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0677B1 - 하이브리드 받침철물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받침철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0677B1
KR101570677B1 KR1020140124039A KR20140124039A KR101570677B1 KR 101570677 B1 KR101570677 B1 KR 101570677B1 KR 1020140124039 A KR1020140124039 A KR 1020140124039A KR 20140124039 A KR20140124039 A KR 20140124039A KR 101570677 B1 KR101570677 B1 KR 101570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upling
support member
supporting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정현
Original Assignee
(주)대산시스템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산시스템산업 filed Critical (주)대산시스템산업
Priority to KR1020140124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06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483Supporting 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공사에서 건물의 층간 슬라브(slab) 및 보(Beam), 교량의 상판(slab) 등의 타설된 콘크리트가 소정의 강도를 얻기까지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가설기자재 중 받침철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스템동바리 최상부에는 멍에재를 삽입하고 고정시키는 받침철물(=U헤드)이 구비되어, U헤드에 멍에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배치 되도록 하는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에 관한 것으로, 멍에가 삽입되는 상부 개방된 형상의 받침대와, 상기 멍에의 측면부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받이부와; 외주면이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상단이 상기 받침대의 하부에 접합되는 나사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동적구조물 없이 고정된 구조만으로 멍에가 1열 및 2열로 배치될 수 있는 받이부를 제공하여, 내구성 및 사용성이 향상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받침철물 {Hybird U-Head Jack}
본 발명은 건설공사에서 건물의 층간 슬라브(slab) 및 보(Beam), 교량의 상판(slab) 등의 타설된 콘크리트가 소정의 강도를 얻기까지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가설기자재 중 받침철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스템동바리 최상부에는 멍에재를 삽입하고 고정시키는 받침철물(=U헤드)이 구비되어, U헤드에 멍에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배치 되도록 하는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또는 구조물의 수평으로 설치되는 슬라브(slab) 및 보(Beam)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수직으로 세워지는 건축물 또는 구조물의 벽체 또는 기둥이 형성된 상태에서 그 벽체 및 기둥에 대하여 직교 되는 수평 방향으로 거푸집을 설치하고, 이 거푸집의 하부에는 상부의 수직하중을 균등하게 분배하는 수평부재로서 장선과 멍에를 서로 교차 되는 방향으로 상하 배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치된 멍에의 하부 측에는 U헤드를 설치하여 멍에를 받쳐 지지함으로써 거푸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U헤드는 멍에의 유동으로 편심하중이 작용되어 시스템동바리 구조체를 변형시켜 하중 분산이 힘들게 되며, 결국 안정성이 저하되는 등의 구조적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3729호 (종래기술 1)에는 지지브라켓에 한개의 멍에만 올려놓거나 두개의 멍에를 올려놓음에 관계없이 지지브라켓에 올려진 멍에를 중앙부에 고정하여 멍에의 유동을 방지하는 기술이 게시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기술 1에 따른 시스템동바리 U헤드의 사시도이다. 그러나 멍에를 볼트체결로 고정함에 따라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72650호 (종래기술 2)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탄성체를 이용한 편심하중 방지용 U헤드 기술이 게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 2에서는 U헤드 채널의 마주보는 측벽의 내측 단부에 스프링과 스프링의 양단부에 고정용 철판이 고정구성된 스프링탄성체가 결합구성 되도록 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멍에의 삽입 및 해체 작업시 탄성부재에 변형력을 가해야 하므로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멍에를 2열 배치하는 경우, 가해져야 하는 변형력이 극대화되므로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반복시공으로 인해 스프링탄성체의 탄성복원력이 감소함에 따라 내구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3729호 (종래기술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72650호 (종래기술 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동적구조물을 없애 고정된 구조만으로 멍에가 1열 배치되거나 2열 배치되는 받이부를 제공하여, 특히 멍에가 1열 배치되는 경우 멍에의 위치가 정확하게 받이부의 중심에 배치되는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고유 형태의 받이부가 구비되어, 멍에의 배치에 따라 받이부의 방향만 변경됨에 따라 받이부의 형태가 변형되는 부분이 없어 내구성이 뛰어나고 시공성이 용이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지지대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함에 따라, 시스템동바리 구조체의 해체 작업시 손상되는 부품의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구조물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안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채널 형상으로 형성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개방측면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받이부와; 상단이 상기 받이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받이부를 바닥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나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지지부재의 하면이 안착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양단부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이탈을 방지하는 차페측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받이부가 두개의 지지부재들을 병렬로 지지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면은 상기 차폐측면부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면은 지지부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받이부가 한개의 지지부재를 지지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면이 각각 상기 차폐측면부 단부와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하나의 지지부재가 받이부상에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면이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부 단부에 각각 지지되도록 상기 받침대의 개방측면부 외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하나의 판형부재가 절곡되어 결합부와 지지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는, 하나의 봉부재가 절곡되어 결합부와 지지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봉부재는,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갖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는, 일측이 상기 받침대 하단에 고정되는 판형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방으로 돌출된 봉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결합부에 용접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압입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되고, 상기 결합부와 접합면이 용접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 및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공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와 결합부가 나사결합하여 서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지지부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와 상기 너트의 나사결합에 의해 체결되어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결합부 외측 단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결합부와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차폐측면부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는, 상기 결합부 외측 단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결합부와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차폐측면부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결합부 외측 단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결합부와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차폐측면부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동적구조물을 없애 고정된 구조만으로 멍에가 1열 배치되거나 2열 배치되는 받이부를 제공하여, 특히 멍에가 1열 배치되는 경우 멍에의 위치가 정확하게 받이부의 중심에 배치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고유 형태의 받이부가 제공되어, 멍에의 배치에 따라 받이부의 방향만 변경됨에 따라 받이부의 형태가 변형되는 부분이 없어 내구성이 뛰어나고 시공성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 1에 따른 시스템서포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 2에 따른 편심하중 방지용 유헤드잭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대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두개의 지지부재들을 병렬로 지지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한개의 지지부재를 지지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을 구성하는 지지대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해 한개의 지지부재가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에 있어, 분리가능한 지지대가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의 분리가능한 지지대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의 분리가능한 지지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분리가능한 지지대가 설치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에 두개의 지지부재들이 병렬로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분리가능한 지지대가 설치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에 한개의 지지부재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대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두개의 지지부재들을 병렬로 지지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한개의 지지부재를 지지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은 지지부재(S)를 지지하는 받이부(10)와 상기 받이부(10)를 바닥부로(22)부터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나사부(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받이부(10)는 지지부재(S)가 안착되는 받침대(20)와 상기 받침대(20) 측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부재(S)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S)란 타설된 콘크리트가 소정의 강도를 얻기까지 거푸집을 지지하고 상부의 수직하중을 균등하게 분배하는 수평부재로, 일반적으로 당업계에서는 멍에라고 표현된다. 통상, 상기 지지부재(S)는 사각단면의 관또는 봉부재가 널리 사용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지지부재(S)가 사각단면을 갖는 부재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 지지부재(S)가 I형 빔, H형 빔 등 다양한 단면의 부재들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받침대(20)는 상부 구조물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재(S)가 안착되어 양측면이 지지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채널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받침대(20)는 판부재로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재(S)의 하면이 안착되는 바닥부(22)와 상기 바닥부(22)의 양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재(S)의 측면이탈을 방지하는 차페측면부(24)플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받침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측면이 형성되는데 이를 설명의 편의상 개방측면부(도면부호 미부여)라 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대(30)는 다양한 형태와 구성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 이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30)는 하나의 판형부재가 절곡되어 상기 받침대(20)에 결합되는 결합부(32)와 상기 지지부재(S)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34)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32)는 상기 받침대(20)와 결합함에 있어서 일반적으로는 용접결합되나, 별도의 결속부재를 이용하여 결속되는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지지부(34)는 지지부재(S)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34)는 상기 차폐측면부(24)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이는 받이부(10)에 지지부재(S)를 지지함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4)에 의해 지지부재(S)가 안착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을 적치하거나 탈거시, 외부충격이 상기 지지부(34)에 가해져 상기 받이부(10) 구성 부분 중 상대적으로 강성이 약한 상기 지지부(34)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받이부(10) 상에 지지부재(S)가 1열 및 2열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34)의 기능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이부(10)가 두개의 지지부재(S)들을 병렬로 지지하는 경우, 각각의 지지부재(S) 일측면은 상기 차폐측면부(24)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면은 상기 지지부(34)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34)는 상기 지지부재(S)를 각각 상기 바닥부(22) 중심으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이격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하여, 지지부재(S)의 하중 중심이 상기 바닥부(22) 중심에 위치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이부(10)가 한개의 지지부재(S)를 지지하는 경우, 일측 차폐측면부(24) 단부로부터 개방측면부(도면부호 미부여)방향으로 일측 지지대(30) 사이의 공간과 타측 차폐측면부(24) 단부로부터 개방측면부(도면부호 미부여)방향으로 타측 지지대(30) 사이의 공간에 상기 지지부재(S)가 가로질러 배치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S) 기준으로 살펴보면, 상기 지지부재(S)의 양측면이 각각 상기 차폐측면부(24) 단부와 상기 지지부(34)에 의해 지지된다. 이는 상기 지지부재(S)가 상기 바닥부(22)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지지부재(S)의 회전방향을 상기 차폐측면부(24)단부와 지지부(34)가 구속하여 상기 지지부재(S)가 내부에서 회전 및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은, 동적구조물을 부가하지 않고 정적 구조만을 이용하여 고유한 형태의 받이부(10)를 제공하여 1열 및 2열 배치되는 상기 지지부재(S)를 지지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재(S)의 배치에 따라 받이부(10)의 방향만 변형될 뿐 형태가 변형되지 않으므로 내구성 및 시공용이성이 확보되는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을 제공한다. 특히 받이부(10)가 한개의 지지부재(S)를 지지하는 경우, 지지부재(S)의 위치가 정확하게 받이부(10)의 중심에 배치되어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에 편심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을 구성하는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을 구성하는 지지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310)는 하나의 원형봉부재가 절곡되어 결합부(312)와 지지부(314)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원형봉 형태의 지지대(310)는, 판형 지지대(30)에 비하여 모서리부분에 의한 지지부재의 손상(찍힘 등)을 방지하고, 지지부재(S)를 삽입하는 시공성 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으나, 상기 결합부(312)와 상기 바닥부(22)사이의 용접 공정이 비교적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310)는 원형 뿐만 아니라 다각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자명한 것이며, 상기 지지부(314)가 상기 차폐측면부(24)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을 구성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을 구성하는 지지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대의 또 다른 실시예가 한개의 지지부재를 지지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320)는 일측이 상기 받침대 하단에 고정되는 판형부재로 형성되는 결합부(322)와, 상기 결합부(322)에 결합되어 상방으로 돌출된 봉부재로 형성되는 지지부(3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부(322)는 상기 받침대(20)의 바닥부(22)와 결합을 위한 용접 시공이 용이해지고 상기 지지부(324)는 지지부재(S)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지지부재(S)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을 구성하는 지지대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해, 상기 받이부(10)가 한개의 지지부재(S)를 지지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재(S)의 양측면이 각각 상기 차폐측면부(24) 단부와 상기 지지부(324)에 의해 지지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이때 상기 지지부재(S) 측면과 접하는 상기 지지대(320)은 원통형의 측면부를 갖으므로, 지지부재(S)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324)는 상기 결합부(322) 외측 단부로부터 상기 바닥부(22)쪽으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결합부(322)와 결합된다. 이는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이 개방측면부(도면부호 미부여)쪽으로 넘어지는 경우, 직접적인 충격이 상기 지지부(324)가 아닌 상기 결합부(322)에 가해지도록 하여 상대적으로 취약한 지지부(324)가 충격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받침대의 규격은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는 바, 상기 받침대(20) 폭이 비교적 좁거나, 상기 지지부재(S) 폭이 넓은 경우에는 상기 지지부재(S)가 상기 한쌍의 지지대(320)를 가로질러 배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대(320)는 상기 받침부(20) 개방측면부(도면부호 미부여)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320)는 결합부(322)가 판형부재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받침대(20)의 바닥부(22)와 용접 결합이 용이해지고, 상기 지지부(324)가 봉부재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S)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지지부재(S)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대(320)는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어, 비교적 취약부분인 상기 지지부(324) 손상시에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해진다. 이에따라 시공성이 확보되고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324)는 상기 차폐측면부(24)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어서, 상기 지지부(324)와 상기 결합부(322)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는데, 대표적인 3가지 방법에 의해서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첫번째는 별도로 되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원형봉부재의 상기 지지부 하단면이 판형인 상기 결합부 상면에 직접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와 상기 결합부의 결합 공정은 단순화되어 제작 공정이 단순해지는 장점은 있으나, 상기 지지부와 상기 결합부의 결합력이 비교적 약해지는 단점이있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부(324)와 상기 결합부(322)의 두번째 결합 방법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부(322)에 볼트형태의 봉부재로 형성된 지지부(324)를 결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부(324)는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322)와 결합되는데, 상기 지지부(324)는 상기 결합공에 압입에 의해 삽입 및 고정될 수도 있으며, 다르게는 상기 결합공에 상기 지지부(324)를 삽입후 접촉면을 용접에 의해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지지부(334)와 상기 결합부(332)의 세번째 결합 방법은,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34)와 상기 결합부(332)가 나사결합하여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에 있어, 분리가능한 지지대가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의 분리가능한 지지대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의 분리가능한 지지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분리가능한 지지대가 설치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에 두개의 지지부재들이 병렬로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분리가능한 지지대가 설치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에 한개의 지지부재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34)가 결합부(332)로부터 체결 및 분리가능한 구성은 다양한 형태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대표적으로 두 가지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지지부(334)가 상기 결합부(332)로부터 체결 및 분리가능한 제 1실시예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트형태의 지지부(334)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332)의 결합공(도면부호 미부여)에는 이에 대응되는나사산이 형성되어 서로 나사결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부(334)가 상기 결합부(332)로부터 체결 및 분리가능한 제 2실시예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실시예에 너트(33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334)와 나사결합되는 너트(336)에 의해 체결되어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다.
이때, 상기 결합부(332)의 결합공 내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체결 및 분리 가능한 지지대의 두 실시예 모두 상기 지지부(334)가 상기 차폐측면부(24)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대(332)는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함에 따라, 비교적 취약부분인 상기 지지부(334) 손상시에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해진다. 이에 따라 시공성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되는 하이브리드 가설 지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324)는 상기 결합부(322) 외측 단부로부터 상기 바닥부(22)쪽으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결합부(322)와 결합되는 것 역시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받침대(20)의 규격은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는 바, 상기 받침대(20) 폭이 비교적 좁거나, 상기 지지부재(S) 폭이 넓은 경우에는 상기 지지부재(S)가 상기 한쌍의 지지대(320)를 가로질러 배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대(320)는 상기 받침부(20)의 개방측면부(도면부호 미부여)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도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건설공사에서 건물의 층간 슬라브(slab) 및 보(Beam), 교량의 상판(slab) 등의 타설된 콘크리트가 소정의 강도를 얻기까지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가설기자재 중 받침철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동적구조물을 없애 고정된 구조만으로 멍에가 1열 배치되거나 2열 배치되는 받이부를 제공하여, 내구성 및 사용성이 향상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 받이부 20 : 받침대
22 : 바닥부 24 : 차폐측면부
30, 310, 320, 330 : 지지대 32, 312, 322, 332 : 결합부
34, 314, 324, 334 : 지지부 40 : 나사부
41 : 리브 42 : 핸들
S : 지지부재

Claims (21)

  1. 구조물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안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채널 형상으로 형성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개방측면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받이부와;
    상단이 상기 받이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받이부를 바닥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나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받침철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지지부재의 하면이 안착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양단부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이탈을 방지하는 차폐측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받침철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받침철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받이부가 두개의 지지부재들을 병렬로 지지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면은 상기 차폐측면부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면은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받침철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받이부가 한개의 지지부재를 지지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면이 각각 상기 차폐측면부 단부와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받침철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하나의 지지부재가 받이부상에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면이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부 단부에 각각 지지되도록 상기 받침대의 개방측면부 외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받침철물.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하나의 판형부재가 절곡되어 결합부와 지지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받침철물.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하나의 봉부재가 절곡되어 결합부와 지지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받침철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봉부재는,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받침철물.
  10.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일측이 상기 받침대 하단에 고정되는 판형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방으로 돌출된 봉부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받침철물.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결합부에 용접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받침철물.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압입되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받침철물.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되고, 상기 결합부와 접합면이 용접되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받침철물.
  14.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 및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공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와 결합부가 나사결합하여 서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받침철물.
  15.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와 상기 결합부는,
    상기 너트의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받침철물.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결합부 외측 단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결합부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받침철물.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차폐측면부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받침철물.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결합부 외측 단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결합부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받침철물.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차폐측면부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받침철물.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결합부 외측 단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결합부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받침철물.
  21.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차폐측면부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받침철물.
KR1020140124039A 2014-09-18 2014-09-18 하이브리드 받침철물 KR101570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039A KR101570677B1 (ko) 2014-09-18 2014-09-18 하이브리드 받침철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039A KR101570677B1 (ko) 2014-09-18 2014-09-18 하이브리드 받침철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0677B1 true KR101570677B1 (ko) 2015-11-20

Family

ID=54844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039A KR101570677B1 (ko) 2014-09-18 2014-09-18 하이브리드 받침철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06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77695A1 (es) * 2017-02-03 2018-08-06 Sistemas Tecnicos De Encofrados, S.A. Cabezal para puntal
KR102260523B1 (ko) * 2020-11-05 2021-06-03 (주)유니언이엔지 멍에재 결속 및 전도방지용 핀 구멍을 구비하는 받침 철물
KR102610232B1 (ko) 2023-06-16 2023-12-06 주식회사 휴스템 받침철물용 u헤드잭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530B1 (ko) 2010-08-23 2011-05-11 황그네 천장 거푸집 지지용 써포트의 안전키트
JP2013014907A (ja) 2011-07-01 2013-01-24 Maxstone Kk 床パネル位置決めキャップ
KR101415915B1 (ko) 2013-10-04 2014-07-04 (주)베이스테크 건축용 서포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530B1 (ko) 2010-08-23 2011-05-11 황그네 천장 거푸집 지지용 써포트의 안전키트
JP2013014907A (ja) 2011-07-01 2013-01-24 Maxstone Kk 床パネル位置決めキャップ
KR101415915B1 (ko) 2013-10-04 2014-07-04 (주)베이스테크 건축용 서포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77695A1 (es) * 2017-02-03 2018-08-06 Sistemas Tecnicos De Encofrados, S.A. Cabezal para puntal
WO2018142004A1 (es) * 2017-02-03 2018-08-09 Sistemas Tecnicos De Encofrados, S.A. Cabezal para puntal
US11230851B2 (en) 2017-02-03 2022-01-25 Sistemas Tecnicos De Encofrados, S.A. Head for a prop
KR102260523B1 (ko) * 2020-11-05 2021-06-03 (주)유니언이엔지 멍에재 결속 및 전도방지용 핀 구멍을 구비하는 받침 철물
KR102610232B1 (ko) 2023-06-16 2023-12-06 주식회사 휴스템 받침철물용 u헤드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6232B1 (ko) 지지대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
KR101570677B1 (ko) 하이브리드 받침철물
JP2015092114A (ja) 挟締金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部材の固定構造
JP5078493B2 (ja) 天井用補強金具とそれを用いた吊り天井
KR101172650B1 (ko) 편심하중 방지용 유해드잭
KR100926750B1 (ko) 보 거푸집 및 그 시공 방법
KR101421824B1 (ko) 원심성형 기둥용 철골보 및 기둥 동시 접합구조
KR101833293B1 (ko) 이중 바닥 패널 지지용 포스트
KR200479787Y1 (ko) 시스템 동바리 유헤드 고정 장치
KR20150016009A (ko) 건물 외장재 설치용 구조물
KR101488790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분리형 교량 받침장치
KR20160133151A (ko) 가변 앵커
JP4471951B2 (ja) 柱状構造物及びその支持体
JP5715815B2 (ja) 建物ユニットの保管用支持具
CN206438389U (zh) 墩柱用连接支架组件
KR101847900B1 (ko) 체결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바닥 패널 지지용 구조물
JP6748418B2 (ja) 耐力壁構造
KR102513956B1 (ko) 교량설치를 위한 까치발 구조체
US20110167747A1 (en) Ceiling with stabilizing frame
KR102382182B1 (ko) 이중 마루용 레벨링 포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 마루 설치 구조
JP5559854B2 (ja) 柱脚部構造及び柱脚部と横架材との連結装置
CN218117214U (zh) 一种装配式楼承板边模支撑架
JP2001027282A (ja) 免震部材の位置調整方法および装置
KR101761277B1 (ko) 철골보 횡좌굴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횡좌굴 방지 철골보
KR200408544Y1 (ko) 거푸집판 체결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