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2634B1 -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 - Google Patents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2634B1
KR102282634B1 KR1020210014525A KR20210014525A KR102282634B1 KR 102282634 B1 KR102282634 B1 KR 102282634B1 KR 1020210014525 A KR1020210014525 A KR 1020210014525A KR 20210014525 A KR20210014525 A KR 20210014525A KR 102282634 B1 KR102282634 B1 KR 102282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handrail
base
post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준규
Original Assignee
우성안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성안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성안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4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6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01F13/022Pedestrian barriers; Barriers for channelling or controlling crow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01F13/024Removable barriers with permanently installed base members, e.g. to provide occasional passage
    • E01F13/026Detachable barrier bollards or parkin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Abstract

본 발명의 지하차도의 청소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에 관한 것으로서, 원형 파이프로 형성되는 한 쌍의 난간 지주와 상기 한 쌍의 난간 지주 사이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가로바를 포함하는 안전난간; 점검구 구간의 바닥에 설치되며, 일정 거리 이격된 한 쌍의 베이스판; 원형 파이프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베이스판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안전난간의 한 쌍의 난간 지주에 삽입되는 한 쌍의 베이스 지주; 상기 한 쌍의 베이스 지주 각각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안전난간의 난간 지주의 내면이 상기 한 쌍의 베이스 지주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난간 지주의 내면을 외측으로 가압하는 적어도 한 개의 스프링 플런저; 및 상기 한 쌍의 베이스 지주 각각의 상단에 설치되며, 원뿔대 형상을 갖는 안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은,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의 바닥에 고정된 한 쌍의 베이스 지주와 한 쌍의 베이스 지주에 삽입되는 한 쌍의 난간 지주를 구비한 안전난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안전난간을 한 쌍의 베이스 지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안전난간의 한 쌍의 난간 지주를 안내부를 이용하여 한 쌍의 베이스 지주에 쉽게 삽입할 수 있으므로, 분리된 안전난간을 지하차도의 점검구 구간에 쉽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지주에 삽입된 안전난간의 난간 지주는 적어도 한 개의 스프링 플런저에 의해 단단하게 지지되므로, 안전난간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Removable safety fence for inspection section of underground roadway}
본 발명은 안전난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차도의 점검구 구간에 사용되며 분리 가능한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에 관한 것이다.
지하차도는 통과하는 차량이 배출하는 배기 가스 등에 의해 내벽이 오염된다.
지하차도의 내벽이 오염되면 미관상 좋지 않으며, 지하차도 내부의 공기 오염을 가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하차도는 일정 기간 간격으로 청소차를 이용하여 내벽을 청소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차(200)에 설치된 회전 브러시(210)를 이용하여 지하차도(100)의 내부 측벽(101)을 청소할 수 있다.
이러한 지하차도(100)는 점검을 위하여 내부 측벽(101)에 인접하여 지하차도(100)를 점검할 수 있는 점검구 구간(103)이 마련되어 있다. 점검구 구간(103)에는 점검자의 안전을 위해 안전난간(110)이 설치된다.
도 1과 같이 회전 브러시(210)로 청소를 하는 경우에는, 안전난간(110)이 설치된 점검구 구간에 대응하는 지하차도 측벽(101)은 안전난간(110)때문에 회전 브러시(210)의 접근이 방해된다.
안전난간(110)의 뒤쪽에 위치하는 지하차도(100)의 측벽(101)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안전난간(110)을 분리하고, 회전 브러시(210)로 청소한 후 다시 안전난간(110)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앵커로 고정된 안전난간(110)의 베이스판을 풀었다가 다시 고정하여야 하므로, 작업에 많은 시간이 걸리고, 차량 통행에 방해가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안전난간(110)이 분리할 수 없는 구조인 경우에는, 청소차(200)의 회전 브러시(210)가 아니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지하차도(100)의 측벽(101)을 청소하여야 하므로 작업에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분리와 장착이 쉬우며,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차도의 점검구 구간에 설치되는 탈착식 안전난간에 있어서,
원형 파이프로 형성되는 한 쌍의 난간 지주와 상기 한 쌍의 난간 지주 사이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가로바를 포함하는 안전난간;
점검구 구간의 바닥에 설치되며, 일정 거리 이격된 한 쌍의 베이스판;
원형 파이프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베이스판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안전난간의 한 쌍의 난간 지주에 삽입되는 한 쌍의 베이스 지주;
상기 한 쌍의 베이스 지주 각각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안전난간의 난간 지주의 내면이 상기 한 쌍의 베이스 지주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난간 지주의 내면을 외측으로 가압하는 적어도 한 개의 스프링 플런저; 및
상기 한 쌍의 베이스 지주 각각의 상단에 설치되며, 원뿔대 형상을 갖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스프링 플런저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팁; 및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팁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팁은 상기 베이스 지주의 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안전난간의 난간 지주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스프링 플런저의 몸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스프링 플런저는 상기 베이스 지주의 내부에 설치된 적어도 한 개의 너트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베이스판 각각의 상면에는 상기 베이스 지주의 내부로 돌출되는 고정 브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스프링 플런저가 결합되는 적어도 한 개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난간의 난간 지주와 상기 베이스 지주 사이에 설치되며, 원형 파이프로 형성되는 보강 파이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 파이프는, 상기 보강 파이프의 내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 지주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스프링 플런저의 팁이 수용되는 안내홈; 및 상기 안내홈을 마주하도록 상기 보강 파이프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은,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의 바닥에 고정된 한 쌍의 베이스 지주와 한 쌍의 베이스 지주에 삽입되는 한 쌍의 난간 지주를 구비한 안전난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안전난간을 한 쌍의 베이스 지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은, 안전난간의 한 쌍의 난간 지주를 안내부를 이용하여 한 쌍의 베이스 지주에 쉽게 삽입할 수 있으므로, 분리된 안전난간을 지하차도의 점검구 구간에 쉽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은, 베이스 지주에 삽입된 안전난간의 난간 지주는 적어도 한 개의 스프링 플런저에 의해 단단하게 지지되므로, 안전난간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안전난간을 구비한 지하차도의 측벽을 청소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의 난간 지주와 베이스 지주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의 난간 지주와 베이스 지주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을 선 Ⅰ-Ⅰ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의 베이스 지주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의 난간 지주와 베이스 지주의 결합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의 난간 지주와 베이스 지주의 결합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부분 횡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의 난간 지주와 베이스 지주의 결합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을 선 Ⅱ-Ⅱ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횡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의 보강 파이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의 난간 지주와 베이스 지주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의 난간 지주와 베이스 지주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을 선 Ⅰ-Ⅰ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횡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의 베이스 지주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1)은 안전난간(10), 한 쌍의 베이스판(20), 한 쌍의 베이스 지주(3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난간(10)은 지하차도의 점검구 구간에서 분리 가능한 부분으로서, 한 쌍의 난간 지주(11)와 복수의 가로바(1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난간 지주(11)는 원형 파이프로 형성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복수의 가로바(13)는 한 쌍의 난간 지주(11) 사이에 난간 지주(11)와 수직하게 설치된다. 복수의 가로바(13)는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안전난간(10)의 경우에는 한 쌍의 난간 지주(11) 사이에 복수의 가로바(13)가 설치되어 있으나, 안전난간(10)의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 쌍의 난간 지주(11) 사이에는 복수의 가로바(13) 이외에 한 쌍의 난간 지주(11) 사이로 사람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이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베이스판(20)은 점검구 구간의 바닥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베이스판(20) 각각은 복수의 앵커볼트(21)로 점검구 구간의 바닥(103)에 고정될 수 있다.
한 쌍의 베이스 지주(30)는 원형 파이프로 형성되며, 한 쌍의 베이스판(20)의 상면에 설치된다. 한 쌍의 베이스 지주(30)에는 안전난간(10)의 한 쌍의 난간 지주(11)가 삽입된다. 따라서, 한 쌍의 베이스 지주(30)는 안전난간(10)의 한 쌍의 난간 지주(11)에 대응하도록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다.
베이스 지주(30)가 난간 지주(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베이스 지주(30)는 안전난간(10)의 난간 지주(11)의 안지름 보다 작은 바깥지름을 갖는 원형 파이프로 형성된다. 이때, 베이스 지주(30)가 안전난간(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난간 지주(11)의 안지름과 베이스 지주(30)의 바깥지름의 차이는 가능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하차도의 측벽을 청소할 때 베이스 지주(30)가 간섭되지 않도록, 베이스 지주(30)의 길이(L1)는 안전난간(10)의 난간 지주(11)의 길이(L2)보다 짧게 형성한다. 이를 위해 베이스 지주(30)의 길이(L1)는 난간 지주 길이(L2)의 20% 이하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전난간(10)의 높이, 즉 난간 지주(11)의 길이(L2)가 1100mm일 때, 베이스 지주(30)의 길이(L1)는 200mm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난간(10)의 한 쌍의 난간 지주(11)를 한 쌍의 베이스 지주(30)에 삽입하면 안전난간(10)을 지하차도의 점검구 구간의 바닥에 고정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 안전난간(10)을 들어 올리면, 안전난간(10)을 한 쌍의 베이스 지주(3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경우에는 탈착식 안전난간(1)의 제조원가를 줄이기 위해 난간 지주(11)와 베이스 지주(30)는 시판되는 원형 파이프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일반적 시판되는 원형 파이프는 규격 간의 지름 차이가 있으므로, 안전난간(10)의 난간 지주(11)를 베이스 지주(30)에 삽입한 경우, 난간 지주(11)와 베이스 지주(30)에 틈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난간 지주(11)와 베이스 지주(30)를 스테인레스 원형 파이프로 제작할 수 있다. 이때, 난간 지주(11)는 바깥지름이 50.8mm이고 두께가 1.5mm인 원형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난간 지주(11)의 안지름은 47.8mm이다. 난간 지주(11)의 안지름보다 작은 바깥지름을 갖는 바로 아래 규격의 원형 파이프의 바깥지름은 45mm이다. 따라서, 난간 지주(11)와 베이스 지주(30) 사이에는 2.8mm의 틈이 존재한다.
난간 지주(11)와 베이스 지주(30) 사이의 틈이 크면, 안전난간(10)의 난간 지주(11)를 베이스 지주(30)에 삽입하는 것은 쉬어지나, 안전난간(10)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 안전난간(10)에 흔들림이 크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시판되는 원형 파이프를 이용하여 난간 지주(11)와 베이스 지주(30)를 제작하는 경우에 안전난간(10)의 장착을 쉽게 하면서도 안전난간(10)의 흔들림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 지주(30)에는 난간 지주(11)에 일정한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한 개의 스프링 플런저(40)를 설치한다.
적어도 한 개의 스프링 플런저(40)는 베이스 지주(30)의 내부에 안전난간(10)의 난간 지주(11)의 내면의 일 부분이 베이스 지주(3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난간 지주(11)의 내면을 외측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한 개의 스프링 플런저(40)는 난간 지주(11)의 내면을 일측으로 가압하여, 스프링 플런저(40)에 의해 가압되는 난간 지주(11)의 부분과 대향하는 난간 지주(11)의 반대쪽 일 부분은 베이스 지주(30)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한다. 그러면, 난간 지주(11)의 하부가 적어도 한 개의 스프링 플런저(40)와 베이스 지주(30)에 의해 단단하게 지지되므로 안전난간(10)의 흔들림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다.
스프링 플런저(40)는 몸체(41)의 일단에 설치된 팁(42)이 일정 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스프링 플런저(4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몸체(41)와, 몸체(41)의 일단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팁(42), 및 팁(42)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43)을 포함할 수 있다.
팁(42)은 몸체(41)의 내부에 몸체(41)의 일단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팁(42)은 볼 형상 또는 선단이 돔 형상으로 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43)은 몸체(41)의 내부에 설치되며 팁(42)의 하단을 탄성 지지한다. 따라서, 스프링 플런저(40)의 팁(42)이 난간 지주(11)의 내면에 접촉하면, 스프링 플런저(40)는 난간 지주(11)의 내면을 일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적어도 한 개의 스프링 플런저(40)의 팁(42)이 난간 지주(11)의 내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베이스 지주(30)에는 적어도 한 개의 개구(31)가 마련된다. 적어도 한 개의 개구(31)는 베이스 지주(30)의 길이 방향으로 일직선 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플런저(40)의 팁(42)이 개구(31)를 통해 베이스 지주(30)의 외부로 돌출된다. 베이스 지주(30)의 개구(3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팁(42)은 안전난간(10)의 난간 지주(11)를 일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스프링 플런저(40)는 다양한 방법으로 베이스 지주(3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스프링 플런저(40)는 너트(60)를 이용하여 베이스 지주(30)의 내부에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너트(60)를 베이스 지주(30)의 내면에 용접으로 고정하고, 너트(60)에 스프링 플런저(40)를 체결하면, 스프링 플런저(40)를 베이스 지주(30)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너트(60)는 개구(31)가 형성된 베이스 지주(30)의 부분의 내면에 개구(31)와 너트(60)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설치한다. 또한, 너트(60)에 스프링 플런저(40)를 체결할 수 있도록 스프링 플런저(40)의 몸체(41)의 외주면에는 수나사(41a)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 예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브라켓(63)을 이용하여 적어도 한 개의 스프링 플런저(40)를 베이스 지주(30)의 내부에 고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의 난간 지주와 베이스 지주의 결합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고정 브라켓(63)은 베이스 지주(3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단은 베이스판(20)의 상면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고정 브라켓(63)을 베이스판(20)의 상면에 용접으로 고정하면, 고정 브라켓(63)은 베이스판(20)에 설치된 베이스 지주(30)의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63)에는 베이스 지주(30)의 적어도 한 개의 개구(31)에 대응하는 적어도 한 개의 구멍(65)이 형성된다. 적어도 한 개의 구멍(65)의 내면에는 스프링 플런저(40)의 외주면에 마련된 수나사에 대응하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 브라켓(63)의 구멍(65)에 스프링 플런저(40)를 체결하면, 베이스 지주(30)에 대해 스프링 플런저(4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고정 브라켓(63)을 용접으로 베이스판(20)에 고정하였으나, 고정 브라켓(63)을 베이스판(20)에 고정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고정 브라켓(63)은 볼트와 같은 체결요소를 사용하여 베이스판(20)에 고정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스프링 플런저(40)의 팁(42)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팁(4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팁(42)은 볼(ball)(또는, 공,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베이스 지주(30)에 2개의 스프링 플런저(40)가 설치되어 있으나, 스프링 플런저(4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베이스 지주(30)에는 한 개의 스프링(40) 플런저 또는 3개 이상의 스프링 플런저(40)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2개의 스프링 플런저(40)가 상하 방향으로 일직선 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복수의 스프링 플런저(40)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스프링 플런저(40)가 난간 지주(11)의 내부를 가압하여 난간 지주(11)의 내면 일부분이 베이스 지주(30)에 밀착되어 난간 지주(11)를 단단하게 지지할 수 있는한 다양하게 배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스프링 플런저(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지주(30)의 내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의 난간 지주와 베이스 지주의 결합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부분 횡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2개의 스프링 플런저(40)의 팁(42)이 난간 지주(11)의 내면과 접촉하는 2개의 접촉점(P1, P2)과 난간 지주(11)의 내면과 베이스 지주(30)의 외주면이 접하는 한 개의 접촉점(P3)이 삼각형 형상으로 3점 지지를 이루도록 2개의 스프링 플런저(40)를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스프링 플런저(40)를 이용하여 난간 지주(11)를 지지하면, 안전난간(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안전난간(10)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2개의 스프링 플런저(40)는 일직선을 이루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2개의 스프링 플런저(40)의 사이의 각도가 약 120도가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 지주(30)에는 스프링 플런저(40)의 팁(42)이 돌출되는 복수의 개구(31)가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2개의 스프링 플런저(40)가 120도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베이스 지주(30)에는 2개의 개구(31)가 베이스 지주(30)의 중심(O)을 기준으로 120도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스프링 플런저(40)는 동일 높이에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복수의 스프링 플런저(40)는 다른 높이에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2개의 스프링 플런저(40)가 너트(60)로 베이스 지주(30)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예로는, 베이스판(20)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63)을 이용하여 복수의 스프링 플런저(40)를 베이스 지주(30)의 내부에 고정할 수도 있다.
베이스 지주(30)의 상단에는 안내부(50)가 설치될 수 있다. 안내부(50)는 안내난간(10)의 난간 지주(11)를 베이스 지주(30)에 삽입할 때, 베이스 지주(30)가 난간 지주(1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안내부(50)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안내부(50)는 상단의 지름이 하단의 지름보다 작은 형태의 원뿔대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안내부(50)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탈착식 안전난간(1)은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의 바닥에 고정된 한 쌍의 베이스 지주(30)와 상기 한 쌍의 베이스 지주(30)에 삽입되는 한 쌍의 난간 지주(11)를 구비한 안전난간(10)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안전난간(10)을 한 쌍의 베이스 지주(3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안전난간(10)의 한 쌍의 난간 지주(11)를 안내부(50)를 이용하여 한 쌍의 베이스 지주(30)에 쉽게 삽입할 수 있으로, 분리된 안전난간(10)을 지하차도의 점검구 구간에 쉽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지주(30)에 삽입된 안전난간(10)의 난간 지주(11)는 복수의 스프링 플런저(40)에 의해 단단하게 지지되므로, 안전난간(10)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탈착식 안전난간(1)은 시판되는 원형 파이프를 이용하여 안전난간(10)의 난간 지주(11)와 베이스 지주(30)를 제작하므로, 난간 지주(11)의 안지름과 베이스 지주(30)의 바깥지름 사이의 틈이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난간 지주(11)와 베이스 지주(30) 사이의 틈이 너무 큰 경우에는 적어도 한 개의 스프링 플런저(40)만으로는 안내난간(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난간 지주(11)와 베이스 지주(30) 사이에 보강 파이프(70)를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보강 파이프(70)를 사용하는 탈착식 안전난간(1)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의 난간 지주와 베이스 지주의 결합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을 선 Ⅱ-Ⅱ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횡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의 보강 파이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1)은 안전난간(10), 한 쌍의 베이스판(20), 한 쌍의 베이스 지주(30), 한 쌍의 보강 파이프(7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난간(10), 한 쌍의 베이스판(20), 한 쌍의 베이스 지주(30)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탈착식 안전난간(1)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 쌍의 보강 파이프(70)는 안전난간(10)의 한 쌍의 난간 지주(11)와 한 쌍의 베이스 지주(30) 사이에 설치된다.
보강 파이프(70)는 원형 파이프로 형성되며, 베이스 지주(30)와 난간 지주(11)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지름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보강 파이프(70)의 안지름은 베이스 지주(30)의 바깥지름보다 크며, 보강 파이프(70)의 바깥지름은 난간 지주(11)의 안지름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강 파이프(70)는 안내홈(71)과 복수의 돌기(72)를 포함할 수 있다.
안내홈(71)은 보강 파이프(70)의 내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마련되며, 베이스 지주(3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적어도 한 개의 스프링 플런저(40)의 팁(42)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베이스 지주(30)에 설치된 적어도 한 개의 스프링 플런저(40)의 팁(42)은 안내홈(71)의 바닥면에 접촉하여 보강 파이프(70)를 외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스프링 플런저(40)가 복수 개인 경우, 복수의 스프링 플런저(40)는 베이스 지주(30)의 길이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72)는 안내홈(71)을 마주하도록 보강 파이프(7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72)는 보강 파이프(70)의 외주면에 보강 파이프(70)의 길이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72)는 안내홈(71)과 180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지주(30)에 보강 파이프(70)를 삽입할 때, 안내홈(71)이 베이스 지주(30)에서 돌출된 적어도 한 개의 스프링 플런저(40)의 팁(42)과 일치하도록 한다. 그러면, 보강 파이프(70)를 베이스 지주(30)에 쉽게 삽입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난간 지주(11)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보강 파이프(70)의 상단에는 안내부를 마련할 수 있다. 안내부는 상술한 베이스 지주(30)의 안내부와 유사하게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복수의 돌기(72)는 보강 파이프(7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내홈(71)과 복수의 돌기(72)가 난간 지주(11)를 3점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돌기(72)를 보강 파이프(70)의 외주면에 형성할 수 있다.
보강 파이프(70)를 베이스 지주(30)에 삽입하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돌기(72)에 대응하는 보강 파이프(70)의 내면의 일 부분이 베이스 지주(30)의 외주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안전난간(10)의 난간 지주(11)를 베이스 지주(30)에 삽입하면, 난간 지주(11)는 보강 파이프(70)의 외측에 삽입된다. 즉, 난간 지주(11)의 일부분은 보강 파이프(70)의 복수의 돌기(72)와 접촉하고, 복수의 돌기(72)와 접촉하는 부분과 마주하는 난간 지주(11)의 반대쪽 부분은 보강 파이프(70)의 안내홈에 대응하는 보강 파이프(70)의 외주면의 일부분에 접촉하게 된다. 즉, 베이스 지주(30)와 난간 지주(11) 사이의 틈에 보강 파이프(70)가 개재되어 난간 지주(11)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베이스 지주(30)와 난간 지주(11) 사이의 틈이 큰 경우에도 안전난간(10)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보강 파이프는 베이스 지주와 난간 지주 사이의 틈이 5mm 이상인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베이스 지주와 난간 지주 사이의 틈이 5mm 미만인 경우에는, 보강 파이프를 사용하지 않는 상술한 실시예로 안전난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은 다양하게 수정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
10; 안전난간 11; 난간 지주
20; 베이스판 30; 베이스 지주
31; 개구 40; 스프링 플런저
41; 몸체 42; 팁
50; 안내부 60; 너트
63; 고정 브라켓 70; 보강 파이프
71; 안내홈 72; 돌기

Claims (5)

  1. 지하차도의 점검구 구간에 설치되는 탈착식 안전난간에 있어서,
    원형 파이프로 형성되는 한 쌍의 난간 지주와 상기 한 쌍의 난간 지주 사이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가로바를 포함하는 안전난간;
    점검구 구간의 바닥에 설치되며, 일정 거리 이격된 한 쌍의 베이스판;
    원형 파이프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베이스판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안전난간의 한 쌍의 난간 지주에 삽입되는 한 쌍의 베이스 지주;
    상기 한 쌍의 베이스 지주 각각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안전난간의 난간 지주의 내면이 상기 한 쌍의 베이스 지주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난간 지주의 내면을 외측으로 가압하는 적어도 한 개의 스프링 플런저; 및
    상기 한 쌍의 베이스 지주 각각의 상단에 설치되며, 원뿔대 형상을 갖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안전난간의 난간 지주와 상기 베이스 지주 사이에 설치되고 원형 파이프로 형성되는 보강 파이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 파이프는, 상기 보강 파이프의 내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 지주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스프링 플런저의 팁이 수용되는 안내홈; 및 상기 안내홈을 마주하도록 상기 보강 파이프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스프링 플런저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팁; 및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팁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팁은 상기 베이스 지주의 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안전난간의 난간 지주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스프링 플런저의 몸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스프링 플런저는 상기 베이스 지주의 내부에 설치된 적어도 한 개의 너트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베이스판 각각의 상면에는 상기 베이스 지주의 내부로 돌출되는 고정 브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스프링 플런저가 결합되는 적어도 한 개의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
  5. 삭제
KR1020210014525A 2021-02-02 2021-02-02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 KR102282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525A KR102282634B1 (ko) 2021-02-02 2021-02-02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525A KR102282634B1 (ko) 2021-02-02 2021-02-02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2634B1 true KR102282634B1 (ko) 2021-07-28

Family

ID=77126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525A KR102282634B1 (ko) 2021-02-02 2021-02-02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6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340B1 (ko) 2022-05-13 2022-08-23 (주)신한에스엔지 탈부착이 용이한 방재용 가설교량 난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3123A (ja) * 1997-09-22 1999-04-06 Teikin Kk 柵 体
US20040025460A1 (en) * 2002-08-06 2004-02-12 Terrels Christopher J. Post assembly and trim ring
KR101959670B1 (ko) * 2018-04-24 2019-03-18 김성길 탄성재를 이용한 안전 기둥이 적용된 금속재 울타리
KR102109903B1 (ko) * 2019-02-12 2020-05-12 (주) 나무들 데크 난간 기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3123A (ja) * 1997-09-22 1999-04-06 Teikin Kk 柵 体
US20040025460A1 (en) * 2002-08-06 2004-02-12 Terrels Christopher J. Post assembly and trim ring
KR101959670B1 (ko) * 2018-04-24 2019-03-18 김성길 탄성재를 이용한 안전 기둥이 적용된 금속재 울타리
KR102109903B1 (ko) * 2019-02-12 2020-05-12 (주) 나무들 데크 난간 기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340B1 (ko) 2022-05-13 2022-08-23 (주)신한에스엔지 탈부착이 용이한 방재용 가설교량 난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2634B1 (ko) 지하차도 점검구 구간용 탈착식 안전난간
US5468105A (en) Ceiling insert
CN101146967B (zh) 用于将天花板面板附装至t形栅架的夹头
US5386675A (en) Concrete beam connection sleeve
KR101217358B1 (ko) 마루 받침장치
KR101511902B1 (ko) 페데스탈 및 클린룸의 플로어 시스템
KR101556232B1 (ko) 지지대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
US5209167A (en) Trolley wheel assembly and housing having injection molded plastic parts
KR100889599B1 (ko) 가로등의 베이스 플레이트 결합장치
KR101570677B1 (ko) 하이브리드 받침철물
US9297408B2 (en) Coupling spacer, assembly, and method
KR200332599Y1 (ko) 분리 및 결합이 간편한 가로등
KR101808460B1 (ko) 데크로드의 조립식 난간 구조
KR102239684B1 (ko) 차량용 매트 고정장치
US6378141B1 (en) Toilet bowl stabilizer
KR102153229B1 (ko) 볼트 체결 구조 및 그를 포함하는 방진 장치
KR20070092576A (ko) 건물의 보 시스템 지지장치
KR200447579Y1 (ko) 차로 표시장치
KR20100034577A (ko) 시스템 서포트
KR200147555Y1 (ko) 구조물 지지용 지지대
CN111906562A (zh) 车钩夹持装置
JPH1068232A (ja) 仮囲い支柱支持金具
KR102344221B1 (ko) 나노 에어로졸용 노즐
KR200295110Y1 (ko) 지하철 환기구용 이물질투입 방지장치
JP3026647U (ja) マンホ―ルの踊り場支持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