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804B1 - 로프 인양 장치 - Google Patents

로프 인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804B1
KR102662804B1 KR1020230187770A KR20230187770A KR102662804B1 KR 102662804 B1 KR102662804 B1 KR 102662804B1 KR 1020230187770 A KR1020230187770 A KR 1020230187770A KR 20230187770 A KR20230187770 A KR 20230187770A KR 102662804 B1 KR102662804 B1 KR 102662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rotating body
seating
unit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87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철
Original Assignee
이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철 filed Critical 이원철
Priority to KR1020230187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8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8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 E04G3/32Hoisting devices;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로프 인양 장치에 따르면, 건물의 난간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선단에 구비되어, 로프의 이동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롤러부; 상기 롤러부의 후측에 구비되고, 회전 가능한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프는, 상기 회전체에 1회 이상 감겨진 상태에서 롤러부에 지지되어 상기 건물 외벽으로 늘어뜨려지고, 상기 난간에서 로프를 잡아당길 때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적은 힘으로 인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로프 인양 장치{rope lifting device}
본 발명은 로프 인양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외벽 또는 창문을 청소하거나 외벽 페인팅 작업, 기타 공사작업이나 소방서의 구조활동 등을 위해서는 건물의 상부에서 로프를 늘어뜨려 작업이나 구조활동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작업이나 구조활동이 완료되면 늘어뜨린 로프를 인양한다.
이때, 작업은 건물의 옥상부터 지면까지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지면에 도달하면 로프를 해제한 다음, 건물 옥상으로 올라간 후, 늘어뜨린 로프를 인양한다.
여기서, 로프의 인양 시, 로프가 건물 난간에 닿기 때문에 로프와 난간 모서리 간의 마찰이 발생하고, 반복된 마찰로 인하여 로프가 헤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276189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에 롤러가 장착된 구조물을 설치하여 로프를 당겨올리거나 늘어뜨리기 쉽게 하면서도 로프가 마찰에 의한 손상이 최소화되도록 한 것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물은 가격이 매우 비쌀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휴대하기가 어려우며, 설치가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실용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 있었다.
그리고, 작업자가 지면에 도착한 후, 옥상까지 복귀하는 동안, 아무런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아,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76189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로프가 회전체에 1회 이상 감겨진 상태에서 롤러부에 지지되어 건물 외벽으로 늘어뜨려지고, 난간에서 로프를 잡아당길 때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적은 힘으로 인양이 가능한 로프 인양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로프 인양 장치에 따르면, 건물의 난간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선단에 구비되어, 로프의 이동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롤러부; 상기 롤러부의 후측에 구비되고, 회전 가능한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프는, 상기 회전체에 1회 이상 감겨진 상태에서 롤러부에 지지되어 상기 건물 외벽으로 늘어뜨려지고, 상기 난간에서 로프를 잡아당길 때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적은 힘으로 인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회전체의 길이방향 중간에 구비된 로프겹침방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프겹침방지대는, 상기 회전체에 1회 감겨진 로프의 사이에 구비되어 로프가 서로 닿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회전체가 회전할 때, 로프가 서로 겹쳐져 인양되지 않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하여 연속적인 인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난간의 상면에 맞닿고, 전후방향으로 가이드공이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전방 끝단에 절곡되어 상기 난간의 외측벽에 지지되는 절곡부와, 상기 가이드공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절곡부와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며, 상기 난간의 내측벽에 밀착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와 절곡부 사이에 난간이 구비되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을 제한 및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는, 측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에 대응되는 상단에 내입된 내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플레이트의 상측에서 가이드공을 관통하여 내입홈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의 저면에 이동부재 상단을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재 및 상기 관통공에 결합되며 관통함에 따라 상단이 고정된 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난간의 내측벽을 가압시키며 이동부재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은 지그재그로 좌우방향으로 다수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관통공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난간의 내측벽에 다수의 포인트로 가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체의 후측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체에 감겨진 로프를 파지하고, 상기 로프의 인양시 통과되고, 상기 로프의 하강시 통과되지 않도록 하는 로프풀림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프풀림방지부는, 상기 회전체의 후측부에 구비된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체에 감겨져 건물의 난간 내측에 위치한 로프가 안착되며 관통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로프와 맞닿는 접촉면이 형성된 로프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로프고정부재는, 접촉면에 로프가 일방향으로 통과시 로프에 걸리는 후크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로프는, 타방향으로 안착홈 통과시, 로프의 인양이 가능하고, 일방향으로 안착홈 통과시, 상기 후크가 로프에 걸림에 따라 로프의 하강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작업자가 로프에 안전하게 매달려 건물 외벽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회전모터부의 작동신호 수신이 가능한 수신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신부에 작동신호를 송신하는 리모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모터부는,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수신된 작동신호에 따라 작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로프가 회전체에 1회 이상 감겨진 상태에서 롤러부에 지지되어 건물 외벽으로 늘어뜨려지고, 난간에서 로프를 잡아당길 때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적은 힘으로 인양이 가능한 로프 인양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프 인양 장치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프 인양 장치의 정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프 인양 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프 인양 장치의 회전체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프 인양 장치의 회전체에 로프가 겹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프 인양 장치의 로프풀림방지부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로프 인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로프 인양 장치는, 안착부(10), 롤러부(20), 회전체(30) 및 회전모터부(40)를 포함한다.
먼저, 안착부(10)는, 건물의 난간에 안착된다.
이러한, 안착부(10)는, 건물의 난간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게 난간이 삽입되는 삽입공간(15)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삽입공간(15)이 난간에 안착되도록 로프 인양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안착부(10)는, 플레이트(11), 절곡부(12), 이동부재(13) 및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1)는, 난간의 상면에 맞닿고, 전후방향으로 가이드공(14)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전후방향을 난간의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이다.
또한, 가이드공(14)은 2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곡부(12)는, 플레이트(11)의 전방 끝단에 절곡되어 난간의 외측벽에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11)와 절곡부(12)는 'ㄱ'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재(13)는, 가이드공(14)에 결합되고, 가이드공(14)을 따라 이동하며 절곡부(12)와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며, 난간의 내측벽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11), 절곡부(12) 및 이동부재(13)는 'ㅋ'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절곡부(12)와 이동부재(13) 사이에는 삽입공간(15)이 형성되고, 이동부재(13)의 이동에 따라 삽입공간(15) 폭이 조절될 수 있다.
고정수단은, 이동부재(13)와 절곡부(12) 사이에 난간이 구비되면, 이동부재(13)의 이동을 제한 및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이동부재(13)는, 측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가이드공(14)에 대응되는 상단에 내입된 내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과 내입홈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수단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고정수단은, 플레이트(11)의 상측에서 가이드공(14)을 관통하여 내입홈에 결합됨에 따라 플레이트(11)의 저면에 이동부재(13) 상단을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재(16)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고정수단은, 내입홈과 나사결합되며, 제1고정수단은 플레이트(11)의 상측에서 플레이트(11)를 잡아당겨 플레이트(11)의 저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수단은, 관통공에 결합되며 관통함에 따라 상단이 고정된 이동부재(13)에 의해 난간의 내측벽을 가압시키며 이동부재(13)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재(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고정부재(17)는 관통공과 나사결합되며, 제1고정수단으로 이미 상단이 고정된 이동부재(13)를 더 고정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고정수단이 관통공에 나사결합되며 관통되면, 난간의 내측벽을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상단이 이미 고정된 이동부재(13)는 가이드공(14)을 따라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제2고정수단으로 난간의 내측벽을 가압할수록 이동부재(13)는 상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하부가 난간의 내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이는, 이동부재(13)가 가이드공(14)을 따라서 움직일 수 없으므로, 안정적인 안착부(10)의 난간 안착이 가능하다.
그리고, 관통공은 지그재그로 좌우방향(난간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고정부재(17)는, 관통공에 각각 결합되어 난간의 내측벽에 다수의 포인트로 가압시킬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부재(13)를 고정시킬 수 있다.
롤러부(20)는, 안착부(10)의 선단에 구비되어, 로프의 이동방향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롤러부(20)는, 로프와 난간이 서로 닿지 않도록 하고, 인양시 로프와 난간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회전체(30)는, 롤러부(20)의 후측에 구비되고, 회전 가능하다.
이때, 회전체(30)는, 양단이 외부로 돌출되어 로프가 빠지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전모터부(40)는, 회전체(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회전모터부(40)는 안착부(10)에 기 구비된 배터리(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50)는 탈부착이 가능하다. 또한, 배터리(50)와 배터리(50)의 탈부착 소켓은 종래의 전동공구의 배터리(50)와, 배터리(50)가 장착되는 소켓과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장에서 사용하는 전동공구의 배터리(50)를 이용하여 로프 인양 장치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외부의 전원이 없어도 사용 가능하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로프는, 회전체(30)에 1회 이상 감겨진 상태에서 롤러부(20)에 지지되어 건물 외벽으로 늘어뜨려지고, 난간에서 로프를 잡아당길 때 회전체(30)의 회전에 의해 적은 힘으로 인양이 가능하다.
이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아닌 작업장치를 지면에서 건물 상부로 인양할 때도 적은 힘 즉, 작업자가 적은 힘으로 잡아당겨서 인양할 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로프 인양 장치는, 로프겹침방지대(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체(30)에 1회 감겨진 로프는 회전체(30)가 회전함에 따라 난간의 내측으로 이동되며 인양되는데, 인양과정에서 1회 감겨진 로프가 서로 중첩되는 경우가 있다. 즉, 도 5와 같이, 로프가 서로 겹쳐지고, 겹쳐진 로프의 마찰로 인해 로프의 인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겹쳐진 로프를 분리시켜야 한다.
로프겹침방지대(31)는, 회전체(3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고, 회전체(30)의 길이방향 중간에 구비된다. 즉, 회전체(30)의 길이방향을 2분할 할 수 있다.
즉, 로프겹침방지대(31)는, 회전체(30)에 1회 감겨진 로프의 사이에 구비되어 로프가 서로 닿지 않도록 함으로써, 회전체(30)가 회전할 때, 로프가 서로 겹쳐져 인양되지 않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하여 연속적인 인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로프 인양 장치는, 로프풀림방지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로프풀림방지부(60)는, 회전체(30)의 후측에 구비되고, 회전체(30)에 감겨진 로프를 파지하고, 로프의 인양시 통과되고, 로프의 하강시 통과되지 않도록 한다.
즉, 로프풀림방지부(60)는, 로프가 일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제한하여 인양시만 통과하고, 하강시에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여 작업자가 로프에 매달린 상태에서 건물의 외벽 작업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로프풀림방지부(60)는, 기둥(61), 몸체(62), 로프고정부재(63)를 포함할 수 있다.
기둥(61)은, 회전체(30)의 후측부에 구비된다.
몸체(62)는, 기둥(61)의 상부에 결합되고, 회전체(30)에 감겨져 건물의 난간 내측에 위치한 로프가 안착되며 관통되는 안착홈(65)이 형성된다.
로프고정부재(63)는, 몸체(62)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안착홈(65)에 안착된 로프와 맞닿는 접촉면이 형성된다.
이때, 로프고정부재(63)는, 접촉면에 로프가 일방향으로 통과시 로프에 걸리는 후크(64)가 다수 형성된다.
즉, 로프는, 타방향으로 안착홈(65) 통과시, 로프의 인양이 가능하고, 일방향으로 안착홈(65) 통과시, 후크(64)가 로프에 걸림에 따라 로프의 하강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작업자가 로프에 안전하게 매달려 건물 외벽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로프고정부재(63)는, 몸체(62)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비틀림스프링에 의해 탄성력이 로프 또는 안착홈(65)을 향해 가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로프 인양 장치는, 수신부 및 리모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는, 안착부(10)에 구비되어, 회전모터부(40)의 작동신호 수신이 가능하다.
리모컨은, 수신부에 작동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작동신호는 on신호와 off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회전모터부(40)는, 리모컨으로부터 수신된 작동신호에 따라 작동 가능하다 .
예를 들어, 작업자가 건물의 지면까지 작업을 마친 상태에서, 건물의 옥상으로 올라가야 한다. 이때, 작업자가 소지한 리모컨으로 회전모터부(40)의 작동신호 on신호를 입력하면, 수신부가 on신호를 수신 후, 회전모터부(4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모터부(40)는 회전체(30)를 회전시키면서 로프를 자동으로 인양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옥상으로 올라가면, 로프가 인양되고 있거나, 모두 인양된 상태일 수 있으므로, 작업의 마무리를 보다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작동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안착부 11 : 플레이트
12 : 절곡부 13 : 이동부재
14 : 가이드공 15 : 삽입공간
16 : 제1고정부재 17 : 제2고정부재
20 : 롤러부 30 : 회전체
31 : 로프겹침방지대 40 : 회전모터부
50 : 배터리 60 : 로프풀림방지부
61 : 기둥 62 : 몸체
63 : 로프고정부재 64 : 후크

Claims (5)

  1. 건물의 난간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선단에 구비되어, 로프의 이동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롤러부;
    상기 롤러부의 후측에 구비되고, 회전 가능한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프는, 상기 회전체에 1회 이상 감겨진 상태에서 롤러부에 지지되어 상기 건물 외벽으로 늘어뜨려지고, 상기 난간에서 로프를 잡아당길 때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적은 힘으로 인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난간의 상면에 맞닿고, 전후방향으로 가이드공이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전방 끝단에 절곡되어 상기 난간의 외측벽에 지지되는 절곡부와,
    상기 가이드공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절곡부와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며, 상기 난간의 내측벽에 밀착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와 절곡부 사이에 난간이 구비되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을 제한 및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측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에 대응되는 상단에 내입된 내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플레이트의 상측에서 가이드공을 관통하여 내입홈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의 저면에 이동부재 상단을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재 및 상기 관통공에 결합되며 관통함에 따라 상단이 고정된 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난간의 내측벽을 가압시키며 이동부재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은 지그재그로 좌우방향으로 다수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관통공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난간의 내측벽에 다수의 포인트로 가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인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회전체의 길이방향 중간에 구비된 로프겹침방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프겹침방지대는, 상기 회전체에 1회 감겨진 로프의 사이에 구비되어 로프가 서로 닿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회전체가 회전할 때, 로프가 서로 겹쳐져 인양되지 않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하여 연속적인 인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인양 장치.
  3. 삭제
  4. 삭제
  5. 건물의 난간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선단에 구비되어, 로프의 이동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롤러부;
    상기 롤러부의 후측에 구비되고, 회전 가능한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프는, 상기 회전체에 1회 이상 감겨진 상태에서 롤러부에 지지되어 상기 건물 외벽으로 늘어뜨려지고, 상기 난간에서 로프를 잡아당길 때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적은 힘으로 인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회전체의 후측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체에 감겨진 로프를 파지하고, 상기 로프의 인양시 통과되고, 상기 로프의 하강시 통과되지 않도록 하는 로프풀림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프풀림방지부는,
    상기 회전체의 후측부에 구비된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체에 감겨져 건물의 난간 내측에 위치한 로프가 안착되며 관통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로프와 맞닿는 접촉면이 형성된 로프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로프고정부재는, 접촉면에 로프가 일방향으로 통과시 로프에 걸리는 후크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로프는, 타방향으로 안착홈 통과시, 로프의 인양이 가능하고, 일방향으로 안착홈 통과시, 상기 후크가 로프에 걸림에 따라 로프의 하강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작업자가 로프에 안전하게 매달려 건물 외벽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회전모터부의 작동신호 수신이 가능한 수신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신부에 작동신호를 송신하는 리모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모터부는,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수신된 작동신호에 따라 작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인양 장치.
KR1020230187770A 2023-12-20 2023-12-20 로프 인양 장치 KR102662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7770A KR102662804B1 (ko) 2023-12-20 2023-12-20 로프 인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7770A KR102662804B1 (ko) 2023-12-20 2023-12-20 로프 인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2804B1 true KR102662804B1 (ko) 2024-05-03

Family

ID=91076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87770A KR102662804B1 (ko) 2023-12-20 2023-12-20 로프 인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804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189B1 (ko) 2012-09-06 2013-06-18 강민구 달비계용 로프 고정 장치
KR200480875Y1 (ko) * 2014-06-26 2016-07-18 주식회사 보흥클레온 로프 작업용 견인대
KR20160144265A (ko) * 2015-06-08 2016-12-1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케이블의 풀림을 방지하는 케이블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윈치
KR102173165B1 (ko) * 2020-02-24 2020-11-02 주식회사 에스디산업기술 이동이 가능한 캡스턴
KR20210014805A (ko) * 2019-07-30 2021-02-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펜더 대빗 장치
US20210061160A1 (en) * 2017-11-20 2021-03-04 Nigel Carter Technical Services Limited Tensioning system
KR20210059085A (ko) * 2019-11-13 2021-05-2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가변형 로프드럼이 구비된 동력등강기
KR20210128812A (ko) * 2020-04-17 2021-10-27 유한회사 와이디 로프 소분장치
KR20210157221A (ko) * 2020-06-19 2021-12-28 한국전력공사 전지 작업용 윈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189B1 (ko) 2012-09-06 2013-06-18 강민구 달비계용 로프 고정 장치
KR200480875Y1 (ko) * 2014-06-26 2016-07-18 주식회사 보흥클레온 로프 작업용 견인대
KR20160144265A (ko) * 2015-06-08 2016-12-1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케이블의 풀림을 방지하는 케이블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윈치
US20210061160A1 (en) * 2017-11-20 2021-03-04 Nigel Carter Technical Services Limited Tensioning system
KR20210014805A (ko) * 2019-07-30 2021-02-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펜더 대빗 장치
KR20210059085A (ko) * 2019-11-13 2021-05-2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가변형 로프드럼이 구비된 동력등강기
KR102173165B1 (ko) * 2020-02-24 2020-11-02 주식회사 에스디산업기술 이동이 가능한 캡스턴
KR20210128812A (ko) * 2020-04-17 2021-10-27 유한회사 와이디 로프 소분장치
KR20210157221A (ko) * 2020-06-19 2021-12-28 한국전력공사 전지 작업용 윈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48413B1 (de) Aufzugsanlage und verfahren zum errichten einer aufzugsanlage
US3428145A (en) Elevator for extension ladders
CN1656296A (zh) 用于无绳百叶窗的单向制动器
DE2628041A1 (de) Fassadenseilaufzug
WO2005092444A1 (en)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KR102662804B1 (ko) 로프 인양 장치
US4128228A (en) Extension ladder hoist
EP1760026A1 (de) Verfahren zur Durchführung von Wartungs- und Inspektionsarbeiten an einer Aufzugsanlage
CN207609161U (zh) 基于外墙智能喷涂施工的导向防摆装置
US20190127186A1 (en) Self-contained hoist device, rail device and hoist system
EP0471305A1 (de) An einen Mobilkran anbaubare Plattform
KR20160030137A (ko) 갱폼의 하부 케이지 고정 및 해체를 위한 안전시스템
JP6825834B2 (ja) 墜落防止装置
JPH10323131A (ja) 高所作業装置
KR100909879B1 (ko) 높낮이 조절용 안전곤도라
CN210152225U (zh) 一种导向支座
KR20180012881A (ko) 실외기 설치가 용이한 베란다 구조
JP2000045511A (ja) 傾斜した外壁面の保守ゴンドラ装置及び保守方法
DE102009049648B4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Unterstützung von Rettungs-, Bergungs- oder Aufräumarbeiten aus der Luft
JP2000084100A (ja) 梯子の安全装置
JP2007106517A (ja) 金車用安全カバー
KR102423568B1 (ko) 테이블 리프트 작업자의 안전고리 체결용 러그
EP3425157B1 (en) Demountable assembly for lifting windows
CN215671364U (zh) 舞台系统及用于表演的翻转平台
KR20140004003U (ko) 고소작업용 사다리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