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349B1 - 가변형 로프드럼이 구비된 동력등강기 - Google Patents

가변형 로프드럼이 구비된 동력등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349B1
KR102279349B1 KR1020190145228A KR20190145228A KR102279349B1 KR 102279349 B1 KR102279349 B1 KR 102279349B1 KR 1020190145228 A KR1020190145228 A KR 1020190145228A KR 20190145228 A KR20190145228 A KR 20190145228A KR 102279349 B1 KR102279349 B1 KR 102279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drum
rope
rotation shaft
power
asce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9085A (ko
Inventor
조규성
심성수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코닥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코닥트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45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349B1/ko
Publication of KR20210059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8Power-operated hoists
    • B66D3/20Power-operated hoists with driving motor, e.g. electric motor, and drum or barrel contained in a common housing
    • B66D3/22Power-operated hoists with driving motor, e.g. electric motor, and drum or barrel contained in a common housing with variable-speed gearings between driving motor and drum or barr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2Mountain guy-ropes or accessories, e.g. avalanche ropes; Means for indicating the location of accidentally buried, e.g. snow-buried,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9/00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형 로프드럼이 구비된 동력등강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가변형 로프드럼이 구비된 동력등강기는 엔진 또는 모터와, 상기 엔진 또는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며, 외주연에 로프가 권취되되,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되어 폭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로프드럼과, 내측에 상기 회전축을 수용하는 동력 전달 하우징과, 상기 동력 전달 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되는 공간부 및 상기 공간부에 수용되며, 이동에 따라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걸림이 이루어지는 지지롤러를 포함하는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은 로프의 두께에 따라 로프드럼의 폭이 가변적으로 조절되도록 하여, 다양한 두께 및 크기를 가진 로프가 적용 가능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변형 로프드럼이 구비된 동력등강기 {Power ascender with variable rope drum}
본 발명은 가변형 로프드럼이 구비된 동력등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력등강기에 적용되는 로프의 두께에 따라 로프드럼의 폭이 가변적으로 조절되는 가변형 로프드럼이 구비된 동력등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력등강기란, 고층 건물에서 화재를 포함한 비상상황 발생 시 재실자의 신속한 탈출을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동력등강기는 엔진형 동력 승강장치로서, 위험상황 발생시에 로프나 줄을 이용하여 사람이 외부로 탈출할 때 사용된다.
종래기술로서, 공개실용신안 제1998-026059호에는, 루프와; 상기 루프를 감아 올리기 위한 풀리와; 상기 풀리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부와; 상기 루프, 풀리, 감속부가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판과; 그리고 결합판의 상부방향에 결합되는 덮개판 등으로 구성되는 완강기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311643호에는 V형브레이크에서 먼저 감속 효과를 줌으로써, 감속휠에서는 고체중자가 매달린 경우에도 저체중자가 매달린 것과 같은 하중을 느끼므로, 과체중자라도 저체중자와 마찬가지로 낮은 속도로 완강할 수 있으며, 또한, V 형브레이크가 피난자의 체중의 일부를 담당하므로, 다른 완강기 부품의 피로도가 감소하여 장기간 완강기를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동력등강기는, 상기 동력등강기에 결합된 로프드럼에 적용가능한 로프의 두께가 지정되어 있어서, 로프의 두께가 달라지면, 로프드럼 자체를 교체하는 등 사용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 제1998-026059호 등록특허 제1311643호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외주연에 로프가 권취되는 로프드럼의 폭이 로프의 두께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로프의 두께에 상관없이 사용이 용이한 가변형 로프드럼이 구비된 동력등강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가변형 로프드럼이 구비된 동력등강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가변형 로프드럼이 구비된 동력등강기는 엔진 또는 모터와, 상기 엔진 또는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며, 외주연에 로프가 권취되되,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되어 폭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로프드럼과, 내측에 상기 회전축을 수용하는 동력 전달 하우징과, 상기 동력 전달 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되는 공간부 및 상기 공간부에 수용되며, 이동에 따라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걸림이 이루어지는 지지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프드럼은, 좌측 로프드럼과 우측 로프드럼을 포함하되, 상기 좌,우측 로프드럼은 회전축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좌측 로프드럼은, 회전축에 베어링 결합되고, 상기 우측 로프드럼은, 간격조절부재에 의해 상기 회전축과 나사결합되어, 상기 우측 로프드럼과 상기 좌측 로프드럼과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측 로프드럼 및 우측 로프드럼은, 내면에 로프와의 마찰을 증가시키기 위한 단턱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내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부재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사각 톱니바퀴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좌측 로프드럼의 연결부재와 우측 로프드럼의 연결부재가 서로 맞물리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로프의 두께에 따라 로프드럼의 폭이 가변적으로 조절되도록 하여, 다양한 두께 및 크기를 가진 로프가 적용 가능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프형 승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로프형 승강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2의 A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로프드럼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로프드럼이 폭(길이)이 가변된 상태의 측면도.
도 6은 도4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5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력 전달 하우징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로프형 승강장치의 상승 시 동력 전달 하우징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프형 승강장치의 정지 시 동력 전달 하우징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롤러 제어모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롤러 제어모듈의 동작을 보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롤러 제어모듈의 동작에 따라 지지롤러가 회전축으로부터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동력 전달 하우징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력등강기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도 1의 동력등강기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력등강기(10)는 하우징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은, 제1하우징(110), 제2하우징(120), 제3하우징(130), 제4하우징(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110), 상기 제2하우징(120), 상기 제3하우징(130) 및 상기 제4하우징(140)은, 볼트를 통해 상호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하우징(110), 상기 제2하우징(120), 상기 제3하우징(130) 및 상기 제4하우징(140)은, 한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금속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110)의 내측에는 구동모듈(2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듈(200) 내에는 엔진 또는 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엔진 또는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으로 후술할 로프(500)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엔진 또는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은 후술할 회전축(610, 도 8참조)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엔진 또는 모터는 상기 회전축(610)을 양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120)은 상기 제1하우징(11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120)은 상기 동력등강기(1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하우징(120)의 일부 영역에는 사용자 파지를 위한 손잡이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120)에는 사용자와의 결합을 위한 사용자 결합부(125)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신체 일부 영역 또는 사용자의 신체에 결합된 안전 장치를 감는 로프는 상기 사용자 결합부(125)에 결합되어, 사용자와 상기 동력등강기(10)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3하우징(130)에는 상기 엔진 또는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후술할 로프드럼(210)으로 전달하는 회전축(610, 도 8참조)이 수용된다. 상기 제3하우징(130)은 내부에 상기 회전축(610)이 수용된다는 점에서, 동력전달 하우징 또는 모터 하우징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3하우징(130)은 상기 제1하우징(110)과, 상기 제4하우징(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하우징(130)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하우징(14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하우징(140)에서 상기 제3하우징(130)과 결합되는 면을 상기 제4하우징(140)의 내면, 상기 내면에 대향하는 면을 상기 제4하우징(140)의 외면이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4하우징(140)에는 상기 내면으로부터 외면을 관통하는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에는 상기 제3하우징(130)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홀에는 상기 제3하우징(130) 내 배치되는 상기 회전축(61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하우징(140)의 외면에는 로프드럼(21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프드럼(210)에는 로프(500)가 권취되어 있다. 상기 로프드럼(210)은 상기 회전축(6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로프드럼(210)은 상기 회전축(610)의 출력축 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6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로프드럼(210)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로프드럼(2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동력등강기(10)는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로프드럼(210)의 시계 방향 회전 시 상기 동력등강기(10)는 상승할 수 있다. 상기 로프드럼(210)의 반시계 방향 회전 시 상기 동력등강기(10)는 하강할 수 있다.
상기 로프(500)는 건물 또는 설치 영역에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프드럼(2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동력등강기(10)는 상기 로프(500)에 대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로프(500)는 일부가 상기 로프드럼(210) 또는 상기 제4하우징(140)의 외측에 권취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프드럼(210)은 측면이 V 홈이 형성된 풀리 구조로 마련된다.
상기 로프드럼(210)은, 좌우 한쌍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로프드럼(210)은, 상기 회전축(610)에 장착되는 좌측 로프드럼(212)과,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축(610)을 따라 소정간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우측 로프드럼(214)을 포함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 우측 로프드럼(212,214)은, 내면에 로프와의 마찰을 증가시키기 위해 단턱(부호미표시)이 형성된 본체(216)와, 상기 본체에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연결부재(218)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216) 및 연결부재(218)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특히, 상기 본체(216)의 외주연은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기울기를 가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216)의 내면에는 수직단면이 삼각형인 다수 개의 단턱이 상기 본체의 내면에 등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상기 좌,우측 로프드럼(212,214)의 연결부재(218)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상기 연결부재의 내측면은 사각 톱니바퀴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좌측 로프드럼의 연결부재와 우측 로프드럼의 연결부재가 서로 맞물리도록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우측 로프드럼(214)은 상기 회전축(610)의 축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우측 로프드럼이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로프드럼의 전체 폭이 조절된다.
도4 및 도6은 로프드럼의 폭이 가변되지 않았을 때의 상태이고, 도5 및 도7은 로프드럼의 폭이 가변되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측 로프드럼(212,214)은 회전축(61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좌측 로프드럼(212)은, 회전축(610)에 자유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우측 로프드럼(214)은, 간격조절부재(219)에 의해 상기 회전축(610)과 나사결합되어, 상기 좌측 로프드럼(212)과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마련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회전축(610)의 끝단면에는 체결홀(부호미표시)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에는 간격조절부재(219)가 나사결합된다.
이 때, 상기 우측 로프드럼(214)은 상기 간격조절부재(219)와 체결핀(부호미표시)에 의해 체결되어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재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우측 로프드럼이 회전축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좌측 로프드럼(212)과 회전축(610)은 베어링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회전축(610)은 회전력을 상기 간격조절부재(219)로 전달하고, 상기 간격조절부재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간격조절부재(219)와 체결된 우측 로프드럼(214) 및 상기 우측 로프드럼에 맞물린 좌측 로프드럼(212)이 회전되는 것이다.
즉, 작업자가 상기 간격조절부재(219)를 조작하여, 상기 좌측 로프드럼(212)과 우측 로프드럼(214)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로프드럼(210)은 로프(500)의 굵기 및 크기에 따라 로프드럼(210)의 폭을 조절하여 다양한 스펙을 가진 로프에 대해 모두 적용가능 하도록 마련된다.
한편, 상기 로프드럼(210)의 외측에는 기계식 제동장치(2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식 제동장치(220)의 내측에는 로프(500)의 일부 영역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식 제동장치(220)의 동작에 따라 상기 로프(500)를 구속하거나, 상기 로프(50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식 제동장치(220)가 상기 로프(500)를 구속할 경우, 상기 동력등강기(10)는 승, 하강이 정지된 정지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기계식 제동장치(220)가 상기 로프(500)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는 상기 동력등강기(10)가 승강 도는 하강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식 제동장치(220)의 동작은 사용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로프드럼(210)의 외측 다른 영역에는 로프드럼 제동장치(2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프드럼 제동장치(240)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사용자 동작에 의해 상기 로프드럼 제동장치(240)는 선택적으로 상기 로프드럼(210)에 결합되거나, 로프드럼(21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상기 로프드럼 제동장치(240)가 상기 로프드럼(210)에 결합 시 상기 로프드럼(210)의 회전은 방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동력등강기(10) 정지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로프드럼 제동장치(240)가 상기 로프드럼(210)으로부터 이탈 시 상기 로프드럼(210)은 회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동력등강기(10)는 승, 하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프드럼(210)의 외측에는 별도의 롤러(230)가 구비되어, 상기 동력등강기(10)의 승, 하강에 따라 상기 롤러(230)는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롤러(230)는 상기 로프(500)의 외면을 지지하여, 회전에 의해 상기 동력등강기(10)의 이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동력등강기(10)는 상기 모터 또는 엔진의 출력값을 가변시키는 가속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동력등강기(10)에는 스로틀 레버(3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로틀 레버(300)는 일단이 상기 제1하우징(110) 또는 제2하우징(13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하우징(130) 또는 제4하우징(1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로틀 레버(300)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스로틀 레버(300)의 회전 시 상기 엔진 또는 모터의 출력은 보다 높아질 수 있다. 상기 엔진 또는 모터의 출력값이 높아질 경우, 상기 회전축(610)의 회전은 보다 빠르게 회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동력등강기(10)는 보다 빠르게 승, 하강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스로틀 레버(300)에 사용자의 외력이 해제될 경우, 상기 스로틀 레버(300)는 정상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로틀 레버(300)에는 탄성 스프링이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동력등강기(10)의 외면에는 상기 동력등강기(10)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복수의 입력 버튼을 구비하여, 사용자 조작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동력등강기(10)는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동력등강기(10)의 제동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력 전달 하우징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동력등강기의 상승 시 동력 전달 하우징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력등강기의 정지 시 동력 전달 하우징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8 및 도 9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축(61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동력등강기(10)는 상승하는 동작을 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61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동력등강기(10)는 하강하는 동작을 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상기 제3하우징(130)을 동력 전달 하우징(130)으로 이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동력 전달 하우징(130)의 내부에는 회전축(610)이 배치된다. 상기 회전축(610)은 일단이 상기 엔진 또는 모터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로프드럼(210)에 결합되어, 상기 엔진 또는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상기 로프드럼(210)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상기 로프드럼(210)이 회전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이다.
그리고, 상기 동력 전달 하우징(130)의 내부에는 이너 케이스(132), 지지롤러(620), 가압부(630), 탄성부(640), 지지부(6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132)는 상기 동력 전달 하우징(130)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이너 케이스(132)는 상기 회전축(610)의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이너 케이스(132)의 내면은 상기 회전축(610)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너 케이스(132)와 상기 회전축(610)의 사이에는 갭 또는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132)의 내면에는 상기 지지롤러(620) 또는 가압부(630)가 배치되는 공간부(67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부(670)는 상기 이너 케이스(132)의 내면에서 타 영역보다 외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상기 지지롤러(620), 상기 가압부(630), 상기 탄성부(640) 및 상기 지지부(650)가 상기 회전축(610)에 외측에 복수로 구비될 경우, 상기 공간부(670)는 상기 회전축(610)의 외측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공간부(670)는 상기 회전축(610)을 기준으로 쌍을 이루어 대향하도록 4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간부(670)가 형성되는 상기 이너 케이스(132)의 내면을 상기 공간부(670)의 바닥면이라 할 때, 상기 공간부(670)의 바닥면은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상기 회전축(61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 거리가 서로 상이하도록 경사면(66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바닥면(660)에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양 단부를 바닥면(660)의 일단 및 타단이라할 때, 상기 바닥면(660)은 상기 회전축(61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 길이가 일단이 가장 가깝게 형성되고, 타단이 가장 멀게 형성되도록 경사면(66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상기 이너 케이스(132)는 상기 동력 전달 하우징(130)의 별도의 부재로서 구비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이너 케이스(132)는 상기 동력 전달 하우징(130)의 일부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동력 전달 하우징(130)의 내면에 상기 공간부(670) 및 상기 경사면(6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롤러(620)는 상기 회전축(610)의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롤러(620)는 상기 회전축(61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롤러(620)는 상기 공간부(670)에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롤러(620)는 상기 경사면(660)에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6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롤러(620)는 회전하며 상기 경사면(66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660)은 상기 회전축(610)의 외면까지의 길이가 서로 다른 영역을 포함하게 되므로, 상기 지지롤러(620)는 상기 경사면(660)을 따라 이동 시 상기 회전축(610)의 외면까지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경사면(660)에서 상기 회전축(610)까지의 반경 방향 길이가 가장 짧은 영역((1) 영역)에 상기 지지롤러(620)가 배치 시, 상기 지지롤러(620)는 상기 회전축(610)의 외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롤러(620)는 상기 회전축(610)의 외면을 가압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회전축(610)의 회전은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1) 영역 이외의 영역 또는 (2)영역에 인접하게 배치 시, 상기 지지롤러(620)는 상기 회전축(610)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축(610)은, 상기 지지롤러(620)의 간섭 없이 상기 모터 또는 엔진의 구동력을 통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630), 상기 탄성부(640) 및 상기 지지부(650)는 상기 지지롤러(620)와 상기 동력 전달 하우징(130)의 내면 사이에 배치된다. 상세히, 상기 가압부(630)는 상기 탄성부(640)로부터 발생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롤러(620)를 가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롤러(620)가 상기 (2) 위치에 위치 시, 상기 탄성부(640)는 압축되고 이 때 발생되는 상기 탄성부(6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630)는 상기 지지롤러(620)를 (1)위치로 밀어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탄성부(640)는 스프링일 수 있다.
도 9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축(610)이 시계 방향(제1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지지롤러(62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경사면(660)을 따라 상기 (2)위치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지지롤러(620)는 상기 가압부(630)를 외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640)는 압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엔진 또는 모터의 동작이 중단되어 상기 회전축(610)의 회전이 정지 시, 상기 탄성부(6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630)는 상기 지지롤러(620)를 상기 (1)위치를 향해 밀어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롤러(620)가 상기 (1)위치에 배치 시, 상기 회전축(610)의 외면을 가압하게 되므로, 상기 회전축(610)은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요약하면, 상기 동력등강기(10)가 승강되는 방향인 상기 회전축(610)의 시계 방향 회전 시에는, 상기 지지롤러(6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회전축(61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엔진 또는 모터의 동작이 정지되어 상기 회전축(610)의 회전이 정지될 경우,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롤러(620)는 상기 탄성부(640)의 탄성력에 의한 상기 가압부(630)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610)에 가깝게 이동되어((1)위치) 상기 회전축(610)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동력등강기(10) 내 엔진 또는 모터의 동작이 중단될 경우, 상기 지지롤러(620)가 상기 회전축(610)의 임의 회전(일 예로 상기 동력등강기(10)가 하강하는 방향인 반시계 방향)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동력등강기(10)가 임의로 상승 또는 하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롤러 제어모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롤러 제어모듈의 동작을 보인 단면도 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롤러 제어모듈의 동작에 따라 지지롤러가 회전축으로부터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동력 전달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력등강기(10)는 지지롤러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롤러 제어모듈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지지롤러(620)를 상기 회전축(610)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롤러 제어모듈은, 레버(700)와, 레버(700)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기어(710)와, 제1기어(710)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제2기어(720)와, 제2기어(73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제3기어(730)와, 상기 제3기어(730)의 회전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이동 플레이트(7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760)는 상기 동력 전달 하우징(130) 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760)는 상기 이너 케이스(132)에 볼트(B)를 통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760)에서 상기 지지롤러(620)와 마주하는 영역에는 일면으로부터 타면을 관통하는 홀(76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762)은 상기 지지롤러(620)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롤러(620)는 타 영역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홀(762)에 삽입되는 연장부(624)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지지롤러(620)는 상기 회전축(610)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지지롤러 몸체(622)와, 상기 지지롤러 몸체(622)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홀(762)을 관통하는 연장부(624)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624)의 단면적은 상기 지지롤러 몸체(622)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624)의 단면적은 상기 홀(762)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762)은 상기 연장부(624)와 선택적으로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원주 방향으로 소정거리 연장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도 12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상기 레버(700)의 조작에 의해 상기 레버(70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기어(7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기어(7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기어(720)가 치합 회전되어 상기 제3기어(730)도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760)에는 상기 제3기어(730)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제4기어(7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4기어(740)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760)와 한몸으로 구성되거나, 별도의 기어로서 구비되어 상기 이동 플레이트(76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4기어(7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 플레이트(76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76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 도 13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롤러(620)는 상기 가압부(630)를 외측으로 밀어내는 방향, 상기 탄성부(630)가 압축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롤러(620)는 상기 회전축(610)과의 구속 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경사면(660)을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요약하면,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레버(700)가 일 방향 회전 시, 상기 이동 플레이트(760)는 상기 지지롤러(620)를 상기 회전축(610)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축(610)이 상기 지지롤러(620)의 간섭 없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축(610)은 상기 동력등강기(10)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레버(700)가 상기 일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이동 플레이트(760)는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홀(762)의 단면적이 상기 연장부(624)의 단면적 보다 원주 방향 길이가 길게 형성되므로, 상기 이동 플레이트(760)의 회전에도 상기 지지롤러(620)는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롤러(620)는 상기 탄성부(640)의 탄성력에 의한 상기 가압부(620)의 이동으로 상기 회전축(610)을 구속하도록 (1)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력등강기(10)의 상승 시, 상기 지지롤러(620)가 상기 회전축(610)과 구속되지 않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력등강기(10)의 정지 시, 상기 탄성부(6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롤러(620)가 상기 회전축(610)에 구속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임의로 상기 동력등강기(10)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등강기(10)의 하강 시, 사용자는 상기 레버(700) 조작을 통해 상기 지지롤러(620)를 상기 회전축(610)에 구속되지 않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하강에 따른 사용자의 예측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동력등강기
110:제1하우징
120:제2하우징
125:결합부
130:제3하우징
132:이너케이스
140:제4하우징
200:구동모듈
210:로프드럼
212:좌측 로프드럼
214:우측 로프드럼
216:본체
218:연결부재
219:간격조절부재
220:기계식 제동장치
230:롤러
240:로프드럼 제동장치
300:스로틀 레버
500:로프
610:회전축
620:지지롤러
624:연장부
630:가압부
640:탄성부
650:지지부
660:경사면
670:공간부
700:레버
710:제1기어
720:제2기어
730:제3기어
740:제4기어
760:이동플레이트
762:홀
B:볼트

Claims (3)

  1. 엔진 또는 모터;
    상기 엔진 또는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며, 외주연에 로프가 권취되되,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되어 폭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로프드럼;
    내측에 상기 회전축을 수용하는 동력 전달 하우징;
    상기 동력 전달 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되는 공간부;
    상기 공간부에 수용되며, 이동에 따라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걸림이 이루어지는 지지롤러;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로프드럼은, 좌측 로프드럼과 우측 로프드럼을 포함하되,
    상기 좌,우측 로프드럼은 회전축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좌측 로프드럼은, 회전축에 베어링 결합되고, 상기 우측 로프드럼은, 간격조절부재에 의해 상기 회전축과 나사결합되어, 상기 우측 로프드럼과 상기 좌측 로프드럼과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로프드럼이 구비된 동력등강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로프드럼 및 우측 로프드럼은, 내면에 로프와의 마찰을 증가시키기 위한 단턱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내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부재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사각 톱니바퀴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좌측 로프드럼의 연결부재와 우측 로프드럼의 연결부재가 서로 맞물리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로프드럼이 구비된 동력등강기.
KR1020190145228A 2019-11-13 2019-11-13 가변형 로프드럼이 구비된 동력등강기 KR102279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228A KR102279349B1 (ko) 2019-11-13 2019-11-13 가변형 로프드럼이 구비된 동력등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228A KR102279349B1 (ko) 2019-11-13 2019-11-13 가변형 로프드럼이 구비된 동력등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085A KR20210059085A (ko) 2021-05-25
KR102279349B1 true KR102279349B1 (ko) 2021-07-21

Family

ID=76145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228A KR102279349B1 (ko) 2019-11-13 2019-11-13 가변형 로프드럼이 구비된 동력등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3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2804B1 (ko) * 2023-12-20 2024-05-03 이원철 로프 인양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6059A (ko) 1996-10-07 1998-07-15 김광호 반도체 장치의 트렌치형 소자 분리 방법
KR20020071103A (ko) * 2001-03-03 2002-09-12 주식회사 국제곤도라 간이승강기용 승하강장치
KR101311643B1 (ko) 2012-05-14 2013-09-25 강희선 이중 브레이크 완강기
KR20170069367A (ko) * 2015-12-10 2017-06-21 배위홍 통발 인양장치
KR101815311B1 (ko) * 2016-04-25 2018-01-04 주식회사 코닥트 지능형 승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085A (ko) 202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6084B2 (ja) エレベーター用補助避難装置
JP580974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2279349B1 (ko) 가변형 로프드럼이 구비된 동력등강기
JP7001971B2 (ja) エレベータ調速機及びエレベータ
IT9019538A1 (it) Dispositivo di sicurezza per un apparecchio di sollevamento o simile
KR101311643B1 (ko) 이중 브레이크 완강기
WO1994004223A1 (en) Rescue system
US3150744A (en) Individual safety elevator
EP3360834B1 (en) Ring assembly for elevator governor, governor and elevator system
US6009979A (en) Outside up-down elevator
US20130240811A1 (en) Rope grip apparatus
KR102127091B1 (ko) 로프형 승강장치
KR102127092B1 (ko) 로프형 승강장치
JP5677493B2 (ja) ロープ牽引装置
JP2006271912A (ja) 避難ロープ装置
KR100388156B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US7607515B2 (en) Elevator evacuation apparatus
JP5917764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950004519B1 (ko) 안전 승강기
JP4986428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CN110316635B (zh) 手动复位装置
KR20200086852A (ko) 로프형 승강장치
KR101615148B1 (ko) 추락방지기능을 구비한 셔터장치
KR101836774B1 (ko) 엘리베이터용 보조 비상제동장치
JP5703472B2 (ja) 昇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