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092B1 - 로프형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로프형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092B1
KR102127092B1 KR1020180139095A KR20180139095A KR102127092B1 KR 102127092 B1 KR102127092 B1 KR 102127092B1 KR 1020180139095 A KR1020180139095 A KR 1020180139095A KR 20180139095 A KR20180139095 A KR 20180139095A KR 102127092 B1 KR102127092 B1 KR 102127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housing
lifting device
throttle lever
type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5443A (ko
Inventor
심성수
강병무
이우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닥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닥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닥트
Priority to KR1020180139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092B1/ko
Publication of KR20200055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5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4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s sliding on the ro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6Life-saving ropes 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32Det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로프형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로프형 승강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 배치되는 엔진 또는 모터; 상기 엔진 또는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로프가 권취되는 로프드럼; 사용자 조작에 의해 제1위치 및 상기 제1위치와 소정 각도를 가지는 제2위치로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로틀 레버; 및 상기 스로틀 레버의 상기 제2위치에서의 회전 상태를 고정시키는 고정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로프형 승강장치{Rope type elevator apparatus}
본 실시예는 로프형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고층 건물이 많고, 이러한 고층 건물에서 화재를 포함한 비상상황 발생 시 재실자의 신속한 탈출을 위해 로프형 승강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로프형 승강장치는 엔진형 동력 승강장치로서, 위험상황 발생시에 로프나 줄을 이용하여 사람이 외부로 탈출할 때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개실용신안 제1998-026059호에는, 루프와; 상기 루프를 감아 올리기 위한 풀리와; 상기 풀리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부와; 상기 루프, 풀리, 감속부가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판과; 그리고 결합판의 상부방향에 결합되는 덮개판 등으로 구성되는 완강기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311643호에는 V형브레이크에서 먼저 감속 효과를 줌으로써, 감속휠에서는 고체중자가 매달린 경우에도 저체중자가 매달린 것과 같은 하중을 느끼므로, 과체중자라도 저체중자와 마찬가지로 낮은 속도로 완강할 수 있으며, 또한, V 형브레이크가 피난자의 체중의 일부를 담당하므로, 다른 완강기 부품의 피로도가 감소하여 장기간 완강기를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승, 하강 시 속도를 변환시킬 수 있고, 속도 변환을 위한 사용자 제어 입력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로프형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로프형 승강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 배치되는 엔진 또는 모터; 상기 엔진 또는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로프가 권취되는 로프드럼; 사용자 조작에 의해 제1위치 및 상기 제1위치와 소정 각도를 가지는 제2위치로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로틀 레버; 및 상기 스로틀 레버의 상기 제2위치에서의 회전 상태를 고정시키는 고정 모듈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를 통해, 로프형 승강장치의 장거리 이동 시 고정 모듈을 통해 스로틀 레버의 동작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로프형 승강장치의 가속을 위한 과정에서 사용자의 별도의 제어 입력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이동에 따른 사용자의 예측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프형 승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로프형 승강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로틀 레버와 고정 모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스로틀 레버와 고정 모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 모듈이 스로틀 레버와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 모듈이 스로틀 레버로부터 이탈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프형 승강장치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도 1의 로프형 승강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프형 승강장치(10)는 하우징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은, 제1하우징(110), 제2하우징(120), 제3하우징(130), 제4하우징(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110), 상기 제2하우징(120), 상기 제3하우징(130) 및 상기 제4하우징(140)은, 볼트를 통해 상호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하우징(110), 상기 제2하우징(120), 상기 제3하우징(130) 및 상기 제4하우징(140)은, 한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금속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110)의 내측에는 구동모듈(2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듈(200) 내에는 엔진 또는 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엔진 또는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으로 후술할 로프(500)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엔진 또는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은 후술할 회전축(미도시)에 의해 타 구성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엔진 또는 모터는 상기 회전축을 양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축이 일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로프(500)에 대하여 상기 로프형 승강장치(10)는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일 방향에 대향하는 타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이 회전 시 상기 로프(500)에 대하여 상기 로프형 승강장치(10)는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120)은 상기 제1하우징(11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120)은 상기 로프형 승강장치(1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하우징(120)의 일부 영역에는 사용자 파지를 위한 손잡이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120)에는 사용자와의 결합을 위한 사용자 결합부(125)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신체 일부 영역 또는 사용자의 신체에 결합된 안전 장치를 감는 로프는 상기 사용자 결합부(125)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상기 로프형 승강장치(10)에 탑승할 수 있다.
상기 제3하우징(130)에는 상기 엔진 또는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후술할 로프드럼(210)으로 전달하는 회전축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3하우징(130)은 상기 제1하우징(110)과, 상기 제4하우징(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하우징(130)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하우징(14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하우징(140)에서 상기 제3하우징(130)과 결합되는 면을 상기 제4하우징(140)의 내면, 상기 내면에 대향하는 면을 상기 제4하우징(140)의 외면이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4하우징(140)에는 상기 내면으로부터 외면을 관통하는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에는 상기 제3하우징(130)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홀에는 상기 제3하우징(130) 내 배치되는 상기 회전축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하우징(140)의 외면에는 로프드럼(21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프드럼(210)에는 로프(500)가 권취될 수 있다. 상기 로프드럼(210)은 상기 회전축(610)과 함께 회전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로프드럼(210)은 상기 회전축(610)의 출력축 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6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로프드럼(210)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로프드럼(2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로프형 승강장치(10)는 상기 로프(500)에 대하여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로프드럼(210)의 시계 방향 회전 시 상기 로프형 승강장치(10)는 상승할 수 있다. 상기 로프드럼(210)의 반시계 방향 회전 시 상기 로프형 승강장치(10)는 하강할 수 있다.
상기 로프(500)는 건물 또는 설치 영역에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프드럼(2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로프형 승강장치(10)는 상기 로프(500)에 대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로프(500)는 일부가 상기 로프드럼(210) 또는 상기 제4하우징(140)의 외측에 권취될 수 있다.
상기 로프드럼(210)은 측면이 V 홈이 형성된 풀리 구조이며, 필요한 경우 풀리홈 내면에는 상기 로프(500)와의 마찰을 증가시키기 위한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프드럼(210)의 외측에는 기계식 제동장치(2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식 제동장치(220)의 내측에는 로프(500)의 일부 영역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식 제동장치(220)의 동작에 따라 상기 로프(500)를 구속하거나, 상기 로프(50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식 제동장치(220)가 상기 로프(500)를 구속할 경우, 상기 로프형 승강장치(10)는 승, 하강이 정지된 정지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기계식 제동장치(220)가 상기 로프(500)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는 상기 로프형 승강장치(10)가 승강 도는 하강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식 제동장치(220)의 동작은 사용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로프드럼(210)의 외측 다른 영역에는 로프드럼 제동장치(2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프드럼 제동장치(240)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사용자 동작에 의해 상기 로프드럼 제동장치(240)는 선택적으로 상기 로프드럼(210)에 결합되거나, 로프드럼(21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상기 로프드럼 제동장치(240)가 상기 로프드럼(210)에 결합 시 상기 로프드럼(210)의 회전은 방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로프형 승강장치(10) 정지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로프드럼 제동장치(240)가 상기 로프드럼(210)으로부터 이탈 시 상기 로프드럼(210)은 회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로프형 승강장치(10)는 승, 하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프드럼(210)의 외측에는 별도의 롤러(230)가 구비되어, 상기 로프형 승강장치(10)의 승, 하강에 따라 상기 롤러(230)는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롤러(230)는 상기 로프(500)의 외면을 지지하여, 회전에 의해 상기 로프형 승강장치(10)의 이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로프형 승강장치(10)는 상기 모터 또는 엔진의 출력값을 가변시키는 가속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속장치의 예로, 상기 로프형 승강장치(10)에는 스로틀 레버(3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로틀 레버(300)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로틀 레버(300)는 일단이 상기 제1하우징(110) 또는 제3하우징(13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3하우징(130) 또는 제4하우징(1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로틀 레버(300)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스로틀 레버(300)는 양단이 각각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스로틀 레버(300)를 회전 시킬 수 있다. 상기 스로틀 레버(300)의 내부에는 탄성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로틀 레버(300)는 탄성부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스로틀 레버(300)를 일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탄성부가 압축되어 타 방향으로 탄성력이 제공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외력이 제거될 경우,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로틀 레버(300)는 원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요약하면, 상기 스로틀 레버(300)의 동작 상태를 제1위치라 하고, 상기 스로틀 레버(300)의 정지 상태를 제2위치라 할 때,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스로틀 레버(300)는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기 스로틀 레버(300)는 제2위치로 돌아가려는 탄성력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로틀 레버(300)는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스로틀 레버(300)의 회전 시(제1위치) 상기 엔진 또는 모터의 출력은 보다 높아질 수 있다. 상기 엔진 또는 모터의 출력값이 높아질 경우, 상기 회전축(610)의 회전은 보다 빠르게 회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로프형 승강장치(10)는 보다 빠른 속도로 승, 하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프형 승강장치(10)의 외면에는 상기 로프형 승강장치(10)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복수의 입력 버튼을 구비하여, 사용자 제어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제어 명령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로프형 승강장치(10)는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스로틀 레버(300)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다.
도 3 내지 7을 참조하면, 상기 스로틀 레버(300)의 외측에는 고정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스로틀 레버(300)의 상측에 상기 고정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모듈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스로틀 레버(300)의 동작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스로틀 레버(300)의 외면에는 링(Ring) 형상의 기어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부(310)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상기 스로틀 레버(300)의 일 영역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어부(310)는 상기 스로틀 레버(3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외면에 다수의 홈 및 돌기가 상호 교번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모듈은 작동 레버(610)와, 상기 작동 레버(61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기어부(310)에 선택적으로 걸림이 이루어지는 고정못(6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모듈은 하우징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고정 모듈이 배치되는 하우징의 영역을 고정 모듈 하우징(145)으로 이름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모듈 하우징(145)에는 외면을부터 내면을 관통하는 이동홀(14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홀(148)은 상기 작동 레버(610)의 이동 방향 및 거리를 가이드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홀(148)의 단면 형상은 상기 작동 레버(610)의 이동 방향 및 거리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작동 레버(610)는 상기 이동홀(148)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작동 레버(610)의 영역은 타 영역보다 단면적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 레버(610)의 다른 영역은 상기 이동홀(148)을 관통하여 내부에 배치된 이동부(620)에 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620)는 상기 작동 레버(610)의 회전에 따라 함께 소정 각도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620)의 하면에는 상기 고정못(6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못(620)은 상기 이동부(62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고정못(620)은 단면이 상기 기어부(310)의 홈의 내주면 단면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6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못(630)은 상기 기어부(3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모듈은 탄성 스프링(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스프링(640)은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작동 레버(610) 또는 상기 이동부(6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 스프링(640)은 상기 작동 레버(610) 또는 상기 이동부(620)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못(630)이 상기 기어부(310)로부터 이탈 시, 상기 탄성 스프링(640)는 상기 이동부(620) 또는 상기 작동 레버(610)가 상기 기어부(3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 상기 작동 레버(610)의 조작을 통해 상기 고정못(630)이 상기 기어부(31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상기 로프형 승강장치(1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로프형 승강장치(10)의 상승 또는 하강 과정에서 사용자는 상기 스로틀 레버(300)를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회전시켜 상기 로프형 승강장치(10)의 이동 속도를 보다 빠르게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작동 레버(610)를 상기 고정못(630)이 상기 기어부(310)에 결합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로틀 레버(300)에 사용자의 외력이 제거되더라도, 상기 스로틀 레버(300)의 동작 상태(제1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가속 상태가 필요하지 않거나, 상기 로프형 승강장치(10)의 정지 시, 사용자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작동 레버(610)를 조작하여 상기 고정못(630)이 상기 기어부(31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못(630)이 상기 기어부(310)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 스프링(6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작동 레버(610) 및 상기 이동부(620)는 최초 상기 기어부(610)와 분리된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로프형 승강장치의 장거리 이동 시 고정 모듈을 통해 스로틀 레버의 동작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로프형 승강장치의 가속을 위한 과정에서 사용자의 별도의 제어 입력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이동에 따른 사용자의 예측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 배치되는 엔진 또는 모터;
    상기 엔진 또는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로프가 권취되는 로프드럼;
    사용자 조작에 의해 제1위치 및 상기 제1위치와 소정 각도를 가지는 제2위치로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로틀 레버; 및
    상기 스로틀 레버의 상기 제2위치에서의 회전 상태를 고정시키는 고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스로틀 레버가 상기 제2위치에 배치 시 상기 제1위치로 상기 스로틀 레버가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로틀 레버의 외면에는 다수의 홈 및 돌기가 교번되게 배치되는 링(Ring) 형상의 기어부가 배치되고,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스로틀 레버가 상기 제2위치에 배치 시 상기 기어부에 걸림이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는 작동 레버;
    상기 작동 레버의 이동에 따라 소정 각도 회전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고정못을 포함하는 로프형 승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 레버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로프형 승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기어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못은 상기 이동부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로프형 승강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 또는 상기 이동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 레버의 회전 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로프형 승강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 레버가 상기 제2위치에 배치 시 상기 엔진 또는 모터의 출력값은 증가하는 로프형 승강장치.
KR1020180139095A 2018-11-13 2018-11-13 로프형 승강장치 KR102127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095A KR102127092B1 (ko) 2018-11-13 2018-11-13 로프형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095A KR102127092B1 (ko) 2018-11-13 2018-11-13 로프형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443A KR20200055443A (ko) 2020-05-21
KR102127092B1 true KR102127092B1 (ko) 2020-06-25

Family

ID=70910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095A KR102127092B1 (ko) 2018-11-13 2018-11-13 로프형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0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8055A1 (ja) * 2012-10-12 2014-04-1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アクセルグリップ組立体及びアクセルグリップ組立体を備えた車両
KR200485668Y1 (ko) 2013-04-10 2018-02-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조립식 리프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8623A (ko) * 2013-01-31 2014-08-08 (주)화담알앤알 리프트 장치
KR101815311B1 (ko) * 2016-04-25 2018-01-04 주식회사 코닥트 지능형 승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8055A1 (ja) * 2012-10-12 2014-04-1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アクセルグリップ組立体及びアクセルグリップ組立体を備えた車両
KR200485668Y1 (ko) 2013-04-10 2018-02-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조립식 리프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443A (ko) 2020-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06014B2 (ja) 調速装置
KR101201617B1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JP580974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12086026A1 (ja) エレベータの調速装置
JP2009154984A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KR10043011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577174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4868807B2 (ja) エレベータの調速機
KR101036020B1 (ko) 산업용 리프트의 추락방지장치
JP5174894B2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試験方法
KR102127092B1 (ko) 로프형 승강장치
KR102279349B1 (ko) 가변형 로프드럼이 구비된 동력등강기
KR102606990B1 (ko) 휴대용 동력-구동식 시스템
KR102127091B1 (ko) 로프형 승강장치
KR20120014631A (ko)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조속기
WO2003089354A1 (en) Emergency brake device for elevator
KR20200086852A (ko) 로프형 승강장치
CN110662582B (zh) 线缆型升降装置
US10479660B2 (en) Windlass system and method with attenuated stop function
JP4456967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JP7500847B1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及びエレベータ
KR20040104565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920005723B1 (ko) 휴대용 안전 하강장치
KR0181389B1 (ko) 휴대용 승강기의 브레이크장치
KR101836774B1 (ko) 엘리베이터용 보조 비상제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