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797U - 연등용 램프 - Google Patents

연등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797U
KR20150002797U KR2020140000139U KR20140000139U KR20150002797U KR 20150002797 U KR20150002797 U KR 20150002797U KR 2020140000139 U KR2020140000139 U KR 2020140000139U KR 20140000139 U KR20140000139 U KR 20140000139U KR 20150002797 U KR20150002797 U KR 201500027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housing
emitting unit
solar cell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1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찬
Original Assignee
김기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찬 filed Critical 김기찬
Priority to KR20201400001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2797U/ko
Publication of KR201500027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79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등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연등을 자동으로 점소등시킬 수 있는 연등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연등용 램프는, 태양전지에서 생산되는 전기에너지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 이하이면 발광부에 배터리의 전원을 인가하여 발광부를 점등시키고, 태양전지에서 생산되는 전기에너지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을 초과하면 발광부에 인가되는 배터리의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발광부를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등용 램프 { LOTUS LAMP }
본 고안은 연등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연등을 자동으로 점소등시킬 수 있는 연등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봉축행사를 위하여 사찰이나 거리에 설치되는 연등은 내부에 전구가 장착되고 외부에 단색 또는 다색의 장식지를 붙인 다수의 연등을 단일 전선설비에 일렬로 연결하여 사용된다.
이와 같이 다수의 연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전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전원 설비가 필수적으로 사용되어야 했기 때문에 산이나 외진 곳에 지어진 사찰에서는 별도의 외부전원 설비를 마련하여야 하였고, 거리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다량의 전력을 사용하여 설치 및 운영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수의 연등이 전선을 통하여 길게 연결되어 상기 전선의 일부에서 단선이 일어날 경우 이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지 않았으며 합선이나 과열로 인한 화재의 위험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휴대용 연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휴대의 편의를 위하여 조명장치 대신 양초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연등에 불이 붙어 나무로 지어진 사찰이나 거리에 화재가 발생되는 위험을 수반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54466호 등에는, 태양전지(솔라셀)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발광부를 점등시켜 연등의 외부로 빛이 발광하도록 하는 기술이 나타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휴대형 연동용 램프는, 램프의 작동을 위해 주간과 야간의 광도를 감지하여야 하는 조도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있어, 부품의 수가 증가하고 그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발광부가 연등갓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어, 일반인 많이 복 되는 연등의 중심부 또는 아랫쪽이 밝게 빛나지 않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별도의 조도감지센서없이 자동으로 발광부가 온-오프되도록 하고, 연등의 중심부 및 아랫쪽부분이 밝게 빛나게 할 수 있는 연등용 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연등용 램프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되고,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태양전지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서 하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로드부와; 상기 연결로드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과 이격되고, 상기 연결로드부를 통해 인가되는 상기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와;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연결로드부 및 발광부를 수용하고, 상단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연등갓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발광부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와; 상기 태양전지에서 생산되는 전기에너지의 전압에 따라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가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태양전지에서 생산되는 전기에너지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 이하이면 상기 발광부에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발광부를 점등시키고, 상기 태양전지에서 생산되는 전기에너지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을 초과하면 상기 발광부에 인가되는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발광부를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부는 상기 연결로드부에 의해 상기 연등갓의 중심부 또는 그 아랫쪽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연결로드부는 외력에 의해 밴딩되어 그 상태를 유지하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부에 배치된 와이어에 걸릴 수 있는 연결고리부가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한 쌍의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고리부는 양단은 한 쌍의 상기 지지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결고리부의 중심부에는 상기 와이어에 걸릴 수 있는 체결고리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고리부의 양단에는 삽입돌기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에는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돌기에는 탄성변형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를 상기 삽입공에 삽입할 때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탄성변형홈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상기 삽입공에 삽입된다.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상기 연등갓이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연결고리부의 회전시 상기 체결고리는 상기 결합돌기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연등용 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어부가 태양전지에서 생성되는 전압을 측정하고 이를 기초로 발광부의 점소등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조도감지센서없이 자동으로 발광부가 온-오프되도록 할 수 있어, 부품의 수를 줄이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가 연등의 중심부 또는 아랫쪽에 배치되어, 일반인이 많이 보게되는 연등의 중심부 및 아랫쪽부분이 밝게 빛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연등용 램프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연등용 램프에서 연등갓을 제외한 상태의 일방향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연등용 램프에서 연등갓을 제외한 상태의 타방향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연등용 램프의 평면도,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연등용 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연등용 램프에서 연등갓을 제외한 상태의 일방향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연등용 램프에서 연등갓을 제외한 상태의 타방향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연등용 램프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연등용 램프는, 하우징(10)과, 태양전지(20)와, 배터리(30)와, 연결로드부(40)와, 발광부(50)와, 연등갓(60)과, 스위치(70)와, 제어부(8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은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면과 하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태양전지(20)는 일반적인 솔라셀과 동일한 것으로써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고,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에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된다.
상기 배터리(30)는 상기 하우징(10)에 장착되고, 상기 태양전지(20)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로드부(40)는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서 하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배터리(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로드부(40)는 긴 전선 등으로 이루어지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상기 배터리(30)와 직접적 또는 다른 매개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하우징(10)의 하부로 길게 노출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로드부(40)는 외력에 의해 밴딩되어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연결로드부(40)의 타단에 결합된 상기 발광부(50)의 위치를 쉽게 조정할 수 있고, 상기 발광부(50)가 조정된 위치에 그대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어, 다양한 퍼포먼스를 연출할 수 있다.
상기 연결로드부(40)는 전선 이외에 상기 전선을 감싸는 튜브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광부(50)는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연결로드부(40)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10)의 하면과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발광부(50)는 LED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로드부(40)를 통해 인가되는 상기 배터리(30)의 전원에 의해 빛을 발산한다.
이때, 상기 발광부(5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로드부(40)의 길이에 의해 상기 연등갓(60)의 중심부 또는 그 아랫쪽에 위치하도록 한다.
위와 같이 상기 발광부(50)가 상기 연등갓(60)의 중심부 또는 그 아랫쪽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연등갓(60)의 상부만 밝게 빛나지 않고, 일반인들이 쉽게 볼 수 있는 상기 연등갓(60)의 중심부 또는 하부가 밝게 빛나도록 할 수 있어, 빛나는 연등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연등갓(60)은 일반적인 것과 같이 종이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지고, 중공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연결로드부(40) 및 발광부(50)가 수용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연등갓(60)은 철사, 고리 등을 통해 상단이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연등갓(60)을 상기 하우징(10)에 보다 용이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에는 결합돌기(1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등갓(60)은 철사 등을 통해 상기 결합돌기(13)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연등갓(60)은 상기 하우징(10)에 고정결합되게 된다.
상기 스위치(70)는 상기 하우징(10)에 장착되어, 상기 발광부(50)를 온-오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태양전지(20)에서 생산되는 전기에너지의 전압에 따라 상기 발광부(50)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스위치(70)가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태양전지(20)에서 생산되는 전기에너지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 이하이면 상기 발광부(50)에 상기 배터리(30)의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발광부(50)를 점등시키고, 상기 태양전지(20)에서 생산되는 전기에너지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을 초과하면 상기 발광부(50)에 인가되는 상기 배터리(30)의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발광부(50)를 소등시킨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50)를 점소등시키기 위한 별도의 조도센서 등이 없이 상기 태양전지(20)에서 발생되는 전압에 따라 상기 발광부(50)를 자동으로 점소등시킬 수 있어,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점소등을 위한 별도의 센서없이 해가 뜬 낮에는 상기 태양전지(20)를 통해 발생되는 전압이 높기 때문에 상기 발광부(50)가 점등됨이 없이 소등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흐린날의 낮 또는 밤에는 상기 태양전지(20)를 통해 발생되는 전압이 낮기 때문에 상기 발광부(50)가 자동으로 점등되어 상기 연등갓(60)이 밝게 빛나게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제어부(80)에 의해 밝은 때에는 연등용 램프가 자동으로 소등되고 어두울 때에는 연등용 램프가 자동으로 점등되어, 작업자가 일일이 연등용 램프를 점등 및 소등해야 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개개의 연등용 램프에서 독립적으로 상기 태양전지(20)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다수개의 연등용 램프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긴 전선을 설치하여 연결할 필요가 없어,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다.
한편, 상기 스위치(70)가 오프(OFF)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부(80)에 의해 상기 발광부(50)가 자동으로 점소등됨이 없이, 소등 즉 꺼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연결고리부(9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고리부(90)는 상기 하우징(10)에 장착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등용 램프를 상부에 배치된 와이어(100) 등에 걸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고리부(90)를 상기 하우징(10)에 장착하기 위한 구조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에 한 쌍의 지지돌기(11)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연결고리부(90)는 양단이 한 쌍의 상기 지지돌기(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고리부(90)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단에는 삽입돌기(92)가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돌기(11)에는 상기 삽입돌기(92)가 삽입되어 회전되는 삽입공(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삽입돌기(92)에는 탄성변형홈(94)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기(92)를 상기 삽입공(12)에 삽입할 때 상기 삽입돌기(92)가 상기 탄성변형홈(94)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상기 삽입공(12)에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삽입돌기(92)는 상기 삽입공(12)에 압축된 상태로 배치될 수도 있고, 상기 삽입공(12)을 관통한 후 탄성복원되어 걸리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공(12)에 삽입된 상기 삽입돌기(92)가 상기 삽입공(12)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고리부(90)의 중심부에는 상방향으로 체결고리(93)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체결고리(93)는 상기 와이어(100)에 걸려, 상기 연등용 램프를 상기 와이어(100)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고리부(90)의 회전시 상기 체결고리(93)는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된 결합돌기(13)에 끼워져, 상기 연결고리부(90)를 회전시킨 상태로 상기 연등용 램프를 보관 또는 운반하고자 할 경우, 상기 연결고리부(90)와 결합돌기(13)가 간섭없이 배치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체결고리(93)와 결합돌기(13)가 상호 끼워져 있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상기 체결고리(93) 또는 결합돌기(13)가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의 연등용 램프는, 각각의 연등용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긴 전선 등을 설치함이 없이 각각의 연등용 램프에 독립된 전원을 가지고 있어,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다.
또한, 태양에너지를 이용하기 때문에 경제적이고, 별도의 센서없이 어두울 때에 자동으로 발광부(50)가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점소등을 위해 별도의 동작을 취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다.
또한, 상기 연결고리부(90)를 통해 와이어(100)에 연등용 램프를 쉽게 설치 또는 분리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고리부(90)가 회전됨으로써 보관 및 운반시에 상기 연결고리부(90)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발광부(50)가 상기 연결로드부(40)를 통해 상기 연등갓(60)의 중심부 또는 그 아랫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잘 볼 수 있는 상기 연등갓(60)의 중심부 또는 아랫쪽이 밝게 빛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인 연등용 램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하우징, 11 : 지지돌기, 12 : 삽입공, 13 : 결합돌기, 20 : 태양전지, 30 : 배터리, 40 : 연결로드부, 50 : 발광부, 60 : 연등갓, 70 : 스위치,80 : 제어부, 90 : 연결고리부, 92 : 삽입돌기, 93 : 체결고리, 94 : 탄성변형홈, 100 : 와이어,

Claims (7)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되고,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태양전지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서 하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로드부와;
    상기 연결로드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과 이격되고, 상기 연결로드부를 통해 인가되는 상기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와;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연결로드부 및 발광부를 수용하고, 상단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연등갓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발광부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와;
    상기 태양전지에서 생산되는 전기에너지의 전압에 따라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가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태양전지에서 생산되는 전기에너지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 이하이면 상기 발광부에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발광부를 점등시키고,
    상기 태양전지에서 생산되는 전기에너지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을 초과하면 상기 발광부에 인가되는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발광부를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용 램프.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연결로드부에 의해 상기 연등갓의 중심부 또는 그 아랫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용 램프.
  3.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부는 외력에 의해 밴딩되어 그 상태를 유지하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용 램프.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부에 배치된 와이어에 걸릴 수 있는 연결고리부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용 램프.
  5.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한 쌍의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고리부는 양단은 한 쌍의 상기 지지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결고리부의 중심부에는 상기 와이어에 걸릴 수 있는 체결고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용 램프.
  6.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부의 양단에는 삽입돌기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에는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돌기에는 탄성변형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를 상기 삽입공에 삽입할 때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탄성변형홈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용 램프.
  7.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상기 연등갓이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연결고리부의 회전시 상기 체결고리는 상기 결합돌기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용 램프.
KR2020140000139U 2014-01-07 2014-01-07 연등용 램프 KR2015000279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139U KR20150002797U (ko) 2014-01-07 2014-01-07 연등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139U KR20150002797U (ko) 2014-01-07 2014-01-07 연등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797U true KR20150002797U (ko) 2015-07-15

Family

ID=53795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139U KR20150002797U (ko) 2014-01-07 2014-01-07 연등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2797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51602A (zh) * 2016-07-25 2016-10-26 潜山共同创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电子灯笼
KR101715065B1 (ko) * 2016-06-15 2017-03-10 김명숙 연등 걸이구 및 그것을 포함하는 연등
WO2018052360A1 (en) * 2016-09-19 2018-03-22 Ikea Supply Ag Lighting device with releasably connected shad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065B1 (ko) * 2016-06-15 2017-03-10 김명숙 연등 걸이구 및 그것을 포함하는 연등
CN106051602A (zh) * 2016-07-25 2016-10-26 潜山共同创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电子灯笼
WO2018052360A1 (en) * 2016-09-19 2018-03-22 Ikea Supply Ag Lighting device with releasably connected shade
SE541142C2 (en) * 2016-09-19 2019-04-16 Ikea Supply Ag Lighting device with releasably connected shade
CN109716020A (zh) * 2016-09-19 2019-05-03 宜家供应有限公司 具有可释放地连接的遮罩的照明装置
US11674669B2 (en) * 2016-09-19 2023-06-13 Ikea Supply Ag Lighting device with releasably connected shad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3094B2 (en) Lighting apparatus
RU2010113362A (ru) Светодиодный светильник для скрытого монтажа
US10928044B2 (en) Downlight apparatus
KR20100020748A (ko) 조명장치
KR20150002797U (ko) 연등용 램프
US9055642B2 (en) Multi-purpose rechargeable LED lighting device
US20180100630A1 (en) Multifunctional Lamp Shade Assembly
KR100990472B1 (ko) 충전용 천장등 세트
KR101116903B1 (ko) Led등기구
JP3171210U (ja) Led電球用ソケット及びled電球用ソケット装置
US20150055330A1 (en) Solar Lantern Lamp having LED Candel
KR101085113B1 (ko) 소켓 및 벽체 매입 겸용 엘이디 조명 기구
US11859785B2 (en) Lighting apparatus
JP3167851U (ja) 直管蛍光灯型led照明器
KR101212550B1 (ko) 엘이디 경광등
KR200459899Y1 (ko) 솔라셀 발광 연등의 조립구조
US11085622B1 (en) Lighting apparatus
KR20080001969U (ko) 촛대 일체형 전기 양초
KR101206469B1 (ko) Led 조명장치
JP2013004509A (ja) Led灯具
KR101089043B1 (ko) 비상용 전원을 구비한 충전식 엘이디 랜턴
KR20120101958A (ko) 다목적 태양광 led 연등
KR20080001614U (ko) 태양광을 이용한 부유 등기구
KR101157856B1 (ko) 엘이디 작업등
US11598500B2 (en) Downligh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