가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수강자가 해당 콘텐츠의 내용 전체를 수강하지 않고 일부 건너 띄면서 수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복습 콘텐츠는 실시예에 따라서 임의의 시간에서 재생될 수 있고, 배속재생 또는 감속재생도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수강자가 첫 학습 이후의 학습시에는 스크롤 바가 움직일 수 있다. 수강자는 스크롤 바를 움직여 복습 콘텐츠 중에서 원하는 부분만 찾아 수강이 가능하며, 배속재생이 가능하므로 속성 복습이 가능하다.
한편, 수강자의 출결상황정보 요청이 있으면 온라인 교육 서버(10)는 최근에 갱신된 출결상황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출결상황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에 다운로드된 상기 어플리케이션(30)을 통하여 제공하는 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
출결상황정보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온라인 교육 서버(10)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예컨대, 출결상황정보는 온라인 교육 서버(10)가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수강자가 몇 개의 강의콘텐츠를 수강했는가를 체크하여, 기 설정된 시점이 도래하면 수강자가 수강한 강의콘텐츠의 개수를 반영하여 자동으로 최신의 출결상황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출결상황정보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수강자가 전송된 강의콘텐츠를 수강한 결과에 따라 갱신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온라인 교육 서버(10)는 수강자가 몇 개의 강의콘텐츠를 수강했는가 여부를 체크하는 것뿐만 아니라 강의콘텐츠의 수강에 있어서 출석을 인정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였는지 여부를 고려하여 출석으로 인정된 경우에 그 결과를 반영하여 출결상황정보를 최신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출석을 인정할 수 있는 조건은 강의콘텐츠의 수강중에 강의를 수강자가 듣고 있음을 알려주는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20)로부터 전송받거나, 강의 도중 또는 완료 후에 이어지는 테스트를 거친 경우에 강의콘텐츠를 수강한 것으로 인정해 주는 방식일 수 있다. 다만, 출석을 인정할 수 있는 조건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출결상황정보 요청의 시점과 관련하여 출결상황정보는 온라인 교육 서버(10)가 수강자로부터 어플리케이션(30)을 통하여 출결상황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갱신될 수 있다. 또는, 수강자가 이동통신 단말기(20)를 통하여 로그인하는 경우에 갱신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강의콘텐츠의 수강을 완료한 경우에 갱신될 수 있다. 여기서 강의콘텐츠 수강을 완료한 경우란 실시예에 따라서 전술한 출석을 인정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한 경우일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서버(10)가 상기 수강신청에 기초하여 강의스케줄정보를 생성하고, 수강자의 강의스케줄정보 요청이 있으면 상기 생성된 강의스케줄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에 다운로드된 상기 어플리케이션(30)을 통하여 제공한다(S70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30)이 화면 표시 중 강의스케줄의 변경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a)는 온라인 강의스케줄만 표시된 경우를 나타내며, 도 8(b)는 오프라인 강의스케줄을 입력한 경우 온라인 강의스케줄이 표시된 부분이 오프라인 강의스케줄 부분으로 변경되어 오프라인 강의스케줄이 표시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예컨대 강의스케줄정보는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의 단위기간 동안 강의를 수강해야 하는 시간을 표시한 시간표일 수 있다. 수강자가 온라인 강의스케줄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강의도 함께 수강해야 하는 경우 오프라인 강의스케줄도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학점을 이수해야 하는 전공 또는 교양과목과 관련한 강의스케줄이 온라인 교육 서버(10)에 기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수강자가 해당 과목에 대하여 수강신청을 하면 해당 과목에 대한 서버에 기저장된 강의스케줄이 제공될 수 있다. 수강자가 오프라인 강의도 함께 수강해야 하는 경우 오프라인 강의스케줄을 수강자가 직접 입력하면 기저장된 강의스케줄은 변경될 수 있다. 즉 수강자가 오프라인 강의스케줄을 입력하게 되면 오프라인 강의스케줄과 중복되는 시간대에 위치하는 온라인 강의스케줄은 변경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난 예를 보면, 기저장된 온라인 강의스케줄이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각 요일마다 제1교시부터 제5교시까지로 결정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수강자가 오프라인 강의스케줄을 월요일 3교시, 화요일 1교시, 수요일 2교시 및 3교시, 목요일 5교시, 금요일 3교시로 입력했다면, 이 시간대와 중복되는 월요일 3교시, 화요일 1교시, 수요일 2교시 및 3교시, 목요일 5교시, 금요일 3교시에 배치되는 오프라인 강의스케줄은 변경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수강이력정보는, 학년 및 학기별로 수강한 수강과목 및 취득학점을 포함하여 표시되되,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수강이력정보 모듈은, 학년이 표시되는 제1화면과, 상기 제1화면에서 하나의 학년이 선택됨에 따라 전개되며 해당 학년에 대응되는 학기들이 표시된 제2화면과, 상기 제2화면에서 하나의 학기가 선택됨에 따라 해당 학기에 수강한 수강과목 및 취득학점이 표시되는 제3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강이력정보가 표시되는 실시예를 도9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9의 (a)는 상기 제1화면을, (b)는 상기 제2화면을, (c)는 상기 제3화면을 나타내며, 이 화면들은 모두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100)에서 디스플레이된다.
제1화면에는 수강자의 이름으로서 'ㅇㅇㅇ님'이라는 표시와 함께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수강이력정보 화면이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수강이력'이라는 문구가 표시된다.
이러한 제1화면은 수강자로부터 학년을 선택받을 수 있도록 클릭 버튼으로서 '1학년'버튼(101), '2학년'버튼(102), '3학년'버튼(103), 및 '4학년'버튼(104)가 표시된다. 수강자가 손 또는 터치팬을 통해 위 버튼들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여 클릭하면 상기 단말기 화면(100)은 도9(b)의 제2화면으로 갱신되어 표시된다. 도9(b)의 제2화면은 '1학년'버튼(101)을 클릭한 경우를 나타낸다.
제2화면에는 수강자로부터 학기를 선택받을 수 있도록 클릭 버튼으로서 '1학기'버튼(111) 및 '2학기'버튼(112)이 표시되며, 단말기 화면(100)의 화면 하단에는 'ooo님의 1학년 수강이력입니다.'라는 문구(113)가 우측에서 좌측으로 연속해서 흐르며 디스플레이된다. 제2화면에서 수강자가 '1학기'버튼(111)을 클릭하여 선택하면, 단말기의 화면(100)은 도9(c)의 제3화면으로 갱신된다.
제3화면에서는 수강자의 1학년 1학기의 수강과목이 학점과 함께 나타나는 수강리스트(121)가 표시되는데, 수강자는 화면의 스크롤바(122)를 이용하여 수강 리스트를 전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화면(100)의 화면 하단에는 'ooo님의 1학년 1학기 수강이력입니다.'라는 문구(123)가 우측에서 좌측으로 연속해서 흐르며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학점이수상태 정보는 도10과 같은 실시예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전공필수, 전공선택, 교양필수, 및 교양선택 등 종류별로 바그래프를 이용하여 이수된 학점정보와 졸업에 필요한 학점 정보를 함께 표시하여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학점이수상태 정보는 상기 수강이력정보와 연동될 수 있다. 즉, 학점이수상태 정보가 표시된 화면에서 이수 학점 부분을 클릭하여 선택하면 해당 이수 학점과 관련된 수강과목 리스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도10에서 전공필수의 바그래프 중 이수학점을 나타내는 부분을 클릭하면, 해당 이수학점과 관련되어 수강했던 수강 리스트가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11는 이동통신 단말기 화면에 그와 같은 수강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1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수강자의 전공필수 수강과목이 학점과 함께 나타나는 수강리스트(131)가 표시되는데, 수강자는 화면의 스크롤바(132)를 이용하여 수강 리스트를 전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화면(100)의 화면 하단에는 'ooo님의 전공필수 수강이력입니다.'라는 문구(133)가 우측에서 좌측으로 연속해서 지나가며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도12는 출결상황 정보 표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12에는, 현재 수강되고 있는 수강과목에 대해 수강과목별로 표시되되, 해당과목에 대한 전체 강의 구간을 나타내는 바그래프에서 현재까지 진행된 강의의 진행률이 표시되고, 현재까지 진행된 강의에 대한 출석률이 수치화되어 표시되고 있다. 여기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수치화된 출석률을 선택함에 따라 결석한 강의 일시 또는 출석한 강의 일시가 표시되고, 상기 출석률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경고 알림이 표시된다.
또한, 상기 웹사이트의 수강신청부 또는 상기 수강신청 모듈은, 다른 실시예로서, 수강자로부터 수강신청을 위한 수강과목이 선택됨에 따라 강의스케쥴 정보와 비교하여 이미 신청된 수강과목의 강의스케쥴과 강의 일정이 겹치는 경우 그에 대한 알림을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도13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강의 리스트 에서 선택된 수강 과목 중 이미 신청된 수강과목(도13에서 '과목1')과 일정이 겹치는 경우, 이미 신청된 수강과목의 일정이 표시된 강의스케쥴표(200)가 팝업되면서, 현재 선택된 수강 과목의 일정을 점선으로 표시(201)하고, 일정이 겹치는 요일 및 일시에 해당하는 부분에 알림표시(210)를 디스플레이하여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수강신청부 또는 상기 수강신청 모듈은, 수강신청을 위한 강의 리스트를 출력함에 있어서, 이미 신청된 수강과목과 미신청된 수강과목이 구분되어 표시되도록 출력하며, 미신청된 수강과목을 표시함에 있어서는 기 신청된 수강과목과 강의 일정이 겹치는 수강과목과 겹치지 않는 수강과목이 구분되어 표시되도록 출력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수강신청부 또는 상기 수강신청 모듈은, 수강신청을 위한 강의 리스트에서 수강과목들을 임시로 선택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임시로 선택된 수강과목들에 대한 임시 강의스케쥴표를 자동생성하여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수강자는 임시로 수강과목들을 선택하고 이를 강의스케쥴표를 통해 스케쥴을 확인함으로써 본인에 맞는 최적의 스케쥴을 갖는 수강과목들을 최종 선택할 수 있다.
각 도면에 표기된 도면 부호는 해당 도면에 한정하여 이용된다.
도1의 부호 설명
10 : 온라인 교육 서버
20 : 수강자단말기
30 :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40 : 웹사이트
도9의 부호 설명
100 : 이동통신 단말기 화면
101, 102, 103, 104 : 학년 선택 버튼
111, 112 : 학기 선택 버튼
113 : 메세지
121 : 수강과목 리스트 화면
122 : 스크롤바
123 : 메세지
도11의 부호 설명
131 : 전공필수 이수과목 리스트 화면
132 : 스크롤바
도13의 부호 설명
200 : 강의스케쥴표
201 : 신규 신청을 위해 선택한 과목 일정
210 : 일정 겹침에 대한 알림

Claims (8)

  1. 수강자의 PC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강자 등록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수강자 정보 메모리;
    PC환경에 맞는 온라인 강의 관련 웹사이트로서, 로그인창, 수강신청을 접수받기 위한 수강신청부, 강의콘텐츠 표시부, 학사정보 표시부, 강의스케줄 표시부 및 등록단말기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학사정보 표시부는 수강이력정보 표시, 학점이수상태정보 표시 및 출결상황정보 표시를 포함하는 웹사이트를 제공하는 PC환경 웹사이트 제공부;
    수강자로부터 수강과목에 대한 수강신청을 입력받음에 따라 그 수강신청 정보를 온라인 교육 서버로 전송하는 수강신청 모듈과, 상기 온라인 교육 서버로부터 상기 신청된 수강과목에 대응하는 강의콘텐츠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강의콘텐츠가 지정됨에 따라 상기 온라인 교육 서버로 상기 지정된 강의콘텐츠 전송을 요청하며, 상기 교육 서버로부터 상기 강의콘텐츠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으로 상기 강의콘텐츠 내용을 표시하는 강의듣기 모듈과, 수강이력정보를 표시하는 수강이력정보 모듈과, 학점이수상태정보를 표시하는 학점이수상태정보 모듈과, 상기 온라인 교육 서버로부터 상기 수강신청 과목에 대한 출결상황정보를 수신하고, 수강자로부터 출결상황정보 출력을 요청받음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출결상황정보를 표시하는 출결상황정보 모듈과, 상기 온라인 교육 서버로부터 상기 수강신청에 기초하여 강의스케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강자로부터 강의스케줄정보의 출력을 요청받음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강의스케줄정보를 표시하는 강의스케줄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 어플리케이션 메모리; 및
    상기 웹사이트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인스톨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로그인이 요청된 경우, 상기 저장된 수강자 등록 정보를 통하여 등록수강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수강자 인증부;
    를 포함하되,
    상기 강의스케쥴은, 상기 웹사이트의 수강신청부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수강신청 모듈을 통해 온라인으로 수강 신청된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생성되되, 수강자가 오프라인 강의에 대한 스케쥴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강신청부 또는 상기 수강신청 모듈은, 수강자로부터 수강신청을 위한 수강과목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강의스케쥴 정보와 비교하여 기 신청된 수강과목의 강의스케쥴과 강의 일정이 겹치는 경우 그에 대한 알림을 표시하며,
    상기 수강이력정보는, 학년 및 학기별로 수강한 수강과목 및 취득학점을 포함하여 표시되되,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수강이력정보 모듈은, 학년이 표시되는 제1화면과, 상기 제1화면에서 하나의 학년이 선택됨에 따라 전개되며 해당 학년에 대응되는 학기들이 표시된 제2화면과, 상기 제2화면에서 하나의 학기가 선택됨에 따라 해당 학기에 수강한 수강과목 및 취득학점이 표시되는 제3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출결상황 정보는, 현재 수강되고 있는 수강과목에 대해 수강과목별로 표시되되, 해당과목에 대한 전체 강의 구간을 나타내는 바그래프에서 현재까지 진행된 강의의 진행률이 표시되고, 현재까지 진행된 강의에 대한 출석률이 수치화되어 표시되며, 상기 수치화된 출석률을 선택함에 따라 결석한 강의 일시 또는 출석한 강의 일시가 표시되고, 상기 출석률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경고 알림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학교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점이수상태 정보는 전공필수, 전공선택, 교양필수, 및 교양선택 등 항목별로 이수된 학점 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항목에 대해 수강이력 정보가 연동되어 디스플레이 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학교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강신청부 또는 상기 수강신청 모듈은, 수강신청을 위한 강의 리스트를 출력함에 있어서, 기 신청된 수강과목과 미신청된 수강과목이 구분되어 표시되도록 출력하며, 미신청된 수강과목을 표시함에 있어서는 기 신청된 수강과목과 강의 일정이 겹치는 수강과목과 겹치지 않는 수강과목이 구분되어 표시되도록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학교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강신청부 또는 상기 수강신청 모듈은, 수강신청을 위한 강의 리스트에서 수강과목들을 임시로 선택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임시로 선택된 수강과목들에 대한 임시 강의스케쥴표를 자동생성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학교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시스템.
  8. 삭제
KR1020140115612A 2013-08-30 2014-09-01 대학교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6399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334 2013-08-30
KR20130104318 2013-08-30
KR1020130104318 2013-08-30
KR20130104334 2013-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709A KR20150027709A (ko) 2015-03-12
KR101639990B1 true KR101639990B1 (ko) 2016-07-18

Family

ID=53022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5612A KR101639990B1 (ko) 2013-08-30 2014-09-01 대학교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9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948B1 (ko) * 2018-10-05 2021-11-30 (주)시소아이티 학사 관리 서버 및 콘텐츠 지원 서버의 연계 기능을 활용한 학사 정보 관리 시스템
KR102405464B1 (ko) * 2021-09-23 2022-06-07 김재근 비대면 온라인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72324B1 (ko) * 2021-09-28 2024-06-0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이모작/다모작 작물 재배관리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58675B1 (ko) * 2022-03-21 2023-07-25 맹진영 에이피, 에이레벨 및 국제 바칼로레아를 교육하는 교원 양성 프로그램 운영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055A (ko) * 2001-08-20 2001-11-09 변진우 개인휴대정보단말기 기반 모바일 학사정보 관리 시스템 및방법
KR20030070861A (ko) * 2003-05-28 2003-09-02 한국웹기반교육(주) 온라인 방식의 학점인정학습과정 교육운영 및 학사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709A (ko) 2015-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6013B1 (en) Dynamic filtering and tagging functionality implemented in collaborative, social online education networks
Donaldson et al. First-year community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and attitudes toward intrusive academic advising
US9342990B2 (en) Learning system and method that prevents communication of unauthorized content during a learning session
US201402276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 comprehensive, nation-wide, cloud-based education support platform
US20130330704A1 (en) Student information system
US20090291426A1 (en) Educational system for presenting one or more learning units to students in different learning environments
US20190347954A1 (en) System and Method of Selective Interaction with Online Educational Programs
KR101387003B1 (ko) 학습 습관 형성을 위한 학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12320A (ko) 학습자 맞춤형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39990B1 (ko) 대학교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30103928A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학사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 기록 매체
KR101591799B1 (ko) 오프라인 기반 자기주도 학습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학습지원 방법
KR20150000262A (ko) 체험활동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10027644A1 (en) Method and systems for providing educational support
KR101620359B1 (ko) 온라인을 이용한 강의콘텐츠 제공시스템
KR102011255B1 (ko) 수업 매칭 시스템 및 이에 의한 수업 매칭 방법
LeShea The effects of synchronous class session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levels of satisfaction in an online introduction to computers course
KR101750172B1 (ko) 강의실 운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1527741B1 (ko) 온라인 보팅 및 퀴즈 제공 시스템 및 방법
Reger Technology and mental health: a clinician's guide to improving outcomes
Dameh The impact of parent Involvement Practices in Special education programs
KR20090003081A (ko) 독서 교육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5017364A2 (en) Interactive learning and communication system
Jane Introduction to Teaching with Webex
Schuessler Teacher Perceptions of Integrating Technology Too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