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8567B1 -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 - Google Patents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8567B1
KR102278567B1 KR1020200189455A KR20200189455A KR102278567B1 KR 102278567 B1 KR102278567 B1 KR 102278567B1 KR 1020200189455 A KR1020200189455 A KR 1020200189455A KR 20200189455 A KR20200189455 A KR 20200189455A KR 102278567 B1 KR102278567 B1 KR 102278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orking fluid
rotating member
pip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용
김희재
이종배
김재희
Original Assignee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9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5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 B08B9/045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the cleaning devices being rotated while moved, e.g. flexible rotating shaft or "sn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7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 B08B2209/04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동유체가 흐르는 관에 삽입되어 전진되도록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공급홀부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실링홈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에 연결되고, 관을 따라 공급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상기 본체가 전진될 때에 상기 본체의 전진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도블록; 및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되면서 관 내벽과 마찰되는 브러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 {Rotating Nozzles for the cleaning of tubing}
본 발명은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에 공급되는 유체의 유량 및 유압에 의해 브러시가 회전되면서 본체가 전진하므로 관 내벽에 누적되는 이물질과 브러시가 마찰되어 관 내벽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관 세척을 진행하고, 관 내부로 유입되는 작동유체는 실링부재에 의해 본체를 가압하게 되므로 본체가 관을 따라 전진하면서 본체 또는 브러시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는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배관 세척장비로는 피그, 초음파, 오존 등을 이용한 장비가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수압으로 이동하는 폴리피그(poly-pigs)에 의해 배관 내부의 스케일을 제거하는 세척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비들은 고가임에도 세척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 이외에도 특허등록 제796820호에 워터젯을 이용한 세척장치, 특허공개 제2009-25556호에 스팀분사를 이용한 세척장치, 특허등록 제855309호에 세척수와 압축공기를 혼합하여 얻은 세척수 미립자를 이용한 세척장치 등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장치도 역시 고가임에도 세척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는 것이 사실이고 이 문제는 실제로 배관 내벽의 스케일을 제거할만한 물리적 힘 즉 마찰력이 현저히 부족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또한, 협소한 구경의 배관을 세척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도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안된 것이 특허등록 제751385호에 개시된 '배관 세척 스크류'이고, 이 특허는 물리적 작용이 큰 브러시를 스크류에 부착한 후 압축공기를 배관 내부에 투입해 스크류에 회전력을 부여함으로써, 회전하는 브러시에 의하여 내벽 스케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세척 재료로서 브러시를 이용하여 내벽 스케일과 직접 마찰시킨다는 점에서, 위의 장치들에 비하여 유리한 측면이 있으나 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배관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야 하므로 에너지 손실이 크게 발생하고, 원하는 정도의 회전력 및 추진력은 생기지 않는다.
여러 개의 스크루를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약간의 보완이 가능하겠으나, 이 경우에는 조립 및 해체가 불편하고, 작업 도중 배관의 중간에서 분리되어버릴 수가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관로 세척용 노즐이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관로 세척용 노즐은, 단부에 고정된 팁을 포함하여 고속의 압축공기 또는 액체의 유체를 공급하는 호스, 팁에 동축적으로 배치되고 운동가능하게 고정된 운동 소자를 포함하며, 운동 소자는, 호스의 팁 부분과 연통하는 내부공간과, 내부공간의 측벽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운동 소자에 대하여 유체 압력에 의한 운동력을 제공하게 되는 다수의 배출홀과, 외면에 고정되어 관로의 세척을 수행하는 브러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58133호(2013년 06월 04일 공개, 발명의 명칭 : 관로 세척용 노즐)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노즐은, 노즐과 관 내벽 사이의 간격으로 유실되는 유체를 차단하는 별도의 기술구성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노즐 내부로 공급되어 노즐과 관로 내벽 사이의 간격으로 유실되므로 노즐이 관로를 따라 전진되지 않고 관로 중간에 정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관에 공급되는 유체의 유량 및 유압에 의해 브러시가 회전되면서 본체가 전진하므로 관 내벽에 누적되는 이물질과 브러시가 마찰되어 관 내벽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관 세척을 진행하고, 관 내부로 유입되는 작동유체는 실링부재에 의해 본체를 가압하게 되므로 본체가 관을 따라 전진하면서 본체 또는 브러시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는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작동유체가 흐르는 관에 삽입되어 전진되도록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공급홀부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실링홈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에 연결되고, 관을 따라 공급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상기 본체가 전진될 때에 상기 본체의 전진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도블록; 및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되면서 관 내벽과 마찰되는 브러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본체는, 관에 삽입되어 전진될 수 있도록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고, 배면으로부터 전면까지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공급홀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결합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급홀부에 유입되지 않고 상기 본체 외측으로 유실되는 작동유체가 상기 본체와 관 내벽 사이의 간격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결합돌출부에는 상기 회전부재가 슬립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마찰링부재 및 마찰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마찰링부재 및 상기 마찰부재를 상기 결합돌출부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결합돌출부에 마감링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유도블록 사이에 회전플레이트가 개재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에는 상기 브러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회전유도블록에는 상기 본체가 관 내부를 따라 전진할 때에 상기 회전유도블록에 가해지는 유압을 상기 회전유도블록의 측 방향으로 우회시키면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블레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본체는, 관에 삽입되어 전진될 수 있도록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고, 배면으로부터 전면까지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공급홀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획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급홀부에 유입되지 않고 상기 본체 외측으로 유실되는 작동유체가 상기 본체와 관 내벽 사이의 간격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획돌출부에는 상기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유도블록의 일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구획돌출부에 제1마찰링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회전유도블록의 타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2마찰링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본체에는 상기 공급홀부를 따라 공급되는 작동유체의 진행방향으로 변환시켜 상기 회전유도블록 측으로 토출시키는 공급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공급블록에는 상기 공급홀부에 삽입되는 유입유로와, 상기 유입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회전유도블록 측으로 굴곡되는 분기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회전유도블록에는 상기 분기유로에 대향되고, 상기 분기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회전운동을 제공하는 블레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회전유도블록에는 상기 회전유도블록의 회전운동을 가중시키는 보조블레이드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는, 관으로 공급되는 작동유체가 본체를 통과하여 배출될 때에 작동유체의 토출압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유도블록이 구비되므로 회전유도블록의 회전운동에 의해 본체가 관의 내벽을 따라 효과적으로 전진하면서 세척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는, 작동유체의 토출압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유도블록에 회전부재가 일체로 설치되고, 회전부재에 관 내벽과 마찰되며 세척작동을 진행하는 브러시가 구비되어 본체가 전진함과 동시에 브러시가 관 내벽에 마찰되면서 회전되므로 관 내벽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관 내벽으로부터 분리시켜 배출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는, 관 내벽을 따라 전진하는 본체에 복수 개의 실링부재가 구비되므로 회전부재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체가 본체와 관 내벽 사이의 간격으로 유실되어 본체의 후방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본체가 역류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전진하지 못하고 정체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는, 작동유체가 흐르는 관에 삽입되어 전진되도록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공급홀부(114)가 형성되는 본체(110)와,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재(150)와, 회전부재(150)에 연결되고, 관을 따라 공급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본체(110)가 전진될 때에 본체(110)의 전진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회전부재(150)을 회전시키는 회전유도블록(170)과, 회전부재(150)과 함께 회전되면서 관 내벽과 마찰되는 브러시(156, 158)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수도관과 같이 유체가 흐르는 관을 청소하는 경우에는 관의 단부에 본 실시예에 따른 노즐장치를 삽입하고, 관의 단부로부터 수돗물로 이루어지는 작동유체를 공급하면 작동유체의 수압에 의해 노즐장치가 관을 따라 이동되면서 관 내벽에 누적된 이물질을 가압하면서 관 내벽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시키고,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는,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150)가 회전유도블록(17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회전부재(150)에 구비되는 브러시(156, 158)가 관 내벽과 마찰되고, 본체(110)에 구비되는 실링부재(130)에 의해 본체(110) 내부로 공급되지 않고 본체(110)와 관 내벽 사이의 간격으로 작동유체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동유체의 수압이 유실되지 않고 본체(110)를 가압하면서 원활한 세척작동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본체(110)는, 관에 삽입되어 전진될 수 있도록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고, 배면으로부터 전면까지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공급홀부(114)가 형성되며, 회전부재(15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획돌출부(112)가 형성되고, 공급홀부(114)에 유입되지 않고 본체(110) 외측으로 유실되는 작동유체가 본체(110)와 관 내벽 사이의 간격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13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실링부재(130)는, 본체(11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마감링부재(116)와 제2마감링부재(117) 사이에 개재되고,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져 관 내벽에 마찰되면서 관 내벽과 본체(110) 사이의 간격으로 작동유체 및 이물질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실링재(132)와, 본체(110)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마감링부재(117)와 제3마감링부재(118) 사이에 개재되는 제2실링재(134)와, 본체(110)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3마감링부재(118)와 결합링부재(119) 사이에 개재되는 제3실링재(136)를 포함한다.
결합링부재(119)의 배면에는 제1와이어(119b)가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제1결합홈부(119a)가 형성되므로 노즐장치를 관의 입구 측으로 후진시킬 때에는 제1와이어(119b)에 인장력을 제공하여 노즐장치를 후진시키면서 관으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실링부재(130) 및 제1와이어(119b)는 본체(110) 중앙부에 형성되는 구획돌출부(112)로부터 후방에 배치되고, 구획돌출부(112)로부터 전방에는 회전부재(150), 회전유도블록(170) 마감플레이트(180) 및 제2와이어(184)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회전유도블록(170)은 제1베어링(177) 및 제2베어링(178)에 의해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본체(11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변환홀부(114a)에 대향되도록 회전유도블록(170)의 둘레면에 굴곡토출관(176)이 형성되므로 본체(110)의 공급홀부(114)를 통해 유입되는 작동유체는 변환홀부(114a)를 통해 본체(110)의 둘레면 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되어 토출되고, 변환홀부(114a)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체는 굴곡토출관(176)을 따라 회전유도블록(170) 외측으로 토출된다.
여기서, 굴곡토출관(176)은 회전유도블록(170)으로부터 다수 개가 방사형으로 연장된 후에 단부가 일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블레이드 모양을 이루게 되므로 굴곡토출관(176)으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체가 회오리 모양으로 토출되면서 회전유도블록을 회전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의 회전유도블록(170)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각각 제1돌기(172) 및 제2돌기(174)가 형성되므로 제1회전부재(152)와 제2회전부재(154)가 제1돌기(172)와 제2돌기(174)에 지지되도록 회전유도블록(170)에 설치되고, 제1회전부재(152)에는 제1브러시(156)가 구비되며, 제2회전부재(154)에는 제2브러시(158)가 구비된다.
따라서 작동유체가 굴곡토출관(176)을 따라 토출되면서 회전유도블록(170)을 회전시키면 제1회전부재(152) 및 제2회전부재(154)가 회전되면서 제1브러시(156) 및 제2브러시(158)가 관 내벽에 마찰되어 관 세척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회전유도블록(170) 전면에는 마감플레이트(180)가 설치되고, 마감플레이트(180)에는 방사형으로 다수 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블레이드(186)가 설치되어 토출되는 작동유체와 간섭되면서 회전유도블록(170)의 회전운동을 가속시키게 된다.
블레이드(186)의 전면에는 마감링(188)이 설치되어 블레이드(186)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마감플레이트(180)의 전면에는 돌출부재(182)가 설치되어 제2와이어(184)와 연결되므로 관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와이어(184)에 인장력을 제공하면서 본체(110)의 전진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관 내벽으로부터 분리되는 이물질은 브러시(156, 158)에 의해 관을 따라 전진하면서 배출되고, 브러시(156, 158)을 통과하여 후방으로 유실되는 이물질은 제1실링재(132) 내지 제3실링재(136)에 의해 가압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관 외부로 배출된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의 회전유도블록(170)에는 측면토출구(176a)가 구비되는 굴곡블록(176)이 설치되므로 변환홀부(114a)으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체는 굴곡블록(176)의 저면으로 유입되어 이동방향이 측 방향으로 변환되어 측면토출구(176a)를 통해 회전유도블록(170) 외측으로 토출되면서 와류를 형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굴곡블록(176)은 단면 형상이 'ㅗ'모양으로 형성되어 저면으로부터 상부까지 홀부가 형성되고, 상부의 일측면에는 측면토출구(176a)가 형성되므로 변환홀부(114a)를 지나 굴곡블록(176)으로 유입되는 작동유체는 진행방향이 굴곡되면서 토출되고, 다수 개의 굴곡블록(176)으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와류가 형성되면서 회전유도블록(170)의 회전운동을 유발시키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의 본체(10)는, 관에 삽입되어 전진될 수 있도록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고, 배면으로부터 전면까지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공급홀부(18)가 형성되며, 회전부재(7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결합돌출부(17)가 형성되고, 공급홀부(18)에 유입되지 않고 본체(10) 외측으로 유실되는 작동유체가 본체(10)와 관 내벽 사이의 간격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실링부재(30)는, 본체(10) 외벽에 형성되는 제1실링홈부(12)에 설치되고,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실링재(32)와, 본체(10) 외벽에 제1실링홈부(12)와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제2실링홈부(14)에 설치되고,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실링재(34)와, 본체(10) 외벽에 제2실링홈부(14)와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제3실링홈부(16)에 설치되고,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는 제3실링재(36)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체(10)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본체(10) 외벽과 관 내벽 사이의 간격으로 유실되는 작동유체를 3차에 걸쳐 차단하게 되므로 본체(10) 외벽과 관 내벽 사이의 간격으로 작동유체가 유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결합돌출부(17)에는 회전부재(70)가 슬립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마찰링부재(52) 및 마찰부재(54)가 개재되고, 마찰링부재(52) 및 마찰부재(54)를 결합돌출부(17)에 고정시키도록 결합돌출부(17)에 마감링부재(56)가 설치된다.
따라서 캡 모양으로 형성되는 회전부재(70)의 내측면이 마찰링부재(52) 및 마찰부재(54)에 의해 결합돌출부(17)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고, 회전부재(70)의 둘레면으로부터 삽입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회전부재(70)가 마찰부재(54)에 고정된다.
회전부재(70)의 상면에 중앙부에는 공급홀부(18)와 연결되어 통하는 홀부가 형성되고, 회전부재(70) 상면에 안착되는 회전플레이트(72)도 중앙부에 홀부가 형성되므로 공급홀부(18)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작동유체는 회전플레이트(72)의 홀부까지 공급되어 본 실시예의 노즐장치를 가압하면서 관을 따라 이송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의 회전부재(70)와 회전유도블록(80) 사이에 회전플레이트(72)가 개재되고, 회전플레이트(72)에는 브러시(72a)가 구비되므로 회전유도블록(80) 및 회전부재(70)가 회전될 때에 회전플레이트(72)도 회전되면서 브러시(72a)가 회전하면서 관 내벽과 마찰되어 관 내벽에 누적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전유도블록(80)에는 본체(10)가 관 내부를 따라 전진할 때에 본체(10)를 관통하여 배출되는 작동유체의 토출압력을 회전유도블록(80)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굴곡토출관(84)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굴곡토출관(84)은,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는 회전유도블록(80)의 둘레면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돌출되어 이루어지고, 굴곡토출관(84)이 블레이드(82) 모양으로 굴곡되어 이루어지므로 굴곡토출관(84)에서 분사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회오리 모양의 와류가 발생되면서 회전유도블록(80)을 회전시키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의 회전유도블록(80)에는 본체(10)가 관 내부를 따라 전진할 때에 본체(10)를 관통하여 배출되는 작동유체의 토출압력을 회전유도블록(80)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굴곡토출관(84)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굴곡토출관(84)은 회전유도블록(80)의 중앙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에서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굴곡토출관(84)이 블레이드(82) 모양으로 굴곡되어 이루어지므로 굴곡토출관(84)에서 분사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회오리 모양의 와류가 발생되면서 회전유도블록(80)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체(10), 회전부재(70), 회전플레이트(72) 및 회전유도블록(80)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작동유체가 굴곡토출관(84)에 의해 회오리 모양으로 토출되므로 회전유도블록(80)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회전되면서 관 내벽의 이물질을 분리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의 본체(110)는, 관에 삽입되어 전진될 수 있도록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고, 배면으로부터 전면까지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공급홀부(114)가 형성되며, 회전부재(15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획돌출부(112)가 형성되고, 공급홀부(114)에 유입되지 않고 본체(110) 외측으로 유실되는 작동유체가 본체(110)와 관 내벽 사이의 간격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13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실링부재(130)는, 본체(11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마감링부재(116)와 제2마감링부재(117) 사이에 개재되고,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져 관 내벽에 마찰되면서 관 내벽과 본체(110) 사이의 간격으로 작동유체 및 이물질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실링재(132)와, 본체(110)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마감링부재(117)와 제3마감링부재(118) 사이에 개재되는 제2실링재(134)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110)에는 제3마감링부재(118)를 가압하여 본체(110)에 고정시키도록 본체(110) 후방 측 단부에 결합링부재(119)가 삽입되어 체결부재에 의해 제1마감링부재(116) 내지 제3마감링부재(118)와 함께 결합된다.
또한, 결합링부재(119)의 배면에는 제1인출와이어(192)가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제1결합홈부(1119a)가 형성되므로 노즐장치를 관의 입구 측으로 후진시킬 때에는 제1인출와이어(192)에 인장력을 제공하여 노즐장치를 후진시키면서 관으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실링부재(130) 및 제1인출와이어(192)는 본체(110) 중앙부에 형성되는 구획돌출부(112)로부터 후방에 배치되고, 구획돌출부(112)로부터 전방에는 회전부재(150), 회전유도블록(170) 및 공급블록(180)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구획돌출부(112)에는 회전부재(150) 및 회전유도블록(170)의 일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획돌출부(112)에 제1마찰링부재(152)가 설치되고, 본체(110)에는 회전유도블록(170)의 타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2마찰링부재(154)가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획돌출부(112) 전방에는 제1마찰링부재(152)가 설치되어 회전부재(150)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고, 제1마찰링부재(152)의 외벽 일부분에 회전부재(15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1마찰링부재(152)의 외벽 타부분에는 회전유도블록(170)의 일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안착된다.
또한, 파이프 모양으로 형성되는 본체(110)의 외경과 비교하여 회전유도블록(170)의 내경이 더 크게 형성되고, 회전유도블록(170)의 내벽에는 제1마찰링부재(152)에 슬립 가능하게 지지되는 간격돌출부(174)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회전유도블록(170)의 둘레면은 원 형상으로 개구부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에 다수 개의 블레이드(172)가 형성되므로 공급블록(180)으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체가 블레이드(172)와 충돌되면서 회전유도블록(170) 외측으로 배출되면서 회전유도블록(170)의 회전운동을 유발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의 본체(110)에는 공급홀부(114)를 따라 공급되는 작동유체의 진행방향으로 변환시켜 회전유도블록(170) 측으로 토출시키는 공급블록(180)이 설치되고, 공급블록(180)에는 공급홀부(114)에 삽입되는 유입유로(182)와, 유입유로(182)로부터 분기되어 회전유도블록(170) 측으로 굴곡되는 분기유로(184)가 형성된다.
공급블록(180)의 전면에는 제2인출와이어(194)가 체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제2결합홈부(186)가 형성되므로 노즐장치를 관의 출구 측으로 당겨서 배출시킬 때에는 제2인출와이어(194)에 인장력을 제공하고 노즐장치를 관의 출구 측으로 당기면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전유도블록(170)에는 분기유로(184)에 대향되고, 분기유로(184)를 통해 배출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회전운동을 제공하는 블레이드(172)가 형성되므로 본체(110)를 통해 공급되는 작동유체가 유입유로(182)를 지나 다수 개의 분기유로(184)로 분기된 후에 블레이드(172) 측으로 분사되면 분기유로(184)로부터 분사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블레이드(172)가 충돌되면서 회전유도블록(170)의 회전운동을 유발시키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의 회전유도블록(170)에는 회전유도블록(170)의 회전운동을 가중시키는 보조블레이드(176)이 더 설치되므로 브러시(156)에 의해 관 내벽으로부터 분리되는 이물질이 보조블레이드(176)에 의해 노즐장치의 전방으로 배출되고, 보조블레이드(176)에 접촉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회전유도블록(170)이 보다 더 효과적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관에 공급되는 유체의 유압에 의해 회전되면서 전진하므로 관 내벽에 누적되는 이물질과 마찰되면서 관 내벽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시켜 배출시키고, 관 내부로 유입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으며, 노즐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체가 노즐장치와 관 내벽 사이의 간격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노즐장치가 관을 따라 용이하게 전진될 수 있는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노즐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110 : 본체 12 : 제1실링홈부
14 : 제2실링홈부 16 : 제3실링홈부
17 : 결합돌출부 18 : 공급홀부
30, 130 : 실링부재 32, 132 : 제1실링재
34, 134 : 제2실링재 36 : 제3실링재
52 : 마찰링부재 54 : 마찰부재
56 : 마감링부재 70 : 회전부재
72 : 회전플레이트 72a, 156 : 브러시
74 : 체결홀부 80, 170 : 회전유도블록
82 : 블레이드 84 : 굴곡토출관
90 : 인출와이어 92 : 고정홈부

Claims (11)

  1. 작동유체가 흐르는 관에 삽입되어 전진되도록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공급홀부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실링홈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에 연결되고, 관을 따라 공급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상기 본체가 전진될 때에 상기 본체의 전진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도블록; 및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되면서 관 내벽과 마찰되는 브러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관에 삽입되어 전진될 수 있도록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고, 배면으로부터 전면까지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공급홀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결합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급홀부에 유입되지 않고 상기 본체 외측으로 유실되는 작동유체가 상기 본체와 관 내벽 사이의 간격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돌출부에는 상기 회전부재가 슬립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마찰링부재 및 마찰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마찰링부재 및 상기 마찰부재를 상기 결합돌출부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결합돌출부에 마감링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
  2. 삭제
  3. 삭제
  4. 작동유체가 흐르는 관에 삽입되어 전진되도록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공급홀부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실링홈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에 연결되고, 관을 따라 공급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상기 본체가 전진될 때에 상기 본체의 전진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도블록; 및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되면서 관 내벽과 마찰되는 브러시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유도블록 사이에 회전플레이트가 개재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에는 상기 브러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도블록에는 상기 본체가 관 내부를 따라 전진할 때에 상기 회전유도블록에 가해지는 유압을 상기 회전유도블록의 측 방향으로 우회시키면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블레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도블록에는 상기 본체가 관 내부를 따라 전진할 때에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배출되는 작동유체의 토출압력을 상기 회전유도블록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굴곡토출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
  7. 작동유체가 흐르는 관에 삽입되어 전진되도록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공급홀부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실링홈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에 연결되고, 관을 따라 공급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상기 본체가 전진될 때에 상기 본체의 전진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도블록; 및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되면서 관 내벽과 마찰되는 브러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관에 삽입되어 전진될 수 있도록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고, 배면으로부터 전면까지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공급홀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획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급홀부에 유입되지 않고 상기 본체 외측으로 유실되는 작동유체가 상기 본체와 관 내벽 사이의 간격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구획돌출부에는 상기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유도블록의 일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구획돌출부에 제1마찰링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회전유도블록의 타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2마찰링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
  8. 삭제
  9. 작동유체가 흐르는 관에 삽입되어 전진되도록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공급홀부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실링홈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에 연결되고, 관을 따라 공급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상기 본체가 전진될 때에 상기 본체의 전진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도블록; 및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되면서 관 내벽과 마찰되는 브러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관에 삽입되어 전진될 수 있도록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고, 배면으로부터 전면까지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공급홀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획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급홀부에 유입되지 않고 상기 본체 외측으로 유실되는 작동유체가 상기 본체와 관 내벽 사이의 간격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공급홀부를 따라 공급되는 작동유체의 진행방향으로 변환시켜 상기 회전유도블록 측으로 토출시키는 공급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공급블록에는 상기 공급홀부에 삽입되는 유입유로와, 상기 유입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회전유도블록 측으로 굴곡되는 분기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도블록에는 상기 분기유로에 대향되고, 상기 분기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회전운동을 제공하는 블레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도블록에는 상기 회전유도블록의 회전운동을 가중시키는 보조블레이드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
KR1020200189455A 2020-12-31 2020-12-31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 KR102278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455A KR102278567B1 (ko) 2020-12-31 2020-12-31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455A KR102278567B1 (ko) 2020-12-31 2020-12-31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8567B1 true KR102278567B1 (ko) 2021-07-16

Family

ID=77150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455A KR102278567B1 (ko) 2020-12-31 2020-12-31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56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6163B1 (ko) 2021-11-18 2022-11-10 권선정 튜브형 상수도 관로 세척장치
KR102507159B1 (ko) * 2022-03-02 2023-03-07 주식회사 케이디교역 회전 블레이드를 구비한 관 세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세척 방법
KR102569677B1 (ko) * 2022-12-22 2023-08-24 (주)삼명이엔씨 세척수 공급라인이 생략된 배관세척장치
KR102597243B1 (ko) 2022-05-17 2023-11-03 나성건설산업 주식회사 관로 세척장치와 그 공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0090U (ja) * 1997-05-22 1999-07-21 有限会社ファースト機械 管状内面自送式洗浄器
KR102149366B1 (ko) * 2020-04-17 2020-08-31 유한회사 태양건설 관로 내벽 스케일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0090U (ja) * 1997-05-22 1999-07-21 有限会社ファースト機械 管状内面自送式洗浄器
KR102149366B1 (ko) * 2020-04-17 2020-08-31 유한회사 태양건설 관로 내벽 스케일 제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6163B1 (ko) 2021-11-18 2022-11-10 권선정 튜브형 상수도 관로 세척장치
KR102507159B1 (ko) * 2022-03-02 2023-03-07 주식회사 케이디교역 회전 블레이드를 구비한 관 세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세척 방법
KR102597243B1 (ko) 2022-05-17 2023-11-03 나성건설산업 주식회사 관로 세척장치와 그 공법
KR102569677B1 (ko) * 2022-12-22 2023-08-24 (주)삼명이엔씨 세척수 공급라인이 생략된 배관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8567B1 (ko)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
CN101391253B (zh) 压力冲洗装置系统
JP2007512126A (ja) 洗浄機
KR102033738B1 (ko) 수도관 세척장치
US20110121105A1 (en) Multi-positional handheld fluid powered spray device with detacheable accessories
CN218394175U (zh) 一种喷射装置和衣物处理设备
CN111974761A (zh) 一种酸洗后钢管近距离内外壁冲洗装置
WO1986003660A1 (en) Rotary surface treatment assembly
US2336293A (en) Cleaning device
KR20170130754A (ko) 관로세척장치
KR20150071115A (ko) 배관라인 내부 또는 협소한 공간의 연마 및 세척이 가능한 세척기구
KR101793068B1 (ko) 수도꼭지용 물줄기 전환장치
CN214644706U (zh) 一种高能喷射型水泥混合装置及系统
JP4190341B2 (ja) 手持ち操作用洗浄装置
KR101998854B1 (ko) 스팀 소독살균 및 코팅 겸용 복합세척기
KR102620825B1 (ko) 관 내부 센터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
KR20130108955A (ko) 다용도 세척기
CN216539017U (zh) 便于处理缝隙的净化喷头
SU174193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внутренней поверхности трубопровода
CN219206782U (zh) 一种用于清洁机的水路系统及清洁机
KR102501802B1 (ko) 수도관 청소장치용 전환밸브
CN115156202B (zh) 一种水带清洗机
CN220346195U (zh) 一种管道清洗喷头
RU2489216C1 (ru) Каналопромывочный реверсивный насадок
KR20120054766A (ko) 맥동수류를 이용한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