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880B1 - 전기적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적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880B1
KR102271880B1 KR1020140015092A KR20140015092A KR102271880B1 KR 102271880 B1 KR102271880 B1 KR 102271880B1 KR 1020140015092 A KR1020140015092 A KR 1020140015092A KR 20140015092 A KR20140015092 A KR 20140015092A KR 102271880 B1 KR102271880 B1 KR 102271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ion device
leg
substrat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4155A (ko
Inventor
이해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5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880B1/ko
Priority to US14/618,575 priority patent/US9379491B2/en
Publication of KR20150094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4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shield being mounted on a PCB and connected to conductive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6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metal grounding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2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Landscapes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구조체에 노출된 접점 패드에 고정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에서 형성되는 일정 길이의 적어도 하나의 레그를 포함하여, 상기 제1구조체가 제2구조체에 장착될 때, 상기 레그가 상기 제2구조체에 형성된 수용부에 적어도 일부가 결합하는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적 연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며,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전기적 연결 장치{ELECTRICAL CONNECTION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고, 예를 들어, 전자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전기적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들은 적어도 두 개의 전자 부속물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에 다수의 전자 부품들(electronic function group)이 실장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기판이 다른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술한 전자 장치들은 기능이 다양화되어가는 반면에 휴대성이 유리한 장치가 좀더 높은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휴대용 전자 장치이더라도 좀더 슬림하고 경박 단소화되어 있는 장치를 선호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휴대용 전자 장치 제조자들은 동일하거나 좀더 우수한 기능을 가지면서 타 제품에 비해 더욱 슬림하고 경박 단소화된 장치를 개발하기 위하여 경주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추세의 일환으로 전자 장치들에 구비되는 부속물들은 전자 장치내에서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채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격 배치는 전자 장치내의 각 부속물들간의 설계 구조에 기인하기도 하고, 각 부속물들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에 의한 상대 부속물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는 것에 기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판상에 실장된 전자 부품들에서 방사되는 노이즈 또는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하여 그 상부에 쉴드 캔(shield can)이 실장될 수도 있으며, 외부에서 발생하는 정전기 방전을 효과적으로 그라운드 시키기 위하여 기판과 전자 장치의 금속 부속물간의 전기적 연결을 도모할 수도 있다. 역시 기판의 접지 면적 확장을 위하여 기판과 전자 장치의 금속 부속물간의 전기적 연결을 도모하기도 한다.
상술한 적어도 두 부속물들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서는 별도의 전기적 연결 장치가 수반되어야 하며, 이러한 전기적 연결 장치들은 전자 장치를 오랜 기간 사용하거나 외부의 충격에도 내구성이 우수하고, 신뢰성있는 전기적 연결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3499호(2013.10.15)에 개시되어 있다.
기판과 브라켓 사이에 도전성 쉴드 폼, 가스켓, C-클립 등을 사용하여 전기적 연결을 도모하였으며, 이러한 접점 구조는 단접점 구조로써, 오랜 기간 사용하거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단접점 부분이 분리되거나, 쉴드 폼의 접착력이 저하되면 그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여 결과적으로 전자 장치의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오랜 기간 사용하더라도 구조적 신뢰성이 확보되도록 구현되는 전기적 연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외부의 충격에도 지속적인 전기적 연결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전기적 연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조립이 간편하도록 구현되는 전기적 연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주변 부속물들간의 상호 간섭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구현되는 전기적 연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구조체에 노출된 접점 패드에 고정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에서 형성되는 일정 길이의 적어도 하나의 레그를 포함하여, 상기 제1구조체가 제2구조체에 장착될 때, 상기 레그가 상기 제2구조체에 형성된 수용부에 적어도 일부가 결합하는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적 연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과,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전기적 연결 장치 및 상기 전기적 연결 장치에 의해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금속 재질의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적 연결 장치는, 상기 기판의 노출된 접점 패드에 고정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에서 형성되는 일정 길이의 적어도 하나의 레그를 포함하여, 상기 기판이 상기 브라켓에 장착될 때, 상기 레그가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수용부에 적어도 일부가 결합하는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연결 장치는 오랜 기간 사용하더라도 구조적 신뢰성이 확보되며, 외부의 충격에도 지속적인 전기적 연결을 도모할 수 있으며, 조립이 간편하고, 부속물들간의 상호 간섭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연결 장치를 갖는 전자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과 금속 구조물간에 전기적 연결 장치가 적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과 금속 구조물간에 전기적 연결 장치가 적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과 금속 구조물간에 전기적 연결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연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연결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recess)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과 금속 구조물간에 전기적 연결 장치가 적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과 금속 구조물간에 전기적 연결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과 금속 구조물간에 전기적 연결 장치가 적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과 금속 구조물간에 전기적 연결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전자 장치는 내부에 적어도 두 개의 이격된 부속물들이 배치되며, 각 부속들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구성을 갖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에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전자 장치들로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넷북(Netbook), 휴대 인터넷 장치(MID: Mobile Internet Device), 울트라 모바일 PC(UMPC: Ultra Mobile PC),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네비게이션, MP3, 각종 대형 가전 제품 등 다양한 전자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구조체에 노출된 접점 패드에 고정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에서 형성되는 일정 길이의 적어도 하나의 레그를 포함하여, 상기 제1구조체가 제2구조체에 장착될 때, 상기 레그가 상기 제2구조체에 형성된 수용부에 적어도 일부가 결합하는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적 연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는 서로 전기적 연결이 요구되며 이격 배치되는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는 기판, 케이스 프레임, 안테나 장치, 브라켓 및 각종 전자 부품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구조체가 접지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점 패드를 포함하는 기판이라면, 제2구조체는 금속 재질이 브라켓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구조체가 접점 패드로써 접지 패드를 갖는 안테나 장치라면, 제2구조체는 접지 영역 확장을 도모하기 위한 금속 재질의 브라켓 또는 접지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일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접 패드는 제1구조체에 패턴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접 패드는 제1구조체에 금속의 박판 플레이트가 부착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구조체는 제1구조체에 도전성 도포 물질이 도포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점 패드는 제1구조체의 접지 영역, 전자 부품, 별도의 다른 전자 부품 중 적어도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연결 장치를 갖는 전자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의 전면에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01)가 설치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101)의 상측으로는 상대방의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스피커 장치(102)가 설치되고, 디스플레이(101)의 하측으로는 상대방에게 전자 장치 사용자의 음성을 송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장치(103)가 설치됨으로써 기본적인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1)는 입력과 출력을 동일 영역에서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스피커 장치(102)가 설치되는 주변에는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품(component)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품들로는 상대방과의 화상 통화(VT; Video Telephony)를 위한 화상 통신용 카메라 장치(104)가 설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주변 환경에 따라 전자 장치(100)를 가변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105)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05)은 주변의 조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조도값에 따라 디스플레이(101)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조도 센서 및/또는 통화 중 사용자의 두부(head portion)에 취부되었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101)를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근접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기판이 설치될 수 있으며, 기판은 전자 장치의 구조물인 금속성 브라켓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이 금속성 브라켓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접지 영역의 확장을 도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주변 부속물들간의 노이즈에 의한 상호 간섭을 회피하여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 장치의 외부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접지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과 브라켓 사이에 전기적 연결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적 연결 장치는 브라켓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으며, 브라켓과 다접점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오랜 기간 사용하거나, 외부의 충격에도 전기적 연결이 단절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과 금속 구조물간에 전기적 연결 장치가 적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의 내부에는 전자 장치의 강성 보강을 위한 금속 재질의 브라켓(30)이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30)은 다이케스팅 공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프레스 등의 공법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30)은 마그네슘 합금, 알루미늄 합금 및 SUS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30)에는 전자 장치의 기판(20)이 근접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기판(20)의 접지 면적 확장을 위하여 브라켓(30)과의 사이에는 전기적 연결 장치(1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30)에는 기판(20)이 실장되는 기판 장착면(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기판 장착면(31)에는 전기적 연결 장치(10)의 일부가 긴밀히 삽입될 수 있는 수용홈(32)이 대응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전기적 연결 장치(10)가 배치되고 있으나, 이게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필요하다면 두 개 이상의 전기적 연결 장치가 배치될 수 있으며, 브라켓의 기판 장착면의 이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 전기적 연결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후술되겠지만, 전기적 연결 장치(10)는 기판(20)의 대응 접지 패드에 실장될 수 있으며, 기판(20)이 브라켓(30)의 기판 장착부(31)에 장착되는 동작만으로 전기적 연결 장치(10)의 일부가 수용홈(32)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전기적 연결 및 가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20) 및 브라켓(30)의 전기적 연결 구조뿐만 아니라, 전기적 연결 장치(10)는 기판과 쉴드 캔, 안테나 방사체와 기판 등 다양한 부속물들 간의 전기적 연결을 도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과 금속 구조물간에 전기적 연결 장치가 적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과 금속 구조물간에 전기적 연결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전기적 연결 장치(10)는 플레이트부(11)와 플레이트부(11)에서 하측으로 연장 절곡된 적어도 두 개의 레그(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레그(12)가 소정의 방향으로 절곡된 경우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레그(12)가 절곡되지 않고 기울어지거나 돌출된 부분을 통해 수용부에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그(12)는 외측으로 만곡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브라켓(30)의 기판 장착부(31)에 형성된 수용홈(32)의 내측벽에 텐션을 가지며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그(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3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었으나, 4개, 5개 등 다양한 갯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부(11)는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원형, 타원형 중 적어도 하나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부(11)는 기판(20)의 접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지 패드(도 4의 21)와 면접촉하기 위하여 대체적으로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부(11)에는 픽업 영역(pick-up area)(111)이 형성되어 로봇 등에 의한 자동화 공정에서 전기적 연결 장치(10)의 SMT(Surface Mount Technology)에 유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그(12)는 외측으로 만곡한 후 다시 단부가 내측으로 휘어지는 곡형으로 형성되어, 수용홈(32)의 내측벽에 접촉되기 유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그(12)의 단부(121)는 내측으로 절곡된 후크(hook)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기적 연결 장치(10)가 브라켓(30)의 수용홈(32)에 장착될 경우, 각 레그들(12)이 수용홈(32)으로 유리하게 입입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그(12)에는 외측으로 엠보싱 처리된 텐션 돌기(122)가 형성되어 브라켓(30)의 수용홈에 레그(12)가 삽입되었을 때, 접촉을 유리하게 유도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텐션 돌기(122)는 레그(12)를 사출하거나, 프레싱 가공할 때 함께 형성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서는 하나의 전기적 연결 장치가 하나의 수용홈에 안착되는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특정 간격으로 기판에 고정된 다수개의 전기적 연결 장치가 브라켓의 대응 위치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대응 수용홈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개의 전기적 연결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은 다수개의 전기적 연결 장치를 모두 수용할 수 있는 일정 길이를 갖는 단일 슬릿(slit)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전기적 연결 장치(10)는 기판(20)에 고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적 연결 장치(10)의 플레이트부(11)는 기판(20)에 노출 배치되며, 기판(20)의 접지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지 패드(21)에 고정될 수 있다. 플레이트부(11)는 접지 패드(21)와 면접촉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부(11)는 접지 패드(21)에 본딩, 솔더링, 도전성 양면 테이프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기판(20)에 고정된 전기적 연결 장치(10)의 각 레그(12)는 브라켓(30)의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적 연결 장치(10)가 고정된 기판(20)을 브라켓(30)에 실장하는 동작만으로도 각 레그(12)가 브라켓(30)의 수용홈(32)에 타이트하게 삽입됨으로써 전기적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그(12)가 수용홈에 삽입될 때, 곡형으로 형성된 레그(12)가 탄성을 받으면서 휘어지는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탄성에 의한 복원력으로 레그(12)가 수용홈(32)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일정 힘을 가하지 않으면 수용홈(32)에서 이탈되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그(12)의 텐션 돌기(122)가 수용홈(32)의 내측면에서 접촉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미도시되었으나, 수용홈(32)의 내측면에는 텐션 돌기(122)를 수용하기 위하여 텐션홈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적 연결 장치(10)의 다수의 레그(12)가 금속성 브라켓(30)에 형성된 수용홈(32)의 내측벽에 각각 접촉되어 다접점을 형성하기 때문에 단접점의 접속 방식보다 접속력이 높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연결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는 전기적 연결 장치(50)의 구성이 달라질 뿐,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기판(20) 및 브라켓(30)의 구성 및 장착 관계는 동일하므로 생략되었다.
도 5를 참고하면, 전기적 연결 장치(50)는 플레이트부(541)와 플레이트부(51)에서 하측으로 연장 절곡된 적어도 두 개의 레그(5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그(52)는 외측으로 만곡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브라켓(30)의 기판 장착부(31)에 형성된 수용홈(32)의 내측벽에 텐션을 가지며 접촉되도록 하였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그(52)는 도시된 바와 같이, 3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었으나, 4개, 5개 등 다양한 갯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부(51)는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원형, 타원형 중 적어도 하나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부(51)는 기판(도 4의 20)의 접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지 패드(도 4의 21)와 면접촉하기 위하여 대체적으로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그(52)는 외측으로 만곡한 후, 다시 단부가 내측으로 휘어지는 곡형으로 형성되어, 수용홈(32)의 내측벽에 접촉되기 유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그(52)의 단부(521)는 내측으로 절곡된 후크(hook)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기적 연결 장치(50)가 브라켓(30)에 장착될 경우, 각 레그들(52)이 수용홈(32)으로 유리하게 인입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그(52)의 곡형 부분에는 돌출된 자체 형상을 갖는 돌기부(52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돌기부(522)는 브라켓(30)의 수용홈(32)에 레그(52)가 삽입되었을 때, 접촉을 유리하게 유도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돌기부(522)는 레그(52)를 사출하거나, 프레싱 가공할 때 함께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연결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recess)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대체적으로 브라켓(30)에 형성된 수용홈을 전기적 연결 장치의 플레이트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30)에 형성되는 전기적 연결 장치의 레그들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은 삼각형 형상의 수용홈(33), 원형의 수용홈(34), 타원형의 수용홈(35)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수용홈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과 금속 구조물간에 전기적 연결 장치가 적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전기적 연결 장치(70)는 플레이트부(71)와 플레이트부(71)에서 하측으로 연장 절곡된 적어도 두 개의 레그(7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그(72)는 내측으로 만곡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브라켓(30)의 기판 장착부(31)에 형성된 수용홈(36)에 수용되도록 하였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그(72)는 도시된 바와 같이, 3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었으나, 4개, 5개 등 다양한 갯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부(71)는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원형, 타원형 중 적어도 하나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부(71)는 기판(도 8의 20)의 접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지 패드(도 8의 21)와 면접촉하기 위하여 대체적으로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부(71)에는 역시 픽업 영역(pick-up area)(711)이 형성되어 로봇 등에 의한 자동화 공정에서 전기적 연결 장치(70)의 SMT(Surface Mount Technology)에 유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그(72)는 내측으로 만곡한 후 다시 단부가 외측으로 휘어지는 곡형으로 형성되어, 수용홈(36)에 돌출 형성된 지지 돌기(361)의 외주면에 접촉되기 유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그(72)의 단부(721)는 외측으로 절곡된 후크(hook)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기적 연결 장치(70)가 브라켓(30)에 장착될 경우, 각 레그들(72)이 수용홈(36)으로 유리하게 인입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그(72)에는 내측으로 엠보싱 처리된 텐션 돌기(722)가 형성되어 브라켓(30)의 수용홈(36)에 레그(72)가 삽입되었을 때, 지지 돌기(361)의 외주면과의 접촉을 유리하게 유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과 금속 구조물간에 전기적 연결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8를 참고하면, 전기적 연결 장치(70)는 기판(20)에 고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적 연결 장치(70)의 플레이트부(71)는 기판(20)에 노출 배치되며, 기판(20)의 접지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지 패드(21)에 고정될 수 있다. 플레이트부(71)는 접지 패드(21)와 면접촉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부(71)는 접지 패드(21)에 본딩, 솔더링, 도전성 양면 테이프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기판(20)에 고정된 전기적 연결 장치(70)의 각 레그(72)는 브라켓(30)의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적 연결 장치(70)가 고정된 기판(20)을 브라켓(30)에 실장하는 동작만으로도 각 레그(72)가 브라켓(30)의 수용홈(36)에 삽입되어 수용홈(36)의 저면에서 적어도 브라켓(30)의 상면까지 돌출된 지지 돌기(361)의 외주면에 접촉됨으로써, 전기적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그(72)가 수용홈(36)에 삽입될 때, 곡형으로 형성된 레그(72)의 내측이 탄성을 받으면서 휘어지는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탄성에 의한 복원력으로 레그(72)가 수용홈(36)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일정 힘을 가하지 않으면 수용홈에서 이탈되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그(72)의 텐션 돌기(722)가 지지 돌기(361)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방식으로 구현되되, 지지 돌기(361)의 외주면에는 텐션 돌기(722)를 수용하기 위하여 텐션홈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적 연결 장치(70)의 다수의 레그(72)가 금속성 브라켓(30)에 형성된 수용홈(36)의 지지 돌기(361)의 외주면에 각각 접촉되어 다접점을 형성하기 때문에 단접점의 접속 방식보다 접속력이 높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과 금속 구조물간에 전기적 연결 장치가 적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전기적 연결 장치는 도 7 및 도 8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각각의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다.
도 9를 참고하면, 전기적 연결 장치(70)는 플레이트부(71)와 플레이트부(71)에서 하측으로 연장 절곡된 적어도 두 개의 레그(7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그(72)는 내측으로 만곡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브라켓(30)의 기판 장착부(31)에 돌출 형성된 수용 돌기(37)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수용되도록 하였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적 연결 장치(70)는 수용 돌기(37)가 각 레그(72) 사이에 타이트하게 개재되는 방식으로 기판(도 10의 20)을 브라켓(30)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그(72)는 도시된 바와 같이, 3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었으나, 4개, 5개 등 다양한 갯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부(71)는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원형, 타원형 중 적어도 하나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부(71)는 기판(도 10의 20)의 접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지 패드(도 10의 21)와 면접촉하기 위하여 대체적으로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부(71)에는 역시 픽업 영역(pick-up area)(711)이 형성되어 로봇 등에 의한 자동화 공정에서 전기적 연결 장치(70)의 SMT(Surface Mount Technology)에 유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그(72)는 내측으로 만곡한 후 다시 단부가 외측으로 휘어지는 곡형으로 형성되어, 수용 돌기(37)를 각 레그들(72) 사이에 수용하기 유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그(72)의 단부(721)는 외측으로 절곡된 후크(hook)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그(72)에는 내측으로 엠보싱 처리된 텐션 돌기(722)가 형성되어 브라켓(30)의 수용 돌기(37)가 각 레그들(72) 사이에 수용될 때, 수용 돌기(37)의 외면과의 접촉을 유리하게 유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과 금속 구조물간에 전기적 연결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전기적 연결 장치(70)는 기판(20)에 고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적 연결 장치(70)의 플레이트부(71)는 기판(20)에 노출 배치되며, 기판(20)의 접지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지 패드(21)에 고정될 수 있다. 플레이트부(71)는 접지 패드(21)와 면접촉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부(71)는 접지 패드(21)에 본딩, 솔더링, 도전성 양면 테이프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기판(20)에 고정된 전기적 연결 장치(70)의 각 레그(72)는 브라켓(30)의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적 연결 장치(70)가 고정된 기판(20)을 브라켓(30)에 실장하는 동작만으로도 각 레그(72) 사이의 공간에 브라켓(30)의 수용 돌기(37)가 타이트하게 끼워지는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그(72)가 수용홈(36)에 삽입될 때, 곡형으로 형성된 레그(72)의 내측이 탄성을 받으면서 휘어지는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탄성에 의한 복원력으로 레그(72)들 사이에 수용 돌기(37)가 수용된 상태에서는 일정 힘을 가하지 않으면 수용 돌기(37)에서 레그(72)가 이탈되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그(72)의 텐션 돌기(722)가 수용 돌기(37)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방식으로 구현되되, 수용 돌기(37)의 외주면에는 텐션 돌기(722)를 수용하기 위하여 텐션홈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적 연결 장치(70)의 다수의 레그(72)가 금속성 브라켓(30)에 돌출 형성된 수용 돌기(37)의 외면에 각각 접촉되어 다접점을 형성하기 때문에 종래의 단접점의 접속 방식보다 접속력이 높다.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다양한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10: 전기적 연결 장치 11: 플레이트부
12: 레그(leg) 20: 기판
21: 접지 패드 30: 브라켓
31: 기판 장착부 32: 수용홈
37: 수용 돌기 122: 텐션 돌기

Claims (20)

  1. 전기적 연결 장치에 있어서,
    제1구조체에 노출된 접점 패드에 고정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에서 형성되는 일정 길이의 적어도 하나의 레그를 포함하여, 상기 제1 구조체가 제2 구조체에 장착될 때, 상기 레그가 상기 제2 구조체에 형성된 수용부에 적어도 일부가 결합하는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그는,
    만곡한 곡형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의 저면에서 상기 제2 구조체의 상면까지 돌출된 지지 돌기의 외주 면 또는 상기 수용부 내부의 내측 벽과 접촉되는 텐션 돌기를 포함하는 전기적 연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상기 플레이트부에서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2개가 배치되거나,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3개가 배치되는 전기적 연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2 구조체에서 일정 길이로 돌출된 수용 돌기를 포함하되,상기 수용 돌기가 상기 레그 사이에 타이트하게 삽입되는 방식으로 고정되는 전기적 연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구조체에서 일정 깊이로 형성된 수용홈을 포함하되, 상기 레그가 상기 수용홈에 타이트하게 삽입되는 방식으로 고정되는 전기적 연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상기 수용홈의 내측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텐션 돌기를 더 포함하는 전기적 연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돌기는 엠보싱 처리되는 전기적 연결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상기 지지 돌기의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텐션 돌기를 더 포함하는 전기적 연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조체는 기판이며, 상기 제2구조체는 금속 구조물이고, 상기 전기적 연결 장치는 상기 기판의 접지 영역을 상기 금속 구조물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포함하는 전기적 연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구조물은 전자 장치의 강성 보강용 브라켓인 전기적 연결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구조물은 기판에 실장되어 전자 부품들의 노이즈 차폐로 사용되는 쉴드 캔인 전기적 연결 장치.
  13. 제1항 내지 제6항 및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적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통신용 이동 단말기인 전자 장치.
  15. 기판;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전기적 연결 장치; 및
    상기 전기적 연결 장치에 의해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금속 재질의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적 연결 장치는,
    상기 기판의 노출된 접점 패드에 고정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에서 형성되는 일정 길이의 적어도 하나의 레그를 포함하여,
    상기 기판이 상기 브라켓에 장착될 때, 상기 레그가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수용부에 적어도 일부가 결합하는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그는,
    만곡한 곡형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의 저면에서 상기 브라켓의 상면까지 돌출된 지지 돌기의 외주 면 또는 상기 수용부 내부의 내측 벽과 접촉되는 텐션 돌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6. 삭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가 상호 외측으로 만곡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브라켓에서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레그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삭제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가 상호 내측으로 만곡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브라켓에서 일정길이로 돌출된 수용 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 돌기는 상기 레그들 사이에 타이트하게 삽입되어, 상기 레그가 상기 수용 돌기의 외면에 접촉되는 방식으로 장착되는 전자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연결 장치는 상기 기판의 접지 영역을 상기 브라켓에 연결시켜 접지 영역의 확장 또는 주변 전자 부품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의 차폐 역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20140015092A 2014-02-10 2014-02-10 전기적 연결 장치 KR102271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092A KR102271880B1 (ko) 2014-02-10 2014-02-10 전기적 연결 장치
US14/618,575 US9379491B2 (en) 2014-02-10 2015-02-10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092A KR102271880B1 (ko) 2014-02-10 2014-02-10 전기적 연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155A KR20150094155A (ko) 2015-08-19
KR102271880B1 true KR102271880B1 (ko) 2021-07-01

Family

ID=53775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092A KR102271880B1 (ko) 2014-02-10 2014-02-10 전기적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79491B2 (ko)
KR (1) KR1022718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2627B1 (ko) 2015-11-17 2017-08-14 하나 마이크론(주)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US10250289B2 (en) 2016-09-06 2019-04-02 Apple Inc. Electronic device antennas with ground isolation
KR102612900B1 (ko) * 2016-09-30 2023-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접촉 소자 및 접촉 구조
DE102017211386B4 (de) * 2017-07-04 2021-01-07 Continental Automotive Gmbh Federkontakt zum Verbinden von einer Antenne mit einer gedruckten Schaltung
KR102582689B1 (ko) * 2018-08-13 2023-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접속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R3100391B1 (fr) * 2019-09-02 2022-03-04 Zodiac Aero Electric Ensemble électrique comprenant un composant électrique dissimulé assurant la connexion électrique entre un élément conducteur et une carte de communication
CN116885501B (zh) * 2023-09-05 2023-11-28 深圳市方向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连接器端子及pcb板贴片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3480A (en) 1996-07-03 1998-11-10 Illinois Tool Works Inc. Standoff ground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28386A1 (de) * 1983-08-05 1985-05-02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Hochfrequenzdichte abschirmung von flaechenteilen
DE3790062C2 (ko) * 1986-02-06 1992-01-23 Fujitsu Ltd., Kawasaki, Kanagawa, Jp
JPH0427097Y2 (ko) * 1987-06-22 1992-06-29
SE503467C2 (sv) * 1994-12-14 1996-06-17 Ericsson Telefon Ab L M Jordnings- och skärmningsanordning
KR980006107U (ko) * 1996-06-27 1998-03-30 모듈레이터의 접지장치
DE19728291A1 (de) * 1997-07-02 1999-02-04 Telefunken Microelectron Verbindungselement zum elektrischen Verbinden einer Leiterplattenanschlußzone mit einem metallischen Gehäuseteil
US6149443A (en) * 1997-09-26 2000-11-21 Qualcomm Incorporated Ground connection apparatus
US5984697A (en) * 1997-12-03 1999-11-16 Qualcomm Incorporated Ground clip apparatus for circuit boards
DE19804590C2 (de) * 1998-02-05 2001-06-21 Siemens Ag Gehäuseanordnung für eine bauteilbestückte Leiterplatte
TW403263U (en) * 1999-02-02 2000-08-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2000252017A (ja) 1999-02-25 2000-09-14 Fujitsu Takamisawa Component Ltd コネクタ構造
US6821133B1 (en) * 2000-11-01 2004-11-23 Illinois Tool Works Inc. Printed circuit board mounting clip and system
US6544047B2 (en) * 2001-03-30 2003-04-08 Intel Corporation Dual-swiping interconnection clip, and hook and slot arrangement for printed circuit board (PCB) attachment
US6863547B2 (en) * 2003-05-01 2005-03-08 Averatec Asia Incorporation Method for suppress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with suppresse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y the method
JP2007128963A (ja) * 2005-11-01 2007-05-24 Alps Electric Co Ltd 高周波機器
US20080113532A1 (en) * 2006-11-13 2008-05-15 David Christopher Smeltz Pick-and-place card guide clip-on grounding members
JP5711542B2 (ja) * 2011-01-13 2015-05-07 矢崎総業株式会社 基板接続用端子および回路基板の保持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3480A (en) 1996-07-03 1998-11-10 Illinois Tool Works Inc. Standoff groun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29076A1 (en) 2015-08-13
KR20150094155A (ko) 2015-08-19
US9379491B2 (en) 201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1880B1 (ko) 전기적 연결 장치
KR102279365B1 (ko) 인쇄회로기판 위에 배치되는 실드캔
KR102194305B1 (ko) 곡형 디스플레이 모듈을 갖는 전자 장치
US8885867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5233677B2 (ja) 電子機器のシールド構造、シールド部材及びこれを備える電子機器
US7589977B2 (en) Housing combination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556936B1 (ko)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
US9191474B2 (en) Shielding structure for use in an electronic device
CN107770654B (zh) 一种电子设备及其数字麦克风固定安装结构
US20140362543A1 (en) Shield can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30068901A (ko) 단말기의 쉴드캔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JP2013054844A (ja) 電気コネクタ
JP2016018589A (ja) コネクタ
US7445506B2 (en) Shielded connector
US8098494B2 (en) Electronic device
US8367930B2 (en) Grounding mechanism for electronic device
JP2008218526A (ja) シールドケースおよび電子機器
US20130070952A1 (en) Speaker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KR101572971B1 (ko)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
KR100735245B1 (ko) 접지용 더미 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10074946B2 (en) Receptacle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KR100651494B1 (ko) 접지용 더미 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10609461B1 (en) Waterproof speaker device
KR100858656B1 (ko) 휴대 단말기
JP2014216826A (ja) シール性を有する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