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298B1 - 누진 굴절력 렌즈쌍,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설계 방법 및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누진 굴절력 렌즈쌍,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설계 방법 및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298B1
KR102279298B1 KR1020197012000A KR20197012000A KR102279298B1 KR 102279298 B1 KR102279298 B1 KR 102279298B1 KR 1020197012000 A KR1020197012000 A KR 1020197012000A KR 20197012000 A KR20197012000 A KR 20197012000A KR 102279298 B1 KR102279298 B1 KR 102279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lens
power
lens
right eye
progres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2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2141A (ko
Inventor
미츠히로 야나리
다이스케 우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에시로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에시로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에시로루
Publication of KR20190052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02C7/061Spectacle lenses with progressively varying focal power
    • G02C7/068Special properties achiev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ront and back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G02C7/028Special mathematical design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02C7/061Spectacle lenses with progressively varying focal power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02C7/061Spectacle lenses with progressively varying focal power
    • G02C7/063Shape of the progressive surface
    • G02C7/066Shape, location or size of the viewing z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누진 굴절력 렌즈쌍은, 우안용 렌즈의 처방 가입도와 좌안용 렌즈의 처방 가입도가 동일하며, 또한,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처방 정보에 있어서, 우안용 렌즈의 구면 도수 SR과 좌안용 렌즈의 구면 도수 SL이 상이하거나, 우안용 렌즈의 난시 도수 CR과 좌안용 렌즈의 난시 도수 CL이 상이하거나, 또는 우안용 렌즈의 난시축의 각도 AxL과 좌안용 렌즈의 난시축의 각도 AxR이 상이한 경우, 우안용 렌즈에 있어서의 물체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R1, 안구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R2로 하고, 좌안용 렌즈에 있어서의 물체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L1, 안구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L2로 했을 때, 우측용 렌즈 및 좌측용 렌즈는, ADDR1-ADDR2와 ADDL1-ADDL2가 상이하도록, 물체측 면 및 안구측 면이 마련된다.

Description

누진 굴절력 렌즈쌍,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설계 방법 및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누진 굴절력 렌즈쌍,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설계 방법 및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누진 굴절력 렌즈 등의 안경 렌즈에 있어서, 좌안용 렌즈와 우안용 렌즈의 처방이 상이한 경우 등에 발생하는, 좌우 편각량의 차이를 억제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과 같은 슬래브 옵(slab off) 가공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렇지만, 슬래브 옵 가공에서는, 가공시의 처리가 증가하거나, 광학 성능의 열화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12-215640 호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의하면, 누진 굴절력 렌즈쌍은, 원방시에 적합한 원용부와, 상기 원용부와는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며 근방시에 적합한 굴절력을 갖는 근용부와, 상기 원용부 및 상기 근용부 사이에서 굴절력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누진부를 구비한 좌우의 누진 굴절력 렌즈쌍에 있어서, 상기 누진 굴절력 렌즈쌍 중, 우안용 렌즈의 처방 가입도와 좌안용 렌즈의 처방 가입도가 동일하며, 또한, 상기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처방 정보에 있어서, 상기 우안용 렌즈의 구면 도수 SR과 상기 좌안용 렌즈의 구면 도수 SL이 상이하거나, 상기 우안용 렌즈의 난시 도수 CR과 상기 좌안용 렌즈의 난시 도수 CL이 상이하거나, 또는, 상기 우안용 렌즈의 난시축의 각도 AxR과 상기 좌안용 렌즈의 난시축의 각도 AxL이 상이한 경우, 우안용 렌즈에 있어서의 물체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R1, 안구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R2로 하고, 좌안용 렌즈에 있어서의 물체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L1, 안구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L2로 했을 때, 상기 우안용 렌즈 및 상기 좌안용 렌즈는, ADDR1-ADDR2와 ADDL1-ADDL2가 상이하도록, 상기 물체측 면 및 상기 안구측 면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의하면, 누진 굴절력 렌즈쌍은, 원방시에 적합한 원용부와, 상기 원용부와는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며, 근방시에 적합한 굴절력을 갖는 근용부와, 상기 원용부 및 상기 근용부 사이에서 굴절력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누진부를 구비한 좌우의 누진 굴절력 렌즈쌍에 있어서, 우안용 렌즈에 있어서의 원용 참조점을 지나는 투과 광선의 최대 굴절력을 DFR_max, 최소 굴절력을 DFR_min, 평균 굴절력을 DFR=(DFR_max+DFR_min)/2, 근용 참조점을 지나는 투과 광선의 최대 굴절력을 DNR_max, 최소 굴절력을 DNR_min, 평균 굴절력을 DNR=(DNR_max+DNR_min)/2, 원용 참조점과 근용 참조점에서의 평균 굴절력차인 착용 가입도를 ADDR=DNR-DFR, 인세트각 θInsR, 외경 DR로 하고, 좌안용 렌즈에 있어서의 원용 참조점을 지나는 투과 광선의 최대 굴절력을 DFL_max, 최소 굴절력을 DFL_min, 평균 굴절력을 DFL=(DFL_max+DFL_min)/2, 근용 참조점을 지나는 투과 광선의 최대 굴절력을 DNL_max, 최소 굴절력을 DNL_min, 평균 굴절력을 DNL=(DNL_max+DNL_min)/2, 원용 참조점과 근용 참조점에서의 평균 굴절력차인 착용 가입도를 ADDL=DNL-DFL, 인세트각 θInsL, 외경 DL로 하면, 상기 누진 굴절력 렌즈쌍 중, 상기 우안용 렌즈의 착용 가입도 ADDR과 상기 좌안용 렌즈의 착용 가입도 ADDL이 동일하며, 또한, 상기 우안용 렌즈의 정보 DFR_max, DFR_min, DFR, DNR_max, DNR_min, DNR, ADDR, θInsR, DR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비교 파라미터와, 상기 좌안용 렌즈의 정보 DFL_max, DFL_min, DFL, DNL_max, DNL_min, DNL, ADDL, θInsL, DL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비교 파라미터의 값이 상이한 경우, 우안용 렌즈에 있어서의 물체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R1, 안구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R2로 하고, 좌안용 렌즈에 있어서의 물체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L1, 안구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L2로 했을 때, 상기 우안용 렌즈 및 상기 좌안용 렌즈는, ADDR1-ADDR2와 ADDL1-ADDL2가 상이하도록, 상기 물체측 면 및 상기 안구측 면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 의하면,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설계 방법은, 원방시에 적합한 원용부와, 상기 원용부와는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며 근방시에 적합한 근용부와, 상기 원용부 및 상기 근용부 사이에서 굴절력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누진부를 구비한 좌우의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설계 방법에 있어서, 착용자의 처방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누진 굴절력 렌즈쌍 중, 우안용 렌즈의 처방 가입도와 좌안용 렌즈의 처방 가입도가 동일하며, 또한, 상기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처방 정보에 있어서, 상기 우안용 렌즈의 광학 중심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도수 SVR과 상기 좌안용 렌즈의 광학 중심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도수 SVL이 상이하거나, 또는, 상기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처방 정보에 있어서, 상기 우안용 렌즈의 구면 도수 SR과 상기 좌안용 렌즈의 구면 도수 SL이 상이하거나, 상기 우안용 렌즈의 난시 도수 CR과 상기 좌안용 렌즈의 난시 도수 CL이 상이하거나, 또는, 상기 우안용 렌즈의 난시축의 각도 AxR과 상기 좌안용 렌즈의 난시축의 각도 AxL이 상이한 경우, 우안용 렌즈에 있어서의 물체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R1, 안구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R2로 하고, 좌안용 렌즈에 있어서의 물체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L1, 안구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L2로 했을 때, ADDR1-ADDR2와 ADDL1-ADDL2를 상이하게 하도록 설계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4 태양에 의하면,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제조 방법은, 제 3 태양의 설계 방법에 의해 상기 누진 굴절력 렌즈쌍을 설계하는 것과, 상기 설계 방법에 의해 설계된 상기 누진 굴절력 렌즈쌍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의 (a)는 일 실시형태의 누진 굴절력 렌즈쌍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며, 도 1의 (b)는 누진 굴절력 렌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는 각막 정점간 거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새그(sag)량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누진 굴절력 렌즈쌍 상의 좌표점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누진 굴절력 렌즈의 상하 방향의 경사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의 (a)는 종래의 누진 굴절력 렌즈쌍에 있어서의 편각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의 (b)는 일 실시형태의 누진 굴절력 렌즈쌍에 있어서의 편각량의 보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제조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제조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시선의 상하 방향의 편차량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적절히 도면을 참조하면서, 일 실시형태의 누진 굴절력 렌즈쌍,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설계 방법,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제조 방법 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좌안용 렌즈의 구면 도수, 난시 도수 및 난시축의 각도의 값을 각각 SL, CL, AxL로 하고, 우안용 렌즈의 구면 도수, 난시 도수 및 난시축의 각도의 값을 각각 SR, CR, AxR로 한다.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 굴절력의 단위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경우에는 디옵터(Diopter)(D)에 의해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누진 굴절력 렌즈의 「상부」, 「하부」 등이라 표기하는 경우는, 해당 누진 굴절력 렌즈가 안경용으로 가공되는 경우에 있어서 안경을 착용했을 때의 렌즈의 위치 관계에 근거하는 것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하 방향은 연직 방향과 일치한다. 이하의 각 도면에 있어서, 렌즈의 상하의 위치 관계는 지면에 있어서의 상하의 위치 관계와 일치한다.
도 1의 (a)는 본 실시형태의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을 모식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은 좌안용 렌즈(10L)와, 우안용 렌즈(10R)의 2개의 누진 굴절력 렌즈(10)를 구비한다. 누진 굴절력 렌즈(10)는, 원방시에 적합한 원용부(F)와, 원용부(F)와는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며 근방시에 적합한 굴절력을 갖는 근용부(N)와, 원용부(F) 및 근용부(N) 사이에서 굴절력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누진부(P)를 구비한다.
또한, 원용부(F)에 적합한 시거리(視距籬)는 근용부(N)에 적합한 시거리보다 전체적으로 긴 거리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의 (b)는 누진 굴절력 렌즈(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우안용 렌즈(10R)를 예로 들어 누진 굴절력 렌즈(10)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특별히 지정이 없는 한, 양안의 렌즈에 관하여 도면에 나타낸 좌표축과 같이, Y축을 누진 굴절력 렌즈(10)의 상하 방향에, X축을 귀측(耳側)으로부터 코측(鼻側)에, Z축을 누진 굴절력 렌즈(10)의 광축에 평행하게 취한다. 도 1의 (b)에서는, 누진 굴절력 렌즈(10)는 우안용 렌즈(10R)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의 (b)에서는, 누진 굴절력 렌즈(10)는, 안경용 프레임의 형상에 맞추어 렌즈를 가공하기 전의 상태(렌즈 그라인딩 가공 전 상태)로 되어 있으며, 평면시에서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누진 굴절력 렌즈(10)는, 도면 중 상측이 착용시에 있어서 상측에 배치되게 되고, 도면 중 하측이 착용시에 있어서 하방에 배치되게 된다. 누진 굴절력 렌즈(10)는 원용부(F)와, 근용부(N)와, 중간부(P)를 갖고 있다.
원용부(F)는 누진 굴절력 렌즈(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누진 굴절력 렌즈(10)가 안경용으로 가공된 후에는 원방시에 적합한 굴절력을 갖는 부분이 된다. 근용부(N)는 누진 굴절력 렌즈(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누진 굴절력 렌즈(10)가 안경용으로 가공된 후에는 근방시에 적합한 굴절력을 갖는 부분이 된다. 누진부(P)는 누진 굴절력 렌즈(10) 중 원용부(F)와 근용부(N)의 중간에 배치되어 있으며, 원용부(F)와 근용부(N) 사이의 굴절력을 연속적으로 매끄럽게 변화시켜서 접속하는 부분이다.
누진 굴절력 렌즈(10)는 복수의 참조점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참조점으로서, 예를 들면, 도 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학 중심(11)(또는 우안용 렌즈의 광학 중심(11R)), 원용 참조점(FV), 근용 참조점(NV) 등을 들 수 있다. 광학 중심(11)은 설계 상의 중심이 되는 참조점이다. 원용 참조점(FV)은 렌즈의 원용 도수를 측정하는 측정 참조점이 된다. 근용 참조점(NV)은 근용부(N)에 있어서 렌즈의 근용 도수를 측정하는 측정 참조점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누진 굴절력 렌즈(10)에서 측정되는 물체측 면 및 안구측 면의 각각의 근용 참조점(NV)의 면 평균 굴절력에서 원용 참조점(FV)의 면 평균 굴절력을 뺀 값을 「면 가입도」라 표기한다. 이에 대해, 처방값으로 지정되는 가입도를 「처방 가입도」, 렌즈의 근용 참조점(NV)을 지나는 투과 광선의 평균 굴절력에서 원용 참조점(FV)을 지나는 투과 광선의 평균 굴절력을 뺀 값을 「착용 가입도」라 표기한다.
우안용 렌즈(10R)의 렌즈 그라인딩 가공 전의 외경 DR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우안용 렌즈(10R)의 직경에 상당한다. 마찬가지로, 좌안용 렌즈(10L)에 대해서도, 도시하지 않은 렌즈 그라인딩 가공 전의 외경 DL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좌안용 렌즈(10L)의 직경에 상당한다.
도 1의 (b)에 있어서, 우안용 렌즈(10R) 상에 설계 기준선(L)이 나타나 있다. 설계 기준선(L)은, 우안용 렌즈(10R)의 상단으로부터 원용 참조점(FV)을 지나 광학 중심(11R)까지의 선분(L1)과, 광학 중심(11)으로부터 근용 참조점(NV)을 지나는 선분(L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세트각 θinsR은, 광학 중심(11)을 지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A)으로부터 선분(L2)까지의 각도로 정의된다. 마찬가지로, 좌안용 렌즈(10L)에 대해서도, 인세트각 θinsL은, 광학 중심(11)을 지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A)으로부터 선분(L2)까지의 각도로 정의된다.
본 실시형태의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은, 우안용 렌즈(10R)의 처방 가입도와 좌안용 렌즈(10L)의 처방 가입도가 동일한 착용자에게 제공되는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이다. 또한,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은, 우안용 렌즈(10R)의 물체측 면의 면 가입도 ADDR1에서 안구측 면의 면 가입도 ADDR2를 뺀 차 ADDR1-ADDR2와, 좌안용 렌즈(10L)의 물체측 면의 면 가입도 ADDL1에서 안구측 면의 면 가입도 ADDL2를 뺀 차 ADDL1-ADDL2가 상이한 값이 되는 것이다.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주어진 처방 가입도가 되도록 1매의 렌즈의 물체 측 면의 면 가입도와 안구측 면의 면 가입도를 설정하는 것을 가입도의 배분이라 한다. 또한, 물체측 면의 면 가입도로부터 안구측 면의 면 가입도를 뺀 차를 배분 파라미터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좌안용 렌즈(10L)와 우안용 렌즈(10R)에 있어서의 면 가입도의 배분을 상이하게 하는 것에 의해, 좌안용 렌즈(10L)와 우안용 렌즈(10R)에서 면 가입도의 배분이 동일한 경우와 비교하여 설계에 자유도가 생긴다. 이에 의해, 수차 등의 광학 특성을 보다 적절히 설정할 수 있어서, 특히 편각량, 그 중에서도 누진 굴절력 렌즈(10)의 상하 방향 등의 편각량을 매우 바람직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좌우 각각의 누진 굴절력 렌즈(10)에 있어서의 가입도의 배분의 방법으로서, 물체측 면의 면 가입도에서 안구측 면의 면 가입도를 뺀 차를 상이하게 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물체측 면의 면 가입도와 안구측 면의 면 가입도의 비를 상이하게 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좌우의 가입도의 배분을 상이하게 하는 것이면, 기준이 되는 배분 파라미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누진 굴절용 렌즈쌍(1)은, 우안용 렌즈(10R)의 처방 가입도와 좌안용 렌즈(10L)와의 처방 가입도가 동일하며, 또한, 처방 가입도 이외의 처방값에 관하여 좌안용 렌즈(10L)와 우안용 렌즈(10R)에서 차이가 있는 경우에 좌안용 렌즈(10L)의 가입도의 배분과 우안용 렌즈(10R)의 가입도의 배분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은, 우안용 렌즈(10R)의 처방 가입도와 좌안용 렌즈(10L)의 처방 가입도가 동일하며, 또한, 우안용 렌즈(10R)의 구면 도수 SR과 좌안용 렌즈(10L)의 구면 도수 SL이 상이한 경우, 우안용 렌즈(10R)의 배분 파라미터 ADDR1-ADDR2와 좌안용 렌즈의 배분 파라미터 ADDL1-ADDL2를 상이하게 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구면 도수의 상이로 인해 생기는 좌우의 렌즈의 광학 특성의 차이, 특히 편각량을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은, 우안용 렌즈(10R)의 처방 가입도와 좌안용 렌즈(10L)의 처방 가입도가 동일하며, 또한, 우안용 렌즈(10R)의 난시 도수 CR과 좌안용 렌즈(10L)의 난시 도수 CL이 상이한 경우, 우안용 렌즈(10R)의 배분 파라미터 ADDR1-ADDR2와 좌안용 렌즈의 배분 파라미터 ADDL1-ADDL2를 상이하게 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난시 도수의 상이로 인해 생기는 좌우의 렌즈의 광학 특성의 차이, 특히 편각량을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우안용 렌즈(10R)의 구면 도수 SR과 좌안용 렌즈(10L)의 구면 도수 SL에 대해,
SL<SR일 때는 ADDR1<ADDL1,
SR<SL일 때는 ADDL1<ADDR1
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구면 도수의 상이로 인해 생기는 좌우의 렌즈의 광학 특성의 차이, 특히 편각량(프리즘량이라고도 함)의 좌우 편차를 더욱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은 우안용 렌즈(10R)의 처방 가입도와 좌안용 렌즈(10L)의 처방 가입도가 동일하며, 또한, 우안용 렌즈(10R)의 등가 구면 도수 SR+CR/2와 좌안용 렌즈(10L)의 등가 구면 도수 SL+CL/2가 상이한 경우, 우안용 렌즈(10R)의 배분 파라미터 ADDR1-ADDR2와 좌안용 렌즈(10L)의 배분 파라미터 ADDL1-ADDL2를 상이하게 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등가 구면 도수의 상이로 인해 생기는 좌우의 렌즈의 광학 특성의 차이, 특히 편각량의 좌우 편차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우안용 렌즈(10R)의 등가 구면 도수 SR+CR/2와 좌안용 렌즈(10L)의 등가 구면 도수 SL+CL/2에 대해,
SL+CL/2<SR+CR/2일 때는 ADDR1<ADDL1,
SR+CR/2<SL+CL/2일 때는 ADDL1<ADDR1
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등가 구면 도수의 상이로 인해 생기는 좌우의 렌즈의 광학 특성의 차이, 특히 편각량의 좌우 편차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은, 우안용 렌즈(10R)의 처방 가입도와 좌안용 렌즈(10L)의 처방 가입도가 동일하며, 또한, 우안용 렌즈(10R)의 난시축의 각도 AxR과 좌안용 렌즈(10L)의 난시축의 각도 AxL이 상이한 경우, 우안용 렌즈(10R)의 배분 파라미터 ADDR1-ADDR2와 좌안용 렌즈(10L)의 배분 파라미터 ADDL1-ADDL2를 상이하게 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난시축의 각도의 상이로 인해 생기는 좌우의 렌즈의 광학 특성의 차이, 특히 편각량의 좌우 편차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은, 우안용 렌즈(10R)의 처방 가입도와 좌안용 렌즈(10L)의 처방 가입도가 동일하며, 또한, 우안용 렌즈(10R)의 외경 DR과 좌안용 렌즈(10L)의 외경 DL이 상이한 경우, 우안용 렌즈(10R)의 배분 파라미터 ADDR1-ADDR2와 좌안용 렌즈(10L)의 배분 파라미터 ADDL1-ADDL2를 상이하게 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렌즈 그라인딩 가공 전의 외경의 상이로 인해 생기는 좌우의 렌즈의 광학 특성의 차이, 특히 편각량의 좌우 편차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은, 우안용 렌즈(10R)의 처방 가입도와 좌안용 렌즈(10L)의 처방 가입도가 동일하며, 또한, 우안용 렌즈(10R)의 인세트각 θinsR과 좌안용 렌즈(10L)의 인세트각 θinsL이 상이한 경우, 우안용 렌즈(10R)의 배분 파라미터 ADDR1-ADDR2와 좌안용 렌즈(10L)의 배분 파라미터 ADDL1-ADDL2를 상이하게 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인세트각의 상이로 인해 생기는 좌우의 렌즈의 광학 특성의 차이, 특히 편각량의 좌우 편차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도 2는 각막 정점간 거리 VD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안구(20)의 각막(21)의 전방에, 누진 굴절력 렌즈(10)가 배치되어 있다. 각막 정점간 거리 VD는, 각막 정점과, 누진 굴절력 렌즈(10)의 안구측 면까지의 거리 VD를 가리킨다.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우안용 렌즈(10R)에 대한 각막 정점간 거리를 VDR, 좌안용 렌즈(10L)의 각막 정점간 거리를 VDL이라 한다.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은 우안용 렌즈(10R)의 처방 가입도와 좌안용 렌즈(10L)의 처방 가입도가 동일하며, 또한, 우안용 렌즈(10R)의 각막 정점간 거리 VDR과 좌안용 렌즈(10L)의 각막 정점간 거리 VDL이 상이한 경우, 우안용 렌즈(10R)의 배분 파라미터 ADDR1-ADDR2와 좌안용 렌즈(10L)의 배분 파라미터 ADDL1-ADDL2를 상이하게 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막 정점간 거리 VD의 상이로 인해 생기는 좌우의 렌즈의 광학 특성의 차이, 특히 편각량의 좌우 편차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은, 우안용 렌즈(10R)의 상하 방향의 굴절력의 지표 SVR을,
SVR=SR+CR×(sin(AxR))^2
로 하고,
좌안용 렌즈(10L)의 상하 방향의 굴절력의 지표 SVL을,
SVL=SL+CL×(sin(AxL))^2
로 했을 때,
SVL<SVR일 때는 ADDR1<ADDL1,
SVR<SVL일 때는 ADDL1<ADDR1
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안경의 상하 방향의 굴절력의 상이로 인해 생기는 좌우의 렌즈의 광학 특성의 차이, 특히 편각량의 좌우 편차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은, 단위를 디옵터로 하고, 우안용 렌즈(10R)의 가입도의 배분과 좌안용 렌즈(10L)의 가입도의 배분을, 다음 식 (1)
0<|(ADDR1-ADDR2)-(ADDL1-ADDL2)|≤4 …(1)
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상이하게 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좌안용 렌즈와 우안용 렌즈에서 가입도의 배분이 현저하게 상이한 것이 원인으로 일어나는, 외견이 좋지 않거나 해당 누진 굴절력 렌즈(10)에 대한 순응의 어려움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관점에서, 상기 식 (1)의 최우변의 파라미터의 값은, 3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은, 우안용 렌즈(10R)의 구면 도수 SR과 좌안용 렌즈(10L)의 구면 도수 SL이 상이한 경우, 다음 식 (2)
0<|(ADDR1-ADDR2)-(ADDL1-ADDL2)|/|SR-SL|≤16 …(2)
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좌우 구면 도수의 차이의 정도에 의해 허용되는 가입도의 배분의 차의 변화를 고려하면서, 외견이 좋지 않거나 해당 누진 굴절력 렌즈(10)에 대한 순응의 어려움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관점에서, 상기 식 (2)의 최우변의 파라미터의 값은 1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8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은, 우안용 렌즈(10R)의 등가 구면 도수 SR+CR/2와 좌안용 렌즈(10L)의 등가 구면 도수 SL+CL/2의 값이 상이한 경우, 다음 식 (3)
0<|(ADDR1-ADDR2)-(ADDL1-ADDL2)|/|(SR+CR/2)-(SL+CL/2)|≤32 …(3
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좌우 등가 구면 도수의 차이의 정도에 의해 허용되는 가입도의 배분의 차의 변화를 고려하면서, 외견이 좋지 않거나 해당 누진 굴절력 렌즈(10)에 대한 순응의 어려움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관점에서, 상기 식 (3)의 최우변의 파라미터의 값은 24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6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은, SVR과 SVL이 상이하며, 다음 식 (4)
0<|(ADDR1-ADDR2)-(ADDL1-ADDL2)|/|SVR-SVL|≤16 …(4)
의 조건을 만족한다. 이에 의해, 좌우 누진 굴절 렌즈(10)의 상하 방향의 굴절력의 상이에 의해 허용되는 가입도의 배분의 차의 변화를 고려하면서, 외견이 좋지 않거나 해당 누진 굴절력 렌즈(10)에 대한 순응의 어려움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관점에서, 상기 식 (4)의 최우변의 파라미터의 값은 1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8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은, 설계시, 광축 방향의 새그량이 커진다고 고려되는 렌즈에 대해, 좌안용 렌즈(10L)와 우안용 렌즈(10R)의 가입도의 배분을 상이하게 하도록 하여, 조정하면서 설계할 수 있다.
도 3은 새그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안용 렌즈(10R)의 물체측 정점을 점(O)으로 한다. 물체측 정점은 렌즈의 광학 중심을 지나는 광축과 렌즈의 물체측 면의 교점이다. 점(O)을 지나며 물체측 면의 광축(13R)에 수직인 평면(S) 상에 X-Y 좌표계를 설정하고, 각 점(x, y)의 위치에서의 평면(S)으로부터 물체측 면까지의 광축 방향을 따른 거리를 새그량 SAG1R(x, y)로 한다. 좌안용 렌즈(10L)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새그량 SAG1L(x, y)을 정의한다.
도 4는 누진 굴절력 렌즈쌍(1)에 있어서의 좌표점을 나타낸 도면이다. 우안용 렌즈(10R)의 광학 중심(11R)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직선을 그은 경우의 해당 직선과 프레임의 교점 중, 광학 중심의 상측에 있는 점을 TR(xtR, ytR)로 하고, 광학 중심의 하측에 있는 점을 BR(xbR, ybR)로 한다. 좌안용 렌즈(10L)의 광학 중심(11L)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직선을 그은 경우의 해당 직선과 프레임의 교점 중, 광학 중심의 상측에 있는 점을 TL(xtL, ytL)로 하고, 광학 중심의 하측에 있는 점을 BL(xbL, ybL)로 한다.
누진 굴절력 렌즈쌍(1)에 있어서, 우안용 렌즈(10R)의 물체측 정점을 지나며, 우안용 렌즈(10R)의 광축에 수직인 면 상의 좌표(x, y)에 있어서의 우안용 렌즈(10R)의 광축 방향의 새그량을 SAG1R(x, y), 좌안용 렌즈(10L)의 물체측 정점을 지나며, 좌안용 렌즈(10L)의 광축에 수직인 면 상의 좌표(x, y)에 있어서의 좌안용 렌즈(10L)의 광축 방향의 새그량을 SAG1L(x, y)로 했을 때, 우안용 렌즈(10R)가 프레임워크에 들어갔을 때에 우안용 렌즈(10R)의 광축의 위치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직선을 그었을 때의 프레임 상단의 좌표를 (xtR, ytR), 프레임 하단의 좌표를 (xbR, ybR), 좌안용 렌즈(10L)가 프레임워크에 들어갔을 때에 렌즈 광축의 위치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직선을 그었을 때의 프레임 상단의 좌표를 (xtL, ytL), 프레임 하단의 좌표를 (xbL, ybL)로 하면, 단위를 밀리미터로 하고,
다음 식 (5)
0≤|(SAG1R(xtR, ytR)-SAG1R(xbR, ybR))-(SAG1L(xtL, ytL)-SAG1L(xbL, ybL))|≤4 …(5)
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단위를 디옵터로 하고, 다음 식 (1)
0<|(ADDR1-ADDR2)-(ADDL1-ADDL2)|≤4 …(1)
의 조건을 만족한다. 이에 의해, 광축의 기울기의 편차나, 좌우의 렌즈에 있어서의 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에서의 새그량의 차의 상이로 인해 생기는 좌우의 렌즈의 광학 특성의 차이, 특히 편각량의 좌우 편차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누진 굴절력 렌즈쌍(1)에 있어서, 우안용 렌즈(10R)의 물체측 정점을 지나며, 우안용 렌즈(10R)의 광축에 수직인 면 상의 좌표(x, y)에 있어서의 우안용 렌즈(10R)의 광축 방향의 새그량을 SAG1R(x, y), 좌안용 렌즈(10L)의 물체측 정점을 지나며, 좌안용 렌즈(10L)의 광축에 수직인 면 상의 좌표(x, y)에 있어서의 좌안용 렌즈의 광축 방향의 새그량을 SAG1L(x, y)로 했을 때, 우안용 렌즈(10R)가 프레임워크에 들어갔을 때에 우안용 렌즈(10R)의 광축의 위치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직선을 그었을 때의 프레임 상단의 좌표를 (xtR, ytR), 프레임 하단의 좌표를 (xbR, ybR), 상기 좌안용 렌즈가 프레임워크에 들어갔을 때에 렌즈 광축의 위치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직선을 그었을 때의 프레임 상단의 좌표를 (xtL, ytL), 프레임 하단의 좌표를 (xbL, ybL)로 하면,
단위를 밀리미터로 하며, 다음 식 (6)
0≤|SAG1R(xbR, ybR))-SAG1L(xbL, ybL)|≤4 …(6)
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단위를 디옵터로 하며, 다음 식 (1)
0<|(ADDR1-ADDR2)-(ADDL1-ADDL2)|≤4 …(1)
의 조건을 만족한다. 이에 의해, 광축의 기울기의 편차나, 좌우의 렌즈에 있어서의 프레임의 하단에서의 새그량의 상이로 인해 생기는 좌우의 렌즈의 광학 특성의 차이, 특히 편각량의 좌우 편차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도 5는 우안용 렌즈(10R)의 경사 각도 θR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안용 렌즈(10R)의 물체면측에 있어서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한 직선이, 광축에 대해 수직인 면이 이루는 각도를 경사 각도 θR로 한다. 마찬가지로, 좌안용 렌즈(10L)의 물체면측에 있어서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한 직선이, 광축에 대해 수직인 면이 이루는 각도를 경사 각도 θL로 한다.
누진 굴절력 렌즈쌍(1)에 있어서, 우안용 렌즈(10R)의 물체측 정점을 지나며, 우안용 렌즈(10R)의 광축에 수직인 면 상의 좌표(x, y)에 있어서의 우안용 렌즈(10R)의 광축 방향의 새그량을 SAG1R(x, y), 좌안용 렌즈(10L)의 물체측 정점을 지나며, 좌안용 렌즈(10L)의 광축에 수직인 면 상의 좌표(x, y)에 있어서의 좌안용 렌즈(10L)의 광축 방향의 새그량을 SAG1L(x, y)로 했을 때, 우안용 렌즈(10R)가 프레임워크에 들어갔을 때에 우안용 렌즈(10R)의 광축의 위치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직선을 그었을 때의 프레임 상단의 좌표를 (xtR, ytR), 프레임 하단의 좌표를 (xbR, ybR), 좌안용 렌즈(10L)가 프레임워크에 들어갔을 때에 렌즈 광축의 위치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직선을 그었을 때의 프레임 상단의 좌표를 (xtL, ytL), 프레임 하단의 좌표를 (xbL, ybL)로 하고,
각도 θR=atan((SAG1R(xtR, ytR)-SAG1R(xbR, ybR))/(ytR-ybR))
각도 θL=atan((SAG1L(xtL, ytL)-SAG1L(xbL, ybL))/(ytL-ybL))
로 하면, 단위를 도로 하며, 다음 식 (7)
0≤|θR-θL|≤5 …(7)
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단위를 디옵터로 하며, 다음 식 (1)
0<|(ADDR1-ADDR2)-(ADDL1-ADDL2)|≤4 …(1)
의 조건을 만족한다. 이에 의해, 광축의 기울기의 편차나, 좌우의 렌즈에 있어서의 프레임의 상하 방향의 기울기의 상이로 인해 생기는 좌우의 렌즈의 광학 특성의 차이, 특히 편각량의 좌우 편차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누진 굴절력 렌즈쌍(1)에 있어서, 우안용 렌즈(10R)의 물체측 정점을 지나며, 우안용 렌즈(10R)의 광축에 수직인 면 상의 좌표(x, y)에 있어서의 우안용 렌즈(10R)의 광축 방향의 새그량을 SAG1R(x, y), 좌안용 렌즈(10L)의 물체측 정점을 지나며, 좌안용 렌즈(10L)의 광축에 수직인 면 상의 좌표(x, y)에 있어서의 좌안용 렌즈(10L)의 광축 방향의 새그량을 SAG1L(x, y)로 했을 때, 우안용 프레임워크의 좌표(x, y)에 대해 좌안용 프레임워크에서 대칭이 되는 위치의 좌표를 (x', y')로 하면,
우안용 렌즈(10R)의 새그량 SAG1R(x, y), 좌안용 렌즈(10L)의 새그량 SAG1L(x', y')에 대해 프레임 둘레 상에 있어서, 단위를 밀리미터로 하고, 다음 식 (8)
0≤|SAG1R(x, y)-SAG1L(x', y')|≤4 …(8)
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단위를 디옵터로 하며, 다음 식 (1)
0<|(ADDR1-ADDR2)-(ADDL1-ADDL2)|≤4 …(1)
의 조건을 만족한다. 이에 의해, 광축의 기울기의 편차나, 좌우의 렌즈에 있어서의 프레임워크 상에 있어서의 새그량의 상이로 인해 생기는 좌우의 렌즈의 광학 특성의 차이, 특히 편각량의 좌우 편차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누진 굴절력 렌즈쌍(1)에 있어서의 편각량의 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종래의 누진 굴절력 렌즈쌍(1)에 있어서의 좌안용 렌즈(90L)와 우안용 렌즈(90R)의 편각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좌안의 안구 선회 중심점(E)을 향하는 광 IL은, 종래의 좌안용 렌즈(90L)에 입사면에서 θ1의 각도로 입사되고, 종래의 좌안용 렌즈(90L)에 의해 굴절되어져 안구 선회 중심점(E)을 향한다. 한편, 우안의 안구 선회 중심점(E)을 향하는 광 IR은, 종래의 우안용 렌즈(90R)에 입사면 θ2의 각도로 입사되고, 종래의 우안용 렌즈(10R)에서 굴절되어져 안구 선회 중심점(E)을 향한다. 종래의 누진 굴절력 렌즈에 있어서, 상하 방향의 편각량은 각도 θ2와 θ1의 차 Δθ1에 상당한다.
도 6의 (b)는 본 실시형태의 누진 굴절력 렌즈쌍(1)에 의해 편각량이 개선된 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의 (b)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우안용 렌즈(10R)만이 종래품과 상이하다고 설명한다. 파선으로 나타낸 종래품의 우안용 렌즈(90R)에 대해, 우안용 렌즈(10R)는 물체측 면과 안구측 면에서의 가입도의 배분이 조정되며, 종래품과는 달리 각도 θ3으로 우안용 렌즈(10R)에 입사된 광 IR이 안구 선회 중심점(E)을 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의 상하 방향의 편각량의 좌우 편차는 각도 θ3과 θ1의 차 Δθ2에 상당하며, Δθ2는 Δθ1보다 작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누진 굴절력 렌즈쌍(1) 및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의 설계 방법은, 우안용 렌즈(10R)의 편각량과 좌안용 렌즈(10L)의 편각량의 차를 감소시키기 위해 우안용 렌즈(10R)의 배분 파라미터 ADDR1-ADDR2와 좌안용 렌즈(10L)의 배분 파라미터 ADDL1-ADDL2를 상이하게 하고 있다.
또한,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은, 우안용 렌즈(10R)에 있어서의 원용 참조점(FV)을 지나는 투과 광선의 최대 굴절력을 DFR_max, 최소 굴절력을 DFR_min, 평균 굴절력을 DFR=(DFR_max+DFR_min)/2, 근용 참조점(NV)을 지나는 투과 광선의 최대 굴절력을 DNR_max, 최소 굴절력을 DNR_min, 평균 굴절력을 DNR=(DNR_max+DNR_min)/2, 원용 참조점(FV)과 근용 참조점(NV)에서의 평균 굴절력차인 착용 가입도를 ADDR=DNR-DFR, 인세트각 θInsR, 외경 DR로 하고, 좌안용 렌즈(10L)에 있어서의 원용 참조점(FV)을 지나는 투과 광선의 최대 굴절력을 DFL_max, 최소 굴절력을 DFL_min, 평균 굴절력을 DFL=(DFL_max+DFL_min)/2, 근용 참조점(NV)을 지나는 투과 광선의 최대 굴절력을 DNL_max, 최소 굴절력을 DNL_min, 평균 굴절력을 DNL=(DNL_max+DNL_min)/2, 원용 참조점(FV)과 근용 참조점(NV)에서의 평균 굴절력차인 착용 가입도를 ADDL=DNL-DFL, 인세트각 θInsL, 외경 DL로 하면, 누진 굴절력 렌즈쌍(1) 중, 우안용 렌즈(10R)의 착용 가입도 ADDR과 좌안용 렌즈(10L)의 착용 가입도 ADDL이 동일하며, 또한, 우안용 렌즈(10R)의 정보 DFR_max, DFR_min, DFR, DNR_max, DNR_min, DNR, ADDR, θInsR, DR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비교 파라미터와, 좌안용 렌즈(10L)의 정보 DFL_max, DFL_min, DFL, DNL_max, DNL_min, DNL, ADDL, θInsL, DL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비교 파라미터의 값이 상이한 경우 우안용 렌즈(10R)에 있어서의 물체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R1, 안구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R2로 하고, 좌안용 렌즈(10L)에 있어서의 물체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L1, 안구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L2로 했을 때, ADDR1-ADDR2와 ADDL1-ADDL2를 상이하게 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입도 이외의 점에 있어서, 좌안용 렌즈(10L)와 우안용 렌즈(10R)에서 비대칭이거나 상이한 점이 있는 경우에 생기는 좌우의 렌즈의 광학 특성의 차이, 특히 편각량의 좌우 편차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누진 굴절력 렌즈쌍(1)에 있어서, 상기 비교 파라미터는,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의 착용자의 처방 구면 도수, 처방 난시 도수, 처방된 난시축의 각도, 또는 우안용 렌즈(10R)의 SVR 혹은 좌안용 렌즈(10L)의 SVL 중 적어도 하나이며, 우안용 렌즈(10R)의 SVR과 좌안용 렌즈(10L)의 SVL은,
SVR=SR+CR×(sin(AxR))^2
SVL=SL+CL×(sin(AxL))^2
로 나타난다. 이에 의해, 양안의 처방 구면 도수, 처방 난시 도수, 처방된 난시축의 각도, 또는 처방된 상하 방향의 도수 등의 상이로 인해 생기는 좌우의 렌즈의 광학 특성의 차이, 특히 편각량의 좌우 편차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을 제조하는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제조 시스템(8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의 제조 시스템(80)은 설계 장치(50)와, 가공기 제어 장치(71)와, 안경 렌즈 가공기(72)를 구비한다. 설계 장치(50)는 입력부(51)와, 표시부(52)와, 통신부(53)와, 기억부(54)와, 제어부(60)를 구비한다. 제어부(60)는 판정부(61)와 안경 렌즈 설계부(62)를 구비한다. 도면 중의 화살표는 안경 렌즈 설계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다.
입력부(51)는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후술의 제어부(60)에서의 처리에 필요한 착용자 처방 데이터 등의 입력 데이터 등의 입력을 받는다. 입력부(51)는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60)에 출력하는 동시에, 후술의 기억부(54)에 출력하여 기억시킨다.
또한, 후술된 통신부(53)가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부(60)로 출력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표시부(52)는 액정 모니터 등의 화상 등을 표시 가능한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입력된 처방 데이터 등의 각종 수치나,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의 설계 데이터 등을 표시한다. 통신부(53)는 인터넷 등에 의해 통신 가능한 통신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어부(60)의 처리에 의해 얻어진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의 설계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적절히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기억부(54)는 메모리나 하드 디스크 등의 불휘발성의 기억 매체로 구성되며, 제어부(60)와 데이터를 수수(授受)하고, 입력부(51)가 받은 입력 데이터나 제어부(60)의 처리에 의해 얻어진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의 설계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제어부(60)는 CPU 등의 처리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설계 장치(50)를 제어하는 동작의 주체로서 기능하며, 기억부(54) 또는 제어부(60)에 배치된 불휘발성 메모리에 탑재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처방값의 해석이나, 설계 처리를 포함하는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판정부(61)는, 착용자의 처방값에 관하여, 우안용 렌즈(10R)의 처방 가입도와 좌안용 렌즈(10L)의 처방 가입도가 동일하거나, 처방 가입도 이외의 처방값이 좌안용 렌즈(10L)와 우안용 렌즈(10R)에서 상이한지를 판정한다. 안경 렌즈 설계부(62)는, 입력부(51)로부터 입력된 처방 데이터 및 판정부(61)의 판정 결과 등에 근거하여, 설계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설계 파라미터란, 우안용 렌즈(10R) 및 좌안용 렌즈(10L)의 물체측 면 및 안구측 면의 면 가입도나, 렌즈면 상의 복수의 점에서의 목표 수차 등이다. 안경 렌즈 설계부(62)는, 설계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최적화 설계에 의해 누진 굴절력 렌즈쌍(1) 전체의 형상을 설계한다.
가공기 제어 장치(71)는, 설계 장치(50)로부터 송신된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의 설계 데이터에 근거하여, 안경 렌즈 가공기(72)를 제어한다. 안경 렌즈 가공기(72)는 가공기 제어 장치(71)의 제어에 의해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을 제조한다.
도 8은,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의 설계 방법을 포함하는,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의 제조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S1001)에서, 설계 장치(50)는 입력부(51)를 거쳐서 착용자의 처방값을 취득한다. 단계(S1001)가 종료되면, 단계(S1003)로 진행한다.
단계(S1003)에서, 판정부(61)는, 우안용 렌즈(10R)의 처방 가입도와 좌안용 렌즈(10L)의 처방 가입도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부(61)는, 우안용 렌즈(10R)의 처방 가입도와 좌안용 렌즈(10L)의 처방 가입도가 동일한 경우, 단계(S1003)를 긍정 판정하고 단계(S1005)로 진행하며, 상이한 경우는 단계(S1003)를 부정 판정하고 단계(S1007)로 진행된다.
단계(S1005)에서, 판정부(61)는, 우안용 렌즈(10R)와 좌안용 렌즈(10L)의 처방 정보로부터 산출된 SVR과 SVL이 상이한지, 또는 우안용 렌즈(10R)와 좌안용 렌즈(10L)의 처방 정보에 있어서, 구면 도수, 난시 도수, 난시축의 각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우안용 렌즈(10R)와 좌안용 렌즈(10L)에서 상이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부(61)는, 우안용 렌즈(10R)와 좌안용 렌즈(10L)의 처방 정보로부터 산출된 SVR과 SVL이 상이하거나, 또는 우안용 렌즈(10R)와 좌안용 렌즈(10L)의 처방 정보에 있어서, 구면 도수, 난시 도수, 난시축의 각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우안용 렌즈(10R)와 좌안용 렌즈(10L)에서 상이한 경우, 단계(S1005)를 긍정 판정하고 단계(S1007)로 진행하고, 동일한 경우는 단계(S1005)를 부정 판정하고 단계(S1009)로 진행한다.
단계(S1007)에서, 안경 렌즈 설계부(62)는, 우안용 렌즈(10R)에 있어서의 가입도의 배분 파라미터 (ADDR1-ADDR2)와 좌안용 렌즈(10L)에 있어서의 가입도의 배분 파라미터 (ADDL1-ADDR2)를 상이하게 하여 각 설계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단계(S1007)가 종료되면, 단계(S1011)로 진행한다.
단계(S1009)에서, 안경 렌즈 설계부(62)는, 우안용 렌즈에 있어서의 가입도의 배분 파라미터 (ADDR1-ADDR2)와 좌안용 렌즈에 있어서의 가입도의 배분 파라미터 (ADDL1-ADDR2)를 동일하게 하여 각 설계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단계(S1009)가 종료되면, 단계(S1011)로 진행한다.
단계(S1011)에서, 안경 렌즈 설계부(62)는, 단계(S1007) 또는 단계(S1009)에서 설정된 설계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을 설계한다. 단계(S1011)가 종료되면, 단계(S1013)로 진행한다. 단계(S1013)에서, 안경 렌즈 가공기(72)는 안경 렌즈를 제조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의 설계 방법은, 누진 굴절력 렌즈쌍(1) 중, 우안용 렌즈(10R)의 처방 가입도와 좌안용 렌즈(10L)의 처방 가입도가 동일하며, 또한,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의 처방 정보에 있어서, 우안용 렌즈(10R)의 광학 중심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도수 SVR과 좌안용 렌즈(10L)의 광학 중심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도수 SVL이 상이하거나, 또는,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의 처방 정보에 있어서, 우안용 렌즈(10R)의 구면 도수 SR과 좌안용 렌즈(10L)의 구면 도수 SL이 상이하거나, 우안용 렌즈(10R)의 난시 도수 CR과 좌안용 렌즈(10L)의 난시 도수 CL이 상이하거나, 또는, 우안용 렌즈(10R)의 난시축의 각도와 좌안용 렌즈(10L)의 난시축의 각도가 상이한 경우, 우안용 렌즈(10R)에 있어서의 물체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R1, 안구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R2로 하고, 좌안용 렌즈(10L)에 있어서의 물체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L1, 안구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L2로 했을 때, ADDR1-ADDR2와 ADDL1-ADDL2를 상이하게 하도록 설계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이에 의해, 양안의 처방 구면 도수, 처방 난시 도수, 처방된 난시축의 각도, 또는 처방된 상하 방향의 도수 등의 상이로 인해 생기는 좌우의 렌즈의 광학 특성의 차이, 특히 편각량의 좌우 편차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 내이며, 상술의 실시형태와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변형예 1)
상술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우안용 렌즈(10R)와 좌안용 렌즈(10L)에서 가입도의 배분 파라미터를 상이하게 하는 구성으로 했다. 또한, 원용부(F)의 베이스 커브를 좌안용 렌즈와 우안용 렌즈에서 상이하게 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누진 굴절력 렌즈쌍(1)에 있어서, 우안용 렌즈(10R)에 있어서의 물체측 면의 원용 베이스 커브를 BCRf로 하고, 좌안용 렌즈(10L)에 있어서의 물체측 면의 원용 베이스 커브를 BCLf로 하고, 우안용 렌즈(10R)의 구면 도수 SR과 좌안용 렌즈(10L)의 구면 도수 SL이 상이하거나, 또는, 우안용 렌즈(10R)의 등가 구면 도수 SR+CR/2와 좌안용 렌즈(10L)의 등가 구면 도수 SL+CL/2가 상이한 경우, BCRf와 BCLf를 상이하게 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양안의 처방값 등의 상이로 인해 생기는 좌우의 렌즈의 광학 특성의 차이, 특히 편각량의 좌우 편차를 보다 넓은 범위로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변형예 2)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의 설계 방법에 있어서, 착용자가, 우안용 렌즈의 가입도의 배분 파라미터 ADDR1-ADDR2의 값과 좌안용 렌즈의 가입도의 배분 파라미터 ADDL1-ADDL2의 값이 동일한 기준 누진 굴절력 렌즈쌍을 착용하고 검출한 시선 정보에 근거하여, (ADDR1-ADDR2)-(ADDL1-ADDL2)의 값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좌안용 렌즈(10L)와 우안용 렌즈(10R)에 있어서의 각각의 가입도의 배분을 변경하기 전의 시선 정보에 근거하여, 좌우의 렌즈의 광학 특성의 차이, 특히 편각량의 좌우 편차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상술의 시선 정보의 검출에서는, 예를 들면 국제 공개 제 WO 2014/046206 호에 기재된 시선 검출 장치 등을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시선을 검출하고, 누진 굴절력 렌즈(10) 상에 있어서의 시선의 투과점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최초에 피검사자는, 우안용 렌즈의 가입도의 배분 파라미터 ADDR1-ADDR2의 값과 좌안용 렌즈의 가입도의 배분 파라미터 ADDL1-ADDL2의 값이 동일한 기준 누진 굴절력 렌즈쌍을 착용한다. 피검사자는, 기준 누진 굴절력 렌즈쌍을 착용한 상태에서 시선 검출 장치를 사용하여, 적어도 1개 이상의 복수의 점을 주시했을 때에, 좌우안 각각의 시선의 기준 누진 굴절력 렌즈쌍 상에 있어서의 투과점의 위치를 검출하여 기록한다. 설계 장치(50)는, 검출하여 얻어진 주시점 정보와 투과점 정보를 해석하고, 해석 결과에 근거하여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을 설계한다. 설계 장치(50)는, 예를 들면, 적어도 1개 이상의 복수의 주시점에 대해, 좌우의 누진 굴절력 렌즈 상에 있어서의 시선의 투과점의 상하 방향 위치의 차가 기준 누진 굴절력 렌즈쌍보다 작아지도록,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을 설계한다.
(변형예 3)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의 설계 방법에 있어서, 착용자가, 우안용 렌즈의 가입도의 배분 파라미터 ADDR1-ADDR2의 값과 좌안용 렌즈의 가입도의 배분 파라미터 ADDL1-ADDL2의 값이 동일한 기준 누진 굴절력 렌즈쌍을 착용하여 검출한, 해당 우안용 렌즈와 해당 좌안용 렌즈의 근용 참조점(NV)에 있어서의 물체가 보이는 위치 편차에 근거하여,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의 우안용 렌즈(10R)와 좌안용 렌즈(10L)의 각각에 있어서의 가입도의 배분 파라미터의 차 (ADDR1-ADDR2)-(ADDL1-ADDL2)의 값을 설정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좌안용 렌즈(10L)와 우안용 렌즈(10R)에 있어서의 각각의 가입도의 배분을 변경하지 않는 경우의 시선의 편차량에 근거하여, 좌우의 렌즈의 광학 특성의 차이, 특히 편각량의 좌우 편차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상술의 근용 참조점(NV)에 있어서의 물체가 보이는 위치 편차의 검출에는, 좌우안에 각각의 화상을 보이게 하는 것이 가능한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도 9의 (a)는 좌우안에 각각 보이는 좌안용 화상(40L)과 우안용 화상(40R)을 예시한 도면이다. 좌안용 화상(40L)과 우안용 화상(40R)에는, Y축 방향, 즉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상하 방향으로 3개의 선분이 배치되어 있다. 도 9의 횡방향은 좌안과 우안을 연결하는 방향이다. 좌안용 화상(40L)과 우안용 화상(40R)의 상기 선분은 화면 상에서는 동일한 상하 방향의 높이로 표시된다. 피검자는 기준 누진 굴절력 렌즈쌍을 구비한 안경을 착용하고, 좌안용 화상(40L)과 우안용 화상(40R)을 양안시(兩眼視)한다. 양안시일 때에 생기는 좌우안 각각에 대한 선분의 상하 방향의 편차량이 측정된다.
도 9의 (b)는 시선의 상하 방향의 편차량(41)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양측의 렌즈에서, 동일한 주시점에 대해 좌안용 화상(40L) 및 우안용 화상(40R)의 위치에서 시선의 통과점에 차가 있으면, 좌안용 화상(40L) 또는 우안용 화상(40R)을 어긋나게 했을 때에 양안시에서 선분과 일치하는 편차량(41)이 측정된다. 설계 장치(50)는, 편차량의 측정값에 근거하여,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을 설계한다. 설계 장치(50)는, 좌안용 화상(40L)과 우안용 화상(40R)을 양안시 했을 때의 선분의 상하 방향의 편차량이 기준 누진 굴절력 렌즈쌍보다 억제되도록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을 설계한다.
(실시예 1)
표 1의 처방값에 대해, 표 2와 같이 물체측 면의 면 가입도, 안구측 면의 면 가입도, 물체측 면의 원용 베이스 커브를 설정했다.
[표 1]
처방 정보에 있어서의 각종 처방값
Figure 112019042670272-pct00001
[표 2]
실시예 1의 누진 굴절용 렌즈쌍(1)의 물체측 면의 면 가입도, 안구측 면의 면 가입도, 물체측 면의 원용 베이스 커브
Figure 112019042670272-pct00002
실시예 1의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의 각 수치를 이하에 나타낸다.
|(ADDR1-ADDR2)-(ADDL1-ADDL2)|=1이기 때문에, 식 (1)을 만족한다.
|(ADDR1-ADDR2)-(ADDL1-ADDL2)|/|SR-SL|=1이기 때문에, 식 (2)를 만족한다.
|(ADDR1-ADDR2)-(ADDL1-ADDL2)|/|(SR+CR/2)-(SL+CL/2)|=0.89이기 때문에, 식 (3)을 만족한다.
|(ADDR1-ADDR2)-(ADDL1-ADDL2)|/|SVR-SVL|=1.18이기 때문에, 식 (4)를 만족한다.
광학 중심을 지나는 상하 방향의 직선과 프레임의 교점의 좌표(x, y)는 좌우의 렌즈 모두, 상단이 (0, 12), 하단이 (0, -20)이다. 각각의 점에 있어서의 1면의 새그량은 이하의 값이다.
우안 상단: SAG1R(0, 12)=0.277
우안 하단: SAG1R(0, -20)=1.080
좌안 상단: SAG1L(0, 12)=0.276
좌안 하단: SAG1L(0, -20)=0.999
이들 값에서,
|(SAG1R(xtR, ytR)-SAG1R(xbR, ybR))-(SAG1L(xtL, ytL)-SAG1L(xbL, ybL))|=0.08이기 때문에, 식 (5)를 만족한다.
|SAG1R(xbR, ybR))-SAG1L(xbL, ybL)|=0.081이기 때문에, 식 (6)을 만족한다.
각도 θR=atan((SAG1R(0, 12)-SAG1R(0, -20))/(12-(-20)))= -1.44 (Deg)
각도 θL=atan((SAG1L(0, 12)-SAG1L(0, -20))/(12-(-20)))= -1.29 (Deg)
에서
|θR-θL|=0.15이기 때문에, 식 (7)을 만족한다.
프레임 둘레 상의 각 점에서,
|SAG1R(x, y)-SAG1L(x', y')|의 값을 구하면, 최대값은 0.17㎜, 최소값은 0.00085㎜가
되고, 식 (8)을 만족한다.
(비교예 1)
비교예 1에서는, 상술의 표 1에서 나타난 처방값에 대해, 이하의 표 3의 물체측 면의 가입도, 안구측 면의 가입도, 물체측 면의 원용 베이스 커브를 설정했다.
[표 3]
비교예 1의 누진 굴절용 렌즈쌍(1)의 물체측 면의 면 가입도, 안구측 면의 면 가입도, 물체측 면의 원용 베이스 커브
Figure 112019042670272-pct00003
광축보다 하방의 렌즈 주 직경선 상에 있어서의, 좌우의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상하 방향의 편각량을 비교예 1, 실시예 1의 경우의 각각에 대해 구하면 각각 이하의 표 4, 표 5에 나타낸 값이 된다. 선회각은 상하 방향 하방을 정(正)의 방향으로 하고 있다.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편각량의 개선도(%)를 다음 식 (10)에 근거하여 산출하고, 표 6에 나타냈다.
100×(비교예 1에서의 좌우의 렌즈 편각량차-실시예 1에서의 좌우의 렌즈 편각량차)/비교예 1에서의 좌우의 렌즈 편각량차 …(10)
[표 4]
비교예 1의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편각량
Figure 112019042670272-pct00004
[표 5]
실시예 1의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편각량
Figure 112019042670272-pct00005
[표 6]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편각량의 개선도(%)
Figure 112019042670272-pct00006
(실시예 2)
표 7의 처방값에 대해, 표 8과 같이 물체측 면의 면 가입도, 안구측 면의 면 가입도, 물체측 면의 원용 베이스 커브를 설정했다.
[표 7]
처방 정보에 있어서의 각종 처방값
Figure 112019042670272-pct00007
[표 8]
실시예 2의 누진 굴절용 렌즈쌍(1)의 물체측 면의 면 가입도, 안구측 면의 면 가입도, 물체측 면의 원용 베이스 커브
Figure 112019042670272-pct00008
실시예 2의 누진 굴절력 렌즈쌍(1)의 각 수치를 이하에 나타낸다.
|(ADDR1-ADDR2)-(ADDL1-ADDL2)|=1이기 때문에, 식 (1)을 만족한다.
|(ADDR1-ADDR2)-(ADDL1-ADDL2)|/|SR-SL|=1이기 때문에, 식 (2)를 만족한다.
|(ADDR1-ADDR2)-(ADDL1-ADDL2)|/|(SR+CR/2)-(SL+CL/2)|=0.89이기 때문에, 식 (3)을 만족한다.
|(ADDR1-ADDR2)-(ADDL1-ADDL2)|/|SVR-SVL|=1.18이기 때문에, 식 (4)를 만족한다.
광학 중심을 지나는 연직 방향의 직선과 프레임의 교점의 좌표(x, y)는 좌우의 렌즈 모두, 상단이 (0, 12), 하단이 (0, -20)이다. 각각의 점에 있어서의 1면의 새그량은 이하의 값이다.
우안 상단: SAG1R(0, 12)=0.481
우안 하단: SAG1R(0, -20)=1.652
좌안 상단: SAG1L(0, 12)=0.276
좌안 하단: SAG1L(0, -20)=0.999
이들 값에서,
|(SAG1R(xtR, ytR)-SAG1R(xbR, ybR))-(SAG1L(xtL, ytL)-SAG1L(xbL, ybL))|=0.448이기 때문에, 식 (5)를 만족한다.
|SAG1R(xbR, ybR))-SAG1L(xbL, ybL)|=0.653이기 때문에, 식 (6)을 만족한다.
각도 θR=atan((SAG1R(0, 12)-SAG1R(0, -20))/(12-(-20)))= -2.10 (Deg)
각도 θL=atan((SAG1L(0, 12)-SAG1L(0, -20))/(12-(-20)))= -1.29 (Deg)
에서,
|θR-θL|=0.81이기 때문에, 식 (7)을 만족한다.
프레임 둘레 상의 각 점에서,
|SAG1R(x, y)-SAG1L(x', y')|의 값을 구하면, 최대값은 1.915㎜, 최소값은 0.178㎜가 되며, 식 (8)을 만족한다.
(비교예 2)
비교예 2에서는, 상술의 표 7에서 나타난 처방값에 대해, 상기의 표 3의 물체측 면의 가입도, 안구측 면의 가입도, 물체측 면의 원용 베이스 커브를 설정했다.
광축보다 하방의 렌즈 주 직경선 상에 있어서의, 좌우의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상하 방향의 편각량을 비교예 2, 실시예 2의 경우의 각각에 대해 구하면 각각 이하의 표 9, 표 10에 나타난 값이 된다. 선회각은 상하 방향 하방을 정의 방향으로 하고 있다. 실시예 1과 비교예 2의 편각량의 개선도(%)를 다음 식 (11)에 근거하여 산출하고, 표 11에 나타냈다.
100×(비교예 2에서의 좌우의 렌즈 편각량차-실시예 2에서의 좌우의 렌즈 편각량차)/비교예 2에서의 좌우의 렌즈 편각량차 …(11)
[표 9]
비교예 2의 누진 굴절력 렌즈 쌍의 편각량
Figure 112019042670272-pct00009
[표 10]
실시예 2의 누진 굴절력 렌즈 쌍의 편각량
Figure 112019042670272-pct00010
[표 11]
실시예 2와 비교예 2의 편각량의 개선도(%)
Figure 112019042670272-pct00011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생각할 수 있는 그 이외의 태양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다음 우선권 기초 출원의 개시 내용은 인용문으로서 여기에 도입된다.
일본 특허 출원 제 2016-213629 호(2016년 10월 31일 출원)
1: 누진 굴절력 렌즈쌍 10: 누진 굴절력 렌즈
10L: 좌안용 렌즈 10R: 우안용 렌즈
11: 광학 중심 50: 설계 장치
60: 제어부 DL, DR: 외경
θinsR: 인세트각 SAG1R, SAG1L: 새그량

Claims (22)

  1. 원방시에 적합한 원용부와, 상기 원용부와는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며 근방시에 적합한 굴절력을 갖는 근용부와, 상기 원용부 및 상기 근용부 사이에서 굴절력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누진부를 구비한 좌우의 누진 굴절력 렌즈쌍에 있어서,
    상기 누진 굴절력 렌즈쌍 중, 우안용 렌즈의 처방 가입도와 좌안용 렌즈의 처방 가입도가 동일하며, 또한,
    상기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처방 정보에 있어서,
    상기 우안용 렌즈의 구면 도수 SR과 상기 좌안용 렌즈의 구면 도수 SL이 상이하거나,
    상기 우안용 렌즈의 난시 도수 CR과 상기 좌안용 렌즈의 난시 도수 CL이 상이하거나, 또는,
    상기 우안용 렌즈의 난시축의 각도 AxR과 상기 좌안용 렌즈의 난시축의 각도 AxL이 상이한 경우,
    상기 우안용 렌즈에 있어서의 물체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R1, 안구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R2로 하고,
    상기 좌안용 렌즈에 있어서의 물체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L1, 안구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L2로 했을 때,
    상기 우안용 렌즈 및 상기 좌안용 렌즈는, ADDR1-ADDR2와 ADDL1-ADDL2가 상이하도록, 상기 물체측 면 및 상기 안구측 면이 마련되고,
    상기 우안용 렌즈의 구면 도수 SR이, 상기 좌안용 렌즈의 구면 도수 SL보다 크거나, 상기 우안용 렌즈의 등가 구면 도수 SR+CR/2가, 상기 좌안용 렌즈의 등가 구면 도수 SL+CL/2보다 크거나, 상기 우안용 렌즈의 광학 중심에 있어서 상하방향의 도수 SVR이, 상기 좌안용 렌즈의 광학 중심에 있어서 상하방향의 도수 SVL보다도 큰 경우,
    ADDR1<ADDL1,
    의 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좌안용 렌즈의 구면 도수 SL이, 상기 우안용 렌즈의 구면 도수 SR보다 크거나, 상기 좌안용 렌즈의 등가 구면 도수 SL+CL/2가, 상기 우안용 렌즈의 등가 구면 도수 SR+CR/2보다 크거나, 상기 좌안용 렌즈의 광학 중심에 있어서 상하방향의 도수 SVL이, 상기 우안용 렌즈의 광학 중심에 있어서 상하방향의 도수 SVR보다도 큰 경우,
    ADDL1<ADDR1,
    의 조건을 만족하고,
    SVR=SR+CR×(sin(AxR))^2이고, SVL=SL+CL×(sin(AxL))^2인
    누진 굴절력 렌즈쌍.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안용 렌즈에 있어서의 물체측 면의 원용 베이스 커브를 BCRf로 하고,
    상기 좌안용 렌즈에 있어서의 물체측 면의 원용 베이스 커브를 BCLf로 하고,
    상기 우안용 렌즈의 구면 도수 SR과 상기 좌안용 렌즈의 구면 도수 SL이 상이하거나, 또는,
    상기 우안용 렌즈의 등가 구면 도수 SR+CR/2와 상기 좌안용 렌즈의 등가 구면 도수 SL+CL/2가 상이한 경우,
    BCRf와 BCLf를 상이하게 한
    누진 굴절력 렌즈쌍.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단위를 디옵터로 하고, 다음 식 (1)
    0<|(ADDR1-ADDR2)-(ADDL1-ADDL2)|≤4 …(1)의 조건을 만족하는
    누진 굴절력 렌즈쌍.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우안용 렌즈의 구면 도수 SR과 상기 좌안용 렌즈의 구면 도수 SL이 상이한 경우, 다음 식 (2)
    0<|(ADDR1-ADDR2)-(ADDL1-ADDL2)|/|SR-SL|≤16 …(2)
    의 조건을 만족하는
    누진 굴절력 렌즈쌍.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우안용 렌즈의 등가 구면 도수 SR+CR/2와 상기 좌안용 렌즈의 등가 구면 도수 SL+CL/2의 값이 상이한 경우, 다음 식 (3)
    0<|(ADDR1-ADDR2)-(ADDL1-ADDL2)|/|(SR+CR/2)-(SL+CL/2)|≤32 …(3)
    의 조건을 만족하는
    누진 굴절력 렌즈쌍.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SVR과 SVL이 상이하며, 다음 식 (4)
    0<|(ADDR1-ADDR2)-(ADDL1-ADDL2)|/|SVR-SVL|≤16 …(4)
    의 조건을 만족하는
    누진 굴절력 렌즈쌍.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우안용 렌즈의 물체측 정점을 지나며, 상기 우안용 렌즈의 광축에 수직인 면 상의 좌표(x, y)에 있어서의 상기 우안용 렌즈의 광축 방향의 새그량을 SAG1R(x, y),
    상기 좌안용 렌즈의 물체측 정점을 지나며, 상기 좌안용 렌즈의 광축에 수직인 면 상의 좌표(x, y)에 있어서의 상기 좌안용 렌즈의 광축 방향의 새그량을 SAG1L(x, y)로 했을 때,
    상기 우안용 렌즈가 프레임워크에 들어갔을 때에 상기 우안용 렌즈의 광축의 위치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직선을 그었을 때의 프레임 상단의 좌표를 (xtR, ytR), 프레임 하단의 좌표를 (xbR, ybR),
    상기 좌안용 렌즈가 프레임워크에 들어갔을 때에 렌즈 광축의 위치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직선을 그었을 때의 프레임 상단의 좌표를 (xtL, ytL), 프레임 하단의 좌표를 (xbL, ybL)로 하면,
    단위를 밀리미터로 하며, 다음 식 (5)
    0≤|(SAG1R(xtR, ytR)-SAG1R(xbR, ybR))-(SAG1L(xtL, ytL)- SAG1L(xbL, ybL))|≤4 …(5)
    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단위를 디옵터로 하며, 다음 식 (1)
    0<|(ADDR1-ADDR2)-(ADDL1-ADDL2)|≤4 …(1)
    의 조건을 만족하는
    누진 굴절력 렌즈쌍.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우안용 렌즈의 물체측 정점을 지나며, 상기 우안용 렌즈의 광축에 수직인 면 상의 좌표(x, y)에 있어서의 상기 우안용 렌즈의 광축 방향의 새그량을 SAG1R(x, y),
    상기 좌안용 렌즈의 물체측 정점을 지나며, 상기 좌안용 렌즈의 광축에 수직인 면 상의 좌표(x, y)에 있어서의 상기 좌안용 렌즈의 광축 방향의 새그량을 SAG1L(x, y)로 했을 때,
    상기 우안용 렌즈가 프레임워크에 들어갔을 때에 상기 우안용 렌즈의 광축의 위치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직선을 그었을 때의 프레임 하단의 좌표를 (xbR, ybR),
    상기 좌안용 렌즈가 프레임워크에 들어갔을 때에 렌즈 광축의 위치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직선을 그었을 때의, 프레임 하단의 좌표를 (xbL, ybL)로 하면,
    단위를 밀리미터로 하고, 다음 식 (6)
    0≤|SAG1R(xbR, ybR))-SAG1L(xbL, ybL)|≤4 …(6)
    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단위를 디옵터로 하며, 다음 식 (1)
    0<|(ADDR1-ADDR2)-(ADDL1-ADDL2)|≤4 …(1)
    의 조건을 만족하는
    누진 굴절력 렌즈쌍.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우안용 렌즈의 물체측 정점을 지나며, 상기 우안용 렌즈의 광축에 수직인 면 상의 좌표(x, y)에 있어서의 상기 우안용 렌즈의 광축 방향의 새그량을 SAG1R(x, y),
    상기 좌안용 렌즈의 물체측 정점을 지나며, 상기 좌안용 렌즈의 광축에 수직인 면 상의 좌표(x, y)에 있어서의 상기 좌안용 렌즈의 광축 방향의 새그량을 SAG1L(x, y)로 했을 때,
    상기 우안용 렌즈가 프레임워크에 들어갔을 때에 상기 우안용 렌즈의 광축의 위치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직선을 그었을 때의 프레임 상단의 좌표를 (xtR, ytR), 프레임 하단의 좌표를 (xbR, ybR),
    상기 좌안용 렌즈가 프레임워크에 들어갔을 때에 렌즈 광축의 위치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직선을 그었을 때의 프레임 상단의 좌표를 (xtL, ytL), 프레임 하단의 좌표를 (xbL, ybL)로 하고,
    각도 θR=atan((SAG1R(xtR, ytR)-SAG1R(xbR, ybR))/(ytR-ybR))
    각도 θL=atan((SAG1L(xtL, ytL)-SAG1L(xbL, ybL))/(ytL-ybL))
    로 하면, 단위를 도로 하며 다음 식 (7)
    0≤|θR-θL|≤5 …(7)
    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단위를 디옵터로 하며, 다음 식 (1)
    0<|(ADDR1-ADDR2)-(ADDL1-ADDL2)|≤4 …(1)
    의 조건을 만족하는
    누진 굴절력 렌즈쌍.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우안용 렌즈의 물체측 정점을 지나며, 상기 우안용 렌즈의 광축에 수직인 면 상의 좌표(x, y)에 있어서의 상기 우안용 렌즈의 광축 방향의 새그량을 SAG1R(x, y),
    상기 좌안용 렌즈의 물체측 정점을 지나며, 상기 좌안용 렌즈의 광축에 수직인 면 상의 좌표(x, y)에 있어서의 상기 좌안용 렌즈의 광축 방향의 새그량을 SAG1L(x, y)로 했을 때,
    우안용 프레임워크의 좌표(x, y)에 대해 좌안용 프레임워크에서 대칭이 되는 위치의 좌표를 (x', y')로 하면,
    상기 우안용 렌즈의 새그량 SAG1R(x, y), 상기 좌안용 렌즈의 새그량 SAG1L(x', y')에 대해 프레임 둘레 상에 있어서, 단위를 밀리미터로 하며 다음 식 (8)
    0≤|SAG1R(x, y)-SAG1L(x', y')|≤4 …(8)
    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단위를 디옵터로 하며, 다음 식 (1)
    0<|(ADDR1-ADDR2)-(ADDL1-ADDL2)|≤4 …(1)
    의 조건을 만족하는
    누진 굴절력 렌즈쌍.
  11. 원방시에 적합한 원용부와, 상기 원용부와는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며 근방시에 적합한 근용부와, 상기 원용부 및 상기 근용부 사이에서 굴절력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누진부를 구비한 좌우의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설계 방법에 있어서,
    착용자의 처방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누진 굴절력 렌즈쌍 중, 우안용 렌즈의 처방 가입도와 좌안용 렌즈의 처방 가입도가 동일하며, 또한, 상기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처방 정보에 있어서,
    상기 우안용 렌즈의 광학 중심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도수 SVR과 상기 좌안용 렌즈의 광학 중심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도수 SVL이 상이하거나, 또는,
    상기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처방 정보에 있어서,
    상기 우안용 렌즈의 구면 도수 SR과 상기 좌안용 렌즈의 구면 도수 SL이 상이하거나,
    상기 우안용 렌즈의 난시 도수 CR과 상기 좌안용 렌즈의 난시 도수 CL이 상이하거나, 또는,
    상기 우안용 렌즈의 난시축의 각도 AxR과 상기 좌안용 렌즈의 난시축의 각도 AxL이 상이한 경우,
    우안용 렌즈에 있어서의 물체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R1, 안구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R2로 하고,
    좌안용 렌즈에 있어서의 물체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L1, 안구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L2로 했을 때,
    ADDR1-ADDR2와 ADDL1-ADDL2를 상이하게 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우안용 렌즈의 구면 도수 SR이, 상기 좌안용 렌즈의 구면 도수 SL보다 크거나, 상기 우안용 렌즈의 등가 구면 도수 SR+CR/2가, 상기 좌안용 렌즈의 등가 구면 도수 SL+CL/2보다 크거나, 상기 우안용 렌즈의 광학 중심에 있어서 상하방향의 도수 SVR이, 상기 좌안용 렌즈의 광학 중심에 있어서 상하방향의 도수 SVL보다도 큰 경우,
    ADDR1<ADDL1,
    의 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좌안용 렌즈의 구면 도수 SL이, 상기 우안용 렌즈의 구면 도수 SR보다 크거나, 상기 좌안용 렌즈의 등가 구면 도수 SL+CL/2가, 상기 우안용 렌즈의 등가 구면 도수 SR+CR/2보다 크거나, 상기 좌안용 렌즈의 광학 중심에 있어서 상하방향의 도수 SVL이, 상기 우안용 렌즈의 광학 중심에 있어서 상하방향의 도수 SVR보다도 큰 경우,
    ADDL1<ADDR1,
    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하고,
    SVR=SR+CR×(sin(AxR))^2이고, SVL=SL+CL×(sin(AxL))^2인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설계 방법.
  12. 원방시에 적합한 원용부와, 상기 원용부와는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며 근방시에 적합한 근용부와, 상기 원용부 및 상기 근용부 사이에서 굴절력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누진부를 구비한 좌우의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설계 방법에 있어서,
    착용자의 처방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누진 굴절력 렌즈쌍 중, 우안용 렌즈의 처방 가입도와 좌안용 렌즈의 처방 가입도가 동일하며, 또한, 상기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처방 정보에 있어서,
    상기 우안용 렌즈의 광학 중심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도수 SVR과 상기 좌안용 렌즈의 광학 중심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도수 SVL이 상이하거나, 또는,
    상기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처방 정보에 있어서,
    상기 우안용 렌즈의 구면 도수 SR과 상기 좌안용 렌즈의 구면 도수 SL이 상이하거나,
    상기 우안용 렌즈의 난시 도수 CR과 상기 좌안용 렌즈의 난시 도수 CL이 상이하거나, 또는,
    상기 우안용 렌즈의 난시축의 각도 AxR과 상기 좌안용 렌즈의 난시축의 각도 AxL이 상이한 경우,
    우안용 렌즈에 있어서의 물체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R1, 안구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R2로 하고,
    좌안용 렌즈에 있어서의 물체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L1, 안구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L2로 했을 때,
    ADDR1-ADDR2와 ADDL1-ADDL2를 상이하게 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착용자가, ADDR1-ADDR2의 값과 ADDL1-ADDL2의 값이 동일한 기준 누진 굴절력 렌즈쌍을 착용하고 검출한 시선 정보에 근거하여,
    (ADDR1-ADDR2)-(ADDL1-ADDL2)의 값을 설정하고,
    SVR=SR+CR×(sin(AxR))^2이고, SVL=SL+CL×(sin(AxL))^2인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설계 방법.
  13. 원방시에 적합한 원용부와, 상기 원용부와는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며 근방시에 적합한 근용부와, 상기 원용부 및 상기 근용부 사이에서 굴절력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누진부를 구비한 좌우의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설계 방법에 있어서,
    착용자의 처방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누진 굴절력 렌즈쌍 중, 우안용 렌즈의 처방 가입도와 좌안용 렌즈의 처방 가입도가 동일하며, 또한, 상기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처방 정보에 있어서,
    상기 우안용 렌즈의 광학 중심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도수 SVR과 상기 좌안용 렌즈의 광학 중심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도수 SVL이 상이하거나, 또는,
    상기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처방 정보에 있어서,
    상기 우안용 렌즈의 구면 도수 SR과 상기 좌안용 렌즈의 구면 도수 SL이 상이하거나,
    상기 우안용 렌즈의 난시 도수 CR과 상기 좌안용 렌즈의 난시 도수 CL이 상이하거나, 또는,
    상기 우안용 렌즈의 난시축의 각도 AxR과 상기 좌안용 렌즈의 난시축의 각도 AxL이 상이한 경우,
    우안용 렌즈에 있어서의 물체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R1, 안구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R2로 하고,
    좌안용 렌즈에 있어서의 물체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L1, 안구측 면의 면 가입도를 ADDL2로 했을 때,
    ADDR1-ADDR2와 ADDL1-ADDL2를 상이하게 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착용자가, ADDR1-ADDR2의 값과 ADDL1-ADDL2의 값이 동일한 기준 누진 굴절력 렌즈쌍을 착용하고 검출한, 상기 우안용 렌즈와 상기 좌안용 렌즈의 근용 참조점에 있어서의 물체가 보이는 위치 편차에 근거하여,
    (ADDR1-ADDR2)-(ADDL1-ADDL2)의 값을 설정하고,
    SVR=SR+CR×(sin(AxR))^2이고, SVL=SL+CL×(sin(AxL))^2인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설계 방법.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설계 방법에 의해 상기 누진 굴절력 렌즈쌍을 설계하는 것과,
    상기 설계 방법에 의해 설계된 상기 누진 굴절력 렌즈쌍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제조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97012000A 2016-10-31 2017-10-31 누진 굴절력 렌즈쌍,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설계 방법 및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제조 방법 KR1022792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13629 2016-10-31
JPJP-P-2016-213629 2016-10-31
PCT/JP2017/039345 WO2018079836A1 (ja) 2016-10-31 2017-10-31 累進屈折力レンズ対、累進屈折力レンズ対の設計方法および累進屈折力レンズ対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141A KR20190052141A (ko) 2019-05-15
KR102279298B1 true KR102279298B1 (ko) 2021-07-19

Family

ID=62025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2000A KR102279298B1 (ko) 2016-10-31 2017-10-31 누진 굴절력 렌즈쌍,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설계 방법 및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90258081A1 (ko)
EP (1) EP3534203B1 (ko)
JP (1) JP6994467B2 (ko)
KR (1) KR102279298B1 (ko)
CN (2) CN109923467A (ko)
CA (1) CA3041850C (ko)
WO (1) WO20180798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83618A1 (en) * 2019-01-21 2020-07-22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System and method for demonstrating an optical disorder
NL2023797B1 (en) * 2019-09-09 2021-04-13 Jozephus Cyrillus Ludovicus Bruls Georgius Progressive addition eyeglass le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30118680A (ko) * 2021-01-28 2023-08-11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에시로루 안경 렌즈의 설계 장치,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 및프로그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7163A (ja) * 2005-03-22 2006-10-05 Seiko Epson Corp 眼鏡レンズ
JP2010096852A (ja) * 2008-10-14 2010-04-30 Nikon-Essilor Co Ltd 累進屈折力レンズ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7004B2 (ja) * 2002-05-28 2005-02-02 Hoya株式会社 両面非球面型累進屈折力レンズ
JP5769914B2 (ja) * 2006-07-20 2015-08-26 株式会社ニコン・エシロール 累進屈折力レンズの設計方法、製造方法および眼鏡レンズの供給システム
CN101884003B (zh) * 2007-12-04 2013-02-13 Hoya株式会社 一对递增光焦度镜片及其设计方法
WO2010044266A1 (ja) * 2008-10-14 2010-04-22 株式会社ニコン・エシロール 累進屈折力レンズ及び累進屈折力レンズシリーズ
EP2526455B1 (en) * 2010-01-18 2017-05-17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énérale D'Optique) Process for designing an ophthalmic progressive eyeglass
JP2012185449A (ja) * 2011-03-08 2012-09-27 Seiko Epson Corp 累進屈折力レンズ
JP2012215640A (ja) 2011-03-31 2012-11-08 Hoya Corp 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
JP6095271B2 (ja) * 2012-03-05 2017-03-15 イーエイチエス レンズ フィリピン インク レンズセット、レンズ設計方法及びレンズ製造方法
EP2642332B1 (en) * 2012-03-23 2015-05-06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énérale d'Optique) A progressive addition lens for a wearer
EP2669732A1 (en) * 2012-05-30 2013-12-04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énérale d'Optique) A method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spectacle lens optical system for a wearer
WO2014019968A1 (en) * 2012-07-31 2014-02-06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Progressive ophthalmic lens
KR101766564B1 (ko) * 2012-12-19 2017-08-08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안경 렌즈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BR112015019458B1 (pt) * 2013-02-20 2022-01-25 Essilor International Método para fornecer um par de lentes oftálmicas progressivas a um usuário identificado
EP3048473A4 (en) * 2013-09-20 2017-04-19 Hoya Lens Thailand Ltd. Eyeglass lens and eyeglass lens manufacturing method
WO2015150432A1 (en) * 2014-04-03 2015-10-08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Method for producing a customized progressive ophthalmic lens
JP6465738B2 (ja) 2015-05-07 2019-02-06 公益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プログラム及びリレー位置決定支援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7163A (ja) * 2005-03-22 2006-10-05 Seiko Epson Corp 眼鏡レンズ
JP2010096852A (ja) * 2008-10-14 2010-04-30 Nikon-Essilor Co Ltd 累進屈折力レン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34203B1 (en) 2021-03-03
JPWO2018079836A1 (ja) 2019-09-19
KR20190052141A (ko) 2019-05-15
JP6994467B2 (ja) 2022-01-14
EP3534203A4 (en) 2020-05-20
CA3041850A1 (en) 2018-05-03
EP3534203A1 (en) 2019-09-04
US20190258081A1 (en) 2019-08-22
WO2018079836A1 (ja) 2018-05-03
CA3041850C (en) 2021-08-03
CN109923467A (zh) 2019-06-21
CN112882253B (zh) 2023-03-31
CN112882253A (zh) 202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22201B (zh) 眼镜镜片的形状数据生成方法及其装置
EP2880489B1 (en) Progressive ophthalmic lens
KR20170102465A (ko) 안경 프레임 상에 탑재되도록 의도된 안경 안과용 렌즈
KR102279298B1 (ko) 누진 굴절력 렌즈쌍,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설계 방법 및 누진 굴절력 렌즈쌍의 제조 방법
JP2011203705A (ja) 眼鏡レンズ及びその設計方法
JP2012103669A (ja) 眼鏡用レンズ、眼鏡、及び眼鏡用レンズの製造方法
JP2013076850A (ja) 光学レンズ、光学レンズの設計方法、および光学レンズの製造装置
WO2016104809A1 (ja) 両眼用の一対の眼鏡レンズ、その製造方法、供給システム、および供給プログラム
JPH1031198A (ja) 多焦点眼鏡レンズ
CN206311862U (zh) 一种镜片为个性化渐进多焦点的眼镜
JP2004502963A (ja) 揺動作用を低く抑えた累進眼鏡レンズ
JP7090155B2 (ja) 累進屈折力レンズの設計方法、製造方法及び累進屈折力レンズ
US9429770B2 (en) Progressive addition lens
CA3095519C (en) A method for determining a single vision ophthalmic lens
US8757799B2 (en) Progressive multifocal ophthalmic lens
JP6109872B2 (ja) 眼鏡用レンズ、眼鏡、及び眼鏡用レンズの製造方法
JP6038224B2 (ja) 累進屈折力レンズの製造方法
WO2023068022A1 (ja) 一対の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
JP5707083B2 (ja) 累進屈折力レンズの設計システム及び設計方法
JP2012083482A (ja) 累進屈折力レンズ
JP2003532156A (ja) 目線の移動中に両眼特性を少し変えたプログレッシブ眼鏡レンズ
US2022017923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optimizing an optical function of a progressive ophthalmic lens under specific wearing conditions
JP5043594B2 (ja) 眼鏡、及び眼鏡の製造システム
JP2013186229A (ja)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レンズの設計方法
JP2015158688A (ja) 内面累進屈折力レンズ、内面累進屈折力レンズの設計方法、及び内面累進屈折力レンズ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