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1802B1 - 수도관 청소장치용 전환밸브 - Google Patents

수도관 청소장치용 전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1802B1
KR102501802B1 KR1020210049488A KR20210049488A KR102501802B1 KR 102501802 B1 KR102501802 B1 KR 102501802B1 KR 1020210049488 A KR1020210049488 A KR 1020210049488A KR 20210049488 A KR20210049488 A KR 20210049488A KR 102501802 B1 KR102501802 B1 KR 102501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main flow
piston
stopper
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3236A (ko
Inventor
송태식
박성규
김의한
민동건
Original Assignee
송태식
박성규
김의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태식, 박성규, 김의한 filed Critical 송태식
Priority to KR1020210049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802B1/ko
Publication of KR20220143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3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9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having self-contained propelling means for moving the cleaning devices along the pipes, i.e. self-propelled
    • B08B9/0495Nozzles propelled by fluid j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20Excess-flow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63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multiple way valves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추진용 노즐 및 세척용 노즐로 고압수를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수도관 청소장치용 전환밸브를 제공한다. 여기서, 수도관 청소장치용 전환밸브는 수도관 청소장치에 구비되고, 고압수를 후방으로 분사해서 추진력을 발생하여 수도관 청소장치가 수도관 내측에서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추진노즐로 고압수를 이동시키거나, 수도관의 내주면에 고압수가 분사되도록 세척노즐로 고압수를 이동시키는 수도관 청소장치용 전환밸브로서, 하우징부 그리고 피스톤부를 포함한다. 하우징부는 제1관로를 통해 공급되는 고압수가 제2관로를 통해 세척노즐로 이동되도록 내측에 형성되는 제1메인유로와, 제1메인유로 및 추진노즐이 연결되도록 내측에 형성되는 제2메인유로를 가진다. 피스톤부는 하우징부의 내측에 하우징부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비되고, 제1메인유로 또는 제2메인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공급되는 고압수가 제1메인유로 또는 제2메인유로로 선택적으로 이동하도록 조절한다.

Description

수도관 청소장치용 전환밸브{SWITCHING VALVE FOR WATER PIPE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수도관 청소장치용 전환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추진용 노즐 및 세척용 노즐로 고압수를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수도관 청소장치용 전환밸브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각종 대구경관이나 수도관 또는 가스관 등 파이프 라인은 2~3년이 지나면 산화작용이 시작되고 10년 정도 지나면 부식되기 시작한다. 특히, 수도관 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파이프 내부에 스케일 및 이물질이 축적되어 배관의 기능이 저하되고 녹물 발생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일정 기간별로 수도관 등을 보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보수방법으로는 배관 교체, A/S(Air Sand) 공법 및 공기주입 세척 공법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고압수에 의한 세척공법이 새로운 청소공법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 중, 고압수에 의한 세척 공법은 세척하고자 하는 관로의 내측으로 수도관 청소장치를 이동시키면서 수도관 청소장치에서 분사되는 고압수로 관의 내주면을 세척하게 된다.
한편, 일부 수도관 청소장치에는 일부 고압수가 후방으로 분사되도록 하여 추진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수도관 청소장치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서, 다른 고압수는 세척노즐에서 분사되어 수도관을 청소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펌프에서 공급되는 고압수를 청소용과 추진용으로 동시에 사용하게 되면, 충분한 추진력 및 세척력을 얻기 위해 상대적으로 큰 용량의 펌프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40372호(2008.05.08.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추진용 노즐 및 세척용 노즐로 고압수를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수도관 청소장치용 전환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수도관 청소장치의 추진노즐 또는 수도관의 세척노즐로 고압수를 이동시키는 수도관 청소장치용 전환밸브로서, 제1관로를 통해 공급되는 고압수가 제2관로를 통해 상기 세척노즐로 이동되도록 내측에 형성되는 제1메인유로와, 상기 제1메인유로 및 상기 추진노즐이 연결되도록 내측에 형성되는 제2메인유로를 가지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상기 하우징부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비되고, 공급되는 고압수가 상기 제1메인유로 또는 상기 제2메인유로로 선택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메인유로 또는 상기 제2메인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피스톤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메인유로에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부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메인유로가 막히고 상기 제2메인유로가 개방되면, 상기 제1관로를 통해 공급되는 고압수는 상기 제2메인유로로 이동되고, 상기 피스톤부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메인유로가 개방되고 상기 제2메인유로가 막히면, 상기 제1관로를 통해 공급되는 고압수는 상기 제1메인유로로 이동되며,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 후방에 구비되고, 내측에 상기 피스톤부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제1피스톤이 수용되는 제1실린더와, 상기 제1실린더의 후단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피스톤을 전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피스톤부가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가압수를 안내하는 가압수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 청소장치용 전환밸브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 전방에 구비되고 내측에 상기 피스톤부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제2피스톤이 수용되는 제2실린더를 가지고,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제2피스톤에 중심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수로와, 상기 제1수로와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부의 외측으로 관통되는 제2수로를 가지며,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제1메인유로의 고압수 중 일부가 상기 제2수로 및 상기 제1수로를 통해 상기 제2실린더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피스톤을 후방으로 가압함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제1메인유로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스토퍼와, 상기 제1실린더에 형성되고 상기 제1스토퍼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스토퍼를 가지며,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제1피스톤 및 상기 제2피스톤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스토퍼 및 상기 제2스토퍼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1스토퍼에 걸리면 상기 피스톤부의 전방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제2스토퍼에 걸리면 상기 피스톤부의 후방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내측에 상기 제1스토퍼 및 상기 제2스토퍼가 위치되는 중앙블록과, 상기 중앙블록의 후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관로와 연결되는 제1블록과, 상기 중앙블록의 전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관로와 연결되는 제2블록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메인유로는 상기 중앙블록에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중앙유로와, 상기 중앙유로와 평행하게 형성되고 유입유로와, 상기 유입유로의 전단부 및 상기 중앙유로를 연결하는 연결유로와, 상기 유입유로 및 상기 제1관로가 연결되도록 상기 제1블록에 형성되는 제1유로와, 상기 중앙유로 및 상기 제2관로가 연결되도록 상기 제2블록에 형성되는 제2유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제1스토퍼 및 상기 제2스토퍼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메인유로는 상기 제2스토퍼보다 후방에서 상기 제1메인유로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수로는 상기 돌출부의 외주연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스토퍼 또는 상기 제2스토퍼에 걸리더라도 항상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압수가 추진용 노즐 또는 세척용 노즐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고압수를 공급하는 펌프의 용량이 작아도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관 청소장치용 전환밸브에서 고압수가 추진노즐로 공급되도록 하는 경우를 나타낸 정단면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관 청소장치용 전환밸브에서 하우징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평단면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관 청소장치용 전환밸브에서 고압수가 추진노즐로 공급되도록 하는 경우를 나타낸 평단면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관 청소장치용 전환밸브에서 고압수가 세척노즐로 공급되도록 하는 경우를 나타낸 정단면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관 청소장치용 전환밸브에서 고압수가 세척노즐로 공급되도록 하는 경우를 나타낸 평단면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관 청소장치용 전환밸브에서 고압수가 추진노즐로 공급되도록 하는 경우를 나타낸 정단면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관 청소장치용 전환밸브에서 하우징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평단면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관 청소장치용 전환밸브에서 고압수가 추진노즐로 공급되도록 하는 경우를 나타낸 평단면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도관 청소장치용 전환밸브는 수도관 청소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도관 청소장치용 전환밸브는 하우징부(100) 그리고 피스톤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100)는 제1관로(10)를 통해 공급되는 고압수(40)가 제2관로(11)를 통해 세척노즐(20)로 이동되도록 내측에 형성되는 제1메인유로(110)와, 제1메인유로(110) 및 추진노즐(30)이 연결되도록 내측에 형성되는 제2메인유로(117)를 가질 수 있다.
피스톤부(200)는 하우징부(100)의 내측에 하우징부(100)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비되고, 제1메인유로(110) 또는 제2메인유로(117)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공급되는 고압수(40)가 제1메인유로(110) 또는 제2메인유로(117)로 선택적으로 이동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고압수가 추진노즐(30)로 이동되면, 추진노즐(30)은 고압수를 후방으로 분사해서 추진력을 발생하게 되며, 이를 통해 수도관 청소장치는 수도관 내측에서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고압수가 세척노즐(20)로 이동되면, 세척노즐(20)은 고압수를 수도관의 내주면에 분사되도록 하여 수도관이 세척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관로(10) 및 제2관로(11)를 기준으로 전단/전단부/전방, 후단/후단부/후방으로 설명한다. 즉, 제2관로(11)에서 제1관로(10)의 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제1관로(10)에서 제2관로(11)의 방향을 후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상세히, 하우징부(100)는 중앙블록(120), 제1블록(130) 및 제2블록(140)을 가질 수 있다.
중앙블록(120)에는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중심축 방향으로 유로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1블록(130)은 중앙블록(120)의 후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관로(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관로(10)의 후단부에는 펌프(미도시)에서 공급되는 고압수(40)를 안내하는 튜브(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제2블록(140)은 중앙블록의 전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관로(11)와 연결될 수 있다. 제2관로(11)의 전단부에는 제2관로(11)에서 배출되는 고압수를 안내하는 유로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으며, 고압수는 유로부(미도시)를 통해 세척노즐(20)로 이동될 수 있다.
제1메인유로(110)는 하우징부(10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하우징부(100)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메인유로(110)는 중앙유로(111), 유입유로(112), 연결유로(113), 제1유로(114) 및 제2유로(115)를 가질 수 있다.
중앙유로(111)는 중앙블록(120)의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유입유로(112)는 중앙블록(12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유로(112)의 후단부는 중앙블록(120)의 후단부를 통해 개방될 수 있으며, 중앙유로(111)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유입유로(112)는 중앙블록(120)의 전방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연결유로(113)는 중앙블록(12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유입유로(112)의 전단부 및 중앙유로(111)를 연결할 수 있다.
제1유로(114)는 제1블록(130)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1유로(114)의 전단부는 유입유로(112)의 후단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1유로(114)의 후단부는 제1관로(1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관로(10)의 고압수(40)는 제1유로(114)로 이동될 수 있고, 제1유로(114)의 고압수(41)는 유입유로(112)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유입유로(112)의 고압수(42)는 연결유로(113)를 통해 중앙유로(111)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부(100)는 제1실린더(150), 제2실린더(160), 제1스토퍼(170) 및 제2스토퍼(171)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실린더(150)는 전방몸체(151) 및 후방몸체(153)를 가질 수 있다.
전방몸체(151)는 중앙블록(12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전방몸체(151)는 제1실린더(150)의 전방부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중앙유로(111) 및 유입유로(112)를 구획할 수 있다.
후방몸체(153)는 제1블록(13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후방몸체(153)는 제1실린더의 후방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중앙블록(120) 및 제1블록(130)이 결합되었을 때, 전방몸체(151) 및 후방몸체(153)는 제1실린더(15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실린더(150)는 하우징부(100)의 내측 후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전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실린더(160)는 제2블록(14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중앙블록(120) 및 제2블록(140)이 결합되었을 때, 제2실린더(160)는 하우징부(100)의 내측 전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후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스토퍼(170)는 중앙블록(12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메인유로(110)의 내측, 구체적으로는 중앙유로(111)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스토퍼(171)는 제1실린더(150)의 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스토퍼(171)는 제1스토퍼(17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스토퍼(170) 및 제2스토퍼(171)는 중앙블록(12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연결유로(113)는 제1스토퍼(170) 및 제2스토퍼(171)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메인유로(117)는 제2스토퍼(171)보다 후방에서 제1메인유로(110)에, 구체적으로는 중앙유로(11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100)는 가압수로(135)를 가질 수 있다. 가압수로(135)는 제1블록(130)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가압수로(135)의 전단부는 제1실린더(150)의 후단부에 연결될 수 있고, 가압수로(135)의 후단부는 제1실린더(15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가압수로(135)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가압수(50)가 제1실린더(150)의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가압수로(135)를 통해 제1실린더(150)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가압수(50)는 제1피스톤(220)의 후단부를 가압하여 제1피스톤(220)을 전방으로 밀어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피스톤부(200)는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압수(50)는 튜브(미도시)에서 공급되는 고압수 중 일부의 고압수가 분기되어 가압수로(135)로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압수는 가압수로(135)로 공급되는 고압수일 수 있다. 또는, 가압수(50)는 외부에서부터 고압수(40)와 독립적인 유로를 통해 공급될 수도 있다.
피스톤부(200)는 적어도 일부분이 제1메인유로(110)에 구비될 수 있고, 하우징부(100)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스톤부(200)는 피스톤 로드(210), 제1피스톤(220), 제2피스톤(230) 및 돌출부(240)를 가질 수 있다.
피스톤 로드(210)는 하우징부(100)의 중심축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피스톤(220)은 피스톤 로드(210)의 후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실린더(150)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피스톤(230)은 피스톤 로드(210)의 전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실린더(160)에 수용될 수 있다. 피스톤부(20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더라도 제1피스톤(220)은 제1실린더(150)에서 완전하게 빠지지 않고, 제2피스톤(230)은 제2실린더(160)에서 완전하게 빠지지 않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피스톤부(200)는 안정적으로 직선 왕복 이동될 수 있다.
돌출부(240)는 피스톤 로드(21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피스톤(220) 및 제2피스톤(23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240)는 제1스토퍼(170) 및 제2스토퍼(171)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피스톤부(200)가 전방으로 일정거리 이동되면 돌출부(240)는 제1스토퍼(170)에 걸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피스톤부(200)의 전방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제1스토퍼(170)는 원주방향을 따른 링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돌출부(240)도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240)는 제1스토퍼(170)에 원주방향을 따라 밀착될 수 있고, 중앙유로(111)의 전방은 밀폐될 수 있다.
반대로, 피스톤부(200)가 후방으로 일정거리 이동되면 돌출부(240)는 제2스토퍼(171)에 걸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피스톤부(200)의 후방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제2스토퍼(171)는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돌출부(240)는 제2스토퍼(171)에 원주방향을 따라 밀착될 수 있고, 중앙유로(111)의 후방은 밀폐될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부(200)는 제1수로(251) 및 제2수로(252)를 가질 수 있다.
제1수로(251)는 제2피스톤(230)에 중심축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수로(251)는 전단부가 제2피스톤(230)의 전단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부(240)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수로(252)는 돌출부(240)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수로(252)의 일단부는 제1수로(251)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2수로(252)의 타단부는 돌출부(240)의 외주연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돌출부(240)가 제1스토퍼(170) 또는 제2스토퍼(171)에 걸리더라도 제2수로(252)는 항상 개방될 수 있으며, 제2수로(252)에는 고압수가 유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관로(10)로 공급되는 고압수(40)가 추진노즐(30)로 이동되는 예를 설명한다.
먼저, 제1관로(10)로 고압수(40)가 공급됨과 동시에, 가압수로(135)로는 가압수(50)가 공급될 수 있다. 제1관로(10)로 유입되는 고압수(40)는 제1유로(114)를 통해 유입유로(112)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가압수(50)는 제1실린더(150)로 유입되어 제1피스톤(220)을 가압하게 되며, 피스톤부(200)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전방으로 이동하는 피스톤부(200)는 돌출부(240)가 제1스토퍼(170)에 걸려 전방으로 이동이 제한되면서 중앙유로(111)가 막히게 된다. 그러면, 유입유로(112)의 고압수(42)는 연결유로(113)를 통해 이동하게 되고, 개방되어 있는 제2메인유로(117)로 이동하게 되며, 제3관로(12)를 통해 추진노즐(3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연결유로(113)의 고압수(42) 중 일부의 고압수(44)는 제2수로(252)로 유입되어 제1수로(251)를 따라 이동하게 되어 제2실린더(160)의 내측으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실린더(160)를 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피스톤(220)의 직경은 제2피스톤(23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피스톤(220)을 전방으로 밀어내는 제1가압력이 제2피스톤(230)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제2가압력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피스톤부(200)는 계속해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돌출부(240) 및 제1스토퍼(170)의 밀착은 유지될 수 있으며, 고압수는 제2메인유로(117)로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관 청소장치용 전환밸브에서 고압수가 세척노즐로 공급되도록 하는 경우를 나타낸 정단면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관 청소장치용 전환밸브에서 고압수가 세척노즐로 공급되도록 하는 경우를 나타낸 평단면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제1관로(10)로 공급되는 고압수(40)가 세척노즐(20)로 이동되는 예를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관로(10)로 고압수(40)가 공급될 때, 가압수로(135)로는 가압수(50)가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관로(10)로 유입되는 고압수(40)는 제1유로(114), 유입유로(112)를 거쳐 연결유로(113)로 이동하게 되는데, 연결유로(113)를 지나는 고압수 중 대부분의 고압수는 중앙유로(111)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2유로(115)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연결유로(113)를 지나는 고압수 중 일부의 고압수(46)는 제2수로(252)로 유입되고, 제1수로(251)를 따라 이동하여 제1실린더(150)로 이동되어 제1실린더(150)를 후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가압수(50)는 공급되지 않아 제1피스톤(220)을 전방으로 가압하는 힘은 없기 때문에, 피스톤부(200)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면, 돌출부(240)는 제2스토퍼(171)에 밀착되어 제1실린더(150)가 밀폐되어 고압수가 제2메인유로(117)로 이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연결유로(113)의 고압수는 제1메인유로(110)이 전방으로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유로(115)로 이동되는 고압수는 제2관로(11)로 이동되고, 제2관로(11)의 고압수(45)는 세척노즐(20)로 공급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고압수가 추진용 노즐 또는 세척용 노즐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고압수를 공급하는 펌프의 용량이 작아도 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 세척노즐 30: 추진노즐
100: 하우징부 110: 제1메인유로
111: 중앙유로 113: 연결유로
117: 제2메인유로 120: 중앙블록
130: 제1블록 135: 가압수로
140: 제2블록 150: 제1실린더
160: 제2실린더 170: 제1스토퍼
171: 제2스토퍼 200: 피스톤부
220: 제1피스톤 230: 제2피스톤
240: 돌출부 251: 제1수로
252: 제2수로

Claims (10)

  1. 수도관 청소장치의 추진노즐 또는 수도관의 세척노즐로 고압수를 이동시키는 수도관 청소장치용 전환밸브로서,
    제1관로를 통해 공급되는 고압수가 제2관로를 통해 상기 세척노즐로 이동되도록 내측에 형성되는 제1메인유로와, 상기 제1메인유로 및 상기 추진노즐이 연결되도록 내측에 형성되는 제2메인유로를 가지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상기 하우징부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비되고, 공급되는 고압수가 상기 제1메인유로 또는 상기 제2메인유로로 선택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메인유로 또는 상기 제2메인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피스톤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메인유로에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부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메인유로가 막히고 상기 제2메인유로가 개방되면, 상기 제1관로를 통해 공급되는 고압수는 상기 제2메인유로로 이동되고, 상기 피스톤부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메인유로가 개방되고 상기 제2메인유로가 막히면, 상기 제1관로를 통해 공급되는 고압수는 상기 제1메인유로로 이동되며,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 후방에 구비되고, 내측에 상기 피스톤부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제1피스톤이 수용되는 제1실린더와, 상기 제1실린더의 후단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피스톤을 전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피스톤부가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가압수를 안내하는 가압수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 청소장치용 전환밸브.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 전방에 구비되고 내측에 상기 피스톤부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제2피스톤이 수용되는 제2실린더를 가지고,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제2피스톤에 중심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수로와, 상기 제1수로와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부의 외측으로 관통되는 제2수로를 가지며,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제1메인유로의 고압수 중 일부가 상기 제2수로 및 상기 제1수로를 통해 상기 제2실린더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피스톤을 후방으로 가압함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 청소장치용 전환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제1메인유로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스토퍼와, 상기 제1실린더에 형성되고 상기 제1스토퍼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스토퍼를 가지며,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제1피스톤 및 상기 제2피스톤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스토퍼 및 상기 제2스토퍼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1스토퍼에 걸리면 상기 피스톤부의 전방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제2스토퍼에 걸리면 상기 피스톤부의 후방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돌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 청소장치용 전환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내측에 상기 제1스토퍼 및 상기 제2스토퍼가 위치되는 중앙블록과,
    상기 중앙블록의 후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관로와 연결되는 제1블록과,
    상기 중앙블록의 전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관로와 연결되는 제2블록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 청소장치용 전환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인유로는
    상기 중앙블록에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중앙유로와, 상기 중앙유로와 평행하게 형성되고 유입유로와, 상기 유입유로의 전단부 및 상기 중앙유로를 연결하는 연결유로와,
    상기 유입유로 및 상기 제1관로가 연결되도록 상기 제1블록에 형성되는 제1유로와,
    상기 중앙유로 및 상기 제2관로가 연결되도록 상기 제2블록에 형성되는 제2유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 청소장치용 전환밸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제1스토퍼 및 상기 제2스토퍼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 청소장치용 전환밸브.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메인유로는 상기 제2스토퍼보다 후방에서 상기 제1메인유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 청소장치용 전환밸브.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로는 상기 돌출부의 외주연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스토퍼 또는 상기 제2스토퍼에 걸리더라도 항상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 청소장치용 전환밸브.
KR1020210049488A 2021-04-15 2021-04-15 수도관 청소장치용 전환밸브 KR102501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488A KR102501802B1 (ko) 2021-04-15 2021-04-15 수도관 청소장치용 전환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488A KR102501802B1 (ko) 2021-04-15 2021-04-15 수도관 청소장치용 전환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236A KR20220143236A (ko) 2022-10-25
KR102501802B1 true KR102501802B1 (ko) 2023-02-22

Family

ID=83804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488A KR102501802B1 (ko) 2021-04-15 2021-04-15 수도관 청소장치용 전환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1802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0372A (ko) 2006-11-03 2008-05-08 대지종건(주) 상수도관 수중 세척장치
KR102248297B1 (ko) * 2019-10-02 2021-05-04 주식회사 파워킹 수도관 세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236A (ko) 202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47200A (zh) 一种流体驱动自适应管道喷射清洗器
KR101867006B1 (ko) 관로 세척장치
KR102209733B1 (ko) 수도관 세척장치
KR102033738B1 (ko) 수도관 세척장치
RU2009109250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горелок
KR102168554B1 (ko) 관로의 스케일 제거장치
KR102274686B1 (ko) 브러쉬를 이용한 관로용 세척장치
KR102248297B1 (ko) 수도관 세척장치
CN109513693A (zh) 大管径复杂管路清洗方法
CN208928783U (zh) 一种流体驱动自适应管道喷射清洗器
KR102501802B1 (ko) 수도관 청소장치용 전환밸브
RU2011145399A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е сопла для инструмента для коксоудаления при помощи струи жидкости
US6520190B2 (en) Sprayer with reverse flush capability
KR101641783B1 (ko) 분사노즐을 이용한 관 세척장치
KR101936714B1 (ko) 배관 세척 시스템
KR102248298B1 (ko) 수도관 세척장치
EP3866986A1 (fr) Installation de projection de fluide et procédé de déplacement d'un fluide associé
JP2016191527A (ja) 主蒸気管又は再熱蒸気管の化学洗浄方法
KR20110067338A (ko) 셧 오프 노즐
JP2006088002A (ja) 管内面の洗浄装置
KR102095402B1 (ko) 배관에 잔류하는 물 또는 오일을 제거하기 위한 피그
KR20220143235A (ko) 수도관 청소장치용 추진노즐
CN105188955A (zh) 用于涂层介质的更换设备和对物体进行涂装的涂装系统
JP5950387B2 (ja) 管路の吸引装置、及び、管路の滞留物排出方法
KR101187733B1 (ko) 신축식 세척용 노즐 및 이를 이용한 세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