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582B1 - 잣나무 구과 추출물 기반의 효율적인 뇌혈관문 투과성 제형을 이용한 인지장애 개선 약제 및 건강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잣나무 구과 추출물 기반의 효율적인 뇌혈관문 투과성 제형을 이용한 인지장애 개선 약제 및 건강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582B1
KR102281582B1 KR1020190087479A KR20190087479A KR102281582B1 KR 102281582 B1 KR102281582 B1 KR 102281582B1 KR 1020190087479 A KR1020190087479 A KR 1020190087479A KR 20190087479 A KR20190087479 A KR 20190087479A KR 102281582 B1 KR102281582 B1 KR 102281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e
composition
extract
beta
imm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0759A (ko
Inventor
김배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톤
김배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톤, 김배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톤
Priority to KR1020190087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582B1/ko
Publication of KR20210010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2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5036Polysaccharides, e.g. gums, alginate;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40Cyclodextr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12Cyclodextr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sychia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엽수 중 잣나무의 미성숙, 성숙의 구과 및 잣을 탈각 후의 부산물 추출물의 효과적인 혈액 뇌관문 투과성을 이용하여 인지장애 개선용 의약 및 건강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침엽수 특히 잣나무 구과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뇌혈관문의 침투가 용이한 제형을 제조하여 인지장애 개선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인지장애의 주요원인으로 염증, 뇌의 베타아밀로이드 프러그, 아세틸콜린, 타우단백질 등이 있다.

Description

잣나무 구과 추출물 기반의 효율적인 뇌혈관문 투과성 제형을 이용한 인지장애 개선 약제 및 건강식품 조성물{Pharmaceutical and health food composition cerebrovascular for improving cognitive disorder containing extraction of cone of Korean pine}
본 발명은 편백나무, 소나무, 잣나무, 전나무, 구상나무 등 침엽수 종류에 모두 해당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침엽수 중에서 잣나무, 잣나무 부위 중에서 종자를 감싸고 있는 구과, 잣을 탈각하고 난 후의 구과 또는 미성숙, 성숙 구과 추출물인 잣나무 추출물을 이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잣나무 미성숙, 성숙의 구과 및 잣을 탈각 후의 부산물 추출물을 이용한 혈액 뇌관문 투과성과 효과적인 인지 장애 개선 및 치료용 의약, 건강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매(Dementia)는 주로 내과적 신경 원인으로 뇌신경에 일시적 혹은 지속적인 손상이 발생한 것으로, 정신 기능의 전반적인 장애가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행성ㅇ퇴행성 질환이다.
치매에는 알츠하이머병에 의한 치매, 뇌동맥경화에서 오는 혈관성 치매, 알코올성 치매, 파킨슨병 치매로 구별된다.
이중,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발병기전은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신경독성단백질인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 protein)의 독성이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 물질은 아밀로이드 전구단백질(amyloid precursor protein, 이하 APP)의 잘못된 대사로 인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APP의 정상 대사물은 신경세포보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 유전공학적 방법을 이용한 연구결과에서는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등의 독성 단백질이 세포와 혈관에 쌓여 신경세포에 독성을 미침으로써 결과적으로 뇌기능에 장애가 초래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한, '타우 단백질'농도가 높을수록 뇌에도 많이 쌓여있는 것을 확인했다. 타우단백질은 치매환자들의 뇌에 쌓이는 독성 단백질이다. 타우 단백질 농도가 높을수록 뇌에 타우 단백질이 많이 축적되어 있다는 연관성을 발견하였다.
AD의 원인에 대하여는 여러 가지 설들이 제기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밝혀진 특징을 살펴보면 기억력과 인지기능의 현저한 감퇴증상과 사후 부검 소견 상 뇌조직의 세포밖에 Aβ이 주성분인 노인반(senile plaque)과 세포내에 과인산화된 타우단백질(tau protein)이 주성분인 신경섬유덩어리(neurofibrillary tangle)가 존재하는 것 등이 있다.
베타-아밀로이드는 지금까지 알츠하이머의 주요 원인으로 꼽혀왔는데 이는 알츠하이머 환자의 뇌에서 베타-아밀로이드의 축적이 발견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베타-아밀로이드를 표적한 후보물질들이 잇따라 임상에서 실패하면서 '베타-아밀로이드 가설'이 흔들리고 있는 상태이다.
뇌는 자기만의 방어체제를 가진 유일한 기관이다. 우리 몸의 혈관과 세포 사이에는 다양한 물질 교환이 이루어지는데 뇌의 경우, 접착인자 단백질로 인해 혈관 내피세포 사이의 간격이 더 치밀하게 연접되어(Tight junction) 큰 분자량의 물질 등이 통과하기 어렵다. 또한 모세혈관의 겉은 아교세포(Glia cell)가 감싸 안는 형태로 둘러싸고 있다. 혈관-뇌 장벽(Blood-Brain Barrier(BBB))라고 한다.
뇌는 이처럼 BBB를 통해 선별된 필요 영양소만 받아들이고 외부 물질들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대부분 매우 작은 크기의 물질이나 지용성 물질, 호르몬들은 BBB의 혈관 내피세포(endothelial cell)를 직접 통과하고 당이나 인슐린과 같은 큰 분자의 물질과 수용성 물질들은 세포막 표면에 존재하는 막 단백질을 통해 내부로 운반된다.
다만, 기존의 치매 치료제는 베타-아밀로이드의 형성 억제 기능은 없었다. 따라서, 치매의 근원적 치료가 불가능하였다.
뿐만 아니라, 여러 화학 물질들을 포함하는 현존하는 치매 치료제들은 구역, 구토, 어지러움, 설사, 신경계이상 등의 부작용이 빈발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베타-아밀로이드 응집체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면서도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 유래 인지도 개선제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9284호에는 소나무 잔뿌리, 송이, 잣, 천마 및 오미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 종 이상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매 개선용 건강식품이 소개되어 있다.
잣나무는 살균, 식욕 증진, 탈취, 거담 제거 등의 효과가 있으며, 특히 알파피넨 성분은 집중력을 증가 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알츠하이머 관련 치료 또는 개선에 사용되는 예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침엽수 중 잣나무의 미성숙, 성숙의 구과 및 잣을 탈각 후 추출물을 이용한 혈액 뇌관문 투과성과 효과적인 인지도 개선 및 치료용 의약 및 건강식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침엽수 특히 잣나무구과 추출물의 유효성분은 상기 원인에 효과적인 기능이 있다.
알츠하이머 병(Alzheimer's Disease)은 뇌 조직이 기능을 잃으면서 점차 정신기능이 쇠퇴해가는 치매의 한 종류이며 치매유발의 가장 흔한 원인인 질환으로 65세 이상의 노인에게 주로 나타나는 퇴행성 뇌 질환이다. 알츠하이머 병은 점진적으로 기억력이 감퇴되고 인지력이 상실되는 증상을 가진다. 초기에는 학습능력과 최근의 사건을 기억하는 능력이 심각하게 감소하지만 청소년 시절과 같은 오래된 과거에 대한 기억력은 질병이 많이 진행될 때까지 유지된다. 또한 약속을 잊어버리거나 물건을 잘못 두거나 잘 아는 곳에서 길을 잃고 돈 계산을 잘 못하는 등의 증상이 일어난다. 중기의 환자는 점차 말하는 것에서도 어려움을 느끼게 되고 물건을 잘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데 치매가 진행됨에 따라 거리를 배회하고 호전적이게 되며 요실금 현상을 나타내기도 한다. 또한 말기에는 먹고, 걷고 의사소통 하는 능력을 잃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환자는 발병한 후 3-20 년 내에 질식 감염 등에 의해 사망하게 된다.
알츠하이머 병의 병리학적 특정으로는 신경 세포의 핵 주위에서 신경섬유들이 엉켜 만들어진 신경섬유다발(neurofibrillary tangles)과 신경세포의 외부에 축적되는 노인성 반점(senile plaques)을 들 수 있다. 신경섬유다발(neurofibrillary tangles)은 신경세포의 골격구조인 미세소관 관련 단백질을 안정화하는 단백질인 타우(tau) 단백질이 과잉산화 되어 생성된 응집체이다. 이로 인해 정상 미세소관의 구조가 파괴되고 축산 수송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며, 신경세포 내에 신경섬유다발이 생성되면서 점차 많은 수의 신경 세포가 기능 장애, 나아가 사멸하게 된다. 노인성 반점(senile plaques)은 응집된 베타-아밀로이드(Aβ)의 주위에 신경교세포, 미세아교세포 및 성장세포 동 염증세포들이 모여 있는 것으로 주성분인 베타-아밀로이드는 신경세포 퇴행을 유도하는 독성을 갖는 원인물질로 알려져 있다.
베타-아밀로이드(Aβ)는 APP(amyloid precusor protein)라는 type 1 integral membrane glycoprotein에서 유래된 단백질이 분해효소에 의해 각각 N-, C-terminal이 잘려 생성되는 대사산물로서 세포외 도메인(extracellular domain)과 막 도메인(membrane domain)으로 이루어져 있는 36-43 개의 펩타이드이다. 베타-아밀로이드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로는 β-site APP-cleaving enzyme (BACE1)이라 명명된 β-secretase와 최소 네 개의 단백질 복합체(presenilin 1 or 2, presenilin enhancer 2, anterior pharynx, nicastrin)로 이루어진 γ-secretase가 있으며 이 같은 단백질 분해 효소에 의해 베타-아밀로이드가 생성되는 대사과정을 아밀로이드 경로(amyloidogenic pathway)라고 한다. β-secretase(BACE1)에 의해 잘려진 APP는 90 kDa 내외의 sAPPβ라 불리는 N-terminal domain과 CTFβ(C99)라 불리는 세포질 도메인(cytoplasmic domain)으로 나눠지는데 이렇게 생성된 sAPPβ는 세포 밖으로 분비되며 C99는 다시 y-secretase에 의해 잘려 4 kDa의 베타-아밀로이드가 생성된다. 이와는 반대로 비-아밀로이드 경로(non-amyloidogenic pathway)는 APP의 α-site를 자르는 α-secretase에 의해 일어나며 16/17 번째 아미노산 사이를 잘라 베타 아밀로이드가 형성되지 않게 하는 대사과정이다. α-secretase는 붕괴 도메인(disintegrin domain)과 금속단백분해효소 도메인(metalloproteinase domain)을 갖는 α-disintegrin metalloproteinase domain (ADAM) family에 속하는 단백질 분해 효소로 ADAM-9, ADAM-10, ADAM-17 이 그 구성원으로 생각되고 있다. α-secretase (ADAM10 or 17)가 APP를 자르게 되면 sAPPα라 불리는 N-terminal domain과 CTFα(C83)라 불리는 세포질 도메인(cytoplasmic domain)으로 잘리게 되는데 C83은 다시 γ-secretase에 의해 잘려져서 p3라고 불리는 3 kDa의 조각을 만들어 내게 된다.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해 신경세포사멸이 유도되는 단계를 간단히 살펴보면 먼저 APP로부터 아밀로이드 경로(amyloidogenic pathway)에 의해 단계적으로 베타-아밀로이드가 생성되고 이렇게 생성된 단량체(mononer) 형태의 베타-아밀로이드는 서로 응집하여 소중합체(oligomer)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렇게 응집된 형태의 베타-아밀로이드가 결국 신경세포사멸을 억제하여 신경세포를 보호할 AD 치료제는 베타-아밀로이드의 생성 억제, 베타-아밀로이드 응집 억제, 또는 베타-아밀로이드 독성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가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발명자들은 퇴행성 뇌 질환, 특히, 알츠하이머의 개선 및 예방, 나아가 치료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베타-아밀로이드의 생성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진 천연추출물을 찾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뇌혈관문은 뇌를 보호하기 위하여 선택적인 투과만 허용한다. 그러나, 통상 인지장애 정신건강의 유효성분이라는 소재는 있지만 뇌혈관문 인지장애 개선에 효과가 문제되는 것은 이와 같이 실제 혈관문 통과에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잣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혈액 뇌관문 투과성과 효과적인 인지도 개선 및 치료용 의약 및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잣나무의 미성숙, 성숙의 구과 및 잣을 탈각 후 부산물 추출물을 이용한 혈액 뇌관문 투과성과 효과적인 인지도 개선 및 치료용 의약, 건강식품은 천연 식물인 잣나무의 미성숙, 성숙의 구과 및 잣을 탈각 후 부산물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으로써, 베타-아밀로이드 응집체의 형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알츠하이머성 치매 등의 퇴행성 뇌 질환의 예방 및 개선 나아가 치료가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그 유효성분으로 하므로, 부작용이나 세포 독성에 대한 문제가 없는 장점이 있다.
잣나무 구과 추출물의 테르펜 성분의 상기 원인에 대한 효능은 항염증, 항균성 등이 있다.
도 1은 수증기 추출, 초음파 추출, 알코올 추출 후 잣나무 추출물의 항산화능 효과 실험 그래프이다.
도 2는 수증기 추출, 초음파 추출, 알코올 추출 후 잣나무 추출물의 항 베타-아밀로이드 응집 억제 실험 그래프이다.
도 3은 수증기 추출, 초음파 추출, 알코올 추출 후 잣나무 추출물의 응집된 베타-아밀로이드의 분해 실험 그래프이다.
도 4는 TR-BBB 세포 중 글루타메이트로 유발된 세포 독성에 대한 텔펜 오일의 회복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잣나무의 미성숙, 성숙 구과 및 잣을 탈각 후 부산물 추출물을 이용한 혈액 뇌관문 투과성과 효과적인 인지도 개선 및 치료용 의약, 건강식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퇴행성 뇌 질환은 노화로 인해 야기되는 뇌(brain)의 병증에 관한 것을 모두 포함하고, 알츠하이머병 또는 치매를 의미한다.
상기 잣나무 구과 추출물은 특히 지용성 물질로써 뇌혈관문 통과에 용이하지만 더욱 효과적으로 침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의 제형을 제조 시험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잣나무 부산물을 증류하여 얻은 잣나무 추출물(담지 물질)을 담체인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β-cyclodextrin)에 담아 캡슐화하여 베타-아밀로이드와 아세트콜린 활성 저해 물질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잣나무 구과 추출물을 이용한 혈액 뇌관문 투과성과 효과적인 인지도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잣송이에서 잣을 탈각한 후 남은 부산물을 음지에서 건조한 후, 2~3 cm 크기로 자르고, 잣나무 부산물 100 g 당 증류수 500 ml의 비율로 증류조에 투입하고, 1~2 분간 균질화한 다음 증류한다. 증류온도는 100~3 ℃로 유지하면서 더 이상 정유가 휘발되어 나오지 않을 때까지 3 시간 정도 증류시킨다.
이때, 사용하는 잣을 탈각한 후 남은 부산물은 미성숙 구과, 성숙구과 등 성숙도에 따른 다양한 구과를 사용하며,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고 사용한다.
다음, 증류로 얻어진 잣나무 오일에 황산나트륨을 넣고 24 시간 탈수시킨 후 황산나트륨을 분리하여 얻어진 잣나무 추출물을 밀봉하여 냉장 보관한다. 탈수는 냉각을 통해 수분을 얼리고, 나머지 오일을 분리해 내는 방법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잣나무 추출물을 얻는 방법에는 에탄올을 용제로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잣나무 부산물을 에탄올에 넣어 3 일간 침적하고, 30 분~1 시간 동안 에탄올을 증발시켜 농축하고 , 여과하여 잣나무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이 때, 잣나무 부산물 10g 당 70 % 에탄올 100 ml의 비율로 에탄올을 투입한다. 이렇게 얻어진 70 % 에탄올 분획물을 감압농축기로 40 ℃에서 감압, 농축한다.
이어서,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을 에탄올과 물을 1:2로 혼합한 에탄올 수용액에 투입하여 온도를 올리면서 저어서 녹이고, 동시에 스팬(span) 80과 트윈(tween) 80을 첨가하여 함께 녹인다. 이 때,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2 g 당 20 ml의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고 스팬 80과 트윈 80은 0.5 w/v%를 첨가한다. 유화제인 스팬 80과 트윈 80의 첨가량은 전체 용제의 1 w/v%만큼 첨가하되, 두 가지 유화제의 첨가 비율은 담지하는 물질의 특성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에탄올 수용액의 온도가 70 ℃가 되면 잣나무 추출물을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에탄올 수용액에 천천히 투입한다. 이 때, 잣나무 추출물은 에탄올이 미리 녹인 후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에탄올 수용액에 투입할 수 있다.
이어서, 잣나무 추출물과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에탄올 수용액을 혼합한 수용액을 가열한 후, 상온에서 4 시간 동안 냉각한다.
이 후, 4 ℃에서 밤샘(O/N: overnight) 인큐베이션(incubation)시킨 후 10,000 rpm으로 4 ℃에서 20 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은 버리고 24 시간 동안 건조 오븐에서 건조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잣나무 구과 추출물을 이용한 혈액 뇌관문 투과성과 효과적인 인지도 개선 및 치료용 의약, 건강식품 조성물은 잣나무에서 특히 잣나무의 송이에서 잣을 탈각한 후의 부산물에서 추출한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인지도 개선 및 치료용 식의약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인지도 개선 및 치료를 위한 의약,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잣나무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잣나무 추출물은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인지도 개선을 목적으로 의약,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의약,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전체 식품 중량의 제제 효능 및 안정성 면에서 0.01 내지 30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특히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3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추출물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치매 개선 및 치료용 의약, 건강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른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1 종 이상의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 덱스트로즈, 수쿠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톤,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의약 및 건강식품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사용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0.1 내지 500 mg/kg의 양을 일일 1 회 내지 수 회 투여할 수 있다. 또한, 그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잣나무 구과 부산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인지도 개선을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에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잣나무 추출물에 대하여 GLP기관인 ㈜켐온에 의뢰하여 다음과 같은 안전성 실험결과를 확인하였다(표 1 참조).
1.소핵시험 수컷ICR 마우스골수세포에서 소핵 유발하지 않음
2.염색체 이상시험 CHL세포에서 염색체 이상을 유발하지 않음
1.복귀돌연변이시험 사용균주에서 복귀돌연변이를 유발하지 않음
1.비설치류 단회시험 부검 소견 및 육안적 이상 소견 없음
2.설치류 단회투여시험 치사량은 암수 모두 4,000 mg/kg을 상회함
3.설치류 2주 DRF 13주 반복시험에 1500 mg/kg/day를 고용량군으로 설정
4.설치류 13주 반복시험 무독성량은 암수 모두 1500/mg/kg/day로 사료됨
[실시예 1] 잣나무 부산물로부터 인지 장애 개선효과를 갖는 잣나무 추출물의 제조
잣나무 미성숙, 성숙 구과 및 잣을 탈각 후 남은 부산물을 추출기 탱크에 투입하고, 85 ℃의 스팀을 760 mmHg의 증기압을 유지하면서 추출기 탱크내의 잣나무 부산물을 통과시키고, 스팀이 추출기 탱크 외부의 냉각기를 통과할 때의 온도를 8 ℃로 하여, 이때 추출된 추출물을 증류해서 정유 성분을 얻어 잣나무 부산물 추출물을 제조한다. (주성분으로 α-pinene, β-pinene, Camphene, β-myrcene, D-limonene, (+)-4-carene, Botnyl acetate, Ylangene, α-cubebene, seychellene, caryophyllen, 3carenen 등이 포함되어 있다)
잣나무 구과 100 톤에서 1.6 톤 잣나무 구과 추출물을 생산하였다.(수율 약 1.6 %)
<초음파 추출법>
잣나무부산물을 에탄올 외 천연 발효 주정 및 흔히 사용하는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4-50℃에서 1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침지 후 상기 혼합물을 초음파 추출기에 투입하고 초음파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잣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며, 상세하게는 초음파 추출은 4-50℃에서 파장 20KHZ 내지 100KHZ로 20분 내지 1시간 동안 추출하여 얻는다.
[실시예2] 잣나무 추출물의 β-CD 포집물 분말 및 제형화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을 에탄올과 물을 1:2로 혼합한 에탄올 수용액에 투입하여 온도를 올리면서 저어서 녹이고, 동시에 스팬(span) 80과 트윈(tween) 80을 첨가하여 함께 녹인다.
이때,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2 g당 20 ml의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고 스팬 80과 트윈 80은 0.5 W/V%를 첨가한다.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에탄올 수용액의 온도가 70 ℃가 되면 잣나무 추출물을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에탄올 수용액에 천천히 투입한다. 이후 추출물과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에탄올 수용액을 혼합한 수용액을 가열한 후, 상온에서 4 시간 동안 냉각한 후 4 ℃에서 밤샘(O/N: overnight) 인큐베이션(incubation)시킨 후 10,000 rpm으로 4 ℃에서 20 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은 버리고 24 시간 동안 건조 오븐에서 건조시켜 분말화하고, 마이크로캡슐화한다. 이 분말에 1 종 이상의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와 혼화하여 음료, 캡슐이나 정제 등으로 제형화한다.
부형제 및 기타 첨가제로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글루탐산, 타우린, 스테로이드, 안지오텐신, 포스파티딜 콜린, 리소포스파티딜 콜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하드캡슐을 제조하기 위해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60~70 중량%와 잣나무 추출물 30~40 중량%를 골고루 섞은 후 캡슐에 충진한다. 하드캡슐을 제조하기 위해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외에 알긴산, 콜린 등의 사용이 가능하다.
연질캡슐을 제조하기 위해 잣나무 추출물 100~150 ml를 젤라틴이나 콜라겐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잣나무 추출물 외에 누에고치 추출물, 난황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포도 추출물, 산뽕나무, 병풀 추출물 등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선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6; 잣나무추출물 4의 중량비율로 혼합을 한 후 1~5 ppm을 물 1 L에 혼합하여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실험예1] 잣나무 추출물로부터 β-secretase(BACE1) 저해효과 측정
건조 및 분쇄된 식물 물질은 실온에서 90 % 메탄올로 3 회 추출하였다.
메탄올(MeOH) 여액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MeOH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각 추출물을 DMSO에 용해시키고 분석을 할때까지 -20 ℃에서 보관하였다.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안정한 유리 라디칼 인 DPPH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식물 추출물의 능력은 DPPH를 제거하고 이를 1,1-디 페닐-2-picrylhydrazine을 비색계로 측정하였다.
즉, (4,20 및 100 ug.mL)의 상이한 농도의 식물 추출물을 190 uL의 DPPH(에탄올 중 0.316 mM)와 혼합하고 혼합물을 37 ℃에서 30 분 동안 배양하였다.
혼합물의 광학 밀도 값을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로 517 nm에서 측정하였다,
모든 측정은 적어도 세 번 실시되었다.
Aβ 응집체를 정량하기 위해, ThT분석을 수행하였다.
Aβ1-42를 1 ml의 DMSO에 용해시키고 사용할 때까지 -20 ℃에서 보관하였다.
Aβ응집에 미치는 영향을 모니터하기 위해 잣나무 추출물(4, 20 및 100 ug/mL)을 Aβ(49 uL) 20 mM과 함께 37 ℃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했다.
그 다음, 3 uM의 ThT(50uL)를 첨가하고 형광을 442 nm에서 485 nm에서 방출하는 E Max 정밀도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Molecular Devices)로 30 분 후에 측정하였다.
DMSO로 처리된 Aβ를 대조군으로 사용하고, 각각의 분석을 3 회로 행하였다.
잣나무 추출물이 Aβ 응집체의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Aβ(49 uL) 20 uM을 37 ℃에서 배양했다.
24 시간 후, 식물 추출물(4,20 및 100 ug/mL)을 첨가하고 추가로 24 시간 동안 배양했다.
그후, 3 uM의 ThT(50uL)를 첨가하고 형광을 이전 절에서 설명한대로 측정하였다.
잣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DPPH 분석 결과 수증기증류법으로 추출한 잣나무 추출물에서는 10 ug/mL 미만의 IC50값으로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대조적으로, 알코올 추출법과 초음파 추출법으로 추출한 잣나무 추출물에서는 50ug/mL보다 높은 IC50값으로 상대적으로 열악한 항산화제활성을 보였다(표 2, 도 1 참조).
Plant Plant part used Antioxident effect(IC50, ug/ml) inhibition of Aβ aggregation (IC50, ug/ml) Disaggregation of Aβ aggreqates
(IC50, ug/ml)
수증기 추출법
(Group1)
Pine cone 5.1 8.1 58.4
초음파 추출법
(Group2)
Pine cone 52.7 20.2 127.4
알코올 추출법
(Group3)
Pine cone 78.2 12.8 67.5
잣나무 추출물에 의한 Aβ 응집 억제 ThT 분석은 수증기 추출법으로 추출한 잣나무 추출물이 LC50값 8.1 ug/ml로 Aβ 응집에 대해 가장 높은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증명하였다(도 2 참조).
응집된 Aβ응집체에 대한 잣나무 추출무의 분해 효과는 ThT 분석에 의해 결정되었는데, 수증기 추출법의 LD50값이 58.4 ug/ml로 가장 높은 분해활성을 보였다(도 3 참조).
[실험예2] 잣나무 구과 추출물의 TR-BBB 세포 투과 효능
혈액-뇌관문 모델세포주(TR-BBB)에 글루타메이트(glutamate)를 24 시간 전처리한 세포는 세포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잣나무 구과 추출물(oil)과 양성대조물질인 페오놀(paeonol), 치매에 효과적인 타우린(taurine) 등은 모두 글루타메이트(gultamate)에 의한 세포독성을 유의적으로 개선시켰다(도 4 참조).
또한, 오일(oil)과 타우린(taurine)의 병용투여는 개선효과를 유의적으로 상승시킨 것을 확인하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험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형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잣나무 미성숙, 성숙 구과 및 잣을 탈각한 후 부산물 추출물과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의 분말과 1 종 이상의 담체로 이루어진 인지장애 또는 치매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잣나무 미성숙, 성숙 구과 및 잣을 탈각한 후 부산물은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01 ~ 30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제형이 산제, 액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인 조성물.
  4.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분말을 에탄올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계면활성제를 혼합한 후, 여기에 잣나무 미성숙, 성숙 구과 및 잣을 탈각한 후 부산물을 수증기 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알코올 추출하여 얻은 잣나무 추출물을 혼합하고 1종 이상의 담체를 가하는 인지장애 또는 치매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잣나무 미성숙, 성숙 구과 및 잣을 탈각한 후 부산물을 추출하여 얻은 잣나무 추출물을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01 ~ 30 중량%로 이루어진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제형이 산제, 액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인 제조방법.
  7. 잣나무 미성숙, 성숙 구과 및 잣을 탈각한 후 부산물 추출물과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의 분말과 1 종 이상의 담체로 이루어진 인지장애 또는 치매 개선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잣나무 미성숙, 성숙 구과 및 잣을 탈각한 후 부산물은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01 ~ 30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제형이 산제, 액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인 조성물.
  10.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분말을 에탄올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계면활성제를 혼합한 후, 여기에 잣나무 미성숙, 성숙 구과 및 잣을 탈각한 후 부산물을 수증기 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알코올 추출하여 얻은 잣나무 추출물을 혼합하고 1종 이상의 담체를 가하는 인지장애 또는 치매 개선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잣나무 미성숙, 성숙 구과 및 잣을 탈각한 후 부산물을 추출하여 얻은 잣나무 추출물을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01 ~ 30 중량%로 이루어진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제형이 산제, 액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인 제조방법.
KR1020190087479A 2019-07-19 2019-07-19 잣나무 구과 추출물 기반의 효율적인 뇌혈관문 투과성 제형을 이용한 인지장애 개선 약제 및 건강식품 조성물 KR102281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479A KR102281582B1 (ko) 2019-07-19 2019-07-19 잣나무 구과 추출물 기반의 효율적인 뇌혈관문 투과성 제형을 이용한 인지장애 개선 약제 및 건강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479A KR102281582B1 (ko) 2019-07-19 2019-07-19 잣나무 구과 추출물 기반의 효율적인 뇌혈관문 투과성 제형을 이용한 인지장애 개선 약제 및 건강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759A KR20210010759A (ko) 2021-01-28
KR102281582B1 true KR102281582B1 (ko) 2021-07-30

Family

ID=74239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479A KR102281582B1 (ko) 2019-07-19 2019-07-19 잣나무 구과 추출물 기반의 효율적인 뇌혈관문 투과성 제형을 이용한 인지장애 개선 약제 및 건강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58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1859A2 (ko) 2010-12-16 2012-06-21 재단법인 전라남도생물산업진흥재단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기능성 건강식품
CN105192841A (zh) 2015-08-17 2015-12-30 吉林大学 一种多功能性红松籽肽微胶囊泡腾片及其制备方法
KR101859130B1 (ko) 2016-11-11 2018-05-1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잣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9284A (ko) 2011-09-14 2013-03-22 애경산업(주) 치매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2097161B1 (ko) * 2014-12-08 2020-04-03 (주) 피러스 잣나무 구과 추출물을 이용한 위염 억제제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1859A2 (ko) 2010-12-16 2012-06-21 재단법인 전라남도생물산업진흥재단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기능성 건강식품
CN105192841A (zh) 2015-08-17 2015-12-30 吉林大学 一种多功能性红松籽肽微胶囊泡腾片及其制备方法
KR101859130B1 (ko) 2016-11-11 2018-05-1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잣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759A (ko) 202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28656A1 (en) Composition containing poria cocos peel extract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CN113543793A (zh) 螺旋藻提取物的制备方法、和包含螺旋藻提取物的用于改善认知能力的药学组合物及保健功能食品
KR101804212B1 (ko) 기억력 개선, 인지능력 개선, 치매 예방, 지연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곰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건강보조식품
EP3235503B1 (en) Composition containing mixed extract of mulberry and poria cocos bark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KR102011033B1 (ko) 성분 함량이 변화된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281582B1 (ko) 잣나무 구과 추출물 기반의 효율적인 뇌혈관문 투과성 제형을 이용한 인지장애 개선 약제 및 건강식품 조성물
KR20120038372A (ko) 당귀 추출물, 은행엽 추출물 단독; 또는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치매 치료보조용 또는 치매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10799551B2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cognitive function comprising green tea extract which has modified amounts of ingredients
KR101748301B1 (ko) 질경이 추출물 및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90749B1 (ko) 더덕 추출물을 포함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067153B1 (ko) 뇌신경 세포 보호 활성 및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활성을 갖는 율피 추출물 및 그의 용도
KR20120093799A (ko) 뽕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억제용 조성물
KR102138251B1 (ko) 바우히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086262A (ko) 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304605B1 (ko) 이팝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개선, 인지능력 개선, 치매 예방, 지연,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131719B1 (ko) 백두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429147B1 (ko) 콜라비론의 제조방법
KR20240040886A (ko) 캠벨얼리 포도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개선, 인지능력 개선, 또는 치매의 예방, 지연,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583195B1 (ko) 퀴노바산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57213A (ko) 박태기나무 잎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개선, 인지능력 개선, 치매 예방, 지연,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050020B1 (ko) 흑골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230057212A (ko) 박태기나무 씨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개선, 인지능력 개선, 치매 예방, 지연,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874594B1 (ko) 아떼모야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17997B1 (ko)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KR101699261B1 (ko)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