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599B1 - 가로등의 베이스 플레이트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가로등의 베이스 플레이트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599B1
KR100889599B1 KR1020080070013A KR20080070013A KR100889599B1 KR 100889599 B1 KR100889599 B1 KR 100889599B1 KR 1020080070013 A KR1020080070013 A KR 1020080070013A KR 20080070013 A KR20080070013 A KR 20080070013A KR 100889599 B1 KR100889599 B1 KR 100889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coupling
sleeve
fastening
street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철
백운창
Original Assignee
알루텍 (주)
예렘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루텍 (주), 예렘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알루텍 (주)
Priority to KR1020080070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5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등의 베이스 플레이트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가로등을 구성하면서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에 가로등 등주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내부에 슬리브(150)가 구비되는 가로등 등주(10)와, 이 가로등 등주(10)가 삽입되면서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0)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상기 슬리브(150)는 원주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돌출,형성되는 결합홈(151)과, 슬리브(150)의 내부에 하나 이상 형성되면서 체결부재(140)가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홈(15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로등 등주(10)의 둘레면을 따라 안쪽방향으로는 상기 슬리브(150)의 결합홈(151)에 끼워지도록 하는 결합돌기(11)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판(110)과;
상기 베이스판(110)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상향,돌출되게 형성되면서 가로등 등주(1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삽입부(120)와; 상기 베이스판(110)과 삽입부(120)의 외부 둘레를 따라 형성된 덮개부(130)와; 가로등 등주(10)와 삽입부(120)가 체결부재(140)를 통해 결합되는 덮개부(130)의 위치에 형성되는 공간부(131)를 덮어서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착탈가능하게 하나 이상 구비되면서, 양 측면(133)에 결합홈(134)이 형성되고, 공간부(131)의 양측면에 종방향으로 상기 결합홈(134)에 끼워지도록 하는 결합돌기(131a)가 형성되는 뚜껑부재(132);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가로등을 구성하는 가로등 등주와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체결부재에 의해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베이스판, 삽입부, 덮개부를 주물로 제작하여 일체화하여 더욱 견고한 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가로등, 등주, 베이스 플레이트, 조립, 볼트, 너트, 슬리브

Description

가로등의 베이스 플레이트 결합장치{Base Plate Assembly of Street Light}
본 발명은 가로등의 베이스 플레이트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가로등을 구성하면서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에 가로등 등주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은 교통의 안전과 보안을 위해서 도로와 인도의 경계부위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한 조명설비로서, 고속도로, 일반 시내도로, 상업 및 주택지구의 도로등에 설치된다.
이러한 가로등(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수직하게 세워지는 가로등 등주(10)와, 상기 가로등 등주(10)의 상면에 설치되는 등기구(20)와, 상기 가로등 등주(10)를 지면에 고정하기 위해 가로등 등주(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에 매설된 콘크리트위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재(31)와, 이 베이스부재(31)의 상면에 소정 높이로 세워지면서 상기 가로등 등주(10)의 원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구비되어 지지 하는 리브(3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베이스 플레이트(30)는 상기 리브(32)의 외면을 감싸도록 하여 보이지 않도록 덮개부재(33)를 구비한 구조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31)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체결공(31a)이 형성되어 앵커볼트(도 1 및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음) 등으로 지면에 고정하였다.
상기 리브(32)는 가로등 등주(10) 및 베이스부재(31)사이에 고정시킬때, 용접작업을 통해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가로등(1)은, 베이스부재(31)와 리브(32)를 각각 판재가공을 통해 제조하여 부착하는데, 리브(32)를 가로등 등주(10)의 외면과 베이스부재(31)면에 각각 용접하여 고정하였다.
따라서, 용접부위에 피로응력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 구조적 위험요소가 되었으며, 용접처리에 따른 비용도 과다하게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가로등 등주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결합시, 체결부재인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조립하면서도 확실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 자체의 구조도 개선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내부에 슬리브가 구비되는 가로등 등주와, 이 가로등 등주가 삽입되면서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상기 슬리브는 원주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돌출,형성되는 결합홈과, 슬리브의 내부에 하나 이상 형성되면서 체결부재가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로등 등주의 둘레면을 따라 안쪽방향으로는 상기 슬리브의 결합홈에 끼워지도록 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상향,돌출되게 형성되면서 가로등 등주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삽입부와;
상기 베이스판과 삽입부의 외부 둘레를 따라 형성된 덮개부와;
가로등 등주와 삽입부가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덮개부의 위치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덮어서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착탈가능하게 하나 이상 구비되면서, 양 측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공간부의 양측면에 종방향으로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도록 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뚜껑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
상기 공간부에 해당하는 삽입부에는 평평하게 형성된 체결면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뚜껑부재의 하단 중앙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연장편이 구비되고, 상기 뚜껑부재의 연장편이 접촉하는 덮개부의 해당 위치에는 끼움홈 및 체결공이 형성되어서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되므로써 상기 뚜껑부재를 끼우면 덮개부의 표면과 동일한 표면이 형성되도록 한 구조이다.
또한, 상기 가로등 등주의 내부에 구비되는 슬리브의 원주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돌출,형성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로등을 구성하는 가로등 등주와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체결부재에 의해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베이스판, 삽입부, 덮개부를 주물로 제작하여 일체화하여 더욱 견고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덮개부에 복수 형성된 뚜껑부재에 의해 가로등 등주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체결부위에 구비되는 체결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상 깨끗한 인상을 줄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 결합장치를 도시한 일부 절개 결합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 결합장치의 일부 분리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 결합장치를 수직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 결합장치를 도 3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C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 결합장치의 슬리브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 결합장치의 슬리브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로등(1)의 베이스 플레이트 결합장치로서, 가로등 등주(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지면 에 고정되는 베이스판(110)과, 상기 베이스판(110)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상향,돌출되게 형성되면서 가로등 등주(1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삽입부(120)와, 상기 베이스판(110)과 삽입부(120)의 외부 둘레를 따라 형성된 덮개부(130)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가로등 등주(10)의 둘레면에는 안쪽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결합돌기(1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11)는 가로등 등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가로등 등주(1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어서 전체길이를 이루도록 여러 유닛을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가로등 등주(10)가 하나로 구성되지 않고, 여러개로 분할되어 결합된 구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11)는 가로등 등주(10)의 둘레면을 안쪽 중심방향으로 향하도록 절곡되어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가로등 등주(10)의 외부에서 볼때에는 홈의 형태를 갖추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는 후술하는 슬리브(150)에도 대응되는 결합홈(151)이 복수,형성되어서 상기 가로등 등주(10)의 내부에 슬리브(150)을 삽입할때, 결합돌기(11)가 결합홈(151)에 끼워지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판(110)의 둘레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체결공(111)이 형성되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볼트(112)를 끼워서 지면에 고정하도록 한다.
상기 복수의 체결공(111)이 형성된 부위는 최하단에 형성되고, 그 안쪽으로 높이를 달리하는 면(110a)이 형성되어서 그 중앙에 관통공(1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면(110a)에는 상기 체결공(111)들 사이의 간격에 소정 깊이를 가지는 공간부(114)가 형성된 구조이다. 이 공간부(114)는 도 7 및 도 10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모양을 이루면서 안쪽에 깊이를 달리하면서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삽입부(120)에는 가로등 등주(10)가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공(1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130)에는 내부에 공간부(131)가 형성되면서 분리가능한 뚜껑부재(132)가 하나 이상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공간부(131)에 해당하는 삽입부(120)에는 평평하게 형성된 체결면(122)이 형성되어서, 삽입부(120)안에 삽입된 가로등 등주(10)와 체결부재(140)를 통해 보다 확실하게 체결된 구조이다. 만일, 체결면(122)이 삽입부(120)와 같이 원통형에 의한 곡선면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외부방향으로 돌출된 체결부재(140)를 이루는 볼트(141)와 너트(142)의 조립시, 접촉하는 면이 감소하여 그 만큼 체결력이 약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공간부(131)를 형성하는 양 측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 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렇게 하므로써, 공간부(131)에 끼워지는 뚜껑부재(132)의 양 측면이 보다 확실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공간부(131)의 상부폭과 거의 동일한 치수의 폭을 가지도록 뚜껑부재(132)을 형성하는 경우, 뚜껑부재(132)가 공간부(131)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공간부(131)를 형성하는 경사진 양 측면에 의해 횡방향으로 압력을 받아 조여져서 더욱 타이트하게 조립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체결면(122)은 삽입부(120)의 외면으로부터 약간 돌출되게 형성하여 그 만큼 두께를 두껍게 하여 더욱 체결력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부재(132)는 절곡된 구조를 가지면서, 양 측면(133)에는 종방향의 결합홈(134)이 형성되고, 공간부(131)의 양측면에는 종방향으로 상기 결합홈(134)에 끼워지도록 하는 결합돌기(131a)가 형성되어 결합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뚜껑부재(132)의 하단 중앙에는 돌출된 연장편(135)이 형성되고, 이 연장편(135)에는 체결공(136)이 형성되어서 체결부재인 나사(137)(예를 들어 접시머리렌치나사)로 체결한다. 그러나, 상기 나사(137)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여러가지 체결부재 즉, 볼트 등을 채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뚜껑부재(132)의 연장편(135)이 접촉하는 덮개부(130)의 해당 위치에는 끼움홈(130a) 및 체결공(130b)이 형성되어서 상기 뚜껑부재(132)를 끼우면 덮개부(130)의 표면과 동일한 표면이 형성되도록 한다. 즉,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체결부재(140)로는 볼트(141) 및 너트(142)로 구성된 것이지만, 여기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체결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체결부재(140)의 체결부위 즉, 볼트(141)의 머리부분이 안착되도록 슬리브(150)의 해당 안쪽면에는 안착홈(152)이 형성되어 볼트(141)의 체결시, 볼트(141)의 머리부분이 상기 안착홈(152)에 끼워져서 일시,고정되므로, 별도로 볼트(141)를 잡지 않더라도 외부의 공간부(131)에서 체결면(122)를 통해 너트(142)를 쉽게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가로등 등주(10)의 내부에는 체결력이 좋아지도록 하 는 슬리브(150)가 더 삽입된 구조이다.
상기 슬리브(1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방향으로 절곡되어 들어간 형태의 결합홈(151)이 슬리브(150)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다른 예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을 이루면서 상기와 같은 결합홈(151)이 없는 구조의 슬리브(160)도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서 설명한 가로등 등주(10)의 구조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등 등주(10)의 둘레방향으로 복수의 결합돌기(11)를 형성하지 않고 단순한 원통형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엠보싱처럼 복수의 돌기부를 가로등 등주(10)의 외면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도 가로등 등주(10)에 맞추어서 여러가지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구성하는 삽입부(120)안에 가로등 등주(10)를 삽입한 다음, 체결부재(140)를 통해 가로등 등주(10)와 삽입부(120)를 관통하여 공간부(131)에 형성된 체결면(122)에서 체결하는데, 체결부재(140)를 구성하는 볼트(141)와 너트(142)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부재(140)의 체결시에는, 베이스판(11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113)을 통해 작업자가 체결부재(140)를 삽입하여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볼트(141)를 끼워서 삽입부(120)의 외부 체결면(122)의 밖으로 나오게 하여 너트(142)로 결합하여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에, 베이스판(110)에 형성된 체결공(111)을 통해 앵커볼트(112)를 삽입하여 지면에 대해 고정시키면 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덮개부(130)에는 착탈가능한 뚜껑부재(132)가 갖추어져 있는데, 상기 체결부재(140)에 의한 체결작업이 완료되면, 뚜껑부재(132)를 해당 공간부(131)에 끼워서 체결부재(140)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한다.
상기 뚜껑부재(132)의 결합시에는, 공간부(131)를 이루는 양쪽 측면에 형성된 결합돌기(131a)에 뚜껑부재(132)의 양 측면(133)에 형성된 결합홈(134)을 끼워서 결합한 다음, 뚜껑부재(132)의 하단에 형성된 연장부(135)의 체결공(136)을 통해 체결부재인 나사(137)를 나사,결합하여 덮개부(130)에 고정시킨다.
또한, 가로등 등주(10)의 내부에는 슬리브(150) 또는 슬리브(160)를 삽입하여 가로등 등주(10)와 베이스 플레이트(100)간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지면서 슬리브로 인해 외부의 충격등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150)에는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안쪽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결합홈(151)이 형성되어서 상기 가로등 등주(10)의 결합돌기(11)와 대응하여 맞물리도록 한다. 이럼으로써 슬리브(150)가 가로등 등주(10)의 내부에서 회전되지 않고 설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가로등 등주(10)가 원형으로만 형성된 경우, 다시 말해서, 가로등 등주(10)의 둘레면을 따라 결합돌기(11)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160)에 결합홈(151)이 형성되지 않고 원형으로 형성되어서 가로 등 등주(10)에 삽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슬리브(150)(160)는 가로등 등주(1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내부에 삽입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00)부위에만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가로등(1)을 구성하는 가로등 등주(10)를 지면에 설치할때, 지면에 대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통해서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체결부재(140)에 의해 조립하므로 설치작업이 간편하고, 뚜껑부 재(132)에 의해 체결부위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으므로, 외관상 깨끗한 인상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편의상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다른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가로등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구조를 도시한 일부 절개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 결합장치를 도시한 일부 절개 결합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 결합장치의 일부 분리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 결합장치를 수직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 결합장치를 도 3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C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 결합장치의 슬리브의 일례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 결합장치의 슬리브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면의 부호설명]
1 : 가로등
10 : 가로등 등주
11 : 결합돌기
100 : 베이스 플레이트
110 : 베이스판
110a : 면
111 : 체결공
112 : 앵커볼트
113 : 관통공
114 : 공간부
120 : 삽입부
121 : 삽입공
122 : 체결면
130 : 덮개부
130a : 끼움홈
130b : 체결공
131 : 공간부
131a : 결합돌기
132 : 뚜껑부재
133 : 측면
134 : 결합홈
135 : 연장편
136 : 체결공
137 : 나사
140 : 체결부재
141 : 볼트
142 : 너트
150,160 : 슬리브
151 : 결합홈
152 : 안착홈

Claims (6)

  1.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내부에 슬리브(150)가 구비되는 가로등 등주(10)와, 이 가로등 등주(10)가 삽입되면서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0)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상기 슬리브(150)는 원주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돌출,형성되는 결합홈(151)과, 슬리브(150)의 내부에 하나 이상 형성되면서 체결부재(140)가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홈(15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로등 등주(10)의 둘레면을 따라 안쪽방향으로는 상기 슬리브(150)의 결합홈(151)에 끼워지도록 하는 결합돌기(11)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판(110)과;
    상기 베이스판(110)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상향,돌출되게 형성되면서 가로등 등주(1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삽입부(120)와;
    상기 베이스판(110)과 삽입부(120)의 외부 둘레를 따라 형성된 덮개부(130)와;
    가로등 등주(10)와 삽입부(120)가 체결부재(140)를 통해 결합되는 덮개부(130)의 위치에 형성되는 공간부(131)를 덮어서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착탈가능하게 하나 이상 구비되면서, 양 측면(133)에 결합홈(134)이 형성되고, 공간부(131)의 양측면에 종방향으로 상기 결합홈(134)에 끼워지도록 하는 결합돌기(131a)가 형성되는 뚜껑부재(132);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의 베이스 플레이트 결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131)에 해당하는 삽입부(120)에는 평평하게 형성된 체결면(1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의 베이스 플레이트 결합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재(132)의 하단 중앙에는 체결공(136)이 형성된 연장편(135)이 구비되고, 상기 뚜껑부재(132)의 연장편(135)이 접촉하는 덮개부(130)의 해당 위치에는 끼움홈(130a) 및 체결공(130b)이 형성되어서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되므로써 상기 뚜껑부재(132)를 끼우면 덮개부(130)의 표면과 동일한 표면이 형성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의 베이스 플레이트 결합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080070013A 2008-07-18 2008-07-18 가로등의 베이스 플레이트 결합장치 KR100889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013A KR100889599B1 (ko) 2008-07-18 2008-07-18 가로등의 베이스 플레이트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013A KR100889599B1 (ko) 2008-07-18 2008-07-18 가로등의 베이스 플레이트 결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9599B1 true KR100889599B1 (ko) 2009-03-19

Family

ID=40698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013A KR100889599B1 (ko) 2008-07-18 2008-07-18 가로등의 베이스 플레이트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59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973B1 (ko) * 2009-10-21 2011-07-01 지케이주식회사 방음벽 지주대용 앵커볼트 보호캡
KR101185922B1 (ko) * 2011-04-08 2012-10-09 (유)꽃탑월드 조경용 기둥
KR101401000B1 (ko) * 2012-08-16 2014-05-29 디지엘시스템(주) 다용도 파이프
KR101472804B1 (ko) 2014-06-18 2014-12-16 주식회사 케이씨전자 자동 전기접속형 도로시설물
KR20170011280A (ko) 2015-07-22 2017-02-02 박세현 가로등 지주의 가변형 고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255B1 (ko) * 2006-10-10 2007-02-22 에이컴조명 주식회사 가로등의 베이스플레이트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255B1 (ko) * 2006-10-10 2007-02-22 에이컴조명 주식회사 가로등의 베이스플레이트 결합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973B1 (ko) * 2009-10-21 2011-07-01 지케이주식회사 방음벽 지주대용 앵커볼트 보호캡
KR101185922B1 (ko) * 2011-04-08 2012-10-09 (유)꽃탑월드 조경용 기둥
KR101401000B1 (ko) * 2012-08-16 2014-05-29 디지엘시스템(주) 다용도 파이프
KR101472804B1 (ko) 2014-06-18 2014-12-16 주식회사 케이씨전자 자동 전기접속형 도로시설물
KR20170011280A (ko) 2015-07-22 2017-02-02 박세현 가로등 지주의 가변형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599B1 (ko) 가로등의 베이스 플레이트 결합장치
US8727582B2 (en) Recessed lighting fixture with alignment enhancements and methods for mounting same
KR100684255B1 (ko) 가로등의 베이스플레이트 결합구조
KR101112030B1 (ko) 가로등 및 그 설치방법
KR101712812B1 (ko) 경사각 조정이 용이한 잠금형 맨홀뚜껑 조립체
KR101223676B1 (ko) 개량 공법을 위한 맨홀 뚜껑의 잠금장치 및 그러한 잠금 장치를 가진 맨홀 뚜껑
JP2009097311A (ja) グレーチングの取付構造
KR101081380B1 (ko) 가로등 기초 구조물
KR101114840B1 (ko) 보강 지주조립체
KR200480256Y1 (ko) 난간동자용베이스
KR100754900B1 (ko) 가로등
KR100816722B1 (ko) 연결부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가로등 지주의 연결장치
JP2019015160A (ja)
KR101699511B1 (ko) 기초 결합구조 매립형 등 지주용 보조블록
KR200383879Y1 (ko) 가로등 결합밴드
KR100766336B1 (ko) 할로겐램프 매입용 고정부재
KR100781177B1 (ko) 휀스용 포스트
KR100413659B1 (ko) 구조물 고정용 하부받침판
KR200301345Y1 (ko) 게시판 케이스를 갖춘 다기능 도로시설물의 설치구조
KR200306637Y1 (ko) 맨홀의 잠금장치
KR200441582Y1 (ko) 가로수 보호대
KR200372217Y1 (ko) 가로등주
KR200302425Y1 (ko) 조립식 구조물용 테라
KR100526756B1 (ko) 맨홀의 높이조절링 고정장치
KR200387081Y1 (ko) 분할식 수목 보호덮개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