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2120A -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 - Google Patents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2120A
KR20200012120A KR1020180087005A KR20180087005A KR20200012120A KR 20200012120 A KR20200012120 A KR 20200012120A KR 1020180087005 A KR1020180087005 A KR 1020180087005A KR 20180087005 A KR20180087005 A KR 20180087005A KR 20200012120 A KR20200012120 A KR 20200012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ubject
user
information
dement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숙
Original Assignee
정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숙 filed Critical 정지숙
Priority to KR1020180087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2120A/ko
Publication of KR20200012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1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eurosurgery (AREA)
  • Psychia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Biophysic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는, 치매 가능성이 있는 대상자의 관계자로부터 대상자와의 연관 정보 및 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한 연관 정보 및 데이터를 근거로 생성된 질의 사항을 대상자의 사용자장치로 제공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수신한 연관 정보 및 데이터를 근거로 대상자에게 제공할 질의 사항을 생성하며 제공한 질의 사항에 대한 대상자로부터의 답변을 근거로 대상자의 치매 가능성을 예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연관 정보로서 수신된 관계자의 대화체 정보를 이용하여 질의 사항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수집된 정보는 데이터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사용자의 동의하에 제3자 또는 특정 기관에 제공함으로써 빅 데이터로서의 가치를 높일 수도 있다.

Description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Dialogue Service Apparatus for Preventing Reduced Cognitive Funtion}
본 발명은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노령의 부모와 같이 치매가 예상되는 대상자에게 가족 구성원 등의 관계자가 대화체 메시지를 제공하여 그 응답 결과로 치매를 예측하려는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한민국은 고령화 사회가 진행되면서 노인을 위한 실버 산업이 여러 측면에서 개발되고 있다. 실버산업은 홈케어서비스, 중간보호시설 사업, 양로 및 요양시설, 의료서비스 산업, 케어하우징의 절차운영사업 등 다양한 방면에서 개발되고 있다. 이중 치매는 노인이 많이 겪는 뇌질환으로, 정상적으로 생활해 오던 사람이 다양한 원인에 의해 뇌기능이 손상되면서 이전에 비해 인지 기능이 지속적이고 전반적으로 저하되어 일상생활에 상당한 장애를 겪는 상태를 의미한다. 치매와 같은 문제를 치유하기 위한 의료서비스 산업은 치료 차원에서 개발되어 있다.
이외에도 현재는 치매와 관련해 예방 차원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치매 예방 프로그램도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치매 예방 프로그램은 게임 등을 통해 뇌를 자극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에 불과하고, 또한 치매를 확인하거나 평가하는 문제는 정형적인 문제를 풀도록 유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치매 예방 프로그램은 사실상 노인들에게는 흥미가 없을뿐 아니라 단순 반복적인 게임이 대부분이어서 그 실효성이 매우 낮다. 또한 치매를 확인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경우 특정 장소 및 사람들에게 자신의 기억력을 테스트하는 과정이므로 그 자체가 두려움의 대상이 되었고, 실제 풀 수 있는 문제도 긴장감으로 인해 풀지 못하는 경우도 많아 노인들에게 접근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7727호(2015.01.2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6271호(2017.07.2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4619호(2016.06.23)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노령의 부모와 같이 치매가 예상되는 대상자에게 가족 구성원 등의 관계자가 친숙한 대화체 메시지를 제공하여 그 응답 결과로 치매 를 예측하려는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는, 치매 가능성이 있는 대상자의 관계자로부터 상기 대상자와의 연관 정보 및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연관 정보 및 데이터를 근거로 생성된 질의 사항을 상기 대상자의 사용자장치로 제공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한 연관 정보 및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대상자에게 제공할 질의 사항을 생성하며, 상기 제공한 질의 사항에 대한 상기 대상자로부터의 답변을 근거로 상기 대상자의 치매 가능성을 예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관 정보로서 수신된 상기 관계자의 대화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질의 사항을 생성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자가 포함되는 사진을 상기 데이터로서 이용하여 상기 질의 사항을 생성하며, 상기 대화체 정보를 근거로 상기 대화체 정보가 반영된 관계자별 질의 사항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일정시간 경과시마다 상기 사용자장치로 주기적으로 제공하는 제1 유형의 질의 사항에 대한 답변의 정확도를 근거로 상기 치매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유형의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변형된 질의 사항에 대한 답변의 정확도를 근거로 상기 치매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지정된 포맷을 상기 관계자의 사용자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지정된 포맷을 통해 상기 대화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은,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로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치매 가능성이 있는 대상자의 관계자로부터 상기 대상자와의 연관 정보 및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연관 정보 및 데이터를 근거로 생성된 질의 사항을 상기 대상자의 사용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신한 연관 정보 및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대상자에게 제공할 질의 사항을 생성하며, 상기 제공한 질의 사항에 대한 상기 대상자로부터의 답변을 근거로 상기 대상자의 치매 가능성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연관 정보로서 수신된 상기 관계자의 대화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질의 사항을 생성한다.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자가 포함되는 사진을 상기 데이터로서 이용하여 상기 질의 사항을 생성하며, 상기 대화체 정보를 근거로 상기 대화체 정보가 반영된 관계자별 질의 사항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예측하는 단계는, 일정시간 경과시마다 상기 사용자장치로 주기적으로 제공하는 제1 유형의 질의 사항에 대한 답변의 정확도를 근거로 상기 치매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유형의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변형된 질의 사항에 대한 답변의 정확도를 근거로 상기 치매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지정된 포맷을 상기 관계자의 사용자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지정된 포맷을 통해 상기 대화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령 가족 구성원들로부터의 동일 패턴(가령, 동일 콘텐츠과 동일 질의내용)의 질의에 대하여 점차적으로 답변의 정확성과 시간이 늘어나는 경우 치매가 예견되는 대상자의 치매 가능성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대상자들은 자신과 관련한 기록 및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하루에도 몇번씩 뇌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치매라는 문제는 가족간의 관심으로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대화형 문체의 경우 본인이 관련된 질의 내용으로 많은 관심을 가질 수 있어 대상자들에게 흥미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문체 패턴을 복수의 대상자들에게 동일하게 제공하도록 하여 해당 문체 패턴에 대한 유의적인 통계 데이터를 확보하여 성별, 연령대별, 지역별 등 다양한 치매 관련 자료를 생성하여 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라 수집된 정보는 데이터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사용자의 동의하에 제3자 또는 특정 기관에 제공함으로써 빅 데이터로서의 가치를 높일 수도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화서비스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
도 4는 도 3의 대화서비스실행부의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5는 도 1의 대화서비스시스템의 서비스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화서비스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화서비스시스템(90)은 사용자장치(101, 103), 통신망(110) 및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통신망(110)과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대화서비스시스템(90)이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장치(101, 103)와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가 다이렉트 통신(예: P2P 통신)을 수행하거나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와 같은 구성요소가 통신망(110) 내의 네트워크장치(예: 교환장치, 게이트웨이 등)에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사용자장치(101, 103)는 치매 대상자와 관계가 있는 가족 구성원(예: 친족, 존비속, 배우자 등), 친구, 관련 전문가 등이 사용하는 사용자장치 1(101)과, 치매 가능성이 있는 대상자가 사용하는 사용자장치 2(10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장치(101, 103)는 3G 폰, 스마트폰, MP3, PDP, 웨어러블장치와 같은 휴대단말기가 바람직하지만, 랩탑컴퓨터, 태블릿PC와 같은 이동단말장치를 포함하며, 스마트TV나 데스크탑컴퓨터 등의 영상표시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엇보다 치매 대상자인 사용자 2의 사용자장치 2(103)는 치매 예방이나 치매 예측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장치이어도 무관하다.
사용자장치 1(101)은 가족구성원이나 친구 또는 관련 전문가 등이 사용하는 장치로서 치매 대상자인 제2 사용자와 직간접적으로 관계가 있는 관계자의 사용자장치이다. 특히 가족구성원은 가령 부모의 치매 가능성이 예측되거나 물론 치매의 예방차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에 가입을 할 수 있다.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의 서비스에 가입한 후 제2 사용자와 관련되는 다양한 자료, 가령 사진 등을 등재할 수 있다. 물론 등재한 후에는 사진과 관련해 원하는 질의사항을 직접 작성해 함께 올릴 수 있지만, 사진을 올리는 경우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에서 해당 사진을 근거로 다양한 유형의 질의사항을 자동으로 형성해 줄 수도 있기 때문에 제1 사용자는 이때 특정 질의사항을 선택하여 제2 사용자와 대화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상황이 아니라 하더라도, 사용자장치 1(101)은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에 서비스를 가입한 경우, 제1 사용자가 사용자장치 1(101)을 통해 제2 사용자에게 대화를 형성하려는 것이 감지되었다고 가정해보자. 이의 경우, 메시지가 전송되기 전에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는 치매 가능성을 분석하는 데에 활용하겠는지 별도의 팝업창으로 제1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만약 제1 사용자가 동의를 하는 경우, 해당 메시지의 내용은 수집하여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다. 단적으로, 제1 사용자가 메시지를 작성하거나 사진을 첨부하는 것이 감지되면,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는 감지될 때마다 수집에 동의하는지를 통지할 수 있다. 이는 통신사와의 연계하에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음성통화의 경우 통신사에서는 교환장치를 통해 통신음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연유에서 제1 사용자가 사용자장치를 사용하고 있는지를 감지하게 된다. 위의 과정에서 데이터가 축적되면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는 특정 상황에 대하여만 동의하는지를 통지하고, 제1 사용자가 그에 동의할 때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여 제2 사용자의 치매 가능성을 분석할 수 있다.
사용자장치 2(103)는 사용자장치 1(101)을 사용하는 제1 사용자, 가령 가족구성원이나 친구 또는 관련 전문가 등이 전송하는 다양한 종류의 질의사항, 더 정확히 말해서 일상의 대화내용을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령 가족간의 대화형 문체를 이용하여 노인들에게 문자 메시지를 주고받듯이 질의를 하고 이에 대한 답변을 받아 제2 사용자의 치매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가 오히려 제2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에 가급적 일상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주고받는 대화내용을 근거로 이를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상의 활동이나 대화내용이란 사용자장치 2(103)를 활용한 다양한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가령 음성이나 영상통화, 문자메시지 송수신, 나아가 게임활동 등도 이에 포함될 수 있으며, 그 결과가 본 서비스에 이용될 수 있다. 이는 최근들어 딥러닝 등이 적용된 인공지능 기술이 대두되면서 충분히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가족 구성원 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에 가입하면서 제공하는 가족의 친족관계, 이름, 전화번호, 주민번호, 사진 등의 자료 즉 (연관) 정보나 데이터를 제공하면 이를 근거로 제한된 회원들에게만 제2 사용자의 치매 가능성을 예측해 볼 수 있다. 회원의 가족들이 평소 자주쓰는 대화체로 제2 사용자의 사용자장치 2(103)로 자연스럽게 질의를 하고, 사용자장치 1(101)은 그에 대한 답변을 수신하는 것이다.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간에도 사생활은 보장되어야 하는 것이므로, 가급적 사용자장치 1(101)의 제1 사용자는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에 접속하여 자신이 제공한 사진 등을 근거로 생성된 질의사항을 선택하고 이를 근거로 사용자장치 2(103)로 간헐적으로 혹은 주기적으로 대화를 형성함으로써 이때 대화내용에 대한 정보의 수집에 동의함으로써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는 해당 사항을 근거로 합법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근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가령 사용자장치 1(101)의 제1 사용자가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의 서비스에 접속하여 자신이 게재한 사진에 대하여 생성된 질의 내용 중에서, "엄마...이 사진은 내가 몇살 때 찍은거야?"라는 질의를 선택하고, 또는 그 선택된 질의에 일부를 수정하여 사용자장치 2(103)로 전송하였고, 물론 이때에도 정보수집에 동의한 것으로 가정하자. 그러면, 사용자장치 2(103)는 이에 대한 답변을 할 것이고, 사용자장치 1(101)은 이에 대한 답변을 수신함과 동시에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는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게 될 것이다.
물론 사용자장치 2(103)의 제2 사용자 자신이 직접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에 가입하여 치매 가능성을 가족에게 통지하도록 요청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비스에 가입하면서 자신을 모니터링하도록 하고, 물론 이의 과정에서 데이터 수집을 허용할 것이며, 자신이 가령 스마트폰과 같은 활동을 통해 이루어지는 데이터를 근거로 치매 가능성을 예측해 달라고 요청하는 것이다. 이의 경우에는 가족 구성원이 굳이 사진 등의 다양한 자료를 제공할 필요가 없이 일상 생활속에서 자연스럽게 주고받는 대화내용이나 활동 등에 대한 데이터가 축적되고 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치매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치매가능성이 예측될 때, 제2 사용자가 특정 제1 사용자(예: 자식)에게 해당 사실을 통지하도록 허용하였다면 이를 기반으로 관련 정보가 제1 사용자의 사용자장치 1(101)로 전송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서비스 시나리오가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사용자가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의 서비스에 가입하여 질의사항을 형성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면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는 등재된 사진 등의 자료를 근거로 복수의 질의사항을 생성하고, 제1 사용자는 그 복수의 질의사항 중 하나를 선택하여 주기적으로 제2 사용자의 사용자장치 2(103)로 전송할 수 있고, 또 제2 사용자의 지루함을 달래기 위하여 다른 유형의 질의사항도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동일 패턴의 질의사항에 대하여 점차적으로 답변의 정확성과 시간이 늘어날 경우 제2 사용자의 치매 가능성은 더 정확히 예측될 것이다.
무엇보다 제1 사용자는 사용자장치 1(101)을 통해 자신이 평소 자주쓰는 대화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물론 앞서 언급한 대로 직접 입력하도록 하거나 향후에는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에서 이를 근거로 자동으로 대화체의 질의사항을 생성하여 선택하도록 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물론 초기 서비스시 정형화된 대화체 포맷을 제공한 후 선택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1 사용자는 각자의 대화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고 볼 수도 있다. 가령, 가족구성원이라 하더라도 지방색이 있는 사투리를 사용하는 구성원이 있을 수 있고, 대도시 생활로 표준어를 구사하는 구성원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장치 2(103)를 통해 가족구성원들의 각자의 대화체를 기반으로 하는 질의사항을 수신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는 동일 유형(예: 동일 콘텐츠)에 대한 서로 다른 복수의 질의사항이라고 볼 수도 있다. 또는 하나의 질의 사항을 기준으로 볼 때 변형된 질의사항이 될 수도 있다. 사실, 제2 사용자는 그러한 대화체만으로도 누구인지 단박에 알아차릴 수 있게 될 것이다.
통신망(11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1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1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1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10) 내의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Node)에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10)은 액세스포인트(AP)를 포함한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사용자장치 1(101)이나 사용자장치 2(103)를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사용자장치 1(101)이나 사용자장치 2(103)와 지그비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시나리오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첫째는 사용자장치 1(101)이 서비스 가입시 제공하는 제2 사용자와의 가족의 친족관계, 이름,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사진 등을 제공하고, 물론 특정 1인이 다른 가족구성원들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각자 동일 아이디(ID)나 동일 패스워드(PW)를 통해 각각 서비스에 접속하여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시,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는 가족구성원들이 평소 자주쓰는 대화체에 대한 정보를 더 제공하도록 요청하여 최대한 친근감이 있는 질의사항(혹은 문제)이 제2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해당 정보와 데이터는 DB(120a)에 분류되어 저장될 것이다. 여기서, 정보는 부가정보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가령, 정보에는 이름이나 가족관계 및 주민등록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반면, 데이터는 사진과 같은 실질적인 정보를 의미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대화체 정보는 데이터가 될 수도 있다. 사실 이 둘의 구분은 통상의 영상 서비스에서 RGB의 영상데이터 즉 화소데이터와 이에 관련되는 부가정보로 구분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데이터의 구조에 관계된다. 다시 말해, 데이터 패킷은 헤더부와 페이로드부로 구분되고, 통상의 정보는 헤더부에 포함되며 페이로드부는 실질적인 데이터가 포함된다. 그러나, 데이터 구조라는 것은 표준이 아닌 이상 규정하기 나름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위의 과정에서 물론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는 정형화된 대화체 포맷을 사용자장치 1(101)로 제공한 후, 그 중에서 선택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혹은 최초에는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에게 사진을 전송하여 질의를 하려할 때, 직접 대화내용을 입력하도록 한 후, 가령 수일이나 수개월에 걸쳐 해당 제1 사용자의 대화체가 분석되면 그 분석결과를 토대로 기존 또는 향후의 질의사항을 생성하고 생성한 복수의 질의사항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동일한 사진이라 하더라도 질의사항은 여러 개를 생성해 줄 수 있다. 물론 이는 1인의 구성원을 가정한 것이다. 가령, 동일한 질의사항을 제2 사용자에게 주기적으로 전송한 후 그 답변을 분석해 보면, 제2 사용자의 치매 가능성을 예측하기에 아주 쉬운 방법이 될 것이다. 다만, 제2 사용자는 그 상황을 지루해 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 사진에 대하여 다른 유형의 질의사항을 번갈아 가면 보내게 되면 제1 유형의 질의사항에 대한 답변과 제2 유형의 질의사항에 대한 답변을 토대로 분석하여 종합적으로 치매 가능성을 예측하게 된다. 가령 6개월 전에 제1 유형과 제2 유형의 질의사항에 대하여 각각 100%의 정확도를 갖는 답변이 있었다고 가정하자. 그런데, 6개월 후 제2 유형에 대한 질의사항의 답변에 대한 정확도가 60%였다면 치매 가능성이 예견된다고 볼 수 있고, 또 6개월이 지난 후 제1 유형에 대하여도 정확도가 60% 정도로 감소한다면 치매 가능성은 더욱 증가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는 가족구성원들의 다양한 질의사항에 대한 제2 사용자의 답변 내용을 분석하여 제2 사용자의 치매 가능성을 예측하고, 그 결과를 제1 사용자에게 통지해 줌으로써 제1 사용자들이 제2 사용자의 치매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거나 제2 사용자의 치매 예방에 더욱 적극적으로 활동하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좀더 구체적으로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의 동작을 하나 제시해 보자. 예컨대 회원인 제1 사용자의 젊은 시절의 사진을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가 수령한 경우, 제1 사용자가 해당 사진을 전송하면서 "엄마...이 사진은 몇살에 찍은거야?"라고 물어보거나, "엄마와 아빠가 몇년도에 결혼했지?" 등 다양한 사적 대화 형태로 질의내용을 만들어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질의내용들은 일정 기간이 도과하면 재질문을 하도록 하여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는 동일한 질문에 대해 답변(혹은 답안)의 정확성과 시간을 분석하여 기록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동일한 패턴의 질문에 대해 점차적으로 답변의 정확성과 시간이 늘어나는 경우 해당 회원인 제2 사용자의 치매 가능성을 예측하여 가족들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는 치매가 예견되는 대상자인 제2 사용자가 자신과 관련한 기록 및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2 사용자는 하루에도 몇번씩 뇌를 사용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여 치매 예방 효과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는 문체 패턴을 복수의 대상자들에게 동일하게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문체 패턴에 대한 유의적인 통계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고 성별, 연령대별, 지역별 등으로 분류하여 다양한 치매 관련 자료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특정 기관에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근거해 볼 때,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는 각 카테고리별로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 서비스를 더 제공할 수 있으며, 관련 검색 내용을 엑셀 등의 형태로 자료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게 하거나 관련 자료를 기관에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치매가능성이 예견되는 대상자가 하루에도 몇번씩 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치매 예방 효과가 있고, 또 일상 생활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친숙한 대화체로 서비스가 이루어지므로 흥미를 극대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질문 혹은 질의 패턴에 대한 유의적인 통계 데이터를 확보하여 성별, 연령대별, 지역별 등 다양한 치매 관련 자료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00) 및 대화서비스처리부(21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서의 의미와 동일하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도 1의 통신망(110)을 경유하여 사용자장치 1(101) 및 사용자장치 2(103)와 통신을 수행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치매 관련 대상자인 제2 사용자의 관계자 즉 제1 사용자로부터 대상자와 관계자의 연관 정보 및 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서 "대상자와 관계자의 연관 정보 및 데이터"란 가족의 친족관계, 이름, 전화번호, 주민번호, 사진 등과 대화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수신된 연관 정보 및 데이터를 대화서비스처리부(210)로 전달하며, 대화서비스처리부(210)의 제어 하에 다양한 질의사항을 제2 사용자의 사용자장치 2(103)로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사진을 전송해야 하는 경우, 해당 사진을 압축(예: 인코딩)하고, 관련 데이터는 페이로드부에, 그리고 사진과 관련한 대화내용은 헤더부에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혹은 포맷)의 구조로 통신망(110)으로 전송하여 사용자장치 2(103)에 제공되도록 한다.
나아가,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위의 질의내용에 대한 답변이 사용자장치 2(103)로부터 수신되면 해당 수신된 질의내용을 대화서비스처리부(210)에 제공해 주게 된다.
대화서비스처리부(2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00)에서 수신된 연관정보 및 데이터를 근거로 대상자에게 제공할 질의 사항을 생성하고, 생성한 질의 사항에 대한 대상자로부터의 답변을 근거로 대상자의 치매 가능성을 예측한다. 이의 과정에서 대화서비스처리부(210)는 연관 정보로서 수신된 관계자의 대화체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질의 사항을 생성한다. 이와 관련해서는 앞서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를 통해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간단히 언급해 보면, 동일 콘텐츠 즉 사진에 대하여 여러 유형의 질의 사항이 형성될 수 있다. 유형은 질의를 하는 서술형이나 의문문 등의 형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모든 구성원들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각 질의사항에 대하여 대화체 정보가 적용되는 경우 같은 질의사항이라 하더라도 모든 구성들의 질의사항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유형은 위의 문형뿐 아니라, 질의내용을 조금 변경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가령, 핵심 키워드는 '엄마와 아빠의 결혼'이지만 "결혼을 언제 했느냐"의 직접적인 질문이 있을 수 있지만, 동일 사진을 제공하면서도 "신혼여행지가 어디였냐"는 식으로 우회적으로 질문이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일 콘텐츠에 대하여 질의사항은 지정된 범위(예: 결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형태로 질의사항이 생성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화서비스처리부(210)는 제어 기능과 대화서비스 기능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해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러한 구성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며, 도 4는 도 3의 대화서비스실행부의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대화서비스실행부(320) 및 저장부(3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330) 등의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가 구성되거나 대화서비스실행부(320) 등의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310) 등의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히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2의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와 비교해 볼 때, 도 3 및 도 4의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는 도 2의 대화서비스처리부(210)가 도 3의 제어부(310), 대화서비스실행부(320) 및 저장부(330)로 구성될 수 있는 하나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310)는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를 구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대화서비스실행부(320) 및 저장부(3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대화서비스실행부(3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매 관련 대화서비스를 실질적으로 실행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10)는 다른 실시예로서 CPU와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CPU는 연산회로(ALU), 제어회로 및 해석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연산회로는 연산동작을 수행하고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담당하며 해석부는 수신된 명령에 대한 기계어 해석에 관계할 수 있다.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메모리는 램(RAM)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부(310)는 CPU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경우, 대화서비스실행부(3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불러내어 램에 임시저장한 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화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하여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처리 속도는 대화서비스실행부(3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때에 비하여 상당히 증가하게 된다.
대화서비스실행부(320)는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겠지만, 도 4에서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3의 대화서비스실행부(320)가 반드시 도 4와 같은 구조를 가질 필요는 없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320'로 표기하였다. 그 구조는 대략적으로 기능별로 구분한 것으로서 하드웨어적으로 구성되든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성되든 혹은 그 조합에 의해 구성되든 상관없다. 도 3의 대화서비스실행부(320)는 도 4에서와 같이 회원관리부(400), 질의처리부(410), 메시지처리부(420), 답변처리부(430) 및 통계처리부(4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의 제어부는, 도 3의 제어부(310)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각 SW모듈의 하나로서 제어모듈을 의미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간략히 살펴보면, 회원관리부(400)는 서비스에 가입된 회원들간의 가족관계 등을 관리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로그인 동작 등에 관여한다. 또한 질의처리부(410)는 제1 사용자가 제공한 사진 등을 근거로 질의사항을 생성해 줄 수 있다. 또는 질의처리부(410)는 대화체 정보를 더 활용하여 질의사항을 생성하고, 질의와 관련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시지처리부(420)는 가령 제1 사용자가 사진과 그 사진에 대한 질의사항을 선택하여 메시지(예: MMS)의 형태로 전송하려할 때 해당 메시지 포맷으로 형성해 주거나 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답변처리부(430)는 제공된 질의사항에 대하여 답변이 수신되면 해당 제2 사용자와 관련한 답변들을 분류하고 오답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통계처리부(440)는 가령 답변처리부(430)의 처리 결과를 토대로 복수의 제2 사용자들에 대한 통계 처리를 담당할 수 있다. [표 1]은 통계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표이다.
앞서서도 충분히 설명하였지만, 가령 제2 사용자에 대하여 제1 사용자들 즉 가족구성원들은 동일 사진에 대하여도 다양한 유형의 질의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동일 사진에 대하여 도 1의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는 다양한 유형의 질의사항을 형성해 줄 수 있고, 또 가족구성원들의 대화체에 따라 동일한 유형이라 하더라도 변형된 대화체의 질의사항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유형1'), 시간이 경과할 때 각 답변에 대한 정확도를 분석함으로써 치매 예상 여부를 예측할 수 있게 된다.
Figure pat00001
[표 1]에서 볼 때, 유형1과 유형1'는 동일 사진에 대하여 다른 유형의 질의를 나타내거나 대화체가 다른 질의라 볼 수 있다. 편의상 유형 1 및 유형 2는 동일 사진에 대한 서로 다른 형태의 질의라 하자. 그리고 유형 1과 유형 1'는 대화체 정보가 적용된 질의라 하자. 따라서, 일정시간의 경과시마다 제공되는 복수의 유형을 갖는 질의에 대한 답변의 정확도를 근거로 미래에 제2 사용자의 치매가 예상되는지를 판단해 볼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도 3의 대화서비스실행부(320)는 도 4와 같은 통계처리부(440)를 통해 많은 제2 사용자들의 치매 가능성을 예측해 볼 수 있고, 나아가 이를 성별, 연령별, 지역별 등으로 분류하여 해당 데이터를 분석하여 유의미한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고자 하는 기관(예: 회사) 등에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장부(330)는 제어부(310)의 제어 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와 데이터를 일시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수신된 데이터 포맷(예: 대화내용, 사진 등)을 즉 부가정보와 데이터로 분리하여 저장부(330)에 저장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데이터 포맷은 대화서비스실행부(320)에서 생성해준 것이라 이해해도 좋고 그 반대이어도 관계없다. 그러면, 제어부(310)는 해당 데이터 포맷을 저장부(330)에 임시 저장한 후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를 제어하여 저장된 데이터 포맷이 제1 사용자에게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혹은 대화서비스실행부(320)에서 활용하도록 제어부(310)가 관련 데이터와 부가정보를 불러내어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한 내용들을 제외하면, 도 3 및 도 4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대화서비스실행부(320) 및 저장부(330)와 관련한 내용은 도 1의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나 도 2의 통신 인터페이스부(200) 및 대화서비스처리부(210)와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5는 도 1의 대화서비스시스템의 서비스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장치 1(101)은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의 서비스에 가입한 후, 대상자 관련 정보 및 사진을 전송할 수 있다(S500). 대상자 관련 정보는 치매가 예상되는 대상자와 그 대상자에 관계에 있는 관계자가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하며, 가령 가족의 친족관계, 이름, 전화번호, 주민번호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관계자의 대화체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물론 이 대화체 정보는 데이터가 될 수도 있다.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는 사용자장치 1(101)로부터 수신된 정보 및 사진 등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가령 도 1의 DB(120a) 등에 저장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장치 1(101)은 회원 가입시에 또는 가입 후에 일정 시간이 지난 시점에서 회원 가족의 문체, 또한 질의 포맷을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로 제공할 수 있다(S120). 여기서, 질의 포맷은 단순히 사투리냐 표준어냐와 같은 문체이기보다는 서술형이냐 의문형태냐와 같은 좀더 정교화된 문장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어떠한 특정 방식으로 질의사항을 형성하기 위한 양식일 수 있다. 예컨대, 앞서와 같이 결혼이라는 주제에 대하여 다양한 형태로 질의를 할 수 있는 경우이다.
이에 따라,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는 가령 질의 포맷을 통해 수신된 사용자 1의 특정인에 대하여 질의사항을 생성하고 이를 가공할 수 있다(S530). 여기서, 가공이란 가령 정형화된 질의사항을 화면에 보여주되, 사용자가 편집하여 제2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사용자가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에 접속하여 질의를 제2 사용자의 사용자장치 2(103)로 전송하면,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는 해당 전송된 질의에 대한 답변을 수신할 수 있다(S540). 물론 여기서의 전송은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에서 전송되는 것이지만, 사용자장치 1(101)에서 전송된 것으로 사용자장치 2(103)에 표시될 것이고, 또 그에 대한 답변이 있는 경우 사용자장치 1(101)은 그에 대한 답변을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와 동시에 수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는 답변이 수신되면 해당 답변을 저장하고 분석을 수행하게 된다(S550). 가령, 제2 사용자가 사진과 관련해 기제공한 답변이 있다면 이와 비교하여 정확도를 평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일 사진과 같은 동일 콘텐츠에 대하여 시간 변화에 따라 주기적으로 동일 반복적으로 질의하거나 문체나 질의사항을 조금씩 변경하여 질의하고 그에 대한 답변을 근거로 보다 정밀하게 제2 사용자의 치매 가능성을 분석하고 예측하게 된다.
그리고, 예측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는 제1 사용자의 사용자장치 1(101)로 결과를 통지해 줄 수 있다(S560). 물론 단순히 통지를 넘어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6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는 치매 관련 대상자로부터 대상자와 관계자가 서로 연관되어 있는 연관 정보 및 데이터를 수신한다(S600). 또한,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는 수신한 연관 정보 및 데이터를 근거로 생성된 질의사항을 대상자의 사용자장치로 전송한다. 여기서, 연관정보는 가족관계, 전화번호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데이터는 사진 등을 포함한다. 대화체 정보는 연관정보 또는 데이터로 간주될 수 있다.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는 수신한 연관정보 및 데이터를 근거로 대상자에게 제공할 질의사항(혹은 질의내용)을 생성하고, 대상자의 사용자장치로 제공한 질의 사항에 대한 대상자로부터의 답변을 근거로 대상자의 치매 가능성을 예측한다(S610).
물론 예측이라는 것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누적되는 대상자의 답변에 대한 분석 결과를 근거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예측이 되었을 때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는 더욱 정확한 평가를 위하여 기저장되어 있는 또는 자동으로 몇가지 질의사항을 더 생성하여 제1 사용자의 개입이 없이도 자동으로 제2 사용자의 사용자장치로 전송한 후, 그 답변을 근거로 좀더 정확히 판단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치매 판단과 관련하여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120)는 위에서 설명한 것 이외에도 다양한 변경된 서비스가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1, 103: 사용자장치 110: 통신망
120: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 200, 300: 통신 인터페이스부
210: 대화서비스처리부 310: 제어부
320: 대화서비스실행부 330: 저장부
400: 회원관리부 410: 질의처리부
420: 메시지처리부 430: 답변처리부
440: 통계처리부

Claims (5)

  1. 치매 가능성이 있는 대상자의 관계자로부터 상기 대상자와의 연관 정보 및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연관 정보 및 데이터를 근거로 생성된 질의 사항을 상기 대상자의 사용자장치로 제공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한 연관 정보 및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대상자에게 제공할 질의 사항을 생성하며, 상기 제공한 질의 사항에 대한 상기 대상자로부터의 답변을 근거로 상기 대상자의 치매 가능성을 예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관 정보로서 수신된 상기 관계자의 대화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질의 사항을 생성하는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자가 포함되는 사진을 상기 데이터로서 이용하여 상기 질의 사항을 생성하며, 상기 대화체 정보를 근거로 상기 대화체 정보가 반영된 관계자별 질의 사항을 생성하는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정시간 경과시마다 상기 사용자장치로 주기적으로 제공하는 제1 유형의 질의 사항에 대한 답변의 정확도를 근거로 상기 치매 가능성을 예측하는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유형의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변형된 질의 사항에 대한 답변의 정확도를 근거로 상기 치매 가능성을 예측하는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지정된 포맷을 상기 관계자의 사용자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지정된 포맷을 통해 상기 대화체 정보를 수신하는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
KR1020180087005A 2018-07-26 2018-07-26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 KR202000121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005A KR20200012120A (ko) 2018-07-26 2018-07-26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005A KR20200012120A (ko) 2018-07-26 2018-07-26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120A true KR20200012120A (ko) 2020-02-05

Family

ID=69514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005A KR20200012120A (ko) 2018-07-26 2018-07-26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21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4298A (ko) * 2020-02-17 2021-08-25 이은희 스마트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인지기능 훈련서비스 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727B1 (ko) 2013-05-30 2015-01-29 주식회사 넷블루 치매 예방 인지 훈련 장치
KR101634619B1 (ko) 2016-03-14 2016-06-29 주식회사 그린메디넷 치매 인지 평가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20170086271A (ko) 2016-01-18 2017-07-26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인치매 예측 및 예방 플랫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727B1 (ko) 2013-05-30 2015-01-29 주식회사 넷블루 치매 예방 인지 훈련 장치
KR20170086271A (ko) 2016-01-18 2017-07-26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인치매 예측 및 예방 플랫폼
KR101634619B1 (ko) 2016-03-14 2016-06-29 주식회사 그린메디넷 치매 인지 평가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4298A (ko) * 2020-02-17 2021-08-25 이은희 스마트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인지기능 훈련서비스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9758B2 (en) Detecting under-utilized features and providing training, instruction, or technical support in an observation platform
Manganello et al. The relationship of health literacy with use of digital technology for health information: implications for public health practice
US11128565B2 (en) Observation platform for using structured communications with cloud computing
US9928529B2 (en) Observation platform for performing structured communications
Tampke Developing, implementing, and assessing an early alert system
US9053449B2 (en) Using structured communications to quantify social skills
US11978095B2 (en) Determining and sharing proximity of device users among separated observation platforms
Hester et al. Researching domestic violence in same-sex relationships—A feminist epistemological approach to survey development
Oh et al. ICT mediated rumor beliefs and resulting user actions during a community crisis
KR20190058066A (ko) 상담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
Gergle et al. A methodological pilot for gathering data through text-messaging to study question-asking in everyday life
CA2929814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digital activity
KR20200012120A (ko) 인지기능저하예방 대화서비스장치
Madden et al. When home is not safe: Media coverage and issue salience of child maltreatmen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Lelic et al. Critical hearing experiences manifest differently across individuals: insights from hearing aid data captured in real-life moments
KR102544405B1 (ko) 마이데이터를 이용한 개인 맞춤형 대행 포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Suzuki et al. Mortality salience and mobile voice calling: A case of a massive natural disaster
Smith et al. Communal innovations: Inspiring neighborhoods of hope and advocacy
JP6480556B1 (ja) 目標達成支援システムおよび目標達成支援プログラム
KR20200017031A (ko) 지식융합형 학습정보제공장치
Vicente et al. When should I call you? An analysis of differences in demographics and responses according to respondents’ location in a mobile CATI survey
KR102308448B1 (ko) 유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US11290405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ontextual keyword collective for communication events in a multicommunication platform environment
US10845970B2 (en)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storing program, method, and apparatus of visualizing information on topic for conversation
Hendy et al. From the street corner to call centre: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mental health-related calls for service received by pol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