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352B1 - 회전체 소음저감 덮개 - Google Patents

회전체 소음저감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352B1
KR102275352B1 KR1020190137789A KR20190137789A KR102275352B1 KR 102275352 B1 KR102275352 B1 KR 102275352B1 KR 1020190137789 A KR1020190137789 A KR 1020190137789A KR 20190137789 A KR20190137789 A KR 20190137789A KR 102275352 B1 KR102275352 B1 KR 102275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corrugated cardboard
absorbing
rotating body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1910A (ko
Inventor
강춘원
김미나경민
장은석
서영범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37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352B1/ko
Priority to PCT/KR2020/014630 priority patent/WO2021085957A1/ko
Publication of KR20210051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2Selection of materia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05Appliances, e.g. washing machines or dishwash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06Boxes, i.e. active box covering a noise source; Enclosu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1Rotating machines, e.g. engines, turbines, motors; Periodic or quasi-periodic signals in gener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21Physical
    • G10K2210/3223Materials, e.g. special compositions or gas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21Physical
    • G10K2210/3224Passive absor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체 소음저감 덮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회전체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흡음하기 위해 다수개의 골판지를 적층하여 케이스를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골판지를 타공하여 흡음부를 만들어 소음을 흡음하며, 흡음부의 크기와 개수에 따라 소음 주파수의 크기가 달라지는 회전체 소음저감 덮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체 소음저감 덮개 {Rotor noise reduction cover}
본 발명은 회전체 소음저감 덮개 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체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해주는 다층 골판지로 형성된 소음저감 덮개에 관한 것이다.
실내 환경은 주요 환경이 일정수준에서 유지되어야 거주자가 안락함을 느낄 수 있다. 쾌적한 음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소음을 줄여야 하는데 원천적인 방법으로는 소음원의 음향출력을 줄이는 것이 있지만 현실적으로 소음원의 음향출력을 줄이는 것은 어렵고 차선으로 흡음 및 방음으로 소음을 차단하거나 줄이는 방법을 사용한다.
실내에서 소음을 유발하는 가정용 전기용품으로는, 청소기, 세탁기, 식품분쇄용 블렌더 등이 이용되고 있는데 층간소음, 벽간소음 분쟁의 원인이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회전체의 소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 중 블렌더(믹서기)는 음식 원료를 잘게 부수거나 섞을 때 사용하고 고속으로 회전하는 교류모터와 비트를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시간동안 일정한 주파수 특성의 소음을 발생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소음을 줄이기 위해 흡음 또는 방음재를 사용하는데 흡음재는 다공성 재료에 의한 다공형 흡음, 판이나 막의 진동에 의한 판진동형 흡음 및 좁은 주파수 대역에서 높은 흡음율이 나타나는 공명기형 흡음의 흡음 기작 중의 적어도 하나이상의 방법을 중복 이용하며 흡음 성능이 발휘된다.
일반적으로 흡음재로 석고보드가 사용되었는데 흡음성능, 단열성 그리고 내화성이 우수하지만 분진발생에 의한 인체 위해성이 있고 수분에 대한 저항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유리섬유 또는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제작한 흡음판은 유리섬유의 특성상 가공하기 까다롭고 분진을 방출하여 인체에 유해하고,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화재에 취약하고 제조과정과 폐기 시에 이산화탄소 또는 VOC 물질을 방출하여 친환경적이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에는 소음을 흡음하기 위한 흡음판에 관한 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10-2006-0063846("고성능 흡음판 및 그 제조방법", 2006.06.12., 이하 '선행문헌'이라고 함)과 같은 기술에는 소음을 흡음할 수 있는 흡음판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었다.
1. 공개특허공보 10-2006-0063846("고성능 흡음판 및 그 제조방법", 2006.06.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정 또는 산업 환경에서 회전체에서 모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복수개의 골판지를 적층하고, 적층된 골판지 중 타공된 적어도 하나의 골판지에 의해 공명형상을 발생시켜 효과적으로 흡음할 수 있는 회전체 소음저감 덮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회전체 소음저감 덮개는, 원판지에 골심지를 접착하여 형성된 골판지 복수개가 적층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벽면부와 천장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두께 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골판지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흡음 홀을 포함하는 흡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음 홀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두께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골판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흡음 목 및상기 흡음 목과 연결되고 소음이 흡음되며, 상기 흡음 목이 형성되는 골판지보다 상기 케이스의 외측 방향에 적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골판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흡음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흡음부에 의해 공명현상이 발생하여 회전체의 소음을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흡음 홀은, 상기 벽면부 및 천장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내측에 골판지로 형성된 방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골판지의 굴곡의 높이와 폭에 따라 흡음율이 증가하는 주파수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골판지는, 편면 골판지, 양면 골판지, 이중 양면 골판지, 삼중 양면 골판지 및 사중 양면 골판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음 홀의 크기, 지름, 개수, 모양은 소음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골판지의 두께, 적층된 개수는 소음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회전체 소음저감 덮개는, 다수개의 골판지를 적층하고 적층된 골판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골판지를 타공하여 공명현상을 만들어 회전체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흡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 및 흡음부에 사용된 골판지의 두께보다 두껍게 케이스 내측에 방음부가 형성되어 케이스와 흡음부에서 흡음하지 못한 소음을 흡음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소음 주파수의 높낮이에 따라 골판지의 두께, 적층된 개수, 굴곡의 높낮이, 폭을 상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다양한 주파수가 발생되는 회전체에서 본 발명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소음 주파수의 높낮이에 다라 상기 흡음 홀의 크기, 지름, 개수, 모양을 상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다양한 주파수가 발생되는 회전체에서 본 발명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회전체의 소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소음저감 덮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소음저감 덮개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소음저감 덮개의 흡음 홀 유무에 따른 주파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소음저감 덮개의 흡음 홀 크기에 따른 주파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소음저감 덮개의 흡음부의 위치와 흡음 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소음저감 덮개의 다층 골판지 사이에 공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소음저감 덮개의 골판지와 골판지 사이마다 공간이 형성된 다층 골판지에 흡음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소음저감 덮개의 골판지와 골판지 사이마다 공간 및 격벽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소음저감 덮개의 방음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소음저감 덮개의 전체도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소음저감 덮개(1000)는(이하 '덮개(1000)'라고 함.), 상기 회전체 소음저감 덮개(1000) 내부 공간에 소음이 발생되는 회전체(10)를 놓고 소음을 흡음한다. 상기 회전체(10)는 가정에서 사용되는 블렌더, 믹서기, 컴프레서와 같이 일정한 회전속도로 회전하여 발생 소음의 주파수 특성이 안정적인 회전체(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덮개(1000)는 골판지의 재질로 형성되고 다수개로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체(10)를 가두듯이 덮어 소음을 흡음한다. 아래 도 3에서 구성과 구성에 따른 효과를 더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소음저감 덮개의 A-A' 단면도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기본적으로는 케이스(200), 흡음부(300)를 포함하고, 부가적으로 방음부(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0)는 원판지에 골심지를 접착하여 형성된 골판지를 복수 개 적층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골판지는 일반적으로 재생지를 원료로 하여 제작되고, 편면골판지, 양면골판지, 이중양면골판지, 삼중양면골판지 및 사중양면골판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골판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물론 이로써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골판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0)의 재질로 골판지를 사용하여 소음에 대한 흡음, 방음 및 차음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으며 재생 종이를 사용하기 때문에 경제적이고 환경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골판지는 종이로 제조된 생분해성 친환경소재이며, 가격이 저렴하고 무게에 비해 강도가 높은 소재이고, 무게에 비해 두께가 두껍고 종이와 종이 사이 가운데 빈 공간이 있어 공명현상을 이용한 흡음소재로 유용한 소재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내장재로도 사용하고 폐기 시 제지공장에서 바로 제지 원료로 사용할 수 있는 친환경 재료이며 일반 벽지보다 조습기능이 높아 실내의 습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효과도 있다.
더불어, 상기 케이스(20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벽면부와 천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빈 공간은 소음이 발생되는 회전체(10)를 놓는 것이 바람직하고, 회전체(10)의 크기와 부피에 따라 빈 공간의 넓이는 달라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케이스(200)는 타공되지 않은 골판지를 사용하고 상기 흡음부(300)의 상단에 적층되어 소음의 흡음에 효과적이다.
상기 흡음부(300)는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흡음 홀(310)을 포함한다. 상기 흡음부(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골판지 층에 두께 방향으로 복수개의 흡음 홀(310)을 타공하고, 상기 흡음 홀(310)은 공명을 하여 회전체(10)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흡음한다는 효과가 있다.
상기 흡음 홀(310)은 흡음 목(311)과 흡음 공간(3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흡음 목(311)은 상기 케이스(200)를 기둥모양으로 관통해서 소음이 흡음될 수 있도록 통로가 된다. 상기 흡음 공간(312)은 상기 흡음 목(311)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흡음 목(311)을 통해 들어온 소음을 흡음한다. 상기 흡음부(300)에 상기 흡음 홀(310)의 유무 및 상기 흡음 공간(312)의 크기 개수에 따라 소음 주파수가 달라지고 흡음의 정도가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음부(300)에 따른 주파수 변화는 아래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한다.
상기 방음부(100)는 상기 흡음부(300)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200)에 사용되는 골판지보다 두께가 두껍고 큰 골판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음부(300)의 외측과 내측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방음부(100)를 접착함에 따라 상기 케이스(200) 및 상기 흡음부(300)의 연결에도 흡음되지 않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흡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도 3의 단면도를 확대한 도면을 도시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소음저감 덮개의 A-A' 단면도를 확대한 도면은 도 4(a) 및 도 4(b)로 설명한다.
상기 케이스(200)는 상기 골판지의 굴곡(250)의 높이와 폭에 따라 소음 주파수의 크기가 달라지며, 상기 골판지의 두께, 적층된 개수는 소음 주파수의 크기에 다라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골판지의 굴곡(250)의 높이는 소음 주파수 파형의 진폭 M이고, 상기 굴곡(250)의 폭은 소음 주파수 파형의 파장 P와 대응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도 4(a)의 상기 케이스(200)를 형성하는 골판지의 굴곡(250)의 높이는 상기 도 4(b)의 상기 케이스(200)를 형성하는 골판지의 굴곡(250)의 높이보다 크고, 상기 도 4(a)의 상기 케이스(200)를 형성하는 골판지의 굴곡(250)의 폭은 상기 도 4(b)의 상기 케이스(200)를 형성하는 골판지의 굴곡(250)의 폭보다 크다.
상기 회전체(10)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소음 주파수에 따라서 상기 케이스(200)를 형성하는 골판지의 두께, 적층된 개수 및 굴곡(250) 등을 다르게 형성한다. 소음 주파수가 큰 경우, 상기 도 4(b)와 같이 다수개의 골판지를 적층하고 골판지 굴곡(250)의 개수도 도 4(a)의 개수보다 많이 형성하여 소음 주파수의 진폭과 파장에 영향을 주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음 주파수가 작은 경우에는 특정 주파수의 영역대에 맞도록 골판지의 개수, 두께, 접착된 형태, 굴곡(25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소음저감 덮개의 흡음 홀(310) 유무에 따른 주파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을 도시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음 홀(310) 유무에 따른 소음의 주파수 변화를 도 5(a) 및 도 5(b)로 설명한다.
상기 흡음부(300)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수가 적어서 소음의 주파수가 낮은 컴프레서나 블렌더의 경우에는 저주파수에서 흡음성능이 크도록 골판지 공동이 커지는 타공을 하고, 소음의 주파수가 높은 컴프레서나 블렌더의 경우에는 고주파수에서 흡음성능이 크도록 골판지 공동이 작아지는 타공을 하거나 고주파수영역에서 흡음성능이 큰 특성을 가지는 다공재를 부착하여 각각의 소음특성에 최적의 흡음성능이 나타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상기 도 5(a)는 상기 흡입부가 형성되지 않은 덮개(1000)이다. 이 때의 소음 주파수는 도 5(a)의 그래프와 같다. 상기 도 5(b)는 상기 흡입부가 형성된 덮개(1000)이다. 이때의 소음 주파수는 도 5(b)의 그래프와 같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흡음부(300)의 유무에 따라 소음 주파수의 그래프의 최곳값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음부(300)가 형성됨에 따라 도 5(a)의 그래프 상에서 최곳값 부분의 소음 주파수 그래프가 낮아졌다. 골판지가 적층된 형태에서도 소음을 흡음할 수 있지만, 적층되어 있는 골판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골판지에 타공을 하여 흡음부(300)를 형성하여 공명을 일으키면 흡음이 매우 효과적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소음저감 덮개의 흡음 홀(310) 크기에 따른 소음 주파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을 도시하는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음 홀(310)의 크기와 개수에 따른 소음 주파수 변화를 설명한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200)에 다수개의 상기 흡음부(300)가 형성되어있으며, 상기 흡음부(300)의 크기는 다르고 개수는 4개이다. 도면 아래에 있는 그래프를 확인하면, 점선 그래프 부분이 흡음부(300)가 형성되기 전 덮개(1000) 내부에서 소음을 측정한 모습이고, 실선으로 표현된 부분이 흡음부(300)가 형성된 덮개(1000) 내부에서 소음을 측정한 모습이다. 그래프에서 다른 소음 주파수 값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소음 주파수 값에는 다른 흡음부(300)보다 상대적으로 큰 흡음 공간(312)을 가진 흡음부(300)를 형성하여 흡음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소음 주파수 값에는 다른 흡음부(30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흡음 공간(312)을 가진 흡음부(300)를 형성하여 흡음하였다.
이처럼, 본 발명의 회전체 소음저감 덮개(1000)는, 흡음부(300)를 형성하고 공명시켜 소리가 입사하는 면의 천공의 크기, 흡음 공간(312)의 크기 및 흡음 목(311)의 길이 등을 달리하여 흡음 성능이 제고되는 주파수 영역을 조절할 수 있고, 골판지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어가 다른 재료에 비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소음저감 덮개의 흡음부의 위치와 흡음 홀(310)을 나타낸 도면을 도시하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음부의 위치와 흡음 홀(310)의 크기를 설명한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의 표면에 흡음부의 일부는 방음부의 두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관통될 수 있다. 상기 흡음부의 일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관통되어 골판지 소재의 사이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기 다른 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흡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회전체 소음저감 덮개에 다중 흡음부를 형성하여 흡음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흡음은 주파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흡음부의 위치 및 크기를 주파수 대역에 따라 다르게 형성하여 사용자가 기설정한 주파수의 평균보다 높은 경우에는 흡음부의 흡음 홀(310)의 크기를 기설정된 평균 흡음 홀(31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하고, 사용자가 기설정한 주파수의 평균보다 낮은 경우에는 흡음부의 흡음 홀(310)의 크기를 기설정된 평균 흡음 홀(31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소음저감 덮개의 다층 골판지 사이에 공간을 나타낸 도면을 도시하는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소음저감 덮개의 골판지와 골판지 사이마다 공간이 형성된 다층 골판지에 흡음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을 도시하는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소음저감 덮개의 골판지와 골판지 사이마다 공간 및 격벽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을 도시하는 것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제1골판지(201), 제2골판지(202), 제3골판지(203)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며 적층된다. 상기 제1골판지(201)와 상기 제2골판지(202) 사이에 제1공간층(
Figure 112019111798539-pat00001
1)이 형성되고, 상기 제2골판지(202)와 제3골판지(203) 사이에 제2공간층(
Figure 112019111798539-pat00002
2)이 형성되어 공명현상이 일어난다. 각 골판지 층의 공간은 3cm 내지 5cm 인 것이 바람직하고, 물론 이로써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소음의 주파수 대역은 모두 다르기 때문에 골판지 사이의 간격 공간은 주파수에 따라 달라지고, 공간층이 형성되어 공명이 일어나서 흡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도 8의 골판지 층에 흡음부를 형성한 것이고, 다층 골판지 사이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에어층이 있고, 크고 작은 흡음부가 형성되어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서 유용하게 흡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평균값보다 큰 주파수에서는 작은 흡음 홀(310)을 형성하고 평균값보다 작은 주파수에서는 큰 주파수에서 사용한 흡음 홀(310)의 크기보다 큰 흡음 홀(310)을 형성하여 복수개의 흡음 홀(310)으로 양동 작전을 사용해 소음을 흡음할 수 있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도 9의 도면에서 다층 골판지 공간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제1골판지(201)와 상기 제2골판지(202) 사이에 격벽이 형성되면 소음의 주파수 대역이 달라지기 때문에 회전체의 종류에 따라 흡음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소음저감 덮개의 방음부를 나타낸 도면을 도시하는 것이다. 상기 도 11은 본 발명의 방음부를 다양한 형태로 형성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11의 (a) 및 도 11의 (b)를 참조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1의 (a)는 상기 방음부를 계란판과 같이 두께가 두껍고 굴곡이 큰 형태를 이용하여 다층 골판지가 적층되어 있는 하단에 더 부착한 것이다. 상기 방음부가 형성되어 골판지가 적층되어 있는 상태보다 더 큰 흡음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도 11의 (b)는 다층의 골판지가 적층되어 있는 하단에 부착된 상기 방음부를 난연종이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 방음부가 난연종이로 이루어진 경우, 불에 강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화재의 경우 다층의 골판지층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0 : 회전체 소음저감 덮개(덮개)
10 : 회전체
100 : 방음부 110 : 난연종이
150 : 격벽
200 : 케이스 201 : 제1골판지
202 : 제2골판지 203 : 제3골판지
250 : 굴곡
300 : 흡음부 310 : 흡음홀
311 : 흡음 목 312 : 흡음 공간
Figure 112019111798539-pat00003
1 : 제1공간층
Figure 112019111798539-pat00004
2 : 제2공간층

Claims (8)

  1. 원판지에 골심지를 접착하여 형성된 골판지 복수개가 적층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벽면부와 천장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두께 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골판지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흡음 홀을 포함하는 흡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음 홀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두께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골판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흡음 목; 및
    상기 흡음 목과 연결되고 소음이 흡음되며, 상기 흡음 목이 형성되는 골판지보다 상기 케이스의 외측 방향에 적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골판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흡음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흡음부에 의해 공명현상이 발생하여 회전체의 소음을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소음 저감 덮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 홀은,
    상기 벽면부 및 천장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소음 저감 덮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내측에 골판지로 형성된 방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소음 저감 덮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골판지의 굴곡의 높이와 폭에 따라 흡음율이 증가하는 주파수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소음 저감 덮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골판지는,
    편면 골판지, 양면 골판지, 이중 양면 골판지, 삼중 양면 골판지 및 사중 양면 골판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소음 저감 덮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 홀의 크기, 지름, 개수, 모양은 소음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소음 저감 덮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골판지의 두께, 적층된 개수는 소음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소음 저감 덮개.
KR1020190137789A 2019-10-31 2019-10-31 회전체 소음저감 덮개 KR102275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789A KR102275352B1 (ko) 2019-10-31 2019-10-31 회전체 소음저감 덮개
PCT/KR2020/014630 WO2021085957A1 (ko) 2019-10-31 2020-10-26 회전체 소음저감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789A KR102275352B1 (ko) 2019-10-31 2019-10-31 회전체 소음저감 덮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910A KR20210051910A (ko) 2021-05-10
KR102275352B1 true KR102275352B1 (ko) 2021-07-12

Family

ID=75714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789A KR102275352B1 (ko) 2019-10-31 2019-10-31 회전체 소음저감 덮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75352B1 (ko)
WO (1) WO20210859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5399B1 (ko) * 2021-06-02 2022-06-07 (주)세양메카트로닉스 수소충전소의 충전건 제상방법 및 장치
CN113488323A (zh) * 2021-06-29 2021-10-08 常州西电变压器有限责任公司 一种变压器降噪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4102A (ja) 2009-05-22 2009-11-12 Central Japan Railway Co 吸音板
JP2015074358A (ja) 2013-10-09 2015-04-20 河西工業株式会社 制振補強材
JP2017125318A (ja) * 2016-01-13 2017-07-20 清水建設株式会社 杭打ち機用防音装置
JP6550523B1 (ja) 2018-01-10 2019-07-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防音構造、防音囲構造、及び防音箱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0589A (ja) * 1995-03-27 1996-10-08 Tokai Rubber Ind Ltd 吸音部材
JP4080901B2 (ja) * 2002-09-20 2008-04-23 名古屋油化株式会社 吸音緩衝材
JP2007101959A (ja) * 2005-10-05 2007-04-19 Kobe Steel Ltd 防音パネルおよび防音壁
KR20060063846A (ko) 2006-05-19 2006-06-12 홍성산업 주식회사 고성능 흡음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36654A (ko) * 2008-09-30 2010-04-08 박종남 방음 및 흡음 기능을 겸비한 천장재
KR101066919B1 (ko) * 2009-10-15 2011-09-27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공명부재 및 이를 구비한 방음패널
KR101951241B1 (ko) * 2012-12-03 2019-04-22 에이케이시스 주식회사 스피커 시스템
KR20190056492A (ko) * 2017-11-17 2019-05-2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능동 흡음제어 골판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4102A (ja) 2009-05-22 2009-11-12 Central Japan Railway Co 吸音板
JP2015074358A (ja) 2013-10-09 2015-04-20 河西工業株式会社 制振補強材
JP2017125318A (ja) * 2016-01-13 2017-07-20 清水建設株式会社 杭打ち機用防音装置
JP6550523B1 (ja) 2018-01-10 2019-07-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防音構造、防音囲構造、及び防音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910A (ko) 2021-05-10
WO2021085957A1 (ko)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5352B1 (ko) 회전체 소음저감 덮개
RU2593843C2 (ru) Гофрированная акустическая панель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EP0201104B1 (en) Acoustical panel
EP2491194B1 (en) Acoustic panel
WO2016208580A1 (ja) 防音構造、及び防音構造の製造方法
JP6510653B2 (ja) 防音構造
JP2013542347A (ja) 吸音特性に優れた石膏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S61500692A (ja) 音響障壁
AU2018306554A1 (en) Shroud
CN1754201B (zh) 使用薄膜的吸音结构
CN111238019A (zh) 一种制冷设备
JP2009293252A (ja) 吸音構造体、吸音構造体群、吸音構造、音響室及び騒音低減方法
JP6482040B2 (ja) ペーパーコア材を使った吸音パネル
WO2019138969A1 (ja) 防音箱
JP6222628B2 (ja) ペーパーコア材を使った吸音パネル
JP6379413B2 (ja) コア材と多孔ボード材とを使った吸音パネル
JP2010085818A (ja) 吸音材
JP2001065077A (ja) 吸音パネル
JP4942716B2 (ja) 吸音構造体、電気機器、電気掃除機、及び、吸音構造体の製造方法
WO2019138884A1 (ja) 防音構造、防音囲構造、及び防音箱
AU2008288674B2 (en) An acoustic panel
JP2020100939A (ja) 防音構造体、及び防音パネル
CN213062733U (zh) 低频共振吸声复合结构
JP6569968B2 (ja) コア材を使った吸音パネル
JP2009084991A (ja) 紙素材防音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