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929B1 - Led 발광 조립체 - Google Patents

Led 발광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929B1
KR102270929B1 KR1020190035849A KR20190035849A KR102270929B1 KR 102270929 B1 KR102270929 B1 KR 102270929B1 KR 1020190035849 A KR1020190035849 A KR 1020190035849A KR 20190035849 A KR20190035849 A KR 20190035849A KR 102270929 B1 KR102270929 B1 KR 102270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rod
led
battery
circuit board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5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4311A (ko
Inventor
한석현
Original Assignee
(주)엘에프라이팅
주식회사 디앤피포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에프라이팅, 주식회사 디앤피포인트 filed Critical (주)엘에프라이팅
Priority to KR1020190035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929B1/ko
Publication of KR20200114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1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with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쿠션면(40a)으로 회로기판(12)을 소프트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일반 봉이나 우산 꼭지(K) 등의 딱딱한 압력 및 충격을 승강쿠션(50)으로 완충시킴과 동시에 탄성원통봉(40) 속에서 승강쿠션(50)의 승강 가능한 구조로서 배터리(20)를 소프트하게 가압하여 돔스위치(13)의 스위칭을 안전하게 실현토록 하여 LED를 정확하게 점등시킬 수 있는 LED 발광 조립체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LED 발광 조립체{LED LUMINOUS ASSEMBLY}
본 발명은 LED 발광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탑쿠션면으로 회로기판을 소프트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일반 봉이나 우산 꼭지 등의 딱딱한 압력 및 충격을 승강쿠션으로 완충시킴과 동시에 탄성원통봉 속에서 승강쿠션의 승강 가능한 구조로서 배터리를 소프트하게 가압하여 돔스위치의 스위칭을 안전하게 실현하여 LED를 정확하게 발광토록 하는 LED 발광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비나 눈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사용되고, 최근에는 야간에 발광램프를 달아 안전을 도모하는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 1(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3-0004543호)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발광 우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발광 우산의 발광 다이오드(LED)가 매설된 꼭지의 확대 단면도이다.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발광 우산은 손잡이(160)가 일단에 형성된 지지봉(140)이 구비되고, 지지봉(140)의 최상단에서부터 사방으로 방사형 형태로 펴지는 다수의 우산살(130)과, 우산살(130) 사이에 형성되는 우산포(120)와, 우산의 최상단에 위치되는 꼭지부(11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손잡이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 공급장치(170)를 매설하고 이를 지지봉(140) 내부에 매설된 전선(150)을 통해 꼭지부(110) 내부에 매설된 발광 다이오드(LED)(230)와 연결한다.
보행자의 보행에 의해 우산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우산의 요동에 의해 충격이 꼭지부(110) 내부의 탄력 스프링(220)에 전달되면 탄력 스프링(220)의 흔들림에 의해 스위치(210) 내부의 고정접점과 접촉하게 되고 이를 통해 전원이 인가된다.
이를 통해 가벼운 충격이나 흔들림에도 스위치(210)가 닫혀 발광 다이오드(LED)(230)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발광 우산은 탄력 스프링(220)이 우산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요동만으로도 스위치(210)를 스위칭시켜 발광 다이오드(230)를 온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발광 다이오드(230)가 동작하지 않아야 하는 순간에도 점등이 일어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도 2a는 선행기술문헌 2(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4-0004122호)에 따른 안전 우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안전 우산의 상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2c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안전 우산의 손잡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안전 우산은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손잡이(110)가 형성된 우산대(101)와, 우산대(101)의 상단에 형성되고 방사상으로 우산살(104)이 형성된 상부노치(103)와, 우산대(101)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러너(102)와, 상부노치(103)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원의 공급에 의해 발광하는 LED(105)와, 손잡이(110) 내부에 형성되어 배터리(113)를 수납하는 수납실(112) 및 스위치(111)와, 상부노치(103)에 체결되어 상부노치(103)와 LED(105)를 보호하는 꼭지(106)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안전 우산은 손잡이(110)에 배터리(113) 및 스위치(111)가 구비되어 우산대(101)의 상단에 마련된 LED(105)까지의 케이블 연결이 필요로 하여 제작비가 상승할 수밖에 없고, 특히 다른 우산과의 호환성을 이룰 수 없으며, 더욱이 꼭지(106)가 분리될 경우 LED(105)가 그대로 노출되어 파손의 위험을 안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3-0004543호 -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발광 우산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4-0004122호 - 안전 우산
본 발명의 목적은 눈이나 비가 올 때 사용되는 우산, 위급 상황시 또는 교통 수신호를 보내고자 할 때 볼펜이나 막대 또는 일반 봉 등을 활용하여 신속하게 빛신호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한 LED 발광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탑쿠션면으로 회로기판을 소프트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일반 봉이나 우산 꼭지 등의 딱딱한 압력 및 충격을 승강쿠션으로 완충시킴과 동시에 탄성원통봉 속에서 승강쿠션의 승강 가능한 구조로서 배터리를 소프트하게 가압하여 돔스위치의 스위칭을 안전하게 실현토록 한 LED 발광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전고정편들에 의해 서로 고정된 통전원형링 및 회로기판 사이에 돔스위치 및 배터리를 안전하게 내장하면서 배터리의 승강공간을 보장하여 돔스위치를 안전하고도 용이하게 스위칭시킬 수 있도록 하여 딱딱한 우산 꼭지의 충격에도 불구하고 LED 모듈의 보호 및 수명 보장 속 LED의 점등을 안전하게 실현할 수 있도록 한 LED 발광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산 꼭지의 압력을 승강쿠션에서 받아 배터리에 전달할 때 통전탄성편을 경유하여 배터리에 정확하게 미치도록 하여 배터리의 하부테두리를 감싸고 있는 통전원형링 및 통전고정편들에 의해 승강쿠션의 누름압력이 배터리에 미처 다다르지 못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LED 온오프 스위칭 동작의 정밀성을 보장할 수 있는 LED 발광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LED 모듈이 상광홈 속으로 내장되어 사용 중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중협홀 속으로 승강쿠션이 끼워지면서 승강되도록 하여 우산 꼭지의 가압시 배터리의 중심에 센터링 힘을 가해 돔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정확하게 보장하고, 하광장홀 속으로 우산 꼭지나 다양한 도구들이 견고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한 LED 발광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LED 모듈을 내장한 탑원통봉과 우산 꼭지가 끼워지는 언더원통봉 상호간의 착탈 가능한 구조로 조립되어 사용 중 LED 모듈의 손상시 다른 LED 모듈이 장착된 탑원통봉을 언더원통봉에 간단히 끼워 대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 편리함을 더욱 증진케 한 LED 발광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탑원통봉의 링홈 및 언더원통봉의 링돌기 상호간의 간단한 착탈 가능함으로 용이한 탈부착을 실현할 수 있는 LED 발광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탄성원통봉에 직경이 각각 다른 우산 꼭지나 볼펜 또는 막대를 끼울 때 슬릿들에 의해 탄성원통봉의 내경이 탄성적으로 벌어지거나 좁혀질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크기에 대한 호환을 가능케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LED 발광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LED를 제어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 아래에 누름에 의해 상기 LED를 온오프시키는 돔스위치와, 상기 돔스위치를 면 접촉으로 받쳐주면서 상기 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지닌 LED 모듈과;
상기 회로기판에 대향되는 탑쿠션면을 지니면서 상기 LED 모듈을 내장한 탄성원통봉과;
상기 탄성원통봉 속으로 끼워져 누름압력의 유무에 따라 승강되면서 상기 배터리로 하여금 상기 돔스위치를 가압토록 하는 승강쿠션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눈이나 비가 올 때 사용되는 우산, 위급 상황시 또는 교통 수신호를 보내고자 할 때 볼펜이나 막대 등을 활용하여 신속하게 빛신호를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탑쿠션면으로 회로기판을 소프트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일반 봉이나 우산 꼭지 등의 딱딱한 압력 및 충격을 승강쿠션으로 완충시킴과 동시에 탄성원통봉 속에서 승강쿠션의 승강 가능한 구조로서 배터리를 소프트하게 가압하여 돔스위치의 스위칭을 안전하게 실현하여 LED를 정확하게 발광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통전고정편들에 의해 서로 고정된 통전원형링 및 회로기판 사이에 돔스위치 및 배터리를 안전하게 내장하면서 배터리의 승강공간을 보장하여 돔스위치를 안전하고도 용이하게 스위칭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딱딱한 우산 꼭지의 충격에도 불구하고 LED 모듈의 보호 및 수명 보장 속 LED의 점등을 정확하게 실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우산 꼭지의 압력을 승강쿠션에서 받아 배터리에 전달할 때 통전탄성편을 경유하여 배터리에 정확하게 미치도록 하여 배터리의 하부테두리를 감싸고 있는 통전원형링 및 통전고정편들에 의해 승강쿠션의 누름압력이 배터리에 미처 다다르지 못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LED 온오프 스위칭 동작의 정밀성을 보장케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LED 모듈이 상광홈 속으로 내장되어 사용 중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중협홀 속으로 승강쿠션이 끼워지면서 승강되도록 하여 우산 꼭지의 가압시 배터리의 중심에 센터링 힘을 가해 돔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정확하게 보장하고, 하광장홀 속으로 우산 꼭지나 다양한 도구들이 견고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LED 모듈을 내장한 탑원통봉과 우산 꼭지가 끼워지는 언더원통봉 상호간의 착탈 가능한 구조로 조립되어 사용 중 LED 모듈의 손상시 다른 LED 모듈이 장착된 탑원통봉을 언더원통봉에 간단히 끼워 대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 편리함을 증진케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탑원통봉의 링홈 및 언더원통봉의 링돌기 상호간의 간단한 착탈 가능함으로 용이한 탈부착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탄성원통봉에 직경이 각각 다른 우산 꼭지나 볼펜 또는 막대를 끼울 때 슬릿들에 의해 탄성원통봉의 내경을 탄성적으로 벌어지거나 좁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에 대한 호환을 가능토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발광 우산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발광 우산의 발광 다이오드(LED)가 매설된 꼭지의 확대 단면도.
도 2a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안전 우산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안전 우산의 상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c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안전 우산의 손잡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LED 발광 조립체가 적용된 우산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LED 발광 조립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LED 발광 조립체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LED 발광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LED 발광 조립체가 적용된 우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LED 발광 조립체는 눈이나 비가 올 때 사용되는 우산, 위급 상황시 또는 교통 수신호를 보내고자 할 때 볼펜이나 막대 또는 일반 봉 등을 활용하여 신속하게 빛신호를 연출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으로,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의 구성이 되는 꼭지(K)에 장착시켜 야간에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LED 발광 조립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LED 발광 조립체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LED 발광 조립체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쿠션면(40a)을 지닌 탄성원통봉(40) 속으로 LED 모듈(10) 및 승강쿠션(50)을 내장시켜 우산 꼭지(K)의 누름 압력에 의해 승강쿠션(50)이 승강되면서 LED 모듈(10)을 가압하여 안전하고도 편리하게 빛을 발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LED 모듈(10)은 LED(11)를 제어하는 회로기판(12)과, 회로기판(12) 아래에 누름에 의해 LED(11)를 온오프시키는 돔스위치(13)와, 돔스위치(13)를 면 접촉으로 받쳐주면서 회로기판(12)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0)를 지니고, 탄성원통봉(40)은 회로기판(12)에 대향되는 탑쿠션면(40a)을 지니면서 LED 모듈(10)을 내장하고, 승강쿠션(50)은 탄성원통봉(40) 속으로 끼워져 예를 들면 우산의 꼭지(K)의 누름압력의 유무에 따라 승강되면서 배터리(20)로 하여금 돔스위치(13)를 가압토록 하여 LED(11)를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탑쿠션면(40a)으로 회로기판(12)을 소프트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일반 봉이나 우산 꼭지(K) 등의 딱딱한 압력 및 충격을 승강쿠션(50)으로 완충시킴과 동시에 탄성원통봉(40) 속에서 승강쿠션(50)의 승강 가능한 구조로서 배터리(20)를 소프트하게 가압하여 돔스위치(13)의 스위칭을 안전하게 실현토록 하여 그 수명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LED 모듈(10)은 배터리(20)의 하부 테두리를 감싸는 통전원형링(31)과, 통전원형링(31)의 외곽 양단으로부터 상승되어 돔스위치(13) 및 배터리(20)를 사이에 두고 회로기판(12)에 고정되는 통전고정편(32)들을 포함한다.
통전고정편(32)들에 의해 서로 고정된 통전원형링(31) 및 회로기판(12) 사이에 돔스위치(13) 및 배터리(20)를 안전하게 내장하면서 배터리(20)의 승강공간을 보장하여 돔스위치(13)를 정확하고도 용이하게 스위칭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딱딱한 우산 꼭지(K)의 충격에도 불구하고 LED 모듈(10)의 보호 및 수명 보장 속 LED(11)의 점등을 철저하게 실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나아가, LED 모듈(10)은 통전원형링(31)의 내주연으로부터 중앙으로 펼쳐져 승강쿠션(50)의 상승시 탄성적으로 휘어지면서 배터리(20)를 상승시켜 돔스위치(13)를 스위칭시킬 수 있도록 하는 통전탄성편(33)을 더 포함하여, 우산 꼭지(K)의 압력을 승강쿠션(50)에서 받아 배터리(20)에 전달할 때 통전탄성편(33)을 경유하여 배터리(20)에 정확하게 미치도록 하여 배터리(20)의 하부테두리를 감싸고 있는 통전원형링(31)과 더불어 통전고정편(32)들에 의해 승강쿠션(50)의 누름압력이 배터리(20)에 미처 다다르지 못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LED(11)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의 정밀성을 보장케 한다.
그리고, 탄성원통봉(40)은 탑쿠션면(40a) 아래로 LED 모듈(10)을 내장하는 상광홈(41a)과, 승강쿠션(50)이 끼워져 승강되는 중협홀(41b), 그리고 중협홀(41b)로부터 연장되는 하광장홀(42a)로 이루어진다.
LED 모듈(10)이 상광홈(41a) 속으로 내장되어 사용 중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중협홀(41b) 속으로 승강쿠션(50)이 끼워지면서 승강되도록 하여 우산 꼭지(K)의 가압시 배터리(20)의 중심에 센터링 힘을 가해 돔스위치(13)의 스위칭 동작을 정확하게 보장하며, 나아가 하광장홀(42a) 속으로 우산 꼭지(K)나 다양한 도구들이 견고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탑쿠션면(40a)을 비롯한 상광홈(41a) 및 중협홀(41b)은 탑원통봉(41)으로 마련되고, 하광장홀(42a)은 언더원통봉(42)으로 마련되어, 탑원통봉(41) 및 언더원통봉(42) 상호간의 착탈 가능함으로 사용상의 편리함을 보장한다.
즉, LED 모듈(10)을 내장한 탑원통봉(41)과 우산 꼭지(K)가 끼워지는 언더원통봉(42) 상호간의 착탈 가능한 구조로 조립되어 사용 중 LED 모듈(10)의 손상시 다른 LED 모듈(10)이 장착된 탑원통봉(41)을 언더원통봉(42)에 간단히 끼워 대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 편리함을 증진케 한 것이다.
이때, 탑원통봉(41)은 하부 외주연에 링홈(41c)을 구비하고, 언더원통봉(42)은 상부 내주연에 링돌기(42b)를 구비하여, 링홈(41c) 및 링돌기(42b) 상호간의 간단한 착탈 가능함으로 용이한 탈부착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한편으로, 하광장홀(42a)은 내주연에 수직방향으로 슬릿(42c)들을 포함하여, 예를 들면 실리콘수지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탄성원통봉(40)에 직경이 각각 다른 우산 꼭지(K)나 볼펜 또는 막대를 끼울 때 슬릿(42c)들에 의해 탄성원통봉(40)의 내경을 탄성적으로 벌어지거나 좁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에 대한 호환을 가능토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비나 눈이 내릴 때 사용되는 우산 나아가 햇볕을 가리는 양산 또는 야간에 손으로 봉이나 막대 등을 파지하여 간단히 빛을 활용한 신호를 주고자 하는 산업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10 : LED 모듈 11 : LED
12 : 회로기판 13 : 돔스위치
20 : 배터리 31 : 통전원형링
32 : 통전고정편 33 : 통전탄성편
40 : 탄성원통봉 40a : 탑쿠션면
41 : 탑원통봉 41a : 상광(上廣)홈
41b : 중협(中峽)홀 41c : 링홈
42 : 언더원통봉 42a : 하광장(下廣長)홀
42b : 링돌기 42c : 슬릿(Slit)
50 : 승강쿠션 K : 꼭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LED(11)를 제어하는 회로기판(12)과, 상기 회로기판(12) 아래에 누름에 의해 상기 LED(11)를 온오프시키는 돔스위치(13)와, 상기 돔스위치(13)를 면 접촉으로 받쳐주면서 상기 회로기판(12)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0)를 지닌 LED 모듈(10)과; 상기 회로기판(12)에 대향되는 탑쿠션면(40a)을 지니면서 상기 LED 모듈(10)을 내장한 탄성원통봉(40)과; 상기 탄성원통봉(40) 속으로 끼워져 누름압력의 유무에 따라 승강되면서 상기 배터리(20)로 하여금 상기 돔스위치(13)를 가압토록 하는 승강쿠션(50)을 포함하고,
    상기 LED 모듈(10)은 상기 배터리(20)의 하부 테두리를 감싸는 통전원형링(31)과, 상기 통전원형링(31)의 외곽 양단으로부터 상승되어 상기 돔스위치(13) 및 배터리(20)를 사이에 두고 상기 회로기판(12)에 고정되는 통전고정편(32)들과, 상기 통전원형링(31)의 내주연으로부터 중앙으로 펼쳐져 상기 승강쿠션(50)의 상승시 탄성적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배터리(20)를 상승시켜 상기 돔스위치(13)를 스위칭시킬 수 있도록 하는 통전탄성편(33)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원통봉(40)은 상기 탑쿠션면(40a) 아래로 상기 LED 모듈(10)을 내장하는 상광홈(41a)과, 상기 승강쿠션(50)이 끼워져 승강되는 중협홀(41b)과, 상기 중협홀(41b)로부터 연장되는 하광장홀(42a)로 이루어지고,
    상기 탑쿠션면(40a)을 비롯한 상광홈(41a) 및 중협홀(41b)은 탑원통봉(41)으로 마련되고, 상기 하광장홀(42a)은 언더원통봉(42)으로 마련되어, 상기 탑원통봉(41) 및 언더원통봉(42) 상호간 착탈 가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발광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탑원통봉(41)은 하부 외주연에 링홈(41c)을 구비하고,
    상기 언더원통봉(42)은 상부 내주연에 링돌기(42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발광 조립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광장홀(42a)은 내주연에 수직방향으로 슬릿(42c)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발광 조립체.
KR1020190035849A 2019-03-28 2019-03-28 Led 발광 조립체 KR102270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849A KR102270929B1 (ko) 2019-03-28 2019-03-28 Led 발광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849A KR102270929B1 (ko) 2019-03-28 2019-03-28 Led 발광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311A KR20200114311A (ko) 2020-10-07
KR102270929B1 true KR102270929B1 (ko) 2021-06-30

Family

ID=72883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849A KR102270929B1 (ko) 2019-03-28 2019-03-28 Led 발광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9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0673B2 (ja) 1991-08-21 2000-03-15 同和鉱業株式会社 チタン合金素材のめっき前処理法
KR200320809Y1 (ko) * 2003-04-14 2003-07-22 장성완 모듈형 휴대용 비상조명등
KR100741320B1 (ko) 2006-12-14 2007-07-20 주식회사 베스타 발광장치
KR200483356Y1 (ko) 2017-03-10 2017-05-04 최현석 수중 랜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0673U (ja) * 1995-03-08 1996-02-06 喜暉 村山 懐中電灯兼地震非常用ランプ
KR200460789Y1 (ko) * 2008-12-09 2012-06-04 크롭스 코 엘티디 소규모 조명장치
RU2555300C2 (ru) 2010-12-10 2015-07-10 ДАНИЕЛИ энд К. ОФФИЧИНЕ МЕККАНИКЕ СП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и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го нагрева садки металла для плавильной установки
TWI476012B (zh) 2011-05-12 2015-03-11 G & E Herbal Biotechnology Co Ltd 使用茄屬植物的水溶性萃取物來治療和/或預防發炎與皮膚光損害以及光防護皮膚
KR20170104330A (ko) * 2016-03-07 2017-09-15 황태민 우산용 발광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0673B2 (ja) 1991-08-21 2000-03-15 同和鉱業株式会社 チタン合金素材のめっき前処理法
KR200320809Y1 (ko) * 2003-04-14 2003-07-22 장성완 모듈형 휴대용 비상조명등
KR100741320B1 (ko) 2006-12-14 2007-07-20 주식회사 베스타 발광장치
KR200483356Y1 (ko) 2017-03-10 2017-05-04 최현석 수중 랜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311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0748B2 (en) LED flashlight
US7314287B2 (en) Candle lamps having solar illuminating devices
US20090067154A1 (en) Illuminated toy balloon
US20110228518A1 (en) Liquid illuminator and assembly thereof
US20090296372A1 (en) Externally switchable illuminated balloon inflator
US7287538B2 (en) Illuminating umbrella grip
KR102270929B1 (ko) Led 발광 조립체
KR20080005009U (ko) 엘이디를 사용하는 매입등용 하우징
JP2006218259A (ja) 照明杖
US20110194275A1 (en) Warning device disposed on a top of an umbrella
KR20160002840U (ko) 낚시용 엘이디 전자 케미라이트
KR200457237Y1 (ko) 우산꼭지용 발광체구조
US1723780A (en) Illuminated umbrella and walking stick
KR101279159B1 (ko) Led가 장착된 안전용 발광우산
KR20150002797U (ko) 연등용 램프
KR200394498Y1 (ko) 석재 볼라드
JP2005113636A (ja) 誘導灯支持補助具
KR20190063288A (ko) 로프 고정용 펙을 덮기 위한 발광 커버
KR200469279Y1 (ko) 엘이디 램프
KR200419109Y1 (ko) 촛불 집회용 컵
KR200413489Y1 (ko) 파라솔
JP3215256U (ja) 組立式照明装置
KR200168642Y1 (ko) 높이조절용바람막이양초
JP3203455U (ja) カットコーン用の保安灯
KR200475931Y1 (ko) 발광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