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6928B1 - 전자 팽창 밸브 - Google Patents

전자 팽창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6928B1
KR102276928B1 KR1020207020406A KR20207020406A KR102276928B1 KR 102276928 B1 KR102276928 B1 KR 102276928B1 KR 1020207020406 A KR1020207020406 A KR 1020207020406A KR 20207020406 A KR20207020406 A KR 20207020406A KR 102276928 B1 KR102276928 B1 KR 102276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ore assembly
section
core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0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4213A (ko
Inventor
유동 왕
Original Assignee
제지앙 산후아 인텔리전트 컨트롤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지앙 산후아 인텔리전트 컨트롤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제지앙 산후아 인텔리전트 컨트롤즈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94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4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20Excess-flow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Abstract

전자 팽창 밸브가, 밸브 베이스(10)로서, 밸브 캐비티(1) 및 밸브 포트(13)를 구비하는 것인, 밸브 베이스(10); 스크류 샤프트(30)와 너트(40); 코어 조립체(20)로서, 코어 조립체(20)는 너트(4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그리고 밸브 캐비티(1)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그리고 코어 조립체(20)는 완전한 부분 및 만입된 부분을 구비하는 것인, 코어 조립체(20); 구동 메커니즘(50)으로서, 구동 메커니즘(50)은 로터(51) 및 코일(52)을 포함하고, 로터(51)는 스크류 샤프트(30)에 연결되며, 그리고 코어 조립체(20)는 밸브 포트(13)를 향해 또는 밸브 포트(13)로부터 멀어지게 너트(40)에 의해 구동되는 것인, 구동 메커니즘(50); 밸브 베이스(10)와 코어 조립체(20) 사이에 제공되는 밀봉 부재(70)로서, 완전한 부분 또는 만입된 부분과 협력할 수 있는 것인, 밀봉 부재(70); 및 로터 캐비티(2)를 구비하는 외부 케이스(60)를 포함하고, 밀봉 부재(70)가 완전한 부분과 맞물릴 때, 밀봉 부재(70)의 밀봉 작용은, 로터 캐비티(2) 및 밸브 캐비티(1)가 소통 상태에 놓이지 않도록 야기하며, 그리고 밀봉 부재(70)가 만입된 부분과 맞물릴 때, 틈새가 밀봉 부재(70)와 만입된 부분 사이에 생성되어, 로터 캐비티(2)가 틈새를 통해 밸브 캐비티(1)와 소통 상태에 놓이도록 한다.

Description

전자 팽창 밸브
본 출원은, 그의 전체 개시가 참조로 본 명세서에 통합되는, 2018년 3월 23일 중국특허청에 출원된 "전자 팽창 밸브"로 명칭이 부여된 중국 출원 제201810246495.4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기술 분야
본 출원은, 냉각 제어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전자 팽창 밸브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자 팽창 밸브의 구조는, 구동 부분(코일 및 로터) 및 유동 조정 부분(너트, 스크류 로드, 하우징, 밸브 니들, 밸브 시트, 밸브 시트 코어, 연결 파이프 및 이와 유사한 것)으로 구성되는 가운데, 밸브를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한 구동력이, 로터를 구동하는 코일에 의해 형성된다. 구체화된 사양을 갖는 로터 및 코일은, 일정한 구동력을 출력한다. 밸브 포트의 직경의 증가와 더불어, 밸브 몸체 내에 형성되는 압력은, 시스템 냉매가 업그레이드된 이후에, 더 크며, 그리고 제품에 의해 요구되는 구동력은, 밸브가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전환될 때, 더 크다. 한편으로, 이는, 밸브 개방의 부드러움에 영향을 미치며, 그리고 다른 한편, 제품에 의해 요구되는 구동력은, 코일을 증폭시킴에 의해 그리고 다른 방식으로, 증가될 필요가 있어, 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
본 출원의 주 목적은, 밸브 몸체 내부에 형성되는 압력차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제품에 의해 요구되는 구동력을 감소시키며 그리고 제품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 전자 팽창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자 팽창 밸브로서, 밸브 챔버 및 밸브 챔버와 소통 상태에 놓이는 밸브 포트를 구비하는 밸브 시트; 밸브 챔버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는 밸브 니들로서, 밸브 포트를 차단하기 위한 폐쇄 위치 및 밸브 포트를 개방하기 위한 개방 위치를 갖는 것인, 밸브 니들; 밸브 시트 상에 고정되는 하우징으로서, 하우징 내부에 챔버가 존재하는 것인, 하우징; 챔버 내에 위치되는, 스크류 로드 및 나사에 의해 스크류 로드와 협력하는 너트로서, 너트는 밸브 니들과 연결되는 것인, 스크류 로드 및 너트; 챔버 내에 위치되는 로터 및 둘레 방향으로 하우징의 외측면 둘레에 배열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구동 메커니즘으로서, 로터는 스크류 로드와 연결되며, 로터는 코일의 구동 하에서 스크류 로드를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너트는 스크류 로드의 구동 하에서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그리고 밸브 니들은 너트의 구동 하에서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것인,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그리고 유동 통로가 밸브 니들과 밸브 시트 사이에 형성되는 것인, 전자 팽창 밸브가, 본 출원에 따라 제공된다. 전자 팽창 밸브는, 밀봉 부재를 더 포함한다. 밸브 니들이 폐쇄 위치에 놓일 때, 밀봉 부재는, 유동 통로를 폐쇄할 수 있고, 따라서 밸브 챔버는, 챔버와 소통 상태에 놓이지 않는다. 밸브 니들이 개방 위치에 놓일 때, 밸브 챔버는, 유동 통로를 통해 챔버와 소통 상태에 놓인다.
본 출원의 기술적 해법을 적용하면, 전자 팽창 밸브가 밸브 폐쇄 상태에 놓이는, 즉 코어 조립체가 밸브 포트에 대해 접경하는 경우에, 냉매가 밸브 포트로부터 진입할 때, 밸브 몸체 내부의 챔버 압력이 비교적 크며, 그리고 코어 조립체는, 냉매가 압력을 이완시키기에는 너무 늦기 때문에, 밸브 포트에 대해 접경하지 않을 수 있고, 그리고 밸브 챔버 내의 압력 및 로터 챔버 내의 압력은, 전자 팽창 밸브가 밸브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밀봉 부재와 완전한 부분(complete portion) 사이의 밀봉 협력을 통해 균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전자 팽창 밸브가 밸브 개방 상태에 놓이는, 즉 코어 조립체가 밸브 포트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 냉매가 밸브 포트로부터 로터 챔버에 진입할 때, 압력 축적이, 밀봉 부재와 노치 부분(notch portion) 사이의 협력을 통한, 빠른 압력 진입 및 느린 압력 이완으로 인해, 형성되기 용이하고, 냉매는 밀봉 부재와 노치 부분 사이의 틈새를 통해 흘러 나가며, 그리고 압력은 점진적으로 이완된다. 그에 따라, 전자 팽창 밸브가 밸브 개방 상태에 있든지 또는 밸브 폐쇄 상태에 있든지, 밸브 몸체 내부에 형성되는 압력차는, 비교적 작다. 밸브가 개방되거나 폐쇄될 필요가 있을 때, 코일에 대해 요구되는 구동력은 작고, 이는 코일을 증가시키지 않는 가운데 그리고 다른 방식으로 달성되며, 그로 인해 제조 비용을 감소시킨다.
본 출원의 일부를 구성하는 본 명세서 내의 첨부 도면들은, 본 출원에 대한 추가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며, 그리고 본 출원의 예시적 실시예들 및 그에 대한 설명은, 본 출원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며, 그리고 본 출원에 관한 부적절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 도면들에서:
도 1은,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적 종방향 단면도이고, 도 1의 코어 조립체는 밸브 폐쇄 상태에 놓이며;
도 2는 위치(A)에서의 도 1의 전자 팽창 밸브의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적 종방향 단면도이며, 도 3의 코어 조립체는 밸브 개방 상태에 놓이고;
도 4는 위치(B)에서의 도 3의 전자 팽창 밸브의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1의 전자 팽창 밸브의 코어 조립체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코어 조립체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적 종방향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1의 전자 팽창 밸브의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적 단면도이고, 도 7은 D1, D2, D3 및 D4의 크기를 도시하며;
도 8은,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적 종방향 단면도이고, 도 8의 코어 조립체는 밸브 폐쇄 상태에 놓이며;
도 9는 위치(C)에서의 도 8의 전자 팽창 밸브의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도이고;
도 10은,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적 종방향 단면도이며, 도 10의 코어 조립체는 밸브 개방 상태에 놓이고;
도 11은 위치(D)에서의 도 10의 전자 팽창 밸브의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도이며;
도 12는 도 8의 전자 팽창 밸브의 코어 조립체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13은 도 12의 코어 조립체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적 종방향 단면도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 및 실시예들 내의 특징들은, 충돌 없이 서로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본 출원은,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가, 밸브 시트(10), 스크류 로드(30)와 너트(40), 코어 조립체(20), 구동 메커니즘(50), 밀봉 부재(70) 및 하우징(60)을 포함한다. 밸브 시트(10)는, 밸브 챔버(1) 및, 밸브 챔버(1)와 소통 상태에 놓이는, 밸브 포트(13)를 구비한다. 스크류 로드(30)는, 나사에 의해 너트(40)와 협력한다. 코어 조립체(20)는, 너트(40)와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코어 조립체(20)의 적어도 일부가, 밸브 챔버(1)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열된다. 코어 조립체(20)는, 완전한 부분 및 노치 부분을 구비하며, 완전한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노치 부분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구동 메커니즘(50)은, 로터(51) 및 코일(52)을 포함한다. 로터(51)는, 스크류 로드(30)와 연결된다. 로터(51)는, 코일(52)을 통해 스크류 로드(30)를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너트(40)는, 스크류 로드(30)와의 나사 협력을 통해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코어 조립체(20)는, 밸브 포트(13)에 접근하도록 또는 밸브 포트(13)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도록, 너트(40)에 의해 구동된다. 밀봉 부재(70)는, 밸브 시트(10)와 코어 조립체(20) 사이에 배열된다. 밀봉 부재(70)는, 완전한 부분 또는 노치 부분과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하우징(60)은, 밸브 시트(10)와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하우징(60)은, 로터 챔버(2)를 구비한다. 밀봉 부재(70)가 완전한 부분과 협력할 때, 로터 챔버(2)는 밀봉 부재(70)의 밀봉 효과를 통해 밸브 챔버(1)와 소통 상태에 놓이지 않는다. 밀봉 부재(70)가 노치 부분과 협력할 때, 틈새가 밀봉 부재(70)와 노치 부분 사이에 형성되며, 그리고 로터 챔버(2)가 틈새를 통해 밸브 챔버(1)와 소통 상태에 놓인다.
제1 실시예의 기술적 해법을 적용함에 의해, 전자 팽창 밸브가 밸브 폐쇄 상태에 놓이는, 즉 코어 조립체(20)가 밸브 포트(13)에 대해 접경하는 경우에, 냉매가 밸브 포트(13)로부터 진입할 때, 밸브 몸체 내부의 챔버 압력이 비교적 크며, 그리고 코어 조립체(20)는, 냉매가 압력을 이완시키기에는 너무 늦기 때문에, 밸브 포트(13)에 대해 접경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밸브 챔버(1) 내의 압력 및 로터 챔버(2) 내의 압력은, 전자 팽창 밸브가 밸브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밀봉 부재(70)와 완전한 부분 사이의 밀봉 협력을 통해 균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전자 팽창 밸브가 밸브 개방 상태에 놓이는, 즉 코어 조립체(20)가 밸브 포트(13)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 냉매가 밸브 포트(13)로부터 로터 챔버(2)에 진입할 때, 압력 축적이, 밀봉 부재(70)와 노치 부분 사이의 협력을 통한, 빠른 압력 진입 및 느린 압력 이완으로 인해, 형성되기 용이하고, 냉매는 밀봉 부재(70)와 노치 부분 사이의 틈새를 통해 흘러 나가며, 그리고 압력은 점진적으로 이완된다. 그에 따라, 전자 팽창 밸브가 밸브 개방 상태에 있든지 또는 밸브 폐쇄 상태에 있든지, 밸브 몸체 내부에 형성되는 압력차는, 비교적 작다. 밸브가 개방되거나 폐쇄될 필요가 있을 때, 코일에 대해 요구되는 구동력은 작고, 이는 코일을 증가시키지 않는 가운데 그리고 다른 방식으로 달성되며, 그로 인해 제조 비용을 감소시킨다.
"완전한 부분"이 밀봉 부재(70)와 협력할 때, 밀봉 부재(70)와 협력하는 완전한 부분의 일부와 밀봉 부재(70)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지 않으며, 따라서 밸브 챔버(1)는 상기한 틈새를 통해 로터 챔버(2)와 소통 상태에 놓일 수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완전한 부분"의 형상은, 틈새가 밀봉 부재(70)와 협력하는 완전한 부분의 일부와 밀봉 부재(70) 사이에 형성되지 않는 한, (원통형, 사각 기둥형, 및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이) 제한되지 않는다. "노치 부분"이 밀봉 부재(70)와 협력할 때, 틈새가, 밀봉 부재(70)와 협력하는 노치 부분의 일부와 밀봉 부재(70) 사이에 형성되며, 따라서 밸브 챔버(1)는 상기한 틈새를 통해 로터 챔버(2)와 소통 상태에 놓일 수 있다. "노치 부분"의 형상은, 틈새가 밀봉 부재(70)와 협력하는 노치 부분의 일부와 밀봉 부재(70) 사이에 형성되는 한, (다각형 기둥형, 또는 불규칙한 형상과 같이) 제한되지 않는다.
노치 부분은 밀봉 부재(70)와 협력하고, 여기서 "협력한다"의 의미는, 반드시 접촉 협력을 의미하지 않으며, 그리고 또한, 노치 부분이 (접촉 없이) 밀봉 부재(70)와 대응 상태에 놓이며 그리고 틈새가 노치 부분의 외벽과 밀봉 부재(70)의 내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유동 홈(24)이, 코어 조립체(20)의 외벽 상에 배열된다. 노치 부분은, 유동 홈(24)이 위치되는 코어 조립체(20)의 샤프트 섹션 상에 형성되며, 그리고 완전한 부분은, 코어 조립체(20)의 나머지 샤프트 섹션 부분 상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코어 조립체(20)가 밸브 폐쇄 상태로 하방으로 이동할 때, 밀봉 부재(70)는 유동 홈(24) 상부에 위치되며 그리고, 밀봉 부재(70)가 밀봉 및 격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밀봉 부재(70)의 내표면이 코어 조립체(20)의 외벽에 끼워지고, 밀봉 부재(70)의 외표면이 밸브 시트(10)의 내벽에 끼워지며, 따라서 밸브 챔버(1)는, 로터 챔버(2)와 소통 상태에 놓이지 않는다. 코어 조립체(20)가 밸브 개방 상태로 상방으로 이동할 때, 밀봉 부재(70)는 유동 홈(24)과 대응 상태에 놓이며, 따라서, 틈새가 밀봉 부재(70)의 내표면과 유동 홈(24)의 홈 바닥 사이에 형성된다. 밸브 챔버(1) 내의 냉매는, 상기한 틈새로부터 로터 챔버(2)에 진입할 수 있으며, 그리고 로터 챔버(2) 내의 냉매 또한, 상기한 틈새로부터 밸브 챔버(1)에 진입할 수 있고, 따라서 밸브 챔버(1) 내의 압력과 로터 챔버(2) 내의 압력을 신속하게 균형을 이루도록 한다. 부가적으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홈을 배열함에 의해, 구조는 간단하고, 가공은 편리하며 그리고 비용은 낮다.
도 1,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유동 홈(24)은, 코어 조립체(20)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홈이다. 상기한 구조는, 간단하며 그리고 가공하기에 편리하다. 바람직하게, 제1 실시예에서, 유동 홈(24)은, 코어 조립체(20)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홈이다. 상기한 구조는, 간단하며 그리고 가공하기에 편리하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유동 홈(24)의 상단부가, 밸브 포트(13)에 가까운 코어 조립체(20)의 하나의 단부로부터 정해진 거리 만큼 이격되며, 그리고 밸브 포트(13)로부터 멀리 떨어진 코어 조립체(20)의 하나의 단부로부터 정해진 거리 만큼 이격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코어 조립체(20)는, 너트(4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제1 코어 섹션(21) 및, 제1 코어 섹션(21) 아래에 위치되는 제2 코어 섹션(22)을 구비한다. 제2 코어 섹션(22)의 외부 직경이, 제1 코어 섹션(21)의 외부 직경보다 더 크다. 밀봉 부재(70)는, 제1 코어 섹션(21)과 밸브 시트(10)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한 구조는 간단하며, 그리고 제2 코어 섹션(22)의 외부 직경은, 밸브 포트(13)의 직경보다 크고, 따라서 코어 조립체(20)는 밸브 포트(13)를 차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단차 표면(25)이, 제1 코어 섹션(21)과 제2 코어 섹션(22) 사이의 결합부에 형성된다. 제1 정지 구조물(90)이, 밸브 시트(10) 상에 배열된다. 그리고, 제1 정지 구조물(90)의 하측 표면이, 단차 표면(25)에 대해 접경할 수 있으며 그리고 단차 표면(25)과 협력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는,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 개방 및 밸브 폐쇄가 더욱 효율적인 것(높은 효율성을 동반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코어 조립체(20)의 이동 위치를 제한할 수 있으며 그리고 코어 조립체(20)의 상향 행정을 고정할 수 있다. 제1 정지 구조물(90)은, 하측 정지 링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돌출부(41)가, 너트(40) 상에 배열되며, 그리고 제1 정지 구조물(90) 상부에 위치되는 제2 정지 구조물(100)이, 밸브 시트(10) 상에 배열된다. 제2 정지 구조물(100)의 상측 표면이, 돌출부(41)의 하측 표면에 대해 접경할 수 있으며 그리고 돌출부(41)의 하측 표면과 협력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는, 코어 조립체(20)의 이동 위치를 제한할 수 있으며, 그리고 코어 조립체(20)의 하향 행정을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실시예에서, 제2 정지 구조물(100)이 너트(40)에 대해 접경하고 너트(40)와 협력할 때, 코어 조립체(20)는, 하측 정지 지점에 위치된다. 상기한 구조는, 전자 팽창 밸브의 코어 조립체(20)와 밸브 포트(13) 사이의 접촉력(abutting force)이 너무 큰 것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코어 조립체(20)의 수명을 보장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제1 정지 구조물(90)은 하측 정지 링이며, 그리고 제2 정지 구조물(100)은 상측 정지 링이다. 밀봉 부재(70)는, 밀봉 링이다. 밀봉 링은, 제1 정지 구조물(90)과 제2 정지 구조물(100) 사이에 클램핑되며, 그리고 코어 조립체(20)는, 상측 정지 링, 하측 정지 링 및 밀봉 링 내로 삽입된다. 상기한 구조는, 간단하며 그리고 밀봉 링을 고정하는데 편리하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돌출부(41)는, 너트(40) 상에 배열된다. 전자 팽창 밸브는, 밸브 시트(10) 상에 고정적으로 배열되는 지지부(80)를 더 포함하며, 그리고 위치-제한 홈(81)이, 지지부(80) 상에 배열된다. 돌출부(41)는, 위치-제한 홈(81)과 정합될 수 있다. 너트(40)가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향을 가질 때, 위치-제한 홈(81)은, 돌출부(41)의 측벽을 차단할 수 있고, 따라서 너트(40)는, 둘레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다. 상기한 구조는, 간단하며 그리고 구현하기에 용이하다. 부가적으로, 돌출부(41)의 하측 표면이 상측 정지 링의 상측 표면에 대해 접경할 때, 코어 조립체(20)는, 코어 조립체(20)가 하방으로 계속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는, 하측 정지 지점에 위치된다(하방으로 계속 이동할 수 없음). 돌출부(41)는 동시에, 구조물의 최대 활용을 실현하기 위한, 새로운 구조물의 설계를 회피하기 위한, 그리고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한, 2가지 기능을 갖는다.
코어 조립체(20)가 하측 정지 지점에 위치될 때, 코어 조립체의 끝단 부분이, 밸브 포트(13)에 대해 직접적으로 접경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지지부(80)는 컵 형상이며, 그리고 상방으로 연장되는 개구가 지지부(80)의 바닥부 상에 배열되며, 그리고 개구는, 위치-제한 홈(81)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너트(40)가 너트의 축을 따라 회전하는 경향을 가질 때, 위치-제한 홈(81)의 측벽이, 돌출부(41)의 측벽을 차단할 수 있고, 따라서 너트(40)는, 너트의 축을 따라 회전할 수 없다. 상기한 구조는, 간단하고, 구현하기에 용이하며, 그리고 낮은 비용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돌출부(41)의 상측 표면이 위치-제한 홈(81)의 상측 표면에 대해 접경할 때, 코어 조립체(20)는, 상측 정지 지점에 위치된다(상방으로 계속 이동할 수 없음).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스크류 로드(30)는 로터(51)에 고정되며, 그리고 로터(51) 및 스크류 로드(30)는, 지지부(80)에 의해 지지된다. 탄성 요소(110)가, 지지부(80)와 너트(40) 사이에 배열된다. 탄성 요소(110)는, 너트(40)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너트(40) 상에 하향의 힘을 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밸브 시트(10)는, 밸브 시트 몸체(11) 및, 밸브 시트 몸체(11)에 고정되는, 연결 시트(12)를 포함한다. 밸브 챔버(1)는, 연결 시트(12) 및 밸브 시트 몸체(11) 내부에 형성된다. 밸브 포트(13)는, 밸브 시트 몸체(11) 내에 배열된다. 장착 구멍(121)이, 연결 시트(12) 내에 배열된다. 장착 구멍(121)은, 장착 섹션 및, 장착 섹션보다 더 큰 개구부를 구비하며 그리고 장착 섹션 아래에 위치되는, 안내 섹션을 구비한다. 코어 조립체(20)의 외벽은, 안내 섹션과 협력하며, 그리고 밀봉 부재(70)는, 장착 섹션의 구멍 벽과 코어 조립체(20)의 외벽 사이에 위치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유동 홈(24)은, 코어 조립체(20)의 외벽 상에 배열된다. 노치 부분은, 유동 홈(24)이 위치되는 코어 조립체(20)의 샤프트 섹션 상에 형성되며, 그리고 완전한 부분은, 코어 조립체(20)의 나머지 샤프트 섹션 부분 상에 형성된다. 유동 홈(24)의 하단부가, 장착 구멍(121)의 구멍 벽의 하단부보다 더 낮다. 상기한 구조는, 밸브 챔버(1) 내의 냉매가 유동 홈(24) 내로 진입하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하고, 따라서 밸브 챔버(1) 내의 압력 및 로터 챔버(2) 내의 압력이, 더욱 신속하게 균형을 이룰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장착 구멍(121)은, 단차형 구멍이며, 그리고 밀봉 부재(70)는, 단차형 구멍의 단차 표면(122) 상에 고정된다. 상기한 구조는, 간단하며 그리고 조립하기에 용이하다. 밀봉 부재(70)는, 접합, 체결구 연결, 간섭 연결, 및 이와 유사한 것에 의해, 단차 표면(122)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제1 연결 포트(14) 및 제2 연결 포트(15)가, 간격을 두고 밸브 시트 몸체(11) 상에 배열되고, 수평 파이프가 제1 연결 포트(14) 내로 삽입되며, 제2 연결 포트(15)는 밸브 포트(13)와 소통 상태에 놓이며, 그리고 직립 파이프가 제2 연결 포트(15) 내로 삽입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코어 조립체(20)는, 소통 챔버(4)를 구비한다. 너트(40)는, 소통 챔버(4) 내에 위치되며 그리고 코어 조립체(20) 상에 고정된다. 유동 구조물이, 너트(40)와 코어 조립체(20) 사이에 배열되고, 따라서 소통 챔버(4)가, 유동 구조물을 통해 로터 챔버(2)와 소통 상태에 놓인다. 코어 조립체가 폐쇄 위치에 놓이며 그리고 냉매가 밸브 포트(13)로부터 소통 챔버(4) 내로 유동할 때, 냉매는, 소통 챔버(4)와 로터 챔버(2) 사이에서 압력의 균형을 이루기 위해, 유동 구조물을 통해 로터 챔버(2)에 계속 진입할 수 있고, 따라서 코어 조립체(20)가 상방으로 이동할 때, 너트(40)에 대한 하방 저항이 감소하며, 그리고 마지막으로, 코어 조립체(20)는 더욱 부드럽게 개방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유동 구멍이, 너트 내에 배열되며, 그리고 유동 구멍은, 유동 구조물을 형성한다. 상기한 구조는, 간단하며 그리고 가공하기에 편리하다.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와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 사이의 차이는, 코어 조립체(20)의 구체적인 형상에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실시예에서, 코어 조립체(20)는, 너트(40)와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제1 코어 섹션(21), 제2 코어 섹션(22), 및 제1 코어 섹션(21)과 제2 코어 섹션(22) 사이에 위치되는 수축 섹션(23)을 구비한다. 수축 섹션(23)의 외부 직경은, 제1 코어 섹션(21)으로부터 제2 코어 섹션(22)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노치 부분은, 수축 섹션(23) 상에 형성되며, 그리고 완전한 부분은, 제1 코어 섹션(21) 상에 형성된다. 코어 조립체(20)가 밸브 폐쇄 상태에 놓일 때, 밀봉 부재(70)는, 제1 코어 섹션(21)의 외벽 및 밸브 시트(10)의 내벽과 밀봉 접촉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코어 조립체(20)가 밸브 개방 상태에 놓일 때, 수축 섹션(23)의 외벽과 밀봉 부재(70) 사이에, 거리가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코어 조립체(20)가 밸브 폐쇄 상태로 하방으로 이동할 때, 밀봉 부재(70)는 제1 코어 섹션(21)과 대응 상태에 놓이며 그리고, 밀봉 부재(70)가 밀봉 및 격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밀봉 부재(70)의 내표면이 제1 코어 섹션(21)의 외벽에 끼워지고, 밀봉 부재(70)의 외표면이 밸브 시트(10)의 내벽(바람직하게 장착 구멍(121)의 구멍 벽)에 끼워지며, 따라서 밸브 챔버(1)는, 로터 챔버(2)와 소통 상태에 놓이지 않는다. 코어 조립체(20)가 밸브 개방 상태로 상방으로 이동할 때, 밀봉 부재(70)는, 수축 섹션(23)과 대응 상태에 놓인다. 수축 섹션(23)의 외부 직경이 작기 때문에, 틈새가, 밀봉 부재(70)의 내표면과 수축 섹션(23)의 외표면 사이에 형성된다. 밸브 챔버(1) 내의 냉매는, 상기한 틈새로부터 로터 챔버(2) 내로 진입할 수 있으며, 그리고 로터 챔버(2) 내의 냉매 또한, 상기한 틈새로부터 밸브 챔버(1) 내로 진입할 수 있고, 따라서 밸브 챔버(1) 내의 압력과 로터 챔버(2) 내의 압력을 신속하게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상기한 구조는, 간단하며 그리고 가공하기에 편리하다.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서, 단차 표면(25)이, 제2 코어 섹션(22)과 수축 섹션(23) 사이의 결합부에 형성된다. 상기한 구조는, 간단하며 그리고, 가공 및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른 단차 표면들과 별개로 배열될 필요가 없다.
전자 팽창 밸브의 작동 프로세스가, 이하에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D1은 제1 코어 섹션(21)의 외부 직경이고, D2는 밸브 포트(13)의 직경이며, D3는 제2 코어 섹션(22)의 외부 직경이고, D4는 코어 조립체(20)의 내부 직경이며, SD1은 제1 코어 섹션(21)의 단면적이고, SD2는 밸브 포트(13)의 단면적이며, SD3는 제2 코어 섹션(22)의 단면적이고, 그리고 SD4는 코어 조립체(20)의 내부 구멍의 단면적이다.
(1) 코어 조립체가 밸브 폐쇄 상태에 놓이며 그리고 수평 파이프가 가압될 때:
밀봉 부재(70)는, 밀봉(둘레 방향 밀봉)을 실현하기 위해, 노치 부분 상부의 코어 조립체(20)의 외벽 및 밸브 시트(10)의 내벽과 밀봉 접촉 상태에 놓일 수 있을 것이다. 밸브 챔버(1) 및 로터 챔버(2)는, 밀봉 부재(70)를 통해 서로로부터 격리되며, 그리고 로터 챔버(2)는 소통 챔버(4)와 소통 상태에 놓인다. 밸브 챔버(1)는, 밸브 포트(13)에 대해 밀폐식으로 접경하는 밀봉 쌍(sealing pair)에 의해, 소통 챔버(4)로부터 격리된다. 수평 파이프 내의 냉매의 압력은, 코어 조립체(20) 상에 작용하며, 그리고 코어 조립체(20)는, 상향 압력차를 형성하기 위해, 압력(P) 및 면적차(SD3-SD2)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코어 조립체(20)는 또한, 하향 압력차를 형성하기 위해, 압력(P) 및 면적차(SD3-SD1)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코어 조립체(20)의 상향 및 하향 합력이 0이 되도록 만들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D1의 크기는, D2의 크기와 대략 동등하게 설계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F = (SD3-SD2)*P - (SD3-SD1)*P = (SD3-SD2-SD3+SD1)*P = (SD1-SD2)*P
Figure 112020073275011-pct00001
0 이다. 그에 따라, 상기한 구조는, 개방될 때 코어 조립체(20)가 적은 구동력을 요구하는 것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에서, (SD2-SD1) ≤ 40mm2이다.
(2) 코어 조립체가 밸브 개방 상태에 놓이며 그리고 수평 파이프가 가압될 때:
코어 조립체(20)가 위로 이동할 때, 밀봉 부재(70) 및 코어 조립체(20)는, 부분적 밀봉을 형성하며, 그리고 밸브 챔버(1)는, 노치 부분과 밀봉 부재(70) 사이의 틈새를 통해, 로터 챔버(2)와 소통 상태에 놓이며, 그리고 압력은, 동일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로터 챔버(2)는, 소통 챔버(4)와 소통 상태에 놓이며, 그리고 압력은, 동일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수평 파이프 압력은, 코어 조립체(20) 상에 작용하며, 그리고 코어 조립체(20)는, 상향 압력차를 형성하기 위해, 압력(P) 및 면적차(SD3-SD4)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코어 조립체(20)는, 하향 압력차를 형성하기 위한 압력(P) 및 코어 조립체(20)의 단차 표면(25)의 면적차(SD3-SD1)에 더하여, 하향 압력차를 형성하기 위한 압력(P) 및 코어 조립체(20)의 상부의 면적차(SD1-SD4)에 의해, 영향을 받고; 상향 힘과 하향 힘의 면적차는 0이며, 그리고 밸브 챔버(1), 로터 챔버(2), 및 연결 챔버의 압력은, 동일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코어 조립체(20)의 상향 및 하향 합력은, 동일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코어 조립체가 개방되거나 또는 폐쇄될 때, 구동력에 대한 적은 요구가 존재한다.
(3) 코어 조립체가 밸브 폐쇄 상태에 놓이며 그리고 직립 파이프가 가압될 때:
밀봉 부재(70)는, 밀봉(둘레 방향 밀봉)을 실현하기 위해, 노치 부분 상부의 코어 조립체(20)의 외벽 및 밸브 시트(10)의 내벽과 밀봉 접촉 상태에 놓일 수 있을 것이다. 밸브 챔버(1)와 로터 챔버(2)는 밀봉 부재(70)를 통해 서로로부터 격리되며, 그리고 로터 챔버(2)는, 소통 챔버(4)와 소통 상태에 놓이며; 그리고 밸브 챔버(1)는, 밸브 포트(13)에 대해 밀폐식으로 접경하는 밀봉 쌍에 의해, 소통 챔버(4)로부터 격리된다. 직립 파이프 압력은, 코어 조립체(20) 상에 작용하며, 그리고 코어 조립체(20)는, 상향 압력차를 형성하기 위한 압력(P) 및 면적차(SD2-SD4)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며; 그리고 코어 조립체(20)는, 하향 압력차를 형성하기 위한 압력(P) 및 면적차(SD1-SD4)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D1
Figure 112020073275011-pct00002
D2이기 때문에, F = (SD2-SD4)*P -(SD1-SD4)*P = (SD2-SD4-SD1+SD4)*P = (SD2-SD1)*P
Figure 112020073275011-pct00003
0 이다. 따라서, 코어 조립체(20)의 상향 및 하향 합력은, 동일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코어 조립체는, 개방될 때, 적은 구동력을 요구한다.
(4) 코어 조립체가 밸브 개방 상태에 놓이며 그리고 직립 파이프가 가압될 때:
코어 조립체(20)가 위로 이동할 때, 밀봉 부재(70) 및 코어 조립체(20)는 부분적 밀봉을 형성하며, 그리고 밸브 챔버(1)는, 압력이 직립 파이프 내로 진입하는 도중에 로터 챔버(2) 내에 형성되는, 압력 축적(압력 값은 밸브 포트(13)의 압력 값보다 명백하게 더 크고, 그로 인해 부가적인 하향 압력차를 생성함)을 방지하도록, 노치 부분과 밀봉 부재(70) 사이의 틈새를 통해, 로터 챔버(2)와 소통 상태에 놓이며, 그리고 압력은 동일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로터 챔버(2)는, 소통 챔버(4)와 소통 상태에 놓이며, 그리고 압력은, 동일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직립 파이프 압력은, 코어 조립체(20) 상에 작용하며, 그리고 코어 조립체(20)는, 상향 압력차를 형성하기 위해, 압력(P) 및 면적차(SD3-SD4)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코어 조립체(20)는, 하향 압력차를 형성하기 위한 압력(P) 및 코어 조립체(20)의 단차 표면(25)의 면적차(SD3-SD1)에 더하여, 하향 압력차를 형성하기 위한 압력(P) 및 코어 조립체(20)의 상부의 면적차(SD1-SD4)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상향 힘 및 하향 힘의 면적차는 0 이며, 말하자면, [(SD3-SD4)-(SD3-SD1)-(SD1-SD4)] = 0 이다. 밸브 챔버(1), 로터 챔버(2) 및 소통 챔버(4)의 압력, 동일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코어 조립체(20)의 상향 및 하향 합력은, 동일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코어 조립체가 개방되거나 또는 폐쇄될 때, 구동력에 대한 적은 요구가 존재한다.
이상의 설명은 단지,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고, 본 출원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그리고 다양한 수정들 및 변형들이, 당업자를 위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출원의 사상 및 원리 이내에서 이루어진, 임의의 수정들, 균등한 치환들 또는 수정들은, 본 출원의 보호 범위 이내에 속할 것이다.
1: 밸브 챔버 2: 로터 챔버
4: 소통 챔버 10: 밸브 시트
11: 밸브 시트 몸체 12: 연결 시트
121: 장착 구멍 122: 단차 표면
13: 밸브 포트 14: 제1 연결 포트
15: 제2 연결 포트 20: 코어 조립체
21: 제1 코어 섹션 22: 제2 코어 섹션
23: 수축 섹션 24: 유동 홈
25: 단차 표면 30: 스크류 로드
40: 너트 41: 돌출부
50: 구동 메커니즘 51: 로터
52: 코일 60: 하우징
70: 밀봉 부재 80: 지지부
81: 위치-제한 홈 90: 제1 정지 구조물
100: 제2 정지 구조물 110: 탄성 요소

Claims (14)

  1. 전자 팽창 밸브로서:
    밸브 챔버(1) 및 밸브 챔버(1)와 소통 상태에 놓이는 밸브 포트(13)를 구비하는 밸브 시트(10);
    스크류 로드(30) 및 너트(40)로서, 스크류 로드(30)는 나사에 의해 너트(40)와 협력하는 것인, 스크류 로드(30) 및 너트(40);
    상기 너트(4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코어 조립체(20)로서, 코어 조립체(20)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밸브 챔버(1)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고, 코어 조립체(20)는 완전한 부분 및 노치 부분을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완전한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이 노치 부분 상부에 위치되는 것인, 코어 조립체(20);
    로터(51) 및 코일(52)을 포함하는 구동 메커니즘(50)으로서, 상기 로터(51)는 상기 스크류 로드(30)에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로터(51)는 상기 코일(52)을 통해 상기 스크류 로드(30)를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그리고 상기 너트(40)는 상기 스크류 로드(30)와의 나사 협력을 통해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그리고 상기 코어 조립체(20)는, 상기 밸브 포트(13)에 접근하도록 또는 상기 밸브 포트(13)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도록, 상기 너트(40)에 의해 구동되는 것인, 구동 메커니즘(50);
    상기 밸브 시트(10)와 상기 코어 조립체(20) 사이에 배열되는 밀봉 부재(70)로서, 상기 완전한 부분 또는 상기 노치 부분과 협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밀봉 부재(70); 및
    상기 밸브 시트(10)와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하우징(60)으로서, 하우징(60)은 로터 챔버(2)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밀봉 부재(70)가 상기 완전한 부분과 협력할 때, 상기 로터 챔버(2)는 상기 밀봉 부재(70)의 밀봉 효과를 통해 상기 밸브 챔버(1)와 소통 상태에 놓이지 않으며, 그리고 상기 밀봉 부재(70)가 상기 노치 부분과 협력할 때, 틈새가, 상기 밀봉 부재(70)와 상기 노치 부분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로터 챔버(2)는, 상기 틈새를 통해 상기 밸브 챔버(1)와 소통 상태에 놓이는 것인, 하우징(60)
    을 포함하는 것인, 전자 팽창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유동 홈(24)이 상기 코어 조립체(20)의 외벽 상에 배열되고, 상기 노치 부분은, 상기 유동 홈(24)이 위치되는 상기 코어 조립체(20)의 샤프트 섹션 상에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완전한 부분은, 상기 코어 조립체(20)의 나머지 샤프트 섹션 부분 상에 형성되는 것인, 전자 팽창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홈(24)은, 상기 코어 조립체(20)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홈인 것인, 전자 팽창 밸브.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홈(24)의 상단부가, 상기 밸브 포트(13)에 가까운 상기 코어 조립체(20)의 하나의 단부로부터 정해진 거리 만큼 이격되며, 그리고 상기 밸브 포트(13)로부터 떨어진 상기 코어 조립체(20)의 하나의 단부로부터 정해진 거리 만큼 이격되는 것인, 전자 팽창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조립체(20)는, 상기 너트(4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제1 코어 섹션(21) 및 상기 제1 코어 섹션(21) 아래에 위치되는 제2 코어 섹션(22)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코어 섹션(22)의 외부 직경이, 상기 제1 코어 섹션(21)의 외부 직경보다 더 크며, 그리고 상기 밀봉 부재(70)는, 상기 제1 코어 섹션(21)과 상기 밸브 시트(10) 사이에 위치되는 것인, 전자 팽창 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단차 표면(25)이, 상기 제1 코어 섹션(21)과 상기 제2 코어 섹션(22) 사이의 결합부에 형성되고, 제1 정지 구조물(90)이, 상기 밸브 시트(10) 상에 배열되며, 그리고 상기 제1 정지 구조물(90)의 하측 표면이, 상기 단차 표면(25)에 대해 접경하도록 그리고 상기 단차 표면(25)과 협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전자 팽창 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돌출부(41)가, 상기 너트(40) 상에 배열되고, 상기 제1 정지 구조물(90) 상부에 배열되는 제2 정지 구조물(100)이, 상기 밸브 시트(10) 상에 배열되며, 상기 제2 정지 구조물(100)의 상측 표면이, 상기 돌출부(41)의 하측 표면에 대해 접경하도록 그리고 상기 돌출부(41)의 하측 표면과 협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전자 팽창 밸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지 구조물(90)은 하측 정지 링이고, 상기 제2 정지 구조물(100)은 상측 정지 링이며, 상기 밀봉 부재(70)는 밀봉 링이고, 상기 밀봉 링은 상기 제1 정지 구조물(90)과 상기 제2 정지 구조물(100) 사이에 클램핑되며, 그리고 상기 코어 조립체(20)는, 상기 상측 정지 링, 상기 하측 정지 링 및 상기 밀봉 링 내로 삽입되는 것인, 전자 팽창 밸브.
  9. 제1항에 있어서,
    돌출부(41)가 너트(40) 상에 배열되며, 전자 팽창 밸브는, 상기 밸브 시트(10) 상에 고정적으로 배열되는 지지부(80)를 더 구비하고, 위치-제한 홈(81)이, 상기 지지부(80) 상에 배열되며, 그리고 상기 돌출부(41)는, 상기 위치-제한 홈(81)과 협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전자 팽창 밸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80)는 컵 형상이며, 그리고 상방으로 연장되는 개구가 상기 지지부(80)의 바닥부 상에 배열되며, 그리고 상기 개구는, 상기 위치-제한 홈(81)을 형성하는 것인, 전자 팽창 밸브.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조립체(20)는, 상기 너트(40)와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제1 코어 섹션(21), 제2 코어 섹션(22), 및 상기 제1 코어 섹션(21)과 상기 제2 코어 섹션(22) 사이에 위치되는 수축 섹션(23)을 구비하며, 상기 수축 섹션(23)의 외부 직경이, 상기 제1 코어 섹션(21)으로부터 상기 제2 코어 섹션(22)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상기 노치 부분은 상기 수축 섹션(23) 상에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완전한 부분은 상기 제1 코어 섹션(21) 상에 형성되는 것인, 전자 팽창 밸브.
  12. 제5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어 섹션(21)의 단면적이 SD1이 되도록 설정되며, 그리고 상기 밸브 포트(13)의 단면적이 SD2가 되도록 설정되고, 이들은 뒤따르는 관계를 만족하는 것인, 전자 팽창 밸브:
    (SD2-SD1) ≤ 40mm2.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10)는 밸브 시트 몸체(11) 및 상기 밸브 시트 몸체(11) 상에 고정되는 연결 시트(12)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챔버(1)는 상기 연결 시트(12) 및 상기 밸브 시트 몸체(11)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밸브 포트(13)는 상기 밸브 시트 몸체(11) 내에 배열되고, 장착 구멍(121)이 상기 연결 시트(12) 내에 배열되며, 상기 장착 구멍(121)은, 장착 섹션 및, 상기 장착 섹션보다 더 큰 개구부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장착 섹션 아래에 위치되는, 안내 섹션을 구비하고, 상기 코어 조립체(20)의 외벽은 상기 안내 섹션과 협력하며, 그리고 상기 밀봉 부재(70)는, 상기 장착 섹션의 구멍 벽과 상기 코어 조립체(20)의 외벽 사이에 위치되는 것인, 전자 팽창 밸브.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홈(24)은 상기 코어 조립체(20)의 외벽 상에 배열되며, 상기 노치 부분은, 상기 유동 홈(24)이 위치되는 상기 코어 조립체(20)의 샤프트 섹션 상에 형성되고, 상기 완전한 부분은, 상기 코어 조립체(20)의 나머지 샤프트 섹션 부분 상에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유동 홈(24)의 하단부가, 상기 장착 구멍(121)의 상기 구멍 벽의 하단부보다 더 아래에 놓이는 것인, 전자 팽창 밸브.
KR1020207020406A 2018-03-23 2019-03-22 전자 팽창 밸브 KR1022769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246495.4A CN110296246B (zh) 2018-03-23 2018-03-23 电子膨胀阀
CN201810246495.4 2018-03-23
PCT/CN2019/079248 WO2019179519A1 (zh) 2018-03-23 2019-03-22 电子膨胀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4213A KR20200094213A (ko) 2020-08-06
KR102276928B1 true KR102276928B1 (ko) 2021-07-13

Family

ID=67988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0406A KR102276928B1 (ko) 2018-03-23 2019-03-22 전자 팽창 밸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51579B2 (ko)
KR (1) KR102276928B1 (ko)
CN (1) CN110296246B (ko)
WO (1) WO20191795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01790B (zh) * 2019-11-19 2022-05-10 浙江盾安禾田金属有限公司 电子膨胀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2366A1 (zh) 2016-05-25 2017-11-30 浙江三花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电子膨胀阀及具有其的制冷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480B1 (ko) * 2003-03-26 2007-11-26 주식회사 만도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JP4230806B2 (ja) * 2003-04-14 2009-02-25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弁
JP2006292184A (ja) * 2005-04-06 2006-10-26 Tgk Co Ltd 膨張装置
JP2010025184A (ja) * 2008-07-17 2010-02-04 Fuji Koki Corp 電動弁
JP2010151158A (ja) * 2008-12-24 2010-07-08 Kayaba Ind Co Ltd 流体圧ポンプの流量制御弁
JP5712053B2 (ja) * 2010-07-15 2015-05-07 株式会社キッツエスシーティー バルブ用アクチュエータ
CN102818068B (zh) * 2011-06-08 2016-02-17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一种阀体部件和使用该阀体部件的电子膨胀阀
CN202188706U (zh) * 2011-08-22 2012-04-11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膨胀阀
CN103075566B (zh) * 2011-09-22 2018-01-19 株式会社不二工机 阀装置
JP5901960B2 (ja) * 2011-12-22 2016-04-13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弁
CN103388694B (zh) * 2012-05-11 2016-07-27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膨胀阀
CN103511636B (zh) * 2012-06-27 2016-04-06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膨胀阀
JP6091903B2 (ja) * 2013-01-18 2017-03-08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弁
CN103994231A (zh) * 2014-04-30 2014-08-20 吴俊云 一种电子膨胀阀
CN105716335B (zh) * 2014-12-03 2019-09-17 浙江盾安人工环境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膨胀阀
JP6392685B2 (ja) * 2015-03-06 2018-09-19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動弁
JP6392686B2 (ja) * 2015-03-06 2018-09-19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動弁
CN206861006U (zh) * 2017-06-16 2018-01-09 安徽华海金属有限公司 一种电子膨胀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2366A1 (zh) 2016-05-25 2017-11-30 浙江三花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电子膨胀阀及具有其的制冷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296246A (zh) 2019-10-01
CN110296246B (zh) 2020-08-21
KR20200094213A (ko) 2020-08-06
WO2019179519A1 (zh) 2019-09-26
JP6951579B2 (ja) 2021-10-20
JP2021505829A (ja) 202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2445A (en) Electromagnetic control valve
KR102408887B1 (ko) 전기 밸브
EP2725270B1 (en) Flow regulating valve
CN103052547A (zh) 电磁阀以及具有这种电磁阀的驾驶员辅助装置
US11365822B2 (en) Direct action type electrically operated valve
KR102276928B1 (ko) 전자 팽창 밸브
KR102137404B1 (ko) 고압 비례제어기능을 구비한 솔레노이드 밸브
KR102137405B1 (ko) 고압 비례제어기능을 구비한 솔레노이드 밸브
JP6647618B1 (ja) 電動弁
CN110296267B (zh) 电子膨胀阀
JPH10184610A (ja) 流体駆動装置
US8851452B2 (en) Self-aligned plunger for chromatographic valve
US20220205694A1 (en) Electronic Expansion Valve
KR101155700B1 (ko) 상시 개방형 솔레노이드 밸브 및 그 조립 방법
US20210041028A1 (en) Electric valv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720698B1 (ko) 가변용량 압축기의 용량제어밸브
CN110296259B (zh) 电子膨胀阀及具有其的制冷系统
EP4273428A1 (en) Electric valve
WO2023005178A1 (zh) 一种电动阀
CN219242649U (zh) 一种电动阀
CN216843174U (zh) 一种电子膨胀阀
KR20230162682A (ko) 전기 작동식 밸브
CN114838178A (zh) 一种电动阀
CN115370817A (zh) 一种燃气阀
CN112228600A (zh) 一种流体低压释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