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627B1 -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 및 그것을 사용한 혼섬사 및 직편물 - Google Patents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 및 그것을 사용한 혼섬사 및 직편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627B1
KR102272627B1 KR1020187024711A KR20187024711A KR102272627B1 KR 102272627 B1 KR102272627 B1 KR 102272627B1 KR 1020187024711 A KR1020187024711 A KR 1020187024711A KR 20187024711 A KR20187024711 A KR 20187024711A KR 102272627 B1 KR102272627 B1 KR 102272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mide
heat
yarn
fiber
d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4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8181A (ko
Inventor
쇼이치로 우치야마
키리타 사토
요시후미 사토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8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6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8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condensation product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9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condensation product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8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combining fibres, filaments, or yarns, having different shrinkag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7Shapes or effects upon shrinkag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6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synthe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04B21/16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incorporating synthetic th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고밀도감, 팽윤감, 및 소프트감이 있는 직편물을 제공한다.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는 유리전이온도(Tg)가 85∼95℃이며, 비등수 수축률(B)이 30∼50%, 열수축 응력(H)이 0.20cN/dtex 이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 및 그것을 사용한 혼섬사 및 직편물
본 발명은 고열수축성을 갖는 폴리아미드 섬유 및 그것을 사용한 혼섬사 및 직편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금까지의 섬유에는 보여지지 않았던 특수 섬유를 사용한 직물 등의 봉제품의 개발이 활발하다. 그 중에서 고수축성을 부여한 섬유를 이용한 예는 많고, 예를 들면 열수축성이 다른 2종의 섬유를 혼합한 혼섬사나, 열수축성이 높은 원사를 제직한 후에 비등수나 스팀 등으로 열처리해서 벌키성이나 팽윤감을 갖게 하여, 감촉이나 표면 특성을 개량한 직물의 개발이 수많이 이루어져 있다.
고수축성을 부여한 섬유의 대표예로서, 고수축성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있지만,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폴리아미드 섬유와 비교해서 영률이 높은 특성이 있기 때문에, 열처리해서 수축시킨 후의 감촉이 단단하여 의료 용도로서의 쾌적성에 문제가 있었다. 한편, 폴리아미드 섬유는 영률이 낮아 부드러운 감촉이 얻어지고, 내마모성 등의 뛰어난 특성을 갖기 때문에 의료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되지만, 새로운 기능 부여를 위해서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에 대해서 다수의 개발이 행하여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결정성 폴리아미드와 비결정성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는 비등수 수축률 35% 이상인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결정성 폴리아미드와 비결정성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는 비등수 수축률 15% 이상인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열수축 응력이 220∼400mg/d인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에는 열수축 응력이 0.15cN/dtex 이상인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평 4-281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 3-64516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0-7323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7-100270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 2에 개시되어 있는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는 높은 비등수 수축률을 갖지만, 수축 응력이 작기 때문에 상기 폴리아미드 섬유를 제직·제편한 직편물에 열처리를 해도, 충분하게 수축되지 않아 팽윤감이 있는 고밀도인 직물은 얻어지지 않았다.
특허문헌 3, 4에 개시되어 있는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는 높은 열수축 응력을 갖지만, 유리전이온도(Tg)가 실온에 가깝기 때문에 직편물 등의 상기 폴리아미드 섬유에 장력이 걸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 보관되어 있으면, 경시에서 열수축 응력이 저하해 버려 상기 폴리아미드 섬유를 제직·제편한 직편물에 열처리를 해도, 수축 응력이 작기 때문에 충분하게 수축되지 않아 팽윤감이 있는 고밀도인 직물은 얻어지지 않았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며, 열수축 응력(H), 비등수 수축률(B)이 높은 수축 특성을 갖는 고열수축성을 갖는 폴리아미드 섬유를 제공하는 것, 및 이것에 의해 적어도 일부에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를 사용한 혼섬사가 벌키성을 갖고, 적어도 일부에 고열수축성을 갖는 폴리아미드 섬유 및/또는 혼섬사를 사용한 직편물이 팽윤감, 소프트감이 있는 고밀도인 직편물로 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는 다음 구성을 갖는다.
(1) 유리전이온도(Tg)가 85∼95℃이며, 비등수 수축률(B)이 25∼50%, 열수축 응력(H)이 0.20cN/dtex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
(2) 총 섬도가 5∼80dtex이며, 단사섬도가 0.9∼3.0dte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기재의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
(3) 혼섬사의 적어도 일부에 (1) 또는 (2)에 기재된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섬사.
(4) 직편물의 적어도 일부에 (1) 또는 (2)에 기재된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 및/또는 (3)에 기재된 혼섬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는 열수축 응력(H), 비등수 수축률(B)이 높아 수축 특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유리전이온도(Tg)가 높아 경시에 의한 열수축 응력 저하가 없기 때문에, 상기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에 의해 적어도 일부에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를 사용한 혼섬사는 벌키성을 갖고, 적어도 일부에 고열수축성을 갖는 폴리아미드 섬유 및/또는 혼섬사를 사용한 직편물은 팽윤감, 소프트감이 있는 고밀도인 직편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는 결정성 폴리아미드와 비결정성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는 섬유이다.
결정성 폴리아미드는 결정을 형성해 융점을 갖는 폴리아미드이며, 소위 탄화수소기가 주쇄에 아미드 결합을 통해서 연결된 폴리머이며, 폴리카프라미드, 폴리헥사메틸렌아디프아미드, 폴리헥사메틸렌세바카미드, 폴리테트라메틸렌아디프아미드, 1,4-시클로헥산비스(메틸아민)과 선상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축합 중합형 폴리아미드 등, 및 이것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단, 균일한 계를 재현하기 쉽고, 안정된 기능 발현의 점으로부터 호모의 폴리아미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정성 폴리아미드는 디아민류, 이염기산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인 디아민류로서는 테트라메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노나메틸렌디아민, 운데카메틸렌디아민, 도데카메틸렌디아민,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비스-(4,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 메타크실릴렌디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이염기산류로서는 글루타르산, 피멜산, 아디프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운데칸디온산, 도데카디온산, 헥사데카디온산, 헥사데센디온산, 에이코산디온산, 디글리콜산, 2,2,4-트리메틸아디프산, 크실릴렌디카르복실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에 사용하는 결정성 폴리아미드는 어떠한 것이라도 좋지만, 제조 비용, 섬유의 강도 유지의 양면으로부터 폴리카프라미드, 폴리헥사메틸렌아디프아미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에 있어서의 비결정성 폴리아미드는, 결정을 형성하지 않고 융점을 가지지 않는 폴리아미드이며, 예를 들면 이소프탈산/테레프탈산/헥사메틸렌디아민의 중축합체, 이소프탈산/테레프탈산/헥사메틸렌디아민/비스(3-메틸-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의 중축합체, 이소프탈산/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의 중축합체, 테레프탈산/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의 중축합체, 이소프탈산/테레프탈산/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의 중축합체, 이소프탈산/비스(3-메틸-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ω-라우로락탐의 중축합체, 테레프탈산/비스(3-메틸-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ω-라우로락탐의 중축합체 등이 있다. 또한, 이들 중축합체를 구성하는 테레프탈산 성분 및/또는 이소프탈산 성분의 벤젠환이 알킬기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것도 포함된다. 또한, 이들 비결정성 폴리아미드는 1종류라도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에 사용하는 비결정성 폴리아미드는, 높은 유리전이온도(Tg)를 갖고 있는 점으로부터 이소프탈산/테레프탈산/헥사메틸렌디아민의 중축합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에 있어서의 결정성 폴리아미드와 비결정성 폴리아미드의 중량 비율은, 결정성 폴리아미드/비결정성 폴리아미드=90/10∼50/50이다. 비결정성 폴리아미드의 중량 비율이 10중량% 미만인 경우, 열수축 응력(H) 및 비등수 수축률(B)의 수축 특성이 작아져, 혼섬사를 제작했을 때에는 열처리를 실시해도 실길이 차가 발현되기 어려워 충분한 벌키성을 얻을 수 없으며, 또한 직물을 제작했을 때에는 열처리를 실시해도 충분하게 수축되지 않아 팽윤감, 소프트감이 있는 고밀도인 직물을 얻을 수 없다. 또한, 비결정성 폴리아미드의 중량 비율이 50중량%를 초과하면 예사성이 부족하여 안정 제사할 수 없다. 그 때문에, 결정성 폴리아미드/비결정성 폴리아미드=80/20∼60/40인 것이 바람직하고, 70/30∼60/4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중량 비율이란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의 프로톤 NMR을 측정하고,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는 카르복실기의 α위치의 수소에 유래하는 시그날(통상 3ppm 부근)의 피크 면적(A)과, 방향족 탄화수소에 유래하는 시그날(통상 7ppm 부근)의 피크 면적(B)으로부터 결정성 폴리아미드와 비결정성 폴리아미드의 반복비를 구한다(A=결정성 폴리아미드의 반복수×2+비결정성 폴리아미드의 반복수×2, B=비결정성 폴리아미드의 반복수×4). 같은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에 대해서 질량분석을 행함으로써 폴리아미드의 반복단위의 질량수를 측정한다. 구한 반복비와 각각의 폴리아미드의 반복단위의 질량수의 곱으로부터 중량 비율을 산출하는 것이다.
또한,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에는, 필요에 따라서 안료,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내후제, 난연제, 가소제, 이형제, 활제, 발포제, 대전방지제, 성형성 개량제, 강화제 등을 첨가해도 좋다.
본 발명의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는 결정성 폴리아미드와 비결정성 폴리아미드가 서로 상용되어 있는 상용계이다. 상용계와 비상용계의 판단은 3000배의 TEM 관찰 결과에 있어서 직경 10㎚ 이상의 분산상을 갖는 해도의 상분리 구조가 관찰되었을 때는 비상용계, 직경 10㎚ 이상의 분산상을 갖는 해도의 상분리 구조가 관찰되지 않았을 때는 상용계로 판정했다. 상용계에 있어서는, 결정성 폴리아미드에 비결정성 폴리아미드가 섬유구조 형성했을 때에 서로 얽힘을 형성함으로써 결정성 폴리아미드의 비결정부에 고변형띠를 형성할 수 있고, 소망하는 비등수 수축률(B)과 열수축 응력(H)을 발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는 유리전이온도(Tg)가 85∼95℃이다. 본 발명의 고열수축 응력 폴리아미드 섬유의 유리전이온도(Tg)는, 결정성 폴리아미드와 비결정성 폴리아미드의 반응성의 지표이며, 섬유에 구조 형성했을 때의 결정성 폴리아미드의 비결정부에서 생성한 고변형띠의 형성에 의존한다. 유리전이온도(Tg)를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상기 폴리아미드 섬유가 장력이 걸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 보관되어 있어도 소망하는 경시 열수축 응력(H2)을 발현시킬 수 있다. 유리전이온도(Tg)가 85℃ 미만의 경우, 결정성 폴리아미드의 비결정부에서 생성한 고변형띠가 완화되기 때문에, 상기 폴리아미드 섬유가 장력이 걸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 보관되면 소망하는 경시 열수축 응력(H2)이 얻어지지 않는다. 유리전이온도(Tg)가 95℃를 초과하면, 비결정성 폴리아미드와 결정성 폴리아미드가 지나치게 반응해 버려 결정 사이즈가 작아지기 때문에 초기의 열수축 응력(H)은 높지만, 상기 폴리아미드 섬유가 장력이 걸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 보관되면 소망하는 경시 열수축 응력(H2)이 얻어지지 않는다.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의 유리전이온도(Tg)는 바람직하게는, 87∼93℃이다.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의 경시 열수축 응력(H2)은 바람직하게는 0.20cN/dtex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cN/dtex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0.30cN/dtex 이상이다. 또한, 열수축 응력이 지나치게 높아지면, 직물을 제작했을 때에는 수축하는 파워가 지나치게 높아져서 직물의 교착점에서의 지나치게 막힘이 생기기 때문에 마찰에 약해지고, 보풀이나 곱슬마디 등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얻어지는 직물의 품위가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의 경시 열수축 응력(H2)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0.50cN/dtex이다.
본 발명의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는 비등수 수축률(B)이 25∼50%이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혼섬사를 제작했을 때에는 비등수나 스팀 등으로 열처리했을 때에 수축 특성이 다른 섬유와의 수축차에 의해 실길이 차가 발현되고, 부피가 큰 혼섬사가 얻어진다. 또한, 직물을 제작했을 때에는 비등수나 스팀 등으로 열처리했을 때에 충분하게 수축하여 팽윤감이 있는 고밀도인 직물을 얻을 수 있다. 비등수 수축률(B)이 25% 미만인 경우, 혼섬사를 제작했을 때에는 열처리를 실시해도 실길이 차가 발현되기 어려워 충분한 벌키성을 얻을 수 없고, 또한 직물을 제작했을 때에는 열처리를 실시해도 충분하게 수축되지 않아 팽윤감, 소프트감이 있는 고밀도인 직물을 얻을 수 없다. 비등수 수축률(B)이 50%를 초과하면, 직물을 제작했을 때에는 열처리를 실시했을 때에 치수 변화가 지나치게 커져 직물의 밀도가 과밀해지고, 감촉이 단단해져 팽윤감, 소프트감이 떨어지는 것에 추가해서, 직물의 교착점에서의 막힘의 발생 형태에 불균일이 생겨서 수축 불균일이 생기기 때문에, 얻어지는 직물의 품위가 떨어진다.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의 비등수 수축률(B)은 바람직하게는 30∼45%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비등수 수축률(B)은 섬유 시료를 50㎝의 루프로 하고, 섬도의 1/30(g)의 초하중을 가해서 길이 A를 구하고, 이어서 프리로 해서 비등수 중에 30분간 침지한 후 자연 건조하고, 다시 섬도의 1/30(g)의 초하중을 가해서 길이 B를 구하고, 다음 식으로 비등수 수축률(B)을 산출하는 것이다.
비등수 수축률(B)(%)=〔(A-B)/A〕×100
본 발명의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는 열수축 응력(H)이 0.20cN/dtex 이상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열수축 응력(H)이란, 가네보 엔지니어링사제 KE-2형 열수축 응력 측정기를 사용하고, 측정하는 섬유 사조를 연결하여 둘레길이 16㎝의 루프로 하고, 사조의 섬도(데시텍스)의 1/30g의 초하중을 가하고, 승온 속도 100℃/분으로 온도 변화시켰을 때의 하중을 측정해서, 얻어진 열응력 곡선의 피크값(최대값)을 열수축 응력(cN/dtex)으로 해서 측정되는 것이다.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의 열수축 응력(H)을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혼섬사를 제작했을 때에는 비등수나 스팀 등으로 열처리했을 때에 수축 특성이 다른 섬유를 동반해서 수축함으로써 보다 부피가 큰 혼섬사가 얻어진다. 또한, 직물을 제작했을 때에는 비등수나 스팀 등으로 열처리했을 때에 수축 특성이 다른 섬유를 실 동반해서 충분하게 수축하고, 보다 팽윤감, 소프트감이 있는 고밀도인 직물을 얻을 수 있다. 열수축 응력(H)이 0.20cN/dtex 미만인 경우, 혼섬사를 제작했을 때에는 열처리를 실시해도 열수축 응력(H)이 충분하지 않고, 실길이 차가 발현되기 어려워 충분한 벌키성을 얻을 수 없고, 또한 직물을 제작했을 때에는 열처리를 실시해도 균일하게 수축되지 않고 수축 불균일이 생겨 팽윤감이 있는 고밀도인 직물을 얻을 수 없다.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의 열수축 응력(H)은 바람직하게는 0.25cN/dtex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0cN/dtex 이상이다. 또한, 열수축 응력이 지나치게 높아지면, 직물을 제작했을 때에는 수축하는 파워가 지나치게 높아져서 직물의 교착점에서의 지나치게 막힘이 발생하기 때문에 마찰에 약해지고, 보풀이나 곱슬마디 등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얻어지는 직물의 품위가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의 열수축 응력(H)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0.50cN/dtex이다.
본 발명의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는 비등수 수축률(B)과 열수축 응력(H)이 상기 범위에서 수축 특성을 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비등수나 스팀 등으로 열처리했을 때의 치수변화를 나타내는 비등수 수축률(B)과 수축하는 파워 (힘)를 나타내는 열수축 응력(H)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비등수 수축률(B) 및 열수축 응력(H)을 상술한 범위로 함으로써,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를 적어도 일부에 포함하는 혼섬사를 제작했을 때에는 비등수나 스팀 등으로 열처리함으로써 수축 특성이 다른 섬유와의 실길이 차가 발현되고, 또한 수축 특성이 다른 섬유를 동반해서 수축함으로써 보다 부피가 큰 혼섬사가 얻어진다. 또한, 직물을 제작했을 때에는 비등수나 스팀 등으로 열처리함으로써 수축 특성이 다른 섬유를 실 동반해서 충분하게 수축하고, 보다 팽윤감, 소프트감이 있는 고밀도인 직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는, 총 섬도가 5∼80dtex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스포츠웨어, 다운재킷, 아우터 및 이너용 기포(foundation cloth)로서 사용할 때의 포백의 강도와 경량성의 관점으로부터 8∼50dtex가 보다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40dtex이다. 또한,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의 단사섬도는 0.9∼3.0dtex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스포츠웨어, 다운재킷, 아우터 및 이너용 기포로서 사용할 때의 포백의 강도와 소프트감의 관점으로부터, 0.9∼2.0dtex가 보다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9∼1.3dtex이다. 단사섬도를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비등수나 스팀 등으로 열처리한 혼섬사를 사용한 봉제품 또는 고밀도의 직편물에 있어서도, 착용했을 때에 양호한 소프트감이 얻어져 쾌적한 착용감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의 강신도는, 의료 용도의 경우, 통상 사용되는 강신도이면 되고, 고차 가공의 관점으로부터 신도 25∼50%, 강도 2.5cN/dtex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의 길이 방향의 섬도 불균일(U%)은, 의료 용도의 직물로서 사용할 경우, 포백의 가로 불균일 품위의 관점으로부터 1.2% 이하가 바람직하고, 1.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이하이다.
본 발명의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의 단면 형상은 특별하게 한정은 없지만, 용도 등에 따라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고, 원형, 삼각, 편평, Y형, 별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결정성 폴리아미드 및 비결정성 폴리아미드를 혼합·용융할 때에, 프레셔 멜터, 단축 압출기나 2축 압출기를 사용하는 용융 혼련법을 들 수 있다. 용융 혼련법으로서 프레셔 멜터법 또는 압출기법이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결정성 폴리아미드와 비결정성 폴리아미드로 상용계를 형성하고, 높은 열수축 응력(H)을 얻기 위해서는 단축 압출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셔 멜터를 사용하면, 균일하게 혼합되지 않기 때문에, 해도의 상분리 구조를 형성하고, 높은 열수축 응력(H)을 얻을 수 없다. 또한, 2축 압출기를 사용할 경우, 결정성 폴리아미드와 비결정성 폴리아미드가 지나치게 반응해 버려, 결정성 폴리아미드의 비결정부에 형성되는 고변형띠가 적어지고, 높은 열수축 응력(H)이 얻어지지 않는다. 방사팩에 유입한 결정성 폴리아미드와 비결정성 폴리아미드의 혼합 폴리머는, 공지의 방사구금으로부터 토출된다. 또한, 용융 온도, 방사 온도(소위 폴리머 배관이나 방사팩 주위의 보온 온도)는 폴리아미드의 융점+20℃∼융점+60℃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의 제조 방법 프로세스에 대해서, 방사-연신 공정을 연속해서 행하는 방법(직접 방사연신법), 미연신사를 일단 권취한 후에 연신하는 방법(2공정법), 또는 방사 속도를 3000m/min 이상과 같이 고속으로 해서 실질적으로 연신 공정을 생략하는 방법(고속 방사법) 등, 어느 방법에 있어서도 제조 가능하지만, 고효율 생산, 제조 비용의 면으로부터 직접 방사연신법, 고속방사법의 1공정법이 바람직하다.
용융방사의 직접 방사연신법에 의한 제조에 대해서 예시한다.
방사구금으로부터 토출된 폴리아미드 사조는, 통상의 용융방사와 마찬가지로 냉각, 고화되고, 급유한 후에 제 1 고데트 롤러에서 500∼4000m/min으로 인취하고, 제 1 고데트 롤러와 제 2 고데트 롤러 사이에서 1.0∼4.0배로 연신을 행한 후에, 2000m/min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0∼4500m/min으로 패키지에 권취한다.
이 때, 제 1 고데트 롤러와 제 2 고데트 롤러 사이의 둘레속도의 비율(연신 배율)이나, 권취 속도(와인더 속도)를 적절하게 설계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사조의 강신도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고데트 롤러를 가열 롤러로 해서 열 연신을 실시함으로써 폴리머의 유동성이 높아지고, 결정성 폴리아미드의 비결정부에서 고변형띠가 생성되어 열수축 응력(H)이 향상된다. 열 연신 온도는 130∼160℃인 것이 바람직하고, 140∼16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고데트 롤러를 가열 롤러로 해서 열 셋팅을 실시함으로써 사조의 열수축 응력을 적절하게 설계할 수 있다. 열 셋팅 온도는 130∼180℃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17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권취까지의 공정에서 공지의 교락 장치를 사용하고, 교락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필요하면 복수회 교락을 부여함으로써 교락수를 늘리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권취 직전에 추가로 유제를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혼섬사는 본 발명의 고열수축 폴리아미드 섬유를 적어도 일부에 사용한다.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와 수축 특성이 다른 섬유와 혼섬함으로써, 비등수나 스팀 등으로 열처리했을 때의 수축 특성 차에 의해 실길이 차가 발현되고, 부피가 큰 혼섬사가 얻어진다. 여기에서 말하는 이수축성(異收縮性)을 나타내는 섬유란, 비등수나 스팀 등으로 열처리했을 때의 비등수 수축률(B)이 다른 섬유이다. 화학섬유, 천연섬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화학섬유의 예로서는 폴리카프라미드, 폴리헥사메틸렌아디프아미드로 대표되는 폴리아미드계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대표되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나 폴리프로필렌으로 대표되는 폴리올레핀계 섬유 등이다. 의료 용도에서는 폴리아미드계 섬유, 폴리에스테르계 섬유가 바람직하다. 스포츠웨어, 다운재킷, 아우터 및 이너 용도에서는 폴리아미드계 섬유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와 수축 특성이 다른 섬유의 비등수 수축률(B)의 차는, 10∼30%인 것이 소프트감과 팽윤감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등수 수축률(B)의 차가 15∼30%이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와 수축 특성이 다른 섬유의 열수축 응력(H)의 차는, 0.10∼0.40cN/dtex인 것이 소프트감과 팽윤감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열수축 응력(H)의 차가 0.15∼0.30cN/dtex이면 좋다.
본 발명의 혼섬사는 공지의 방법에 따라 실가공 가능하다. 혼섬법으로서는, 방사혼섬, 에어혼섬, 합연, 복합가연 등이 적용 가능하지만, 에어혼섬이 혼섬의 제어를 하기 쉽고 또한 제조 비용도 낮아 바람직하다. 에어혼섬 방법으로서는 인터레이스 가공, 타슬란 가공, 선회기류를 이용한 가공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직편물은 본 발명의 고열수축 폴리아미드 섬유 및/또는 혼섬사를 적어도 일부에 사용한다.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와 수축 특성이 다른 섬유와 제직, 제편함으로써 비등수나 스팀 등으로 열처리했을 때에, 고열수축 폴리아미드 섬유가 충분하게 수축하고, 수축 특성이 다른 섬유를 동반해서 수축하여, 팽윤감, 소프트감이 있는 고밀도인 직편물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직편물은 공지의 방법에 따라 제직, 제편 가능하다. 또한, 직편물의 조직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직물의 경우, 그 조직은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서 평조직, 능조직, 주자직이나 그것들의 변화 조직, 혼합 조직의 어느 것이여도 개의치 않지만, 직물의 질이 단단한 팽윤감이 있는 직물로 하기 위해서는, 구속점이 많은 평조직, 평조직과 스톤아이, 나나코 조직을 조합시킨 립스탑 조직이 바람직하다. 편물의 경우, 그 조직은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환편지의 천축 조직, 인터록 조직, 경편지의 하프 조직, 새틴 조직, 자카드 조직이나 그것들의 변화 조직, 혼합 조직의 어느 것이여도 개의치 않지만, 편지가 얇고 안정성이 있으며, 또한 신장율에도 뛰어난 점으로부터 싱글 트리콧 편지의 하프 조직지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직편물을 일부에 사용하는 봉제품은, 그 용도를 한정받는 것은 아니지만, 의료용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다운재킷, 바람막이, 골프웨어, 비옷 등으로 대표되는 스포츠, 캐주얼웨어나 부인 신사 의료이다. 특히 스포츠웨어, 다운재킷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어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 융점
시차 주사 열량계(DSC)에 TA Instrument사제 Q1000을 사용해서 열분석을 행하고, Universal Analysis 2000으로 데이터 처리를 실시했다. 열분석은 질소 유하(50mL/min)로, 온도 범위 -50∼300℃, 승온 속도 10℃/min, 시료 중량 약 5g(열량 데이터는 측정 후 중량으로 규격화)으로 측정을 실시했다. 융해 피크로부터 융점을 측정했다.
B. 상대점도
폴리아미드의 시료 0.25g을, 농도 98질량%의 황산 25ml에 대하여 1g/100ml로 되도록 용해하고, 오스왈드형 점도계를 이용하여 25℃에서의 유하 시간(T1)을 측정했다. 계속해서, 농도 98질량%의 황산만의 유하 시간(T2)을 측정했다. T2에 대한 T1의 비, 즉 T1/T2을 황산 상대점도로 했다.
C. 총 섬도, 단사섬도
JIS L1013에 준해 총 섬도 및 단사섬도를 측정했다. 섬유 시료를 1/30(g)의 장력으로 프레임 둘레 1.125m의 검척기로 200회 감긴 실타래를 작성한다. 105℃에서 60분 건조해 데시케이터에 옮기고, 20℃ 55RH 환경 하에서 30분 방치 냉각하고, 실타래의 중량을 측정해서 얻어진 값으로부터 10000m당의 중량을 산출하고, 공정 수분율을 4.5%로 해서 섬유의 총 섬도를 산출했다. 측정은 4회 행하고, 평균값을 총 섬도로 했다. 또한, 총 섬도를 필라멘트수로 나눈 값을 단사섬도로 했다.
D. 유리전이온도(Tg)
시차 주사 열량계(DSC)에 TA Instrument사제 Q1000을 사용해서 열분석을 행하고, Universal Analysis 2000으로 데이터 처리를 실시했다. 열분석은 질소 유하(50mL/min)로, 온도 범위 -50∼270℃, 승온 속도 2도/min, 온도 변조 주기 60초, 온도 변조 진폭 ±1℃, 시료 중량 약 5g(열량 데이터는 측정 후 중량으로 규격화)으로 측정을 실시했다. 단차 형상의 기선의 어긋남으로서 관측되는 흡열 피크 온도를 유리전이온도(Tg)로 했다.
E. 비등수 수축률(B)
섬유시료를 50㎝의 루프로 하고, 섬도의 1/30(g)의 초하중을 가해서 길이 A를 구하고, 이어서 프리로 해서 비등수 중에 30분간 침지한 후 자연 건조하고, 다시 섬도의 1/30(g)의 초하중을 가해서 길이 B를 구하고, 다음 식으로 비등수 수축률(B)을 산출했다.
비등수 수축률(B)(%)=〔(A-B)/A〕×100
F. 열수축 응력(H), 경시 열수축 응력(H2)
가네보 엔지니어링사제 KE-2형 열수축 응력 측정기를 사용하고, 권취한 패키지로부터 해서한 혼섬 사조를 연결해 둘레길이 16㎝의 루프로 하고, 사조의 섬도의 1/30g의 초하중을 가하고, 실온으로부터 210℃까지 승온 속도 100℃/분으로 온도 변화시켰을 때의 열응력을 측정해서, 얻어진 열응력 곡선의 피크값(최대값)을 열수축 응력(H)으로 했다. 또한, 권취한 패키지로부터 해서한 혼섬 사조를 연결해 둘레길이 16㎝의 루프로 하고, 무하중의 상태에서 20℃, 상대습도 65%로 24시간 유지하고, 그 후에 사조의 섬도의 1/30g의 초하중을 가하고, 실온으로부터 210℃까지 승온 속도 100℃/분으로 열응력을 측정해서, 얻어진 열응력 곡선의 피크값을 경시 열수축 응력(H2)으로 했다.
G. 결정성 폴리아미드와 비결정성 폴리아미드의 중량 비율
NMR 측정으로부터 결정성 폴리아미드와 비결정성 폴리아미드의 반복비를, 질량분석으로부터 각각의 폴리아미드의 반복단위의 질량수를 산출하고, 중량 비율을 구했다.
(a) NMR 측정
핵자기 공명 분광법(1H-NMR)을 사용해 테트라메틸실란(TMS)을 내부 표준물질(0ppm)로 해서 측정했다.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는 카르복실기의 α위치의 수소에 유래하는 시그날(통상 3ppm 부근)의 피크 면적(A)과, 방향족 탄화수소에 유래하는 시그날(통상 7ppm 부근)의 피크 면적(B)으로부터 결정성 폴리아미드와 비결정성 폴리아미드의 반복비를 구한다(A=결정성 폴리아미드의 반복수×2+비결정성 폴리아미드의 반복수×2, B=비결정성 폴리아미드의 반복수×4).
(b) 질량분석
매트릭스 지원 레이저 탈리 이온화 질량분석(MALDI-MS), 비행 시간형 질량분석법(TOF-MS), 비행시간형 매트릭스 지원 레이저 탈리 이온화 질량분석(MALDI-TOF-MS)을 사용해 반복단위의 질량수를 결정했다.
(c) 중량 비율
결정성 폴리아미드의 중량 비율(%)=(A/2)×(결정성 폴리아미드의 질량수)
비결정성 폴리아미드의 중량 비율(%)=(A/2-B/4)×(비결정성 폴리아미드의 질량수)
H. 상용성
사조를 RuO4 증기에 노출시키고, 실과 포매수지의 경계를 명확히 하기 위한 코팅을 한다. 그 후, 수지로 포매하고, 박절편을 제작, 인텅스텐산(PTA) 수용액에서 15min 염색한다. 이상과 같이 해서 얻어진 관찰 대상물을, 투과형 전자현미경(히타치 세이사쿠쇼사제 H-7100)을 사용하고, 가압 전압 100kV로 박절편을 관찰했다. 관찰 배율은 3000배로 섬유 횡단면을 관찰했다. TEM 관찰 결과에 있어서, 직경 10㎚ 이상의 분산상을 갖는 해도의 상분리 구조가 관찰되었을 때는 비상용계(×; incompatible), 직경 10㎚ 이상의 분산상을 갖는 해도의 상분리 구조가 관찰되지 않았을 때는 상용계(○; compatible)로 판정했다.
I. 강도 및 신도
섬유 시료를 오리엔테크(주)제 "TENSILON"(등록상표), UCT-100에서 JIS L1013(화학섬유 필라멘트사 시험 방법, 2010년)에 나타내어지는 정속 신장 조건으로 측정했다. 신도는 인장 강도-신장 곡선에 있어서의 최대 강력을 나타낸 점의 신장으로부터 구했다. 또한, 강도는 최대 강력을 섬도로 나눈 값을 강도로 했다. 측정은 10회 행하고, 평균값을 강도 및 신도로 했다.
J. 섬도 불균일(U%)
섬유 시료를, Zellweger Uster사제 USTER TESTER III로, 시료 길이: 250m, 측정 실속도: 50m/min, 측정 레인지(12.5% HI)에서 1/2Inert로 4회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U%값으로 했다.
K. 편물의 평가
(a) 나일론6 사조의 제조
상대점도 2.70의 폴리카프로락탐(N6)을 사용하고, 구금 토출구멍을 60개 갖는 방사구금으로부터 방사 온도 275℃에서 용융 토출시켰다. 용융 토출시킨 후, 사조를 냉각, 급유, 교락한 후에 2560m/min의 고데트 롤러로 인취하고, 계속해서 1.7배로 연신한 후에 155℃에서 열고정하고, 권취 속도 4000m/min로 80dtex 60필라멘트의 나일론6 사조를 얻었다. 또한, 얻어진 나일론6 사조는 섬도 78.8dtex, 강도 4.0cN/dtex, 신도 59%, 비등수 수축률 10%, 열수축 응력 0.09cN/dtex이었다.
(b) 혼섬사의 제조
상기 (a)에서 얻어진 나일론6 사조와 실시예 1∼7 및 비교예 1∼6에서 얻어진 폴리아미드 사조를, 인터레이스 가공기를 이용하여 교락압 2.0kg/㎠의 교락 처리를 실시해서 혼섬 가공을 행하고, 113dtex 또는 122dtex의 혼섬사를 얻었다.
(c) 통편지 제작
상기 (b)에서 얻어진 혼섬사 시료를, 통편기에서 도목(度目) 50이 되도록 조정해서 통편지를 제작했다.
얻어진 통편지를 80℃에서 20분 정련을 행하고, 계속해서 Kayanol Yellow N5G 1% owf, 아세트산을 이용하여 pH4로 조정하고, 100℃에서 30분간 염색을 행하고, 그 후, 80℃에서 20분간 Fix 처리를 행하고, 최후에 감촉의 개량을 위해서 170℃에서 30초간 열처리를 행하였다.
(d) 편물 평가
상기 (c)에서 얻어진 통편지를 숙련 기술자(5명)의 촉감에 의해 벌키감(팽윤감)에 대해서, 이하의 5단계로 실시했다. 각 기술자의 평가점의 평균값의 소수점 1자리를 사사 오입하여, 5점을 ◎(excellent), 4점을 ○(good), 3점을 △(fair), 1∼2점을 ×(poor)로 했다.
5점: 매우 뛰어나다
4점: 약간 뛰어나다
3점: 어느쪽도 아니다
2점: 약간 뒤떨어진다
1점: 뒤떨어진다
L. 직물 평가
(a) 경사의 제조
상대점도 2.70의 폴리카프로락탐(N6)을 사용하고, 구금 토출구멍을 20개 갖는 방사구금으로부터 방사 온도 275℃에서 용융 토출시켰다. 용융 토출시킨 후, 사조를 냉각, 급유, 교락한 후에 2560m/min의 고데트 롤러로 인취하고, 계속해서 1.7배로 연신한 후에 155℃에서 열고정하고, 권취 속도 4000m/min으로 22dtex 20필라멘트의 나일론6 사조를 얻었다.
(b) 직물의 제조
상기 (a)에서 얻어진 나일론6 사조를 경사(경사 밀도 90개/2.54㎝)에 사용하고,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폴리아미드 사조를 위사에 사용해 평직물을 제직했다(단위중량 40g/㎠).
얻어진 직물을 80℃에서 20분 정련을 행하고, 계속해서 Kayanol Yellow N5G 1% owf, 아세트산을 이용하여 pH4로 조정하고, 100℃에서 30분간 염색을 행하고, 그 후에 80℃에서 20분간 Fix 처리를 행하고, 최후에 감촉의 개량을 위해서 170℃에서 30초간 열처리를 행하였다.
(c) 직물 평가
상기 (b)에서 얻어진 직물을 숙련 기술자(5명)의 촉감에 의해 고밀도감, 소프트감 및 팽윤감 각각에 대해서, 이하의 5단계로 실시했다. 각 기술자의 평가점의 평균값의 소수점 1자리를 사사 오입하여 5점을 ◎(excellent), 4점을 ○(good), 3점을 △(fair), 1∼2점을 ×(poor)로 했다.
5점: 매우 뛰어나다
4점: 약간 뛰어나다
3점: 어느쪽도 아니다
2점: 약간 뒤떨어진다
1점: 뒤떨어진다
[실시예 1]
결정성 폴리아미드로서 폴리카프로락탐(N6)(상대점도 ηr: 2.62, 융점 222℃)과, 비결정성 폴리아미드로서 이소프탈산(6I)/테레프탈산(6T)/헥사메틸렌디아민의 중축합체이고 이소프탈산/테레프탈산의 공중합 비율이 7/3인 공중합체(상대점도 ηr: 2.10)를, 결정성 폴리아미드/비결정성 폴리아미드의 중량비가 70/30에서 단축 압출기를 사용해 265℃로 용융 혼련하고, 26구멍, 둥근 구멍의 토출구멍을 갖는 방사구금을 이용하여 용융 토출했다(방사 온도: 265℃). 용융 토출시킨 후, 사조를 냉각, 급유, 교락한 후에 1500m/min의 제 1 고데트 롤러(연신 온도: 150℃)로 인취하고, 계속해서 2.4배로 연신한 후에 165℃에서 열고정하고, 권취 속도 3500m/min으로 33dtex 26필라멘트의 폴리아미드 사조(상대점도 ηr: 2.46, 유리전이온도(Tg): 91℃)를 얻었다.
[실시예 2]
결정성 폴리아미드/비결정성 폴리아미드의 중량비를 85/1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방사를 실시하고, 33dtex 26필라멘트의 폴리아미드 사조(상대점도 ηr: 2.54, 유리전이온도(Tg): 87℃)를 얻었다.
[실시예 3]
결정성 폴리아미드/비결정성 폴리아미드의 중량비를 55/4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방사를 실시하고, 33dtex 26필라멘트의 폴리아미드 사조(상대점도 ηr: 2.39, 유리전이온도(Tg): 92℃)를 얻었다.
[실시예 4]
결정성 폴리아미드로서 폴리헥사메틸렌아디프아미드(N66)(상대점도 ηr: 2.80, 융점 263℃)를 사용하고, 방사 온도를 285℃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방사를 실시하고, 33dtex 26필라멘트의 폴리아미드 사조(상대점도 ηr: 2.59, 유리전이온도(Tg): 92℃)를 얻었다.
[실시예 5]
결정성 폴리아미드로서 폴리헥사메틸렌세바시미드(N610)(상대점도 ηr: 2.80, 융점 219℃)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방사를 실시하고, 33dtex 26필라멘트의 폴리아미드 사조(상대점도 ηr: 2.59, 유리전이온도(Tg): 93℃)를 얻었다.
[실시예 6]
연신 배율을 2.8배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방사를 실시하고, 33dtex 26필라멘트의 폴리아미드 사조(상대점도 ηr: 2.59, 유리전이온도(Tg): 92℃)를 얻었다.
[실시예 7]
결정성 폴리아미드/비결정성 폴리아미드의 중량비를 85/15로 한 것, 토출량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방사를 실시하고, 54dtex 26필라멘트의 폴리아미드 사조(상대점도 ηr: 2.54, 유리전이온도(Tg): 85℃)를 얻었다.
[비교예 1]
결정성 폴리아미드/비결정성 폴리아미드의 중량비를 95/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방사를 실시하고, 33dtex 26필라멘트의 폴리아미드 사조(상대점도 ηr: 2.59, 유리전이온도(Tg): 22℃)를 얻었다.
[비교예 2]
결정성 폴리아미드/비결정성 폴리아미드의 중량비를 30/70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방사를 실시하고, 33dtex 26필라멘트의 폴리아미드 사조(상대점도 ηr: 2.26, 유리전이온도(Tg): 23℃)를 얻었다.
[비교예 3]
2축 압출기를 사용해 용융 혼련 한 것, 제 1 고데트 롤러를 비가열(연신 온도: 실온)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방사를 실시하고, 33dtex 26필라멘트의 폴리아미드 사조(상대점도 ηr: 2.96, 유리전이온도(Tg): 102℃)를 얻었다.
[비교예 4]
2축 압출기를 사용해 용융 혼련한 것, 제 1 고데트 롤러의 연신 온도를 9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방사를 실시하고, 33dtex 26필라멘트의 폴리아미드 사조(상대점도 ηr: 2.96, 유리전이온도(Tg): 102℃)를 얻었다.
[비교예 5]
결정성 폴리아미드로서 폴리카프로락탐과 헥사메틸렌아디프아미드의 공중합체이고 폴리카프로락탐과 헥사메틸렌아디프아미드의 공중합 비율이 85/15인 공중합체(N6/N66 공중합체)(상대점도 ηr: 2.69, 융점: 198℃)를 사용한 것, 제 1 고데트 롤러의 연신 온도를 12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방사를 실시하고, 33dtex 26필라멘트의 폴리아미드 사조(상대점도 ηr: 2.66, 유리전이온도(Tg): 29℃)를 얻었다.
[비교예 6]
결정성 폴리아미드로서 폴리카프로락탐(N6)(상대점도 ηr: 2.62, 융점: 222℃)과, 나일론 MXD6(미쓰비시 가스 카가쿠제, 상대점도 ηr: 2.70, 융점: 237℃)을, 폴리카프로락탐/나일론 MXD6 중량비를 50/50으로 한 것, 제 1 고데트 롤러의 연신 온도를 8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방사를 실시하고, 33dtex 26필라멘트의 폴리아미드 사조(상대점도 ηr: 2.66, 유리전이온도(Tg): 32℃)를 얻었다.
폴리아미드 사조의 폴리머 조성, 제사성(상용성) 및 연신 조건을 표 1에 정리했다. 또한, 얻어진 폴리아미드 사조의 원사 특성, 편물 평가 및 직물 평가의 결과를 표 2에 정리했다.
Figure 112018085190219-pct00001
Figure 112018085190219-pct00002
표 2의 결과로부터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7의 폴리아미드 사조를 일부(위사)에 사용한 직물은, 열처리 공정을 거침으로써 경사와 위사의 수축차에 의해 위사가 수축하는 작용과, 위사가 경사를 동반해서 수축하는 작용의 상승효과에 의해 뛰어난 수축을 발현하고, 의료용으로 적합한 소프트감, 팽윤감이 있는 고밀도인 직물이 얻어졌다.
표 1의 결과로부터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7의 폴리아미드 사조를 일부에 사용한 혼섬사는, 열처리 공정을 거침으로써 심사와 초사의 수축차에 의해 심사가 수축하는 작용과, 심사가 초사를 동반해서 수축하는 작용의 상승효과에 의해 뛰어난 수축을 발현하고, 부피가 큰 혼섬사가 얻어졌다.
비교예 1에서는 비결정성 폴리아미드 중량비가 적기 때문에, 열수축 응력(H)과 비등수 수축률(B) 모두 낮고, 벌키성이 떨어진 혼섬사이었다. 또한, 충분한 고밀도감도 얻어지지 않고, 팽윤감, 소프트감에 뒤떨어진 직물이었다.
비교예 2에서는 비결정성 폴리아미드 중량비가 많기 때문에 누사성이 부족하여 안정 제사가 불가능하였다. 또한, 열수축 응력(H)이 낮고, 벌키감이 뒤떨어진 혼섬사이었다. 또한, 충분한 밀도도 얻어지지 않고, 팽윤감, 소프트감이 뒤떨어진 직물이었다.
비교예 3, 4에서는, 유리전이온도(Tg)가 95℃를 초과하고, 비결정성 폴리아미드와 결정성 폴리아미드가 지나치게 반응해 버려, 상기 폴리아미드 섬유가 장력이 걸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 보관되면 경시 열수축 응력(H2)이 저하하기 때문에, 벌키성이 뒤떨어진 혼섬사이었다. 또한, 충분한 밀도도 얻어지지 않고, 팽윤감, 소프트감에 뒤떨어진 직물이었다.
비교예 5에서는 결정성 폴리아미드와 비결정성 폴리아미드의 상용성이 부족하고, 또한 유리전이온도(Tg)가 실온 근방이기 때문에, 경시에서의 상기 폴리아미드 섬유가 장력이 걸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 보관되면 경시에서 수축 응력이 저하하기 때문에, 높은 경시 열수축 응력(H2)이 얻어지지 않고, 벌키감이 뒤떨어진 혼섬사이었다. 또한, 충분한 고밀도감도 얻어지지 않고, 팽윤감, 소프트감이 뒤떨어진 직물이었다.
비교예 6에서는, 폴리아미드 사조가 2종류의 결정성 폴리아미드로 구성되는, 유리전이온도(Tg)가 실온 근방이기 때문에, 경시에서의 상기 폴리아미드 섬유가 장력이 걸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 보관되면 경시 열수축 응력(H2)이 저하하기 때문에, 높은 열수축 응력(H)이 얻어지지 않고, 벌키성이 뒤떨어진 혼섬사이었다. 또한, 충분한 고밀도감도 얻어지지 않고, 팽윤감, 소프트감이 뒤떨어진 직물이었다.

Claims (5)

  1. 유리전이온도(Tg)가 85∼95℃이며, 비등수 수축률(B)이 25∼50%, 열수축 응력(H)이 0.20cN/dtex 이상이고,
    결정성 폴리아미드와 비결정성 폴리아미드를 90/10 내지 60/40의 중량 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
  2. 제 1 항에 있어서,
    총 섬도가 5∼80dtex이며, 단사섬도가 0.9∼3.0dte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
  3. 혼섬사의 적어도 일부에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섬사.
  4. 직편물의 적어도 일부에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
  5. 직편물의 적어도 일부에 제 3 항에 기재된 혼섬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
KR1020187024711A 2016-05-26 2017-05-17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 및 그것을 사용한 혼섬사 및 직편물 KR1022726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05213 2016-05-26
JPJP-P-2016-105213 2016-05-26
PCT/JP2017/018476 WO2017204047A1 (ja) 2016-05-26 2017-05-17 高熱収縮性ポリアミド繊維およびそれを用いた混繊糸および織編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181A KR20190008181A (ko) 2019-01-23
KR102272627B1 true KR102272627B1 (ko) 2021-07-05

Family

ID=60412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4711A KR102272627B1 (ko) 2016-05-26 2017-05-17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 및 그것을 사용한 혼섬사 및 직편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17204047A1 (ko)
KR (1) KR102272627B1 (ko)
CN (1) CN109072491B (ko)
TW (1) TWI720200B (ko)
WO (1) WO20172040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22955A (ja) * 2016-06-17 2017-12-21 東レ株式会社 分割型ポリアミド・ポリエステル複合繊維および織編物
JP6822210B2 (ja) * 2017-02-24 2021-01-27 東レ株式会社 高熱収縮性ポリアミド繊維、混繊糸および織編物
CN111519276A (zh) * 2019-02-02 2020-08-11 上海凯赛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高收缩聚酰胺纤维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621904B (zh) * 2019-02-28 2021-12-31 福懋兴业股份有限公司 包含尼龙6,6卷缩纤维的弹性布料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43726A (en) * 1975-06-06 1976-12-10 Toray Ind Inc A polyamide-series mixed-yarn
JPS5285516A (en) * 1975-12-29 1977-07-15 Toray Ind Inc Production of polyamide terpolymer fiber
JPS52132150A (en) * 1976-04-26 1977-11-05 Toray Industries Differently heattshrinkable polyamide fiber blended yarn
JP2848638B2 (ja) 1989-08-02 1999-01-20 鐘紡株式会社 高収縮ナイロンフィラメントからなる異収縮混繊糸
JPH042814A (ja) * 1990-04-17 1992-01-07 Teijin Ltd 高収縮性ポリアミドマルチフィラメント糸、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25917A (ja) * 1992-07-03 1994-02-01 Mitsubishi Rayon Co Ltd ポリアミド繊維
JPH08209444A (ja) * 1995-01-31 1996-08-13 Toray Ind Inc 高強度・高収縮性ポリアミド繊維
US6074751A (en) * 1995-09-13 2000-06-13 Toray Industries, Inc. Composite textured yarn, a process for its production, woven or knitted fabrics made thereof, and an apparatus for producing it
JP2000073231A (ja) 1998-08-27 2000-03-07 Unitika Ltd 高収縮性ナイロン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PT1172466E (pt) * 2000-02-16 2007-04-30 Teijin Ltd Processo para a produção de uma fibra de poliamida inteiramente aromática de tipo meta.
KR100604739B1 (ko) * 2002-11-26 2006-07-26 주식회사 효성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3원 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고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
AU2004208175B2 (en) * 2003-01-30 2009-08-13 Dow Global Technologies Inc. Fibers formed from immiscible polymer blends
JP4648814B2 (ja) 2005-10-07 2011-03-09 Kbセーレン株式会社 高収縮繊維マルチフィラメント、それを用いた高密度織物および高密度織物の製造方法
TWI346156B (en) * 2007-11-23 2011-08-01 Shinkong Synthetic Fibers Corp Rectangular-like cross section of a polyamide fiber yarn for fabrics of uncoated airbags and the production process thereof
CN105917039B (zh) * 2014-01-17 2018-11-13 帝斯曼知识产权资产管理有限公司 聚酰胺纤维
JPWO2016104278A1 (ja) * 2014-12-26 2017-10-05 東レ株式会社 高収縮性ポリアミド繊維およびそれを一部に用いた混繊糸および織編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181A (ko) 2019-01-23
WO2017204047A1 (ja) 2017-11-30
JPWO2017204047A1 (ja) 2019-03-22
CN109072491A (zh) 2018-12-21
TW201816210A (zh) 2018-05-01
CN109072491B (zh) 2021-10-29
TWI720200B (zh) 2021-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2627B1 (ko) 고열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 및 그것을 사용한 혼섬사 및 직편물
TW577945B (en) Hetero-composite-composite yarn, fabrics thereof and methods of making
US6548166B2 (en) Stretchable fibers of polymers, spinnerets useful to form the fibers, and articles produced therefrom
TW201632665A (zh) 高收縮性聚醯胺纖維、及一部分使用其之混纖紗及編織物
TW567258B (en) Stretchable polymeric fibers and articles produced therefrom
JP3893995B2 (ja) 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TW580527B (en) Stretchable fibers of polymers, spinnerets useful to form the fibers, and articles produced therefrom
TWI693311B (zh) 吸濕性芯鞘複合絲及其製造方法
TWI728131B (zh) 高熱收縮性聚醯胺複合纖維及加工絲暨將該等使用於一部分之編織物
EP3388562B1 (en) Moisture-absorbing core-sheath composite yarn, and fabric
JP6812674B2 (ja) 織編物及びポリアミド芯鞘型混繊糸の元糸
JP6822210B2 (ja) 高熱収縮性ポリアミド繊維、混繊糸および織編物
KR101103379B1 (ko) 염색성이 개선된 고신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AU2016351997B2 (en) Core-sheath composite cross-section fiber having excellent moisture absorbency and wrinkle prevention
WO2017082255A1 (ja) 高温染色可能なポリアミド繊維
US20020155290A1 (en) Stretchable polymeric fibers and articles produced therefrom
JP2017222955A (ja) 分割型ポリアミド・ポリエステル複合繊維および織編物
JP2007046212A (ja) 複合糸、およびこれを含む布帛製品
JP2000136453A (ja) ナイロン異収縮混繊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