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148B1 - 추락방지기능을 구비한 셔터장치 - Google Patents

추락방지기능을 구비한 셔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148B1
KR101615148B1 KR1020140066865A KR20140066865A KR101615148B1 KR 101615148 B1 KR101615148 B1 KR 101615148B1 KR 1020140066865 A KR1020140066865 A KR 1020140066865A KR 20140066865 A KR20140066865 A KR 20140066865A KR 101615148 B1 KR101615148 B1 KR 101615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unit
governor
rotation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6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8663A (ko
Inventor
강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성
Priority to KR1020140066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148B1/ko
Publication of KR20150138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9/82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 E06B9/84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against dro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셔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셔터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셔터의 추락 사고를 방지하는 기능이 구비된 셔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추락방지기능을 구비한 셔터장치는 상승 또는 하강하는 셔터판을 구비한 셔터부, 상기 셔터부 일단과 연결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셔터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 일측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부에 회전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회전부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 또는 회전부의 이상으로 상기 셔터부가 자중에 의해 하강 시에 상기 셔터부의 하강 속도를 저하시키는 추락방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추락방지기능을 구비한 셔터장치{Shutter device with non-drop function}
본 발명은 셔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셔터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셔터의 추락 사고를 방지하는 기능이 구비된 셔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셔터는, 방범을 목적으로 건물의 출입구를 봉쇄하기 위하여, 또는 화재발생시 통로를 통하여 불과 연기가 진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설치 사용되는데, 근래에는 모터의 힘을 이용하여 셔터를 승강시키는 전동식 셔터가 수요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한편, 도1은 종래의 셔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2는 종래의 셔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전동식 셔터의 구동장치는 셔터(1)를 말아 올리기 위한 스프라켓(2)과, 상기한 스프라켓(2)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기어에 치합되어 있는 체인(3)과, 상기한 체인(3)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4)를 포함합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전동식 셔터의 구동장치는 체인(3)이 끊어지는 경우 및 모터에 연결된 감속기어가 파손되어 모터와 분리되는 경우에 아무런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서 상대적으로 무거운 하중을 갖는 셔터(1)가 자중에 의해 추락하게 됨으로써 인명피해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합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셔터판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동장치 및 부속에 이상이 생겨서 셔터판이 자유낙하를 하게 될 경우 셔터판이 추락하는 속도를 저하시키거나, 정지시키는 셔터판의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방지기능을 구비한 셔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셔터판 상승 시에는 추락방지장치를 작동시키지 않음으로써, 셔터판 상승 시에 구동장치에 요구되는 부하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추락방지기능을 구비한 셔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기능을 구비한 셔터장치는 상승 또는 하강하는 셔터판을 구비한 셔터부, 상기 셔터부 일단과 연결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셔터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 일측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부에 회전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회전부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 또는 회전부의 이상으로 상기 셔터부가 자중에 의해 하강 시에 상기 셔터부의 하강 속도를 저하시키는 추락방지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추락방지부는 상기 셔터부가 하강 시 상기 회전부의 회전 속도에 의해 원심력이 발생되며, 상기 원심력을 이용하여 상기 셔터부의 하강 속도를 저하시키거나 정지시키는 거버너, 일측이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거버너와 연결되되, 복수의 축 및 기어를 통해 상기 회전부의 동력을 상기 거버너에 전달하는 기어박스 및 상기 기어박스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셔터부 상승 시 상기 회전부의 회전력이 상기 거버너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셔터부 하강 시 상기 회전부의 회전력이 상기 거버너에 전달하는 일방향 베어링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거버너는 상기 기어박스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동력을 전달하는 거버너 기어, 상기 거버너 기어에 의해 회전하는 거버너 뭉치, 상기 거버너 뭉치의 회전에 의해 작동하는 복수의 브레이크 패드 및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구비되며, 일정한 장력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패드를 고정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브레이크 패드는 상기 거버너 뭉치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이 상기 스프링의 장력보다 크게 작용할 경우 상기 브레이크 패드 간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상기 거버너의 케이싱과 마찰하여 상기 셔터부의 하강 속도를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전부는 상기 셔터부와 연결되며, 상기 셔터부를 회전시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 일단에 구비되되, 상기 구동부와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에 회전하는 동력을 전달하는 제1스프라켓 및 상기 회전축 타단에 구비되되, 상기 추락방지부와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이 회전하는 동력을 상기 추락방지부에 전달하는 제2스프라켓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셔터판의 추락방지기능을 구비한 셔터장치는 셔터판을 구비한 셔터부, 회전에 의해 상기 셔터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회전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셔터부의 하강 속도를 저하시키는 추락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 및 상기 구동부의 오작동으로 제어 의도와 상관없이 상기 셔터부의 자중에 의해 하강할 경우 상기 추락방지부는 상기 회전부에서 전달한 회전 동력을 원심력으로 변환하며, 동시에 상기 원심력을 이용하여 상기 셔터부의 하강 속도를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추락방지부는 상기 셔터부가 하강 시 상기 회전부의 회전 속도에 의해 원심력이 발생되며, 상기 원심력을 이용하여 상기 셔터부의 하강 속도를 저하시키거나 정지시키는 거버너, 일측이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거버너와 연결되되, 복수의 축 및 기어를 통해 상기 회전부의 동력을 상기 거버너에 전달하는 기어박스 및 상기 기어박스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셔터부 상승 시 상기 회전부의 회전력이 상기 거버너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셔터부 하강 시 상기 회전부의 회전력이 상기 거버너에 전달하는 일방향 베어링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거버너는 상기 기어박스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동력을 전달하는 거버너 기어, 상기 거버너 기어에 의해 회전하는 거버너 뭉치, 상기 거버너 뭉치의 회전에 의해 작동하는 복수의 브레이크 패드 및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구비되며, 일정한 장력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패드를 고정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브레이크 패드는 상기 거버너 뭉치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이 상기 스프링의 장력보다 크게 작용할 경우 상기 브레이크 패드 간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상기 거버너의 케이싱과 마찰하여 상기 셔터부의 하강 속도를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전부는 상기 셔터부와 연결되며, 상기 셔터부를 회전시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 일단에 구비되되, 상기 구동부와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에 회전하는 동력을 전달하는 제1스프라켓 및 상기 회전축 타단에 구비되되, 상기 추락방지부와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이 회전하는 동력을 상기 추락방지부에 전달하는 제2스프라켓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셔터판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동장치 및 부속에 이상이 생겨서 셔터판이 자유낙하를 하게 될 경우 셔터판이 추락하는 속도를 저하시키거나, 정지시키는 셔터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셔터판 상승 시에는 추락방지장치를 작동시키지 않음으로써, 셔터판 상승 시에 구동장치에 요구되는 부하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셔터판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동장치 및 부속에 이상이 생겨서 셔터판이 자유낙하를 하게 될 경우 셔터판이 추락하는 속도를 저하시키거나, 정지시키는 셔터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셔터판 상승 시에는 추락방지장치를 작동시키지 않음으로써, 셔터판 상승 시에 구동장치에 요구되는 부하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셔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2는 종래의 셔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추락방지기능을 구비한 셔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추락방지기능을 구비한 셔터장치의 구동부 및 추락방지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추락방지기능을 구비한 셔터장치의 추락방지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거버너의 동력전달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적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추락방지기능을 구비한 셔터장치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추락방지기능을 구비한 셔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추락방지기능을 구비한 셔터장치의 구동부 및 추락방지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추락방지기능을 구비한 셔터장치의 추락방지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추락방지부의 동력전달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3내지 도6을 참고하면, 추락방지기능을 구비한 셔터장치(10)는 셔터부(100), 회전부(200), 구동부(300) 및 추락방지부(4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추락방지기능을 구비한 셔터장치(10)는 상승 또는 하강하는 셔터판을 구비한 셔터부(100), 상기 셔터부(100) 일단과 연결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셔터부(1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회전부(200), 상기 회전부(200) 일측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부(200)에 회전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300) 및 상기 회전부(200)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300) 또는 회전부(200)의 이상으로 상기 셔터부(100)가 자중에 의해 하강 시에 상기 셔터부(100)의 하강 속도를 저하시키는 추락방지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셔터부(100)는 건물의 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해 복수개의 직사각형 형태의 철판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셔터판을 형성하며, 상기 셔터판이 상승 또는 하강함으로써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셔터판의 형태 및 구조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셔터장치(10)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갖는 셔터판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200)는 회전축(210), 제1스프라켓(220) 및 제2스프라켓(230)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2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셔터부(1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부(200)는 회전축(210)의 양단에 각각 동일한 크기의 스프라켓(220,230)이 구비되며, 상기 스프라켓(220,230)은 동일한 크기와 개수의 톱니를 구비한다. 또한, 회전부(200)는 셔터부(100)와 연결되어 있으며, 회전축(2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셔터부(100)를 상승 또는 하강 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회전부(200)는 상기 셔터부(100)와 연결되며, 상기 셔터부(100)를 회전시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회전축(210), 상기 회전축(210) 일단에 구비되되, 상기 구동부(300)와 체인(500)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210)에 회전하는 동력을 전달하는 제1스프라켓(220) 및 상기 회전축(210) 타단에 구비되되, 상기 추락방지부(400)와 체인(500)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210)이 회전하는 동력을 상기 추락방지부(400)에 전달하는 제2스프라켓(2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스프라켓(220)과 구동부(300)는 체인(50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300)에서 회전하는 구동력을 상기 체인(500)으로 전달하여, 제1스프라켓(220)이 회전하게 되며, 제1스프라켓(22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축(210)이 회전하고, 회전축(210)은 제2스프라켓(230)에 회전하는 동력을 전달하고, 제2스프라켓(230)과 추락방지부(400)가 체인(500)에 의해 연결되며, 제2스프라켓(230)의 동력이 추락방지부(400)에 전달된다. 따라서, 구동부(30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회전축(210)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하고, 이에 따라 셔터부(100)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상기 구동부(300)는 회전부(200)의 제1스프라켓(220)과 체인(500)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구동부(30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셔터부(100)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300)는 구동모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구동부(300)의 회전 속도 및 구동력을 제어하기 위해 감속기어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추락방지부(400)는 셔터부(100)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중에 고장 또는 이상이 발생하여, 셔터부(100)의 셔터판이 자유낙하 하여 추락할 경우 셔터판의 추락하는 속도를 저하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락방지부(400)는 상기 셔터부(100)가 하강 시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 속도에 의해 원심력이 발생되며, 상기 원심력을 이용하여 상기 셔터부(100)의 하강 속도를 저하시키거나 정지시키는 거버너(410), 일측이 상기 회전부(200)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거버너(410)와 연결되되, 복수의 축 및 기어를 통해 상기 회전부(200)의 동력을 상기 거버너에 전달하는 기어박스(420) 및 상기 기어박스(42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셔터부(100) 상승 시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력이 상기 거버너(41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셔터부(100) 하강 시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력이 상기 거버너(410)에 전달하는 일방향 베어링(430)를 포함한다.
상기 거버너(410)는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추락하는 셔터부(100)에 대해서 부하를 증가시켜 추락하는 속도를 저하시키거나 정지시킨다. 구체적으로, 거버너(410)는 상기 기어박스(420)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동력을 전달하는 거버너 기어(411), 상기 거버너 기어(411)에 의해 회전하는 거버너 뭉치(412), 상기 거버너 뭉치(412)의 회전에 의해 작동하는 복수의 브레이크 패드(413) 및 상기 브레이크 패드(413)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구비되며, 일정한 장력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패드(413)를 고정지지 하는 스프링(414)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거버너 기어(411)는 기어박스(420)와 연결되어, 기어박스(420)를 통해 회전 동력을 전달받으며, 거버너 뭉치(412)에 회전 동력을 전달한다. 거버너 뭉치(412)는 거버너 기어(411)화 일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거버너 기어(411)에 의해 회전하며, 회전에 의해 원심력이 발생한다. 브레이크 패드(413)는 거버너 뭉치(412)에 복수개가 구비되며, 브레이크 패드(413)의 양단에는 스프링(414)이 결합되어 있어, 일정한 장력으로 브레이크 패드(413)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로 고정한다. 여기서, 거버너 기어(411)가 기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회전할 경우 회전에 의해 원심력이 발생하고, 원심력은 브레이크 패드(413)에 작용하여, 브레이크 패드(413) 간의 간격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스프링(414)의 장력보다 원심력이 클 경우, 브레이크 패드(413)는 거버너(410)의 케이싱과 마찰함으로써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셔터부(100)이 하강하는 속도에 부하를 증가시켜 하강 속도를 저하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420)는 일측이 회전부(200)의 제2스프라켓(230)과 체인(500)에 의해 연결되며, 타측은 거버너(410)와 연결되어 있어 제2스프라켓(230)의 회전 동력을 거버너(410)에 직접적으로 전달한다. 특히, 기어박스(420)는 다수의 기어와 축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2스프라켓(230)의 동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예를 들면, 기어박스(420)는 일단이 제2스프라켓(230)과 연결되는 제1축(421), 상기 제1축(421)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1기어(422), 제1기어(422)와 맞물려 있는 제2축(423) 및 제2축(423)과 결합되고, 거버너(410)와 맞물려 있는 제2기어(424)를 포함한다.
상기 일방향 베어링(430)은 기어박스(420) 내부에 구비되며, 특히, 상기 기어박스(420)에서 거버너(410)로 동력을 전달하는 축과 기어 사이에 구비되어, 거버너(410)에 동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방향 베어링(430)은 기어박스(420)에서 거버너 기어(411)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축(423) 및 제2기어(424) 사이에 구비되며, 제2축(423)의 회전력을 제2기어(424)에 전달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셔터부(100)가 상승하는 경우 구동부(300)가 정회전하기 때문에, 기어박스(420)에 전달되는 회전 방향이 정방향 이므로, 제2축(423)은 정회전하고, 일방향 베어링(430)은 정회전에 대해서 공회전함으로써, 제2기어(424)에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셔터부(100)가 상승할 때에는 거버너(410)가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구동부(300)에는 셔터부(100)에 대한 부하만 작용한다.
반면에, 셔터부(100)가 고장 또는 이상으로 자유낙하 할 경우 추락하는 셔터부(100)의 하중에 의해 셔터부(100)는 하강하게 되며, 셔터부(100)와 연결된 회전축(210)은 역회전하면서, 제2스프라켓(230)을 통해 추락방지부(40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추락방지부(400)의 기어박스(420)에 회전력이 전달되면, 일방향 베어링(430)은 회전력을 거버너 기어(411)에 전달하고, 거버너 뭉치(412)를 회전 시켜, 회전하는 거버너 뭉치(412)의 원심력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413) 간격이 벌어지면서, 거버너(410) 케이싱과 마찰에 의해 셔터부(100)의 하강 속도를 저하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셔터부(100)가 구동부(300)에 의해 하강할 경우, 구동부(300)의 역회전에 대한 회전력이 거버너(410)에 전달되며, 거버너(410)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이 브레이크 패드(413) 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프링(414)의 장력보다 약하기 때문에 거버너(410)는 회전만 할 뿐 브레이크 패드(413)가 작동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셔터판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동장치 및 부속에 이상이 생겨서 셔터판이 자유낙하를 하게 될 경우 셔터판이 추락하는 속도를 저하시키거나, 정지시키는 셔터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셔터판 상승 시에는 추락방지장치를 작동시키지 않음으로써, 셔터판 상승 시에 구동장치에 요구되는 부하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셔터장치 300: 구동부
100: 셔터부 400: 추락방지부
200: 회전부 410: 거버너
210: 회전축 420: 기어박스
220: 제1스프라켓 430: 일방향 베어링
230: 제2스프라켓 500: 체인

Claims (10)

  1. 상승 또는 하강하는 셔터판을 구비한 셔터부;
    상기 셔터부 일단과 연결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셔터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 일측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부에 회전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회전부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 또는 회전부의 이상으로 상기 셔터부가 자중에 의해 하강 시에 상기 셔터부의 하강 속도를 저하시키는 추락방지부;
    을 포함하고,
    상기 추락방지부는 상기 셔터부가 하강 시 상기 회전부의 회전 속도에 의해 원심력이 발생되며, 상기 원심력을 이용하여 상기 셔터부의 하강 속도를 저하시키거나 정지시키는 거버너, 일측이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거버너와 연결되되, 복수의 축 및 기어를 통해 상기 회전부의 동력을 상기 거버너에 전달하는 기어박스 및 상기 기어박스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셔터부 상승 시 상기 회전부의 회전력이 상기 거버너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셔터부 하강 시 상기 회전부의 회전력이 상기 거버너에 전달하는 일방향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거버너는 상기 기어박스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동력을 전달하는 거버너 기어, 상기 거버너 기어에 의해 회전하는 거버너 뭉치, 상기 거버너 뭉치의 회전에 의해 작동하는 복수의 브레이크 패드 및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구비되며, 일정한 장력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패드를 고정지지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추락방지기능을 구비한 셔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는 상기 거버너 뭉치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이 상기 스프링의 장력보다 크게 작용할 경우 상기 브레이크 패드 간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상기 거버너의 케이싱과 마찰하여 상기 셔터부의 하강 속도를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기능을 구비한 셔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셔터부와 연결되며, 상기 셔터부를 회전시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 일단에 구비되되, 상기 구동부와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에 회전하는 동력을 전달하는 제1스프라켓; 및
    상기 회전축 타단에 구비되되, 상기 추락방지부와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이 회전하는 동력을 상기 추락방지부에 전달하는 제2스프라켓;
    을 포함하는 추락방지기능을 구비한 셔터장치.
  6. 셔터판의 추락방지기능을 구비한 셔터장치에 있어서,
    셔터판을 구비한 셔터부;
    회전에 의해 상기 셔터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회전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셔터부의 하강 속도를 저하시키는 추락방지부;
    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 및 상기 구동부의 오작동으로 제어 의도와 상관없이 상기 셔터부의 자중에 의해 하강할 경우 상기 추락방지부는 상기 회전부에서 전달한 회전 동력을 원심력으로 변환하며, 동시에 상기 원심력을 이용하여 상기 셔터부의 하강 속도를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추락방지부는 상기 셔터부가 하강 시 상기 회전부의 회전 속도에 의해 원심력이 발생되며, 상기 원심력을 이용하여 상기 셔터부의 하강 속도를 저하시키거나 정지시키는 거버너, 일측이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거버너와 연결되되, 복수의 축 및 기어를 통해 상기 회전부의 동력을 상기 거버너에 전달하는 기어박스 및 상기 기어박스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셔터부 상승 시 상기 회전부의 회전력이 상기 거버너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셔터부 하강 시 상기 회전부의 회전력이 상기 거버너에 전달하는 일방향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거버너는 상기 기어박스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동력을 전달하는 거버너 기어, 상기 거버너 기어에 의해 회전하는 거버너 뭉치, 상기 거버너 뭉치의 회전에 의해 작동하는 복수의 브레이크 패드 및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구비되며, 일정한 장력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패드를 고정지지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추락방지기능을 구비한 셔터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는 상기 거버너 뭉치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이 상기 스프링의 장력보다 크게 작용할 경우 상기 브레이크 패드 간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상기 거버너의 케이싱과 마찰하여 상기 셔터부의 하강 속도를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기능을 구비한 셔터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셔터부와 연결되며, 상기 셔터부를 회전시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 일단에 구비되되, 상기 구동부와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에 회전하는 동력을 전달하는 제1스프라켓; 및
    상기 회전축 타단에 구비되되, 상기 추락방지부와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이 회전하는 동력을 상기 추락방지부에 전달하는 제2스프라켓;
    을 포함하는 추락방지기능을 구비한 셔터장치.
KR1020140066865A 2014-06-02 2014-06-02 추락방지기능을 구비한 셔터장치 KR101615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865A KR101615148B1 (ko) 2014-06-02 2014-06-02 추락방지기능을 구비한 셔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865A KR101615148B1 (ko) 2014-06-02 2014-06-02 추락방지기능을 구비한 셔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663A KR20150138663A (ko) 2015-12-10
KR101615148B1 true KR101615148B1 (ko) 2016-04-25

Family

ID=54979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6865A KR101615148B1 (ko) 2014-06-02 2014-06-02 추락방지기능을 구비한 셔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1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05384A (zh) * 2019-12-04 2020-03-24 北京北方车辆集团有限公司 一种升降式电动门防坠落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5335A (ja) 1998-11-13 2000-05-26 Sanwa Shutter Corp 建築用シャッターの制動装置
JP2001032655A (ja) 1999-05-20 2001-02-06 Sanwa Shutter Corp シャッター落下防止装置
KR200408337Y1 (ko) 2005-11-16 2006-02-08 이한수 방화 셔터용 자동 폐쇄기
JP2006307442A (ja) * 2005-04-26 2006-11-09 Tostem Suzuki Shutter Mfg Co Ltd シャッタ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5335A (ja) 1998-11-13 2000-05-26 Sanwa Shutter Corp 建築用シャッターの制動装置
JP2001032655A (ja) 1999-05-20 2001-02-06 Sanwa Shutter Corp シャッター落下防止装置
JP2006307442A (ja) * 2005-04-26 2006-11-09 Tostem Suzuki Shutter Mfg Co Ltd シャッター
KR200408337Y1 (ko) 2005-11-16 2006-02-08 이한수 방화 셔터용 자동 폐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663A (ko) 2015-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08530B (zh) 一种直线电机直驱电梯双向超速保护装置
JP5276084B2 (ja) エレベーター用補助避難装置
JP5735504B2 (ja) エレベータの調速機
TW201443331A (zh) 用於電動捲門之門片防墜落裝置
US20160347592A1 (en) Lifting gear with hysteresis clutch
WO2012089130A1 (zh) 升降设备用空间楔合式防坠落、防超速紧急制动装置
US8246010B2 (en) Fluid shear actuated hoist brake
KR101615148B1 (ko) 추락방지기능을 구비한 셔터장치
CN102553093B (zh) 缓降器
GB2482219A (en) Rope grip apparatus
US6059008A (en) Braking device for shutter for building
JP2007177430A (ja) シートシャッター
JP2019218969A (ja) 速度制御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昇降装置
JP5944056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CN103387167A (zh) 电梯防坠落保护装置
IT202100003905A1 (it) Freno di emergenza
JP2014070339A (ja) 駆動機構及び駆動方法
JP2010133243A5 (ko)
KR20210059085A (ko) 가변형 로프드럼이 구비된 동력등강기
KR200243892Y1 (ko) 승강기용 브레이크장치
WO2014125574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950004519B1 (ko) 안전 승강기
JP2013193877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19031895A (ja) 回転体制動装置
CN103030080A (zh) 防坠落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